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96300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6300A1
WO2021096300A1 PCT/KR2020/016012 KR2020016012W WO2021096300A1 WO 2021096300 A1 WO2021096300 A1 WO 2021096300A1 KR 2020016012 W KR2020016012 W KR 2020016012W WO 2021096300 A1 WO2021096300 A1 WO 20210963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compressor
spac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0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승언
오승진
양창완
손진호
나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454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5823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2741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218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2742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2189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886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60262A4/en
Priority to AU2020382671A priority patent/AU2020382671A1/en
Priority to US17/776,353 priority patent/US20220397336A1/en
Publication of WO20210963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63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공간(121)이 있는 캐비넷(100)과, 상기 저장공간(121)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에는 냉각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압축기(610), 응축기(620) 및 방열팬(611)이 포함될 수 있고, 전면에는 흡입구(220a)와 배출구(22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610)와 상기 방열팬(611)은 상기 기계실(201)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응축기(620)가 배치된 공간과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팬(611)은 상기 흡입구(220a)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20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배출구(220b)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2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모듈이 하부에 설치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저장에 적합한 냉장고와, 김치와 같은 숙성식품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냉장고의 외관이 냉장고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빌트인 형태의 냉장고는 드러나는 부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냉장고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 자주 사용되는 음식물을 주방가구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빌트인 냉장고의 경우에는 냉장고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막혀 있는 경우가 많아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어렵다. 따라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응축기와 압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는 기계실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모두 냉장고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기술들이 있다.
이와 같은 예로, 일본공개특허 2017-141975(선행기술1),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19076(선행기술2), 미국등록특허 US5,881,567(선행기술3), 일본 등록특허 5033563(선행기술4) 등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1에서는 냉각팬이 응축기의 한쪽에 밀착되어 냉각팬의 크기가 응축기 주변 높이에 제한되고, 압축기와 응축기를 폭방향으로 일부 중첩되게 배치하여 압축기로 공기가 집중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선행기술2의 경우에는 응축기와 냉각팬이 세워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기계실의 전체높이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선행기술3에서는 응축기와 압축기의 후방에 냉각팬을 두어 냉각팬이 흡입구로부터 거리가 멀고 따라서 공기의 원활한 흡입이 어렵다. 선행기술4의 경우에는 응축기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기계실의 높이가 높고, 압축기까지 연결되는 공기의 유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못하여 효율적인 공기유동이 어렵다.
즉, 이러한 선행기술1 내지 선행기술4는 응축기 및 냉각팬의 설치방향이나 전체높이로 인해 기계실을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거나, 기계실 내부의 공기유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못하여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소형 냉장고의 경우 한정된 크기 내에서 기계실 내로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응축기나 방열팬의 크기를 작게 하면 기계실의 부피를 줄일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방열성능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냉동사이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아일랜드 주방(Kitchen Island)에도 빌트인타입의 냉장고가 사용될 수 있는데, 싱크대와 독립된 작업대인 아일랜드 타입의 주방가구는 편의성은 높지만, 전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냉장고를 빌트인 타입으로 적용하기가 더욱 어렵다.
그리고, 바닥에 배치되는 소형의 냉장고의 경우 높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실의 부피를 증가시키면 반대급부로 저장 공간의 용적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응축기, 압축기 및 방열팬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기계실의 전체 부피는 줄이면서도 응축기 및 압축기의 방열성능은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팬의 크기(직경)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기계실의 전체 부피를 줄여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가 낮은 소형 냉장고에서도 기계실 공간 내/외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기를 냉장고 내부의 여러 위치에 분산시켜 방열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실 내부에 제어모듈 및 도어개방장치 등도 설치하여 냉장고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실을 구성하는 부품의 배치를 통해서 저장공간의 용적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공간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에는 냉각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및 방열팬이 포함될 수 있고, 전면에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방열팬은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기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된 공간과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팬은 상기 흡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방열팬은 흡입/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기계실의 안쪽에 설치되므로, 다른 부품들에 비해 높이가 높은 부품들을 기계실 후방에 밀집시키고 나머지 부품들을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의 전방은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공간과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응축기 보다 상기 배면플레이트에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방열해줄 수 있고, 또한 높이가 높은 압축기는 이와 이격되게 설치되어서 기계실의 전방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방열팬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방열팬이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면, 방열팬은 적어도 압축기와 같은 높이만큼 높게 만들어질 수 있고, 따라서 방열팬을 통한 공기유동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팬은 상기 기계실프레임의 측면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공기유동공간을 만들 수 있고, 상기 방열팬은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로부터 방열팬에 이르기까지 공기유동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에는 한쪽 끝이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의 사이로 연장되는 분리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를 양쪽으로 구획한다. 상기 분리격벽의 반대쪽 끝은 상기 방열팬에 연결되고, 상기 방열팬은 상기 분리격벽과 상기 배면플레이트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 내부는 분리격벽으로 구획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경로와, 기계실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경로가 서로 구분될 수 있고, 기계실 내부의 일정한 경로, 즉 응축기-냉각팬-압축기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게 되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방열팬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계실의 흡입공간은 상기 기계실프레임의 하면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및 배면플레이트에 의해 막혀있ㄷ다. 동시에, 상기 방열팬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계실의 배출공간은 상기 하면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또는 배면플레이트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의 초기유입은 특정 방향(응축기)으로 한정되지만, 일단 응축기와 압축기를 방열한 후에는 여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기계실의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방열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에는 제상수트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제상수트레이에는 상기 방열팬을 향해 유동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팬 하단과 제상수트레이 사이에 데드스페이스를 없앨 수 있고, 충분한 유동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에서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어모듈의 저면과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 사이에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기계실에는 냉매사이클의 구현을 위한 장치들 뿐 아니라 제어모듈도 설치되어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데, 이때 제어모듈은 기계실의 출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기계실의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프레임에는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분리격벽이 구비되는 하면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리격벽에 의해 구획된 흡입공간을 관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추가 흡입구와, 상기 분리격벽에 의해 구획된 배출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의 공기가 배출되는 추가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가 낮은 소형 냉장고에서도 프론트 커버로부터 기계실의 내외로 흡입/배출되는 유량 외에, 추가적으로 흡입 또는 배출되는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리격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추가 흡입구와 추가 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는 상기 기계실 내 설치된 부품들의 하중으로 인해 하면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프레임에는 상기 기계실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면플레이트 및 측면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파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파트의 내측에는 상기 기계실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모듈은 냉장고의 수평 및 단차의 조절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의 개구된 상면은 판상의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을 수용하는 압축기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는 상기 압축기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높이를 최소화 하여 상기 기계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개구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 커버는 상기 절개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커버는 후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후면은 상기 기계실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의 후면이 충분히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압축기 및 제어 밸브의 장착 및 서비스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밀폐형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기계실 전면으로는 공기가 흡입됨과 더불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빌트인 방식과 같이 좁고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하더라도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 냉각성능 및 냉장고의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압축기와 방열팬은 흡입/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기계실의 안쪽에 설치된다. 즉, 다른 부품들에 비해 높이가 높은 부품들을 기계실 후방에 밀집시키고 나머지 부품들을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의 전방은 높이를 낮출 수 있고, 높이를 낮춘만큼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공간활용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압축기와 응축기는 구획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 방열팬이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가 응축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응축기의 방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된 방열팬은 그 자체가 일종의 구획벽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의 열기가 응축기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서, 응축기의 냉각효율과 냉장고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높이가 높은 압축기와 방열팬은 흡입구 및 배출구가 개구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 즉 기계실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높이만큼 큰 방열팬을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계실 내부의 방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방열팬은 회전축의 연장방향이 압축기를 향하도록 압축기와 마주보기 때문에, 압축기의 크기에 대응해서 충분히 큰 직경을 갖는 방열팬을 기계실에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기 뿐 아니라 압축기의 방열성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계실의 흡입구가 배출구 보다 더 넓다. 흡입구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확보하여 흡입구에 인접한 응축기의 냉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응축기가 설치된 구역을 지나서는 다시 배출구 쪽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기 및 방열팬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응축기의 방열기능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 더 중요한 응축기의 냉각을 위해 응축기는 흡입구 쪽에 가깝게 설치되고, 흡입구의 좌우폭은 응축기의 좌우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응축기가 충분히 많은 양의 외기와 만나 방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계실 내부는 분리격벽으로 구획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경로와, 기계실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경로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계실 내부의 일정한 경로, 즉 응축기-냉각팬-압축기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게 되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열팬이 분리격벽에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방열팬 자체가 일종의 분리격벽이 된다. 따라서 공기는 방열팬을 통과해야만 압축기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특히 방열팬에 의해 공기가 압축기 방향으로 유동되므로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가 응축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흡입구와 방열팬의 사이에 형성된 기계실의 내부공간은은 막혀 있어서 유입된 외기는 응축기를 거쳐 방열팬 방향으로만 집중되지만, 방열팬과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기계실의 내부공간은 바닥, 측면 또는 배면 등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외기의 초기유입은 특정 방향(응축기)으로 한정되지만, 일단 응축기와 압축기를 방열한 후에는 여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기계실의 방열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응축기는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응축기와 함께 캐비넷의 측면을 따라 내장되는 사이드응축관을 포함하고 있다. 사이드응축관이 메인응축기를 보조하여 함께 냉매를 응축하게 되므로, 메인응축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할 수 있고, 기계실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응축관은 캐비넷의 측면 내부에 내장되어 냉장고의 측면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장고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냉장고의 외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방열팬의 하단에 인접한 제상수트레이에는 방열팬을 향해 하향경사진 경사면(유동가이드면)이 형성되어, 방열팬 하단과 제상수트레이 사이에 데드스페이스를 없애고, 충분한 유동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팬의 하단 쪽에서도 방열팬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실에는 냉매사이클의 구현을 위한 장치들 뿐 아니라 제어모듈도 설치되어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데, 이때 제어모듈은 기계실의 출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기계실의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냉장고의 후방을 개방할 필요가 없고, 냉장고의 전방에서 제어모듈을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서, 제어모듈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기계실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면플레이트에 추가 흡입구와 추가 배출구를 더 형성하여, 높이가 낮은 소형 냉장고에서도 프론트 커버로부터 기계실의 내외로 흡입/배출되는 유량 외에, 추가적으로 흡입 또는 배출되는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하면 플레이트에는 기계실 공간을 흡입 공간과 배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 격벽을 교차하여 가로지르는 보강부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기계실 내에 설치된 부품들로 하면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후방에 구비된 후방 수평조절부가 동력 전달부에 의해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는 전방에서도 용이하게 냉장고 본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는 기계실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데, 커버 플레이트는 절곡된 구조를 통해 기계실 내부의 다른 구성들과 간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기계실의 구성부품들 중 가장 높은 형상을 가지는 압축기와 대응하는 부분은 별도 성형된 압축기 커버에 의해 차폐되도록 하여 기계실 내부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밀집된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넷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에서 냉동사이클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일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일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일실시례를 보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을 구성하는 제상수트레이만을 단독으로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제상수트레이에 응축기와 방열팬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제상수트레이의 응축기고정부에 응축기가 고정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기계실모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실시례에 의한 냉장고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냉장고를 구성하는 하면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20은 도 19의 후방 수평조절부의 횡단면도.
도 21는 도 19의 후방 수평조절부의 종단면도.
도 22는 상기 기계실 프레임과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3은 상기 기계실 프레임과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4은 상기 기계실 프레임과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도.
도 25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압축기 커버 및 메인 제어 밸브가 분해 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6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압축기 커버 및 메인 제어 밸브가 분해 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7는 상기 압축기 커버 및 메인 제어 밸브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증발기가 냉각실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증발기와 증발기가 조립되는 그릴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실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1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에서 제어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2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에 제어모듈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3는 도 32에서 제어모듈이 외부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가 커버플레이트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저면도.
도 35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저면도.
