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719A1 -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719A1
WO2021107719A1 PCT/KR2020/017187 KR2020017187W WO2021107719A1 WO 2021107719 A1 WO2021107719 A1 WO 2021107719A1 KR 2020017187 W KR2020017187 W KR 2020017187W WO 2021107719 A1 WO2021107719 A1 WO 20211077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radix
hypertension
sanyak
maekmund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1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호빈
이두석
이원우
손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Priority to US17/779,68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401503A1/en
Publication of WO20211077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7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8Ophiopogon (Lilytur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by the project number HI16C0275 under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 the research 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project is the Korea Health Industry Promotion Agency, and the research project name is "Oriental Medicine Standard Clinical Treatment Guideline Development Project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echnology public resourceization project industrialization stage) Research)”, the research project name is “Saengmaeksan Gagambang Research for Development of Herbal Medicines for Treatment of Menopause Syndrome”, the lead institution is “Helixsmith Co., Ltd.”, and the research period is 2019.05.28-2019.11.30.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tension,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as active ingredients.
  • Blood pressure is the pressure of blood against the walls of arteries.
  • the pressure is the highest, and the blood pressure at this time is calle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blood pressure when the heart is stretched to receive blood is the lowest, and the blood pressure at this time is calle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 This increase in blood pressure for various reasons is called 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is known as the biggest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diseases in the world, and it is estimated that about 30%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has hypertension.
  • Hypertension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stroke. Based on a blood pressure of less than 130/85 mmHg, the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is 2.51 times higher with a blood pressure of 130-140/85-90 mmHg, and a blood pressure of 180/110 mmHg or higher. Hypertension was 5.08 times higher risk. As a result of most hypertension clinical studies, lowering systolic blood pressure by 10-20 mmHg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y 5-10 mmHg reduces stroke by 30-40% and ischemic heart disease by 15-20%. Therefore, hypertension has a very high risk of not only hypertension itself but also the occurrence of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Hypertension is classified into essential hypertension of unknown cause and secondary hypertension caused by a causal disease, and it is known that more than 80% of hypertension belongs to essential hypertensio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composition derived from a natural substance that can prevent, treat or improve hypertens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finding out that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n and omija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hypertens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tension comprising a complex herbal extra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hypertension comprising a complex herbal extra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hypertens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a subjec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substance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having an excellent effe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n and omija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lgeun (Puerariae Radix), gilgyeong (Platycodonis Radix), maekmundong (Liriopis Tuber), sanyak (Dioscoreae Rhizoma), uiiin (Coicis Semen) and omija (Schisandrae) as active ingredients Fructus) a complex extract of 5 or more kinds of herbal medicin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b)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y one of the following:
  • 'Puerariae Radix' is the root of Pueraria lobata Ohwi or Pueraria thomsonii Benth, which are perennial mangyeong plants belonging to Leguminosae, as it is, or the bark is removed.
  • 'gilgyeong (Platycodonis Radix)' is the root of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a plant of the Campanulaceae, as it is or from which the epidermis has been removed.
  • 'Maekmundong (Liriopis Tuber)' refers to the ampulla of the roots of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Liriope spicata (Thunb.) Lour) or 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 (Liliaceae). ( ⁇ ).
  • 'Dioscoreae Rhizoma' refers to a rhizome from which the bark of hemp (Dioscorea batatas Decaisne) or yam (Dioscorea japonica Thunberg), sulfuric acid (Dioscorea panthaica Prain et Burk) and a closely related plant (Dioscoreaceae) has been removed, It is dried or steamed.
  • 'Coicis Semen' is a ripe seed of Coix lacryma-jobi var. ma-yuen (Rom. Caill.) Stapf (Gramineae).
  • 'Schisandrae Fructus' refers to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Schisandra sphenanthera Rehd. et Wils (Schisandracea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s an active ingredient, five or more complex herbal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 the extract of the herbal medici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rchased or obtained directly from the herbal medicine.
  •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fter each herbal medicine is cut or pulverized to an appropriate size.
  • the complex herb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 prepared through a single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a mixture of five or more kinds of herbal medicines with an extraction solvent, or (ii) a method of mixing the extracts of each component after preparing the extracts of each single component can be manufactured with
  • various extraction solvents such as a polar solvent or a non-polar solvent may be used.
  • Suitable as polar solvents are (i) water, (ii) C1-C6 lower alcohols (specifically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1-pentanol, 2 -butoxyethanol or ethylene glycol), (iii) acetic acid, (iv) DMFO (dimethyl-formamide) and (v) DMSO (dimethylsulfoxide).
