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77U - 복근 운동기 - Google Patents

복근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177U
KR20110011177U KR2020117000034U KR20117000034U KR20110011177U KR 20110011177 U KR20110011177 U KR 20110011177U KR 2020117000034 U KR2020117000034 U KR 2020117000034U KR 20117000034 U KR20117000034 U KR 20117000034U KR 20110011177 U KR20110011177 U KR 201100111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ulley
front main
bar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7000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221Y1 (ko
Inventor
아이-헝 치앙
Original Assignee
장푸 룽바오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4209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11177(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푸 룽바오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장푸 룽바오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11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e.g. for exercising against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adjustable inclination angle of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63B22/008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a counterforce being provided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14Knee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앞 주요지지대, 뒤 지지대, 도르래 받침대, 받침체, 팔꿈치받침 및 손잡이관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바닥끝은 땅과 서로 닿아 있으며, 상부끝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래 받침대는 상기 앞 주요지지대 상에 슬라이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 받침대 상에는 최소한 한 세트의 무릎이 닿아 고정될 수 있는 받침대가 세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관 부품은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꼭대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관 부품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팔꿈치받침이 설치되며, 이러한 복근 운동기는 복부 근육 및 팔뚝 근육을 동시에 단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 낮은 제조 원가, 가볍고 옮기기 쉬운 형태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복근 운동기{ABDOMINAL EXERCISE MACHINE}
본 고안은 헬스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부 근육 및 팔뚝 근육을 단련시키는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의 리듬이 빨라지고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증가됨에 따라 헬스 클럽등을 이용하며 신체를 단련하고 스트레스를 푸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현재 이러한 헬스 기구들은 매우 다양한데, 런닝 머신, 복근 운동기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헬스 기구들은 기구 자체의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며 이로 인해 결국 헬스 클럽에 다니며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러한 헬스 클럽은 특별히 시간을 내서 운동을 위해 방문을 해야하며, 또한 회원들이 많을 경우 일정 시간을 기다려야만 운동을 할 수 있는 불편함 등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복근 운동기는 비록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이 단지 복부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주 목적이며 기타 부위에 대한 근육 단력을 동시에 달성하기는 힘들었고, 또한 단련 강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중적인 요구 사항에 부적합하였다.
상술된 문제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인은 현대인의 신체 단련의 필요에 의거하여 본 고안인 복근 운동기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복부 근육과 팔뚝 근육을 동시에 단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기구 차체의 부피가 가볍고 옮기기 쉬운 복근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주요 목적은, 신체 단련 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에게 모두 적합한 복근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근 운동기는, 앞 주요지지대, 뒤 지지대, 도르래 받침대, 받침체, 팔꿈치받침 및 손잡이관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그 중 상기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바닥끝은 땅과 서로 닿아 있으며, 상부끝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래 받침대는 상기 앞 주요지지대 상에 슬라이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 받침대 상에는 최소한 한 세트의 무릎이 닿아 고정될 수 있는 받침대가 세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관 부품은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꼭대기부에 설치되며,
상기 앞 주요지지대는 지지막대, 받침막대 및 두 개의 가로막대,받침막대가 땅에 닿아 있고, 상기 지지막대와 받침막대는 평행으로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가로막대는 평행으로 지지막대와 받침막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꿈치받침은 각각 상기 지지막대의 양 끝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관 부품은 상기 지지막대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뒤 지지대는 세로막대와 두 개의 평행 수직막대를 포함하고 있고, 두 개의 수직막대의 바닥부는 모두 상기 세로막대와 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막대의 꼭대기부는 각각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가로막대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두 개의 가로막대는 상기 뒤 지지대의 수직막대의 연결부위에 각각 연결편이 설치되고, 각 연결편 상에는 각각 중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구멍의 주변에는 약간의 고정구멍이 설치되고, 각 수직막대의 꼭대기부에는 상기 중심구멍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구멍이 설치되며, 이 둘 사이는 나사를 통해 서로 고정 연결되고, 상기 수직막대에는 천공이 형성되어 당김추가 상기 천공과 그 중 