도 36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가 커버플레이트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7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냉매의 흐름을 표시한 개념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실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도 39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모듈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한다)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기계실모듈이 적용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계실모듈은 일반냉장고, 와인냉장고, 김치냉장고, 음료저장고, 식물재배장치와 같이 내부에 냉동사이클이 적용된 기계실모듈을 갖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실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크게 캐비넷(100), 기계실모듈, 베드(330a~300d), 베리어(400),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베드(330a~300d), 베리어(400) 및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는 상기 캐비넷(100) 내부에 설치되고,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조립체(130)가 조립된다. 그리고 기계실모듈은 캐비넷(100)의 하부에 조립된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높이가 낮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의 냉장고는 아일랜드 식탁 내부 등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로, 일반 냉장고 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내부 용량 뿐 아니라 각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작다. 따라서 작고 낮은 설치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례에서는 압축기(610)를 비롯한 부품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제어모듈(700)은 기계실모듈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크게는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10)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도어조립체(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고, 도어조립체(130)가 열리면 저장공간(121)이 전방으로 개방된다.
도 4에는 상기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아웃케이스(110)는 전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이너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 아웃케이스(1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15)가 조립되고,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18)이 조립되며, 저면에는 커버플레이트(250)가 조립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 이너케이스(120)가 위치한 상태에서 백플레이트(115), 전면프레임(118) 및 커버플레이트(250)가 각각 아웃케이스(1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15)에는 충진홀(116)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충진홀(116)을 통해서 발포 단열재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이너케이스(120)의 사이로 발포 단열재가 충진될 때,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하네스(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와 측면응축관(L4,L6, 도 6참조) 및 정면응축관(L8)가 발포층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일부와 측면응축기는 발포 단열재의 충진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캐비넷(10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121)이 있다. 상기 저장공간(121)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상기 저장공간(121)은 베드(330a~300d)에 의해 다수의 칸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1)의 안쪽 벽면에는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되고, 베드(330a~300d)은 가이드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저장공간(121)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를 보면, 구획된 상부의 저장공간(121)과 하부의 저장공간(121) 내부에는 다수의 베드(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상기 저장공간(121)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식품이 안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다수의 막대 또는 봉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냉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300)는 병 또는 캔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는 상기 저장공간(121)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12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2)은 상기 베드(300)의 양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베드(300)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는 상기 상부증발기(630b)와 하부 증발기(630a)를 각각 차폐하는 상부 그릴 팬(grill pan) 어셈블리(500b)와 하부 그릴 팬 어셈블리(50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a,630b)는 상기 이너 케이스(120)의 함몰된 후면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부 증발기(630b)와 하부 증발기(630a)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저장공간(121b)과 하부 저장공간(121a)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121)의 바닥면에는 회피부(123)가 있다. 상기 회피부(123)는 상기 저장공간(121)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부분인데, 상기 회피부(123)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계실모듈의 압축기(61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피부(123)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121)의 바닥쪽 일부는 단차진 공간을 가지게 된다.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조립체(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저장공간(121)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회전을 통해 여닫히는 구조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프레임(118)에 밀착되어 저장공간(121)을 차폐하거나, 회전을 통해 전면프레임(118)으로부터 멀어져 저장공간(121)을 개방시킨다.
즉, 상기한 도어조립체(130)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밀폐형의 저장공간(121)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밀폐형의 저장공간(121)은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 및 공조모듈(600)에 의해 냉기손실 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투시창(142) 구조로 만들어져 저장공간(121)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142)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42)을 유리로 형성할 경우 상기 유리에는 보호필름(도시는 생략됨)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저장공간(121) 내의 빛이 실내로 투과되어 비침을 최소화하는 빛 차단(일부 차단)용 필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호필름 대신 상기 투시창(142) 자체가 어두운 색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빛의 실내 투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계실모듈을 설명하면, 상기 기계실모듈의 골격을 구성하는 기계실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조모듈(600)이 설치되고,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캐비넷(100)이 결합된다.
이러한 기계실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사각틀 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내부에는 기계실(201)이 있어서 공조모듈(60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계실(201)은 상기 저장공간(121)과 구분된 공간이고,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상기 캐비넷(100)의 일부이거나, 또는 캐비넷(100)과 별개로 조립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211)와, 양측 벽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212)와,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플레이트(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250, 도 3참조)가 결합되어 안쪽의 기계실(201)을 차폐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250)는 캐비넷(100)의 하부에 조립되어 캐비넷(1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으나,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부를 구성하기도 하므로 기계실프레임(2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에는 방열공(211',214)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공(211',2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의 프론트 커버(220) 이외에 기계실프레임(200)을 외부와 연결시켜주는 부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배면플레이트(213)에 방열공(214)이 형성될 수 있고, 저면도인 도 11에서 보듯이 하면플레이트(211)에도 방열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측면플레이트(212)에도 방열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될 흡입구(225a)와 상기 방열팬(611)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계실(201)의 내부공간(흡입공간(I))에는 방열공이 없다. 즉, 흡입구(225a)와 상기 방열팬(611)의 사이에 형성된 흡입공간(I)은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하면플레이트(211), 측면플레이트(212) 및 배면플레이트(213)에 의해 막혀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방열팬(611)과 상기 배출구(225b) 사이에 형성된 상기 기계실(201)의 내부공간(배출공간(O))은 상기 하면플레이트(211), 측면플레이트(212) 또는 배면플레이트(213) 중 적어도 일부가 방열공(211',214)을 통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도 11을 보면, 방열공이 하면플레이트(211)에 형성되되, 기계실프레임(200)의 전면 입구에 흡입공간(I) 주변에는 방열공이 없고, 배출공간(O)에는 방열공(211',214)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흡입구(225a)와 방열팬(611)의 사이에 형성된 기계실(201)의 내부공간인 흡입공간(I)은 막혀 있어서 유입된 외기는 메인응축기(620)를 거쳐 방열팬(611) 방향으로만 집중되지만, 방열팬(611)과 배출구(225b) 사이에 형성된 기계실(201)의 배출공간(O)은 바닥, 측면 또는 배면 등의 일부가 방열공(211',214)을 통해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기의 초기유입은 특정 방향, 즉 메인응축기(620) 쪽으로 한정되지만, 일단 메인응축기(620)와 압축기(610)를 방열한 후에는 여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기계실의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흡입구(225a)는 상기 배출구(225b) 보다 넓다. 하지만 상기 흡입구(225a)에서 연결되는 상기 기계실(201)의 흡입공간(I)은 메인응축기(620)가 설치된 지역을 지나면 상기 기계실(201)을 구획하게 설치된 분리격벽(230)에 의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225a)를 넓게 하여 초기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이를 통해 메인응축기(6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메인응축기(620)를 냉각하기 위한 구역을 지나면 흡입공간(I)을 줄여 나머지 공간을 압축기(610), 송풍팬(611) 및 제어모듈(70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배면플레이트(213)에는 일부가 위쪽으로 더 돌출되는 보호플레이트(213')가 있는데, 상기 보호플레이트(213')는 압축기(610)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압축기(6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기계실프레임(200)과 이너케이스(1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측면플레이트(212) 및 배면플레이트(213)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양측면과 배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내부에는 기계실(201, 도 7참조)이 있다. 상기 기계실(201)은 일종의 설치공간인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공조모듈(600)을 구성하는 장치의 일부가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201)은 앞서 설명한 저장공간(121)과는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공조모듈(600)이 설치되고 동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저장공간(121)과 기계실(201)의 사이에는 별도의 구획용 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저장공간(121)과 기계실(201)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의 전방인 기계실프레임(200)의 개방된 전면에는 프론트 커버(2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220)은 기계실(201)의 외부로부터 기계실(201) 내로 흡입되는 공기 혹은, 기계실(201) 내로부터 기계실(20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면서 기계실(201)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220)은 상기 기계실(201)의 프론트커버로 볼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프론트 커버(220)에는 흡입구(225a) 및 배출구(225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5a)와 배출구(225b)는 후술될 분리격벽(230)에 의해 서로 구분된 위치에 분리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좌측의 흡입구(225a)와 우측의 배출구(225b)로 구분되나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에서 프론트 커버(220)이 분리된 도 6을 보면, 기계실프레임(200)의 전면 입구에 흡입공간(I)의 입구와 배출공간(O)의 출구가 노출되어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흡입공간(I)에는 메인응축기(620), 제상수트레이(240)가 설치되고, 배출공간(O)에는 압축기(610) 및 제어모듈(700)이 설치된다. 그리고 그 중간인 흡입공간(I)과 배출공간(O)의 사이에는 방열팬(611)이 있다. 방열팬(611)은 일종의 구획벽 역할을 하는 것인데, 보다 정확하게는 분리격벽(230)과 함께 기계실(201)의 내부공간을 나누고 있다.
분리격벽(230)을 살펴보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 내에는 기계실(201)을 두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격벽(23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 및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는 상기 프론트 커버(220)의 흡입구(225a)로부터 시작되고, 상기 기계실(201) 내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는 상기 프론트 커버(220)의 배출구(225b)에서 끝난다.
이와 함께, 상기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리된 기계실(201) 내의 좌우공간은 기계실(201)의 후방, 즉 배면플레이트(213)에 가까운 위치에서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가 배면플레이트(213)에 까지는 닿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생기는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이 배면플레이트(213)에 닿되, 개구공(도시는 생략됨)을 형성함으로써 기계실(201) 내의 양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가 배면플레이트(213)에까지는 닿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방열팬(611)이 설치되어, 방열팬(611)이 일종의 벽리격벽(230)의 일부가 된다. 물론, 방열팬(611)은 뚫려있기 때문에 방열팬(611)을 기준으로 흡입공간(I)과 배출공간(O)이 서로 연결되지만, 방열팬(611)이 가동하면 공기가 흡입공간(I)에서 배출공간(O)으로 흐르기 때문에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가 유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압축기(610)의 열기가 메인응축기(62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서, 메인응축기(620)의 냉각효율과 냉장고의 동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분리격벽(230)은 일자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사 또는, 절곡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격벽(230)이 절곡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분리격벽(230)의 일부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후술될 메인응축기(6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분리격벽(230)은 상기 흡입구(225a) 및 배출구(225b)의 사이에서 기계실(201)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1격벽(231)과, 상기 제1격벽(231)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2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제어모듈(700)로 인해 제1격벽(231)이 가려져 있지만 제2격벽(232)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제1격벽(231)이 표현되어 있는데, 도 9에서 보듯이 제1격벽(231)에 의해 구분된 공간에 메인응축기(620)가 배치된다.
기계실프레임(200)의 저면도인 도 11을 보면, 제1격벽(231)과, 상기 제1격벽(231)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232) 그리고, 상기 제1격벽(232)에서 연결되는 방열팬(611)의 설치위치를 볼 수 있다. 이에 보듯이 제1격벽(231)과, 제2격벽(232) 그리고, 방열팬(611)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격벽을 형성하고 있다. 물론, 제2격벽(232)과 방열팬(61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서로 매우 가깝게 배치되어 공기가 그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제1격벽(231)의 높이(H3)는 메인응축기(620)의 높이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제2격벽(232)은 제1격벽(231)의 한쪽 끝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팬(611)의 한쪽 끝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가 방열팬(611)을 거치지 않고 바로 압축기(61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2격벽(232)이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격벽(231)과 제2격벽(232)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별개물일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기계실(201) 내에는 제상수트레이(2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제상수트레이(240)는 기계실(201) 중 흡입구(225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바닥에 위치되면서 후술될 증발기(630)로부터 흘러내린 제상수를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메인응축기(620)를 기계실(201)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3을 보면, 상기 흡입구(225a)를 향한 제상수트레이(240)의 전방에는 메인응축기(620)가 설치되고, 제상수트레이(240)의 바닥면(241')에는 증발관(L2)이 설치된다. 상기 증발관(L2)은 제상수트레이(240)의 바닥면(241')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제상수트레이(240)에 고인 제상수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증발관(L2)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트레이(240)의 한쪽에는 송풍팬(611)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611)은 상기 제상수트레이(240)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제상수트레이(240)의 후방에서 제상수트레이(24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611)은 흡입구(225a)를 통해 공기를 기계실(201) 내부로 흡입하고, 응축기(620) 및 압축기(610)를 거친 공기를 전면의 출구, 즉 배출구(225b)로 배출시켜준다. 제상수트레이(240)와 송풍팬(611)의 설치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상수트레이(240)는 대략 사각틀 형태의 트레이몸체(241)가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트레이몸체(24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구획펜스(242)에 의해 내부에 제상수공간(Sa, Sb)이 만들어진다. 상기 구획펜스(242)는 상기 트레이몸체(241)의 바닥면(241')에서 소정의 돌출된 것이고, 상기 제상수공간(Sa, Sb)에는 증발기(630)에서 발생하여 낙하한 제상수가 고인다.