  • Suitable nonpolar solvents are acetone, acetonitrile,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fluoroalkane, pentane, hexane, 2,2,4-trimethylpentane, decane, cyclohexane, cyclopentane, diisobutylene, 1- Pentene, 1-chlorobutane, 1-chloropentane, o-xylene, diisopropyl ether, 2-chloropropane, toluene, 1-chloropropane, chlorobenzene, benzene, diethyl ether, diethyl sulfide, chloroform, dichloro methane, 1,2-dichloroethane, aniline, diethylamine, ether, carbon tetrachloride and tetrahydrofuran (THF).
  • acetone acetonitrile
  • ethyl acetate methyl a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 organic solvent extract.
  • polar organic solvent' refers to (a) water, (b)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having 1-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ormal-propanol, iso-propanol and normal-butanol). etc.), (c) acetic acid, or mixtures of the above polar organic solvents.
  • the polar organic sol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ater, anhydrous or hydrated lower alcohol having 1-4 carbon atoms, acetic aci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above components.
  • the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4 carbon ato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normal-propanol, iso-propanol and normal-butanol More than that.
  • the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solvent is 1 to 100% (v / v), specifically 10 to 100% (v / v), 20 to 100% (v / v), 30 to 100% (v / v)), 40-100% (v/v), 50-100% (v/v), 60-100% (v/v), 70-100% (v/v), 80-100% (v/v) days and more specifically 25% (v/v), 30% (v/v), 40% (v/v), 50% (v/v), 60% (v/v), 70% ( v/v), 75% (v/v), 80% (v/v), or 90% (v/v),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for extrac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herbal ingredients used. Specifically, for example, it may be 1 to 20 times the volume of the weight of the crude drug used for preparing the extract, more specifically 2 to 20 times the volume, 5 to 15 times the volume, 7 to 12 times the volume. However, or may be 10 times the volu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C to 120°C, specifically 15°C to 95°C.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80° C. or higher, and when the extraction solvent is a lower alcohol having 1-4 carbon atoms, it is preferably 15° C. to 30° C.
  • the extraction time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 hour to 10 days, 1 hour to 120 hours, specifically, 1 hour to 72 hours, 1 hour to 48 hours, 1 hour to 36 hours , 1 hour to 24 hours, 1 hour to 12 hours, 1 hour to 10 hours, 1 hour to 6 hours, 6 hours to 120 hours, 6 hours to 72 hours, 6 hours to 48 hours, 6 hours to 36 hours, 6 Hours to 24 hours, 6 hours to 12 hours, 36 hours to 120 hours, 48 hours to 120 hours, 72 hours to 120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cold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or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or cold-chim extraction method using lower alcohol, and can be extracted once to 10 times.
  • extracts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crude extract extracted with a solvent, and may be purified and used with high purity.
  • extracts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include not only those obtained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ose obtain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purification process here.
  • the fraction obtain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is also included 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ve or more complex herbal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the active ingredients, galgeun,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compounding weight ratio is 1-10:1-10:1-10:1-10:1- 10:1-10, 1-5:1-5:1-5:1-5:1-5, 1-3:1-3:1-3:1-3:1-3: 1-3, or 1-2:1-2:1-2:1-2:1-2:1-2, more specifically 2:1-10:1-10:1-10: 1-10:1-10, 1-10:2:1-10:1-10:1-10, 1-10:1-10:2:1-10:1-10:1- 10, 2:2:1-10:1-10:1-10, 2:1-10:2:1-10:1-10, 1-10:2:2: 1-10:1-10:1-10, 2:1-5:1-5:1-5:1-5, 1-5:2:1-5:1-5:1- 5:1-5, 1-5:
  • the weight ratio is applied identically except for the weight ratio corresponding to the excluded component.
  • the weight ratio of gilgyeong, maekmundong, sanyak, uiiin, and omija is 2:2:1:1:1.
  • the term 'mixed weight ratio (w/w)'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the weight ratio of each component before the extraction process.
  •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through a single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a mixture of ginseng root and gilgyeo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the weight ratio of each herbal medicine contained in the mixture is indicated.
  •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mixing the extracts of each component after preparing each herbal extract of a single component, the weight ratio between the 'single component basis weight'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s shown:
  • Single component basis weight weight of single component used to prepare single extract ⁇ (weight of single extract used to prepare final complex extract/weight of single extract prepar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term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onset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herb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rm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symptoms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are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herb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lex extract.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above-described complex extrac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gum,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syrup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ag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Remign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 a suitabl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ly prescribed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of the patient.
  • can be A typical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0.001-1000 mg/kg for adults.
  • the dose in the human body can be converted based on animal experimen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ng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syrup, or emulsion in oil or an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dispersant or stabilizer.
