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70A - 제빙 장치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 장치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70A
KR20230132170A KR1020220029365A KR20220029365A KR20230132170A KR 20230132170 A KR20230132170 A KR 20230132170A KR 1020220029365 A KR1020220029365 A KR 1020220029365A KR 20220029365 A KR20220029365 A KR 20220029365A KR 20230132170 A KR20230132170 A KR 2023013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wall
ice ma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호
이욱용
이남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70A/ko
Priority to PCT/KR2023/002706 priority patent/WO2023171963A1/ko
Publication of KR2023013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제빙 장치는,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트레이부; 및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 장치 및 냉장고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제빙 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687018호에는 자동 제빙기가 개시된다.
상기 자동 제빙기는,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제빙실의 하측에 배치되며 지지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물 접시와, 상기 물 접시의 하측에 조립되는 제빙 물탱크와, 상기 제빙 물탱크와 연결되는 공급 펌프와, 상기 제빙 물탱크의 일측방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와,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물 접시가 상기 제빙실의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공급 펌프로부터 물을 공급하고, 제빙셀로 공급된 물은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증발기로 고온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제빙셀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물 접시가 하부로 기울어지고, 상기 물 접시가 하부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물 접시의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 제빙셀이 가열됨에 따라서, 얼음은 상기 제빙셀에서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측으로 낙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얼음 저장실로 이동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제빙실을 지지하면서 물 접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개시하지 못한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이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빙실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이 주변 구조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지 못한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제빙실과 재질이 다른 구조물에 제빙실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하지 못한다.
본 실시 예는, 브라켓과 트레이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트레이 측으로 공급된 물이 브라켓의 주변 구조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브라켓에 다른 트레이 유닛의 연결이 가능한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때에 다른 종류의 얼음이 이빙 과정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는 제빙 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제빙 장치는,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 1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트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부는,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제 1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2 고정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연장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 상측으로 공급된 물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 1 벽에 안착되면,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설치벽을 구비하는 제 2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 벽과 이격되는 제 3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셀에서 분리된 얼음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후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 제빙셀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가 설치되는 제 4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이트에서 연장되는 푸싱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벽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보스가 수용되는 보스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상기 보스 결합부 및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 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장되며 상기 물이 낙하되는 연장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장벽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는 인접하는 구조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는, 상기 브라켓의 설치 과정에서 인접하는 구조물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절곡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제빙 장치는,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에 안착되는 제 1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관통하는 제 1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트레이 바디가 관통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단열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고정부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앞서 설명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트레이가 브라켓이 지지된 상태에서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단벽에 의해서 트레이 측으로 공급된 물이 브라켓 주변의 구조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의 둘레부에 안착단이 구비되어, 안착단이 인접하는 트레이 유닛에 안착됨에 따라서, 인접하는 트레이 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서 연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구획판에 의해서 얼음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수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얼음이 이빙 과정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을 구성하는 냉매 사이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의 급수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빙 유닛으로 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 유닛과 제 2 트레이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과 냉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의 저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저면도.
도 19는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상부 트레이와 푸셔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상부 트레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구획판이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실시 예의 상부 트레이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실시 예의 상부 케이스에 단열 부재가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실시 예의 상부 케이스의 하측에 하부 트레이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빙 장치는,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로 콜드(cold)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는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를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콜드를 공급하는 소스로서, 콜드 소스(cold source)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이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제 1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얼음과 다른 종류인 제 2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 각각으로 물을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은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증발기(또는 냉각기)와,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빙셀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트레이와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트레이와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각 유닛에 의해서 냉각된 냉기가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어 상기 제빙셀의 물의 얼음으로 상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를 독립적으로 냉각시키거나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선택적으로 냉매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나, 냉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이나, 두 공간 내의 냉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냉각 유닛의 냉력(cooling power)(또는 출력(output)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의 냉력은, 열전소자의 출력이나, 상기 트레이로 공급하는 콜드의 양이거나, 상기 압축기의 냉력(출력 또는 주파수)이거나, 증발기로 유동하는 냉매량일 수 있다. 