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8033A1 -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8033A1
WO2021118033A1 PCT/KR2020/013887 KR2020013887W WO2021118033A1 WO 2021118033 A1 WO2021118033 A1 WO 2021118033A1 KR 2020013887 W KR2020013887 W KR 2020013887W WO 2021118033 A1 WO2021118033 A1 WO 20211180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pair
sides
separat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8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원년
신현경
정수택
권순관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0899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30517A4/en
Priority to US17/769,901 priority patent/US20220393225A1/en
Priority to CN202080069120.0A priority patent/CN114503353A/zh
Publication of WO20211180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80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that increases the adhesive force of a side of a separator protruding from an electrode and prevents fold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such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high-tech electronic devices such as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camcorders.
  •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can-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lead coupl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pouch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electrode lead is withdrawn to the outside,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It has a structure that is alternately stacked. And the electrode includes a coating portion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n electrode tab without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electrode tab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electrode located in the full-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prevents the electrode from flowing by the electrode tab by bonding a separator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full length of the electrode assembl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he side part of the separator from being folded in the full width direction and, as a result, deformation of the side of the separator,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a) transferring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to a first position; (b)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in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t the first position; (c) moving a pair of pressing blocks provided in the second positio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forming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to be smaller than the full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parator and larger than the full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electrode ; (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at the first position is lowe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provided at the second positi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re bent up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block; and (e) moving the pair of pressure block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hile overlapping both sides of the bent separator and adhering by an adhesive layer.
  •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transferred to a first position using a gripper, and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first position may be lowered to a second position.
  •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spraying a binder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through a binder sprayer.
  • the binder uses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type, and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type may be any one of polyacrylate, polymethacrylate, polyburyl acrylate and polyacrylonitrile. hav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plasma-treating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using a plasma apparatus.
  • 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forming a coating layer so that the binder does not adhere to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eparator.
  •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silicon (Si) or Teflon.
  • the pair of pressure blocks can increase the adhesion by heating both sides of the separator in contact with the pair of pressure blocks as they have a set temperature.
  • the set temperature may be 60 °C ⁇ 90 °C.
  • step (e) a pair of pressing blocks are stopped in front of a set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nd the set distance may be 1 mm to 5 mm.
  • the step (e) further includes an adjustment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the adjustment process is to photograph a pair of pressing blocks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from the top, After measuring the center line of the pair of pressure blocks and the center lin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captured image,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adjusted by the error value by comparing the center line of the pair of pressure blocks with the center lin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ipper for transferr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a binder sprayer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spraying a binder on both sides in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t the first position; a pair of pressure blocks provid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bent upward to overlap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gripper;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provided in the may be adhered in a bent state by an adhesive layer.
  •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so that the binder does not adhere
  •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silicon (Si) or Teflon.
  • a pair of pressing blocks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r in an opposite direction.
  •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parators protruding from the electrode in the full width direction are sequentially overlapped and bent to overlap.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parators may be adhered by an adhesive layer.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eparator in the full width direction by bonding the side portion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in a bent state in the full width direction, and accordingly, side deformation of the separator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by preventing the external extraction of the electrode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to 10 are process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prepared in step (a)
  • FIG. 6 is an electrode assembly in step (b). is a view transferred to position A
  • FIG. 7 is a view showing step (c)
  • FIG. 8 is a view showing step (d)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adjustment process in step (e)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pressing process in step (e).
  • the electrode assembly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11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12 are alternately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electrode 11 may be an anode and a cathode
  • the separator 12 has a larger area than the electrode 11 in ord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at is, in the separator 12,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full length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th ends of the separator) and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full width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trude from the electrode to prevent a short circuit. .
  •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protruding from the electrode 11 are sequentially overlapped and bent in an upward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overlapped separator are bonded by an adhesive layer 13 . That is, an adhesive layer 13 is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overlappingly bent separator, and the adhesive layer 13 integrally combines both sides of the overlappingly bent separator through adhesive force.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closed by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 thereby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11 from being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separator 12,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In addition, deformation of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can be prevented.