  • the hypertension is essential hypertension or secondary hypertension.
  • the hypertension-related disease is menopausal hypertension (postmenopausal hypertension),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stroke, dementia, Erectile dysfunction, coronary artery disease, renal failure, myocardial infarction, arrhythmia, vascular aneurysm, heart failure, hypertensive retinopathy, aortic dissection, angina pectoris, gestational hypertension,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Complex extracts of 5 or more selected herbal medicines from L-NAME-induced hypertensive mouse model showed blood pressure increase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induction group) and galgeun (Puerariae Radix), Gilkyung (Platycodonis Radix), Paekmundong (Liriopis Tuber), Dioscoreae Rhizoma), Euiin (Coicis Semen) and Schisandrae Fructu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ingle extract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and the treatment and improvement efficacy of hypertension was confirmed.
  • the effect of the complex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erariae Radix, Gilkyung (Platycodonis Radix), Maekmundong (Liriopis Tuber), Sanyak (Dioscoreae Rhizoma), Euiin (Coicis Semen) and Schisandrae Fructus is the , shows a synergistic effect for each index compared to individual extracts of Gilkyung.
  • the present invention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erariae Radix, Gilkyung (Platycodonis Radix), Maekmundong (Liriopis Tuber), Sanyak (Dioscoreae Rhizoma), Euiin (Coicis Semen) and Schisandrae Fructus. I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five or more selected herbal medicin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lex extract comprises any one of the following:
  • the term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 of reducing the degree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herb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a food composition, it includes ingredient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eparation,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 agents.
  • the above-mentioned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for example,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flavoring agents natural flavoring agents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can be used.
  • citric acid, high fructose,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fruit juice, etc.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lex extract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it i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overlapping cont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bove-described galgeun (Puerariae Radix), gilgyeong (Platycodonis Radix), maekmundong (Liriopis Tuber), sanyak (Dioscoreae Rhizoma), uiiin (Coicis Semen) and omija (Schisandrae Fructus)
  • galgeun Puerariae Radix
  • gilgyeong Plateycodonis Radix
  • maekmundong Liriopis Tuber
  • sanyak Dioscoreae Rhizoma
  • uiiin Coicis Semen
  • omija Schomandrae Fructus
  •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 which is a target disease of the treatment method or improv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fined in relation to the target disea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 administering means that the same amount in the body of a subject is achieved by directly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or ameliorating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individual) suffering from the subject disease. means to be formed.
  • the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means an amount of the composition sufficient to provide a therapeutic or prophylactic effect to a subject to which the composition is administered, and includes a “prophylac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term "subject” is a mammal, including humans, mice, rats, guinea pigs, dogs, cats, horses, cattle, pigs, monkeys, chimpanzees, baboons, rhesus monkeys, and the like. Most specifically,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uman.
  • the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content is excessi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comprising a complex herbal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comprising a complex herbal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or hypertension-related diseases, comprising a complex herbal extract.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hypertension-reducing effect of a single herbal extract and a complex herb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use model for inducing hypertens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hypertension-reducing effect of a single herbal extract and a complex herba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use model for inducing hypertens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hypertension-reducing effect of a complex herbal extract excluding one herbal medic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use model for inducing hypertens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hypertension-reducing effect of a complex herbal extract excluding one herbal medic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use model for inducing hypertens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VPR volume pressure recording
  • Hypertension was induced by dissolving 1 mg/mL of L-NAME in negative water to 8-week-old female ICR mice and giving it for 1 week, and during the same period, a complex extract (Preparation Example 1-1) and an extract without one herbal medicine (Comparative Example) 2-1, 2-2, 2-3, 2-4, 2-5, 2-6) were orally administered daily at a dose of 200 mg/kg. Distilled water was administered to the normal group and the negative control group (induced group).
  • the blood pressure increase inhibition rate (blood pressure incre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ingle herbal extracts and the 5 and 6 compound herbal extracts of Tables 4 and 5 above was based on the inhibition rate of the increase in blood pressure of the 6 types of compound herbal extracts of Preparation Example 1-1 ( 100%).
