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42414A1 -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42414A1
WO2014142414A1 PCT/KR2013/010098 KR2013010098W WO2014142414A1 WO 2014142414 A1 WO2014142414 A1 WO 2014142414A1 KR 2013010098 W KR2013010098 W KR 2013010098W WO 2014142414 A1 WO2014142414 A1 WO 20141424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sh
control unit
fish species
electrically connected
species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0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레트
Publication of WO20141424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424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03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 group, a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carry due to its small volume, and the user can deliver the environment (fish group, fish species, water depth, water temperature, flow rate, etc.) to the user in detai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 and fish detection system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that can provide more fun.
  • the above-mentioned fishing is composed of a fishing rod, fishing line, bobber and needle, etc.,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fishing rod or bobber with the naked eye during the day, and to wrap the luminous tape on the bobber at night or attach the drops to the tip of the fishing rod, Most of them used luminous bobs to figure out the movement of fish.
  • the luminous means that can be used at night has a problem in that identification is difficult when using a long time.
  •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is "claim 1.
  • the monitor 100 which monitors the underwater situation at the time of fishing and can normally watch a broadcast like a television receiver, and is folded in multiple steps like a normal folding fishing rod,
  • the wire guide ring 112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and is pulled out from the handle to the distal end through the multi-stage folding support 110 configured to guide the electric wire, and the wire guide ring 112 provided at the multi-stage folding support 110.
  • a wire 120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 a camera 131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120 and detects the state of the water surface and the water inside, and provides a light source for image detection.
  • Fi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mera housing 130 is installed, and a wire winding device 140 for winding the wire.
  • the multi-stage folding support 110 is coupled to the monitor 100 in a single body, and the wire winding device 140 is coupled to the monitor 100 in a single body.
  • Fishing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 to be.
  • the conventional fishing monitor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copper wire because the volume is inconvenient to carry or wired.
  • the conventional fishing monitor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can not properly deliver the fish group, fish species, water depth, water temperature, flow rate and the like in the environment of the wat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volume and easy to carry, the user can enjoy the fun of fishing by delivering the environment in detail to the user It is to provide a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to give a further layer.
  •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It is installed on the water and receives the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from the smartphon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sh and fish species are detec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and the detected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information is sm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fish group, the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is connect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fish group, fish species,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using a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application at a remote location, and receives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 smart phone 700 to display on the screen,
  •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are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 a power supply unit 504
  • a control unit 50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4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504 to control an electrically connected component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 a water temperature sensor 510 installed at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6 to sense a temperature of water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6;
  • a flow rate sensor 51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sense a flow rate of water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Sonar 51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detect the fish group in the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and senses the depth of the water in the water (514) )Wow;
  • An underwater camera 516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photograph the wa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a camera guide lighting unit 518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irradiate light into the wa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control unit 506 receives a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the received fish group, fish species
  • a timer 5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count time to the control unit 506;
  • the position notification LED 508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510
  • the flow 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volume has an effect that is easy to carry.
  •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onar, an underwater camera, a water depth sens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a lighting unit, an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etc. in the fish,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in the user's smart phone environment (water fish , Fish species, water depth, water temperature, flow rate, etc.) in detail can have the effect of giving the user a more fun fishing.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using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of FIG.
  •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of FIG.
  • FIG.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martphone of FIG.
  • 5 to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sh,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using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of Figure 1
  • Figure 3 is a fish group of Figure 1
  • FIG.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martphone of FIG. 1.
  •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500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4,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ystem 500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It is installed on the water and receives the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from the smartphon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sh and fish species are detec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and the detected fish and fish species detection information is smar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fish group, the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is connect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fish group, fish species,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using a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application at a remote location, and receives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information, It consists of a smartphone 700 to display on the screen.
  •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602 to which a string can be connected.
  •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More,
  • a power supply unit 504
  • a control unit 50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4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504 to control an electrically connected component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 a water temperature sensor 510 installed at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6 to sense a temperature of water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6;
  • a flow rate sensor 51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sense a flow rate of water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Sonar 51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detect the fish group in the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and senses the depth of the water in the water (514) )Wow;
  • An underwater camera 516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photograph the wa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a camera guide lighting unit 518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irradiate light into the wat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control unit 506 receives a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the received fish group, fish species
  • a timer 5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to count time to the control unit 506;
  • the position notification LED 508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510
  • the flow 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6
  • the sonar 514 is for the acoustic expression device used for the detection or expression of the object in the water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by generating the ultrasonic wave, or the time it takes to hit the object reflected back when the ultrasonic wave is generated. .
