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71963A1 - 제빙 장치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 장치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71963A1
WO2023171963A1 PCT/KR2023/002706 KR2023002706W WO2023171963A1 WO 2023171963 A1 WO2023171963 A1 WO 2023171963A1 KR 2023002706 W KR2023002706 W KR 2023002706W WO 2023171963 A1 WO2023171963 A1 WO 20231719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y
ice
wall
ice ma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27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창호
이욱용
이남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719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719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Definitions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ice making devices and refrigerators.
  • a refrigerator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the refrigerator door. It cools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It is designed to store stored food in optimal condition.
  • the refrigerator may be placed independently in a kitchen or living room, or may be stored in a kitchen cabinet.
  •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higher quality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that take user convenience into consideration are being released.
  • the automatic ice maker includes an ice-making chamber for forming ice, an evaporator disposed above the ice-making chamber, a water dish disposed below the ice-making chamber and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shaft, and a lower side of the water dish. It may include an ice-making water tank assembled to the ice-making water tank, a supply pump connected to the ice-making water tank, a rotatable guide memb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ice-making water tank, and an ice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ice is stored.
  • water is supplied from a supply pump while the water dish closes the space of the ice-making chamber,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can be cooled by an evaporator.
  • prior literature does not disclose a technology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art of the ice-making room to improve ice-making performance and preventing the supplied water from flowing into surrounding structures.
  • the prior literature does not disclose a structure for firmly installing the ice-making room in a structur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ice-making room.
  • This embodiment provides an ice mak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capable of firmly combining a bracket and a tray.
  •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are provided in which water supplied to the tray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urrounding structure of the bracket.
  •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are provided that allow connection of another tray unit to the bracket.
  • a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are provided in which different types of ice are prevented from mixing during the moving process when producing multiple types of ice.
  • An ice making device may include a bracket provided in an ice making room.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y supported on the bracket.
  • the first tray unit may include a tray body that forms part of an ice-making cell for producing ice.
  • the first tray part extends from the tray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 the bracket may include a through hole.
  • the tray body may penetrate the through hole.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unit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 making cell.
  • the second tray part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part during an ice making proces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part during a moving process.
  • 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wall o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extension part is seated.
  • the first wall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first tray portion.
  •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having a fixing groove.
  •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 the first fixing part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to one side.
  •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protruding from a surface forming the through hole.
  • the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o the second fixing part by a fastening member.
  •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third fixing part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extension part.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tray unit during a water supply process.
  • the first wall may be provided with a blocking wall to limit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first tray unit.
  • the extension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dropped water.
  • the first wall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that accommodates the discharge passage.
  •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to which a shaft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is coupled. When the extension portion is seated on the first wall, the plurality of hinge portions may penetrate the through hole.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second tray unit.
  •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ll extending from the first wall.
  • the second wall may include an installation wall on which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all extending from the first wall.
  • the third wall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wall.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wall and the third wall and restricts movement of ice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cell in one direction.
  • the partition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having hooks. Holes for coupling the hook may be formed in the second wall and the third wall.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usher that pressurizes the second tray portion so that ic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cell during the moving process.
  •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wall extending from the first wall and on which the pusher is installed.
  • the pusher may include a plate.
  • the pusher may include a pushing bar extending from the plate.
  • the fourth wall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plate.
  • a fasten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late.
  • a fastening boss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 the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boss coupl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fastening boss.
  •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boss coup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boss.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tray unit during a water supply process.
  • the bracket extends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hrough hole an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wall through which the water falls.
  • a passage hole for water to pass through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wall.
  •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wall.
  • the peripheral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end for seating on an adjacent structure.
  • the peripheral portion may include a bent wall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n adjacent structure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bracket.
  • An ice mak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an ice making room and include a bracket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 the ice making device forms a portion of the ice making cells for generating ice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y portion seated on the bracket while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 the ice making device may have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irst tray part passes,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tray part.
  • the ice making device forms another part of the ice making cell,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part that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part during an ice making proces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part during an ice making process.
  • the first tray unit may include a tray body that forms part of the ice-making cells.
  • the first tra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ray body.
  • the insulation member may surround the tray body and contact one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tray body passes and supporting the insulation member.
  • the bracket may include a fixing part to be fixed to the first tray part.
  • the insu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spac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accommodated.
  • the supporter may be provided with a slot where the fixing part is located.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y portion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 the extension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dropped water.
  • the insu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space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is accommodated.
  • the supporter may be provided with a slot where the discharge passage is located.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storage room where items are stor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oler for supplying cold to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ing device that generates ice using the cold.
  • the ice making device may include some or all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 the tray can be firmly fixed to the bracket while the bracket is supported.
  • the water supplied to the tra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tructure around the bracket by the blocking wall.
  • a seating end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bracket, and as the seating end is seated on an adjacent tray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n adjacent tray unit at the same or similar height.
  • movement of ice in a specific direction may be restricted by the partition plate.
  • different types of ice can be prevented from mixing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ing proces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ice making devic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utaway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refrigerant cycle diagram constituting a coo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water supply flow path in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7 and 8 are views showing water being supplied to the ice-making unit.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tray unit and a second tr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ce-making unit and a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bottom view of an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3-13 of Figure 12.
  • FIG. 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lan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is a bottom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tray and a pusher are coupled to the bracket of this embodiment.
  • Figure 20 is a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one side tray is coupled to the bracket of this embodiment.
  • Figure 21 is a view showing the partition plate being coupled to the bracket.
  • Figure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y in this embodiment.
  • Figure 23 is a view showing an insulating member being accommodate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 Figure 24 is a view showing the other tra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case in this embodiment.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 the ice making device may include a tray that forms an ice 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phase into ice.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for supplying cold to the ice making cell.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cell.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 the cooling unit is a source that supplies cold,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ld source.
  • the ice ma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unit.
  • the tray may include a first tray.
  • the tra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may produce different types of ice.
  • the water supply unit may independently supply water to each of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upply water to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pump for pumping water.
  • the cooling unit may be defined as a means for cooling the ice-making cell,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vaporator (or cooler)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 the evaporator may be located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tray.
  • cold air cooled by the cooling unit may be supplied to the tray and converted into water ice in the ice-making cell.
  • the cooling unit may cool the first tray.
  • the cooling unit may cool the second tray.
  • the cooling unit may cool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independently or simultaneously.
  • the cooling unit may optionally include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refrigerant, a fan for flowing cold air, or a dampe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ld air within the two spaces.
  •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cooling power (or output) of the cooling unit.
  •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unit may be the outpu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amount of cold supplied to the tray, or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output or frequency), or it may be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vaporator.
  • the cold may include at least cold air.
  • the moving unit includes a heater for heating the tray, a pusher (or pusher) for pressuriz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side to heat the tray, an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tray.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water supply mechanism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y.
  • the moving unit may separate ice from each of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independently or simultaneously separate ice from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to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the heat from the heater or the refrigerant pipe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to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or the wat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Can be delivered simultaneously.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 Figure 3 is a cutaway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an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refrigerant cycle diagram constituting a coo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ce making device 1 of this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to produce ice.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include a cabinet 10 that forms an external shape.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oor 20 connected to the cabinet 10.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n ice-making chamber 12 that forms ice.
  • the cabinet 1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mpartment 13 where ice is stored.
  • the ice-making chamber 12 and the storage chamber 13 may be partitioned by a partition member.
  • the ice-making chamber 12 and the storage chamber 13 may be communicated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in the partition member.
  • the ice-making chamber 12 and the storage chamber 13 may be communicated without a partition member.
  • the ice-making chamber 12 may include the storage chamber 13, or the storage chamber 13 may include the ice-making chamber 12.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front opening 102.
  • the door 20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102.
  • the door 20 may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102 by rotating it.
  • the door 20 When the door 20 opens the front opening 102, the user can access the storage compartment 13 through the front opening 102. The user can take out the ic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3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opening 102.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ing unit 40 loc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2 .
  •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unit 40 may fall from the ice making unit 40 and b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3.
  • the cabinet 10 may include an inner case 101 forming the ice-making chamber 12.
  • the cabinet 1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ase 110 disposed outside the inner case 101.
  •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101 and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101 may additionally form the storage compartment 13.
  • the ice-making chamber 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101.
  • the ice making unit 4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rear wall 101a of the inner case 101.
  • the usability of the storage compartment 13 can be increased.
  • ice produced in the ice making unit 40 may fall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door 20.
  • the cabinet 10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room 18 divided from the storage room 13.
  • the machine room 18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room 13.
  • a portion of the storage room 13 may be located between the ice making room 12 and the machine room 18.
  • the volume of the storage room 13 may b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ice-making room 12 and the volume of the machine room 18.
  • the machine room 18 may be placed outside the inner case 101.
  • the inner case 101 may include a bottom wall 104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13.
  • the machine room 18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wall 104.
  • the bottom wall 104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hole 105 for discharging water.
  • Part of the cooling unit may be located in the machine room 18.
  • the cooling unit may be a refrigerant cycle for circulating refrigerant.
  • 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compressor 183, a condenser 184, an expander 186, and a cooler 50.
  • the cooler 50 may be an evaporator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 the flow of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cycle may be controlled by the valve 188.
  • the refrigerant cycle may include a bypass pipe 187 for bypass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83 to the inlet side of the cooler 50.
  • the valve 188 may be provided in the bypass pipe 187.
  •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83 can flow directly to the condenser 184.
  • the valve 188 is turned on, some or all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83 may be bypassed through the bypass pipe 187 and flow directly into the cooler 50.
