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4364A1 -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4364A1
WO2023204364A1 PCT/KR2022/015590 KR2022015590W WO2023204364A1 WO 2023204364 A1 WO2023204364 A1 WO 2023204364A1 KR 2022015590 W KR2022015590 W KR 2022015590W WO 2023204364 A1 WO2023204364 A1 WO 20232043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e ingredient
respiratory diseases
preventing
allergic respir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5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수
김기모
김윤희
송광훈
이익수
이주영
정동호
정명아
지건영
편보정
장설
최수산나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32043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43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an extract of Goryang River as an active ingredient.
  • asthma is a hypersensitivity reaction of the bronchial tubes to various irritants that enter during breathing, causing inflammation and swelling of the airway mucosa, including the bronchial tubes, and narrowing of the bronchial tubes, resulting in coughing accompanied by wheezing (wheezing breathing sounds).
  • asthma a disease in which sputum production and shortness of breath appear in fits and starts, and various immune cells, especially mast cells, neutrophils, and basophils, are present in excess in the airways of patients with asthma.
  • immune cells react sensitively to external irritants that have no effect on normal people and promote excessive action, resulting in symptoms of epithelial cell damage, mucus and secretion, vasodilatation, and airway remodeling.
  • Factors causing asthma can be broadly divided into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Genetic factors may include airway hyperresponsiveness, gender, and race, while environmental factors may include house dust, mites, air pollution, smoking, and diet.
  • Bronchial asthma treatments are broadly divided into controllers and symptom relievers.
  • Controllers such as inhaled glucocorticosteroids, anti-allergic drugs, and long-acting bronchodilators are used to prevent worsening of asthma in the long term.
  • Symptom relievers use bronchodilators, which are used to urgently relieve symptoms such as acute asthma attacks or bronchial infarction. In any case, there is no major problem in relieving the symptoms of mild asthma disease, but there are significant problems in treating mid- or late-stage asthma, and the problem of serious side effects or inconvenience when using high doses of inhaled steroid drugs is emerging. there is.
  • Alpinia officinarum Hance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ginger family.
  • the rhizome is dug up in the fall and dried.
  • it is sai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abdominal pain, vomiting, and diarrhea, as well as poor kidney function, loss of stamina due to sensitivity to cold, and dysentery.
  • its main pharmacological actions include promoting gastric juice secretion, analgesic action, anti-oxidation effect, anti-thrombotic action, anti-coagulant action, and improvement of peripheral circulation.
  • Prior art related to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includes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sea cucumb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Korean Patent No. 1808615,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00491.
  •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rgic rhinitis and treating nasal congestion comprising cabbage extract, elm extract, Noria tree extract, and Acanthopanax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is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s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g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has not yet been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the Koryangg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Goryanggang extract reduces airway hyperresponsivenes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it suppresses the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such as eosinophils and neutrophils in the nasal washing fluid increased by asthma induction, reduces the IgE content in the serum, and selectively suppresses the Th2 immune respon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k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an extract of Goryang Riv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k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 Riv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g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Goryanggang extract reduces airway hyperresponsiveness, eosinophils and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such as neutrophils, reducing the IgE content in the serum, and selectively suppressing the Th2 immune response.
  •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nimal test method confirming the improvement effect of allergic asthma by administering the G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nimal model in which allergic asthma was induced through ovalbumin (OVA) treatment.
  • OVA ovalbumin
  • Figure 2 shows airway resistance (Rrs, resistance) (A), middle airway resistance (Rn, Newtonian resistance) (B) and elasticity (Ers, elastance)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the K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llergic asthma-induced animal model. )(C) This is the result of checking the degree.
  • NC is the normal group
  • OVA is the allergic asthma induction group treated with Ovalbumin (OVA)
  • DEX is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Dexamethasone.
  •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irway resistance, middle airway resistance, and elasticity in the allergic asthma-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01.
  • Figure 3 shows the numbers of eosinophils (A), neutrophils (B), and total cells (C)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the K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llergic asthma-induced animal model.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reduced effect.