상기 콜드는 적어도 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빙 유닛은, 상기 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푸셔(또는 푸셔), 상기 트레이를 가열하기 위하여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 상기 트레이의 외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빙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얼음이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 및 상기 제 2 트레이에서 동시에 얼음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전달되거나 히터 또는 냉매관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전달되거나 물이 상기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로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을 구성하는 냉매 사이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빙 장치(1)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실(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실(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2)과 저장실(13)은 구획 부재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고, 구획 부재의 연통홀에 의해서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실(12)과 상기 저장실(13)은 구획 부재 없이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실(12)이 상기 저장실(13)을 포함하거나, 상기 저장실(13)이 상기 제빙실(1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 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 개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일례로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전면 개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전면 개구(102)를 개방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전면 개구(102)를 통해 상기 저장실(13)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13)에 보관된 얼음을 상기 전면 개구(102)를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상기 제빙실(12)에 위치되는 제빙 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낙하되어 상기 저장실(13)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제빙실(1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너 케이스(1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1)는 상기 저장실(13)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2)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내부에서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이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에 가깝게 위치되면, 상기 저장실(13)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13)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생성되 얼음은 상기 도어(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3)과 구획되는 기계실(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일례로 상기 저장실(13)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빙실(12)과 상기 기계실(18) 사이에 상기 저장실(13)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3)의 체적은 상기 제빙실(12)의 체적 및 상기 기계실(18)의 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1)는 상기 저장실(13)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은 상기 바닥벽(104)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104)에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수홀(10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는 냉각 유닛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일례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 사이클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압축기(183)와, 응축기(184)와, 팽창기(186)와, 냉각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매 사이클은 밸브(188)에 의해서 냉매의 유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사이클은 상기 압축기(183)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냉각기(50)의 입구 측으로 바이패스 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1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87)에 상기 밸브(1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188)가 오프되면 상기 압축기(183)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184)로 바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밸브(188)가 온되면 상기 압축기(183)에서 압축된 냉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187)으로 바이패스 되어 상기 냉각기(50)로 바로 유동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183)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를 유동한 냉매는 어큐물레이터(189)를 유동한 후에 상기 압축기(183)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83)와 상기 응축기(184)는 상기 기계실(18)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는 상기 응축기(184)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응축기 팬(1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팬(185)은 일례로 상기 응축기(184)와 상기 압축기(1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공기 홀(182)이 형성되는 전면 그릴(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그릴(180)에는 복수 공기 홀(1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그릴(180)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전면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 그릴(18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51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실(1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유닛(4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기(50)를 유동하는 저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빙 유닛(40)에 공급된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빙 유닛(4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가 상기 제빙 유닛(40)에 직접 접촉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직접 냉각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냉각기(50)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되어, 냉각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 유닛(40)의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냉각 공기의 공급에 의해서 얼음을 생성하는 방식을 간접 냉각 방식 또는 공기 냉각 방식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간접 냉각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냉각기(50)가 상기 제빙실(12)에 위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추가적으로, 상기 냉각기(50)와 열교환된 냉각 공기를 상기 제빙실(12)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유닛(40)은 단일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거나,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 유닛(40)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제 1 종류의 제 1 얼음(I1)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트레이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상기 제 1 종류와 다른 제 2 종류의 제 2 얼음(I2)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트레이 유닛(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 유닛(40)는 후술할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얼음(I1)과 상기 제 2 얼음(I2)은 형태, 크기, 투명도 등 중 하나 이상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얼음(I1)이 다각형 형태의 얼음이고, 상기 제 2 얼음(I2)이 구 형태의 얼음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두 종류의 얼음이 구분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저장실(13)은 제 1 저장 공간(132)과, 제 2 저장 공간(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은 상기 아이스 빈(14)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빈(14)의 내부 공간이 제 2 저장 공간(134)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을 상기 저장실(13)을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과 제 2 저장 공간(134)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의 체적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의 체적 보다 클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되는 제 1 얼음(I1)의 크기는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되는 제 2 얼음(I2)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의 전면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실(13)의 바닥벽(104)의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아이스 빈(14)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아이스 빈(14)의 전방에도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된 제 1 얼음(I1) 들은 상기 아이스 빈(14)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저장실(13)의 바닥벽(104)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3)의 바닥벽(104)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하단(102a)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의 바닥면은 상기 전면 개구(102)의 하단(102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14)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좌우 양측면 중 일측면(도면 상 좌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일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빈(14)의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 외측의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보관되는 제 1 얼음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도어(20)의 개방 시 상기 제 1 얼음이 상기 전면 개구(102)를 통해 의도치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개구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전면 개구(102)의 하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열리면 상기 개구 커버(16)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단이 상기 저장실(1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일례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열릴 때,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개구 커버(16)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는 상기 도어(20)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개구 커버(16)의 상단(16a)까지 제 1 얼음이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개구 커버(16)가 회전될 때, 상기 제 1 얼음의 일부가 상기 개구 커버(16)의 볼록부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3)의 외측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제 1 얼음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전면 개구(102)의 하단(102a)의 높이 가변을 통해서 상기 개구 커버(16)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분리된 얼음을 상기 저장실(13)로 안내하는 가이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상기 제빙 유닛(4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된 