  •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183 may flow to the evaporator during the moving process.
  •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oler 50 may flow through the accumulator 189 and then into the compressor 183.
  • the compressor 183 and the condenser 184 may be located in the machine room 18.
  • the machine room 18 may be equipped with a condenser fan 185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condenser 184.
  • the condenser fan 18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denser 184 and the compressor 183, for example.
  • a front grill 180 in which an air hole 182 is forme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0.
  • a plurality of air holes 182 may be formed in the front grill 180.
  • the front grill 18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ont opening 102. When the door 20 closes the front opening 102, the door 20 may cover a portion of the front grill 180.
  • the cooler 50 may include refrigerant pipes 510 and 520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ler 50 may be located in the ice-making chamber 12 .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ler 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ce making unit 40 . That is,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unit 40 may be phase-changed into ice by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oler 50. Alternatively, the cooler 5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ice making unit 40.
  • a method in which the cooler 50 directly contacts the ice making unit 40 to generate ice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 cooling method.
  • air that has exchanged heat with the cooler 50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unit 40, and the water in the ice-making unit 40 can be phase-changed into ice by the cooling air.
  • the method of creating ice by supplying cooling air can be called an indirect cooling method or an air cooling method.
  • the cooler 50 is not located in the ice-making chamber 12.
  • a guide duct that guides the cooling air heat-exchanged with the cooler 50 to the ice-making chamber 12 may be provided.
  • the ice making unit 40 may produce a single type of ice or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ice.
  • the ice making unit 40 produces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ice.
  • the ice making unit 40 may include a first tray unit 410 for forming a first type of first ice (I1).
  • the ice making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unit 450 for forming a second type of ice (I2) different from the first type.
  • the ice making unit 40 may include only one of a first tray unit 410 and a second tray unit 4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ice (I1) and the second ice (I2) may differ in one or more of shape, size, transparency, etc.
  • the first ice (I1) is polygonal ice
  • the second ice (I2) is spherical ice.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 first storage space 132.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rage space 134.
  • Ice generated in the first tray unit 410 may b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2. Ice generated in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may be defined by the ice bin 14. That is, the internal space of the ice bin 14 may serve as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ice bin 14 may be fixed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ase 101.
  • the ice bin 14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artition member that divides the storage compartment 13 into the first storage space 132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volume of the first storage space 132 may b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size of the first ice (I1)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2)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ice (I2)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front of the ice bin 1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ont opening 102 .
  •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bin 1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wall 104 of the storage compartment 13.
  • the first ice (I1)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ice bin (14).
  • the first ice (I1) may also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ice bin (14).
  • the first ice I1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2 may surround the ice bin 14.
  • the bottom wall 104 of the storage compartment 13 may form the floor of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bottom wall 104 of the storage compartment 13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one end 102a of the front opening 102.
  •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bin 14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end 102a of the front opening 102.
  • the ice bin 14 may be located adjacent to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case 101.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located adjacent to one side. Accordingly, ice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of the ice bin 14. Ic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unit 410 may b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2 outside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cabinet 10 may further include the opening cover 16.
  • the opening cover 16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inner case 101.
  • the opening cover 16 may cover one side of the front opening 102.
  • the opening cover 16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13 when the door 20 is closed.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cover 16 may be rotated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3.
  • the opening cover 16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for exampl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opening cover 16 can be rotated by the elastic member.
  • the opening cover 16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door 20 . Accordingly, although not limited, the first ice may be fill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2 up to the end 16a of the opening cover 16.
  • the cabinet 1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70 that guides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unit 40 to the storage compartment 13 .
  • the guide 7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ice making unit 40 .
  • the guide 70 may guide the first ice I1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unit 410.
  • the guide 70 may guide the second ice I2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guide 70 may include a first guide 710.
  • the guide 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730.
  • the first ice I1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unit 410 may fall onto the first guide 710.
  • the first ice (I1) may be mov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132) by the first guide (710).
  • the second ice I2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fall onto the second guide 730.
  • the second ice I2 may be moved to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by the second guide 730.
  • One end of the ice bin 14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second guide 730 so that the second ice I2 is moved to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80 to prevent the first ice and the second ice falling on the guide 70 from mixing.
  • the partition plate 8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guide 70 or the ice making unit 40.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water supply path in the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water being supplied to the ice making unit.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passage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302 to the ice making unit 40 .
  • the water supply flow path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03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302.
  • a water supply valve 304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low passage 303. By operating the water supply valve 304,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302 to the ice maker 1 can be controlled. The supply flow rat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1 can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water supply valve 304.
  •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ssage 305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304.
  • the second flow path 305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306.
  • the filter 306 may be located in the machine room 18, for example.
  •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ssage 308 that guides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306.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mechanism 320.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flow path 308.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supply water to the ice making unit 40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 the ice mak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33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supply water to the ice making unit 40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and supply it to the ice making unit 40 .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water supply unit.
  • the water supply unit 73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water supply unit.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unit 40.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fall into the ice making unit 4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ice making unit 4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and supply it to the ice making unit 40 .
  • the dotted line shows the 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 the solid line shows the 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3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include a water storage unit 350 in which water is stored.
  • the ice making unit 40 may include one or more passage holes 426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and dropped toward the ice-making unit 40 may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afte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hole 426.
  • the guide 7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ice making unit 40 passes.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falls into the ice-making unit 40, passes through the ice-making unit 40, and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You can.
  • the water storage unit 35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356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350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356 reaches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water supply valve 304 may be turned off.
  • the process from when the water supply valve 304 is turned on to when the water supply valve 304 is turned off may be referred to as a water supply process.
  • the water supply valve 304 may be turned off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350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356 reaches the reference water level.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pump for pump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 the water pump pump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and supplies it to the ice-making unit 40.
  • the water pump may include a first pump 360.
  • the water pump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mp 362.
  • the first pump 360 and the second pump 362 may operate independently.
  • the pumping capacities of the first pump 360 and the second pump 36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first connection pipes 352 and 354 connecting each of the pumps 360 and 362 and the water storage unit 350.
  • the first connection pipes 352 and 354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350 at the same or similar height to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unit 35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unit 380 for supplying water pumped by the first pump 360 to the first tray unit 41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for supplying water pumped by the second pump 362 to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first water supply unit 380 may supply water to the first tray unit 410 from one side of the first tray unit 410.
  •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may supply water to the second tray unit 450 from one side of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first water supply unit 38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guide 70.
  • the water supply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second connection pipes 370 and 372 connecting each of the pumps 360 and 362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units 380 and 382.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unit 380 to the first tray unit 410 can be used to create ice.
  • the water that falls again from the first tray unit 410 may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after passing through the guide 70.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to the second tray unit 450 can be used to create ice.
  • the water that falls again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after passing through the guide 70.
  • a drain pipe 36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350.
  • the drain pipe 360 may extend through the drain hole 105 into the machine room 18.
  • the machine room 18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tube 362 connected to the drain tube 360.
  • the drain tube 362 can ultimately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ice making device 1.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tray unit and the second tr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ce making unit and coo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 Figure 12 is a bottom view of an ice mak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3-13 of Figure 12.
  • the cooler 50 may contact the ice making unit 40.
  • the cooler 5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unit 40.
  • the ice making unit 40 may include a first tray unit 410 and a second tray unit 450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to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10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can be modularized.
  •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10 in a separated state.
  • the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be positioned close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tray unit 410 may include a first ice making cell 440.
  • the ice-making cell refers to a space where ice is generated.
  • One ice can be created in one ice-making cell.
  • the first tray unit 410 may include a first tray.
  • the first tray may include a first tray body 420.
  • the first tra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body 430 coupled to the first tray body 420.
  • the first tray may form a plurality of first ice-making cells 440.
  • a plurality of second tray bodies 4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ray body 420.
  •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defined by one cell or by a plurality of cells.
  •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may include a first one-side cell 442 and a first other-side cell 441.
  • the first one-side cell may be either a first lower cell or a first upper cell.
  • the first other cell may be another one of the first lower cell and the first upper cell.
  • the first one-side cell may be either a first left cell or a first right cell.
  • the first other cell may be another one of the first left cell and the first right cell.
  • the first other side cell 441 may be formed by the first tray body 420.
  • the first one-side cell 442 may be formed by the second tray body 430.
  • the first tray body 420 may form a plurality of first other side cells 441.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tray bodies 430 may form a first one-side cell 442.
  • a plurality of first ice making cells 440 can be formed.
  • the first tray body 42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423.
  • the first opening 42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ther cell 441.
  • the number of first openings 423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first ice making cells 440.
  • the first one side cell 442 may form one side of the first ice, and the first other side cell 441 may for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ce.
  • separation of the second tray body 430 from the first tray body 420 may be restricted.
  •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unit 380 may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and be supplied to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423 may serve as a water supply opening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 a por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fall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ray unit 410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423 may serve as a water discharge opening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 Ice generated in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unit 410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during the ice-moving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423 may serve as an ice discharge opening during the moving process.
  • Each of the first one-side cell 442 and the first other side cell 441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hexahedral shape.
  • the volume of the first other cell 441 and the volume of the first one cell 44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horizontal perimeter (or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ther side cell 441 so that the ic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may be larger than the horizontal perimeter (or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ne-side cell 442.
  • the second tray body 430 and the first tray body 420 are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so that the shape of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can be maintained. .
  • the cooler 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body 430 so that ice is first created in the first one-side cell 442.
  • the first tray body 420 may include passage holes 421 and 425 through which water passes.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include a second tray forming a second ice-making cell 451.