  • NC is the normal group
  • OVA is the allergic asthma-induced group treated with ovalbumin (OVA)
  • JW2L and JW2H are the groups administered 100 mg/kg and 300 mg/kg of Goryanggang extract
  • DEX is the positive control group
  • dexamethasone Dexamethasone
  •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eosinophils, neutrophils, and total cells in the allergic asthma-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1.
  • *, **, and *** represent the numbers of eosinophils, neutrophils, and total cel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the Goryanggang extract-administered group (JW2L or JW2H) or the positive control group, dexamethasone-administered group (DEX, Dexamethasone) compared to the allergic asthma inducer group (OVA).
  •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means * means p ⁇ 0.05, ** means p ⁇ 0.01, and *** means p ⁇ 0.001.
  • Figure 4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total IgE level in the serum following administration of the G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llergic asthma-induced animal model.
  • NC is the normal group
  • OVA is the allergic asthma-induced group treated with ovalbumin (OVA)
  • JW2L and JW2H are the groups administered 100 mg/kg and 300 mg/kg of Goryanggang extract
  • DEX is the positive control group
  •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IgE level in the serum of the allergic asthma 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1.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changes in Th1 cytokine (IL-2) and Th2 cytokine (IL-4) content and cell survival rate in spleen cells isolated from an allergic asthma-induced animal model upon administration of the G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A(-) is a normal group that was not treated with concanavalin A
  • ConA(+) is a group that was treated with concanavalin A to induce cytokine production.
  •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IL-2 and IL-4 contents in spleen cells of the cytokine production induc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k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llergic respiratory disease may preferably be allergic asthma or allergic rhinitis, and more preferably allergic asthm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oryang River extrac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step (3)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to prepare an extract.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lower alcohols of C 1 to C 4 , or mixtures thereof, more preferably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method can be any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added at 1 to 20 times the weight of Goryang River for extraction, and more preferably at 5 to 15 times.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0.5 to 10 hours, more preferably 0.5 to 5 hour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vacuum concentration in step (3)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vacuum vacuum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by reduced pressure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dosage form selected from powder, granule, pill,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Koryanggang extract can be added as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s.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foods to which the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These include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health drink, it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conventional drink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textrin and cyclotens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a sweetener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rin and stevia extract or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or aspartame can be used.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g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neutralizer, pH adjuster, stabilizer,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carbonic acid. It may contain carbonating agents used in beverages.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ingredi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very important, bu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an extract of Goryang River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in addition to the above active ingredients, and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s. When formulated, it is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capsules, powders, granules, tablets, pills, etc. These solid preparations contain one or more compounds and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It is prepared by mixing lactose, gelatin, etc.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tc.
  •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 solvent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aurel, glycero gelatin, etc. can be used.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the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level of the effective amount is determined by the type, severity, and activity of the patient's disease. , can be determined based on factors including sensitivity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concurrently us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e tim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achiev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thi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weight, age, gender, health condition,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diseas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methods using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ka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quasi-dru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products with a milder effect than pharmaceuticals among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improv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in humans or animals.
  • quasi-drugs exclude product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and include products used to treat or prevent diseases in humans and animals, or products that have a mild or no direct effect on the human body.
  • the quasi-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llergic diseases,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in its formulation, and in each formulation, the quasi-drug can arbitrarily select and mix other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the other quasi-drug. You can.
  •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mixe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suppression or alleviation). For example, it may include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thickener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Goryang Riv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supplementary feed under the Feed Management Act.
  • the term 'feed'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meal, for or suitable for eating, ingestion, and digestion by animals.
  •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plant feeds such as grains, roots and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cucurbits or grain by-products;
  •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substances, fats and oils, minerals, oils and fats, single-cell proteins, zooplanktons or food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 mice Female 7-week-old SPF Balb/c mice (20 g) were supplied by Central Laboratory Animal Company (Japan SLC Inc.). Animals were provided with sufficient solid feed (no antibiotics, Samyang Feed Co.) and water until the day of the experiment, and were acclimatized for one week in an environment with a temperature of 22 ⁇ 2°C, humidity of 55 ⁇ 15%, and 12 hours (light-dark cycle). It was used in the experiment.