상기 제상수공간(Sa, Sb)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데, 구획펜스(242)의 한쪽에는 경사펜스(242')가 있어서 제상수공간(Sa, Sb)의 폭을 좁게 한다. 상기 경사펜스(242')는 앞서 설명한 분리격벽(230) 중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232)에 대응한다. 상기 경사펜스(242')와 인접하여 상기 제2격벽(232)이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펜스(242')는 상기 제2격벽(232)과 함께 격벽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상수공간(Sa, Sb)은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제상수공간(Sa)과 상대적으로 좁은 제2제상수공간(S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방열팬(611)이 제2제상수공간(Sb) 옆에 설치되므로, 방열팬(611)의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제2제상수공간(Sb)이 상대적으로 좁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제1제상수공간(Sa)은 메인응축기(620)가 안착되는 응축기안착판(246)과 같은 폭으로 넓기 때문에 제상수공간(Sa, Sb)은 충분히 많은 저장용량을 갖는다.
한편, 상기 구획펜스(242)에는 고정클립(244)이 있다. 상기 고정클립(244)은 상기 구획펜스(242)에서 상기 제상수공간(Sa, Sb)으로 돌출되고, 탄성이 있는 집게 형태이다. 상기 고정클립(244)은 증발기(630)에서 발생한 제상수를 전달하는 제상수파이프(590, 도 30참조)의 일부가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클립(244)은 제2제상수공간(Sb) 쪽에 2개가 구비되는데, 그 위치와 개수는 변경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클립(244)은 증발기(63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제상수공간(Sb) 쪽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몸체(241)의 한쪽에는 응축기안착판(246)이 있다. 상기 응축기안착판(246)은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몸체(241)에서 상기 흡입구(225a)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응축기안착판(246)은 상기 트레이몸체(241)와 달리 구획펜스(242)가 없고, 트레이몸체(241)의 바닥면(241')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몸체(241)와 상기 응축기안착판(246) 사이에는 유동경사면(245')이 상기 응축기안착판(246)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유동경사면(245')은 흡입구(225a)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구획펜스(242)에 막혀 자연스럽게 유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동경사면(245')은 상기 구획펜스(242) 중에서 응축기안착판(246)을 향한 전면의 구획펜스(242)에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안착판(246)에는 메인응축기(62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안착판(246)에는 응축기고정부(247)가 돌출되어 메인응축기(620)의 측면일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응축기고정부(247)는 응축기안착판(246)에서 돌출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서 메인응축기(620)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이부(248)로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고정부(247)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응축기고정부(247) 사이에 메인응축기(620)가 안착된다.
도 15를 보면, 상기 응축기고정부(247) 사이에 메인응축기(620)가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한 쌍의 상기 응축기고정부(247) 사이의 거리는 상기 메인응축기(620)의 폭과 대응한다. 따라서 걸이부(248)는 메인응축기(620)의 측면에 밀착되되, 메인응축기(62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메인응축기(620)의 측면을 변형시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부(248) 표면에는 탄성재질의 포밍부가 씌워져 메인응축기(620)의 표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응축기(620)는 별도의 고정구 없이 응축기고정부(247)를 통해 제상수트레이(240)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응축기(620)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나 납땜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응축기고정부(247)가 메인응축기(620)의 측면을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특히 비좁은 기계실(201)의 내부에 메인응축기(620)를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메인응축기(620)를 응축기안착판(246)에 안착시키는 작업만으로 메인응축기(620)를 고정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상수트레이(240)에는 유동가이드면(245)이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면(245)은 상기 구획펜스(242)의 적어도 일부가 방열팬(611)의 하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도 12와 도 13을 보면, 상기 제상수트레이(240)의 구획펜스(242)는 방열팬(611)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돌출되는데, 방열팬(611)이 구획펜스(242)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므로 방열팬(611)의 하단 전방은 데드스페이스가 되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동가이드면(245)은 상기 방열팬(611)의 하단과 상기 제상수트레이(240) 사이에 유동공간(Sc)을 확보하여, 상기 방열팬(611) 쪽으로 공기 흡입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4를 보면, 상기 유동가이드면(245)을 타고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면(245)은 하향경사진 표면을 통해서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방열팬(611)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가이드면(245)의 끝부분은 상기 방열팬(611)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동가이드면(245)은 상기 방열팬(611)과 마주보는 구획펜스(242) 구간에 형성된다.
한편, 도 3을 보면,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는 여타 부위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기계실(201) 내부의 후방측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계실(201) 내에 설치되는 방열팬(611)과 압축기(61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후방측 부위를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축기(610)는 가장 높이가 높기 때문에 커버플레이트(250)에는 압축기(610)의 높이에 대응하여 압축기커버(2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금속 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절곡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제1커버부(251)와 제2커버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는 압축기 커버(2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25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부(25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가장 낮은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정된 높이(H1, 도 9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251)의 높이(H1)는 상기 응축기(620) 및 상기 분리 격벽(230)의 높이(H1)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12)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버부(251)의 하면은 상기 응축기(620)의 상면과 상기 분리 격벽의 상단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12)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기계실(201)의 상면 전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커버부(251)는 상기 기계실(201)의 상면 전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실(201)의 상면 후반부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커버부(251)는 상기 기계실(201)의 전단에서 상기 방열팬(611)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부(251)의 전단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900)가 설치되는 오토도어설치부(253)가 있다. 상기 오토도어설치부(253)는 커버 플레이트(250)의 전방, 즉 상기 도어(130)를 향한 앞쪽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토도어설치부(253)의 하면은 개구되며, 상기 오토도어설치부(253)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중앙부는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700)과 대응하는 상기 제1커버부(251)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모듈(700)의 하네스가 출입되는 하네스커버(2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도어개방장치(900)를 구성하는 푸시로드(950)가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푸시로드(950)는 도어개방장치(900)에서 돌출되어 도어조립체(130)의 안쪽면에 있는 접촉부(B)를 밀어준다.
한편, 상기 제1커버부(251)의 후단에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연결부(2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연결부(254)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부(254)는 상기 방열팬(611)의 전단과 접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 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연결부(254)의 높이(H2)는 상기 방열팬(611)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연결부(25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부(252) 또한 상기 수직 연결부(254)와 동일한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버부(252)는 상기 방열팬(611)의 상단과 대응하는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버부(251)와 비교할 때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차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계실(201)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플레이트(212)와, 측면플레이트(212)에 결합되어 가장 바깥쪽 측면을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212a)는 모두 상기 기계실(201)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2커버부(252)는 상기 측면플레이트(212)나 상기 아웃플레이트(212a)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110)의 측면과, 상기 기계실(201) 측면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아웃플레이트(212a)의 표면은 서로 연속된 동일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고의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기계실(201) 중 상기 배출 공간(O)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정된 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610)의 높이(H2)는 상기 제2커버부(252)의 높이(H3)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커버부(252)의 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610)가 배치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일측은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에 상기 압축기(610)의 돌출된 상면을 차폐하기 위한 압축기 커버(2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입체적인 형상의 상기 압축기 상단을 효과적으로 수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내측에 상기 압축기(610)의 상단을 수용하기 위한 압축기 수용 공간(281)을 형성하도록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의 내측 상면은 설정된 높이(H4)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기 제2커버부(252)에서 상기 압축기(610)의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기 제2커버부(252)에서 상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는 하네스커버(257)가 구비된다. 상기 하네스커버(25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모듈(700)에서 연장되는 와이어하네스가 내장되는 부분으로, 와이어하네스의 연장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네스커버(257)는 아래쪽에 있는 제어모듈(700)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와이어하네스를 후방측, 즉 배면플레이트(213) 방향으로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인 도 16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의 기계실 바닥을 형성하는 하면 플레이트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앞선 실시례외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커버(220)는 앞선 실시례와 달리 하나로 연결된 그릴부(225)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릴부(225)는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여 상기 기계실(201) 내부로의 공기 유입과, 상기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220)에는 흡입부(220a)와 배출부(220b)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흡입부(220a)는 상기 배출부(220b) 보다 넓다. 하지만 상기 흡입부(220a)에서 연결되는 상기 기계실(201)의 흡입 공간(I)은 응축기(620)가 설치된 지역을 지나면 상기 기계실(201)을 구획하게 설치된 분리 격벽(230)에 의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는, 상기 기계실(201)의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의 후단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후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213)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전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220)에 의해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상기 흡입 공간(I)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추가 흡입구(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프론트 커버(220)에 구비된 그릴부(225)에서 흡입되는 유량과 함께, 상기 추가 흡입구(22)을 통해서 기계실(201) 내로 흡입되는 유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흡입구(22)는 상기 흡입 공간(I)의 전단, 즉 응축기(620)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추가 흡입구(22) 전방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가 위치하고, 상기 추가 흡입구(22) 후방에는 응축기(6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흡입구(22)는 상기 흡입 공간(I)을 상기 프론트 커버(220) 기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는, 상기 배출 공간(O)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추가 배출구(20a,20b)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 흡입구(22)을 통해 추가적으로 흡입 유량을 확보한 것과 대응하여, 추가적인 토출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는 하면 플레이트(211)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 커버에 구비된 그릴부(225) 외에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을 통해서도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며, 기계실(20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면적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영역 내에서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는 상기 추가 흡입구(22)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는 상기 압축기(610)가 배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1 배출구(20a)을 포함한다. 제1 배출구(20a)은 상기 압축기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 공간(O)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는 상기 제1 배출구(20a)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배출구(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구(20b)는, 상기 제어 모듈(700)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배출구(20b)는 상기 배출 공간(O)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어 모듈(700)을 냉각시키고, 제2 배출구(20b)를 통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구(20b)는 상기 제1 배출구(20a) 보다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1 보강부(24a)와 제3 보강부(24c) 보다는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보강부(24b) 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는 상기 흡입 공간(I)과 배출 공간(O)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24)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일측에서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입 공간(I)에 구비되는 응축기(620) 및 배출 공간(O)에 구비되는 압축기(610) 등의 하중을 하면 플레이트(211)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계실(201)은 상기 흡입 공간(I) 전방에 응축기(620)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공간(O) 후방에 압축기(610)가 구비되는 배치 구조로 인해서, 하면 플레이트(211)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지 못하고 편중 될 수밖에 없다.