  • the second tray may be defined by one tray or by multiple trays.
  • the second tray may include one side tray 460 and the other side tray 470.
  • the one side tray may be an upper tray, a left tray, or a first tray portion.
  • the other tray 470 may be a lower tray, a right tray, or a second tra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erms for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ar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defined by one cell or by a plurality of cells.
  • the second ice-making cell 451 may include a second one-side cell 462 and a second other-side cell 472.
  • the one side tray 460 may form the second one side cell 462.
  • the other side tray 470 may form the second other side cell 472.
  • Each of the second one-side cell 462 and the second other side cell 472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for example.
  • the second tray may form a plurality of second ice-making cells 451.
  • the one side tray 460 can form a plurality of second one side cells 462.
  • the other side tray 470 may form a plurality of second side cells 472.
  • a portion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other tray 470 and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 the other tray 47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90 by a shaft 489.
  • the shaft 489 may provide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other tray 470.
  •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and one end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different.
  • one end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one end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different.
  • the other end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contact surface of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may have a different height from the joining portion of the first tray body 420 and the second tray body 430.
  • the contact surface of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joint portion of the first tray body 420 and the second tray body 430.
  • the height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different.
  • the height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maximum horizontal perimeter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different from the maximum horizontal perimeter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maximum horizontal perimeter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horizontal perimeter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number of first ice making cells 440 may be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second ice making cells 451.
  • the number of first ice making cells 440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cond ice making cells 451.
  • the volume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different from the volume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volume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440 may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plurality of first ice-making chambers 440 may be different from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ice-making cells 451.
  •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plurality of first ice-making chambers 440 may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ice-making cells 451.
  • the other tray 470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473.
  • the water supply process and the ice making process may be performed while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are in contact to form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may pass through the second opening 473 and be supplied to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Accordingly, the second opening 473 may serve as a water supply opening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 the second opening 473 may serve as a water discharge opening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 the other tray 47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one tray 460.
  • the first opening 423 and the second opening 473 may b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 the first opening 42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opening 473.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452 supporting the one side tray 460.
  • the bracket 452 may be fixed in position within the ice-making chamber 12.
  • the bracket 452 may be supported on a wall forming the ice-making chamber 12.
  • the bracket 452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case 101.
  • the bracket 452 may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 a portion of the one side tray 460 may penetrate the bracket 452 and the other portion may be seated on the bracket 452 .
  • a driving unit 690 for moving the other tray 470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452.
  • the bracket 452 may include a peripheral portion 635.
  • the peripheral portion 635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end 636.
  • the seating end 636 may be seated on the first tray unit 410.
  • the seating end 636 may be seated on the first tray body 420.
  • a portion of the first tray unit 410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bracket 452 may include a passage hole 634 for water to pass through.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480 that supports the other tray 470.
  • the supporter 480 and the other tray 470 may be moved together.
  • the supporter 48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one side tray 460.
  • the supporter 480 may include a supporter opening 482a through which water passes.
  • the supporter opening 482a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opening 473.
  • the diameter of the supporter opening 482a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opening 473.
  • the first ice can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ice making cell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 the second ice cannot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ice making cell through the second opening 473.
  • the first ice may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ice-making cell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during the moving process, so the first tray is an open type tray. ) can be named.
  • the diameter or size of the opening may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r size of the first ice making cell.
  • the second tray since the second ice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second ice making cell through the second opening 473, the second tray is called a closed type tray. You can name it.
  • one or more of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may be moved or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movement of the other tray 47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further include a pusher 490 for separating ice from the other tray 470 during the moving process.
  • the pusher 490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452, for example.
  • the pusher 490 may press the other tray 470 or press the second ice during the moving process.
  • the pusher 490 may include a pushing bar 492.
  • the pushing bar 492 penetrates the supporter opening 482a of the supporter 480 and touches the other tray 470 or the second ice. can be pressurized.
  • the other tray 470 When the other tray 470 is pressed by the pushing bar 492, the shape of the other tray 470 may be deformed and the second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other tray 470.
  • the other tray 470 may be formed of a non-metallic material. In terms of ease of deformation, the other tray 47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 the cooler 50 may include a first refrigerant pipe 5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y unit 410 or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unit 410.
  • the cooler 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frigerant pipe 520 located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first refrigerant pipe 510 and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the first refrigerant pipe 510 may include the first inlet pipe 511.
  • the first inlet pipe 511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tray body 420.
  • the first inlet pipe 511 may exten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ing unit 690.
  • the first inlet pipe 511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690. That is, the first inlet pipe 511 may extend in the space between the driving unit 690 and the rear wall 101a of the inner case 101.
  • the first refrigerant pipe 5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nt pipe 512 extending from the first inlet pipe 511.
  • the first coolant pipe 5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oling pipe 513 extending from the first bent pipe 512.
  • the first cooling pipe 513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tray body 430. Accordingly, the second tray body 430 can be coo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pipe 513.
  • the first cooling pipe 5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13a.
  • the first cooling pipe 513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connecting portion 513b connecting ends of two adjacent straight portions 513a.
  • the first inlet pipe 51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y unit 410 and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first cooling pipe 513 may extend from the boundary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 One straight portion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ray bodies 430.
  •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13a may be arrang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 the first coolant pipe 5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ipe 514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cooling pipe 513.
  • the first connection pipe 514 may extend to be lower in height than the first cooling pipe 513.
  • the first refrigerant pipe 5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oling pipe 515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514.
  • the second cooling pipe 515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cooling pipe 513.
  • the second cooling pipe 515 may contact the side of the second tray body 430.
  • the second cooling pipe 5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15a and 515b.
  • the second cooling pipe 515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connecting portion 515c connecting two adjacent straight portions 515a and 515b.
  • the plurality of second tray bodies 43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rows.
  • some straight parts 515a may contact one side of the second tray body 430 in one row.
  • some other straight parts 515b may contact the second tray bodies 430 of two adjacent rows, respectively.
  • some of the straight portions 515a may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tray body in the first row.
  • the other straight portions 515b may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tray body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tray body in the second row.
  • the first refrigerant pipe 5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ischarge pipe 516.
  • the first discharge pipe 516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second cooling pipe 515.
  • the first discharge pipe 516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height of the first discharge pipe 516 may be vari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extends.
  •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receive refrigerant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516.
  •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be a pip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discharge pipe 516 or may be a pipe combined with the second discharge pipe 516.
  •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include a second inlet pipe 522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516.
  • the second inlet pipe 522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ing unit 690 in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second coolant pipe 52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oling pipe 523.
  •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extend from the second inlet pipe 522.
  • a portion of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one end of the second ice-making cell 451.
  •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contact the one side tray 460. Accordingly, the one side tray 460 can be coo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third cooling pipe 523. For example,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one side tray 460.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third cooling pipe 523.
  •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23a.
  •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connecting portion 523b connecting two adjacent straight portions 523a.
  •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23a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ice making cells 451.
  •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23a may overlap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in the first direction.
  • Som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523a may overlap the second opening 473 in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be an arrangement direction of one side cell and the other side cell forming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cooling pipe 513.
  • the third cooling pipe 52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cooling pipe 515.
  • the second coolant pipe 5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nt pipe 524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third cooling pipe 523. A portion of the second bent pipe 524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third cooling pipe 523 along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690.
  • Another part of the second bent pipe 524 may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ischarge pipe 525 connected to the second bent pipe 524.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525 may extend parallel to the first inlet pipe 511.
  • the second discharge pipe 525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690. That is, the second discharge pipe 525 may extend in the space between the driving unit 690 and the rear wall 101a of the inner case 101.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525 may be aligned with the first inlet pipe 511 in the first direc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525 may overlap the first inlet pipe 511 in the first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525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let pipe 511.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supply water to the ice making unit 40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supply water to the ice-making unit 40 during the moving process.
  • the ice making unit 40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in the ice making unit 40, the ice making unit 40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below zero.
  •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may supply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302 to the ice making unit 40 . Sinc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302 is at room temperature or at a temperature similar to room temperature,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20 to the ice making unit 40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in ord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unit 40. can be supplied.
  • FIG 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top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is a bottom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acket 452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ice-making chamber 12 or may be fixed to a separate frame fixed to the ice-making chamber 12 .
  • the bracket 452 may include a first wall 600 in which a through hole 601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wall 60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wall 60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one side tray 460.
  •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605.
  • a portion of the one side tray 46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605.
  • the first fixing part 605 may include a fixing groove 606 into which a part of the one side tray 460 is inserted.
  • the first fixing part 605 may protrude from the first wall 600 to one side.
  •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arts 60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 the fix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607.
  •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one side tray 46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part 607.
  • the second fixing part 607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605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601.
  • the second fixing part 607 may protrude inside the through hole 601 on the surface forming the through hole 601.
  •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arts 60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 the fix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ing part 608.
  • the third fixing part 608 may include a fastening hole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one side tray 460 is fastened.
  • the fastening hole 608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fixing part 605.
  • the one side tray 460 When the one side tray 460 is fixed to the fixing mechanism, the one side tray 46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601.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600 may support a portion of the one-side tray 460.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wall 604 extending from the first wall 600.
  • the blocking wall 604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6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ice making cells 451.
  • the blocking wall 604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fixing part 605.
  • the fixing groove 606 may be formed between the blocking wall 604 and the through hole 601.
  • the blocking wall 604 may block water that has fallen onto the one side tray 460 during a water supply or moving process from flowing toward the surrounding structure of the bracket 452.
