WO2018088695A1 -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8695A1
WO2018088695A1 PCT/KR2017/010968 KR2017010968W WO2018088695A1 WO 2018088695 A1 WO2018088695 A1 WO 2018088695A1 KR 2017010968 W KR2017010968 W KR 2017010968W WO 2018088695 A1 WO2018088695 A1 WO 20180886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signal output
output unit
wearable device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9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호철
김민희
이영진
마미연
이권희
Original Assignee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886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86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a fall and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Falls are one of the most common traumas in the elderly, and about 13% of those aged 65 and over are killed and fall in the 50s or younger. Late injuries increase in proportion, and in the 70s, many hip fractures and hip fractures. The factors that cause falls are report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walking ability (equilibrium) than to vision and hearing.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a fall and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a body worn by a user provided in the body,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user's motion, provided in the body, a signal output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and the bod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signal output unit so that the signal output unit generates a warning signal when there is a risk of falling of the user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or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fall state.
  • a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falls is provided.
  •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the motion information and a fall detection algorithm.
  • the controller may analyze the motion pattern of the user by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 whether a fall risk exists and the fall by the fall detection algorithm. Can be.
  • the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falls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fall risk exists or falls,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Can be controlled.
  • the body may include a front body worn on the user's chest and a rear body worn on the back of the user and connected to the front body, and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body.
  •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spine of the user.
  •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upper sensor and a lower sensor, the upper senso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rvical spine of the user, and the lower senso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lumbar spine of the user.
  • the signal output unit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vibration, light, and sound.
  • the warning signal output unit may include a front signal output unit provided in the front body and a rear signal output unit provided in the rear body.
  • the front signal output unit may include a first front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front signal output unit, and the first front signal output unit and the second front signal output unit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body.
  • the rear signal output unit may include a first rear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rear signal output unit, and the first rear signal output unit and the second rear signal output unit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body.
  • the sensor unit, the signal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dy.
  • the body may include a shock absorbing material.
  • a wearable device worn by a user and a smart devic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in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is mounted, the wearable device, the body worn by the user, the user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and the user's fall risk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fall state
  •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signal to the.
  • the user may check in which direction the body is inclined so that a balance disorder occurs, so that the user may correct a walking posture or stop walking. You can protect yourself from the risk of falling by taking a break in space.
  • the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a fall and the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all risk or the fall stat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wearable device transmits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 the guardian can quickly identify the situation and help the user.
  • FIG. 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front, rear and right sid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body 110, a sensor unit 130, a signal output unit 150, a control unit 160, and a communication unit 170. It includes.
  • the sensor unit 130, the signal out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are detachable to the body 110. Therefore, not only the body 110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washed, but also a device replacement and upgrade is convenient.
  • Body 110 is a portion worn by the user is approximately vest shape. That is, the body 11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user's chest, shoulders, sides and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body 110 may be shaped to protect the user's lower abdomen or pelvis. Since the body 110 includes a shock absorbing material, the body 110 may protect the user's neck, rib cage, spine, pelvis, hip joint, and the like.
  • the body may be in the shape of a general image, covering the at least upper body of the user.
  • the body 110 includes a front body 111 and a rear body 113.
  • the front body 111 is worn to protect the user's chest and abdomen, and the rear body 113 is worn to protect the user's back and waist.
  • the rear body 113 is connectable to the front body 111 through the shoulder connector 115 and the side connector 117. Since the shoulder connector 115 is provided with a shoulder length adjusting unit 116 and the side connector 117 is provided with a side length adjusting unit 118, the user can fit the shoulder connector 115 and the side connector 117 according to their body shape. The length of the can be adjusted.
  • the sensor unit 130 detects a user's motion.
  • the sensor unit 130 transmit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cted motion data and posture data to the controller 160.
  • the sensor unit 130 may be in the form of a module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tilt sensor.
  •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impact on the user's body
  • the gyro sensor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rotation speed) when the user's body rotates
  • the tilt sensor measures the degree of tilt of the user's body.
  • each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yro sensor, and the tilt sensor may measure values in three directions (X, Y, and Z axes). Accordingly, a total of nine values can be measured.
  • the sensor unit 130 is provided at the rear body 113, but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spine of the user. That is, the sensor unit 130 is provided along the spine of the user.
  • the sensor unit 130 includes an upper sensor 131 and a lower sensor 133.
  • the upper sensor 131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rvical spine of the user, and the lower sensor 133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lumbar spine of the user.
  • the signal output unit 150 generates and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user.
