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02547A1 -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02547A1
WO2021002547A1 PCT/KR2019/017660 KR2019017660W WO2021002547A1 WO 2021002547 A1 WO2021002547 A1 WO 2021002547A1 KR 2019017660 W KR2019017660 W KR 2019017660W WO 2021002547 A1 WO2021002547 A1 WO 20210025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mi
fat
present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76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병섭
정동호
황주태
박기선
육진아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10025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025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n extract of semi-nucleus as an active ingredient.
  • Menopause is mainly limited to women, and various symptoms such as vascular movement disorders such as paroxysmal excitement, facial flushing, headache, palpitations, dizziness, tinnitus, insomnia,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mental disorders, which are caused by a sudden decrease in female hormones due to menopause. It has been recognized as a concomitant period, but in men after their 50s, it is similar to those of menopausal women, including sensitivity, depression, memory impairment, decreased concentration, fatigue, insomnia, hot flashes, decreased muscle mass and bone density, periodic sweating, and decreased sexual vitality. When symptoms appeared, this period was defined as male menopause.
  • LOH late-onset hypogonadism
  • ADAM androgen deficiency for aging male
  • P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for aging male
  • Male climateric includes decreased muscle mass and strength, decreased body mass index, decreased body hair and skin changes, intellectual activity, spatial perception, fatigue, decreased sexual desire and erections, especially mood changes accompanied by decreased erections during sleep, decreased mood and instability. , Decreased bone density and increased visceral fat.
  • mal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treatment, the possibility of using mal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is claimed. According to one study, it has been reported that treatment of male menopausal patients with testosterone undecanoate results in significant improvement. However,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male hormones may adversely affect liver, lipid status, cardiovascular and prostate diseases.
  • the ring consecutive toothbrush Thimble Flowers (Scutellaria Barbata ) is the above-ground part, and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when burned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lowering heat, and is a medicinal material used in areas where the skin is loose due to bruises. It is an outpost, and the stem is clustered, has a relatively thin square column shape, and is 15 ⁇ 35cm long. The outer surface is dark purple to greenish brown. Leaves are opposite, triangular, egg-shaped or lanceolate, 1.5-3cm long and 0.5-1cm wide. The upper side is dark green and the lower side is gray-green, and the edges are flat or unclear, with short petioles.
  • Korean Patent No. 1865542 discloses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or ameliorating excessive sebum secretion or seborrheic eczema comprising a semi-semi-nucleus extract
  •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538093 discloses a semi-semitic estrogen extract of the perilla family
  •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 requirem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a semi-nuclea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semi-nuclea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ytotoxic It has almost no, has cytoprotective activity of damaged sex hormone secreting cells, increases the content of testosteron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17 ⁇ -HSD in male hormone secreting cells, and reduces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a semiannu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a semi-nuclea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mprising a semi-nuclea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ittle cytotoxicity, has cytoprotective activity of damaged sex hormone secreting cells, increases the content of testosterone, and increases the expression of 17 ⁇ -HSD in male hormone secreting cells. It has an effect of reducing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vastus lateralis (VL), and the weight of the epididyma fat (EF) of the visceral fat, and the mesentery (mescentric fat).
  • MF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of fat in the area and the fat in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area, and in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ating posture time, increasing the swimming posture and climbing posture time, as well as increasing the number of sperm and the activity of sperm.
  • A is the cell viability in Leydig cells
  • B is the cell viability in Sertoli cells.
  • Figure 2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ell protective ability in Leydig cells of the semi-nuclea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 indicates that the cell vi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H 2 O 2 treatment, p ⁇ 0.001
  • * is the cells of the group treated with the semi-ri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H 2 O 2 treatment group The survival r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 Figure 4 is a Western blot result confirm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17 ⁇ -HSD in Leydig cells treated with the semi-nuclea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17 ⁇ -HSD in Lydia cells damaged by hydrogen peroxi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p ⁇ 0.01, and * indicates the case where the anti-radi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on Lydia cells damaged by hydrogen peroxide, It was foun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17 ⁇ -HS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 ⁇ 0.05.
  • 5 is a Western blot result confirm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ndrogen receptor in Sertoli cells treated with the semi-nuclea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ndrogen receptor in Sertoli cells damaged by hydrogen peroxi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1, and ** is the case where the semi-nuclea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with Sertoli cells damaged by hydrogen peroxid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ndrogen recep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p ⁇ 0.01.