즉, 상기 추가 배출구(20a,20b)가 형성된 구간에 구비되는 압축기(610)는, 응축기(620), 제상수 트레이(240) 등 기계실(201) 내 설치된 다른 구성들에 비해 하중이 크기 때문에, 하면 플레이트(211)는 지속적으로 압축기(610)가 위치한 배출 공간(O) 쪽에 하중이 편중되어, 하면 플레이트(211)가 일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압축기, 응축기(620) 등이 기계실(201) 내 설치되었을 때, 하면 플레이트(211)가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를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함몰되고, 복수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상면에서는 하방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게 되어, 상기 압축기(610), 응축기(620) 등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데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4)는, 일례로, 상기 응축기(620) 후단부 또는 후방에서 형성된 제1 보강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보강부(24a)는, 상기 추가 흡입구(22)과는 후방에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24a)는, 상기 추가 흡입구(22)과, 상기 제2 배출구(2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압축기(610) 전단부 또는 전방에 형성된 제2 보강부(2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보강부(24b)는, 상기 제1 배출구(20a)과 제2 배출구(2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24a)와 제2 보강부(24b)는, 상기 추가 흡입구(22)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20a, 20b)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제1 보강부(24a)와 상기 제1 배출구(20a) 사이에 형성된 제3 보강부(2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강부(24c)는, 상기 제1 보강부(24a)와 제2 보강부(2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24a)와 제2 배출구(20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가 상기 기계실(201) 내 설치된 구성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양측에는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후술할 사이드 파트(1251)와 결합되는 측면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연결부(25)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25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1251)는, 일 측면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결합되고, 타 측면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와 연결된다. 즉,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의 측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 측면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파트(12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1251)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측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다수회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1251)는, 상기 하면 플레트 측단(211)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결합하는 제1 파트(1251a)와, 상기 제1 파트(1251a)에서 상기 기계실(201)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파트(1251b)와, 상기 제2 파트(1251b)에서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와 결합되는 제3 파트(125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파트(1251a)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트(1251b)는, 상기 제1 파트(1251a)에서 양측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트(1251b) 하방에는 후술할 지지모듈(19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트(1251b) 중앙부에는 기계실(201)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사이드 토출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구(26)를 통해서,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에 구비된 추가 배출구(20a,20b) 외에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면적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구(26)를 구비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220)는 흡입부(220a)가 배출부(220b)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전방부에 흡입 공간(I)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220)를 통해서 흡입되는 흡입 유량이 배출 유량보다 크기 때문에 배출되는 유량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구(26)는, 상기 제2 파트(1251b)의 좌우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토출구(26)는, 상기 제2 파트(1251b)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구(26)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의 배출 공간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사이드 파트(1251)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파트(1251)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 양 측단 중에서, 상기 배출 공간(O)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제1 사이드 파트(1253)와, 상기 흡입 공간(I)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제2 사이드 파트(1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토출구(26)는, 상기 제1 사이트 파트(1253)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 공간(O)에서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상기 흡입 공간(I)에서는 공기가 기계실(201) 내로 흡입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파트(1251c)는, 상기 제2 파트(1251b) 일 측단에서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파트(1251c)는 체결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1251)가,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3 파트(1251c)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212)와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파트(1251)는, 상기 제3 파트(1251c)에서 기계실(201)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제4 파트(125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파트(1251d)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211)와 측단과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파트(1251d)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과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해서, 압축기 커버(28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제2커버부(252)에는 압축기 커버(28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기 압축기(610)의 상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제어 밸브(29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커버부(252)의 후단에는 절개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55)는 상기 압축기(610)와 대응하는 상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610)의 상부가 상기 절개부(255)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부(252)의 후단을 따라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6)는 상기 리어 커버(2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255)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2커버부(252)의 후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0)의 상면 형상이 곡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밸브(290)까지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상기 압축기(610) 및 제어 밸브(29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입체적인 형상은 금속 판상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로는 구현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내측면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압축기(610)의 상면의 곡면 형상과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전체적으로 하면과 후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함몰된 내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기 제2커버부(252)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 버의 개구된 하면은 상기 절개부(255)와 일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후면은 상기 절개부(255)의 후단 즉, 상기 결합부(256)와 일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커버(280)는 상방으로 돌출된 커버 바디(284)와, 상기 커버 바디(284)의 둘레의 양단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 테두리(282), 상기 커버 바디(284)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전면 테두리(285)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84)의 후단을 따라서 형성되는 후면 테두리(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284)의 상면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보강 리브(28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84a)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단열재의 형성을 위해 발포액이 주입되어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84)의 전단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바디 경사부(28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경사부(284b)는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상방을 향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커버(28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열재가 미충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바디(284)의 내측 즉, 하면에는 압축기 수용 공간(2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281)은 상기 압축기(610)의 상면과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281)의 높이 즉, 상기 커버 바디의 높이(H4)는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기(610)의 상단보다 다소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281)은 상기 압축기(610)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의 상면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281) 일측에는 측방으로 더 함몰된 밸브 수용 공간(28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수용 공간(281a)의 후단 즉, 상기 커버 바디(284)의 후단 일측 모서리에는 함몰된 밸브 장착부(2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테두리(282)는 상기 압축기 커버(281)의 좌우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와 수평한 면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255)의 양측면을 따라서 접하게 된다. 상기 측면 테두리(282)는 상기 절개부(255)의 양측과 대응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테두리(28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리베팅, 체결부재의 결합, 접착 또는 접합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바디(284)의 개구된 둘레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가이드 리브(28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리브(287)는 상기 측면 테두리(282)와 전면 테두리(285)의 내측단을 따라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255)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 커버(280)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 리브(287)와 상기 절개부(255)는 서로 밀착되어 올바른 결합 위치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바디(284)의 개구된 하면은 상기 절개부(255)와 일치된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테두리(285)는 상기 측면 테두리(282)의 전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바디(284)의 전단을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와 수평한 면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테두리(285)의 전단은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연결부(254)의 전면에 밀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테두리(285)는 상기 상기 제2커버부(252)의 전단과 수직 연결부(254)의 단차진 부분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부(252)와 상기 수직 연결부(254)에 걸쳐서 고정 장착되어 상기 압축기 커버(280)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테두리(283)는 상기 커버 바디(284)의 후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213)와 서로 면접촉될 수 있으며, 서로 접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213)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을 차폐하게 되며,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개구된 후면까지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바디(284)에는 상기 밸브 수용 공간(281a)과 밸브 장착부(2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수용 공간(281a)은 상기 커버 바디(284)의 일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281)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바디(284)의 개구된 하면은 전체적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요 부분은 상기 압축기 수용 공간(281)를 형성하고 측방의 일부 공간은 상기 밸브 수용 공간(281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수용 공간(281a)의 개구된 후단부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밸브 장착부(2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장착부(286)는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개구된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커버(213)가 분리되어 상기 기계실(201)의 후면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장착부(286)가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장착부(286)로의 접근 및 상기 제어 밸브(290)의 장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밸브(290)는, 상기 압축기(610) 및 응축기(62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 본체(291)와 상기 밸브 본체(291)가 장착되는 밸브 브라켓(2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290)는 상기 밸브 본체(291)가 상기 밸브 브라켓(292)에 먼저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 브라켓(292)이 상기 밸브 장착부(286)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브라켓(292)은 상기 제어 밸브(290)가 관통 장착되는 브라켓 수평부(292b)와, 상기 브라켓 수평부(292b)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수직부(292c) 그리고, 상기 브라켓 수직부(292c)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밸브 장착부(286)에 고정 장착되는 브라켓 고정부(29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292a)는 상기 브라켓 수직부(292c)에서 후방으로 단차진 구조를 가지며, 단차진 상기 밸브 장착부(286)에 안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수평부(292b)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292a)와 반대되는 상기 기계실(201)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290)는 후측 상단에 위치한 브라켓 고정부(292a)를 상기 밸브 장착부(286)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밸브(290)는 상기 기계실(201)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축기 커버(280)의 상기 밸브 수용 공간(281a)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리어 커버(213)를 닫게 되더라도 상기 리어 커버(213)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계실(201)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압축기(610)가 구비되는 후반부는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압축기(610)의 장착과 상기 제어 밸브(290)의 장착 및 배관의 용접 작업등이 컴팩트한 상기 기계실(201) 공간 내에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그릴플레이트(270)와 그릴팬어셈블리(5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공간(121)의 안쪽에는 그릴플레이트(27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는 직사각형 형상의 벽체로 이루어지고, 그릴팬어셈블리(500)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후면 중앙 좌,우측에는 각각 메인 그릴고정단(271)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그릴고정단(271)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후면 중앙 좌,우측에 각각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메인 그릴고정단(271)은 상기 저장공간(121)의 안쪽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21)에 상기 그릴플레이트(27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0을 보면,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270a)에는 공기유입홀(275) 및 토출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홀(275)은 저장공간(121)의 공기가 냉각실(125)로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토출부는 반대로 냉각실(125)의 공기가 저장공간(121)으로 토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270a) 하부에는 공기유입부(27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272)는 벽체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데, 상기 저장공간(121)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공기유입부(272)는 이너케이스(120)에서 상기 그릴플레이트(270)를 향한 내면(124, 도 30참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부(272)는 증발기(630)에서 멀어져 증발기(63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272)의 아래쪽에는 공기유입홀(275)이 배치되어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방측을 통해 후술할 공기유입홀(275) 측으로 물방울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272)는 저장공간(121) 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그릴플레이트(270)의 전면부에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물방울이 하부 방향으로 낙하하여 공기유입홀(27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이너케이스(120)에서 그릴팬어셈블리(500)을 바라보는 내면(124)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과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회피함몰부(124')가 함몰되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은 상기 회피함몰부(124')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사이에 충분한 공기유동공간이 확보된다. 참고로 도 28에서 도면부호 124''는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에서 어큐뮬레이터(639)의 후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함몰된 설치함몰부를 나타낸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의 슈라우드(510)에는 가이드벽체(520)가 있고, 여기에는 슈라우드 고정부(522)가 있어서 그릴팬어셈블리(500)이 그릴플레이트(270)의 배면(270b)에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라우드(510)에는 그릴팬부재(55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팬부재(550)에는 다양한 그릴팬이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축류팬방식의 그릴팬을 적용하기로 한다.
다음은, 공조모듈(6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조모듈(600)은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저장공간(121) 내의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조모듈(600)은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와 증발기(630)를 포함하는 공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공조장치에 의해 저장공간(121)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는 기계실프레임(200) 내의 기계실(201)에 구비된다. 여기서, 응축기(620)는 메인응축기(620)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프레임(200) 내의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할된 양측 중 공기가 유입되는 측, 즉 흡입공간(I)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메인응축기(620)를 통과한 공기가 경유하는 부분인 배출공간(O)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계실프레임(200)의 기계실(201) 내로 유입된 공기가 메인응축기(620)를 우선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압축기(610)는 다량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공기가 압축기(610)를 지난 후 메인응축기(620)와 열교환되도록 구성될 경우 그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압축기(610)보다 메인응축기(620)를 먼저 지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메인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201) 내의 전방에 있는 유입구(225a)와 인접하게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기계실(201) 내의 후방측(배면플레이트(213)에 인접한 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의 위치를 최대한 구획됨과 더불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메인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는 서로 구획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방열팬(611)은 상기 흡입구(220a)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20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배출구(220b)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2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에는 방열팬(611)이 구비되면서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610)를 방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팬(611)은 메인응축기(620)가 위치된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압축기(610)가 위치된 부위를 사실상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메인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열팬(611)는 앞서 설명한 분리격벽(230)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610)와 방열팬(611)은 상기 기계실(20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213) 전방에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다른 부품들에 비해 높이가 높은 부품들이 기계실(201) 후방에 밀집될 수 있고, 나머지 부품들을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기계실(201)의 전방은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201) 전방의 높이를 낮춘만큼 냉장고의 저장공간(121)을 늘릴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저장공간(121)의 바닥면에는 회피부(123)가 있는데, 상기 회피부(123)의 아래쪽에 압축기(610)와 방열팬(611)이 있고, 회피부(123)의 앞쪽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610)와 상기 방열팬(611)은 상기 흡입구(225a) 및 상기 배출구(225b)가 개구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도 8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압축기(610)와 상기 방열팬(611)은 모두 배면플레이트(213)에 가깝게 배치되되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8과 같이 상기 압축기(610)와 상기 방열팬(611)이 배면플레이트(213) 전방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방열팬(611)의 회전축의 연장방향은 상기 압축기(610)를 향함으로써 방열팬(611)의 대부분이 압축기(610)와 겹치는 구간에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서, 도 9를 보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열팬(611)이 상기 압축기(610)를 대부분 가리게 된다. 따라서 크기가 큰 상기 압축기(610)와 방열팬(611)은 기계실(201) 내부에서 같은 선상에 배치되고, 그 전방은 저장공간(121)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쓸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도 8을 보면, 상기 방열팬(611)은 상기 흡입구(225a)의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측면플레이트(212)와 이격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212)와의 사이에 상기 흡입구(225a)와 연결되는 공기유동공간을 만든다. 여기서 공기유동공간은, 도 8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앞서 설명한 공기유동가이드(245)의 좌측에 해당하는 제상수트레이(240)의 상부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팬(611)의 회전축의 연장방향은 상기 흡입구(225a)가 개구된 방향과 직교하게 형성된다. 즉, 방열팬(611)이 압축기(610)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동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방열팬(611)이 메인응축기(620)를 바라보거나, 비스듬하게 설치된다면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고,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열팬(611)이 압축기(610)를 정면으로 바라봄에 따라, 상기 방열팬(611)에서 압축기(610) 쪽으로 강한 바람이 분사되어, 압축기(610)를 효과적으로 냉가시켜줄 수 있다.