하나의 고정구멍과 고정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막대의 하단의 양 측면에는 각각 도르래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르래 상에는 각각 견인밧줄이 덮어 씐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견인밧줄의 한 끝은 상기 도르래 받침대의 꼭대기부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손잡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도르래 받침대는 받침대, 네 개의 도르래 및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곁막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받침대의 바닥부에는 각각 두 개의 가로막대와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하단에는 모두 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가로막대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고정편을 관통한 후, 하나의 당김추가 통공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네 개의 도르래는 각각 축심을 통해 받침대 바닥의 네개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가 가로막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곁막대 상기 받침대 상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받침체은 각각 곁막대의 양 끝에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 받침대의 바닥부에는 당김고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바닥부에는 당김고리가 설치되며, 탄력체가 상기 두 개의 당김고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도르래 받침대의 상부에는 당김고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꼭대기부에는 당김고리가 설치되며, 탄력체가 상기 두 개의 당김고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탄력체는 고무줄 또는 탄성이 있는 줄,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바닥부에는 도르래 받침대의 슬라이드 경로 상에서 돌출된 형태의 완충받침이 설치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복근 운동기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의 구조는 앞 주요지지대, 뒤 지지대 등의 부품들로만 구성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또한 관(管)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제품의 무게가 가볍고 운반하기 편리하며 제조 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관 부품을 잡고 무릎을 받침체 상에 붙인 후, 팔뚝의 힘으로 위로 끌어 올릴 때 복부 근육이 축소되며, 또한 도르래 받침대가 상기 앞 주요지지대를 따라 위로 슬라이드 이동되기 때문에 신체가 위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복구 근육을 단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뚝의 근육까지 단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3)상기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 연결판 상의 서로 다른 위치의 공동(孔洞)을 통해 고정 연결을 하게 되며, 상기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협각(夾角)은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도르래 받침대 상하 슬라이드 기울기 각도가 저항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단련 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4)본 고안은 도르래 받침대와 앞 주요지지대의 바닥부에 각각 당김고리를 설치하게 되며, 당김밧줄을 이용해 이 둘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위로 이동할 때, 탄성밧줄의 탄력 작용으로 인해 도르래 받침대가 위로 올라가면서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더욱 많은 힘을 사용해 이러한 저항력을 극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련 강도를 높여 더욱 높은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5)본 고안은 견인 기구를 설치하며, 지지막대 하단을 통과하여 양측에 도르래를 설치하고 상기 도르래 상에 견인밧줄을 씌워 설치하고, 상기 견인밧줄의 한 끝은 도르래 받침대에 연결되며, 사용자는 상기 도르래 받침대 상에 앉은 후, 양손으로 견인밧줄의 한 끝을 잡고 위로 당기게 되면 또 다른 방식의 신체 단련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입체 조합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중의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사용 각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중의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또 다른 사용 각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중의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또 다른 사용 각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 중의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또 다른 사용 각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도시한 입체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에서 복근 운동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에서 복근 운동기를 사용한 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관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 1내지 도 9를 함께 사용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도 1은 본 고안인 복근운동기의 입체 분해도이다. 상기 복근 운동기는 앞 주요지지대(1), 뒤 지지대(2), 도르래 받침대(3), 손잡이관 부품(4), 팔꿈치받침(5) 및 받침체(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앞 주요지지대(1)는 지지막대(101), 받침막대(102) 및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를 포함하는데, 상기 받침막대(102)는 지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막대(101)와 상기 받침막대(102)는 평행으로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 역시 평행으로 설치되며, 꼭대기부와 바닥부는 각각 지지막대(101)와 받침막대(102) 상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뒤 지지대(2)는 세로막대(201)와 두 개의 수직막대(202, 203)를 포함하는데, 상기 세로막대(201)는 땅에 닿아 있고, 상기 두 개의 수직막대(202, 203)는 평행으로 설치되며, 또한 바닥부는 모두 상기 세로막대(201) 상에 고정 설치되고, 이를 통해 П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막대(202, 203)의 꼭대기부는 각각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와 서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상기 앞 주요지지대(1)와 뒤 지지대(2)가 조절 가능한 협각(180°이하)으로 지면 상에 설치된다.