  • the most active one was the extract, and among the five and six complex herbal extracts in Table 5, all except the complex herbal extract (Comparative Example 2-3) except for Sanyak.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had a higher activity (35.7%) than that of the six kinds of complex herbal extracts of the ex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의 지원 하에서 과제번호 HI16C0275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과제의 연구관리 전문기관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사업명은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한의약치료기술 공공자원화 사업 산업화단계 연구)”, 연구과제명은 “폐경기증후군 치료 한약제제 개발을 위한 생맥산가감방 연구”, 주관기관은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연구기간은 2019.05.28-2019.11.30 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9년 11월 29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9-015765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압이란 동맥 혈관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이다.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의 압력이 가장 높은데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 하고,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혈압이 가장 낮은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이러한 혈압이 여러 가지 이유로 높아진 것을 고혈압이라고 하며 고혈압은 세계 질병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 110-115 mmHg, 이완기 혈압 70-75 mmHg 범위를 최하점으로 하여 상승할수록 심혈관질환, 만성신장병, 망막증의 발생위험과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혈압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사망률은 115/75 mmHg 에서 수축기혈압이 20 mmHg, 확장기혈압이 10 mmHg씩 증가함에 따라 2배씩 계속 증가한다. 국내 자료로서 남성 공무원과 사립학교 교직원을 6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 (Korean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KMIC)에 따르면, 140/90 mmHg 이상인 고혈압 환자는 130/85 mmHg 미만의 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2.6배 높다. 고혈압은 뇌졸중에 대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130/85 mmHg 미만의 혈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는 130~140/85~90 mmHg의 혈압은 위험도가 2.51배 높고 180/110 mmHg 이상의 고혈압은 위험도가 5.08배 높았다. 대부분의 고혈압 임상연구 결과 수축기혈압을 10~20 mmHg 정도, 확장기혈압을 5~10 mmHg 정도 낮추면 뇌졸중은 30~40%, 허혈성 심질환은 15~20% 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고혈압은 고혈압 자체뿐만 아니라 고혈압 관련 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고혈압의 종류는 원인이 불분명한 본태성 고혈압과 원인질병에 의한 속발성 고혈압으로 나뉘며 80% 이상이 본태성 고혈압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현재 많은 항고혈압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작용기전과 작용점에 따라 이뇨제, 교감신경계 작용약물(α2-아드레날린성 길항제, β-아드레날린성 길항제), 혈관확장제, 칼슘 채널 길항제(calcium channel blockers),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제 등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천연물질에서 추출된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고혈압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은 시판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고혈압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질 유래의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고혈압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치료 또는 개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혈압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탁월한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고혈압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유효성분으로서의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생약의 복합추출물;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복합 추출물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a)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b) 갈근(Puerariae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c)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및
(d)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본 발명에서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만경식물인 칡(Pueraria lobata Ohwi) 또는 감갈등(Pueraria thomsonii Benth)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길경(Platycodonis Radix)'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식물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맥문동(Liriopis Tuber)'은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개맥문동(Liriope spicata (Thunb.) Lour) 또는 소앱맥문동 (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의 팽대부(膨大部)이다.
본 발명에서 '산약(Dioscoreae Rhizoma)'은 마 (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erg), 황산약 (Dioscorea panthaica Prain et Burk) 및 동속근연 식물 (마과 Dioscoreaceae)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이인(Coicis Semen)'은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Rom.Caill.) Stapf) (벼과 Gramineae)의 잘 익은 씨이다.