  • the adhesive layer 13 may be formed while a binder is applied, or may be formed by plasma-treating both sides of the separator.
  • the binder uses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typ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type is any one of polyacrylate, polymethacrylate, polyburyl acrylate and polyacrylonitrile.
  •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are sequentially folded to overlap, and then adher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13,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ve strength of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It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by preventing the electrode from being pulled out,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y closing th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manufactured through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100 .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utomatically bends and adheres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as shown in FIGS. 2 and 3 .
  • it includes a gripper 110 , a binder injector 120 , and a pair of pressure blocks 130 .
  • the gripper 110 is for transporting the electrode assembly, grips the electrode assembly 10 disposed at a set position, and then transports it to the second position B through the first position A. At this time, the gripper 110 stops at the first position (A) or the second position (B) for a set time, and accordingly,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osition (A) by the gripper 110 , the electrode assembly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provided in (10). An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position B by the gripper 110 ,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bent and adhered.
  • the setting position is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the first position (A) is located below the setting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B) is located below the first position (A).
  • the binder sprayer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ransferred to the first position A, and sprays the binder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the adhesive layer 13 to form That is, the binder injector 120 forms the adhesive layer 13 on both sides (top and bottom)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
  • it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121 for detecting whether the electrode assembly 10 transferred to the first position (A) by the gripper 110 is disposed between the binder injectors 120, the detection sensor 121 I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not disposed between the binder sprayers 12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rough the gripper 110,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plac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binder sprayer 120. place it
  •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are for sequentially overlapping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o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and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osition (B), and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do.
  •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provided in the assembly 10 may be bent upward, and both sides of the bent separation membrane 12 may be pressed to overlap as they move in corresponding directions.
  • both sides of the overlappingly bent separator 12 are adhered by the adhesive layer 13 to increase bonding strength.
  •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have a set temperature, and accordingly,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can heat and press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which the separation membrane 12 is heated. Both sides can be effectively bent and bonded.
  • the coating layer 131 is form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so that the binder is not attached,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silicon (Si) or Teflon (Teflon) material. Accordingly, the inconvenience of cleaning the pressing surfaces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every time can be eliminated.
  •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132 for adjusting the position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pressure blocks, the control unit 132 is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A pair of pressure blocks are photographed from the top, and the center line O1 of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and the center line O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respectively measured in the captured image, and then a pair of pressure blocks ( 130) In contrast to the center line O1 and the center line O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position is adjusted by mov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through the gripper 110 by an error value.
  • the center line (O1) refers to a line equal to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ffectively bend and overlap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as a result, greatly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in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an adhesive layer by applying a binder to the side of the separator has been described as one embodiment, but the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separator through plasma treatment. can also be formed.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100 uses a plasma apparatus instead of a binder injector to plasma-treat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to form an adhesive layer, and thus A uniform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on both sides.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11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12 are alternately stacked ( 10) transferring to a first position (A), (b) forming an adhesive layer 13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at the first position (A) in the full width direction , (c)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provided in the second position (B); (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of the first position (A) is lowe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provided in the second position (B),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are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block Step of bending upward while in contact with 130, and (e) moving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both sides of the bent separator 12 overlap while and bonding by means of an adhesive layer (13).
  • step (a)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manufactured by alternatel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11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12, and the manufactured electrode assembly 10 is set. place in position
  • step (a) the electrode assembly 10 disposed at the set position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osition A using the gripper 110 .
  • step (b)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position A, using the binder injector 120 to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full width direction Spray the binder. Then, the adhesive layer 13 is formed while the binder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 That is, the adhesive layer 1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
  • the injection time of the binder injector 120 may be 2 to 5 seconds. That is, when the injection time is 2 seconds or less, the binder is not sufficiently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and when it is 5 seconds or more, a lot of the binder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and may flow out of the separator.
  • the gripper 110 lowers the electrode assembly 10 disposed at the set position, transfers it to the first position A, and lowers the electrode assembly 10 at the first position A again to the second position ( It is transferred to B),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of the second position (B) is lowered again and transferred to the finished position.