제 1 얼음(I1) 및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분리된 제 2 얼음(I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70)는 제 1 가이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는 제 2 가이드(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된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가이드(71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가이드(710)에 의해서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분리된 제 2 얼음(I2)은 상기 제 2 가이드(73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얼음(I2)은 상기 제 2 가이드(730)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이동되도록, 상기 아이스 빈(14)의 상단은 상기 제 2 가이드(730)의 하단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된 제 1 얼음과 제 2 얼음이 섞이지 않도록 상기 제빙 장치(1)는 구획판(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8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70) 또는 상기 제빙 유닛(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의 급수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제빙 유닛으로 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1)는,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안내하기 위한 급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원(302)에 연결되는 제 1 유로(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303)에는 급수 밸브(3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30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급수원(302)에서 상기 제빙 장치(1)로의 물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30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빙 장치(1)로 물이 공급될 때의 공급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급수 밸브(304)에 연결되는 제 2 유로(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305)는 필터(30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6)는 일례로 상기 기계실(18)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는, 상기 필터(306)를 통과한 물을 안내하는 제 3 유로(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급수 기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상기 제 3 유로(30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는, 급수 유닛(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을 보관하여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 기구(320)를 제 1 급수 유닛이라 할 수 있고, 상기 급수 유닛(730)을 제 2 급수 유닛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상기 제빙 유닛(4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제빙 유닛(4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급수 기구(3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여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점선은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의 유동을 보여주고, 실선은 상기 급수 유닛(330)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유동을 보여준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홀(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통과홀(426)을 통과한 후에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에는 상기 제빙 유닛(40)을 통과한 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 기구(320)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낙하된 후 상기 제빙 유닛(40)을 통과하여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35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3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부(356)에 의해서 감지된 상기 물 저장부(350)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오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온되고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오프되는 때까지의 과정을 급수 과정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수 밸브(304)는 상기 수위 감지부(356)에 의해서 감지된 상기 물 저장부(350)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오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기 위한 급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 펌프가 펌핑하여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펌프는, 제 1 펌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펌프는, 제 2 펌프(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펌프(360)가 작동하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펌프(362)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펌프(360)와 제 2 펌프(362)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 1 펌프(360)와 제 2 펌프(362)의 펌핑 용량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각 펌프(360, 362)와 상기 물 저장부(35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관(352, 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관(352, 354)은 상기 물 저장부(350)의 바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서 상기 물 저장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제 1 펌프(360)에 의해서 펌핑된 물을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 급수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제 2 펌프(362)에 의해서 펌핑된 물을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급수부(3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는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물을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물을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 및 상기 제 2 급수부(382)는 상기 가이드(7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닛(330)은, 상기 각 펌프(360, 362)와 각 급수부(380, 382)를 연결하는 제 2 연결관(370, 3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로부터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된 물은 얼음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다시 낙하된 물은 상기 가이드(70)를 통과한 후에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로부터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된 물은 얼음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다시 낙하된 물은 상기 가이드(70)를 통과한 후에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350)에는 드레인 관(36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관(360)은 상기 배수홀(105)를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18)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8)에는 상기 드레인 관(360)과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3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튜브(362)는 최종적으로 물을 상기 제빙 장치(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 유닛(4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 유닛과 제 2 트레이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과 냉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빙 유닛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13-1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유닛(40)에 상기 냉각기(5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일례로 상기 제빙 유닛(40)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모듈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수평 방향으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은, 제 1 제빙셀(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빙셀은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하나의 제빙셀에서 하나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은, 제 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하부 트레이 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바디(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일례로 복수의 제 1 제빙셀(4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 복수의 상부 트레이 바디(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은, 하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복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은 일측셀과 타측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일측셀은 제 1 하부셀(441)일 수 있다. 상기 타측셀은 제 1 상부셀(442)일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셀(441)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셀(442)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가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가 복수의 제 1 하부셀(44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트레이 바디(430) 각각이 제 1 상부셀(44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상부 트레이 바디(430)가 단일의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 결합되면, 복수의 제 1 제빙셀(4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는 제 1 하부 개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는 상기 제 1 하부셀(441)과 연통된다.