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5381A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5381A1
WO2021045381A1 PCT/KR2020/009502 KR2020009502W WO2021045381A1 WO 2021045381 A1 WO2021045381 A1 WO 2021045381A1 KR 2020009502 W KR2020009502 W KR 2020009502W WO 2021045381 A1 WO2021045381 A1 WO 20210453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frame
support
front frame
el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95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하종호
Original Assignee
하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종호 filed Critical 하종호
Publication of WO20210453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53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that strengthens a part of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strengthening a user's lower back and lower body.
  • Lower body exercise includes thigh exercise, calf exercise, ankle joint exercise, knee joint exercise and hip joint exercise, hip exercise, and lower back exerci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derly in the age group who are uncomfortable cannot do such exercise.
  • the calf of our body is closely related to our health.
  • the calf muscles move the blood down to the legs back to the heart and act as an important pump for blood circulation. People whose walking ability is degraded due to weakening of unit muscle strength or surgery cannot move for a long time, so the ability of the joints and muscles required for walking is in a weakened state, so exercise to compensate for this is requir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reinforcement exercise of the calves and thighs of the user's lower body without causing an excessive burden on the knee joint while the user's upper body is mounted on the apparatus.
  •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frame in which the user's upper body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support fram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coupled to maintain the front frame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front frame includes a base fram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side fram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ase frame, and a contact pad supported by contacting the front part of the user's body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 the upper end of the front frame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o support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user's elbow.
  • a stepping frame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frame,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frames,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base frame, and serves as a support means by which the user steps on and climbs. .
  •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frame and the ground is determined by the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ide frame, and the support frame is the front frame so that the front frame has an angle between 70 and 8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combined on the back of the.
  • the elbow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user's elbow,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to support a side surface of the user's elbow.
  • the horizontal plate of the elbow support portion is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ri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and the horizontal plate may be formed to form 0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through the stepped part and easily mount the front of the upper body on the device to maintain a state where the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certain distance, and in this state, the knee is stretched and folded. By repeating, you can strengthen your thighs and calves.
  • the exercise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exercise on the lower body in a suspended state, and it is a method in which the weight of the body is not added to the knee, but is a method in which the weight of the body is partially distributed to the upper body and is a method to counter gravity. It can be exercised without load on the hip and waist joints,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sed by patients with poor knee joints or the elderly in older age groups.
  • the user since the user maintains a standing state, it is possible to exercise in a correct posture because the posture does not change during exercise, and the force holding the handle to fix the user's body as well as lower body movement is Because it is necessary, there is an effect that grip strength and arm movemen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view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ercise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 front frame 1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ile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in contact,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front frame 10 is It consists of a support frame 20 that is coupled to maintain a certain angle.
  • the front frame 10 is a frame forming a square, and the outer shape thereof is a rod-shaped base frame 12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side frame 11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2. Can be determined by
  • the support frame 20 may be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frame 11 and extends so as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from the rear direction of the side frame 11.
  •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frame 10 and the ground may be determined by the support frame 2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side frame 11,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frame 10 and the ground ( ⁇ 1 ) can be formed to have a range between 70 to 85 degrees.
  • ⁇ 1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frame 10 and the ground ( ⁇ 1 ) can be formed to have a range between 70 to 85 degrees.
  • the front frame 10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of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is disposed.
  •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frame 10 becomes the inclination of the user's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user's body can be stably seated on the contact pad 15 at an angle.
  • a stepping frame 13 disposed between the side frames 11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parallel to the base frame 12 is provided.
  • the stepping frame 13 is a member that acts as a stepping board on which the user steps on and climbs,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user's weight.
  • a contact pad 15 that is supported by contac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user's body is coupled, and for this purpose, a firs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between the side frames 11 of the front frame 10 A pad support frame 17 is formed.
  •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ct pad 15 may be adhered to the first pad support frame 17 to be fixed in its position, and the contact pad 1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ad support frame 17 for stable support.
  • a second pad support frame 18 may be formed to support anoth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
  • a pair of handle frames 16 formed to protrude to the front by a predetermined width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11.
  • the handle frame 16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frame 11 and exten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11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a curved surfac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rame 11 It can be formed into a frame.
  • An elbow support part 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rame 16.
  • the elbow support part 30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s elbow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to support the side of the user's elbow.
  • Each of the elbow support portions 30 may be disposed in a shape facing each other in a pair of handle frames 16. Since the elbow support part 30 is a member that carries the user's weight and touches the skin during exercise, the horizontal p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y formed of a soft material with a cushioning feeling.