이렇게 방열팬(611)은 공기의 흡입과 공기의 배출을 통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품이고, 크기가 클수록 냉각성능이 좋아질 수 있다. 도 9를 보면,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방열팬(611)이 압축기(610)와 나란하므로, 최대 압축기(6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의 방열팬(611)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팬(611)의 높이(H2)는 상기 압축기(610)의 높이(H1)와 같거나 작은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기는(610) 상기 배출구(225b)가 개구된 경로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압축기(610)를 거쳐 데워진 공기는 곧장 배출구(225b)를 향해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610) 상기 배출구(225b)가 개구된 경로 상에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모듈(600)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 내부를 냉매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면서 냉동사이클이 동작된다. 이때, 각 부품들은 여러개의 냉매관들로 연결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증발관(L2), 측면응축관(L4,L6)과 전면응축관(L8) 등도 냉매관에 포함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증발관(L2)은 제상수트레이(2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상수트레이(240)의 바닥면(241')에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증발관(L2)은 제상수트레이(240)의 바닥면(24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되, 최대한 길이를 길게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서 보듯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증발관(L2)은 메인제어밸브(625)를 통해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토출관(610a, 도 8참조)에 연결되어 고압/고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데, 제상수트레이(240)의 바닥면(241')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제상수트레이(240)에 고인 제상수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부호 L1은 메인제어밸브(625)와 증발관(L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을 가리킨다.
상기 증발관(L2)은 메인응축기(620)에 연결되고, 메인응축기(620)에는 제1측면응축관(L4)이 연결된다. 상기 제1측면응축관(L4)은 도 6을 기준으로 캐비넷(10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구비된다. 도 8을 보면 상기 메인응축기(620)와 상기 제1측면응축관(L4)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L3)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측면응축관(L4)은 기계실(201)을 가로지르는 제3연결관(L5, 도 6참조)을 통해서 제2측면응축관(L6)과 연결된다. 상기 제2측면응축관(L6)은 제1측면응축관(L4)과 쌍을 이루어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도 6을 기준으로 보면 캐비넷(100)의 우측면에 구비된다. 물론 제2측면응축관(L6)이 반드시 제1측면응축관(L4)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제2측면응축관(L6)은 제4연결관(L7)을 통해서 전면응축관(L8)과 연결된다. 상기 전면응축관(L8)은 캐비넷(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회 절곡된 냉매관이다. 도 6에는 상기 전면응축관(L8)이 대략 사각형상인데, 이것은 앞서 설명한 전면프레임(118)에 대응하는 형상이 된다.
상기 제1측면응축관(L4), 제2측면응축관(L6) 및 전면응축관(L8)은 각각 상기 메인응축기(620)와 함께 냉매의 응축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계실(201)의 높이가 낮고 좁아 기계실(201) 안에 큰 메인응축기(620)를 설치하지 못하더라도 이를 보완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측면응축관(L4), 제2측면응축관(L6) 및 전면응축관(L8)도 메인응축기(620)와 함께 응축기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응축관(L4), 제2측면응축관(L6) 및 전면응축관(L8)은 캐비넷(100)의 외관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므로, 냉장고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하여 상기 캐비넷(100)의 표면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핫라인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응축관(L4), 제2측면응축관(L6) 및 전면응축관(L8)은 앞서 설명한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가 충진될 때, 단열재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측면응축관(L6)은 제5연결관(L9)을 통해서 증발기(630)와 연결된다. 상기 증발기(630)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각 부위 중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된다. 즉,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의 동작에 의해 저장공간(121) 내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해당 저장공간(121) 내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동작시 상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6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증발기(630)는 판형 증발기(630)로 구성됨으로써 이너케이스(120)의 내벽면 중 후방측 벽면의 전방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열교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L10은 증발기(630)와 상기 메인제어밸브(625)를 연결하는 증발기연결관을 나타낸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응축관(L8)과 상기 증발기(630) 사이에는 드라이어와, 모세관(Capillary Tube)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경우에 전면응축관(L8)-드라이어-메인제어밸브(625)-모세관(Capillary Tube)-증발기(630) 순으로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드라이어는 습기 및 이물질을 걸려 주어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모세관은 팽창밸브로 교축(Throttling) 작용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증발기(630)를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610)의 냉매유입관(610b, 도 8참조)으로 다시 유입되어 냉동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증발기(6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계실(201)에 설치된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 등을 거치면서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 냉매가 상기 모세관(Capillary Tube)의 교축작용을 통해 압력 및 온도가 낮춰진 액체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증발기(6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증발기(630)는 이러한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전달받아, 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면서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공간(121)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팽창밸브는 메인응축기(620)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증발기(630)에서 증발되기 쉽도록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스로 압력을 낮추고, 냉매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증발기(630)로 배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냉장실용 팽창장치에는, 모세관(capillary tube)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냉매가 상기 모세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의 유동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하여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증발기(630)는 냉각실(125)에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도 30에서 보듯이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과 그릴플레이트(270)의 사이에 만들어진 냉각실(125)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3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그릴팬어셈블리(500)이 위치하여 그릴팬어셈블리(500)은 아래쪽, 즉 공기유입홀(275)을 통해 저장공간(12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630)를 통과하여 상부의 토출부를 통해 다시 저장공간(121) 내부로 배출한다.
상기 증발기(63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증발기(63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638) 및 상기 냉각관(638)이 통과하는 냉각핀(65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관(638)은 일종의 긴 파이프로 볼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모세관(팽창밸브)과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증발기(630)를 거친 냉매를 다시 배출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냉각관(638)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관(638)은 제1냉각관(638a)과 제2냉각관(638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냉각관(638a)은 모세관(팽창밸브)에서 공급된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핀(650)의 핀홀(653a, 653b)들을 연속하여 통과하고 가장 바깥쪽의 냉각핀(650)까지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제2냉각관(638b)은 상기 제1냉각관(638a)과 연결되고 역시 냉각핀(650)의 핀홀(653a, 653b)들을 연속하여 통과한다. 상기 제1냉각관(638a)과 상기 제2냉각관(638b)은 상기 다수개의 냉각핀(650)들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냉각핀(650)의 바깥쪽에서 방향을 바꾸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냉각관(638a)과 제2냉각관(638b)은 별개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관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중간에 방향을 바꾼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냉각관(638b)의 중간에는 어큐뮬레이터(639)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39)에는 제2냉각관(638b)을 통과하여 주변의 열을 흡수한 냉매가 전달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39)는 전달된 냉매 중 미기화된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가 압축기(6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냉각핀(650)의 구성을 보면, 상기 냉각핀(650)은 상기 저장공간(121)의 후방, 즉 냉각실(125) 내부에 1열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냉각핀(650)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증발기(630)를 구성하되, 이러한 냉각핀(650)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열을 구성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냉장고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기 이해 1열로만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냉장고가 와인 등 주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이므로, 냉동기능이 필요 없고 냉장설정온도의 범위가 좁기 때문에 다수열의 냉각핀(650)은 불필요하다. 물론 이와 달리 냉각핀(650)이 2개열 이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핀(650)은 얇은 금속판상으로 만들어지고,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에 유리하도록 다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핀(650)들의 그 사이사이는 공기의 유동을 위해 이격되어 있다.
상기 냉각핀(650)에는 핀홀(653a, 653b, 도 30참조)이 형성되는데, 상기 핀홀(653a, 653b)은 상기 냉각관(638)을 구성하는 제1냉각관(638a) 및 제2냉각관(638b)이 각각 통과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핀홀(653a, 653b)은 상기 냉각핀(650)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냉각관(638)은 상기 냉각핀(650)의 상하부를 각각 통과하면서 2열로 배치된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핀(650)에는 핀홀(653a, 653b)은 3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핀홀(653a, 653b)들을 냉각관(638)이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냉각핀(650)에는 핀홀(653a, 653b)이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냉각관(638)이 상기 하나의 핀홀(653a)를 통과한 후에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아갈 때는 핀홀을 통과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냉각핀(650)의 회전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핀홀(653a, 653b)은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핀(650)에 핀홀(653a, 653b)이 2개인 경우는 일반적이므로, 기존의 냉각핀(650)을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핀(650)은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냉각핀(650)은 폭보다 높이가 크도록 세워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냉각핀(650)의 폭은 도 30을 기준으로 좌우길이를 의미하고, 높이는 상하길이를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냉각핀(650)이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에 비해 냉각실(125)에서 차지하는 좌우폭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실(125)의 전체 좌우폭도 작아질 수 있고, 반대로 저장공간(121)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핀(650)은 중력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냉각핀(650)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세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냉각실(125)의 좌우폭을 고려하면 도 30과 같이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핀(650)에는 핀홀(653a, 653b)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핀홀(653a, 653b)은 상부핀홀(653a)과 하부핀홀(653b)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들 상부핀홀(653a)과 하부핀홀(653b)은 상기 냉각핀(650)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냉각관(638)이 상기 두 개의 핀홀(653a, 653b)을 각각 통과하게 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냉각핀(650)은 상기 핀홀(653a, 653b)이 서로 이웃한 다른 냉각핀(650)의 핀홀(653a, 653b)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냉각관(638)은 같은 높이의 상기 핀홀(653a, 653b)들을 연속으로 통과하며, 가장 바깥쪽의 냉각핀(650)의 핀홀(653a, 653b)을 통과한 냉각관(638)은 방향을 바꾸어 높이를 달리하는 다른 핀홀(653a, 653b)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관(638) 중에서 제1냉각관(638a)은 상부핀홀(653a)들을 연속으로 통과한 후에, 가장 바깥쪽의 냉각핀(650)의 핀홀(653a, 653b) 주변에서 방향을 바꾸어 제2냉각관(638b)이 되어 하부핀홀(653b)들을 통과하는 것이다. 이때, 제1냉각관(638a)과 제2냉각관(638b)은 가장 바깥쪽의 냉각핀(650) 주변에서 대략 U자형상으로 벤딩된 이음부(660)를 통해 이어진다.
이와 같이 제1냉각관(638a)과 제2냉각관(638b)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냉각핀(650)을 통과한다. 따라서 냉각핀(650)은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관(6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증발기홀더(640)와 함께 일종의 증발기(630)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1냉각관(638a)은 상기 상부핀홀(653a)을 통과하고, 제2냉각관(638b)은 하부핀홀(653b)들을 통과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관(638)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냉각핀(650)의 위쪽을 먼저 통과한 후에 아래쪽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공간(121)에서 전달된 습도가 높은 공기와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냉각핀(650)의 하부에서 서리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630)의 일부구역에서 상기 제2냉각핀(652)들이 다른구역의 제1냉각핀(651)들보다 사이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배치된다. 도 28을 보면, 상기 증발기(63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냉각핀(650)들 중에서 제1냉각관(638a)의 초입부와 연결되는 제2냉각핀(652)들은 상대적으로 사이간격이 넓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것은 잔빙이나 제상수가 주로 낙하하는 구역의 제2냉각핀(652)을 넓게 배치하여, 잔빙이나 제상수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증발기(630)의 양쪽 끝에는 증발기홀더(640)가 있다. 상기 증발기홀더(640)는 상기 냉각핀(650)과 같은 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증발기(630)를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증발기홀더(640)는 상기 냉각핀(650)과 평행하게 세워지는 홀더몸체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홀더몸체는 대략 얇은 판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는 상기 냉각핀(650)과 나란하게 세워지되, 냉각핀(650)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증발기홀더(640)는 증발기(630)의 좌우측면에서 냉각핀(65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에는 강도보강리브(642)가 있다. 상기 강도보강리브(642)는 상기 홀더몸체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홀더(640)의 강도보강리브(642)는 상기 증발기홀더(6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부분을 따라서 강도보강리브(642)가 구비되어, 증발기홀더(640)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다. 상기 증발기홀더(640)는 얇은 판상으로 만들어지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휘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강도보강리브(642)가 증발기홀더(640)의 휘어짐 등을 방지해준다.