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의 개수는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셀(441)은 제 1 얼음의 하측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상부셀(442)은 상기 제 1 얼음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서 분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는 제빙 과정에서 물 공급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는 제빙 과정에서 물 배출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에서 생성된 얼음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 배출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셀(441)과 상기 제 2 하부셀(442) 각각은 일례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셀(441)의 체적과 상기 제 2 하부셀(442)의 체적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에서 상기 제 1 얼음이 생성된 후에,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 얼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부셀(441)의 수평 둘레(또는 수평 단면적)는 상기 제 1 상부셀(442)의 수평 둘레(또는 수평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즉, 급수 과정, 제빙 과정 및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셀(442)에서 얼음이 먼저 생성되도록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는 물이 통과하기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421, 4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하나의 트레이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복수의 트레이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는 일측 트레이와 타측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부 트레이(460)(또는 제 1 트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470)(또는 제 2 트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은, 하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복수의 셀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셀(451)은 일측셀과 타측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일측셀은 제 2 상부셀(462)일 수 있다. 상기 타측셀은 제 2 하부셀(472)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상기 제 2 상부셀(4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상기 제 2 하부셀(47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셀(462) 및 상기 제 2 하부셀(272) 각각은 일례로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는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복수의 제 2 상부셀(4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복수의 제 2 하부셀(47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셀(45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셀(451)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은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 1 제빙셀(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샤프트(489)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6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89)가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회전 중심(C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상단과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상단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상단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하단과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하단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하단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접촉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20)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30)의 결합 부위와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접촉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20)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30)의 결합 부위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높이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높이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최대 수평 둘레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최대 수평 둘레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최대 수평 둘레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최대 수평 둘레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개수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개수는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체적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체적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체적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제빙실(440)의 체적의 합은 상기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체적의 합과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 1 제빙실(440)의 체적의 합은 상기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체적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제 2 하부 개구(4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접촉하여 상기 제 2 제빙셀(451)을 형성한 상태에서 급수 과정 및 제빙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는 제빙 과정에서 물 공급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는 제빙 과정에서 물 배출 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상기 상부 트레이(46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와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는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를 지지하는 브라켓(4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빙실(12)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빙실(12)을 형성하는 벽에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상기 하부 트레이(470)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452)을 상측에서 관통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브라켓(45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47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둘레부(6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635)에는 안착단(6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636)은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단(636)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636)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의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물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6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하부 트레이(470)를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480)에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480)와 하부 트레이(47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서포터(480)가 상기 상부 트레이(4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480)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서포터 개구(48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개구(482a)는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개구(482a)의 직경은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은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서 제 1 제빙셀에서 배출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제 2 얼음은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해서 제 2 제빙셀에서 배출되지 못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트레이의 경우, 이빙 과정에서 제 1 얼음이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서 상기 제 1 제빙셀에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트레이를 오픈 타입 트레이(open type tray)라고 이름할 수 있다.
오픈 타입 트레이의 경우, 하부 개구의 직경 또는 크기는 제 1 제빙셀의 직경 또는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트레이의 경우, 상기 제 2 얼음이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해 상기 제 2 제빙셀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상기 제 2 트레이를 닫힌 타입 트레이(closed type tray)라고 이름할 수 있다.
닫힌 타입 트레이의 경우, 얼음의 분리를 위하여, 상부 트레이(460)와 하부 트레이(470) 중 하나 이상이 이동하거나 상부 트레이(460)와 하부 트레이(470)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부 트레이(470)가 회전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490)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4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490)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를 가압하거나 상기 제 2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푸셔(490)는 푸싱 바(4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와 하부 서포터(480)가 회전될 때, 상기 푸싱 바(492)가 상기 하부 서포터(480)의 서포터 개구(482a)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470) 또는 제2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푸싱 바(492)에 의해서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제 2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47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용이 측면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냉매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는,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접촉하는 제 2 냉매관(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과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직렬로 연결되거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유입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구동부(690)와 인접한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구동부(690)의 후방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구동부(690)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 사이 공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유입관(5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절곡관(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절곡관(512)에서 연장되는 제 1 냉각관(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각관(513)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복수의 직선부(5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인접하는 두 직선부(513a)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연결부(51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관(511)은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제 