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448B1 -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448B1
KR102185448B1 KR1020190079129A KR20190079129A KR102185448B1 KR 102185448 B1 KR102185448 B1 KR 102185448B1 KR 1020190079129 A KR1020190079129 A KR 1020190079129A KR 20190079129 A KR20190079129 A KR 20190079129A KR 102185448 B1 KR102185448 B1 KR 10218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
support
dust
wire mesh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우호
Original Assignee
천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우호 filed Critical 천우호
Priority to KR102019007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이 굽혀질 때에는 엉덩이를 지지하고, 무릎이 펴질 때에는 엉덩이가 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보조하면서도 스쿼트 자세를 원활하게 하여 재활을 겸한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메인 지지판(10)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슬라이딩 지지부(2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봉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엉덩이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엉덩이 보조부(3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양측면에 링크로 연결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낮이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40)와; 상기 보조 지지부에 결합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납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용 레버(5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전방에 설치하되, 다수개의 발바닥 모형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원하는 내전근의 근육을 선택하여 달련시키도록 유도하는 발바닥 지지부(6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후방에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지지대(70)와; 상기 허리 지지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손목을 거치하여 엉덩이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EXERCISE APPARATUS FOR SQUAT}
본 발명은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이 굽혀질 때에는 엉덩이를 지지하고, 무릎이 펴질 때에는 엉덩이가 상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보조하면서도 스쿼트 자세를 원활하게 하여 재활을 겸한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쿼트 자세는 인간의 삶에서 필수적인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인간이 평소에 웅크리는 자세를 취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상자를 들고 아이를 태우거나, 의자에 앉아서 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매일 스쿼트의 변형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움직임을 보면 스쿼트 자세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특정 스포츠 활동과 관련이 매우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전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스쿼트 자세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은 부상을 예방하고, 건강하며 통증 없는 삶의 누릴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것이므로, 올바른 스쿼트 자세에 대응하게 정확한 동작의 스쿼트 운동이 요구된다.
예컨대, 스쿼트 운동에 따르면, 호흡은 일어서면서 숨을 마시고 앉았다 일어서면서 다시 숨을 내쉰다. 턱은 살짝 들어 등이 굽는 것을 막는다. 이때 앞으로 향한 머리 자세는 목 통증, 어깨 통증 및 턱 관절 기능 장애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머리 자세 및 머리를 받치고 있는 흉부의 자세 및 각도도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일자 목 또는 목의 과도한 신전에 대한 관찰은 측면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전방 및 후방에서 볼 때의 머리는 신체의 중심선에 있고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또한, 허리는 항상 쭉 펴져 있어야 하고, 복부는 힘을 줘서 긴장상태를 만든다. 엉덩이는 의자에 앉는 느낌으로 뒤로 빼면서 천천히 내려올 필요가 있다. 무릎은 발가락보다 앞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고, 다리는 골반이나 어깨너비 정도로 벌린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쿼트 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는 많은 수의 스쿼트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운동 후반에 스쿼트 동작과 자세를 유지하도록 보조 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 기술의 기구는 스쿼트 자세에 필수 적인 발의 위치와 발바닥의 스탠스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유지되도록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스쿼트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나, 노약자 및 어린이 혹은 신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스쿼트 동작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무릎과 종아리 부분의 지지가 과도하게 이루어져 운동 효과도 얻지 못할 수 있고, 오히려 근육, 관절 및 인대 손상과 같은 안전사고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는 운동자가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기구 또는 장치 자체를 지면과 천장 사이에 안전하게 고정 및 지지시킬 수 있는 수단도 부재되어 있는 상황이고, 특히, 스쿼트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나, 노약자 및 어린이 혹은 신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스쿼트 동작이 이루어지기 어우며,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잘못된 자세 및 동작으로 인하여 운동 효과도 얻지 못할 수 있고, 오히려 근육, 관절 및인대 손상과 같은 안전사고도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처럼 스쿼트 자세 운동 자체는 전신운동으로써 몸 전체를 강화할 수 있지만, 이때 중요한 것은 스쿼트 동작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스쿼트 자세를 올바르게 수행하면서, 무릎 및 발목 관절이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 상, 하 부위 근육 200 개 이상의 근육군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11-01226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874호(20170322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는, 스쿼트 운동을 반복하면서 운동의 후반에 운동의 동작을 최대한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는, 스쿼트 운동을 시행하면서 