  • the signal output unit 150 includes a vibration motor 151, an LED 153, and a buzzer 155.
  • th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vibration, light and sound.
  • the signal output unit 150 includes a front signal output unit 150F and a rear signal output unit 150R.
  • the front signal output unit 150F is provided at the front body 111 and the rear signal output unit 150R is provided at the rear body 113.
  • the front signal output unit 150F includes a first front signal output unit F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ont right signal output unit”) and a second front signal output unit F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ont left signal output unit”).
  • the front right signal output part FR is provided at the right middle part of the front body 111 and the front left signal output part FL is provided at the left middle part. That is, the front right signal output unit FR and the front left signal output unit FL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body 111.
  • the rear signal output section 150R includes a first rear signal output section R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r right signal output section”) and a second rear signal output section R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r left signal output section”).
  • the rear right signal output part RR is provided at the right middle part of the rear body 113 and the rear left signal output part RL is provided at the left middle part. That is, the rear right signal output part RR and the rear left signal output part RL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body 113.
  • the signal output units exemplified above include all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namely, a vibration motor, an LED, and a buzzer.
  • the signal outputs may have components that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That is, some signal outputs may not include LEDs, or other signal outputs may not include a buzzer.
  •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the signal output unit 150 to generate a warning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unit 150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falling of the user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30 or that the user falls. Control the operation of
  • the controller 160 includes a database 161 and a fall detection algorithm 163.
  • the database 161 store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motion data and posture data of the user.
  • the fall detection algorithm 163 analyzes a user's motion pattern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61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all risk and whether there is a fall.
  • the communicator 17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ice 180.
  • the external device 180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 an application for monitoring a user's oper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mounted on the external device 180.
  •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80 using the Bluetooth module.
  • the communication uni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of the microcontroller unit (MCU) to exchange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and stored in the wearable device using a Bluetooth 4.0 module
  • the walking data of the user and the analysis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landline phone, a feature phone, or the lik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held by a guardian of the user. Therefore, if there is a risk of falling to the user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fall state, the wearable device may quickly protect the user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or 170 controls the communicator 170 to transmit 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180.
  •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10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130, the signal out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 the power supply unit is a lithium ion battery. The remaining battery level may be monitored through the smart device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 the power supply can be charged to a USB 5V voltage.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upply may be wirelessly charged.
  •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gnal output unit includes a front right signal output unit FR, a rear right signal output unit RR, a rear left signal output unit RL, and a front left signal output unit FL.
  • Each signal output unit FR, RR, RL, FL includes a vibration motor, an LED and a buzzer.
  • the front right and left signal output parts FR and FL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tilted forward.
  • the front left signal output unit FL transmits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to the front left.
  • the front right signal output unit FR transmits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to the front right.
  • the rear right and left signal output units RR and RL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backward.
  • the rear left signal output unit RL transmits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to the rear left.
  • the rear right signal output unit RR transmits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to the rear right.
  • the rear left and front left signal output parts RL and FL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to the left.
  • the front right and rear right signal outputs FR and RL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user's body is inclined to the right.
  • a user who recogniz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output unit may check in which direction the body is inclined to balance disorder. Therefore, the user can protect himself from the risk of falling by correcting the walking posture or stopping walking and resting in a stable space.
  •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user's guardian can quickly identify the situation and help the user.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a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cceleration, the angular velocity (rotational speed), and the slop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 the controller 160 compares the transmitted operation information with the falling refere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61.
  • the detected slope and acceleration will show a constant or insignificant change, and thus the slope and angular velocity corresponding to the fall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 the detected slope and acceleration will be greater than the slope and angular velocity corresponding to the fall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falling or a falling state occurs.
  •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ignal output unit 150 to generate at least one of vibration, light, and sound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a risk of falling. A user who recognizes this signal can prevent falls by attempting to correct walking.
  •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70 to transmit a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180 to notify the guardian of the user.
  •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clothing worn by the user, the user may wear the same and perform external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the body of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shock absorb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otect the user's body during a fall.
  •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 a heart rate sensor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신호 출력부가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전체 노인의 21.0%가 낙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 25~30%가 낙상을 경험하였고, 70세 이상은 약 25%, 그리고 80세 이상은 약 50%가 낙상 경험이 있다.