  • the blocking wall 604 can guide water to flow toward the extension walls 630 and 6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ll 611 extending from the first wall 60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wall 6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all 611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wall 611 may include an installation wall 616 on which the driving unit 690 is installed.
  • the installation wall 616 may be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 the installation wall 616 may extend from the second wall 61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wall 611 .
  • a portion of the installation wall 616 may extend from the second wall 611 in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wall 611 has a hole 614 through which a part of the component through which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690 passes or through which the shaft 489, which provides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other tray 470, passes. ) may further be included.
  • the installation wall 616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driving unit 690 is accommodated.
  • the installation wall 616 may include a slot 618 in which a part of the driving unit 690 is accommodated for fastening to the driving unit 690.
  • the installation wall 616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617 for fastening with the driving unit 690 accommodated in the slot 618.
  •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the fastening protrusion 617 and It may be fastened to the driving unit 690.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all 612 extending from the first wall 600.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wall 612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wall 61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cond wall 61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wall 611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wall 611 and the third wall 612.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wall 620 to which the pusher 490 is fixed.
  • the fourth wall 620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600.
  • the fourth wall 620 may connect the second wall 611 and the third wall 612.
  • the fourth wall 62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 the fourth wall 620 may be inclined away from the through hole 601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fourth wall 620 may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 the fourth wall 620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621 for seating the pusher 490.
  • the seating groove 62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622 for fastening to the pusher 490.
  • the fastening protrusion 622 may protrude from the seating groove 621.
  • the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6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 the seating groove 62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boss 623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pusher 490.
  • the fastening boss 623 may protrude from the seating groove 621.
  •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62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 the fastening protrusion 622 may be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623.
  • two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walls 600, 611, 612, and 620 may define a space for the other tray 470 to be located.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 fifth wall 626 for connecting the second wall 611 and the third wall 612.
  • the fifth wall 626 may extend from the first wall 600 to one side.
  • a receiving groove 609 in which a part of the one side tray 460 is accommodated will be formed at the first wall 600, the fifth wall 626, or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wall 600 and 626. You can.
  • the receiving groove 609 can accommodate a discharge passage 46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fth wall 626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wall 620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601.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wal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extension wall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630 extending from the third wall 612.
  • the passage hole 634 for water to pass through may be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wall 630.
  • the peripheral portion 635 may be position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extension wall 630 so that water falling into the first extension wall 630 can pass through the passage hole 634.
  • the extension wal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wall 632 extending from the second wall 611.
  • the passage hole 634 for water to pass through may also be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wall 632.
  •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walls 630 and 632 may exten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wall 600 . Accordingly, water that falls on the first wall 600 may fall o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walls 630 and 632 along the second wall and the second walls 611 and 612.
  • the bracket 452 may further include a bent wall 637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 structure formed on the wall on which the bracket 452 is installed.
  • a bent wall 637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al portion 635, for example.
  • the bent wall 637 may include a first wall 637a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 the bent wall 637 may include a second wall 637b that intersects the first wall 637a.
  • the partition plate 8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wall 611 and the third wall 612.
  • a first coupling hole 611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wall 611.
  • a second coupling hole 612a may be formed in the third wall 612.
  •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tray and a pusher are coupled to the bracket of this embodiment
  •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ne side tray is coupled to the bracket of this embodiment
  • Figure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plate is coupled to the bracket. This is a drawing showing what it looks like.
  • the pusher 490 may include a plate 491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621.
  • the pushing bar 492 may extend from the plate 491.
  • the plate 491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hole 495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622 passes.
  • the protruding hole 492 may b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ushing bars 492.
  • the plate 491 may be provided with a boss coupling portion 496 to which the fastening boss 623 is coupled.
  • the boss coupling portion 493 may protrude from the plate 491.
  • the fastening boss 623 may be inserted into the boss coupling portion 496. In this state, the fasten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boss coupling portion 496 and the fastening boss 623.
  • the one side tray 460 may include a first tray body 461 forming a second one side cell 462.
  • the second one-side cell 462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one surface 461a of the first tray body 461.
  • the one side tray 46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463 extending from the first tray body 461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extension portion 463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tray body 461 in a second direction.
  • the one side tray 460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463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irst tray body 461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art 463.
  • the extension portion 463 may be seated on the bracket 452.
  • the extension part 463 may be seated on the first wall 600.
  • the extension portion 463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464 and 464a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with the bracket 452 passes.
  •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some of the fastening holes 464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607.
  •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another fastening hole 464a may be combined with the third fixing part 608.
  •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ne side tray 460.
  • a seating groove 468 in which the straight portion 523a of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is seate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ne side tray 460.
  •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468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 Each of the seating grooves 468 may extend in a third direc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one-side cells 462.
  •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468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 fourth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third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468 may overlap the second one-side cell 46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one-side tray 4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parts 465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463.
  • the extension part 463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hinge parts 465.
  • the pair of hinge portions 465 may be spaced apart in the third direction.
  • Each of the hinge portions 465 may include a shaft hole 465a.
  • the shaft 489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hole 465a of the pair of hinge portions 465.
  • the pair of hinge parts 465 may als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601.
  • the one side tray 460 may include a discharge passage 466 through which water that has fallen on one side of the one side tray 460 is discharged.
  • the discharge passage 466 may be formed by a passage wall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463.
  • the discharge passage 466 may extend in the fourth direction.
  • the discharge passage 466 may extend to the sid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463.
  • the discharge passage 466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468. That is, a portion of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discharge passage 466 in the first direction.
  • the one side tray 46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464b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06 of the first fixing part 605.
  • the fixing protrusion 464b may extend from the extension portion 463.
  •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64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partition plate 80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452, for example.
  • the partition plate 8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extension portion 82.
  • a plurality of coupling extension parts 8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coupling extension portion 82 may be provided with a hook 84.
  • the coupling extension portion 82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artition plate 80.
  • the hook 84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upling extension portion 82.
  • the partition plate 8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fth wall 626 on the bracket 452. That is, the partition plate 80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wall 620. Accordingly, the partition plate 80 may restrict ice separated from the second ice-making cell 451 from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ourth wall 620 during the ice-moving process.
  • the plurality of coupling extensions 8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wall 611 and the third wall 612.
  • the second wall 611 and the third wall 6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upling extension parts 82. In this state, the hooks 84 of each coupling extension 82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611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12a.
  • Figure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y of this embodiment
  • Figure 23 is a view showing an insulating member being accommodate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 Figure 24 is a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tray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is is a drawing showing where it is located.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660 surrounding the one side tray 460.
  •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surround the first tray body 461.
  • the one side tray 46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insulating member 660 may minimize the transfer of cold or heat supplied to the one side cell 462 to the outside. You can.
  •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662 through which the first tray body 461 passes.
  •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tray body 461.
  • one surface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contact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462.
  •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include a first recessed space 663 in which the second fixing part 607 is located.
  • the first depressed space 663 may be depressed in one surface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 the first recessed space 663 may be recessed from the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660 toward the first opening 662.
  • the second fixing part 607 located in the first recessed space 663, the second fixing part 607 and the one side tray 460 may be fastened.
  •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ssed space 664 where the discharge passage 466 is located.
  • the second depressed space 664 may be depressed in one surface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 the second recessed space 664 may be recessed from the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660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second tray unit 45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650 that supports the insulation member 660.
  • the supporter 650 may include a supporter plate 651 having a second opening 652 through which the first tray body 461 passes.
  •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er plate 651.
  • the supporter plate 651 may include a receiving hole 657 in which a fastening member S1 for coupling the other tray 470 and the supporter 480 is accommodated.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 S1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upporter 650 while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are in contact for ice making.
  • the supporter 650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wall 650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plate 660.
  • the peripheral wall 650 may extend from the edge of the supporter plate 660.
  • the peripheral wall 650 may surround the side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 the peripheral wall 650 and the supporter plate 66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insulation member 660 is accommodated.
  • the insulation member 660 may be fit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supporter 650. Since the insulation member 660 is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is deformable, the insulation member 600 can be fit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supporter 650. When the insulation member 600 is fitted to the supporter 650, the insulation member 600 can be maintained coupled to the supporter 650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ans.
  • the peripheral wall 650 may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insulation member 660.
  • the peripheral wall 650 may include a first slot 654 aligned with the first recessed space 663.
  • the second fixing part 407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lot 654.
  • the first slot 654 can prevent the second fixing part 407 from interfering with the peripheral wall 650.
  • the peripheral wall 6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lot 655 where the discharge passage 466 is located.
  • the discharge passage 466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peripheral wall 650 by the second slot 655.
  • the supporter 65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666 extending from the peripheral wall 650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extension part 666 may contact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463 of the one tray 560.
  • a portion of the first tray body 461 is connected to the supporter plate 651. )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That is, the other surface 461a of the first tray body 461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er plate 651.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 461a of the first tray body 461 may contact the other tray 470.
  • the process for producing ice may include a watering process.
  • the process for generating ice may further include an ice-making process.
  • the process for generating ice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rocess.
  • the water supply valve 304 When the water supply process begins, the water supply valve 304 is turned on and wat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302 flows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unit 40 through the water supply mechanism 320.
  •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unit 40 falls to the lower side of the ice making unit 40 and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 the water supply valve 304 is turned off and the water supply process is completed.
  • the cooling unit operates and low-temperature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cooler 50.
  • the compressor 183 may be turned on.
  • the condenser fan 185 can also be turned on.
  • the compressor 183 and the condenser fan 185 may be turned on before the ice making process and remain turned on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 the valve 188 can be turned off.
  •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unit 40 by the water supply unit 330.