2 트레이 유닛(450)의 경계 부위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관(513)은 상기 경계 부위에서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직선부는 복수의 상부 트레이 바디(43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직선부(513a)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냉각관(513)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 1 연결관(5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관(514)은 상기 제 1 냉각관(513) 보다 높이가 낮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상기 제 1 연결관(514)에 연결되는 제 2 냉각관(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상기 제 1 냉각관(513)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2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복수의 직선부(515a, 5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관(515)은 인접하는 두 직선부(515a, 515b)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연결부(51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트레이 바디(530)는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15a, 515b) 중 일부 직선부(515a)는, 하나의 열의 상부 트레이 바디(430)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15a, 515b) 중 다른 일부 직선부(515b)는, 인접하는 두 열의 상부 트레이 바디(430)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부 직선부(515a)는 일례로 제1열의 상부 트레이 바디의 제1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부 직선부(515b)는 일례로 제1열의 상부 트레이 바디의 제2측면과, 제2열의 상부 트레이 바디의 제1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관(510)은, 제 1 배출관(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관(516)은 상기 제 2 냉각관(515)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관(516)은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관(516)은 연장 방향으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1 배출관(516)으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1 배출관(516)에 일체로 형성되는 관이거나 상기 제 2 배출관(516)과 결합되는 관일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1 배출관(516)에 연결되는 제 2 유입관(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입관(522)은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에서 상기 구동부(69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제 3 냉각관(5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2 유입관(52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의 일부(일 례로,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냉각관(523)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460)가 냉각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상기 제 3 냉각관(52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복수의 직선부(5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인접하는 두 직선부(523a)를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연결부(5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23a)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23a)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2 제빙셀(451)과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23a) 중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1 냉각관(51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각관(523)은 상기 제 2 냉각관(515)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3 냉각관(523)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절곡관(5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관(524)의 일부는 상기 제 3 냉각관(523)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부(690)의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관(524)의 다른 일부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관(520)은, 상기 제 2 절곡관(524)에 연결되는 제 2 배출관(5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은 상기 구동부(69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배출관(525)은 상기 구동부(690)와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후측벽(101a) 사이 공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출관(5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유입관(5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 기구(320)는 급수 과정에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이빙 과정에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에서 제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빙 유닛(40)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급수 기구(320)는 외부의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온 또는 상온과 유사한 온도이므로, 상기 제빙 유닛(40)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빙 과정에서 상기 급수 기구(320)에서 물이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빙실(12)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빙실(12)에 고정된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관통공(601)이 형성된 제 1 벽(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벽(600)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벽(600)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제 1 고정부(6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605)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605)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6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06)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부(605)는 상기 제 1 벽(600)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 1 고정부(60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제 2 고정부(6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는 일례로 상기 관통공(60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고정부(60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는 상기 관통공(601)을 형성하는 면에서 관통공(601)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복수의 제 2 고정부(60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제 3 고정부(6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고정부(608)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608)은 상기 제 1 고정부(605)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가 상기 고정기구에 고정될 때,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상기 관통공(60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가 상기 고정기구에 고정되면, 상기 제 1 벽(600)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차단벽(6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복수의 제 2 제빙셀(451)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상기 제 1 고정부(605)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과 상기 관통공(601) 사이에 상기 고정홈(6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급수 과정이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46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브라켓(452)의 주변 구조물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604)은 후술할 연장벽(630, 632) 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상기 제 1 벽(6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벽(6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에는 상기 구동부(690)가 설치되는 설치벽(6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일례로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제 2 벽(611)에서 상기 제 2 벽(6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치벽(616)의 일부는 상기 제 2 벽(6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에는 상기 구동부(690)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의 일부가 통과하거나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회전 중심(C1)을 제공하는 상기 샤프트(489)가 통과하는 홀(6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구동부(69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구동부(690)와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690)의 일부가 수용되는 슬롯(6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616)은 상기 슬롯(618)에 수용된 상기 구동부(69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일례로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돌기(617)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69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연장되는 제 3 벽(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벽(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벽(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벽(611)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벽(6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 사이에 상기 제 2 제빙셀(45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푸셔(490)가 고정되는 제 4 벽(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수평선 및 수직선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4 벽(62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공(6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제 2 제빙셀(45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방향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620)에는 상기 푸셔(49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6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21)에는 상기 