  • the elbow support part 30 is seated and fix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11, wherein the horizontal plate of the elbow support part 30 is arranged to rise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angle ⁇ 1 formed by the ground may be formed to form 0 to 30 degrees.
  • the elbow support part 30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user's body by seating the user's arm, so that the user's arm has an inclination that descends toward the rear frame 20 rather than being placed on the elbow support part 30. It is formed so that the arm is mounted can support the user's body more stably.
  • FIG. 2 is a rear view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upper region of the elbow support 30 disclosed in FIG. 1 can be seen.
  • a handle 32 made of a rod shape may be dispos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 the handle 32 is a part that the user holds after placing the arm on the elbow support 30, and is a means provided for the user to support the upper body.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3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11 and fixed so that the angle does not change even when a certain weight is applied.
  • 3 is a front view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ct pad 15 is disposed to be included in the inner area of the front frame 10, and may extend from a point high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tepping frame 13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frame 10. have.
  • the contact pad 15 is a member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wer body and a portion of the upper body come into contact,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eeling.
  • FIGS. 1 to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stands on the stepping frame 13 provided on the front frame 10 and puts his arm on the elbow support 3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frame 10, After contacting the front part of the body with the contact pad 15, the handle 32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bow support 30 in the extending direction is held.
  • the user's upper body and lower body When the user's upper body and lower body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ercis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body is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direction. In this state, the user can perform an exercise such as releasing the foot raised on the stepping frame 13 and folding and unfolding the knee in the rearward direction.
  • the load is applied from the user's waist to the calf by gravity, so the user's waist, thigh, and calves are stimulated to stimulate the corresponding area.
  • the exercise device of the embodiment is a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exercise on the lower body in a suspended state, and it is a method in which the weight of the body is not added to the knee, but is a method in which the weight of the body is partially distributed to the upper body and is a method to counter gravity. It can be exercised without load on the hip and waist joints,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sed by patients with poor knee joints or the elderly in older age groups.
  • the exercise device of the embodiment can perform exercise while minimizing cartilage damage on the knee side, strengthen the joints through exercise to strengthen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joint, and adjust the balance of the body by strengthening the back muscles of the human body. have.
  •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suspended, the user's posture is upright and the posture is corrected, and since the arm must support a certain weight,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upper body.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xercise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가 접촉하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앞쪽에는 사용자 신체의 전면부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 패드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팔꿈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팔꿈치 지지부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접촉 패드와 팔꿈치 지지부에 접촉하여 매달린 상태에서 다리를 뒤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반복하여 허리, 종아리, 허벅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기구
본 발명은 신체의 일부를 강화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와 하체를 강화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직립보행을 하는 동물로, 생활중 대부분의 시간을 하체를 이용한 운동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체에 비해 하체의 운동과 관리가 필요하며, 연령이 많은 사람일수록 지속적인 하체 운동이 필요하다.
하체운동은 허벅지 운동, 종아리 운동, 발목관절 운동, 무릎 관절운동 및 고관절 운동, 엉덩이 운동, 허리 운동을 포함하며, 이러한 운동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이 앉고 서는 운동이지만 관절이 약하거나 신체의 일부가 불편한 연령층의 노인들은 이러한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리 몸의 종아리는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위이다. 종아리 근육은 다리로 내려간 혈액을 심장으로 다시 몸전체를 돌게하며, 혈액 순환에 중요한 펌프 역할을 한다. 단위근력 약화나 수술로 인해 보행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장시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보행에 필요한 관절과 근육의 능력이 약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주기 위한 운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들이 쉽게 하체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체를 기구에 거치한 상태로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하체 중에서도 종아리와 허벅지 부분의 강화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상체가 접촉하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프레임은 바닥면과 접촉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앞쪽에는 사용자 신체의 전면부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 패드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팔꿈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사용자가 밟고 올라서는 지지수단이 되는 디딤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전면 프레임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이 지면에 대해 70~85도 사이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전면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꿈치 지지부는 사용자의 팔꿈치 하면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진 수평판과 사용자의 팔꿈치 측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평판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팔꿈치 지지부의 수평판은 전면 프레임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은 지면에 대해 0~3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딤부를 통해 손잡이를 잡아 상체의 전면을 용이하게 기구에 거치하여 신체가 바닥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무릅을 폈다 접었다 하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허벅지와 종아리를 강화할 수 있다.