  • Figure 8 is the weight (A) of the vastus lateralis (VL), the weight of the epididyma fat (EF) of the visceral fat (B), the mesentery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weight of fat in the (mescentric fat; MF) area (C) and the weight of fat in the abdominal subcutaneous (ASF) area (D).
  • ** means that the weight of the vastus lateralis (V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administered the semi-radiative extra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at was not treated with the semi-nuclear extract, or epiphyseal fat among visceral fa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a semi-nuclea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male menopausal syndrome is a decrease in the hormone testosterone; Muscle weakness; Or, it is desirable to accompany a decrease in sperm count and motil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mi-nuclear extrac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p (3)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to prepare an extract.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a lower alcohol of C 1 to C 4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extracted by adding 1 to 20 times the weight of the dried semi-annual weight, more preferably 5 to 15 times, and even more preferably 10 times.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 8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to 10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centration in step (3) is preferably a vacuum rotary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vacuum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more preferably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ale climacteric syndrome comprising the semi-annu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any one selected from pills, tablets, capsules, powders, powders, granules, candy, syrup, and beverages. It may be prepared or prepared by adding it as an ingredient of food, and may be appropriately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anti-fric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and beverages.
  • Tea,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may be in any one form selected from, and includes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usual sen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It may contain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e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contain pulp for the manufacture of natural fruit juic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 the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matin and stevia extract,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ale menopausal syndrome containing a semi-nuclea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semi-nuclear extra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when parenterally administered,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ethod for external use of the skin or intraperitoneal, rectal, intravenous,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one or more compound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lactose), gelatin,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liquid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ing agent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 As a base for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paper, glycerol, gel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type of disease, severity, and drug activity of the patient. , Sensitivity to drugs,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excre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capable of obtaining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and thi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ranges according to the patient's weight, age, sex, health status,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disease.
  • Samples 1, 5, 10, 50 and 100 ⁇ g/ml dissolved in the same amount of medium and PBS were treated in each 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4 hours before the cultivation was completed, 5 mg/ml of MTT dissolved in PBS was treated with 20 ⁇ l of each well, and then light-shielded with aluminum foil and cul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the rest of the time. After removing all the culture medium, 200 ⁇ l of DMSO was treated. After leaving for 2 hours at 37°C,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As disclosed in FIG. 1,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no cytotoxicity by confirming that the cell viability was maintained even by treatment with the semi-concentrated extract on Leydig cells (A) and Sertoli cells (B).
  • the cell protection effect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ell viability. As disclosed in FIG. 2,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nd the cell viability wa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the semi-nuclear extract in Leydig cells, thereby confirming that there was a cell protective ability.
  • testosterone content was measured with Leydig cell culture. After the culture was completed, the testosterone content was measured in the medium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of R&D systems. After transferring 100 ⁇ l of the medium to a goat anti-mouse IgG microtiter plate, 50 ⁇ l of testosterone antibody was added and incubated for 1 hour. Conjugate 50 ⁇ l was added and incubated for 1 hour, followed by washing with a washing solution. 200 ⁇ l of the substrate solution was added to each and reacted for 1 hour, and then 50 ⁇ l of a stop solution was added to stop the reaction, and the absorbance at 450 nm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to calculate the content.
  •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the anti-fric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testosterone, and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testosteron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100 ⁇ g/ml of the anti-friction extract is treated. Increased.
  • the protein was quantified using the Bradford method. 50 ⁇ g of the quantified protein was subjected to SDS-PAGE on 10% Tris-glycine gel. After SDS-PAGE, the gel was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at 120mA for 1 hour, and the membrane was block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using 5% skim milk. After incubation at 4° C. overnight to react with the primary antibody, the membrane was washed with T-PBS, and reacted with the secondary antibody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 membrane after the reaction was reacted with an ECL kit and developed using an X-ray film (Agpa, Belgium).
  • 100 ⁇ l of cells of 1 ⁇ 10 4 cells/ml were added to a 96-well plate each, cultured for 24 hours at 37° C. and 5% CO 2 , and then the medium was removed and the surface of the cultured cells was washed with a PBS solution.