  • mice were sensi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200 ⁇ l of PBS containing 2 mg of aluminum hydroxide (Sigma-Aldrich) and 50 ⁇ g of ovalbumin (OVA; ovoalbumin, Sigma-Aldrich) suspended at weekly intervals. I ordered it.
  • Airway resistance, elasticity, and mid-airway resistance were measured using methylcholine (Sigma-Aldrich). Methylcholine was inhaled at graduall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0, 6.25, 12.5, 25, and 50 mg/ml and then inhaled for 3 days. Minutes were measured.
  • 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each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measured using a hemocytometer.
  • To identify inflammatory cells cel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ere attached to a slide using Cytospin (Hanil), then Diff-Quik staining (Sysmex) was performed and eosinophils and other inflammatory cells were examined under a microscope. Afterwards, inflammatory cells were measured by taking microscopic photographs at 200x magnification. The ratio of identified inflammatory cells was applied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to differentially count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 Blood obtained through the posterior vena cava was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n centrifuged (3000 rpm, 15 minutes) to obtain serum. Total IgE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n ELISA kit (Biolegend, USA).
  • mice Animal experiments to isolate cells from mouse spleens were performed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ACUC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approval number: 20-022, March 23, 2020).
  • BALB/c mice (5 weeks old, male) were purchased from SLC, Japan through Central Laboratory Animals. After stabilization in an SPF facility for one week,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spleen tissue was removed. Cells were separated from spleen tissue using a 40 ⁇ M cell strainer (Falcon), and then red blood cells were lysed using RBC lysis buffer (Biolegend).
  • the cell culture medium was obtained and used to measure cytokines, and the cell viability of the cells was measured using the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Daeil Lab Service). Th1/Th2 cytokine ex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in the obtained cell culture using the LEGENDplex TM MU Th cytokine panel (Biolegend, Cat No. 741044)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 Example 3 Allerg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confirmed in an animal model with induced asthma.
  • Eosinophils, neutrophils, and total cells were confirmed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an allergic asthma animal model administered Goryanggang extract.
  • the total IgE level in the serum of an animal model in which allergic asthma was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the G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 Example 5 Allergy Confirmation of changes in Th1 and Th2 cytokine content in spleen cell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Goryanggang extract in an asthma-induced animal model
  • the Th1 and Th2 cytokine content increased through treatment of mouse spleen cells with concanavalin A.
  • the Goryangga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ministered, Th1 It was confirmed that it did not affect the increase in cytokine IL-2 and cell survival rate, and selectively suppressed the increase in IL-4, a Th2 cytok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량강 추출물은 기도과민 반응을 감소시키고, 천식 유발에 의해 증가된 비강 세척액 내 호산구 및 호중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시키며, 혈청 내 IgE 함량을 감소시키고, Th2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알러지 질환의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특히 알러지 질환의 80%를 차지하는 천식의 경우 그 발병율과 사망률에 상관성이 있어 예방적인 약물 치료 및 진행 억제를 위한 연구에 투자가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알러지 질환 중, 천식은 숨 쉴 때 들어오는 여러 가지 자극 물질에 대한 기관지의 과민반응으로, 기관지를 비롯한 기도점막에 염증이 생겨 부어오르며 기관지가 좁아져서 천명(쌕쌕거리는 호흡음)을 동반한 기침, 객담과 호흡곤란이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천식을 가진 환자들의 기도에는 다양한 면역세포 특히, 비만 세포, 호중구 및 호염기구들이 과량 존재한다. 이러한 면역세포들은 정상인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외부의 자극물질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고 과도한 작용을 도모하므로 상피세포의 손상, 점액과 분비, 혈관확장 및 기도개형의 증상을 나타내게 한다. 