  • a controller can turn on the pumps 360 and 362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tray unit 41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unit 380.
  • Water spray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unit 38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of the first tray body 420.
  •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flows toward one surface of the second tray body 430. Some of the water in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may be frozen by the first refrigerant pipe 510. The unfrozen water falls downward again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The water that falls down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423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again.
  • ice is gener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ice-making cell 440 and grows on the other side.
  • air bubbles in the water are formed. may be released from the water.
  •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tray unit 450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 the water spray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382 enters the second ice-making cell 451 through the supporter opening 482a of the supporter 480 and the second opening 473 of the other tray 470. can be supplied.
  •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flows toward the inside of the one side tray 460. Some of the water in the second ice making cell 451 may be frozen by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20. The unfrozen water falls downward again through the second opening 473. The water that falls downward through the second opening 473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again.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 in the tray unit.
  • the ice-making process may be determined to be complete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each tray unit reaches the end reference temperature.
  • the ice rem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 valve 188 When the moving process begins, the valve 188 may be turned on. When the valve 188 is turned on, high-temperatur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83 may flow into the cooler 50.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oler 50 may exchange heat with the ice-making unit 40. When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oler 50, heat may be transferred to the ice-making unit 40.
  • the first ice I1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ray unit 410 by the heat transferred to the ice making unit 40.
  • the first ice (I1) may fall onto the guide (70).
  • the first ice I1 that fell to the guide 70 may b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2.
  • the second ice I2 may be separated from at least the surface of the one tray 460 by the heat transferred to the ice making unit 40.
  • the flow of high-temperature refrigerant to the cooler 50 may be blocked.
  • the driving unit 690 may operate to separate the second ice I2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 the other tray 470 can be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clockwise with respect to FIG. 13).
  • the second ice (I2) When the second ice (I2) is separated from the one tray 460 and the other tray 470 by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oler 50, the second ice (I2) is The other tray 470 may be mov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ther tray 470 . In this case, when the other tray 470 moves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second ice I2 may fall from the other tray 470.
  • the second ice (I2) when the second ice (I2) has been separated from the one tray 460 but has not yet been separated from the other tray 470 by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oler 50, the second ice I2 is separated from the other tray 470.
  • the pusher 490 presses the other tray 47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ice 470 by the moving angle, the second ice I2 may be separated from the other tray 470 and fall.
  • the second ice I2 When the second ice I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y unit 450, the second ice I2 may fall onto the guide 70.
  • the second ice I2 that fell to the guide 70 may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34.
  • the other tray 470 After the other tray 47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other tray 47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driving unit 69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ne tray 460. can do.
  •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35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390 and the drain tube 392 (drain process). That is, the drain valve can be turned 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water drain condition is satisfied.
  • the next water supply process can be started after the drain process is performed.
  • the drain process is performed intermittently, if the drain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water supply process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moving process is performed.
  • the drain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the moving process, and the water supply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the drain process is completed.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ice making device 1.
  • the ice making unit 40 of the ice making device 1 can be applied to the refrigerator.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ice-making room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or door.
  • the ice making unit 40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room with the same structure or a similar form as the ice making unit 40 of this embodiment.
  • the cooling unit in the ice making device 1 may be replaced with a cooling unit or a refrigerant cycle that cools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n the refrigerator.
  • the guide 70, water supply mechanism 320, and water supply unit 330 provided in the ice making device 1 may be the same or applied to the refrigerator, or may be modified in shape, size, or loca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rigerator. po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제빙 장치는, 제빙실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 1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 장치 및 냉장고
본 명세서는 제빙 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687018호에는 자동 제빙기가 개시된다.
상기 자동 제빙기는,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제빙실의 하측에 배치되며 지지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물 접시와, 상기 물 접시의 하측에 조립되는 제빙 물탱크와, 상기 제빙 물탱크와 연결되는 공급 펌프와, 상기 제빙 물탱크의 일측방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와,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물 접시가 상기 제빙실의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공급 펌프로부터 물을 공급하고, 제빙셀로 공급된 물은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증발기로 고온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제빙셀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물 접시가 하부로 기울어지고, 상기 물 접시가 하부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물 접시의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 제빙셀이 가열됨에 따라서, 얼음은 상기 제빙셀에서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측으로 낙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얼음 저장실로 이동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제빙실을 지지하면서 물 접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개시하지 못한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이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빙실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이 주변 구조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지 못한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제빙실과 재질이 다른 구조물에 제빙실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하지 못한다.
본 실시 예는, 브라켓과 트레이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트레이 측으로 공급된 물이 브라켓의 주변 구조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브라켓에 다른 트레이 유닛의 연결이 가능한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때에 다른 종류의 얼음이 이빙 과정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는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제빙 장치는, 제빙실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 1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부는,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제 1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벽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2 고정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연장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로 공급된 물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 1 벽에 안착되면,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는 제 2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설치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는 제 3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벽은 상기 제 2 벽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셀에서 분리된 얼음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후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 제빙셀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가 설치되는 제 4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푸싱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벽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보스가 수용되는 보스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상기 보스 결합부 및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 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장되며 상기 물이 낙하되는 연장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장벽에서 연장되는 둘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는 인접하는 구조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는, 상기 브라켓의 설치 과정에서 인접하는 구조물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절곡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제빙 장치는,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에 안착되는 제 1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관통하는 제 1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트레이 바디가 관통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단열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고정부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앞서 설명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트레이가 브라켓이 지지된 상태에서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차단벽에 의해서 트레이 측으로 공급된 물이 브라켓 주변의 구조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브라켓의 둘레부에 안착단이 구비되어, 안착단이 인접하는 트레이 유닛에 안착됨에 따라서, 인접하는 트레이 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서 연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구획판에 의해서 얼음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수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얼음이 이빙 과정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을 구성하는 냉매 사이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의 급수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빙 유닛으로 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 유닛과 제 2 트레이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과 냉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의 저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저면도.
도 19는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일측 트레이와 푸셔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일측 트레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구획판이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실시 예의 일측 트레이에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실시 예의 케이스에 단열 부재가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실시 예의 케이스의 일측에 타측 트레이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빙 장치는,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를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콜드를 공급하는 소스로서, 콜드 소스(cold source)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이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제 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제 2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는 서로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 각각으로 물을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증발기(또는 냉각기)와,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빙셀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트레이와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트레이와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각 유닛에 의해서 냉각된 냉기가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어 상기 제빙셀의 물의 얼음으로 상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제 2 트레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를 독립적으로 냉각시키거나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선택적으로 냉매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나, 냉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이나, 두 공간 내의 냉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냉각 유닛의 냉력(cooling power)(또는 출력(output)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의 냉력은, 열전소자의 출력이나, 상기 트레이로 공급하는 콜드의 양이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력(출력 또는 주파수)이거나, 증발기로 유동하는 냉매량일 수 있다. 상기 콜드는 적어도 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빙 유닛은, 상기 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푸셔(또는 푸셔), 상기 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하여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 상기 트레이의 외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빙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얼음이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에서 동시에 얼음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전달되거나 히터 또는 냉매관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전달되거나 물이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을 구성하는 냉매 사이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빙 장치(1)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실(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실(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2)과 저장실(13)은 구획 부재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2)과 저장실(13)은 구획 부재의 연통홀에 의해서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실(12)과 상기 저장실(13)은 구획 부재 없이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실(12)이 상기 저장실(13)을 포함하거나, 상기 저장실(13)이 상기 제빙실(1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 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 개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일례로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전면 개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전면 개구(102)를 개방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전면 개구(102)를 통해 상기 저장실(13)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13)에 보관된 얼음을 상기 전면 개구(102)를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상기 제빙실(12)에 위치되는 제빙 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낙하되어 상기 저장실(13)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제빙실(1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너 케이스(1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1)는 상기 저장실(13)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2)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내부에서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이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에 가깝게 위치되면, 상기 저장실(13)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13)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생성되 얼음은 상기 도어(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3)과 구획되는 기계실(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일례로 상기 저장실(13)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빙실(12)과 상기 기계실(18) 사이에 상기 저장실(13)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3)의 체적은 상기 제빙실(12)의 체적 및 상기 기계실(18)의 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1)는 상기 저장실(13)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상기 바닥벽(104)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104)에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수홀(10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는 냉각 유닛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일례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 사이클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압축기(183)와, 응축기(184)와, 팽창기(186)와, 냉각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매 사이클은 밸브(188)에 의해서 냉매의 유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사이클은 상기 압축기(183)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냉각기(50)의 입구 측으로 바이패스 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1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87)에 상기 밸브(1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188)가 오프되면 상기 압축기(183)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184)로 바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188)가 온되면 상기 압축기(183)에서 압축된 냉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187)으로 바이패스 되어 상기 냉각기(50)로 바로 유동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183)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를 유동한 냉매는 어큐물레이터(189)를 유동한 후에 상기 압축기(183)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83)와 상기 응축기(184)는 상기 기계실(18)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는 상기 응축기(184)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응축기 팬(1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팬(185)은 일례로 상기 응축기(184)와 상기 압축기(1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공기 홀(182)이 형성되는 전면 그릴(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그릴(180)에는 복수 공기 홀(1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그릴(180)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전면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 그릴(18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51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실(1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유닛(4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기(50)를 유동하는 저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빙 유닛(40)에 공급된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빙 유닛(4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가 상기 제빙 유닛(40)에 직접 접촉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직접 냉각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냉각기(50)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되어, 냉각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 유닛(40)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냉각 공기의 공급에 의해서 얼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간접 냉각 방식 또는 공기 냉각 방식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간접 