  • Samples 1, 5, 10, 50, 100 and 200 ⁇ g/ml dissolved in the same amount of medium and PBS were treated in each 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4 hours before the end of the culture, 20 ⁇ l of 5 mg/ml MTT dissolved in PBS was treated in each well, and then light-shielded with aluminum foil, and cul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the rest of the time. After removing all the culture medium, 200 ⁇ l of DMSO was treated. After leaving for 2 hours at 37°C,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 mice used in Examples 6-10 were 10 weeks old C57BL/6J black mice (male, 20 ⁇ 2g) reared up to 25 weeks of age, and then classified by 10 per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100, 500, 1000 mg/kg/day.
  • the seminal radix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for 5 weeks.
  • mice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16.5% urethane,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heart, left for about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centrifuged at 3000 rpm, 4°C for 20 minutes, and then the supernatant serum was added to a clean tube. Transferred to and stored at -80°C until analysis.
  • the weight of the vastus lateralis (VL) was increased in the group to which the anti-radi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ministered, and epididyma fat (EF), mesentery (mescentric fat) ; MF),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fat in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region was reduced.
  • VL vastus lateralis
  • EF epididyma fat
  • MF mesentery
  • ASF abdominal subcutaneous fat
  • the conventional method devised by Detke et al. was modified to suit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and used.
  • a transparent glass cylinder having a diameter of 25 cm and a height of 45 cm was filled with water at a water temperature of 25° C. to a height of 30 cm, and the animals were drowned in water for 15 minutes as a preliminary experiment to acclimate,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in 5 minutes after 24 hours.
  • Example 9 Analysis of sperm count and activity in the epididymis
  • the left and right epididymis were removed and weighed, and then put into 1 ml of M199 medium containing 0.5% BSA and stabbed 70 times using a 1cc insulin syringe at 37°C for 30 minutes so that sperm naturally emerged from the epididymis. During incubation. 100 ⁇ l of this was taken, and 0.5 ml of the culture solution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econd dilution.
  • sperm count and sperm activity were increased in the group to which the semi-nuclea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minist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반지련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손상된 성호르몬 분비 세포의 세포보호 활성이 있으며,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남성 호르몬 분비세포에서 17β-HSD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콜레스테롤 및 혈중 포도당을 감소시키고,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내장지방 중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부위의 지방의 무게, 장간막(mescentric fat; MF) 부위의 지방의 무게 및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강제수영 시험(FST)에서 부동자세 시간을 줄이고, 수영자세 및 등반자세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자수 및 정자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갱년기는 주로 여성에 한정되어, 폐경에 의해 여성 호르몬이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나타나는 발작성 흥분, 안면홍조, 두통, 심계항진, 현기증, 이명, 불면 등의 혈관운동장애나 위장장애, 정신장애 등, 여러 가지 증상을 수반하는 시기로 인식되어 왔으나, 50대 이후의 남성에서도 갱년기 여성과 유사한 예민함, 우울감, 기억력 장애, 집중력 저하, 피로함, 불면, 안면 홍조, 근육량 및 골밀도 저하, 주기적 발한과 성적 활력의 저하 등과 같은 복합적 증상이 나타나 이 시기를 남성갱년기라 정의하였다.
국제 남성갱년기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Aging Male; IS SAM) 및 국제남성 과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Andrology; ISA)가 공동으로 2004년 제4차 ISSAM congress에서 남성갱년기에 의한 복합적 증상을 후기발현남성성선기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으로 통일하여 LOH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andropause, ADAM(androgen deficiency for aging male), PADAM(partial androgen deficiency for aging male), male climateric 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남성갱년기는 근육량 및 근력의 저하와 체질량 지수 감소, 체모 감소와 피부 변화, 지적 활동, 공간 지각 능력, 피곤, 성적 욕구의 감소와 발기, 특히 수면 중 발기 감소, 기분저하 및 불안정성을 동반하는 기분 변화, 골밀도 저하, 내장 지방의 증가 등과 같은 복합증후군을 나타낸다.