발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여 정확한 스쿼트 운동을 반복 유지하면서 보조할 수 있도록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메인 지지판(10)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슬라이딩 지지부(2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봉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엉덩이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엉덩이 보조부(3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양측면에 링크로 연결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낮이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40)와; 상기 보조 지지부에 결합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납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용 레버(5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전방에 설치하되, 다수개의 발바닥 모형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원하는 내전근의 근육을 선택하여 달련시키도록 유도하는 발바닥 지지부(6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후방에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지지대(70)와; 상기 허리 지지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손목을 거치하여 엉덩이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엉덩이보조부(30)는, 상기 메인 지지판(10) 상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암(31)과, 상기 엉덩이 지지암(31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로 엉덩이 지지암(31) 상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엉덩이 승하강암(32)과,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판(33)과, 상기 엉덩이 지지판(33)과 엉덩이 지지암(31)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엉덩이지지판(33)에 탄성을 발휘하는 엉덩이스프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허리 지지대의 상부에 연장 설치되어 어깨 운동을 하기 위한 수단이며, 두개의 보조 손잡이(91)를 부가 구성하여 보조 손잡이를 교대로 승하강 시킴으로서 어깨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깨운동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메인 지지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변에 발생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준이상의 먼지가 측정되면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는, 스쿼트 운동을 최대한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는, 발의 위치를 정확하게 한 후 스쿼트 운동을 시행할 수 있어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실시예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실시예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실시예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스쿼트 운동장치의 실시예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운동장치는,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메인 지지판(10)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슬라이딩 지지부(2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봉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엉덩이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엉덩이 보조부(3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양측면에 링크로 연결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낮이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40)와;
상기 보조 지지부에 결합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납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용 레버(5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전방에 설치하되는 발바닥 고정부(6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후방에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지지대(70)와;
상기 허리 지지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손목을 거치하여 엉덩이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80)와;
상기 허리 지지대의 상부에 연장 설치되어 어깨 운동을 하기 위한 어깨 운동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지지판(10)은 수평 지지판과 수직 지지판의 볼트 결합 또는 용접 결합에 의해서 조립되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장치 전체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메인 지지판을 수평 지지판과 수직 지지판을 결합시켜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유도하는 장치이다.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20)는 메인 지지판을 구성하는 수직 지지판의 상부에 조립되어 지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동시에 엉덩이 보조부의 움직임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엉덩이 보조부(30)는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되면서 엉덩이 지지판을 승하강 시키게 된다. 상기 엉덩이 보조부는 슬라이딩 지지부에 유압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스프링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40)는 슬라이딩 지지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링크를 통해 결합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낮이를 세팅하여 필요로 하는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 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높이 조절용 레버(50)는 보조 지지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낮이를 선택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바닥 지지부(60)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지지판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발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바닥 지지부에는 다수개의 발바닥 모형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원하는 내전근의 근육을 선택하여 달련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허리지지대(70)는 메인 지지판의 후방에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허리를 지지하며, 고무줄을 이용한 다른 운동시에 허리를 지지하여 다른 운동이 원할하게 지지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손잡이(80)는 허리 지지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손목을 거치하여 엉덩이 움직임을 보조한다.