  • main control unit 524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524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of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as well as detection from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of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A fish group, a main communication unit 526 for receiving fish species detection information;
  • a display unit 52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524 to display fish group and fish species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524.
  • the main communication unit 526 of the smart phone 700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of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 control unit 506 of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ly connected parts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 the timer 521 counts the time up to a preset time, and then informs the controller 506 of the counter tim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6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position notification LED (508).
  • the location notification LED 508 flashes the LED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sh group, fish species detection means 502.
  •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510 senses the temperature in the water and then sends the sensing value to the controller 506.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06 sends the temperature of the sensed water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 the flow rate sensor 512 senses the flow rate in the water and then sends a sensing value to the controller 506.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6 sends the flow rate of the sensed water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 the sonar 514 detects a fish group in the water, senses the depth of the water, and then sends the sensed depth value and information detecting the fish group in the water to the controller 506.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06 transmits the sensed depth value and the information detecting the fish group in the water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 the camera guide lighting unit 518 irradiates light into the water. At this time, the underwater camera 516 photographs the water.
  • the underwater camera 516 sends the captured video in the water to the controller 506.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6 sends the captured video in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 the self-diagnosis unit 523 is a position notification LED 508, water temperature sensor 510, flow rate sensor 512, sonar 514, underwater camera 516, camera guide lighting unit 518,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s sent to the control unit 506.
  • the control unit 506 send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52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sensed water, the flow rate of the sensed water, the sensed depth value and the fish group in the water, the video of the photographed water, Send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part to the main communication unit 526 of the smartphone 700.
  • the main controller 524 of the smartphone 70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unit 528.
  • the display unit 528 display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e flow rate of the water, the depth value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ish group in the water, the video in the water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parts.
  • an underwater camera is installed in a fish group and a fish species detecting means.
  • the fish group and fish species detec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n aqua room (aquarium) and the like. , The flow rate, etc.) can be delivered in detail to give the user an additional level of fu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물속의 환경(어군, 어종, 수심, 수온, 유속 등)을 사용자에게 상세히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낚시의 재미를 한 층 더 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516)와;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와;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6)로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521)와;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알림엘이디(508), 수온감지센서(510), 유속감지센서(512), 소나(514), 수중카메라(516),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 보조통신부(520) 및 타이머(521)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진단부(52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본 발명은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물속의 환경(어군, 어종, 수심, 수온, 유속 등)을 사용자에게 상세히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낚시의 재미를 한 층 더 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주 5일 근무를 하는 회사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레져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 실정에 있으며, 그 중심에 낚시가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한 낚시는 낚싯대와 낚시줄, 찌 및 바늘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주간에는 육안으로 낚싯대나 찌를 식별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찌에 야광테이프를 감거나 낚싯대의 끝 부분에 방울을 달아 물고기의 입질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야광찌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야간에 사용할 수 있는 야광수단은 오랜 시간을 사용하다 보면 식별이 않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2년 09월 16일자, 출원번호 제20-2002-0027782호(고안의 명칭 : 낚시용 모니터링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 청구항 1. 조어시에 수중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평상에는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모니터(100)와, 통상의 절첩식 낚싯대와 같이 다단으로 절첩되고 각 단관의 선단부에 전선 안내링(112)이 구비되어 전선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다단절첩식 지지대(110)와, 이 다단절첩식 지지대(110)에 구비된 전선 안내링(112)을 통하여 손잡이부에서 선단부로 인출되고 수중으로 투입되는 전선(120)과, 상기 전선(12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면과 수중의 상태를 파악하는 카메라(131)와 영상탐지를 위한 광원을 제공하는 조명장치(132)가 설치되는 카메라 하우징(130)과, 상기 전선을 권취하기 위한 전선 권취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모니터링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100)에 다단절첩식 지지대(110)가 일연체로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100)에 상기 전선 권취장치(140)가 일연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모니터링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낚시용 모니터링장치는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거나 유선이어서 동선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낚시용 모니터링장치는 물속의 환경 중 어군, 어종, 수심, 수온, 유속 등을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물속의 환경을 사용자에게 상세히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낚시의 재미를 한 층 더 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은,