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하체에 대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기구로서, 신체의 무게가 무릎에 부가되는 방식이 아니라 상체로 일부분 분산된 상태에서 중력을 거스르는 방식이기 때문에 발목, 무릎, 고관절, 허리관절에 부하가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무릎 관절이 안좋은 환자나 나이가 많은 연령대의 노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운동 중에 자세가 틀어지지 않아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체 운동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신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붙잡고 있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악력 및 팔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상체가 접촉하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전면 프레임(10),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10)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프레임(10)은 사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그 외형은 바닥면과 접촉되는 봉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 프레임(1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일정 높이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후면방향으로부터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연장형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20)에 의해 상기 전면 프레임(1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1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θ1)는 70~85도 사이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0)에는 사용자의 신체 전면이 접촉하는 구성이 배치되는데 실질적으로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기울기가 사용자의 신체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기울기가 되며, 상기와 같은 전면 프레임(10)의 각도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안정적으로 접촉 패드(15)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며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디딤 프레임(13)이 마련된다. 상기 디딤 프레임(13)은 사용자가 밟고 올라서는 디딤판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 사용자의 몸무게를 버틸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질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앞쪽에는 사용자 신체의 전면부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 패드(15)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측면 프레임(11) 사이에는 바닥에 대해 수평하게 제1 패드 지지 프레임(17)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 패드(15)의 후면은 상기 제1 패드 지지 프레임(17)에 접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지력을 위해 상기 제1 패드 지지 프레임(17)의 상부에는 상기 접촉 패드(15)의 후면 중 다른 부분을 지지하는 제2 패드 지지 프레임(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상면에는 소정의 폭만큼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손잡이 프레임(16)이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16)은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소정 높이에 연결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상단보다 일정폭만큼 높은 위치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상부에 연결되는 곡면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16)의 상면에는 팔꿈치 지지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팔꿈치 지지부(30)는 사용자의 팔꿈치 하면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진 수평판과 사용자의 팔꿈치 측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평판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팔꿈치 지지부(30)는 한쌍의 손잡이 프레임(16)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팔꿈치 지지부(30)는 운동시 사용자의 무게가 실리며 피부가 닿는 부재이기 때문에, 특히 수평판은 쿠션감이 있으며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꿈치 지지부(30)는 상기 측면 프레임(11)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데, 이 때 상기 팔꿈치 지지부(30)의 수평판은 전면 프레임(10)의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0~3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꿈치 지지부(30)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팔이 상기 팔꿈치 지지부(30)에 놓여지는 것보다 후면 프레임(20) 방향으로 하강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팔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사용자의 신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후면도이다. 도 2의 후면도를 참조하면 도 1에 개시된 팔꿈치 지지부(30)의 상부 영역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팔꿈치 지지부(30)의 수평판에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32)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2)는 사용자가 상기 팔꿈치 지지부(30)에 팔을 안착시킨 후에 잡게 되는 부위이며, 사용자가 상체를 지탱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단이다. 이에, 상기 손잡이(32)는 측면 프레임(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정한 무게가 실려도 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촉 패드(15)는 전면 프레임(10)의 내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며, 디딤 프레임(13)과 소정의 거리만큼 높은 지점에서부터 전면 프레임(10)의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15)는 사용자의 하체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체의 일부가 접촉하는 부재로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전면 프레임(10)에 마련된 디딤 프레임(13)을 딛고 올라서서, 전면 프레임(10)의 상단부에 마련된 팔꿈치 지지부(30)에 팔을 올려놓고, 신체의 전면부를 접촉 패드(15)에 접촉시킨 후에, 상기 팔꿈치 지지부(30)의 연장방향 끝쪽에 마련된 손잡이(32)를 잡는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운동기구에 접촉시키면 사용자의 신체는 전면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직립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딤 프레임(13)에 올려진 발을 떼고 후방향으로 무릎을 접었다 폈다 하는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무릎을 접어 발을 뒤쪽으로 들어올리는 자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부터 종아리까지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 허벅지, 종아리의 근육을 자극시켜 해당 부위가 강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하체에 대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기구로서, 신체의 무게가 무릎에 부가되는 방식이 아니라 상체로 일부분 분산된 상태에서 중력을 거스르는 방식이기 때문에 발목, 무릎, 고관절, 허리관절에 부하가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무릎 관절이 안좋은 환자나 나이가 많은 연령대의 노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무릎쪽에 있는 연골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관절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관절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의 뒷근육을 강화하여 신체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운동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종아리에 일정 무게를 갖는 모래주머니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를 뒤로 들어올리면, 모래주머니의 무게만큼 더 큰 부하가 걸리므로 더 강도 높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가 직립되어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가 있고, 팔로 일정 무게를 지지해야하기 때문에 상체의 힘도 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지지되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프레임은 바닥면과 접촉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면서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사용자가 밟고 올라서는 지지수단이 되는 디딤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패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앞쪽에는 상기 패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는 접촉 패드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팔꿈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팔꿈치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팔꿈치 지지부는 사용자의 팔꿈치 하면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진 수평판과 사용자의 팔꿈치 측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수평판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패드는, 사용자가 상기 팔꿈치 지지부에 팔을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공중부양하였을 때 사용자의 가슴에서부터 무릎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사용자는 상기 팔꿈치 지지부를 통해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접촉 패드를 기준면으로 종아리의 상승하강 운동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전면 프레임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이 지면에 대해 70~85도 사이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전면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지지부의 수평판은 전면 프레임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기울기를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은 지면에 대해 0~3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운동기구.