천식을 야기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적인 요인에는 기도과민성, 성별, 인종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집먼지, 진드기, 대기오염, 흡연, 식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관지 천식 치료제로는 조절제(controller) 및 증상완화제(Reliever)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조절제는 흡입용 스테로이드계 약물(Inhaled glucocorticosteroids), 항알레르기성 약물(Anti-allergic drug),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Long acting bronchodilators) 등이 장기적으로 천식의 악화를 방지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증상완화제는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는데, 급성천식 발작이나 기관지 경색 등의 증상을 시급히 완화할 때 이용되고 있다. 어느 경우든지 가벼운 천식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으나, 중기나 말기의 천식을 치료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이 있고, 고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계 약물 사용시의 심각한 부작용이나 사용불편에 대한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천식질환의 특성상 장기간 약물복용이 불가피하지만, 종래의 스테로이드제나 평활근 이완제와 같은 천식치료제들은 면역능 저하, 감염, 심장에 대한 작용 등의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약물의 부작용이 거의 없고, 근원적 병상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새로운 약물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므로 종래의 약물이 갖는 부작용을 저감 또는 해소할 수 있는 천식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뿌리줄기를 가을에 캐어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동의치료에서는 복통, 구토, 설사에 효력이 뛰어나고, 신장 기능 허약과 냉증으로 인한 정력감퇴, 이질 등에 효력이 있다고 전해진다. 주요 약리 작용으로는 위액분비 촉진 작용, 진통작용, 항산소결핍 작용, 항혈전 작용, 항응혈 작용, 말초순환 개선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808615호에 '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0491호에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고량강 추출물이 기도과민 반응을 감소시키고, 천식 유발에 의해 증가된 비강 세척액 내 호산구 및 호중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시키며, 혈청 내 IgE 함량을 감소시키고, Th2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량강 추출물은 기도과민 반응을 감소시키고, 천식 유발에 의해 증가된 비강 세척액 내 호산구 및 호중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시키며, 혈청 내 IgE 함량을 감소시키고, Th2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브알부민(OVA, Ovalbumin) 처리를 통해 알러지성 천식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에 따른 알러지성 천식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동물실험 방법 모식도이다.
도 2는 알러지성 천식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기도저항(Rrs, Resistance)(A), 중기도 저항(Rn, Newtonian resistance)(B) 및 탄성도(Ers, elastance)(C)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OVA는 오브알브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이며,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의 기도저항, 중기도 저항 및 탄성도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다. ****는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OVA) 대비 모든 농도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DEX, Dexamethasone)의 기도저항, 중기도 저항 및 탄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다.
도 3은 알러지성 천식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호산구(eosinophils)(A), 호중구(neutrophils)(B) 및 총 세포(Total cells)(C) 수가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OVA는 오브알부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이며, JW2L 및 JW2H는 100mg/kg 및 300mg/kg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의 호산구, 호중구 및 총 세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 및 ***은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OVA) 대비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JW2L 또는 JW2H) 또는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DEX, Dexamethasone)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호산구, 호중구 및 총 세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4는 알러지성 천식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청 내 총 IgE 수치가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C는 정상군이고, OVA는 오브알부민(OVA, Ovalbumin)을 처리한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이며, JW2L 및 JW2H는 100mg/kg 및 300mg/kg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이고, DEX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의 혈청 내 총 IgE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및 ***는 알러지성 천식 유도군(OVA) 대비 300mg/kg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JW2H) 및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DEX, Dexamethasone)의 혈청 내 총 IgE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01이다.