  • the binder uses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type, and in particular, the type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is any one of polyacrylate, polymethacrylate, polyburyl acrylate and polyacrylonitrile can be
  • step (b) installs a plasma device instead of a binder injector at the first position (A), and plasma-treats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t the first position using a plasma device (not shown).
  • An adhesive layer may also be formed. That is, by using the plasma apparatus,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the binder.
  • Step (c) moves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provided in the second position (B)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 is smaller than the full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parator 12 and larger than the full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electrode 11 . Accordingly,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can be bent by stably pressing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and since the side of the electrode 11 is not pressed,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11 can be prevented. .
  • step (c) further includes a step of forming the coating layer 131 so that the binder does not adhere to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that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
  • the coating layer 131 is formed up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essing block to which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and the pressing surface are connected.
  • the coating layer 131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pressure block 130, and thus, after using the pressure block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moving the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pressure block 130, a new coating layer 130 is applied. combin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reatly prevent the binder from being deposited o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
  • the coating layer 131 may be made of silicon (Si) or Teflon.
  • step (c)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heat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in contact with the pair of pressure blocks 130 as it has a set temperature, and thus the separation membrane 12 ) can be partially melted the coating layer 13 applied to both sides to increase the adhesion.
  • the set temperature may be 60°C to 90°C. That is, when the set temperature is 60° C. or less, the coating layer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cannot be melted, and when the set temperature is 90° C. or more,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can be contracted and deformed.
  • Step (d) is to bend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s shown in FIG. 8 , and use the gripper 110 to move the electrode assembly 10 at the first position (A) to the second position (B). It is lowered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a pair of pressing blocks 130 provided in the . The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are bent up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block 130 . That is,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is smaller than the length in the full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12 are bent upward while being caught on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above.
  • Step (e) includes a process for pressing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s shown in FIG. 10 , and moving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make it Then, both sides of the bent separator 12 overlap while being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overlapping separator 12 are adhered by the adhesive layer 13 .
  •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in step (e) stops in front of a set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11, and the set distance may be 1 mm to 5 mm.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2 can be bent as much as possible without deforming the electrode 11 .
  • step (e) before pressing both sides of the overlapping separator 12 , the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pressing blocks 130 . It further includes a process.
  • a pair of pressure blocks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are photographed from the top, and a center line equal to between the pair of pressure blocks in the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line of the electrode assembly are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n the pair of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djusted by an error value by contrasting the center line of the pressing block with the center line of the electrode assembly.
  • step (e) the gripper 110 lowers the electrode assembly at the second position (B) and transfers it to the finished position, thereby manufacturing a finished electrode assemb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으로서, (a)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 이송하는 단계; (b)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제2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 간격은 상기 분리막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작고 상기 전극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단계; (d)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를 제2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강하면,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가압블록에 접촉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단계; 및 (e)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절곡된 상기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겹쳐지면서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19년 12월 11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19-0164940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분리막의 측부의 접착력을 증대하고 접힘을 방지하는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한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에 결합되는 전극리드, 상기 전극리드의 선단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은 전극활물질이 코팅된 코팅부와 전극활물질이 없는 전극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탭은 전극조립체의 전장방향에 위치한 전극의 단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전장방향에 위치한 분리막을 접합하여 전극탭에 의한 전극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파우치에 수용된 전극조립체의 이동 또는 전해액 함침과정에서 전극과 분리막이 분리될 경우 전극이 분리막의 전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분리막의 전폭방향 측부가 파우치와 충돌하면서 접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폭방향에 위치한 분리막의 측부를 접착함으로써, 전극이 분리막 밖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분리막의 전폭방향 측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분리막 