이때, 상기 증발기홀더(640)의 강도보강리브(642)는 상기 증발기홀더(640)의 양단에서 상기 증발기홀더(640)가 세워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강도보강리브(642)는 상기 증발기홀더(640)의 양쪽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되, 상기 증발기홀더(64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증발기홀더(640)의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증발기홀더(640)는 상기 증발기(630)의 양쪽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9에서 보듯이, 상기 한 쌍의 증발기홀더(640)는 같은 높이이고, 강도보강리브(642)가 돌출되는 방향도 동일하다. 따라서 한 쌍의 강도보강리브(642) 사이의 간격이 상기 냉각핀(650)의 폭 보다 크기 때문에 증발기홀더(640)와 냉각핀(650)이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증발기홀더(640)가 같은 형상이므로, 증발기홀더(640)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와 공정이 일원화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에는 고정걸이(645)가 있다. 상기 고정걸이(645)는 후크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홀더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캐비넷(100)의 이너케이스(120)에 걸려 고정된다. 도 28에서 보듯이,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에는 고정걸이(645)가 걸어지는 고정홈부(129)가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645)가 걸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0을 보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이 설치되는 그릴플레이트(270)의 하부에는 저장공간(121)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272)가 있는데, 상기 공기유입부(272)의 높이는 상기 증발기(630)의 냉각핀(650)의 높이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겹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부(272)는 상기 증발기(630)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저장공간(121) 방향, 즉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공기유입부(272)와 상기 증발기(630) 사이에 자연스럽게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부(272)에 있는 공기유입홀(275)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유입부(272)의 공기유입홀(275)은 상기 냉각핀(65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기유입홀(275)은 상기 냉각핀(650)을 마주보도록 상향경사져 있어서, 저장공간(121)의 공기가 정확하게 증발기(630)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120)에서 그릴팬어셈블리(500)을 바라보는 내면(124)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과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회피함몰부(124')가 함몰되는데,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회피함몰부(124') 보다 아래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유입홀(275)-증발기(630)-회피함몰부(124')-그릴팬어셈블리(500) 순으로 원활한 공기유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제어모듈(700)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기계실(201)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모듈(700)은 냉장고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공간(121)의 온도조절, 통신, 디스플레이모듈(800)을 통한 정보의 표시 등 다양한 기능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700)은 기계실(201) 내부에 설치되어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제어모듈(700)의 설명에 앞서 상기 제어모듈(700)이 설치되는 구조를 보면, 상기 제어모듈(700)은 본 실시례에서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는 케이스 가이드(2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배출구(225b)가 개방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700)이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를 따라 상기 배출구(225b)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게 한다. 도 31에는 제어모듈(700)이 기계실(201)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흡입구(225a)가 개방된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도 있지만, 흡입구(225a)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225b) 쪽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3을 보면,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상기 제어모듈(700)의 양쪽 측면과 결합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어모듈(700)은 한 쌍의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 사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260) 중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케이스 가이드(260)를 제1레일(260a)로, 그리고 우측의 케이스 가이드(260)를 제2레일(260b)로 구분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260a)은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설치되고, 제2레일(260b)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상기 제1레일(260a)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도 32과 도 33에는 제1레일(260a)과 제2레일(260b)이 독립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제1레일(260a)과 제2레일(260b)이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제1레일(260a)과 제2레일(260b)이 잘 보이도록 도면에는 커버플레이트(250)가 생략된 상태이다.
상기 제1레일(260a)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레일(260a)은 제1고정프레임(262)과 제1가이드프레임(2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262)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제1레일(260a)이 커버플레이트(2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264)에는 상기 제어모듈(700)의 측면 일부가 끼워지는 제1가이드채널(H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262)과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264)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게 서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264)도 체결구 등을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3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264)에는 제1가이드채널(H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채널(H1)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700)을 구성하는 수납케이스(710)의 한 쪽 측면 가장자리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264)은 상면부(264a)와 측면부(264b), 그리고 하단고정부(264c)가 서로 'ㄷ'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제1가이드채널(H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레일(260b)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레일(260b)은 제1레일(260a)과 마찬가지로, 제2고정프레임(265)과 제2가이드프레임(26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프레임(265)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제2레일(260b)이 커버플레이트(2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267)에는 상기 제어모듈(700)의 측면 일부가 끼워지는 제2가이드채널(H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프레임(265)과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267)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게 서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267)도 체결구 등을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3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267)에는 제2가이드채널(H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채널(H2)은 상기 제1가이드채널(H1)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700)을 구성하는 수납케이스(710)의 한 쪽 측면 가장자리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267)은 상면부(267a)와 측면부(267b), 그리고 하단고정부(267c)가 서로 'ㄷ'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제1가이드채널(H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는 2개의 레일로 분리되어 구성되므로, 서로 독립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가이드(260)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를 설치과정에서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262)과 제2고정프레임(265)은 서로 상보적인 위치에 있어서, 제1레일(260a)과 제2레일(260b)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레일(260a)과 제2레일(260b)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의 제1레일(260a) 또는 제2레일(260b) 중 적어도 하나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700)을 보면, 상기 제어모듈(700)의 양측면은 각각 상기 제1레일(260a)과 제2레일(260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상기 프론트 커버(220)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전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어모듈(700)의 전면부가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에서 S는 제어모듈(700)이 설치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기계실(201)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225a) 또는 배출구(225b)와 마주보도록 상기 기계실(201)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배출구(225b)에 인접한 상기 기계실(20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700)이 상기 기계실(201)에 설치되면 상기 제어모듈(700)의 저면과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배출공간(O)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모듈(700)은 기계실(201)의 출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기계실(201)의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모듈(700)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냉장고의 후방을 개방할 필요가 없고, 냉장고의 전방에서 제어모듈(700)을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계실모듈이 빌트인 냉장고에 적용된다면, 냉장고 전체를 설치장소에서 꺼낼 필요 없이, 냉장고의 전방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기계실(201)의 천장에 해당하는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면, 즉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과 마주보면서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제어모듈(700)은 눕혀진 상태로 기계실(201)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어모듈(700)을 구성하는 메인제어기판은 일종의 서랍구조인 수납케이스(710)의 내부에 평행하게 눕혀진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구로 메인제어기판을 고정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물론,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해서 메인제어기판을 수납케이스(7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모듈(700)은 기계실(201)의 상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250)에 설치되므로, 기계실(20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압축기(610) 등의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제어모듈(7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와 제어모듈(700)의 사이, 또는 케이스 가이드(260)와 커버플레이트(250)의 사이에 별도의 댐퍼(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700)은 기계실(201)의 높이방향이 아니라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므로, 적어도 배출구(225b)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좌우 설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700)을 구성하는 메인제어기판의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실제로 도 8을 보면, 제어모듈(700)이 배출구(225b) 쪽에서 압축기(610)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7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면, 상기 제어모듈(700)은 수납케이스(710)와 메인제어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케이스(710)는 상기 기계실(201)의 상부, 즉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중심에는 수납공간(701)이 있다. 도 32을 보면, 상기 수납케이스(710)는 대략 사각틀 구조로, 상부로 개방되어 수납공간(701)이 드러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710)는 상기 배출구(225b) 내외로 입출가능하게 상기 배출구(225b)의 폭 보다 작거나 같은 폭을 갖는다. 그리고, 배출구(225b)의 높이를 과도하게 줄이지 않도록, 상기 수납케이스(710)가 분리된 상태의 배출구(225b)의 높이의 1/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를 보면, 상기 수납케이스(710)에는 보호벽(712,713)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벽(712,713)은 상기 수납공간(701)을 감싸도록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벽(712,713)의 높이가 수납케이스(710)의 높이가 된다.
상기 보호벽(712,713)은 기계실(201)의 안쪽을 향한 후방벽(712)과, 바깥쪽을 향한 전방벽(713)을 포함하고, 측면을 따라서는 가이드단(715)이 있다. 상기 가이드단(715)은 상기 케이스 가이드(260)에 조립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단(715)은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케이스 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채널(H1) 및 제2가이드채널(H2)에 끼워진다.
물론, 수납케이스(710)가 기계실(201) 내부에 조립되는 구조는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케이스(710)는 기계실(201)의 전면을 기준으로 전후방의 슬라이딩구조로 기계실(201)에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수납케이스(710)를 기계실(201) 안쪽에 삽입한 후에, 삽입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걸림구조가 기계실(20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단(715)은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측면에서 상기 기계실(201)을 덮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가장 가까운 상단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단(715)은 측면의 상단을 따라 구비되는 것인데, 측면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단(715)이 측면의 상단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수납케이스(71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 쪽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별도의 커버가 없어도 수납공간(701)의 상면이 커버플레이트(2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수납공간(70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보호벽(712,713) 안쪽에는 구획벽(720)이 있다. 상기 제어모듈(700)의 수납케이스(710)에는 메인제어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701)이 중심에 있는데, 상기 구획벽(720)은 상기 수납공간(701)을 다시 구획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획벽(720)은 상기 수납공간(701)을 둘러 상기 수납공간(701)의 바깥쪽에 와이어연결공간(702)을 형성한다. 즉, 상기 구획벽(720)과 보호벽(712,713) 사이에는 와이어연결공간(702)이 만들어진다.
상기 와이어연결공간(702)에는 상기 메인제어기판에 연결된 와이어하네스(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된다. 상기 와이어연결공간(702)은 수납공간(701)과는 독립적인 공간이므로, 와이어하네스를 쉽게 정리할 수 있다. 특히, 좁은 기계실(201) 내부에서 다수 가닥의 와이어하네스들은 자칫 꼬이거나 메인제어기판의 부품을 비롯한 주변 부품과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데, 상기 와이어연결공간(702)을 통해 이들을 정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연결공간(702)은 대략 'ㄱ'형상의 경로를 갖는데, 이와 달리 상기 와이어연결공간(702)은 상기 수납공간(701)의 바깥쪽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구획벽(720)은 상기 보호벽(712,713)과 함께 일종의 이중벽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기판 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상기 구획벽(720)이 한번 더 걸러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700)의 수납케이스(710)에서 상기 기계실(201)의 안쪽을 향한 후방에는 연결홀(712')이 관통된다. 상기 연결홀(712')은 상기 제어모듈(700)에 연결된 와이어하네스의 일부가 이를 통해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홀(712')은 상기 와이어연결공간(702)의 후방을 관통해서 형성된다.
이어서 도 34 내지 도 36를 참고하여 도어개방장치(9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에서 상기 저장공간(121)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공간(253)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253)은 캐비넷(100)의 하부 일부가 움푹 들어간 형상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공간(253)은 커버플레이트(250)에 만들어진다.
즉, 상기 기계실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 사이에는 커버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201)을 덮고,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서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를 향해 함몰된 설치공간(253)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250)는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발포공간을 만들기 때문에 그 위쪽으로 발포제가 충진되어 단열부가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단열부의 공간 쪽으로 함몰되고, 다른 부품들과 간섭될 염려가 없다. 또한 도어개방장치(900)를 둘러싼 커버플레이트(250)의 주변은 단열부가 채워지는데, 이러한 단열부는 도어개방장치(900)에서 발생하는 모터/기어의 동작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역할도 하게 된다.
도 34를 보면,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 쪽으로 요입된 함몰부의 안쪽에 만들어진다.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부에 있고,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기계실을 향한 저면과 상기 도어조립체를 향한 전면이 각각 개방된다.