도 5는 알러지성 천식 유도 동물모델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에서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을 투여에 따른 Th1 사이토카인(IL-2) 및 Th2 사이토카인(IL-4) 함량 변화와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ConA(-)는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을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ConA(+)는 콘카나발린 A를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한 군이다. ###는 정상군 대비 사이토카인 생성 유도군의 비장세포 내 IL-2 및 IL-4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및 ***는 사이토카인 생성 유도군 대비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30, 100㎍/㎖)의 비장세포 내 IL-4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알러지성 천식 또는 알러지성 비염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알러지성 천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량강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고량강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고량강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고량강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중량부 당 0.01~0.1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또는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은 알러지성 질환의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각 제형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다른 성분들을 기타 의약외품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억제 또는 완화)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동물
암컷 7주령의 SPF Balb/c 마우스(20g)는 중앙실험동물 (Japan SLC Inc.)사에서 공급받았다. 동물은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항생제 무첨가, 삼양사료 Co.)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2℃, 습도 55±15%, 12시간(light-dark cycle)의 환경에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천식 모델 및 시료 투여
1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마우스에게 1주 간격으로 2mg의 수산화알루미늄 (Sigma-Aldrich) 및 50㎍의 오브알부민(OVA; ovoalbumin, Sigma-Aldrich)을 현탁한 200㎕의 PBS를 복강에 주입하여 감작시켰다.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100mg/kg 및 300mg/kg)과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mg/kg)은 11일부터 17일까지 매일 경구 투여하였으며, 14일부터 17일까지 호흡마취제인 이소플루레인(isoflurane; Piramal critical care Inc)으로 흡입마취 시킨 뒤 OVA 25㎍/mice(50㎕)를 비강 내 투여하였다. 마지막 비강 내 투여후 24시간 이내 기도과민성(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을 측정하였으며,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 Entobar inj, 한림제약)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시킨 후 혈액을 채취하였고, 기관지 절개를 실시하여 절개된 부위에 카테터를 삽입한 후 1㎖의 주사기를 연결하여 0.5㎖의 PBS를 폐로 주입한 후 수거하였으며, 총 2회 반복하여 1㎖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을 수거하였다
3. 기도 저항(Rrs, Resistance), 탄성도(Ers, elastance) 및 중기도 저항(Rn, Newtonian resistance) 측정
천식 발생에 의한 기도과민성을 측정하기 위해, FlexiVent(SCIREQ, Canada)를 이용하였다. 기도 저항, 탄성도 및 중기도 저항은 메틸콜린(Methylcholine, Sigma-Aldrich)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메틸콜린을 0, 6.25, 12.5, 25, 50 mg/㎖의 농도로 점차 증가시키면서 흡입시킨 후 3분간 측정하였다.
4. 기관지 폐포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분리 및 염증세포수 측정
각 기관지 폐포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내 총 세포수는 혈구계(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염증세포의 감별을 위해 사이토스핀(Cytospin, Hanil사)을 통해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세포를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 Diff-Quik 염색(Sysmex)을 실시하여 호산구를 비롯한 그 외 염증세포를 현미경을 통해 검경한 후, 200배 배율에서 현미경 사진촬영을 하여 염증세포를 측정하였다. 확인된 염증세포의 비율을 총 세포 수에 적용하여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염증세포의 감별계수하였다.
5. 혈청 분석
후대정맥을 통하여 수득한 혈액은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 (3000rpm, 15분)하여 혈청을 얻었다. 총 IgE의 농도는 ELISA 키트(Biolegend,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비장세포에서의 Th1/Th2 사이토카인 측정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 동물실험은 한국한의학연구원의 IACUC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수행하였다(승인번호: 20-022, 2020년 3월 23일). BALB/c 마우스(5주령, 수컷)는 중앙실험동물을 통해 일본 SLC사로부터 구매하였다. 1주일간 SPF 시설에서 안정화를 거친 후 마우스를 희생하여 비장조직을 적출하였다. 40μM의 세포 스트레이너(Falcon)를 이용하여 비장조직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한 후 RBC 용해 버퍼(Biolegend)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용해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 Thermo Fisher Scientific)와 1% 항생제(100 units/㎖의 페니실린 및 100㎍/㎖의 스트렙토마이신; Gibco)가 첨가된 RPMI1640 배지(Gibco)을 준비한 후 분리된 비장세포를 5×106 cells/㎖의 조건으로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비장세포에 백두옹 추출물(3, 10, 30, 100㎍/㎖)과 2.5㎍/㎖의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Sigma Aldrich)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배양액을 획득하여 사이토카인 측정에 이용하였고, 세포는 EZ-Cytox 세포 생존율 분석 키트(Daeil Lab Service)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Th1/Th2 사이토카인 발현량은 획득한 세포배양액에서 LEGENDplexTM MU Th 사이토카인 패널(Biolegend, Cat No. 741044)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7. 통계처리
모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D)로 계산하였고, 각 실험군 간의 비교는 GraphP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 던컨의 다중 비교 테스트(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각 그룹 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1. 고량강 추출물의 제조
건조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1kg을 증류수 10L에 넣고 3시간 동안 100±2℃에서 환류추출(Heating mantle)하여 거름망 필터 후, 테스트 시브(Test Sieve 53㎛ No.270)로 2차 여과하여 고량강 열수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를 동결 건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는 동결 건조된 추출물을 멸균정제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세포 실험에서는 증류수로 녹인 고량강 열수 추출물을 0.22㎕ 필터로 여과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고량강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기도 과민성 변화 확인