측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은 (a)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 이송하는 단계; (b)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제2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 간격은 상기 분리막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작고 상기 전극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단계; (d)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를 제2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강하면,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가압블록에 접촉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단계; 및 (e)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절곡된 상기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겹쳐지면서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와 상기 (d) 단계는 그리퍼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 이송하고,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를 제2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b)는 바인더 분사기를 통해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에 바인더를 분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종류를 사용하고,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종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b)는 플라즈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가압블록의 가압면에 바인더가 묻지 않도록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규소(Si) 또는 테프론(Teflon) 소재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은 설정 온도를 가짐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에 접촉되는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가열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설정 온도는 60℃~90℃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은 상기 전극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설정 거리 앞에서 정지하며, 상기 설정거리는 1mm~5mm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한 쌍의 가압블록의 중앙에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공정은 전극조립체가 삽입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부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 중심선과 전극조립체의 중심선을 각각 측정한 후, 한 쌍의 가압블록 중심선과 전극조립체의 중심선을 대비하여 오차값만큼 전극조립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하는 그리퍼; 상기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에 바인더를 분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분사기; 상기 제2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그리퍼에 의해 제2 위치에 전극조립체가 이송되면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겹치게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가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는 접착층에 의해 절곡된 상태로 접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블록의 가압면에는 바인더가 묻지 않도록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규소(Si) 또는 테프론(Teflon) 소재일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블록은 상호 대응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분리막 전폭방향 양쪽 측부는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되고,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된 복수개의 분리막 양쪽 측부는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은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전폭방향 측부를 절곡한 상태로 접착함으로써 분리막의 전폭방향 접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막의 측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극조립에 구비된 전극의 외부 인출을 방지하여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로, 도 5는 (a) 단계에서 전극조립체가 준비되는 도면이며, 도 6은 (b) 단계에서 전극조립체가 A위치로 이송된 도면이고, 도 7은 (c)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d)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e) 단계에서 위치 조절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e) 단계에서 가압공정을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전극(11)과 복수개의 분리막(12)이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전극(11)은 양극 및 음극일 수 있고, 상기 분리막(12)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쇼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극(11) 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즉 분리막(12)은 전극조립체의 전장방향 양쪽 단부(이하 분리막의 양쪽 단부라 함)와 전극조립체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이하, 분리막의 양쪽 측부라 함)는 전극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쇼트 발생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전극(11)으로부터 돌출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는 상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되며, 겹치게 절곡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는 접착층(13)에 의해 접착된다. 즉, 겹치게 절곡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 사이에는 접착층(13)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13)는 접착력을 통해 겹치게 절곡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일체로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양쪽 측부는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의해 마감됨에 따라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전극(11)이 분리막(12) 측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12) 양쪽 측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13)은 바인더가 도포되면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는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종류를 사용하고,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종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한 다음, 접착층(13)을 통해 접착함으로써,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의 접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전극의 외부 인출을 방지하여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전극조립체(10) 측부를 마감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100)를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에 구비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자동으로 절곡하고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그리퍼(110), 바인더 분사기(120), 한 쌍의 가압블록(130)을 포함한다.
그리퍼
그리퍼(110)는 전극조립체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 위치에 배치된 전극조립체(10)를 파지한 다음, 제1 위치(A)를 거쳐서 제2 위치(B)까지 이송한다. 이때 그리퍼(110)는 제1 위치(A) 또는 제2 위치(B)에서 설정시간 정지하며, 이에 따라 그리퍼(110)에 의해 제1 위치(A)에 전극조립체(10)가 이송되면 전극조립체(10)에 구비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접착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리퍼(110)에 의해 제2 위치(B)에 전극조립체(10)가 이송되면, 전극조립체(10)에 구비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절곡하여 접착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위치는 최상단에 위치하고, 제1 위치(A)는 상기 설정 위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위치(B)는 제1 위치(A)의 하부에 위치한다.
바인더 분사기
바인더 분사기(120)는 제1 위치(A)에 이송된 전극조립체(10)의 전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전극조립체(10)의 분리막(12) 양쪽 측부에 바인더를 분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한다. 즉, 바인더 분사기(120)는 분리막(12)의 측부 양면(상면과 하면)에 접착층(13)을 형성한다.
한편, 그리퍼(110)에 의해 제1 위치(A)에 이송된 전극조립체(10)가 바인더 분사기(120) 사이에 배치되었는지 감지하는 감지센서(1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121)는 전극조립체(10)가 바인더 분사기(120)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면, 그리퍼(110)를 통해 전극조립체(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극조립체(10)를 바인더 분사기(12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시킨다.