푸셔(49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6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622)는 상기 안착홈(62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체결돌기(622)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21)에는 상기 푸셔(49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6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623)는 상기 안착홈(62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체결보스(623)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623) 사이에 상기 체결돌기(62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490)가 상기 제 4 벽(6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와 상기 푸셔(49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푸셔(490)가 상기 하부 트레이(47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47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벽 내지 제 4 벽(600, 611, 612, 620) 중 둘 이상은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을 연결하기 위한 제 5 벽(6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벽(626)은 상기 제 1 벽(600)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벽(600)이나 상기 제 5 벽(626) 또는 상기 제 1 벽(600)과 상기 626)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6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609)에는 후술할 배출 유로(466)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5 벽(626)은 상기 관통공(601)을 기준으로 상기 제 4 벽(6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은 상기 제 3 벽(612)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630)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상기 통과홀(6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630)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통과홀(634)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장벽(63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둘레부(635)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벽은, 상기 제 2 벽(611)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6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632)에도 물이 통과하기 위한 상기 통과홀(6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벽(630, 632)은 상기 제 1 벽(600) 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벽(600)으로 낙하된 물은 상기 제 2 벽 및 제 2 벽(611, 612)를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벽(630, 632)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52)은 상기 브라켓(452)이 설치되는 벽에 형성된 구조물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된 벽(6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된 벽(637)은 일례로 상기 둘레부(63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벽(637)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벽(63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벽(637)은 상기 제1벽(637a)과 교차되는 제2벽(637b)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브라켓(452)을 구성하는 벽 들의 명칭은 예시적인 것으로 벽 들이 구분되는 한 벽 들을 구분하는 용어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 2 벽(611)과 상기 제 3 벽(612)에 상기 구획판(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벽(611)에는 제 1 결합홀(6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벽(612)에는 제 2 결합홀(61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상부 트레이와 푸셔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 예의 브라켓에 상부 트레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구획판이 브라켓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490)는, 상기 안착홈(621)에 안착되는 플레이트(4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91)에서 상기 푸싱 바(49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91)에는 상기 체결돌기(622)가 관통하는 돌기 홀(495)이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돌기 홀(492)은 인접하는 두 푸싱 바(49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91)에는 상기 체결보스(623)가 결합되는 보스 결합부(4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 결합부(493)는 상기 플레이트(49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623)는 상기 보스 결합부(496)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보스 결합부(496) 및 상기 체결보스(623)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제 2 상부셀(462)을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4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의 하면(461a)에서 상기 제 2 상부셀(462)이 반구 형태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는 일례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장부(463)와, 상기 연장부(46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트레이 바디(4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는 상기 브라켓(452)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463)는 상기 제 1 벽(6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에는 상기 브라켓(452)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464, 464a)이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체결홀(464)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고정부(607)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체결홀(464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제 3 고정부(608)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상면에 상기 제 2 냉매관(520)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냉매관(520)의 직선부(523a)가 안착되는 안착홈(468)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안착홈(468)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안착홈(468)은 복수의 상기 제 2 상부셀(462)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홈(468)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잇다.
복수의 안착홈(468)은 상기 제 2 상부셀(462)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상기 연장부(463)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힌지부(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463)에는 한 쌍의 힌지부(4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465)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각 힌지부(465)는 샤프트 홀(46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465)의 샤프트 홀(465a)에는 상기 샤트프(48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가 상기 관통공(601)을 관통할 때 상기 한 쌍의 힌지부(465)도 상기 관통공(60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상면으로 낙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 유로(4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63)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연장부(46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유로 벽에 의해서 상기 배출 유로(4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466)는 일례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466)는 연장부(463)의 측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466)는 복수의 안착홈(468)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냉매관(520)의 일부는 상기 배출 유로(466)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상기 제 1 고정부(605)의 고정홈(606)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6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64b)는 일례로 상기 연장부(463)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고정돌기(464b)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판(80)은 일례로 상기 브라켓(4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80)에는 결합 연장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결합 연장부(82)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연장부(82)에는 후크(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연장부(82)는 상기 구획판(8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크(84)는 상기 결합 연장부(8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80)은 상기 브라켓(452)에서 상기 제 5 벽(6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판(80)은 상기 제 4 벽(62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80)은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제빙셀(451)에서 분리된 얼음이 상기 제 4 벽(6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결합 연장부(82)는 상기 제 2 벽(611) 및 제 3 벽(6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연장부(82) 사이에 상기 제 2 벽(611) 및 제 3 벽(612)이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 결합 연장부(82)의 후크(84)가 제 1 결합홀(611a) 및 제 2 결합홀(612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 예의 상부 트레이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실시 예의 상부 케이스에 단열 부재가 수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4는 본 실시 예의 상부 케이스의 하측에 하부 트레이가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를 둘러싸는 단열 부재(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일례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를 둘러쌀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 트레이(4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상부 셀(462)로 공급되는 콜드(cold) 또는 열이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으나, 상기 단열 부재(66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가 관통하기 위한 제 1 개구(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가 상기 제 1 개구(662)를 관통하면, 상기 단열 부재(660)의 