본 발명에서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는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Schisandra sphenanthera Rehd. et Wils(오미자과 Schisand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생약의 추출물은 구입하거나 또는 생약으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각각의 생약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한 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i) 5종 이상의 생약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단일 추출공정을 통해 제조되거나, (ii) 각 단일 성분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각 성분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상기 추출물을 각 생약으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얻는 경우에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와 같은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Tetrahydrofura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극성 유기 용매 추출물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극성 유기 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아세트산, 또는 상기 극성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극성 유기 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 또는 상술한 성분들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성분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유기용매의 농도는 1 내지 100%(v/v),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00%(v/v), 20 내지 100%(v/v), 30 내지 100%(v/v)), 40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5%(v/v), 30%(v/v), 40%(v/v), 50%(v/v), 60%(v/v), 70%(v/v), 75%(v/v), 80%(v/v), 또는 90%(v/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사용되는 생약 성분들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추출물 제조에 이용되는 생약의 중량의 1배 내지 20배의 부피, 더욱 구체적으로 2배 내지 20배의 부피, 5배 내지 15배의 부피, 7배 내지 12배 부피일 수 있으나, 또는 10배의 부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예를 들어 0℃내지 12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내지 9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용매가 물인 경우 추출온도는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용매가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인 경우에는 15℃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10일, 1시간 내지 120시간일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시간 내지 72시간, 1시간 내지 48시간, 1시간 내지 36시간, 1시간 내지 24시간, 1시간 내지 12시간, 1시간 내지 10시간, 1시간 내지 6시간, 6시간 내지 120시간, 6시간 내지 72시간, 6시간 내지 48시간, 6시간 내지 36시간, 6시간 내지 24시간, 6시간 내지 12시간, 36시간 내지 120시간, 48시간 내지 120시간, 72시간 내지 120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추출물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열수 추출 또는 저급 알코올을 이용한 냉침 추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의 추출물은 용매에 의해 추출된 조(crude)추출물 형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고순도로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5종 이상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의 배합 중량비(w/w)는 1-10:1-10:1-10:1-10:1-10:1-10, 1-5:1-5:1-5:1-5:1-5:1-5, 1-3:1-3:1-3:1-3:1-3:1-3, 또는 1-2:1-2:1-2:1-2:1-2:1-2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1-10:1-10:1-10:1-10:1-10, 1-10:2:1-10:1-10:1-10:1-10, 1-10:1-10:2:1-10:1-10:1-10, 2:2:1-10:1-10:1-10:1-10, 2:1-10:2:1-10:1-10:1-10, 1-10:2:2:1-10:1-10:1-10, 2:1-5:1-5:1-5:1-5:1-5, 1-5:2:1-5:1-5:1-5:1-5, 1-5:1-5:2:1-5:1-5:1-5, 2:2:1-5:1-5:1-5:1-5, 2:1-5:2:1-5:1-5:1-5, 1-5:2:2:1-5:1-5:1-5, 2:1-3:1-3:1-3:1-3:1-3, 1-3:2:1-3:1-3:1-3:1-3, 1-3:1-3:2:1-3:1-3:1-3, 2:2:1-3:1-3:1-3:1-3, 2:1-3:2:1-3:1-3:1-3, 1-3:2:2:1-3:1-3:1-3, 2:1-2:1-2:1-2:1-2:1-2, 1-2:2:1-2:1-2:1-2:1-2, 1-2:1-2:2:1-2:1-2:1-2, 2:2:1-2:1-2:1-2:1-2, 2:1-2:2:1-2:1-2:1-2, 1-2:2:2:1-2:1-2:1-2, 1-10:1-10:1-10:1:1:1, 1-5:1-5:1-5:1:1:1, 1-3:1-3:1-3:1:1:1, 1-2:1-2:1-2:1:1:1, 2:1-5:1-5:1:1:1, 1-5:2:1-5:1:1:1, 1-5:1-5:2:1:1:1, 2:1-3:1-3:1:1:1, 1-3:2:1-3:1:1:1, 1-3:1-3:2:1:1:1, 2:2:1-3:1:1:1, 1-3:2:2:1:1:1, 2:1-3:2:1:1:1 일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2:2:2:1:1:1 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합 중량비는 복합 생약 추출물에서 제외된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제외된 성분에 해당하는 중량비만 제외하고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가장 구체적인 예 2:2:2:1:1:1에서 갈근이 제외된 경우에는,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및 오미자의 배합중량비는 2:2:1:1:1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배합 중량비(w/w)'는 추출 공정을 거치기 전 각각의 성분들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갈근 및 길경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단일 추출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경우,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각 생약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단일 성분의 생약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각 성분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다음 계산식에 의해 계산되는 '단일 성분 기준 중량'들 간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계산식]
단일 성분 기준 중량 = 단일 추출물 제조에 이용된 단일 성분의 중량 Х (최종 복합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일 추출물의 중량/제조한 단일 추출물의 중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발병을 저해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복합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시럽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gn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설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0 mg/kg 범위 내이다. 또한 인체 내 투여량은 동물실험을 근거로 환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 또는 속발성 고혈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고혈압 관련 질환 (또는 혈압 장애 관련 질환)은 폐경기성 고혈압 (폐경기 여성에서의 혈압 장애, Postmenopausal hypertension),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뇌졸중, 치매, 발기부전, 관상동맥질환, 신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혈관 동맥류, 심부전, 고혈압성 망막증, 대동맥박리증, 협심증, 임신성 고혈압 등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생약의 복합추출물은 L-NAME으로 유도한 고혈압 마우스 모델에서 혈압증가량을 음성대조군(유도군) 및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 각각의 단일 추출물 처리군에 비하여 크게 감소시켜 고혈압의 치료 및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 중에서 한 가지 성분을 제외한 5종 복합 생약 추출물 또한 L-NAME으로 유도한 고혈압 마우스 모델에서 혈압증가량을 음성대조군(유도군) 및 각각의 단일 추출물 처리군에 비하여 크게 감소시켜 고혈압의 치료 및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다.