상기 어깨운동수단(90)은 상기 허리 지지대의 상부에 연장 설치되어 어깨 운동을 하기 위한 수단이며, 두개의 보조 손잡이(91)를 부가 구성하여 보조 손잡이를 교대로 승하강 시킴으로서 어깨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엉덩이 보조부(30)는,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 시 엉덩이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보조하여 무릎 관절에 하중을 분산시키고 보다 많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엉덩이 보조부(30)는, 상기 메인 지지판상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암과, 상기 엉덩이 지지암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로 엉덩이지지암 상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엉덩이승하강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 보조부(30)는,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판(33)과, 상기 엉덩이 지지판(33)과 엉덩이 지지암(31)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에 탄성을 발휘하는 엉덩이 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엉덩이 지지암(31)은 상기 메인 지지판상에 막대 형태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일부가 엉덩이 지지암(31)의 내부로 진입 또는 반출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하부는 엉덩이 지지암(31)의 내부에 수용되고, 엉덩이 승하강암(32)의 상부는 상기 엉덩이 지지판(33)과 연결 및 연동되어 엉덩이 지지판(33)이 하강 또는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은,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싼채로 상기 엉덩이 지지암(31)의 상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이 하강할 경우, 승강 될 수 있도록 엉덩이 스프링(34)에 탄성을 발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엉덩이보조부(30)는, 상기 메인 지지판(10) 상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암(31)과, 상기 엉덩이 지지암(31)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로 엉덩이지지암(31) 상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엉덩이 승하강암(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보조부(30)는,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판(33)과, 상기 엉덩이 지지판(33)과 엉덩이 지지암(31)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에 탄성을 발휘하거나 또는 엉덩이 지지암(31)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엉덩이 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은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하부는 상기 엉덩이 지지암(31)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의 하면에 밀착배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은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의 가압에 따라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엉덩이 지지암(31)의 상부에서 압축 및 팽창되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는 스쿼트 운동의 동작 중에 엉덩이가 하강 할 경우 엉덩이가 상기 엉덩이 보조부(30)에 밀착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기 엉덩이 지지판(33)과 밀착된 채로 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엉덩이의 가압에 의해 엉덩이 지지판(33)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이 연동되어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하부는 상기 엉덩이 지지암(310)의 내부로 추가 진입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하부가 상기 엉덩이 지지암(31)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의 하부가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을 가압하여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은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엉덩이 지지암(31)의 상부에서 압축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엉덩이는 스쿼트 동작에서 최대로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일어설 경우,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이 팽창되면서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에 탄발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이 팽창되면서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에 탄발력을 발휘함으로 인해 엉덩이 지지판(33)에 앉아 있던 사용자가 스쿼트 동작의 일어서는 동작을 실시 할때 일어서는 동작에 들어가는 힘을 보조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엉덩이 스프링(34)의 탄력과 상기 엉덩이 지지판(33)으로 인해 사용자는 스쿼트 동작을 반복 실시하면서 일어서는 힘을 보조받아 보다 많은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지지판(10)의 일측에 먼지 측정수단(1000)을 더 부가하여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11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운동자로 하여금 대피를 유도한다. 즉,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운동에 적합하지 않은 날씨이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운동을 중단할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히터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1)과,
상기 다수개의 오목렌즈 중에서 일개의 오목렌즈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의 정중앙에 결합되어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함몰각도가 다른 렌즈를 적외선 송신소자에 위치시키도록 구동하는 원판 구동모터(3)와;
상기 원판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먼지의 양이 적으면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먼지의 양이 많으면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내려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먼지의 농도가 더 올라가면 함몰각도가 제 2 오목렌즈보다 낮은 제 1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다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올라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몬지의 농도가 더 내려가면 제 4 오목렌즈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4 오목렌즈보다 더 높은 제 5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10: 메인 지지판
20: 슬라이딩 지지부
30: 엉덩이 보조부
40: 보조 지지부
50: 높이조절용 레버
60: 발바닥 고정부
70: 허리 지지대
80: 손잡이
90: 어깨운동수단

Claims (5)