치료를 위해서는 폐경기 여성에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의 사용 가능성이 주장되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 갱년기 환자들을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를 사용하여 치료하는 경우, 상당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남성 호르몬의 투여는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등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도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약물의 치료요법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기술은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단편적 증상인 성기능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아, 성기능 개선과 더불어 근력 증가 등의 개선 효과 등 복합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제에 관한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반지련은 칫솔골무꽃( Scutellaria barbata)의 지상부로, 열을 내리는 작용이 있어서 화상일 때 소염효과가 있으며, 타박상으로 인해 피부가 헐은 곳에 쓰이는 약재이다. 전초로 줄기는 뭉쳐나며 비교적 가는 네모기둥 모양이고 길이 15~35cm이다. 바깥 면은 어두운 자주색~녹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삼각형의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1.5~3cm, 너비 0.5~1cm이다. 윗면은 어두운 녹색이고 아랫면은 회록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거치가 뚜렷하지 않고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줄기 상부의 잎겨드랑이에 단생하고 꽃받침의 열편은 둔하거나 비교적 둥글고, 꽃대에 털이 성글게 덮여 있다. 꽃부리는 입술모양으로 황갈색~연한 남자색이며 길이는 약 1.2cm이고 털로 덮여 있다. 열매는 납작한 구형으로 연한 갈색이다. 뿌리는 매우 가늘다.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약간 쓰다.
한국등록특허 제1865542호에 반지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습진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 제2010-538093호에 자소과 패밀리의 반지련 에스트로겐성 추출물 및 그 사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손상된 성호르몬 분비 세포의 세포보호 활성이 있으며,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남성 호르몬 분비세포에서 17β-HSD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콜레스테롤 및 혈중 포도당을 감소시키고,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내장지방 중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부위의 지방의 무게, 장간막(mescentric fat; MF) 부위의 지방의 무게 및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강제수영 시험(FST)에서 부동자세 시간을 줄이고, 수영자세 및 등반자세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자 수 및 정자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반지련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손상된 성호르몬 분비 세포의 세포보호 활성이 있으며,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남성 호르몬 분비세포에서 17β-HSD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콜레스테롤 및 혈중 포도당을 감소시키고,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내장지방 중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부위의 지방의 무게, 장간막(mescentric fat; MF) 부위의 지방의 무게 및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강제수영 시험(FST)에서 부동자세 시간을 줄이고, 수영자세 및 등반자세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자 수 및 정자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세포 생존률을 확인한 결과이다. (A)는 Leydig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률이고, (B)는 Sertoli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Leydig 세포에서의 세포 보호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은 H 2O 2 처리에 의해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H 2O 2 처리군에 비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테스토스테론의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H 2O 2 처리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며, *, **은 H 2O 2 처리군에 비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Leydig 세포에서의 17β-HSD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웨스턴 블랏 결과이다. ##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손상된 Lydia 세포에서의 17β-HSD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고, *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손상된 Lydia 세포에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17β-HSD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Sertoli 세포에서의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웨스턴 블랏 결과이다. ##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손상된 Sertoli 세포에서의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고, **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손상된 Sertoli 세포에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LNCaP 세포 생존률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테스토스테론(A), 콜레스테롤(B), 난포자극호르몬(C), 황체형성호르몬(D), 혈중 포도당(E), 17β-HSD 단백질(F)의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 **, ***은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테스토스테론, 황체형성호르몬, 17β-HSD 단백질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거나, 콜레스테롤 또는 혈중 포도당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1이며, ***은 p<0.001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의 무게(A), 내장지방 중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부위의 지방의 무게(B), 장간막(mescentric fat; MF) 부위의 지방의 무게(C) 및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D)의 변화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 **은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의 무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거나, 내장지방 중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부위의 지방의 무게, 장간막(mescentric fat; MF) 부위의 지방의 무게 및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1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강제수영 시험(FST)에서 부동자세(immobility)(A), 수영자세(swimming)(B) 및 등반자세(climbing)(C)를 취한 시간을 확인한 결과이다. *, **, ***은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부동자세(immobility)를 취한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거나, 수영자세(swimming) 및 등반자세(climbing)를 취한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고, **은 p<0.01이며, ***은 p<0.001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부고환에서의 정자 수(A) 및 활동성(B) 분석 결과이다. *는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의 정자 수 또는 정자의 활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이다(p<0.05).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남성갱년기 증후군은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의 감소; 근력저하; 또는 정자 수 및 운동성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반지련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반지련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 1~C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반지련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20~8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농축은 진공 회전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환, 정제(tablet), 캡슐(capsule), 산제, 분말, 과립,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하거나, 식품의 성분으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일례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지련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또는 피하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반지련 추출물의 제조
500g의 반지련을 50℃에서 7일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0배의 7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3시간씩 2회에 걸쳐 환류 냉각 추출 및 여과하였다. 이후 상기 반지련 추출액을 45℃에서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후, -80℃에서 7일 동안 동결건조하여 반지련 추출물 143g을 수득하였다(수율: 28.6%).