물 위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어군,어종 탐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으로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보내고, 어군,어종 탐지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700)을 포함하되,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은,
전원부(504)와;
상기 전원부(5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5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0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상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에서 카운터된 카운터 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어군,어종 탐지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알림엘이디(508)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온도를 센싱하는 수온감지센서(510)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유속을 센싱하는 유속감지센서(512)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함과 아울러 물속의 수심을 센싱하는 소나(514)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51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보조통신부(520)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로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521)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알림엘이디(508), 수온감지센서(510), 유속감지센서(512), 소나(514), 수중카메라(516),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 보조통신부(520) 및 타이머(521)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진단부(523)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은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어군,어종 탐지수단에 소나, 수중카메라, 수심감지센서, 수온감지센서, 유속감지센서, 조명부, 보조통신부 등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통신부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물속의 환경(어군, 어종, 수심, 수온, 유속 등)을 상세히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낚시의 재미를 한 층 더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어군, 어종 탐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어군, 어종 탐지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군, 어종 탐지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어군, 어종 탐지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500)은,
물 위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어군,어종 탐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으로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보내고, 어군,어종 탐지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7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은,
오뚜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600)를 갖는바, 물 위에 위치될 때,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쓰려지더라도 곧 바로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는 끈이 연결될 수 있는 걸림부(602)가 설치된다.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을 좀 더 살펴보면,
전원부(504)와;
상기 전원부(5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5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0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상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에서 카운터된 카운터 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어군,어종 탐지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알림엘이디(508)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온도를 센싱하는 수온감지센서(510)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유속을 센싱하는 유속감지센서(512)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함과 아울러 물속의 수심을 센싱하는 소나(514)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51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보조통신부(520)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로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521)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알림엘이디(508), 수온감지센서(510), 유속감지센서(512), 소나(514), 수중카메라(516),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 보조통신부(520) 및 타이머(521)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진단부(5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나(514)는, 물속 물체의 탐지나 표정에 사용되는 음향표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초음파발생시 물체에 부딪쳐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재어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700)은,
어군,어종 탐지에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마트폰의 부품을 제어하는 주제어부(524)와;
상기 주제어부(5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의 보조통신부(520)로 탐지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의 보조통신부(520)로부터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수신하는 주통신부(526)과;
상기 주제어부(5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제어부(5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2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낚시정보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700)으로 다운로드 받은 후, 전원부(504)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오뚜기형상의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을 물 위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700)의 주통신부(526)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의 보조통신부(520)로 탐지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의 제어부(506)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으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머(521)는 기 설정된 시간까지 시간을 카운터한 후, 상기 제어부(506)로 카운터된 시간을 알려준다. 이때, 상기 제어부(506)는 제어신호를 위치알림엘이디(50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위치알림엘이디(508)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엘이디를 점멸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온감지센서(510)는 물속의 온도를 센싱한 후, 센싱값을 제어부(506)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506)는 센싱된 물속의 온도를 보조통신부(52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속감지센서(512)는 물속의 유속을 센싱한 후, 센싱값을 제어부(506)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506)는 센싱된 물속의 유속을 보조통신부(520)로 보낸다.
그리고, 소나(514)는 물속의 어군을 탐지함과 아울러 물속의 수심을 센싱한 후, 센싱된 수심 값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한 정보를 제어부(506)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506)는 센싱된 수심 값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한 정보를 보조통신부(52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는 물속으로 불빛을 조사한다. 이때, 수중카메라(516)는 물속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수중카메라(516)는 촬영된 물속의 동영상을 제어부(506)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506)는 촬영된 물속의 동영상을 보조통신부(520)로 보낸다.
그리고, 자가진단부(523)는 위치알림엘이디(508), 수온감지센서(510), 유속감지센서(512), 소나(514), 수중카메라(516),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 보조통신부(520) 및 타이머(521)의 작동 상태를 파악한 후, 작동 상태 정보를 제어부(506)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506)는 작동 상태 정보를 보조통신부(520)로 보낸다.