낙상은 노인에게 가장 많이 일어나는 외상 중 하나로 65세 이상의 약 13%가 낙상으로 사망에 이르며 비교적 젊은 50대 이하에서는 넘어지며 몸을 바로잡으려다가 손목을 다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60대부터는 몸의 반응 속도가 늦어 허리를 다치는 비율이 높아지고, 70대부터는 엉덩이뼈나 대퇴골 골절이 많다. 낙상의 요인은 시력, 청력보다는 걷기 능력(평형감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체 낙상 노인의 약 72.0%는 병원 치료, 약 47.4%는 낙상 후유증을 경험할 정도로 낙상과 이로 인한 골절은 노인에게 생존율과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의료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다.
특히, 고령자일수록 응급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고 본인 스스로 응급 상황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낙상을 감지하여 예방하거나 낙상 후 낙상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낙상 감지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신호 출력부가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낙상 감지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낙상 감지 알고리즘에 의하여 낙상 위험성 존재 여부 및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낙상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는 전방 몸체 및 사용자의 등에 착용되되 상기 전방 몸체에 연결되는 후방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후방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척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는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센서는 사용자의 경추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센서는 사용자의 요추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출력부는 진동, 빛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고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전방 몸체에 구비되는 전방 신호 출력부 및 상기 후방 몸체에 구비되는 후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신호 출력부는 제1 전방 신호 출력부 및 제2 전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2 전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전방 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 신호 출력부는 제1 후방 신호 출력부 및 제2 후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방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2 후방 신호 출력부는 상기 후방 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 상기 신호 출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충격 흡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균형 장애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행 자세를 교정하거나 보행을 중단하고 안정된 공간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낙상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거나 낙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의 보호자가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를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전면, 후면 및 우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몸체(110), 센서부(130), 신호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센서부(130), 신호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통신부(170)는 몸체(110)에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몸체(110)만 세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교체 및 업그레이드도 편리하다.
몸체(11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부분으로서 대략 조끼 형상이다. 즉, 몸체(110)는 사용자의 가슴, 어깨, 옆구리와 등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110)는 사용자의 하복부나 골반까지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몸체(110)는 충격 흡수 소재를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목, 흉곽, 척추, 골반, 고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는 일반적인 상의 형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적어도 상반신을 덮는 형상이다.
몸체(110)는 전방 몸체(111) 및 후방 몸체(113)를 포함한다.
전방 몸체(111)는 사용자의 가슴과 복부 등을 보호하도록 착용되고 후방 몸체(113)는 사용자의 등과 허리 등을 보호하도록 착용된다. 후방 몸체(113)는 어깨 연결부(115) 및 측면 연결부(117)를 통해 전방 몸체(111)에 연결 가능하다. 어깨 연결부(115)에는 어깨 길이 조절부(116)가 구비되고 측면 연결부(117)에는 측면 길이 조절부(118)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어깨 연결부(115)와 측면 연결부(11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센서부(130)는 감지된 동작 데이터 및 자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센서부(13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일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를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몸이 회전하는 경우 각속도(회전 속도)를 측정하며, 기울기 센서는 사용자 신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기울기 센서 각각은 세 방향(X축, Y축, Z축)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총 9개의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후방 몸체(113)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척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센서부(130)는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구비된다. 센서부(130)는 상부 센서(131) 및 하부 센서(133)를 포함한다. 상부 센서(131)는 사용자의 경추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고 하부 센서(133)는 사용자의 요추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
신호 출력부(150)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신호 출력부(150)는 진동 모터(151), LED(153) 및 부저(buzzer)(155)를 포함한다. 이 경우 경고 신호는 진동, 빛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발생한다.
신호 출력부(150)는 전방 신호 출력부(150F) 및 후방 신호 출력부(150R)를 포함한다. 전방 신호 출력부(150F)는 전방 몸체(111)에 구비되고 후방 신호 출력부(150R)는 후방 몸체(113)에 구비된다.
전방 신호 출력부(150F)는 제1 전방 신호 출력부(FR, 이하 "전방 우측 신호 출력부") 및 제2 전방 신호 출력부(FL, 이하 "전방 좌측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전방 우측 신호 출력부(FR)는 전방 몸체(111)의 우측 중간부에 구비되고 전방 좌측 신호 출력부(FL)는 좌측 중간부에 구비된다. 즉, 전방 우측 신호 출력부(FR)와 전방 좌측 신호 출력부(FL)는 전방 몸체(11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다.