실시예 2. 세포 생존율 및 보호능 분석
세포 생존율 분석을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1×10 4 cells/㎖의 세포를 100㎕씩 넣고 37℃, 5% CO 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배양세포 표면을 PBS 용액으로 씻어주었다.
동일 양의 배지와 PBS에 녹인 시료 1, 5, 10, 50 및 100㎍/㎖을 각 웰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기 4시간 전에 PBS에 녹인 5mg/㎖의 MTT를 20㎕씩 각 웰에 처리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시킨 후 나머지 시간 동안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제거한 후, 200㎕의 DMSO를 처리하였다. 이후 37℃에서 2시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Leydig 세포(A) 및 Sertoli 세포(B)에 반지련 추출물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률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세포 보호능 측정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준 후, 상기 세포 생존율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세포 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Leydig 세포에서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에 의해 세포 생존률이 증가하여 세포 보호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함량 분석
Leydig 세포 내, 테스토스테론 함량은 Leydig 세포 배양액으로 측정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지는 R&D systems의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을 사용하여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배지 100㎕를 goat anti-mouse IgG microtiter plate에 옮긴 후, 50㎕의 테스토스테론 항체를 첨가하여 1시간 배양하고 conjugate 50㎕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척용액으로 세척하였다. 각각에 200㎕의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한 후 50㎕의 반응정지 용액(stop solution)을 넣어 반응을 중지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은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100㎍/㎖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실시예 4.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Leydig 세포에서 17β - HSD의 발현량 변화 확인
Lysis buffer로 단백질을 추출한 후, 단백질은 브레드포드(Bradford)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한 단백질 50㎍을 10% Tris-glycine gel에 SDS-PAGE를 실시하였다. SDS-PAGE 후 gel를 nitrocellulose membrane에 120mA에서 1시간 동안 transfer를 실시한 후 membrane은 5% 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실온에서 blocking하였다. 4℃에서 밤샘 배양하여 1차 항체와 반응시킨 후 T-PBS로 멤브레인을 세척하고, 2차 항체로 실온에서 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을 ECL kit으로 반응 후 X-ray film(Agpa, Belgium)을 이용하여 현상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의 처리에 의해 17β-HSD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17β-HSD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량이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LNCaP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 분석
테스토스테론의 합성 촉진으로 인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립선 세포의 증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LNCaP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1×10 4 cells/㎖의 세포를 100㎕씩 넣고 37℃, 5% CO 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배양세포 표면을 PBS 용액으로 씻어주었다. 동일 양의 배지와 PBS에 녹인 시료 1, 5, 10, 50, 100 및 200㎍/㎖을 각 웰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기 4시간 전에 PBS에 녹인 5mg/ml MTT를 20㎕씩 각 웰에 처리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시킨 후, 나머지 시간 동안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제거한 후, 200㎕의 DMSO를 처리하였다. 이후 37℃에서 2시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LNCaP 세포에 반지련 추출물을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률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호르몬 활성 촉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인 전립선암 등의 발생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 및 투여
실시예 6~10에서 사용한 동물은 10주령의 C57BL/6J black 마우스(수컷, 20±2g)를 25주령까지 사육한 후, 군당 10마리씩 분류하였으며, 실험군은 100, 500, 1000mg/kg/day의 반지련 추출물을 5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실시예 6. 혈청 내 호르몬 등 관련 지표 측정 및 단백질 분석
부검 시 마우스는 16.5% 우레탄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한 후,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방치한 후, 3000rpm, 4℃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이후 상층액인 혈청을 깨끗한 튜브에 옮겨 분석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남성갱년기 증상 관련 혈청 내 지표인 총 테스토스테론, 총 콜레스테롤,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및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은 각각의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포도당 측정은 혈당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17β-HSD 활성 변화는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감소하였고, 황체형성호르몬도 증가하였다. 또한, 혈중 포도당의 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으며, 17β-HSD의 단백질 함량도 증가하였다.