한 쌍의 가압블록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접착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 위치(B)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호 대응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제2 위치(B)에 분리막(12)의 전폭방향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그리퍼(110)에 의해 제2 위치(B)에 이송되는 전극조립체(10)에 구비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상부를 향하게 절곡할 수 있고,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절곡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겹치게 가압할 수 있다. 특히 겹치게 절곡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는 접착층(13)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설정된 온도를 가지며,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가열함과 동시에 가압할 수 있고, 그 결과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효과적으로 절곡하고 접착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가압블록(130)의 가압면에는 바인더가 묻지 않도록 코팅층(131)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규소(Si) 또는 테프론(Teflon) 소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130)의 가압면을 매회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가압블록(130)는 한 쌍의 가압블록의 중앙에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132)가 더 포함되며, 상기 조절부(132)는 전극조립체가 삽입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부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130) 중심선(O1)과 전극조립체(10)의 중심선(O2)을 각각 측정한 후, 한 쌍의 가압블록(130) 중심선(O1)과 전극조립체(10)의 중심선(O2)을 대비하여 오차값만큼 그리퍼(110)를 통해 전극조립체(10)를 이동시켜서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한 쌍의 가압블록(130) 중심선(O1)은 한 쌍의 가압블록(130) 사이를 균등하는 선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100)는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효과적으로 절곡하고 겹치게 접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분리막 전폭방향 접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전극조립체 측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100)은 분리막의 측부에 바인더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분리막의 측부에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100)은 바인더 분사기 대신 플라즈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분리막의 양쪽 측부에 균일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100)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a) 복수개의 전극(11)과 복수개의 분리막(12)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10)를 제1 위치(A)에 이송하는 단계, (b) 제1 위치(A)의 전극조립체(10)에 구비된 분리막(12)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에 접착층(13)을 형성하는 단계, (c) 제2 위치(B)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 (d) 제1 위치(A)의 전극조립체(10)를 제2 위치(B)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13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강시키면,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가압블록(130)에 접촉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단계, 및 (e) 한 쌍의 가압블록(130)을 상기 전극조립체(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절곡된 상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겹쳐지면서 접착층(13)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단계
(a) 단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전극(11)과 복수개의 분리막(12)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10)를 제조하고, 제조한 전극조립체(10)를 설정 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설정 위치에 배치된 전극조립체(10)를 그리퍼(110)를 이용하여 제1 위치(A)에 이송한다.
(b) 단계
(b) 단계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위치(A)에 전극조립체(10)가 이송되면, 바인더 분사기(120)를 이용하여 전극조립체(10)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를 향해 바인더를 분사한다. 그러면 바인더가 전극조립체(10)의 구비된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도포되면서 접착층(13)이 형성된다. 즉,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접착층(13)이 형성된다.
이때 바인더 분사기(120)의 분사시간은 2~5초일 수 있다. 즉, 분사시간이 2초 이하일 경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바인더가 충분히 도포되지 못하고, 5초 이상일 경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바인더가 많이 도포되면서 분리막 밖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한편, 그리퍼(110)는 설정위치에 배치된 전극조립체(10)를 하강시켜서 제1 위치(A)에 이송하고, 다시 제1 위치(A)의 전극조립체(10)를 하강시켜서 제2 위치(B)에 이송하며, 다시 제2 위치(B)의 전극조립체(10)를 하강시켜서 완료 위치에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는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종류를 사용하고, 특히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종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b) 단계는 제1 위치(A)에 바인더 분사기 대신 플라즈마장치를 설치하고, 플라즈마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위치의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플라즈마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바인더로 인한 2차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 단계
(c) 단계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위치(B)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130)을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한 쌍의 가압블록(130) 사이 간격은 상기 분리막(12)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작고 상기 전극(11)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절곡할 수 있고, 전극(11)의 측부는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전극(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c) 단계는 상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가압블록(130)의 가압면에 바인더가 묻지 않도록 코팅층(131)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131)은 한 쌍의 가압블록(130)의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이 연결되는 가압블록의 상하면까지 형성된다. 특히 코팅층(131)은 가압블록(13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가압블록(130)을 소정시간 사용 후 가압블록(130)에 형성된 코팅층(130)을 제거한 후 새 코팅층(130)을 결합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130)의 가압면에 바인더가 묻는 것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층(131)은 규소(Si) 또는 테프론(Teflon) 소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설정 온도를 가짐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130)에 접촉되는 분리막(12)의 양쪽 측부를 가열하며, 이에 따라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도포된 코팅층(13)을 일부 용융시켜서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는 60℃~90℃일 수 있다. 즉, 설정 온도가 60℃ 이하일 경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에 도포된 코팅층을 용융시킬 수 없고, 설정 온도가 90℃ 이상일 경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수축되면서 변형될 수 있다.