후방 신호 출력부(150R)는 제1 후방 신호 출력부(RR, 이하 "후방 우측 신호 출력부") 및 제2 후방 신호 출력부(RL, 이하 "후방 좌측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후방 우측 신호 출력부(RR)는 후방 몸체(113)의 우측 중간부에 구비되고 후방 좌측 신호 출력부(RL)는 좌측 중간부에 구비된다. 즉, 후방 우측 신호 출력부(RR)와 후방 좌측 신호 출력부(RL)는 후방 몸체(11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상 예시한 신호 출력부들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즉 진동 모터, LED 및 부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출력부들은 서로 구별되는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즉, 어떤 신호 출력부는 LED를 포함하지 않거나 다른 신호 출력부는 부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하면 신호 출력부(150)가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신호 출력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데이터베이스(161) 및 낙상 감지 알고리즘(163)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61)는 사용자의 동작 데이터 및 자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낙상 감지 알고리즘(163)은 데이터베이스(161)에 저장된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낙상 위험성 존재 여부 및 낙상 여부를 판단한다.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180)와 통신을 수행한다. 외부 장치(180)는 스마트폰 등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7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외부 장치(180)에 탑재된다. 또한, 통신부(170)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18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의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고 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4.0 모듈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보행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유선 전화, 피처폰 등일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보유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를 신속히 보호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낙상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통신부(170)가 외부 장치(180)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30), 신호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통신부(17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도시하지 않음)가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원부는 USB 5V 전압으로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부는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출력부는 전방 우측 신호 출력부(FR), 후방 우측 신호 출력부(RR), 후방 좌측 신호 출력부(RL) 및 전방 좌측 신호 출력부(FL)로 이루어진다. 각 신호 출력부(FR, RR, RL, FL)는 진동 모터, LED 및 부저를 포함한다.
낙상 방향이 전방으로 감지될 때 전방 우측 및 좌측 신호 출력부(FR, FL)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전방 좌측으로 감지될 때 전방 좌측 신호 출력부(FL)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전방 우측으로 감지될 때 전방 우측 신호 출력부(FR)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후방으로 감지될 때 후방 우측 및 좌측 신호 출력부(RR, RL)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후방 좌측으로 감지될 때 후방 좌측 신호 출력부(RL)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후방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후방 우측으로 감지될 때 후방 우측 신호 출력부(RR)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좌측으로 감지될 때 후방 좌측 및 전방 좌측 신호 출력부(RL, FL)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낙상 방향이 우측으로 감지될 때 전방 우측 및 후방 우측 신호 출력부(FR, RL)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있음을 알린다.
이상 설명한 낙상 방향과 신호 출력부의 작동의 관계를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낙상 방향 신호 출력부
전방 우측(FR) 후방 우측(RR) 후방 좌측(RL) 전방 좌측(FL)
전방 O X X O
전방 좌측 X X X O
전방 우측 O X X X
후방 X O O X
후방 좌측 X X O X
후방 우측 X O X X
좌측 X X O O
우측 O O X X
(O: 신호 발생, X: 신호 발생 안 함)
신호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인식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균형 장애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행 자세를 교정하거나 보행을 중단하고 안정된 공간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낙상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거나 낙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통신부가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므로 사용자의 보호자가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를 도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센서부(130)에서 측정한 가속도, 각속도(회전 속도)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제어부(160)는 전달된 동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1)에 저장된 낙상 기준 정보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정상적인 경우, 감지된 기울기와 가속도는 일정하거나 미미한 변화를 보일 것이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낙상 기준값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각속도보다 작을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급격한 움직임을 보인다면, 감지된 기울기와 가속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낙상 기준값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각속도보다 클 것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낙상 기준 정보와 비슷한 경향성을 보이는 동작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낙상 위험성이 있거나 낙상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신호 출력부(150)가 진동, 빛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낙상 위험이 있음을 알린다. 이 신호를 인지한 사용자는 보행 교정을 시도함으로써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통신부(170)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18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호자 등에게 알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몸에 착용하는 의복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이를 착용하여 외부 활동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몸체가 충격 흡수 소재를 포함하므로 낙상 시 사용자의 몸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달리, 벨트나 지팡이, 목걸이 등 제품에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심박 센서 등을 착용하여 낙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그 경우 낙상 시 사용자가 해당 제품에 의해 2차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영상 장치를 통한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 이를 신호 처리 기법으로 처리하여 환자의 낙상 여부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실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사생활 침해 우려도 있어 문제이다.