도 1의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의 상부에 각각 연결편(105)이 설치되고, 상기 각 연결편(105) 상에는 각각 중심구멍(106)과 다수의 고정구멍(107)이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 설치)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멍(107)은 상기 중심구멍(106)의 주변 테두리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직막대(202, 203)의 꼭대기부에는 상기 중심구멍(106)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구멍(204)이 설치되고, 이 둘 사이는 나사(21)를 통해 고정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수직막대(202, 203) 상에는 또한 각각 천공(205) 형성되고, 상기 나사(21)를 이용해 상기 중심구멍(106)과 위치고정구멍(204)을 고정시킨 후, 상기 수직막대(202, 203)를 각각 나사(21)를 이용해 축심 회전을 시킴으로써 상기 천공(205)이 상기 고정구멍(107)과 서로 대응되게 하며, 다시 당김추(15)를 이용해 상기 수직막대(202, 203)와 가로막대(103, 104) 사이의 협각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도르래 받침대(3)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앞 주요지지대(1) 상에 설치되며, 도 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상기 도르래 받침대(3)는 받침대(31), 네 개의 도르래(13) 및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곁막대(3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31)의 바닥부는 각각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와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고정편(34)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34)의 하단에는 모두 이와 대응되는 통공(35)이 형성되며, 각각 두 개의 서로 대응되는 고정편(34)은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에 덮어 씌운 형태로 형성되고, 다시 당김추(16)를 사용하여 도르래 받침대(3)와 앞 주요지지대(1)가 서로 위치를 제한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네 개의 도르래(13)의 축심은 각각 상기 받침대(31) 바닥의 네 개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르래(13)는 상기 가로막대(103, 104) 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13)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곁막대(33)는 상기 받침대(31)의 상방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두 개의 곁막대(33)를 사용하였고, 상기 두 개의 곁막대(33)는 상기 받침대(31) 상에 평행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받침체(6)는 무릎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릎 부위를 이곳에 기대어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방석처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 시의 편안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 중에서의 받침체(6)는 스폰지를 이용해 제작 완성하였으며, 모두 네 개의 받침체가 각각 두 개의 곁막대(33)의 양 끝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곁막대(33)의 양 끝은 상기 원형내부삽입부품(10)을 통해 관입구를 막는 형태로 설치된다.
손잡이관 부품(4)은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꼭대기부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지지막대(101)의 중간 부분의 구멍이 난 돌출판(108)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관 부품(4) 상에는 이와 대응되는 구멍이 난 돌출판(41)이 설치되고, 이 둘 사이는 나사(22)를 이용해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상기 손잡이관 부품(4)의 손으로 잡는 부위는 스폰지(11)로 감싸게 된다.
두 개의 팔꿈치받침(5)은 손잡이관 부품(4)의 하단의 양측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팔꿈치를 이곳에 기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드러운 재질의 스폰지로 제작 완성하였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지지막대(101)의 양끝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막대(101)의 양끝은 원형내부삽입부품(10)을 사용해 관입구를 막게 된다.
본 고안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살펴보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손잡이관 부품(4)상의 스폰지 손잡이부를 잡고, 팔꿈치는 상기 팔꿈치받침(5) 상에 기대고, 무릎은 상기 받침체(6) 상에 기댄 채, 상기 손잡이관 부품(4)을 힘껏 잡고 몸을 위로 일으키면 복부 근육이 수축되어지며, 이때 상기 도르래 받침대(3)가 위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사용자가 힘을 풀게 되면 상기 도르래 받침대(3)가 중력의 작용으로 가로막대(103, 104)의 하부까지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다시 힘을 사용해 위로 끌어 올리게 됨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복부 근육 및 팔뚝 근육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뒤 지지대(2) 상의 천공(205)과 서로 다른 고정구멍(107)을 서로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뒤 지지대(2)와 앞 주요지지대(1)의 협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막대(103, 104)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위로 이동할 때의 저항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힘을 