상기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복합추출물의 효과는 갈근, 길경의 개별추출물과 비교하여 각 지표에 대해 상승적 효과(synergistic)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생약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a)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및 의이인(Coicis Semen)의 복합추출물;
(b)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c)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d) 갈근(Puerariae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e)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및
(f)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복합 추출물을 그대로 이용가능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생약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을 대상체(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 또는 개선방법의 대상 질병인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의 대상 질병과 관련하여 정의한 것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 또는 "투여하다"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 또는 개선적 유효량을 상기 대상 질환을 겪는 대상체(개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의 체내에서 동일한 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조성물을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조성물의 함량을 의미하며, 이에 "예방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인간, 마우스, 랫트, 기니아 피그,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원숭이, 침팬지, 비비 및 붉은털 원숭이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이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과도한 중복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 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 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d)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고혈압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단일 생약 추출물과, 복합 생약 추출물의 고혈압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고혈압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1종의 생약을 제외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고혈압 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에탄올 수용액 추출을 통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세척 및 건조된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를 2:2:2:1:1:1의 중량비(w/w)로 혼합한 뒤 혼합물 중량(kg)의 10배의 70% 에탄올 수용액(L)을 가해 2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잘 교반시키며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하여 이를 45-50℃에서 감압농축한 뒤, 동결 건조시켜서 복합 생약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고, 이들의 수율은 표 1와 같다.
구분 생약의 종류 수율(%)
제조예1-1 갈근·길경·맥문동·산약·의이인·오미자 (2:2:2:1:1:1) 19.08
비교예 1: 단일 생약 추출물의 제조
세척 및 건조된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를 각 생약 중량의 10배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2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잘 교반시키며 추출하였다. 각 생약 추출물을 여과하여 이를 45-50℃에서 감압농축한 뒤, 동결 건조시켜서 총 6가지 단일 생약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고, 이들의 수율은 표 2와 같다.
구분 생약의 종류 수율(%)
비교예1-1 갈근 18.80
비교예1-2 길경 18.85
비교예1-3 맥문동 26.49
비교예1-4 산약 12.37
비교예1-5 의이인 2.36
비교예1-6 오미자 32.90
비교예 2: 복합 생약에서 1개의 생약을 제외한 추출물의 제조
세척 및 건조된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중 5가지 생약을 포함하는 혼합물들을 표 3에 기재된 중량비(w/w)로 혼합하고, 혼합물 중량(kg)의 10배의 70% 에탄올 수용액(L)을 가하여 2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잘 교반시키며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하여 이를 45-50℃에서 감압농축한 뒤, 동결 건조시켜서 총 6가지 복합 생약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고, 이들의 수율은 표 3과 같다.
구분 갈근 길경 맥문동 산약 의이인 오미자 수율(%)
비교예2-1 2 2 2 1 1 - 19.54
비교예2-2 2 2 2 1 - 1 23.33
비교예2-3 2 2 2 - 1 1 23.22
비교예2-4 2 2 - 1 1 1 19.98