메타콜린 유도에 따른 기도 과민성(AHR, Airway hyperresponsiveness)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도저항(Rrs, Resistance), 탄성도(Ers, elastance) 및 중기도 저항(Rn, Newtonian resistance)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천식 유도군(OVA)의 경우, 메타콜린(Methylcholine)을 농도별(6.25, 12.5, 25 및 50mg/㎖)로 처리함에 따라 기도 과민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천식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비하여 고량강 추출물(100 및 300mg/kg/day)을 농도별로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기도저항(Rrs, Resistance), 탄성도(Ers, elastance) 및 중기도 저항(Rn, Newtonian resistance) 값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알러지성 천식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염증세포 수 감소 확인
고량강 추추물이 투여된 알러지성 천식 동물 모델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호산구(eosinophils), 호중구(neutrophils) 및 총 세포(Total cells)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천식 유도군(OVA)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 내 호산구, 호중구 및 총 세포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JW2L 및 J22H)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알러지성 천식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혈청 내에 총 IgE 함량 확인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을 투여에 따른 알러지성 천식이 유도된 동물 모델의 혈청 내 총 IgE 수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해 천식 유도군(OVA)에서 총 IgE 농도가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고농도의 고량강 추출물 투여군(J2WH)에서 총 IgE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5. 알러지성 천식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고량강 추출물 투여에 따른 비장세포 내 Th1 및 Th2 사이토카인 함량 변화 확인
알러지성 천식이 유도된 동물 모델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를 대상으로 고량강 추출물을 투여한 후 Th1 및 Th2 사이토카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 비장세포에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처리를 통해 Th1 및 Th2 사이토카인 함량이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고량강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Th1 사이토카인인 IL-2 증가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Th2 사이토카인인 IL-4 증가를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은 알러지성 천식 또는 알러지성 비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량강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8.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PCT/KR2022/015590 2022-04-20 2022-10-14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45 2022-04-20
KR1020220048945A KR20230149568A (ko) 2022-04-20 2022-04-20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364A1 true WO2023204364A1 (ko) 2023-10-26

Family

ID=8842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590 WO2023204364A1 (ko) 2022-04-20 2022-10-14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9568A (ko)
WO (1) WO202320436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683A (ko) * 2006-02-03 2007-08-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2613412A (zh) * 2012-04-10 2012-08-01 胡海波 用于治疗仔猪流行性腹泻的饲料、中药和制备方法
CN103349706A (zh) * 2013-07-03 2013-10-16 亳州市豪门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熟地黄的中药炮制方法
CN103405699B (zh) * 2013-07-08 2014-12-03 山东省中医药研究院 一种防治雾霾引起的呼吸道病症的饮品及其制备方法
KR20200066787A (ko) * 2018-12-03 2020-06-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683A (ko) * 2006-02-03 2007-08-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2613412A (zh) * 2012-04-10 2012-08-01 胡海波 用于治疗仔猪流行性腹泻的饲料、中药和制备方法
CN103349706A (zh) * 2013-07-03 2013-10-16 亳州市豪门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熟地黄的中药炮制方法
CN103405699B (zh) * 2013-07-08 2014-12-03 山东省中医药研究院 一种防治雾霾引起的呼吸道病症的饮品及其制备方法
KR20200066787A (ko) * 2018-12-03 2020-06-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68A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7943A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86990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extract of Justicia procumbens L
US6217880B1 (en) Medicament for treating recurrent ulcer of mouth and behcet&#39;s syndrome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24863A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6862A1 (ko) 금은화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24803A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4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85068A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 및 체력증진용 조성물
CN114306424B (zh) 一种治疗肥胖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31780A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157A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9100737A4 (en) Anti-Helicobacter Pylori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CN103191175A (zh) 一种腹泻停中药组合、胶囊剂及其应用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79026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구골 추출물
WO2023195644A1 (ko)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1334A1 (ko)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46703A1 (ko)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7154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WO2023121331A1 (ko) 갯까치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72726A1 (ko)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86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