상면은 상기 연장부(462)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제 2 고정부(607)가 위치되는 제 1 함몰 공간(6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개구(662) 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607)가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정부(607)와 상기 상부 트레이(47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배출 유로(466)가 위치되는 제 2 함몰 공간(6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 공간(664)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함몰 공간(664)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은 상기 단열 부재(660)를 지지하는 서포터(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가 관통하기 위한 제 2 개구(652)를 구비하는 서포터 플레이트(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에 상기 단열 부재(66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470)와 상기 하부 서포터(480)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S1)가 수용되는 수용홀(65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S1)가 상기 서포터(6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0)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6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벽(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60)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과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60)는 상기 단열 부재(66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상기 서포터(650)가 형성하는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는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단열 부재(600)는 상기 서포터(650)가 형성하는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00)가 상기 서포터(650)에 끼움 결합되면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상기 단열 부재(600)가 상기 서포터(65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단열 부재(66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제 1 함몰 공간(663)과 정렬되는 제 1 슬롯(6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07)는 상기 제 1 슬롯(65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654)에 의해서 상기 제 2 고정부(407)가 상기 둘레벽(650)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둘레벽(650)은 상기 배출 유로(466)가 위치되는 제 2 슬롯(6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롯(655)에 의해서 상기 배출 유로(466)가 상기 둘레벽(650)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0)는, 상기 둘레벽(65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6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666)는 상기 상부 트레이(560)의 연장부(463)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660)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를 둘러싸고 상기 서포터(650)가 상기 단열 부재(666)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의 일부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의 하면(461a)은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651)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61)의 하면(461a)은 상기 하부 트레이(470)와 접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 유닛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급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제빙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이빙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온되어 외부의 급수원(302)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 유로를 따라 유동된다. 상기 급수 유로를 따라 유동된 물은 상기 급수 기구(320)를 통해서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빙 유닛(40) 측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빙 유닛(40)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304)가 오프되어 상기 급수 과정이 종료된다.
상기 급수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제빙 과정이 시작된다.
상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냉각 유닛이 작동하여 상기 냉각기(50)로 저온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축기(183)가 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응축기 팬(185)도 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 과정 전에 상기 압축기(183) 및 상기 응축기 팬(185)가 온되고, 상기 제빙 과정에서 온된 상태가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188)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급수 유닛(330)에 의해서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는, 상기 펌프(360, 36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펌프(360)가 작동되면, 물이 상기 제 1 급수부(380)를 통해서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부(380)에서 상방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420)의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30)의 상면을 향하여 유동한다. 상기 제 1 제빙셀(440) 내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1 냉매관(510)에 의해서 결빙될 수 있다. 결빙되지 않은 물은 다시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 1 하부 개구(42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 물은 다시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이렇게 상기 제빙 과정에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제 1 제빙셀(440)의 상측에서 얼음이 생성되어 하측으로 성장되어 간다. 물이 상기 제 1 제빙셀(440)로 분사되면서 물의 일부가 얼게 되는데, 물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20) 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420)에서 생성된 얼음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물 속의 기포가 물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펌프(362)가 작동되면, 물이 상기 제 2 급수부(382)를 통해서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부(382)에서 상방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하부 서포터(480)의 서포터 개구(482a)와, 상기 하부 트레이(470)의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셀(451)로 공급된 물은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내부 상면을 향하여 유동한다. 상기 제 2 제빙셀(451) 내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2 냉매관(520)에 의해서 결빙될 수 있다. 결빙되지 않은 물은 다시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 2 하부 개구(473)를 통해서 하방으로 낙하된 물은 다시 상기 물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상기 제빙 과정에 수행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트레이 유닛에서 제빙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과정은 상기 각 트레이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종료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제빙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빙 과정이 완료되면, 이빙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빙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밸브(188)가 온될 수 있다. 상기 밸브(188)가 온되면, 상기 압축기(183)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각기(5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로 유동된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빙 유닛(40)과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로 고온의 냉매가 유동되면 열이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전달된 열에 의해서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이 상기 제 1 트레이 유닛(410)과 분리되면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된 상기 제 1 얼음(I1)은 상기 제 1 저장 공간(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유닛(40)으로 전달된 열에 의해서 상기 제 2 얼음(I2)은 적어도 상기 상부 트레이(46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라서, 또는 상기 각 트레이 유닛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기(50)로 고온의 냉매가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부(690)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9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는 정 방향(도 1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50)로 유동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상부 트레이(460) 및 상기 하부 트레이(470)와 분리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 2 얼음(I2)이 상기 하부 트레이(47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대략 90도 각도 내외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 트레이(470)로부터 제 2 얼음(I2)이 낙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각기(50)로 유동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상부 트레이(460)에서는 분리되었으나, 상기 하부 트레이(470)에서는 아직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이빙 각도 만큼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푸셔(490)가 상기 하부 트레이(47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부 트레이(470)로부터 제 2 얼음(I2)이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얼음(I2)이 상기 제 2 트레이 유닛(450)과 분리되면 상기 제 2 얼음(I2)은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0)로 낙하된 상기 제 2 얼음(I2)은 상기 제 2 저장 공간(13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상기 정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는 상기 구동부(69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470)가 역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46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빙 과정이 1회 또는 설정 횟수 수행되면, 상기 물 저장부(350)의 물은 상기 드레인 관(390) 및 상기 드레인 튜브(39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드레인 과정). 즉, 상기 드레인 밸브는 물의 드레인 조건이 만족되면 일정 시간 온될 수 있다.