냉각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냉각기(50)가 상기 제빙실(12)에 위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추가적으로, 상기 냉각기(50)와 열교환된 냉각 공기를 상기 제빙실(12)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유닛(40)은 단일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거나,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유닛(40)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제 1 종류의 제 1 얼음(I1)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트레이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상기 제 1 종류와 다른 제 2 종류의 제 2 얼음(I2)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트레이 유닛(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 유닛(40)는 후술할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얼음(I1)과 상기 제 2 얼음(I2)은 형태, 크기, 투명도 등 중 하나 이상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얼음(I1)이 다각형 형태의 얼음이고, 상기 제 2 얼음(I2)이 구 형태의 얼음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실은 제 1 저장 공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제 2 저장 공간(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은 상기 아이스 빈(14)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빈(14)의 내부 공간이 제 2 저장 공간(134)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을 상기 저장실(13)을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과 제 2 저장 공간(134)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의 체적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의 체적 보다 클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되는 제 1 얼음(I1)의 크기는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되는 제 2 얼음(I2)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의 전면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실(13)의 바닥벽(104)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아이스 빈(14)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아이스 빈(14)의 타측방에도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된 제 1 얼음(I1) 들은 상기 아이스 빈(14)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저장실(13)의 바닥벽(104)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3)의 바닥벽(104)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일단(102a)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의 바닥면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일단(102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좌우 양측면 중 일측면(도면 상 좌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빈(14)의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 외측의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보관되는 제 1 얼음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도어(20)의 개방 시 상기 제 1 얼음이 상기 전면 개구(102)를 통해 의도치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개구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전면 개구(102)의 일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열리면 상기 개구 커버(16)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저장실(1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일례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열릴 때,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개구 커버(16)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도어(20)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개구 커버(16)의 일단(16a)까지 제 1 얼음이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가 회전될 때, 상기 제 1 얼음의 일부가 상기 개구 커버(16)의 볼록부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3)의 외측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제 1 얼음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전면 개구(102)의 타단(102a)의 높이 가변을 통해서 상기 개구 커버(16)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분리된 얼음을 상기 저장실(13)로 안내하는 가이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상기 제빙 유닛(40)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된 제 1 얼음(I1)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분리된 제 2 얼음(I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70)는 제 1 가이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제 2 가이드(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된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가이드(71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가이드(710)에 의해서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분리된 제 2 얼음(I2)은 상기 제 2 가이드(73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얼음(I2)은 상기 제 2 가이드(730)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이동되도록, 상기 아이스 빈(14)의 일단은 상기 제 2 가이드(730)의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된 제 1 얼음과 제 2 얼음이 섞이지 않도록 상기 제빙 장치(1)는 구획판(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8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70) 또는 상기 제빙 유닛(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의 급수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제빙 유닛으로 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1)는,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안내하기 위한 급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원(302)에 연결되는 제 1 유로(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303)에는 급수 밸브(3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30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급수원(302)에서 상기 제빙 장치(1)로의 물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30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빙 장치(1)로 물이 공급될 때의 공급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 밸브(304)에 연결되는 제 2 유로(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305)는 필터(30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6)는 일례로 상기 기계실(18)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필터(306)를 통과한 물을 안내하는 제 3 유로(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급수 기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상기 제 3 유로(30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급수 유닛(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을 보관하여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 기구(320)를 제 1 급수 유닛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730)을 제 2 급수 유닛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상기 제빙 유닛(4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제빙 유닛(40)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급수 기구(3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여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점선은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의 유동을 보여주고, 실선은 상기 급수 유닛(330)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유동을 보여준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홀(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통과홀(426)을 통과한 후에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에는 상기 제빙 유닛(40)을 통과한 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낙하된 후 상기 제빙 유닛(40)을 통과하여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35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3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부(356)에 의해서 감지된 상기 물 저장부(350)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오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온되고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오프되는 때까지의 과정을 급수 과정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수 밸브(304)는 상기 수위 감지부(356)에 의해서 감지된 상기 물 저장부(350)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오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기 위한 급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 펌프가 펌핑하여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펌프는, 제 1 펌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펌프는, 제 2 펌프(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펌프(360)가 작동하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펌프(362)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펌프(360)와 제 2 펌프(362)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 1 펌프(360)와 제 2 펌프(362)의 펌핑 용량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각 펌프(360, 362)와 상기 물 저장부(35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관(352, 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관(352, 354)은 상기 물 저장부(350)의 바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서 상기 물 저장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제 1 펌프(360)에 의해서 펌핑된 물을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 급수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제 2 펌프(362)에 의해서 펌핑된 물을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급수부(3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는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의 일측에서 물을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일측에서 물을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 및 상기 제 2 급수부(382)는 상기 가이드(7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각 펌프(360, 362)와 각 급수부(380, 382)를 연결하는 제 2 연결관(370, 3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로부터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된 물은 얼음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다시 낙하된 물은 상기 가이드(70)를 통과한 후에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된 물은 얼음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다시 낙하된 물은 상기 가이드(70)를 통과한 후에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350)에는 드레인 관(36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관(360)은 상기 배수홀(105)를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18)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는 상기 드레인 관(360)과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3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튜브(362)는 최종적으로 물을 상기 제빙 장치(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 유닛(4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 유닛과 제 2 트레이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과 냉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13-1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유닛(40)에 상기 냉각기(5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일례로 상기 제빙 유닛(40)의 일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모듈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수평 방향으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은, 제 1 제빙셀(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빙셀은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하나의 제빙셀에서 하나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은, 제 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제 1 트레이 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에 결합되는 제 2 트레이 바디(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일례로 복수의 제 1 제빙셀(4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에 복수의 제 2 트레이 바디(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은, 하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복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은 제 1 일측셀(442)과 제 1 타측셀(4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 1 일측셀은 제 1 하부셀과 제 1 상부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타측셀을 제 1 하부셀과 제 1 상부셀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제 1 일측셀은 제 1 좌측셀과 제 1 우측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타측셀은 제 1 좌측셀과 제 1 우측셀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 1 일측셀과 제 1 타측셀의 용어가 반대인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타측셀(441)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일측셀(442)은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가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가 복수의 제 1 타측셀(44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트레이 바디(430) 각각이 제 1 일측셀(44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 2 트레이 바디(430)가 단일의 제 1 트레이 바디(420)에 결합되면, 복수의 제 1 제빙셀(4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는 제 1 개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423)는 상기 제 1 타측셀(441)과 연통된다.
상기 제 1 개구(423)의 개수는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일측셀(442)은 제 1 얼음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타측셀(441)은 상기 제 1 얼음의 타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에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에서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개구(423)는 제빙 과정에서 물 공급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개구(423)는 제빙 과정에서 물 배출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에서 생성된 얼음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개구(423)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 배출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일측셀(442)과 상기 제 1 타측셀(441) 각각은 일례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측셀(441)의 체적과 상기 제 1 일측셀(442)의 체적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에서 상기 제 1 얼음이 생성된 후에,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 얼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타측셀(441)의 수평 둘레(또는 수평 단면적)는 상기 제 1 일측셀(442)의 수평 둘레(또는 수평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즉, 급수 과정, 제빙 과정 또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일측셀(442)에서 얼음이 먼저 생성되도록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는 물이 통과하기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421, 4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하나의 트레이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복수의 트레이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는 일측 트레이(460)와 타측 트레이(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일측 트레이는 상부 트레이 또는 좌측 트레이 또는 제 1 트레이부일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하부 트레이 또는 우측 트레이 또는 제 2 트레이부일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타측 트레이(470)의 용어가 서로 반대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셀(451)은, 하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복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셀(451)은 제 2 일측셀(462)과 제 2 타측셀(4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제 2 일측셀(4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상기 제 2 타측셀(47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일측셀(462) 및 상기 제 2 타측셀(472) 각각은 일례로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는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복수의 제 2 일측셀(4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복수의 제 2 타측셀(47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셀(45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셀(451)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은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 1 제빙셀(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샤프트(489)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6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89)가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회전 중심(C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일단과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일단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일단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일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타단과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타단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타단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타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접촉면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와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결합 부위와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접촉면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와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결합 부위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높이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높이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최대 수평 둘레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최대 수평 둘레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최대 수평 둘레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최대 수평 둘레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개수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개수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체적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체적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체적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제빙실(440)의 체적의 합은 상기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체적의 합과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 1 제빙실(440)의 체적의 합은 상기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체적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제 2 개구(4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접촉하여 상기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한 상태에서 급수 과정 및 제빙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개구(473)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개구(473)는 제빙 과정에서 물 공급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2 개구(473)를 통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개구(473)는 제빙 과정에서 물 배출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상기 일측 트레이(46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423)와 상기 제 2 개구(473)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개구(423)는 상기 제 2 개구(47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를 지지하는 브라켓(4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빙실(12)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빙실(12)을 형성하는 벽에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상기 타측 트레이(470)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452)을 관통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브라켓(45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에는 상기 타측 트레이(47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6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둘레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635)에는 안착단(6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636)은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단(636)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636)이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의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물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6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타측 트레이(470)를 지지하는 서포터(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480)에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480)와 타측 트레이(470)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포터(480)가 상기 일측 트레이(46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480)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서포터 개구(48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개구(482a)는 상기 제 2 개구(473)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개구(482a)의 직경은 상기 제 2 개구(47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은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서 제 1 제빙셀에서 배출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제 2 얼음은 상기 제 2 개구(473)를 통해서 제 2 제빙셀에서 배출되지 못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트레이의 경우, 이빙 과정에서 제 1 얼음이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서 상기 제 1 제빙셀에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트레이를 오픈 타입 트레이(open type tray)라고 이름할 수 있다.