즉 상기 설치공간(253)은 기계실(201)과 연결된 공간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기계실모듈을 냉장고에서 분리하면 상기 설치공간(253) 및 설치공간(253)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900)가 외부로 드러나, 쉽게 유지보수 할 수도 있다. 도 34는 냉장고의 기계실모듈을 제거하고, 냉장고의 바닥쪽을 보인 것으로, 설치공간(253)과 상기 설치공간(253)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900)의 모습이 드러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253)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향한 전면도 개방되어 있는데, 도 36를 보면 상기 설치공간(253)의 전면 입구(253')가 드러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253)의 전면은 상기 케비넷(100)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118)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18)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에서 돌출되는 푸시로드(950)의 로드입출구(119)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공간(253)의 전면은 전면프레임(118)에 의해 차폐되되,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부분만 구멍형태로 뚫려 있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900)의 푸시로드(950)가 아직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푸시로드(950)의 로드캡(952)이 상기 로드입출구(119)를 막아 이물질이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제 도 36를 참고하여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장치케이스(901)에 설치된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에 가까운 일부는 폭이 좁지만, 커버플레이트(250)의 안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진다. 이것은 상기 장치케이스(90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10) 및 기어어셈블리(920)의 배치에 따른 것으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케이스(901)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에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푸시로드(950)가 돌출되는 로드입출구(119)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34에서 A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도 36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케이스(901)는 상기 설치공간(253)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데, 얇고 넓은 판상구조이다. 상기 장치케이스(901)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상부케이스(도시되지 않음)와 하부케이스는 각각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상부와 하부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결합에 의해 내부에 구동모터(910)와 기어어셈블리(9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면에는 구동모터(910)와 기어어셈블리(920)가 노출되도록 상부케이스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부케이스가 생략되고 하부케이스만으로 장치케이스(901)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설치링(905)이 있다. 상기 설치링(905)은 장치케이스(901)의 가장자리에 함몰된 링장착홈(904)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치링(905)은 상기 하부케이스가 장치케이스(901)의 링장착홈(904) 내측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에는 구동모터(91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정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BLDC타입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BLDC타입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FG(frequency generating)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구동모터(910)의 속도를 가변 제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동작시 속도 조절을 통해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시에 푸시로드(950)의 긴급 복귀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면에서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910)의 회전축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으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에는 구동모터(910)가 설치되고, 구동모터(910)의 피니언기어(911)가 구동모터(910)에 의해 회전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911)는 기어어셈블리(920)와 맞물려 기어어셈블리(92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장치케이스(901)에는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다수의 기어는 감속기어(921,923) 및 스페이서기어(925,927)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속기어(921,923)는 기어비를 통해서 구동모터(91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스페이서기어(925,927)는 감속기어(921,923)에 연결되어 맞물리되 푸시로드(950)와 감속기어(921,923) 사이의 빈 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감속기어(921)는 제2감속기어(923)와 연결되며, 제2감속기어(923)는 스페이서기어(925,927)들과 연결된다. 상기 감속기어(921,923)들은 일반적인 감속기어(921,923)와 같이 입력측과 출력측이 상하 2단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웃하는 기어와 입력측과 출력측이 접하여 감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감속기어(921,923)들의 조합을 통해서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푸시로드(950)로 전달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감속기어(921,92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속기어(921,923)는 총 2개로 구성되지만, 3개 이상일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921' 및 도 923'은 각각 상기 제1감속기어(921) 및 제2감속기어(923)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상기 제2감속기어(923)에는 제1스페이서기어(925)가 배치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기어(925)와 상기 푸시로드(950)는 제2스페이서기어(92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는 일반적인 평기어 형상으로 상기 제2감속기어(923)의 힘을 상기 푸시로드(950)로 단순 전달하되, 상기 푸시로드(950)와의 접점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푸시로드(950)의 최대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950)로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페이서기어(925,927)와 푸시로드(950) 사이의 접점의 위치는 최대한 상기 푸시로드(950)의 인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감속기어(923)와 상기 푸시로드(950)의 사이에 스페이서기어(925,927)가 배치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925' 및 도 927'은 각각 상기 제1스페이서기어(925) 및 제2스페이서기어(927)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기어어셈블리(920)를 구성하는 감속기어(921,923)들과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은 서로 배치되는 방향이 다르다. 도 35 및 도 36를 보면, 다수개의 감속기어(921,923)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구동모터(9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과, 상기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이 상기 감속기어(921,923)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기어어셈블리(92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감속기어(921,923)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구동모터(9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상기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이 상기 감속기어(921,923)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은 상기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방향과 나란하다.
이처럼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이 연장되는 방향(Y)이 상기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방향과 나란하면, 제2스페이서기어(927)가 푸시로드(950)와 맞물리는 접점을 최대한 로드입출구(119)에 가깝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푸시로드(950)의 최대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동시에, 감속기어(921,923)들의 배치방향과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의 배치방향을 달리함으로써, 기어어셈블리(920)가 어느 한방향으로만 길게 연장되면서 도어개방장치(900)의 전체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을 밀어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스페이서기어(927)와 맞물려 작동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는 상기 로드입출구(119)를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페이서기어(927)의 위치로 인해, 상기 랙기어의 적어도 절반 이상은 상기 푸시로드(950)가 상기 제2스페이서기어(927)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푸시로드(95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호형상이다. 이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회동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의 일정지점, 보다 정확하게는 접촉턱(B)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시로드(950)가 슬립되지 않고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일지점을 밀어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950)의 전단에는 로드캡(952)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캡(952)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조립체(130)와 접촉되어 상기 푸시로드(950)와 도어조립체(130)의 접촉시 소음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향상시켜 상기 푸시로드(950)가 밀어주는 힘을 상기 도어조립체(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을 향한 상기 로드캡(952)의 전면은 상기 푸시로드(950)의 말단보다 넓어서, 상기 접촉턱(B)의 표면(B')을 보다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로드캡(952)은 대략 사각형상의 전면을 갖는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이러한 제어모듈(700)은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와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는 제어모듈(700)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 설치되되 상기 캐비넷(100)과 상기 기계실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어개방장치(900)와 매우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기계실의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측면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제어모듈(700) 보다 상기 기계실의 바닥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다. 이것은 상기 제어모듈(700)은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 설치되지만,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커버플레이트(250)에서 상기 캐비넷(100)의 저면을 향해 더 함몰된 설치공간(253)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높이차로 인해 제어모듈(700)과 도어개방장치(900)의 간섭가능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지모듈(19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도 1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후방 수평조절부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1는 도 19의 후방 수평조절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사이드 파트(1251) 하방에 구비되는 지지모듈(1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모듈(1900)은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사이드 파트(125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모듈(1900)은 상기 냉장고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장고(1)의 수평 및 단차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모듈(1900)은 동력 전달부(1920)와 후방 수평조절부(1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19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수평 조절부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수평 절부(191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캐비닛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920)의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모듈(1900)은 전방 수평조절부(1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동력전달부(1920)는, 상기 사이드 파트(125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920)는 상기 사이드 파트(12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핸들부(1922)와, 상기 핸들부(1922) 후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부(1922)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와 기어 결합되는 제1 기어부(19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부(1924)는 후술할 제2 기어부(1914)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기어부(1924)는 웜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부(1914)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부(1924)와 제2 기어부(1914)가 교차된 상태에서도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어부(1924)의 회전축과 상기 제2 기어부(1914)의 회전축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1922)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2 기어부(1914)가 회전하여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는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바닥면과 접하는 지지부(1912)와, 상기 지지부(1912)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조절부 회전축(1918) 및 조절부 회전축(1918)에 관통되며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과 함께 회전 되는 제2 기어부(19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91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형 판으로,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바닥면과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912) 상면 중앙에는 조절부 회전축(1918)이 배치된다.
상기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은 상기 지지부(1912)의 회전 축이 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수용부재(1919)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수용부재(1919)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용부재(1919)를 따라서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과 지지부(191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부(1914)는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에 의해 관통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부(1914)는 상기 수용부재(1919)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을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부(1914)와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은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서로 접하는 평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부(1914)가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어부(1924)에 의해 제2 기어부(191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 기어부(1914)는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8)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1919)는 기어 수용부(1919a)와 회전축 수용부(19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수용부(1919a)는 상기 제2 기어부(19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측에서 상기 제2 기어부(1914)가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수용부(1919a)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기어부(1924)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 수용부(1919a)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기어부(1924)와 제 2 기어부(1914)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후방 수평 조절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수용부(1919b)는 상기 기어 수용부(1919a)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절부 회전축(1916)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수용부(1919a)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 회전축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 수용부를 따라서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는 상기 지지부(1912)와 상기 수용부재(1919)를 상기 사이드 파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9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915)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915)의 상면은 전후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연장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장면 양 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사이드 파트(1251)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912)가 하방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1915)의 하면에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915)의 전면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9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1915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1920) 제1 기어부(1924)는 상기 고정 브라켓(1915) 전면 관통홀(1915a)을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1915)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기어부(1924)가 상기 제2 기어부(1914)와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915) 내측에는 상기 수용부재(19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는 상기 냉장고 수평 조절 시 후방 수평조절부(1910)를 조절하기 위해서 냉장고의 단부를 들어올리지 않고 전방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상기 냉장고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모듈(1900)은, 상기 사이드 파트(1251) 전방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전방 수평조절부(1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전방 수평조절부(1930)는, 상기 냉장고 본체를 바닥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그 높이와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상기 전방 수평조절부(1930)는, 바닥을 지지하는 헤드(1932)와, 상기 헤드(1932)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 파트(125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볼트(19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볼트(1934)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파트(1251)에 체결되는 높이가 달라지면서 냉장고 본체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수평조절부(1930)는, 상기 전방 수평조절부(1930)를 상기 사이드 파트(12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전방 고정브라켓(19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모듈(1900)은 상기 전방 수평조절부(1930)와 상기 후방 수평조절부(191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조립체(19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조립체(1940)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조립체(1940)는 비교적 무거운 상기 냉장고 본체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조립체(1940)는 롤러(1942)와 회전축(1944), 그리고 롤러 브라켓(19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1942)는,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운동 함으로써, 상기 냉장고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바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롤러(1942)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축(1944)에 의해 중앙부가 측방으로 관통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944)은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브라켓(1946)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를 상방에서 감싸도록 하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 브라켓(1946) 사이에 상기 롤러가 수용되며 상기 롤러를 관통하는 회전축(1944)이 상기 롤러 브라켓(1946)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저장공간(121) 안에 음식물이 보관된 상태로 도어조립체(130)를 닫으면, 저장공간(121)은 밀폐된 공간이 된다. 이 상태에서 공조모듈(600)의 동작이 시작되면 냉장고의 온도제어기능이 시작된다. 즉, 공조모듈(600)을 구성하는 방열팬(611), 압축기(610), 메인응축기(620) 및 증발기(630)가 동작되면서 공조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도 37를 보면,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증발관(L2)을 통과한다.(화살표 ①방향) 상기 증발관(L2)은 제상수트레이(2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최대한 길이를 길게 확보하기 위해서 도 37에서 보듯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증발관(L2)은 메인제어밸브(625)를 통해 상기 압축기(610)의 냉매토출관(610a, 도 8참조)에 연결되어 고압/고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데, 제상수트레이(240)의 바닥면(241')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제상수트레이(240)에 고인 제상수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냉매는 메인응축기(620)에 전달되어 응축된다.(② 참조) 상기 메인응축기(620)는 흡입공간(I)의 입구에 가깝게 배치되고, 냉매를 응축한 후에 팽창밸브(모세관) 쪽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응축기(620)에는 제1측면응축관(L4)이 연결되므로, 냉매는 먼저 제1측면응축관(L4)을 지나게 된다.(화살표 ③방향) 그리고, 상기 제1측면응축관(L4)은 기계실(201)을 가로지르는 제3연결관(L5)을 통해서 제2측면응축관(L6)과 연결되므로, 냉매는 제2측면응축관(L6)을 지나면서 응축이 된다.(화살표 ④방향)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측면응축관(L5,L6)이 존재하므로, 측면응축관(L5,L6)이 메인응축기(620)를 보조하여 함께 냉매를 응축할 수 있고, 메인응축기(62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응축관(L5,L6)은 캐비넷(100)의 측면 내부에 내장되어 냉장고의 측면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장고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냉장고의 외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측면응축관(L6)은 제4연결관(L7)을 통해서 전면응축관(L8)과 연결되므로, 냉매는 전면응축관(L8)을 지나는 과정에서도 응축될 수 있다.(화살표 ⑥방향)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측면응축관(L4), 제2측면응축관(L6) 및 전면응축관(L8)은 각각 상기 메인응축기(620)와 함께 냉매의 응축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계실(201)의 높이가 낮고 좁아 기계실(201) 안에 큰 메인응축기(620)를 설치하지 못하더라도 이를 보완해줄 수 있다.