(d) 단계
(d) 단계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절곡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리퍼(110)를 이용하여 제1 위치(A)의 전극조립체(10)를 제2 위치(B)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13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강시킨다. 그러면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가압블록(130)에 접촉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한 쌍의 가압블록(130) 사이의 간격이 분리막(12)의 전폭방향 길이 보다 작기 때문에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한 쌍의 가압블록(130) 상부에 걸리면서 상방향으로 절곡된다.
(e) 단계
(e) 단계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 양쪽 측부를 가압하기 위한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 쌍의 가압블록(130)을 상기 전극조립체(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절곡된 상기 분리막(12)의 양쪽 측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겹치게 되고, 겹친 분리막(12) 양쪽 측부는 접착층(13)에 의해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130)은 상기 전극(11)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설정 거리 앞에서 정지하며, 상기 설정거리는 1mm~5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1)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분리막(12) 양쪽 측부를 최대한 절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e) 단계는 도 9를 참조하면, 겹친 분리막(12) 양쪽 측부를 가압하기 전에, 한 쌍의 가압블록(130)의 중앙에 전극조립체(10)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공정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조절공정은 전극조립체가 삽입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부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를 균등하는 중심선과 전극조립체의 중심선을 각각 측정한 후, 한 쌍의 가압블록 중심선과 전극조립체의 중심선을 대비하여 오차값만큼 전극조립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e) 단계가 완료되면 그리퍼(110)는 제2 위치(B)의 전극조립체를 하강시켜서 완료 위치에 이송하면, 완제품 전극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00: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10: 그리퍼
120: 바인더 분사기
130: 가압블록

Claims (15)

  1. (a)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 이송하는 단계;
    (b)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제2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 간격은 상기 분리막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작고 상기 전극의 전폭방향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단계;
    (d)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를 제2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강하면,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가압블록에 접촉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단계; 및
    (e)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절곡된 상기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겹쳐지면서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d) 단계는 그리퍼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 이송하고,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를 제2 위치로 하강시키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바인더 분사기를 통해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에 바인더를 분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종류를 사용하고,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종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 어느 하나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플라즈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분리막의 양쪽 측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가압블록 가압면에 바인더가 묻지 않도록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규소(Si) 또는 테프론(Teflon) 소재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은 설정 온도를 가짐에 따라 한 쌍의 가압블록에 접촉되는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가열하여 접착력을 높이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는 60℃~90℃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은 상기 전극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설정 거리 앞에서 정지하며,
    상기 설정거리는 1mm~5mm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한 쌍의 가압블록 중앙에 전극조립체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공정은 전극조립체가 삽입된 한 쌍의 가압블록을 상부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한 쌍의 가압블록 사이에 위치한 중심선과 전극조립체의 중심선을 각각 측정한 후, 한 쌍의 가압블록 중심선과 전극조립체의 중심선을 대비하여 오차값만큼 전극조립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12.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하는 그리퍼;
    상기 제1 위치의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전폭방향 양쪽 측부에 바인더를 분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분사기;
    상기 제2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그리퍼에 의해 제2 위치에 전극조립체가 이송되면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를 겹치게 상부방향으로 절곡시키는 한 쌍의 가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에 구비된 분리막의 양쪽 측부는 접착층에 의해 절곡된 상태로 접착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한 쌍의 가압블록의 가압면에는 바인더가 묻지 않도록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규소(Si) 또는 테프론(Teflon) 소재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한 쌍의 가압블록은 상호 대응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5. 복수개의 전극과 복수개의 분리막이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되는 전극조립체로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분리막 전폭방향 양쪽 측부는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되고,
    순차적으로 겹치게 절곡된 복수개의 분리막 양쪽 측부는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전극조립체.