오픈 타입 트레이의 경우, 개구의 직경 또는 크기는 제 1 제빙셀의 직경 또는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트레이의 경우, 상기 제 2 얼음이 상기 제 2 개구(473)를 통해 상기 제 2 제빙셀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상기 제 2 트레이를 닫힌 타입 트레이(closed type tray)라고 이름할 수 있다.
닫힌 타입 트레이의 경우, 얼음의 분리를 위하여, 일측 트레이(460)와 타측 트레이(470) 중 하나 이상이 이동하거나 일측 트레이(460)와 타측 트레이(470)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타측 트레이(470)가 이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490)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4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490)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를 가압하거나 상기 제 2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푸셔(490)는 푸싱 바(4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와 서포터(480)가 이동될 때, 상기 푸싱 바(492)가 상기 서포터(480)의 서포터 개구(482a)를 관통하여 상기 타측 트레이(470) 또는 제 2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푸싱 바(492)에 의해서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제 2 얼음이 상기 타측 트레이(47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용이 측면에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냉매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접촉하는 제 2 냉매관(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과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직렬로 연결되거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유입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구동부(690)와 인접한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구동부(690)의 일측방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구동부(690)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 사이 공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유입관(511)에서 연장되는 제 1 절곡관(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절곡관(512)에서 연장되는 제 1 냉각관(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각관(513)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복수의 직선부(5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인접하는 두 직선부(513a)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연결부(51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경계 부위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상기 경계 부위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직선부는 복수의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직선부(513a)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냉각관(513)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5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관(514)은 상기 제 1 냉각관(513) 보다 높이가 낮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연결관(514)에 연결되는 제 2 냉각관(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상기 제 1 냉각관(513)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복수의 직선부(515a, 5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인접하는 두 직선부(515a, 515b)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연결부(51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트레이 바디(430)는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15a, 515b) 중 일부 직선부(515a)는, 하나의 열의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15a, 515b) 중 다른 일부 직선부(515b)는, 인접하는 두 열의 제 2 트레이 바디(430)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부 직선부(515a)는 일례로 제1열의 제 2 트레이 바디의 제1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부 직선부(515b)는 일례로 제1열의 제 2 트레이 바디의 제2측면과, 제2열의 제 2 트레이 바디의 제1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제 1 배출관(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관(516)은 상기 제 2 냉각관(515)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관(516)은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관(516)은 연장 방향으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1 배출관(516)으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1 배출관(516)에 일체로 형성되는 관이거나 상기 제 2 배출관(516)과 결합되는 관일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1 배출관(516)에 연결되는 제 2 유입관(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입관(522)은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상기 구동부(69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제 3 냉각관(5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2 유입관(52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의 일부(일 례로,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일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냉각관(523)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상기 일측 트레이(460)가 냉각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상기 제 3 냉각관(52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복수의 직선부(5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인접하는 두 직선부(523a)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연결부(5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23a)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23a)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제빙셀(451)과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23a) 중 일부는 상기 제 2 개구(473)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하는 일측셀과 타측셀의 배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1 냉각관(51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2 냉각관(515)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3 냉각관(523)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절곡관(5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관(524)의 일부는 상기 제 3 냉각관(523)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부(690)의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관(524)의 다른 일부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2 절곡관(524)에 연결되는 제 2 배출관(5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은 상기 구동부(690)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배출관(525)은 상기 구동부(690)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 사이 공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과 상기 제 1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 기구(320)는 급수 과정에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이빙 과정에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제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빙 유닛(40)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외부의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온 또는 상온과 유사한 온도이므로, 상기 제빙 유닛(40)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빙 과정에서 상기 급수 기구(320)에서 물이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빙실(12)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빙실(12)에 고정된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관통공(601)이 형성된 제 1 벽(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600)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벽(600)에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제 1 고정부(6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605)에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605)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6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06)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부(605)는 상기 제 1 벽(600)에서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 1 고정부(60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제 2 고정부(6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에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는 일례로 상기 관통공(60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고정부(60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는 상기 관통공(601)을 형성하는 면에서 관통공(601)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 2 고정부(60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제 3 고정부(6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고정부(608)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608)은 상기 제 1 고정부(605)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가 상기 고정기구에 고정될 때,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관통공(60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가 상기 고정기구에 고정되면, 상기 제 1 벽(600)의 상면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연장되는 차단벽(6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상기 제 1 고정부(605)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과 상기 관통공(601) 사이에 상기 고정홈(6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급수 과정이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일측 트레이(46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브라켓(452)의 주변 구조물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후술할 연장벽(630, 632) 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상기 제 1 벽(6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벽(6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에는 상기 구동부(690)가 설치되는 설치벽(6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일례로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제 2 벽(611)에서 상기 제 2 벽(6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치벽(616)의 일부는 상기 제 2 벽(611)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에는 상기 구동부(690)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의 일부가 통과하거나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회전 중심(C1)을 제공하는 상기 샤프트(489)가 통과하는 홀(6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구동부(69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구동부(690)와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690)의 일부가 수용되는 슬롯(6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슬롯(618)에 수용된 상기 구동부(69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일례로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돌기(617)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69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연장되는 제 3 벽(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벽(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벽(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벽(611)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벽(6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 사이에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푸셔(490)가 고정되는 제 4 벽(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수평선 및 수직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4 벽(62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공(6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제 2 제빙셀(45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방향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에는 상기 푸셔(49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6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21)에는 상기 푸셔(49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6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622)는 상기 안착홈(62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체결돌기(622)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21)에는 상기 푸셔(49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6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623)는 상기 안착홈(62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체결보스(623)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623) 사이에 상기 체결돌기(62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490)가 상기 제 4 벽(6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와 상기 푸셔(49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푸셔(490)가 상기 타측 트레이(47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타측 트레이(47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벽 내지 제 4 벽(600, 611, 612, 620) 중 둘 이상은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을 연결하기 위한 제 5 벽(6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벽(626)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벽(600)이나 상기 제 5 벽(626) 또는 상기 제 1 벽(600)과 상기 626)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6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609)에는 후술할 배출 유로(466)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5 벽(626)은 상기 관통공(601)을 기준으로 상기 제 4 벽(6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은 상기 제 3 벽(612)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630)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상기 통과홀(6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630)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통과홀(634)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장벽(63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둘레부(635)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은, 상기 제 2 벽(611)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6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632)에도 물이 통과하기 위한 상기 통과홀(6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벽(630, 632)은 상기 제 1 벽(600) 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벽(600)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제 2 벽 및 제 2 벽(611, 612)를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벽(630, 632)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브라켓(452)이 설치되는 벽에 형성된 구조물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된 벽(6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된 벽(637)은 일례로 상기 둘레부(63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벽(637)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벽(63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벽(637)은 상기 제1벽(637a)과 교차되는 제2벽(637b)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브라켓(452)을 구성하는 벽 들의 명칭은 예시적인 것으로 벽 들이 구분되는 한 벽 들을 구분하는 용어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에 상기 구획판(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에는 제 1 결합홀(6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벽(612)에는 제 2 결합홀(61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일측 트레이와 푸셔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일측 트레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구획판이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490)는, 상기 안착홈(621)에 안착되는 플레이트(4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91)에서 상기 푸싱 바(49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91)에는 상기 체결돌기(622)가 관통하는 돌기 홀(495)이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돌기 홀(492)은 인접하는 두 푸싱 바(49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91)에는 상기 체결보스(623)가 결합되는 보스 결합부(4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 결합부(493)는 상기 플레이트(49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623)는 상기 보스 결합부(496)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보스 결합부(496) 및 상기 체결보스(623)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제 2 일측셀(462)을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바디(4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의 일면(461a)에서 상기 제 2 일측셀(462)이 반구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는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의 일단부에서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장부(463)와, 상기 연장부(463)에서 연장되는 제 1 트레이 바디(4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는 상기 브라켓(452)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463)는 상기 제 1 벽(6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에는 상기 브라켓(452)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464, 464a)이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체결홀(464)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고정부(607)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체결홀(464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제 3 고정부(608)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면에 상기 제 2 냉매관(520)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면에는 상기 제 2 냉매관(520)의 직선부(523a)가 안착되는 안착홈(468)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안착홈(468)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안착홈(468)은 복수의 상기 제 2 일측셀(462)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제 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홈(468)은 상기 제 3 향과 교차되는 제 4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홈(468)은 상기 제 2 일측셀(462)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연장부(463)의 일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힌지부(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463)에는 한 쌍의 힌지부(4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465)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각 힌지부(465)는 샤프트 홀(46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465)의 샤프트 홀(465a)에는 상기 샤트프(48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가 상기 관통공(601)을 관통할 때 상기 한 쌍의 힌지부(465)도 상기 관통공(60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일면으로 낙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 유로(4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의 일면이 함몰되고, 상기 연장부(463)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유로 벽에 의해서 상기 배출 유로(4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466)는 일례로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466)는 연장부(463)의 측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466)는 복수의 안착홈(468)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냉매관(520)의 일부는 상기 배출 유로(466)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상기 제 1 고정부(605)의 고정홈(606)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6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64b)는 일례로 상기 연장부(463)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고정돌기(464b)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판(80)은 일례로 상기 브라켓(4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80)에는 결합 연장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결합 연장부(82)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연장부(82)에는 후크(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연장부(82)는 상기 구획판(8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크(84)는 상기 결합 연장부(8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80)은 상기 브라켓(452)에서 상기 제 5 벽(6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판(80)은 상기 제 4 벽(6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80)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제빙셀(451)에서 분리된 얼음이 상기 제 4 벽(6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결합 연장부(82)는 상기 제 2 벽(611) 및 제 3 벽(6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연장부(82) 사이에 상기 제 2 벽(611) 및 제 3 벽(612)이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 결합 연장부(82)의 후크(84)가 제 1 결합홀(611a) 및 제 2 결합홀(612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 예의 일측 트레이에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실시 예의 케이스에 단열 부재가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4는 본 실시 예의 케이스의 일측에 타측 트레이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를 둘러싸는 단열 부재(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를 둘러쌀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일측 트레이(4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일측셀(462)로 공급되는 콜드(cold) 또는 열이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으나, 상기 단열 부재(66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가 관통하기 위한 제 1 개구(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가 상기 제 1 개구(662)를 관통하면, 상기 단열 부재(660)의 일면은 상기 연장부(462)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제 2 고정부(607)가 위치되는 제 1 함몰 공간(6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일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개구(662) 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가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정부(607)와 상기 일측 트레이(46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배출 유로(466)가 위치되는 제 2 함몰 공간(6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 공간(664)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일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함몰 공간(664)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단열 부재(660)를 지지하는 서포터(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0)는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가 관통하기 위한 제 2 개구(652)를 구비하는 서포터 플레이트(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에 상기 단열 부재(66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에는 상기 타측 트레이(470)와 상기 서포터(480)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S1)가 수용되는 수용홀(65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을 위하여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S1)가 상기 서포터(6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0)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60)에서 연장되는 둘레벽(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60)의 테두리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과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60)는 상기 단열 부재(66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서포터(650)가 형성하는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단열 부재(600)는 상기 서포터(650)가 형성하는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00)가 상기 서포터(650)에 끼움 결합되면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상기 단열 부재(600)가 상기 서포터(65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과 정렬되는 제 1 슬롯(6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07)는 상기 제 1 슬롯(65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654)에 의해서 상기 제 2 고정부(407)가 상기 둘레벽(650)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배출 유로(466)가 위치되는 제 2 슬롯(6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롯(655)에 의해서 상기 배출 유로(466)가 상기 둘레벽(650)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0)는, 상기 둘레벽(650)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66)는 상기 일측 트레이(560)의 연장부(463)의 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를 둘러싸고 상기 서포터(650)가 상기 단열 부재(666)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의 일부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의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의 타면(461a)은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의 타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61)의 타면(461a)은 상기 타측 트레이(470)와 접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 유닛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급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제빙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이빙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온되어 외부의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 유로를 따라 유동된다. 상기 급수 유로를 따라 유동된 물은 상기 급수 기구(320)를 통해서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빙 유닛(40)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오프되어 상기 급수 과정이 종료된다.