이렇게 전면응축관(L8)까지 통과한 냉매는 제5연결관(L9)을 통해서 팽창밸브에 전달되고, 팽창밸브에서 압력과 온도가 떨어진 냉매는 증발기(630) 쪽으로 전달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응축관(L8)과 상기 증발기(630) 사이에는 드라이어와, 모세관(Capillary Tube)이 더 설치되어, 전면응축관(L8)-드라이어-메인제어밸브(625)-모세관(Capillary Tube)-증발기(630) 순으로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드라이어는 습기 및 이물질을 걸려 주어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모세관은 교축(Throttling)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증발기(630)는 이너케이스(120) 내의 각 부위 중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된다. 즉, 그릴팬어셈블리(500a,500b)의 동작에 의해 저장공간(121) 내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해당 저장공간(121) 내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순환 동작시 상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6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8에는 증발기(630)에 의한 열교환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저장공간(121, 도 38을 기준으로 좌측 공간에 해당)의 후방에는 상기 저장공간(121)과 구획된 냉각실(125)이 있고,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냉각실(125)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30)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냉각실(125)의 내부에는 그릴팬어셈블리(500)이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121)에서 전달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630)를 거쳐 흡입하여 다시 상기 저장공간(121) 내부로 토출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이 작동하면 그릴팬어셈블리(500)은 증발기(630)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즉, 저장공간(121) 내부의 공기가 그릴플레이트(270)의 공기유입부(272)에 있는 공기유입홀(275)을 통해 유입되고(화살표 ①방향), 증발기(630)를 거쳐 위쪽으로 상승한다(화살표 ②방향).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부(272)는 상기 증발기(630)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저장공간(121) 방향, 즉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공기유입부(272)와 상기 증발기(630) 사이에 자연스럽게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부(272)에 있는 공기유입홀(275)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증발기(630)의 냉각관(638)을 통과한 고온, 고압의 공기는 냉각관(638)에 의한 냉각 작용으로 인해 저온, 저압의 공기로 바뀌게 된다. 특히 냉각관(638)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공기는 냉각핀(650)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하는데, 공기의 유속이 증가할 수록 공기의 압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냉각핀(650)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핀(650)을 통과하기 전보다 낮은 압력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그릴팬어셈블리(500)에 의해 저장공간(121)의 내부로 배출된다.(화살표 ③방향) 이 과정에서 상기 이너케이스(120)에서 그릴팬어셈블리(500)을 바라보는 내면(124)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0)과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회피함몰부(124')가 함몰되는데,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회피함몰부(124') 보다 아래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유입홀(275)-증발기(630)-회피함몰부(124')-그릴팬어셈블리(500) 순으로 원활한 공기유동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증발기(630)에 의한 냉각과정에서 제상수가 발생하고, 제상수가 얼게 되면 제상빙이 되기도 한다. 발생한 제상수는 중력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 이너케이스(120)의 내면(124) 아래쪽에 있는 제상수받이(126)를 타고 아래쪽으로 흐른다. 그리고 제상수는 제상수파이프(590)를 타고 기계실(201)에 있는 제상수트레이(240)에 모인다.
이러한 증발기(630)는 판형 증발기(630)로 구성됨으로써 이너케이스(120)의 내벽면 중 후방측 벽면의 전방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좁은 공간에서의 열교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37에서 도면부호 L10은 증발기(630)와 상기 메인제어밸브(625)를 연결하는 증발기연결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증발기(630)를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610)의 냉매유입관(610b, 도 8참조)으로 다시 유입되어 냉동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도 39에는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유동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냉매의 흐름과정에서 기계실(201)의 온도가 상승한다. 특히,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의 온도가 크게 올라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기계실(201) 내부의 공기유동을 통해 이러한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방열팬(611)이 동작하면 방열팬(611)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여기서 외부(냉장고가 설치된 장소)의 공기가 프론트 커버(220)을 통해 흡입공간(I)으로 유입(화살표 ①방향)되면, 공기는 곧바도 메인응축기(620)를 만나게 된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흡입공간(I)의 입구인 흡입구(225a)는 배출공간(O)의 출구인 배출구(225b) 보다 넓다. 즉, 상기 흡입구(225a)를 넓게 하여 초기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이를 통해 메인응축기(62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공간(I)은 흡입구(225a)를 제외하고는 막혀 있어서 유입된 외기는 메인응축기(620)를 거쳐 방열팬(611) 방향으로만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응축기(620)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제상수트레이(240) 위를 지나면서 제상수의 일부를 증발시킬 수 있다.(화살표 ②방향) 이때, 유입된 공기는 분리격벽(230)에 의해 안내된다. 즉, 유입된 공기는 압축기(610)를 비롯한 배출공간(O)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분리격벽(230)을 따라 방열팬(611)쪽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격벽(230)의 후단측 부위에 방열팬(611)이 설치되어, 방열팬(611)이 일종의 벽리격벽(230)의 일부가 된다.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열팬(611)을 지나면(화살표 ③방향), 방열팬(611)과 마주보는 압축기(610)로 토출되어 압축기(610)를 냉각시킨다. 상기 방열팬(611)은 뚫려있기 때문에 방열팬(611)을 기준으로 흡입공간(I)과 배출공간(O)이 서로 연결되지만, 방열팬(611)이 가동하면 공기가 흡입공간(I)에서 배출공간(O)으로 흐르기 때문에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가 유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압축기(610)의 열기가 메인응축기(62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때, 제상수트레이(240)와 방열팬(611)의 사이에는 유동가이드면(245)이 있어서, 방열팬(611)이 제상수트레이(240)에 가려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유입된 공기가 유동가이드면(245)의 하향경사진 표면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방열팬(611)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동가이드면(245)은 제상수트레이(240)와 방열팬(611)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지 못하거나, 와류를 발생시키는 일종의 죽은 공간을 없애줄 수 있다.
상기 압축기(610)를 지난 공기는 배출공간(O)을 지난다.(화살표 ④방향) 이때 상기 배출공간(O)의 위쪽에는 제어모듈(700)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모듈(700)의 저면과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배출공간(O)이 형성되고,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한다. 도 39에서 공기가 제어모듈(700)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냉각을 마친 공기는 배출구(255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화살표 ⑤방향)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는 유입된 공기가 정해진 일정한 경로를 따라서만 유동하므로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흡입공간(I)은 흡입구(225a)를 제외하고는 막혀 있어서 유입된 외기는 메인응축기(620)를 거쳐 방열팬(611) 방향으로만 집중될 수 있는데 반해, 냉각을 마친 후에는 공기가 여러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팬(611)과 배출구(225b) 사이에 형성된 기계실(201)의 배출공간(O)은 바닥, 측면 또는 배면 등의 일부가 방열공(211',214, 도 7 및 도 11참조)을 통해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기의 초기유입은 특정 방향, 즉 메인응축기(620) 쪽으로 한정되지만, 일단 메인응축기(620)와 압축기(610)를 방열한 후에는 여러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기계실의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의 개폐를 위한 도어를 가지는 캐비넷;과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냉각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및 방열팬이 포함되며, 전면에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기계실;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는 서로 구획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방열팬은 상기 흡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기계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저면은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기계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커버부 보다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방열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커버부가 더 높게 형성되는 냉장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면적은 상기 배출구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을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아웃플레이트 보다 높게 형성되는 냉장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측면과 상기 기계실의 측면의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는 아웃플레이트의 표면은 서로 연속된 동일평면을 형성하는 냉장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상기 기계실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측면과의 사이에 공기유동공간을 만들고, 상기 방열팬은 상기 기계실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냉장고.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상기 기계실의 흡입공간 및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상기 기계실의 배출공간 사이에는 분리격벽이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는 양쪽으로 구획되며, 상기 분리격벽에는 서로 연결된 제1격벽 및 제2격벽이 포함되는 냉장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방열팬에 연결되며, 상기 방열팬은 상기 제2격벽과 상기 기계실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기계실의 전단에서 동일한 높이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부 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제2커버부;와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수직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분리격벽 및 상기 응축기의 높이와 동일 높이를 갖는 냉장고.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압축기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개구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부를 차폐하도록 압축기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흡입공간은 상기 기계실을 구성하는 하면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및 배면플레이트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기계실의 배출공간에는 상기 하면플레이트, 상기 측면플레이트 또는 상기 배면플레이트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추가배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방열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에는 제상수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제상수트레이에는 상기 방열팬을 향해 유동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간에는 제어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추가배출구는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제어모듈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냉장고.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면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리격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추가배출구와 추가흡입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는 측면응축관이 더 연결되고, 상기 측면응축관은 상기 캐비넷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캐비넷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 및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기계실을 구성하는 하면플레이트 및 측면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한 쌍의 사이드파트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파트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파트의 내측에는 상기 기계실을 지지하는 지지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사이드파트의 전단에서 상기 사이드파트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의 후단과 결합되고, 상기 냉장고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후방 수평조절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20/016012 2019-11-13 2020-11-13 냉장고 WO202109630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86425.6A EP4060262A4 (en) 2019-11-13 2020-11-13 FRIDGE
AU2020382671A AU2020382671A1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US17/776,353 US20220397336A1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61A KR20210058238A (ko) 2019-11-13 2019-11-13 기계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145461 2019-11-13
KR1020200027416A KR20210112185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KR1020200027422A KR20210112189A (ko) 2020-03-04 2020-03-04 냉장고
KR10-2020-0027416 2020-03-04
KR10-2020-0027422 2020-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300A1 true WO2021096300A1 (ko) 2021-05-20

Family

ID=7591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012 WO2021096300A1 (ko) 2019-11-13 2020-11-13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97336A1 (ko)
EP (1) EP4060262A4 (ko)
AU (1) AU2020382671A1 (ko)
WO (1) WO2021096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235B1 (en) * 2021-04-01 2022-10-04 Whirlpool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for an insulated structure
US20230228475A1 (en) * 2022-01-18 2023-07-20 Whirlpool Corporation Toe-kick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3563B2 (ko) 1971-10-27 1975-10-31
JPH0517483U (ja) * 1991-08-14 1993-03-0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5881567A (en) 1997-09-29 1999-03-1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ndenser air flow
KR2003002736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40046106A (ko) * 2002-11-26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228698B2 (en) * 2005-06-30 2007-06-12 Premark Feg L.L.C. Refrigeration unit
KR20110019076A (ko) 2009-08-19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35647B1 (ko) * 2010-03-25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7141975A (ja) 2016-02-08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403B1 (ko) * 1999-08-30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장치
JP4218531B2 (ja) * 2004-01-15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5367403B2 (ja) * 2009-02-17 2013-12-1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3563B2 (ko) 1971-10-27 1975-10-31
JPH0517483U (ja) * 1991-08-14 1993-03-0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5881567A (en) 1997-09-29 1999-03-1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ndenser air flow
KR2003002736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40046106A (ko) * 2002-11-26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228698B2 (en) * 2005-06-30 2007-06-12 Premark Feg L.L.C. Refrigeration unit
KR20110019076A (ko) 2009-08-19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35647B1 (ko) * 2010-03-25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7141975A (ja) 2016-02-08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60262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82671A1 (en) 2022-06-30
EP4060262A4 (en) 2024-02-21
US20220397336A1 (en) 2022-12-15
EP4060262A1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6300A1 (ko) 냉장고
WO2017039333A1 (ko) 냉장고
WO2011081498A2 (en) Refrigerator
WO2017069360A1 (en) Air conditioner
WO2019117599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17039334A1 (ko) 냉장고
WO2017039332A1 (ko) 냉장고
EP3209957A2 (en) Defros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19177413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8174468A1 (ko) 냉장고
WO2010093213A2 (ko) 배기 어셈블리, 이를 갖는 큐어링 및 저온 저장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큐어링 및 저온 저장 방법
WO2016064200A2 (en) Defros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9194604A1 (en) Refrigerator
WO2023282639A1 (en) Storehouse
WO2021096289A1 (ko) 냉장고
WO2021006639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WO2021096291A1 (ko) 냉장고
WO2023282636A1 (en) Storehouse
WO2023282646A1 (en) Storehouse
WO2023171963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5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28385A1 (ko) 저장고
WO2023282645A1 (en) Storehouse
WO2023282641A1 (en) Sto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6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86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613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382671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1113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