비교예2-5 2 - 2 1 1 1 22.16
비교예2-6 - 2 2 1 1 1 20.93
실험예 1: L-NAME으로 유도한 생쥐의 고혈압에 대한 복합 추출물과 단일 생약 추출물의 혈압 증가 억제 효능 비교
복합 추출물과 단일 생약 추출물의 혈압 증가 억제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 저해제인 L-NAME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을 이용하여 생쥐에게서 고혈압을 유도한 뒤, 꼬리의 혈압을 측정하였다.
8주령의 암컷 ICR 생쥐에 1 mg/mL 농도의 L-NAME을 음수에 녹여서 1주일 간 제공하여 고혈압을 유도하였으며, 동 기간에 복합 추출물(제조예 1-1)과 단일 추출물(비교예 1-1, 1-2, 1-3, 1-4, 1-5, 1-6)을 200 mg/kg 의 용량으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군과 음성대조군(유도군)의 경우는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투여가 완료된 생쥐(군당 n=6-7 마리)에게서 마취하지 않은 상태로 꼬리 부분의 수축기 혈압 (systolic blood pressure; SBP)을 측정하기 위하여 CODA High Throughput Noninvasive Blood Pressure system (CODA, Kent Scientific Co., USA)을 사용하였다. 생쥐의 꼬리에 tail cuff를 위치시키고, VPR(Volume Pressure Recording) 센서를 장착하여 30~40분 간 안정화 시킨 뒤, 15~20회 반복 측정한 결과들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L-NAME 시험물질 SBP(mmHg) 정상군 대비 혈압 증가값 혈압 증가율 (%) 복합생약추출물 대비 활성 (%)
정상군 X 증류수 121.0 ± 4.1 - -  -
음성대조군(유도군) O 증류수 164.7 ± 3.8 43.7 100 -
복합 생약 추출물(제조예 1-1) O 제조예1-1 128.5 ± 6.2 7.5 17.0 100
갈근추출물(비교예 1-1) O 비교예1-1 151.8 ± 4.5 30.8 70.4 35.7
길경추출물(비교예 1-2) O 비교예1-2 164.8 ± 4.8 43.8 100.2 -0.3
맥문동추출물(비교예 1-3) O 비교예1-3 153.7 ± 6.0 32.7 74.8 30.3
산약추출물(비교예 1-4) O 비교예1-4 163.0 ± 5.7 42.0 96.0 4.9
의이인추출물(비교예 1-5) O 비교예1-5 165.9 ± 4.6 44.9 102.6 -3.2
오미자추출물(비교예 1-6) O 비교예1-6 163.0 ± 2.6 42.0 96.0 4.9
1 mg/mL 농도의 L-NAME을 일주일간 음수를 통해 투여할 경우, 표 4에서와 같이 수축기혈압이 정상군 대비 43.7 mmHg 증가하였다. 200 mg/kg 용량의 복합 추출물 또는 단일 추출물을 복용한 군의 경우, 복합 생약 추출물 (제조예1-1)은 83%의 혈압 증가 억제율을 나타낸 것에 반하여 갈근추출물 (비교예1-1)은 29.6%, 맥문동추출물 (비교예1-3)은 25.2%, 산약추출물 (비교예1-4)과 오미자추출물 (비교예1-6)은 4% 억제에 그치고, 길경추출물 (비교예1-2)과 의이인추출물 (비교예1-5)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제조예 1-1의 6종 복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L-NAME으로 유도한 생쥐의 고혈압에 대한 복합 추출물과 1개 생약 제외 추출물의 혈압 증가 억제 효능 비교
8주령의 암컷 ICR 생쥐에 1 mg/mL 농도의 L-NAME을 음수에 녹여서 1주일 간 제공하여 고혈압을 유도하였으며, 동기간에 복합 추출물(제조예 1-1)과 1개 생약 제외 추출물(비교예 2-1, 2-2, 2-3, 2-4, 2-5, 2-6)을 200 mg/kg 의 용량으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군과 음성대조군(유도군)의 경우는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투여가 완료된 생쥐(n=6-7)에게서 마취하지 않은 상태로 꼬리 부분의 수축기 혈압 (systolic blood pressure; SBP)을 측정하기 위하여 CODA High Throughput Noninvasive Blood Pressure system (CODA, Kent Scientific Co., USA)를 사용하였다. 생쥐의 꼬리에 tail cuff를 위치시키고, VPR(Volume Pressure Recording) 센서를 장착하여 30~40분 간 안정화 시킨 뒤, 15~20회 반복 측정한 결과들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L-NAME 시험물질 SBP(mmHg) 정상군 대비 혈압 증가값 혈압 증가율 (%) 복합생약추출물 대비 활성 (%)
정상군 X 증류수 113.7 ± 4.1 - -  -
음성대조군(유도군) O 증류수 183.4 ± 6.6 69.7 100.0 -
복합 생약 추출물(제조예 1-1) O 제조예1-1 137.0 ± 6.3 23.3 33.4 100
오미자 제외(비교예 2-1) O 비교예2-1 164.3 ± 10.8 50.6 72.6 41.1
의이인 제외(비교예 2-2) O 비교예2-2 162.4 ± 5.2 48.7 69.8 45.3
산약 제외(비교예 2-3) O 비교예2-3 174.8 ± 9.1 61.1 87.6 18.7
맥문동 제외(비교예 2-4) O 비교예2-4 150.5 ± 7.8 36.8 52.7 71.0
길경 제외(비교예 2-5) O 비교예2-5 150.2 ± 6.3 36.5 52.3 71.7
갈근 제외(비교예 2-6) O 비교예2-6 150.8 ± 4.7 37.1 53.2 70.3
상기 표 5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mg/mL 농도의 L-NAME을 일주일간 음수를 통해 투여할 경우, 표 5에서와 같이 수축기혈압이 정상군 대비 69.7 mmHg 증가하였다. 200 mg/kg 농도의 복합 추출물 또는 1개 생약 제외 추출물을 복용한 군의 경우, 복합 생약 추출물(제조예1-1)은 66.6%의 혈압 증가 억제율을 나타냈고, 오미자 제외 추출물(비교예2-1)은 27.4%, 의이인 제외 추출물(비교예2-2)은 30.2%, 맥문동 제외 추출물(비교예2-4)은 47.3%, 길경 제외 추출물(비교예2-5)은 47.7%, 갈근 제외 추출물(비교예2-6)은 46.8% 억제를 나타내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산약 제외 추출물(비교예2-3)은 12.4% 억제에 그쳤다.