쓰는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상기 천공(205)을 상기 네 개의 고정구멍(107)과 서로 맞춰 사용했을 때, 기울기가 급하면 급할수록 단련 강도가 점차 증가되고, 또한 이를 수납 보관하는 경우, 상기 뒤 지지대(2)와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이 협각이 최소화 되었을 때,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단련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도르래 받침대(3)의 바닥부에 당김고리(36)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바닥부(받침막대102) 상에 당김고리(109)를 설치하여, 탄력체(37)(고무줄, 탄력줄, 스프링 또는 기타 탄성을 갖춘 물질)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도르래 받침대(3)를 위로 이동 시키고자 할 때, 상기 탄력체(37)의 탄력 저항을 극복해야 함으로 단련 강도가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도르래 받침대(3)의 상부 및 앞 주요지지대(1)의 꼭대기부(지지막대101)에는 당김고리(39, 110)가 서로 대응되어 고정 설치하고, 이 둘 사이에는 탄력체(37)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탄력체(37)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도르래 받침대(3)가 아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단련 기록을 기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전자타이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 주요지지대(1)의 하나의 가로막대(104) 중간부위에 감지막대(19)를 설치하고, 고정부품(20)을 이용해 고정시킨 다음, 도르래 받침대(3)의 받침대(31) 상에 자석(38)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관 부품(4) 상에 전자타이머(12)를 설치하며, 상기 전자타이머(12)에는 전자타이머선(17)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막대(19)는 감지선(18)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선(18)은 상기 가로막대(104)의 속이 빈 관형태의 관 내부에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감지선(18)이 훼손되어 사용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타이머 구조는 흔히 사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의 바닥부에는 각각 완충받침(26)이 돌출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도르래 받침대(3)가 하측까지 슬라이드 되어 이동되었을 때, 상기 완충받침(26)의 저항력으로 도르래 받침대가 완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이 감소되어 사용자가 더욱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의 구조는, 주요 부위가 전술된 구조와 동일하며, 앞 주요지지대(1'), 뒤 지지대(2'), 도르래 받침대(3'), 손잡이관 부품(4'), 팔꿈치받침(5') 및 받침체(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앞 주요지지대(1')는 지지막대(101'), 받침막대(102') 및 두 개의 가로막대(103', 10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뒤 지지대(2')는 세로막대(201')와 두 개의 수직막대(202', 20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관 부품(4') 상에도 역시 전자타이머(12')가 설치되는데, 단지 상술된 내용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앞 주요지지대(1')의 지지막대(101')가 중간부에 고정구멍을 갖춘 고정편(51')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관 부품(4')에는 서로 대응되는 통공(41')이 설치되며, 이 둘 사이는 고정부품(22')을 이용해 고정 작업을 진행하고, 이 외에도 상기 받침체(6')에는 도르래 받침대(3')가 중간 부위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사용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견인 구조를 더 설치하는데, 도 7의 내용을 살펴보면, 상기 견인 구조는 도르래(71'), 견인밧줄(72') 및 손잡이(73')를 포함하고 있고, 상술된 한 쌍의 도르래(71')를 각각 지지막대(101') 하단 양 측면에 고정 설치하며, 구체적으로는 우선 U형집게(74')의 열린 입구가 아래로 향하게 하고, 바닥부의 통공을 지지막대(101') 하방 양측에 설치하며, 상기 U형집게(74')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러한 구조로 서로 다른 팔 길이의 사용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힘을 쓰는 방향이 중심에서 멀어지면 도르래(71')가 걸려 멈춰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U형집게(74')의 개구 방향이 상기 지지막대(101')와 평행이 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도르래(71')는 상기 U형집게(74') 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75')(bushing)을 이용하여 이 두가지를 서로 고정시켜 도르래의 형태를 완성하게 되며, 상기 도르래(71')의 외부에는 걸림결합이 가능한 보호덮개(77')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덮개(77')는 상기 U형집게(74')와 도르래(71')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두 개의 홈입구(78')가 설치되어 견인밧줄(72')이 관통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견인밧줄(72')은 상기 도르래(71') 상에 걸림 설치되고, 그 한 끝은 도르래 받침대(3')의 꼭대기부에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손잡이(73')와 서로 연결된다. 도 8의 내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손잡이(73')를 잡을 때의 편안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73')의 손으로 잡는 부위에는 스폰지(76')가 설치된다.