상기 급수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제빙 과정이 시작된다.
상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냉각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냉각기(50)로 저온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축기(183)가 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응축기 팬(185)도 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 과정 전에 상기 압축기(183) 및 상기 응축기 팬(185)가 온되고, 상기 제빙 과정에서 온된 상태가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188)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급수 유닛(330)에 의해서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는, 상기 펌프(360, 36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펌프(360)가 작동되면, 물이 상기 제 1 급수부(380)를 통해서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의 제 1 개구(423)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의 일면을 향하여 유동한다. 상기 제 1 제빙셀(440) 내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냉매관(510)에 의해서 결빙될 수 있다. 결빙되지 않은 물은 다시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 1 개구(42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 물은 다시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이렇게 상기 제빙 과정에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일측에서 얼음이 생성되어 타측으로 성장되어 간다. 물이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분사되면서 물의 일부가 얼게 되는데, 물이 상기 제 1 트레이 바디(420)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 바디(430)에서 생성된 얼음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물 속의 기포가 물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펌프(362)가 작동되면, 물이 상기 제 2 급수부(382)를 통해서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서포터(480)의 서포터 개구(482a)와, 상기 타측 트레이(470)의 제 2 개구(473)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된 물은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내부를 향하여 유동한다. 상기 제 2 제빙셀(451) 내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2 냉매관(520)에 의해서 결빙될 수 있다. 결빙되지 않은 물은 다시 상기 제 2 개구(47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 2 개구(47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 물은 다시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상기 제빙 과정에 수행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트레이 유닛에서 제빙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과정은 상기 각 트레이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종료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제빙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빙 과정이 완료되면, 이빙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빙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밸브(188)가 온될 수 있다. 상기 밸브(188)가 온되면, 상기 압축기(183)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각기(5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로 유동된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빙 유닛(40)과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로 고온의 냉매가 유동되면 열이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전달된 열에 의해서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분리되면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된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전달된 열에 의해서 상기 제 2 얼음(I2)은 적어도 상기 일측 트레이(46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라서, 또는 상기 각 트레이 유닛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기(50)로 고온의 냉매가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690)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9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는 정 방향(도 1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로 유동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일측 트레이(460) 및 상기 타측 트레이(470)와 분리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 2 얼음(I2)이 상기 타측 트레이(47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대략 90도 각도 내외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타측 트레이(470)로부터 제 2 얼음(I2)이 낙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각기(50)로 유동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일측 트레이(460)에서는 분리되었으나, 상기 타측 트레이(470)에서는 아직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이빙 각도 만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푸셔(490)가 상기 타측 트레이(47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타측 트레이(470)로부터 제 2 얼음(I2)이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얼음(I2)은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된 상기 제 2 얼음(I2)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상기 정 방향으로 D이동된 이후에는 상기 구동부(690)에 의해서 상기 타측 트레이(470)가 역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일측 트레이(46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빙 과정이 1회 또는 설정 횟수 수행되면, 상기 물 저장부(350)의 물은 상기 드레인 관(390) 및 상기 드레인 튜브(39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드레인 과정). 즉, 상기 드레인 밸브는 물의 드레인 조건이 만족되면 일정 시간 온될 수 있다.
다음 번의 급수 과정은, 드레인 과정이 수행된 후에 시작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과정이 간헐적으로 수행될 때, 드레인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빙 과정 수행 후 바로 급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드레인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이빙 과정 후 드레인 과정이 수행되고, 드레인 과정의 수행 완료 후에 상기 급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 장치(1)에 적용되는 기술을 냉장고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 장치(1)의 구성 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빙 장치(1)에서 상기 제빙 유닛(40)을 상기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실은 상기 캐비닛 또는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제빙 유닛(40)과 동일한 구조 또는 유사한 형태로 상기 제빙 유닛(40)이 상기 제빙실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장치(1)에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에서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 또는 냉매 사이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에 구비되는 가이드(70), 급수 기구(320) 및 급수 유닛(330)도 상기 냉장고에 동일하거나 적용되거나 상기 냉장고의 특성에 맞게 형태나 크기나 위치가 변형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4)

  1. 제빙실에 구비되는 브라켓;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트레이부; 및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바디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제 1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되는 제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제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빙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2 고정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연장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일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일측으로 공급된 물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벽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 1 벽에 안착되면,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빙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설치벽을 구비하는 제 2 벽과,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 벽과 이격되는 제 3 벽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셀에서 분리된 얼음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후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 제빙셀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가 설치되는 제 4 벽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이트에서 연장되는 푸싱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벽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보스가 수용되는 보스 결합부가 구비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보스 결합부 및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되는 제빙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일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 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장되며 상기 물이 낙하되는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벽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장벽에서 연장되는 둘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는 인접하는 구조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브라켓의 설치 과정에서 인접하는 구조물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절곡된 벽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20.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에 안착되는 제 1 트레이부;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관통하는 제 1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단열 부재; 및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빙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바디가 관통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단열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고정부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PCT/KR2023/002706 2022-03-08 2023-02-27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65A KR20230132170A (ko) 2022-03-08 2022-03-08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10-2022-0029365 2022-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963A1 true WO2023171963A1 (ko) 2023-09-14

Family

ID=8793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2706 WO2023171963A1 (ko) 2022-03-08 2023-02-27 제빙 장치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70A (ko)
WO (1) WO202317196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5127A (ja) * 2017-08-31 2019-03-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装置
JP2019124418A (ja) * 2018-01-18 2019-07-25 サーモス株式会社 製氷器
US20200041187A1 (en) * 2018-08-03 2020-02-06 Hoshizaki America, Inc. Ice machine
KR20210031251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50067A (ko) * 2020-06-03 2021-12-10 김경옥 구형얼음 제빙장치 및 그 제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5127A (ja) * 2017-08-31 2019-03-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装置
JP2019124418A (ja) * 2018-01-18 2019-07-25 サーモス株式会社 製氷器
US20200041187A1 (en) * 2018-08-03 2020-02-06 Hoshizaki America, Inc. Ice machine
KR20210031251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50067A (ko) * 2020-06-03 2021-12-10 김경옥 구형얼음 제빙장치 및 그 제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70A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20235786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619384A1 (en) Home appliance
WO2023282639A1 (en) Storehouse
WO2023171963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2039429A1 (ko) 냉장고
WO2023171964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5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1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7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0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8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6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1096289A1 (ko) 냉장고
WO2021045415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3171962A1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282636A1 (en) Storehouse
AU201935450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3282635A1 (en) Storehouse
WO2022039427A1 (ko) 냉장고
WO2023128385A1 (ko) 저장고
WO2023282645A1 (en) Storehouse
WO2022039430A1 (ko) 냉장고
WO2022039428A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670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