다른 한편, 스마트폰에 가속도계, 자이로 센서 등 센서를 부착하여 낙상을 감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에 따라서 성능이 좌우되며 배터리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신호 출력부가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낙상 감지 알고리즘
    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낙상 감지 알고리즘에 의하여 낙상 위험성 존재 여부 및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2 항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낙상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3 항에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는 전방 몸체 및
    사용자의 등에 착용되되 상기 전방 몸체에 연결되는 후방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후방 몸체에 구비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 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척추 위치에 구비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5 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부 센서 및 하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센서는 사용자의 경추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센서는 사용자의 요추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진동, 빛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7 항에서,
    상기 경고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전방 몸체에 구비되는 전방 신호 출력부 및
    상기 후방 몸체에 구비되는 후방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8 항에서,
    상기 전방 신호 출력부는 제1 전방 신호 출력부 및 제2 전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2 전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전방 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9 항에서,
    상기 후방 신호 출력부는 제1 후방 신호 출력부 및 제2 후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방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2 후방 신호 출력부는 상기 후방 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3 항에서,
    상기 센서부, 상기 신호 출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한,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1 항에서,
    상기 몸체는 충격 흡수 소재를 포함하는,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낙상 위험성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낙상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PCT/KR2017/010968 2016-11-08 2017-09-29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WO20180886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80A KR20180051280A (ko) 2016-11-08 2016-11-08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KR10-2016-0148380 2016-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695A1 true WO2018088695A1 (ko) 2018-05-17

Family

ID=6210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968 WO2018088695A1 (ko) 2016-11-08 2017-09-29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1280A (ko)
WO (1) WO20180886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4729A (zh) * 2022-06-28 2022-11-04 西安中诺通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提醒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671B1 (ko) * 2018-11-29 2021-04-16 주식회사 더열림 노인의 보행 정보를 통한 낙상 및 치매 위험성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288425B1 (ko) * 2019-11-15 2021-08-10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웨어러블 슈트 제어방법
KR102309199B1 (ko) * 2019-11-18 2021-10-05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사용자 적응형 웨어러블 슈트
KR102586354B1 (ko) * 2020-10-30 2023-10-10 이상미 낙상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 에어백의 교체가 가능한 세이프백
KR102615018B1 (ko) * 2021-02-18 2023-12-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의류
KR20230130787A (ko) 2022-03-04 2023-09-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수준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993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낙상 구조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6610B1 (ko) *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사고 대비를 위한 공기주입형 스마트웨어 시스템
KR20150109971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150351666A1 (en) * 2002-12-18 2015-12-10 Active Protectiv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Impact Protection
KR20160039496A (ko) * 2014-10-01 2016-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1666A1 (en) * 2002-12-18 2015-12-10 Active Protectiv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Impact Protection
KR20080050993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낙상 구조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6610B1 (ko) *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사고 대비를 위한 공기주입형 스마트웨어 시스템
KR20150109971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039496A (ko) * 2014-10-01 2016-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4729A (zh) * 2022-06-28 2022-11-04 西安中诺通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提醒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5294729B (zh) * 2022-06-28 2023-09-26 西安中诺通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提醒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80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8695A1 (ko)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KR102185224B1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358447A1 (en) Intelligent waistband and intelligent falling-over emergency pre-warning system
WO2012115444A2 (ko) 신체충격 완화장치
WO2015163503A1 (ko) 스마트 척추 측만증 보정조끼
WO2015194808A1 (ko)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JP4612928B2 (ja) 身体動作センシング装置
WO2017036013A1 (zh) 预防老年人跌倒的健康鞋及控制系统
JP2019155078A5 (ko)
WO2015174571A1 (ko) 신생아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197385A1 (zh) 一种可监控人体意外摔倒的报警系统及方法
WO2010123188A1 (ko) 생체신호 감지형 안전모 및 벤드
WO2021025492A1 (ko) 헤드형 공기질 위험 경고 및 개선장치
KR20190083067A (ko) 낙상 방지용 침대
KR20180095366A (ko) 환경정보와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신생아 모니터링 장치
WO2018004279A1 (ko) 수면 데이터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안대
WO2018135873A1 (ko)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휠체어 전복예방장치
KR20110049011A (ko) 생체신호 감지형 인체착용 벤드
KR102421146B1 (ko)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JP2003164537A (ja) 防毒マスク、防護衣、防護具及び誘導装置
KR20180072145A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WO2016068513A1 (ko) 낙상 감지방법
WO2022014794A1 (ko) 환자 폐 소리 모니터링을 통한 흉벽 자동 진동시스템
KR20170122415A (ko) Csf 플랫폼 연계를 통한 작업자 중심의 증강현실용 생체신호기반 스마트 작업헬멧
WO2022220641A1 (ko) 동적 척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00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00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