  1.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메인 지지판(10)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슬라이딩 지지부(2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봉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엉덩이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엉덩이 보조부(30)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양측면에 링크로 연결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낮이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40)와;
    상기 보조 지지부에 결합되어 엉덩이 보조부의 높납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용 레버(5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전방에 설치하되, 다수개의 발바닥 모형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원하는 내전근의 근육을 선택하여 달련시키도록 유도하는 발바닥 지지부(60)와;
    상기 메인 지지판의 후방에 설치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며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 지지대(70)와;
    상기 허리 지지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손목을 거치하여 엉덩이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8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메인 지지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변에 발생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준이상의 먼지가 측정되면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보조부(30)는,
    상기 메인 지지판(10) 상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암(31)과,
    상기 엉덩이 지지암(31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로 엉덩이 지지암(31) 상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엉덩이 승하강암(32)과,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판(33)과,
    상기 엉덩이 지지판(33)과 엉덩이 지지암(31)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엉덩이 승하강암(32)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엉덩이지지판(33)에 탄성을 발휘하는 엉덩이스프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대의 상부에 연장 설치되어 어깨 운동을 하기 위한 수단이며, 두개의 보조 손잡이(91)를 부가 구성하여 보조 손잡이를 교대로 승하강 시킴으로서 어깨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깨운동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KR1020190079129A 2019-07-02 2019-07-02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KR10218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129A KR102185448B1 (ko) 2019-07-02 2019-07-02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129A KR102185448B1 (ko) 2019-07-02 2019-07-02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448B1 true KR102185448B1 (ko) 2020-12-01

Family

ID=7379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129A KR102185448B1 (ko) 2019-07-02 2019-07-02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9697A (zh) * 2021-12-27 2022-04-01 罗泽玉 蜜桃臀臀雕补差以及臀综合训练的设备及其方法
KR20240050905A (ko) 2022-10-12 2024-04-19 우현범 노약자를 위한 스쿼트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694A (en) * 1991-11-13 1993-04-13 Joseph Zappel Squat-pull exercise apparatus
US5906566A (en) * 1996-07-08 1999-05-25 Whitcomb; Tracy L. Exercise machine
KR20110122618A (ko) 2010-05-04 2011-11-10 (주)휴모닉 스쿼트 운동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KR101720874B1 (ko) 2015-10-01 2017-03-29 김수현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KR101921218B1 (ko) * 2018-06-28 2018-11-22 이진희 스쿼트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694A (en) * 1991-11-13 1993-04-13 Joseph Zappel Squat-pull exercise apparatus
US5906566A (en) * 1996-07-08 1999-05-25 Whitcomb; Tracy L. Exercise machine
KR20110122618A (ko) 2010-05-04 2011-11-10 (주)휴모닉 스쿼트 운동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운동 부하 제어 장치
KR101720874B1 (ko) 2015-10-01 2017-03-29 김수현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KR101921218B1 (ko) * 2018-06-28 2018-11-22 이진희 스쿼트 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9697A (zh) * 2021-12-27 2022-04-01 罗泽玉 蜜桃臀臀雕补差以及臀综合训练的设备及其方法
CN114259697B (zh) * 2021-12-27 2022-12-13 罗泽玉 蜜桃臀臀雕补差以及臀综合训练的设备
KR20240050905A (ko) 2022-10-12 2024-04-19 우현범 노약자를 위한 스쿼트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050B2 (ja) 能動的ロボティック歩行訓練システム及び方法
US9895282B2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US8257232B2 (en) Device for the reeducation of motory deficiencies, particularly deficiencies when walking, in patients
ES2703399T3 (es) Aparato para la rehabilitación de pacientes con disfunción motriz
Gazzani et al. WARD: a pneumatic system for body weight relief in gait rehabilitation
KR101289005B1 (ko) 보행 훈련 장치
US11116682B2 (en) Apparatus for evaluating standing-aid training
KR20160024110A (ko) 고정훈련과 이동훈련이 가능한 분리형 하지 재활로봇
KR102185448B1 (ko)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KR20180010838A (ko)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JP6218307B2 (ja) 起立動作誘導システム
TWI551284B (zh) Gait training tools
KR101778086B1 (ko)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KR102110718B1 (ko) 운동기구
KR20210050602A (ko)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KR102176050B1 (ko) 보행기를 이용한 어린이 보행훈련 제어 시스템
KR102339063B1 (ko) 역도 트레이닝 시스템
KR20230155641A (ko) 보행재활훈련장치
KR20200082979A (ko) 하지 재활 치료장치
KR20220077309A (ko) 근력강화 재활운동장치
KR102545200B1 (ko) 가변장착봉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KR20100136511A (ko) 운동 보조 장치
KR200210513Y1 (ko) 장애인용 재활 물리치료기
Ikeuchi et al. Gait training system for computer-aided rehabilitation
JP2005296389A (ja) 歩行訓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