PCT/KR2020/009502 2019-09-04 2020-07-20 운동기구 WO20210453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339A KR102110718B1 (ko) 2019-09-04 2019-09-04 운동기구
KR10-2019-0109339 2019-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381A1 true WO2021045381A1 (ko) 2021-03-11

Family

ID=7072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9502 WO2021045381A1 (ko) 2019-09-04 2020-07-20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0718B1 (ko)
WO (1) WO2021045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18B1 (ko) * 2019-09-04 2020-05-13 하종호 운동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070A1 (en) * 2004-11-09 2006-05-11 Abdo John S Exercise machine
KR20110011177U (ko) * 2009-08-07 2011-12-02 장푸 룽바오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복근 운동기
JP3190441U (ja) * 2013-07-25 2014-05-15 三正 山口 空中運動器具
US20140323278A1 (en) * 2013-04-30 2014-10-30 Stamina Products, Inc. Standing traction device
KR20180012543A (ko) * 2016-07-27 2018-02-06 큐렉소 주식회사 보행 훈련 장치
KR102110718B1 (ko) * 2019-09-04 2020-05-13 하종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070A1 (en) * 2004-11-09 2006-05-11 Abdo John S Exercise machine
KR20110011177U (ko) * 2009-08-07 2011-12-02 장푸 룽바오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복근 운동기
US20140323278A1 (en) * 2013-04-30 2014-10-30 Stamina Products, Inc. Standing traction device
JP3190441U (ja) * 2013-07-25 2014-05-15 三正 山口 空中運動器具
KR20180012543A (ko) * 2016-07-27 2018-02-06 큐렉소 주식회사 보행 훈련 장치
KR102110718B1 (ko) * 2019-09-04 2020-05-13 하종호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718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8163B1 (en)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CA2812835C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US6146315A (en) Treadmill
US8529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US11260267B2 (en) Weighted-squat exercise machine and belt
JP2008500083A (ja) 患者の運動障害,特に歩行時の障害を再教育するための装置
US20120190511A1 (en) Leg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conducting physical therapy using same
JP7365356B2 (ja) 医療用歩行器
KR102112966B1 (ko) 하체운동기구
JP2005169052A (ja) 腰部股関節膝靭帯等下肢疾患者が支持する体重を、補助して疾患部の疼痛を緩和し、人体本来の姿勢制御機能を疎外しないで下肢の動きに追従して機能する腰部股関節膝靭帯等下肢疾患者用体重支持補助具。
WO2021045381A1 (ko) 운동기구
RU1400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WO2020060074A1 (ko) 햄스트링 유연성 개선을 위한 운동기구
KR101011469B1 (ko) 하체 및 복근 운동기구 세트
EA033877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больничная кровать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в вертикализатор
Harburn et al. An overhead harness and trolly system for balance and ambulation assessment and training
CN210698031U (zh) 多功能康复训练轮椅
KR102185448B1 (ko)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RU2698444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объема движений в голеностопном суставе у детей с мышечной дистрофией Дюшенна
KR101556951B1 (ko) 스쿼팅 운동용 보드
KR100603746B1 (ko) 신체를 상하 양측으로 동시 견인하는 스트레칭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US5787898A (en) Backache relief exercising method
RU2003112208A (ru) 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йогой
SU15408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работки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CN216021572U (zh) 一种膝关节悬吊牵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01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601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