PCT/KR2020/013887 2019-12-11 2020-10-12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2111803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99547.2A EP4030517A4 (en) 2019-12-11 2020-10-12 ELECTRODE ASSEMBL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17/769,901 US20220393225A1 (en) 2019-12-11 2020-10-12 Electrode Assembl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080069120.0A CN114503353A (zh) 2019-12-11 2020-10-12 电极组件及用于制造电极组件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40A KR20210074026A (ko) 2019-12-11 2019-12-11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19-0164940 2019-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033A1 true WO2021118033A1 (ko) 2021-06-17

Family

ID=7633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887 WO2021118033A1 (ko) 2019-12-11 2020-10-12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93225A1 (ko)
EP (1) EP4030517A4 (ko)
KR (1) KR20210074026A (ko)
CN (1) CN114503353A (ko)
WO (1) WO2021118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42A1 (ko) * 2021-11-16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58420B1 (ko) * 2021-11-23 2023-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531A (ja) * 1996-12-16 1998-06-26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KR20100070008A (ko) * 2008-12-17 2010-06-25 주식회사 효성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1086506A (ja) * 2009-10-15 2011-04-28 Komatsu Ntc Ltd 積層型電池製造装置
KR20150049458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180050133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5479C3 (de) * 1980-12-03 1994-11-24 Vb Autobatterie Gmbh Elektrischer Akkumula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272076B2 (ja) * 1993-01-29 2002-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渦巻状電極群の製造方法
KR20040042373A (ko) * 2002-11-14 2004-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100853619B1 (ko) * 2006-01-04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상단이 밀봉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JP4293247B2 (ja) * 2007-02-19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積層型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6038B1 (ko) * 2012-09-11 2014-06-13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래핑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386B1 (ko) * 2013-09-30 2016-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이프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고정방법
KR101746628B1 (ko) * 2013-11-15 2017-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의 노출이 억제된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2384B1 (ko) 2015-05-11 2018-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7109231B2 (ja) * 2018-03-30 2022-07-29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531A (ja) * 1996-12-16 1998-06-26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KR20100070008A (ko) * 2008-12-17 2010-06-25 주식회사 효성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1086506A (ja) * 2009-10-15 2011-04-28 Komatsu Ntc Ltd 積層型電池製造装置
KR20150049458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180050133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30517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3225A1 (en) 2022-12-08
CN114503353A (zh) 2022-05-13
EP4030517A4 (en) 2023-03-22
KR20210074026A (ko) 2021-06-21
EP4030517A1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8033A1 (ko)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9172575A1 (ko) 파우치 제조장치 및 방법,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1101058A1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방법
WO2018216859A1 (ko)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WO2019146947A1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19083174A1 (ko)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9190054A1 (ko)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22019599A1 (ko) 단위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9231096A1 (ko) 이차전지용 노칭장치 및 방법
WO2018236033A1 (ko) 이차전지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
WO2021107315A1 (ko)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133303A1 (ko) 안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바이셀 및 그 제조방법
WO2017126921A1 (ko) 박막형 전지
WO2019112196A1 (ko) 전극, 그의 제조방법,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1112481A1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를 포함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18212466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WO2021118197A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3121392A1 (ko) 전극탭 용접장치, 전극탭 용접방법 및 전극조립체
WO2017142206A1 (ko)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191910A2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21235724A1 (ko)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12902A1 (en)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3141431A1 (ko) 배터리 셀
WO2018009042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8143737A2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95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995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413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