한편,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통신부(520)는 센싱된 물속의 온도, 센싱된 물속의 유속, 센싱된 수심 값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한 정보, 촬영된 물속의 동영상 및 부품의 작동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700)의 주통신부(526)로 보낸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700)의 주제어부(524)는 디스플레이부(528)로 제어신호를 보내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28)는 물속의 온도, 물속의 유속, 수심 값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한 정보, 물속의 동영상 및 부품의 작동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어군,어종 탐지수단에 수중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어군,어종 탐지수단을 아큐아룸(수족관) 등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물속의 환경(어군, 어종, 수심, 수온, 유속 등)을 상세히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를 한 층 더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 위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어군,어종 탐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으로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보내고, 어군,어종 탐지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7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2. 물 위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어군,어종 탐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으로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보내고, 어군,어종 탐지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700)을 포함하되,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은,
    전원부(504)와;
    상기 전원부(5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5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0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상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에서 카운터된 카운터 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어군,어종 탐지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알림엘이디(508)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온도를 센싱하는 수온감지센서(510)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유속을 센싱하는 유속감지센서(512)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함과 아울러 물속의 수심을 센싱하는 소나(514)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51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보조통신부(520)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로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52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3. 물 위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과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어군,어종 탐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으로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보내고, 어군,어종 탐지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700)을 포함하되,
    상기 어군,어종 탐지수단(502)은,
    전원부(504)와;
    상기 전원부(5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5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0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상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에서 카운터된 카운터 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어군,어종 탐지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알림엘이디(508)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온도를 센싱하는 수온감지센서(510)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유속을 센싱하는 유속감지센서(512)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의 어군을 탐지함과 아울러 물속의 수심을 센싱하는 소나(514)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516)와;
    상기 본체(600)의 외면 하단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속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어종 탐지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어군,어종 탐지신호에 따라 어군,어종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군,어종탐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보조통신부(520)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로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521)와;
    상기 본체(6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5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알림엘이디(508), 수온감지센서(510), 유속감지센서(512), 소나(514), 수중카메라(516), 카메라가이드조명부(518), 보조통신부(520) 및 타이머(521)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진단부(52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PCT/KR2013/010098 2013-03-12 2013-11-08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WO20141424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09A KR101321787B1 (ko) 2013-03-12 2013-03-1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KR10-2013-0026409 2013-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2414A1 true WO2014142414A1 (ko) 2014-09-18

Family

ID=4963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098 WO2014142414A1 (ko) 2013-03-12 2013-11-08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1787B1 (ko)
WO (1) WO2014142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429A (zh) * 2021-06-25 2021-10-08 山东航天电子技术研究所 一种基于声光多传感器和卫星通信的鱼群养殖监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29B1 (ko) * 2013-12-13 2014-08-2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어장정보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24031B1 (ko) * 2016-08-22 2018-11-30 (주)유비쿼터스통신 배스와 황소개구리 퇴치 장치
KR20200123575A (ko) 2019-04-22 2020-10-30 소명영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705Y1 (ko) * 2002-09-16 2002-12-27 박태욱 낚시용 모니터링장치
KR20070020621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어군탐지기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
KR100993227B1 (ko) * 2010-06-04 2010-11-09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스마트 폰을 이용한 어군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705Y1 (ko) * 2002-09-16 2002-12-27 박태욱 낚시용 모니터링장치
KR20070020621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어군탐지기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
KR100993227B1 (ko) * 2010-06-04 2010-11-09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스마트 폰을 이용한 어군탐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429A (zh) * 2021-06-25 2021-10-08 山东航天电子技术研究所 一种基于声光多传感器和卫星通信的鱼群养殖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787B1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217A1 (ko) 감시 시스템
WO2014142414A1 (ko)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WO2015170888A1 (ko) 애완동물용 표시장치
CN104721055A (zh) 一种 app控制的智能药盒
WO2015158018A1 (zh) 一种可与移动设备连接的内窥镜及其内窥镜系统
JP2017015582A (ja) ボアホール観測システム
WO2017146548A1 (ko)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송수신이 가능하고 하우징 자체가 플렉시블 한 스마트 펜
CN108169423A (zh) 一种便携式空气质量检测仪
WO2015102219A1 (ko) 유아용 안전 요람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207677886U (zh) 居家养老救助系统
CN207167800U (zh) 一种智能背心
WO2015078135A1 (zh) 一种照明灯具
WO2016013737A1 (ko)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CN108433711A (zh) 一种体温监测装置
CN114545118A (zh) 应急照明灯工作时长测试装置及设备
CN110708450A (zh) 隐私保护装置
CN208623820U (zh) 多功能生命探测仪
WO2017214790A1 (zh) 宠物监控系统和方法
CN109379565A (zh) 一种多功能监控系统
CN108769999A (zh) 一种计算机网络信号检测装置
WO2019212104A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CN213024677U (zh) 一种基于无线网络通信技术的智能监控装置
CN214426948U (zh) 一种用于检测内窥镜的装置
CN213342745U (zh) 一种基于火灾感应的智能应急照明灯
CN213244153U (zh) 一种防遮挡的智能监控摄像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77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77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