다음 번의 급수 과정은, 드레인 과정이 수행된 후에 시작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과정이 간헐적으로 수행될 때, 드레인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빙 과정 수행 후 바로 급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드레인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이빙 과정 후 드레인 과정이 수행되고, 드레인 과정의 수행 완료 후에 상기 급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 장치(1)에 적용되는 기술을 냉장고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 장치(1)의 구성 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빙 장치(1)에서 상기 제빙 유닛(40)을 상기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실은 상기 캐비닛 또는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제빙 유닛(40)과 동일한 구조 또는 유사한 형태로 상기 제빙 유닛(40)이 상기 제빙실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 장치(1)에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냉장고에서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 또는 냉매 사이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1)에 구비되는 가이드(70), 급수 기구(320) 및 급수 유닛(330)도 상기 냉장고에 동일하거나 적용되거나 상기 냉장고의 특성에 맞게 형태나 크기나 위치가 변형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3)

  1.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트레이부; 및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제 1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되는 제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제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빙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2 고정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연장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제 1 트레이부 상측으로 공급된 물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벽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벽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 1 벽에 안착되면, 상기 복수의 힌지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빙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설치벽을 구비하는 제 2 벽과,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 벽과 이격되는 제 3 벽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셀에서 분리된 얼음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후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이빙 과정에서 얼음이 제빙셀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가 설치되는 제 4 벽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이트에서 연장되는 푸싱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벽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보스가 수용되는 보스 결합부가 구비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보스 결합부 및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되는 제빙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공 보다 낮은 위치에서 연장되며 상기 물이 낙하되는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벽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되는 제빙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장벽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는 인접하는 구조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브라켓의 설치 과정에서 인접하는 구조물과 간섭이 방지되도록 절곡된 벽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19. 제빙실에 구비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브라켓;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에 안착되는 제 1 트레이부;
    상기 제 1 트레이부가 관통하는 제 1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단열 부재; 및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이격되는 제 2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부는, 상기 제빙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트레이 바디를 둘러싸고 상기 연장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빙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바디가 관통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단열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트레이부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고정부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급수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부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낙하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단열 부재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수용되는 함몰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위치되는 슬롯이 구비되는 제빙 장치.
KR1020220029365A 2022-03-08 2022-03-08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65A KR20230132170A (ko) 2022-03-08 2022-03-08 제빙 장치 및 냉장고
PCT/KR2023/002706 WO2023171963A1 (ko) 2022-03-08 2023-02-27 제빙 장치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65A KR20230132170A (ko) 2022-03-08 2022-03-08 제빙 장치 및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70A true KR20230132170A (ko) 2023-09-15

Family

ID=8793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65A KR20230132170A (ko) 2022-03-08 2022-03-08 제빙 장치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70A (ko)
WO (1) WO20231719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5864B2 (ja) * 2017-08-31 2022-06-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装置
JP2019124418A (ja) * 2018-01-18 2019-07-25 サーモス株式会社 製氷器
US11255588B2 (en) * 2018-08-03 2022-02-22 Hoshizaki America, Inc. Ultrasonic bin control in an ice machine
KR20210031251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50067A (ko) * 2020-06-03 2021-12-10 김경옥 구형얼음 제빙장치 및 그 제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963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2308B1 (en) Refrigerated drawer having an ice maker
US8336321B2 (en) Hybrid multi-evaporator central cooling system for modular kitchen
US6422031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impingement cooling system
US7685837B2 (en) Freezer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20130000333A1 (en) Refrigerator
EP2009372A2 (en) Temporary refrigerator storage modules
EP2009374A2 (e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with custom storage modules
KR101680382B1 (ko) 모듈식 냉장고
EP2009373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optional storage module
EP2012077A2 (e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with optional storage module and controller
EP0715137A1 (en) Cool air discharge controll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53409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26864A (ko)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333B1 (ko) 냉장고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RU2350859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230132170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71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76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73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74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75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65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61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KR20230132166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