또한, 상기 표 4 및 표 5의 단일 생약 추출물 및 5종 및 6종 복합생약추출물의 혈압 증가 억제율(혈압 증가 억제 활성)을 제조예 1-1의 6종 복합 생약 추출물의 혈압 증가 억제율을 기준(100%)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4의 단일 생약 추출물 중에서 가장 활성이 높은 것은 갈근 추출물이었으며, 표 5의 5종 및 6종 복합생약추출물 중에서는 산약을 제외한 복합생약추출물(비교예 2-3)을 제외하고는 모두 상기 갈근 추출물의 6종 복합생약추출물 대비 활성(35.7%)보다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약을 제외한 5종 복합생약추출물(비교예 2-1, 2-2, 2-4 내지 2-6) 및 6종 복합생약추출물(제조예 1-1)은 단일 생약 추출물보다 우수한 시너지 효과가 인정되며, 특히 6종 복합생약추출물의 혈압 증가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a) 유효성분으로서의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생약의 복합추출물;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a)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및 의이인(Coicis Semen)의 복합추출물;
    (b)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c)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d) 갈근(Puerariae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e)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및
    (f)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의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배합중량비는 2:2:2:1:1:1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극성 유기 용매 추출물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 또는 속발성 고혈압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 관련 질환은 폐경기성 고혈압(Postmenopausal hypertension),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뇌졸중, 치매, 발기부전, 관상동맥질환, 신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혈관 동맥류, 심부전, 고혈압성 망막증, 대동맥 박리증, 협심증, 및 임신성 고혈압인, 약제학적 조성물.
  8.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5종 이상 선택된 생약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a)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및 의이인(Coicis Semen)의 복합추출물;
    (b)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c)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d) 갈근(Puerariae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e)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및
    (f) 갈근(Puerariae Radix), 길경(Platycodonis Radix), 맥문동(Liriopis Tuber), 산약(Dioscoreae Rhizoma), 의이인(Coicis Semen) 및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의 복합추출물.
PCT/KR2020/017187 2019-11-29 2020-11-27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0771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79,680 US20220401503A1 (en) 2019-11-29 2020-11-27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te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657 2019-11-29
KR1020190157657A KR20210068244A (ko) 2019-11-29 2019-11-29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719A1 true WO2021107719A1 (ko) 2021-06-03

Family

ID=7612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187 WO2021107719A1 (ko) 2019-11-29 2020-11-27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01503A1 (ko)
KR (1) KR20210068244A (ko)
WO (1) WO202110771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37A (ko) * 1994-06-13 1996-01-25 한동근 고혈압 개선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040023196A (ko) * 2002-09-11 2004-03-18 백일성 진피, 적복령, 당귀, 조구등, 석창포, 창출, 백지,산조인, 숙지황, 산수유 및 원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치매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50121815A (ko) * 2004-06-23 2005-12-28 조찬욱 한약재로 조성된 고혈압 예방 및 저하용 건강보조식품
KR100572621B1 (ko) * 2003-03-19 2006-04-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및 성인병 치료용 조성물
CN104147549A (zh) * 2014-08-28 2014-11-19 范武昌 一种治疗高血压病的药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37A (ko) * 1994-06-13 1996-01-25 한동근 고혈압 개선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040023196A (ko) * 2002-09-11 2004-03-18 백일성 진피, 적복령, 당귀, 조구등, 석창포, 창출, 백지,산조인, 숙지황, 산수유 및 원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치매치료의 의약 조성물
KR100572621B1 (ko) * 2003-03-19 2006-04-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및 성인병 치료용 조성물
KR20050121815A (ko) * 2004-06-23 2005-12-28 조찬욱 한약재로 조성된 고혈압 예방 및 저하용 건강보조식품
CN104147549A (zh) * 2014-08-28 2014-11-19 范武昌 一种治疗高血压病的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244A (ko) 2021-06-09
US20220401503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14827B2 (en) New salvianolic acid compound T,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20120006029A (ko) 신규한 화합물 살비아놀릭산 l,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22050516A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100922987B1 (ko) 소염, 진통, 해열, 항산화 및 항히스타민 효과가 있는 약학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0137846A2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WO2021215598A1 (ko)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151767A1 (ko)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186349A2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76607A2 (ko) Compound k 성분이 강화된 홍삼농축액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WO2021107719A1 (ko)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67444A1 (ko)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03497A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31780A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19153A2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134010A2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WO2019112348A1 (ko) 전립선비대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조성물
WO2021162505A1 (ko) 사상자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WO2019004626A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4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73273A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96280A1 (ko) 포도나무 줄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39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39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