상술된 구조를 이용해 운동을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받침체(6') 상에 앉아서 손으로 상기 손잡이(73') 상의 스폰지(76')를 잡고, 팔꿈치를 상기 팔꿈치받침(5')에 기댄 후, 손잡이(73')를 위로 끌어 올려 몸을 위로 끌어 올리게 되면 복부 근육이 수축되고, 도르래 받침대(3')가 위로 슬라이딩 이동되며,사용자가 자신의 두 손으로 몸을 위로 힘껏 끌어 올리게 된다. 도 9는 사용자의 신체가 가장 상단까지 끌어 올려진 상태의 복근 운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77')는 부싱(75')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그로 인해 견인밧줄(72')이 힘을 받는 방향에 따라 회전되기 시작하고, 상기 홈입구(78')는 계속하여 서로 대응된 견인밧줄(72')의 힘을 받는 방향에 따라 힘을 받게 되며, 이와 동시에 견인밧줄(72')의 위치가 고정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견인밧줄(72')이 상기 도르래(71')를 벗어나는 위험을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실용신안등록신청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앞 주요지지대 2.뒤 지지대
3.도르래 받침대 4.손잡이관 부품
5.팔꿈치받침 6.받침체
10.원형내부삽입부품 11.손잡이 스폰지
101.지지막대 102.받침막대
103,104.가로막대 105.연결편
106.중심구멍
107.고정구멍 108.돌출판
12.전자타이머 13.도르래
15,16.당김추
17.전자타이머선 18.감지선
19.감지막대 20.고정부품
21,22.나사 26.완충받침
201.세로막대 202,203.수직막대
204,위치고정구멍 205,천공
31.받침대 33.곁막대
34.고정편 35.통공
37.탄력체 41.구멍이 난 돌출판
36,109.당김고리 39,110.당김고리
1'.앞 주요지지대 2'.뒤 지지대
3'.도르래 받침대 4'.손잡이관 부품
5'.팔꿈치받침 6'.받침체
101'.지지막대 102'받침막대
103',104'.가로막대 201'세로막대
202',203'.수직막대 4'.손잡이관 부품
12'.전자시계 51'.고정편
41'.통공 22'.고정부품
71'.도르래 72'.견인밧줄
73'.손잡이 74'.U형집게
75'.축덮개 76'.스폰지
77'.보호덮개 78'.홈입구

Claims (10)

  1. 복부 근육 및 팔뚝 근육을 단련시키는 복근 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복근운동기는 앞 주요지지대, 뒤 지지대, 도르래 받침대, 받침체, 팔꿈치받침 및 손잡이관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와 뒤 지지대의 바닥끝은 땅과 서로 닿아 있으며, 상부끝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래 받침대는 상기 앞 주요지지대 상에 슬라이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 받침대 상에는 최소한 한 세트의 무릎이 닿아 고정될 수 있는 받침대가 세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관 부품은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꼭대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관 부품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팔꿈치받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 주요지지대는 지지막대, 받침막대 및 두 개의 가로막대,받침막대가 땅에 닿아 있고, 상기 지지막대와 받침막대는 평행으로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가로막대는 평행으로 지지막대와 받침막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꿈치받침은 각각 상기 지지막대의 양 끝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관 부품은 상기 지지막대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뒤 지지대는 세로막대와 두 개의 평행 수직막대를 포함하고 있고, 두 개의 수직막대의 바닥부는 모두 상기 세로막대와 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막대의 꼭대기부는 각각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가로막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두 개의 가로막대는 상기 뒤 지지대의 수직막대의 연결부위에 각각 연결편이 설치되고, 각 연결편 상에는 각각 중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구멍의 주변에는 약간의 고정구멍이 설치되고, 각 수직막대의 꼭대기부에는 상기 중심구멍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고정구멍이 설치되며, 이 둘 사이는 나사를 통해 서로 고정 연결되고, 상기 수직막대에는 천공이 형성되며 당김추가 상기 천공과 그 중 하나의 고정구멍과 고정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의 하단의 양 측면은 각각 도르래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르래 상에는 각각 견인밧줄이 덮어 씐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견인밧줄의 한 끝은 상기 도르래 받침대의 꼭대기부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손잡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받침대는 받침대, 네 개의 도르래 및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곁막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받침대의 바닥부에는 각각 두 개의 가로막대와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하단에는 모두 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가로막대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고정편을 관통한 후, 하나의 당김추가 통공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네 개의 도르래는 각각 축심을 통해 받침대 바닥의 네 개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가 가로막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곁막대 상기 받침대 상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받침체은 