실시예 7. 근육 및 지방 분석
실험동물을 심장 채혈을 통해 희생 후, 피부를 벗겨낸 다리를 가위로 절제한 후, 대퇴근에서 큰 비중을 가진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내장지방 중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장간막(mescentric fat; MF),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여 각각의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VL)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정소상체지방(epididyma fat; EF), 장간막(mescentric fat; MF), 후복부(abdominal subcutaneous fat; ASF) 부위의 지방의 무게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강제수영 시험(FST)
종래의 Detke 등에 의해 고안된 방법을 실험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직경 25cm, 높이 45cm의 투명한 유리 원통에 30cm의 높이로 수온 25℃의 물을 채운 후에 예비 실험으로 15분 동안 동물을 물에 빠뜨려 적응시키고, 24시간 후에 5분 안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동물은 건조할 수 있도록 적외선 등 아래에 30분 동안 놓아 둔 후 원래의 케이지로 돌려놓았다. 5분 동안의 본 실험에서는 동물의 행동을 부동자세(immobility), 수영자세(swimming) 및 등반자세(climbing)로 구분하여 10초 마다 유지한 자세의 횟수를 체크하여 초 단위로 변환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부동자세를 취한 시간이 감소하였고, 수영자세 및 등반자세를 취한 시간이 증가하였다.
실시예 9. 부고환에서의 정자 수 및 활동성 분석
마우스를 희생하여 좌우의 부고환을 각각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0.5% BSA를 포함하는 M199 배지 1㎖에 넣고 1cc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70회 찔러 부고환에서 정자가 자연스럽게 나오도록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100㎕ 취하고, 여기에 배양액 0.5㎖을 가하여 2차 희석하였다. 2차 희석액 10㎕를 취하여 Dual Slide Sperm Analysis Chamber(Depth: 80㎛, Hamilton Thorne Biosciences, 미국)에 고루 퍼지도록 주입하여 광학 현미경을 통해 정자의 상태를 확인 후 CASA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자의 운동성과 정자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지련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정자수 및 정자 활동성이 증가하였다.

Claims (6)

  1. 반지련( Scutellaria barb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남성갱년기 증후군은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의 감소; 근력저하; 또는 정자 수 및 운동성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반지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 1~C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련 추출물은 음료, 환, 정제(tablet), 캡슐제(capsule) 및 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련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9/017660 2019-07-02 2019-12-13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54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9397 2019-07-02
KR10-2019-0079397 2019-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547A1 true WO2021002547A1 (ko) 2021-01-07

Family

ID=7410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7660 WO2021002547A1 (ko) 2019-07-02 2019-12-13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480B1 (ko)
WO (1) WO202100254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530A (ja) * 1997-05-09 1998-11-24 Dai Ichi Seiyaku Co Ltd 毛髪用剤
US20120107344A1 (en) * 2005-04-01 2012-05-03 Bionovo, Inc.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menopause
KR20120117128A (ko) * 2011-04-14 2012-10-24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50139427A (ko) * 2014-05-29 2015-12-11 김동철 혈당강하제 및 그 과립제 제조방법
KR20160144525A (ko) * 2015-06-08 2016-12-19 김동철 전립선 염증 및 비대증의 완화 및 치료용 생약 혼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530A (ja) * 1997-05-09 1998-11-24 Dai Ichi Seiyaku Co Ltd 毛髪用剤
US20120107344A1 (en) * 2005-04-01 2012-05-03 Bionovo, Inc.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menopause
KR20120117128A (ko) * 2011-04-14 2012-10-24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50139427A (ko) * 2014-05-29 2015-12-11 김동철 혈당강하제 및 그 과립제 제조방법
KR20160144525A (ko) * 2015-06-08 2016-12-19 김동철 전립선 염증 및 비대증의 완화 및 치료용 생약 혼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54A (ko) 2021-01-12
KR102362480B1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57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reduction
US20070134353A1 (en) Phytoestrogen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hinese licorice root, isoliquiritin or liquiritin
US2010031674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US2020000921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WO2014058142A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4008233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2091492A2 (en) Herbal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cluding the same
WO2018080157A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547A1 (ko)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30A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546A1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24803A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85A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WO2017142255A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4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46703A1 (ko) 항비만용 조성물
WO2022131776A1 (ko) 돌배 추출물 또는 돌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43855A1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67154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WO2021085741A1 (ko) 번행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72726A1 (ko)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5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5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