각각 곁막대의 양 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받침대의 바닥부에는 당김고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바닥부에는 당김고리가 설치되며, 탄력체가 상기 두 개의 당김고리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받침대의 상부에는 당김고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꼭대기부에는 당김고리가 설치되며, 탄력체가 상기 두 개의 당김고리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체는 고무줄 또는 탄성이 있는 줄,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 주요지지대의 바닥부에는 도르래 받침대의 슬라이드 경로 상에서 돌출된 형태의 완충받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KR2020117000034U 2009-08-07 2010-03-26 복근 운동기 KR20046422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20182553.8U CN201482070U (zh) 2009-08-07 2009-08-07 健腹机
CN200920182553.8 2009-08-07
PCT/CN2010/071340 WO2011015050A1 (zh) 2009-08-07 2010-03-26 健腹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77U true KR20110011177U (ko) 2011-12-02
KR200464221Y1 KR200464221Y1 (ko) 2012-12-18

Family

ID=4242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7000034U KR200464221Y1 (ko) 2009-08-07 2010-03-26 복근 운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84411A1 (ko)
KR (1) KR200464221Y1 (ko)
CN (1) CN201482070U (ko)
HK (1) HK1140362A2 (ko)
WO (1) WO20110150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18B1 (ko) * 2019-09-04 2020-05-13 하종호 운동기구
CN112516528A (zh) * 2020-12-02 2021-03-19 湖南文理学院 一种体育专业腹部健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5B1 (ko) * 2012-07-17 2013-07-16 박일남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68232Y (zh) * 2002-09-17 2003-08-27 傅云 多功能折叠式健身器
US7004894B1 (en) * 2003-08-13 2006-02-28 Ray Trotter Abdominal muscle exercise machine
US7455633B2 (en) * 2005-01-05 2008-11-25 Ab Coaster Holdings, Llc Abdominal exerciser device
CN201150755Y (zh) * 2008-02-01 2008-11-19 江好咏 一种腹腰健身器
CN201361405Y (zh) * 2009-01-25 2009-12-16 应超杰 腰腹部肌肉健身器
KR101031441B1 (ko) 2009-04-14 2011-04-26 김재영 싸이클겸용 복근운동기구
CN201684356U (zh) 2010-05-10 2010-12-29 厦门宙隆运动器材有限公司 仰卧健身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718B1 (ko) * 2019-09-04 2020-05-13 하종호 운동기구
WO2021045381A1 (ko) * 2019-09-04 2021-03-11 하종호 운동기구
CN112516528A (zh) * 2020-12-02 2021-03-19 湖南文理学院 一种体育专业腹部健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4411A1 (en) 2012-08-08
CN201482070U (zh) 2010-05-26
HK1140362A2 (en) 2010-10-08
KR200464221Y1 (ko) 2012-12-18
WO2011015050A1 (zh)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992A (en) Posterior shoulder exercise machine
US7559881B1 (en) Exercise assembly for conditioning a user's body and associated method
US7951056B2 (en) Rockable exercise apparatus
US20100298106A1 (en) Shoulder stretcher assembly
CA2551734A1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CN205759430U (zh) 一种多功能按摩椅
US9586075B2 (en) Exercise device for performing dips
US11338168B2 (en) Fitness exercise apparatus
TW201829033A (zh) 划船器
US7601109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WO2017009729A1 (en)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US20100022367A1 (en) Abdominal exerciser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US993737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101600627B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CN108905046A (zh) 一种多功能家用健身器材
EP3915654A1 (en) Fitness exercise apparatus
KR20100020597A (ko) 상체 운동기구
CN208838981U (zh) 用于平卧两用健身的运动器械
WO2010120378A2 (en)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JP3166516U (ja) 腹筋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200424860Y1 (ko) 보관이 용이한 헬스기구
CN219128164U (zh) 多功能健身长椅
CN210472945U (zh) 一种体育教学用高拉力背肌训练器
US20160310783A1 (en) Arm Supination and pronation exercise and resistance training equipment with weigh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