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086B1 -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086B1
KR101778086B1 KR1020160119154A KR20160119154A KR101778086B1 KR 101778086 B1 KR101778086 B1 KR 101778086B1 KR 1020160119154 A KR1020160119154 A KR 1020160119154A KR 20160119154 A KR20160119154 A KR 20160119154A KR 101778086 B1 KR101778086 B1 KR 101778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walking
person
footre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권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이 형성되어 있어 환자가 상기 발판을 밟아 보행하면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간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간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본 발명은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 훈련시 환자 본인이 평소 신체적 습관에 맞춰 실제 보행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고 독립적으로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은 사람의 하지 관절 및 근의 연속운동을 통해서 좌우의 다리를 번갈아 전방으로 내놓으면서 몸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하며, 다수의 관절이나 골반이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기관이나 조직 또는 신경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보행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보행 장애 환자의 약 90%가 후천적 장애에 의해 발생되며 척추질환, 관절염, 뇌졸중, 뇌성마비, 사고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경우 독립적인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재활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 넘어져 다칠 수 있으며 자력으로 보행할 수 없는 경우 재활 훈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327178호는 투 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드밀 본체와, 트레드밀 본체에 좌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와,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와, 트레드밀 본체에 설치되어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벨트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보행자를 지지하도록 착용되어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 및 하지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각 하지 관절부에 설치되는 관절 구동부를 구비하는 워커부, 투 벨트 트레드밀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넘어져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행자의 인체를 상하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유닛 및 워커부,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컨베어 벨트가 구동하여 환자의 발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직접 다리를 들어 이동시켜야 하므로 재활 훈련에 어려움이 있고 훈련과정에서 2차 부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힘이 많이 들어가며 훈련 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32717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동력을 통해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없는 환자가 보행할 때처럼 다리가 움직이도록 해줌으로써 관절을 사용하여 재활 훈련이 가능한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의 평소 습관을 설정시킨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동작되므로 재활 훈련을 받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 속도나 보행 자세를 교정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가 보행하는 속도나 이동량에 따라 거리가 이동되는 환자가 생활주변에서 경험했던 가상현실 영상이 출력되어 환자가 실제로 보행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이 형성되어 있어 환자가 상기 발판을 밟아 보행하면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간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간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체간운동부는 환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제1회동장치와, 상기 제1회동장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 및 상기 제1회동장치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장치와, 일측은 상기 제2회동장치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장치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 일측은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발판의 타측은 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가 동작하면 상기 발판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환자가 상기 발판을 밟고 보행할 때 발목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환자의 보행 습관에 맞춰 상기 발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발판의 회전량을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체간운동부를 통해 보행하는 환자를 촬영하여 환자의 보행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되며 환자가 상기 체간운동부를 이용하여 보행하면 이동량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 재생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발판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통해 환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분석하여 환자가 올바른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을 회동시켜 환자의 보행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의하면 외부 동력을 통해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없는 환자가 보행할 때처럼 다리가 움직이도록 해줌으로써 관절을 사용하여 재활 훈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의하면 자신의 평소 습관을 설정시킨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동작되므로 재활 훈련을 받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 속도나 보행 자세를 교정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의하면 환자가 보행하는 속도나 이동량에 따라 환자가 생활주변에서 경험했던 가상현실 영상이 출력되어 환자가 실제로 보행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가 회동하며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안전보호구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 훈련시 실제 보행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고 독립적으로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210)(도 2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환자가 발판(210)을 밟아 보행하면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간운동부(200)와, 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체간운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프레임(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판(310)(도9 참조)을 이송시키는 이송부(300)와, 이송판(310)(도9 참조)의 하부에 결합되며 환자가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할 때 손으로 잡아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부(400)와, 이송판(310)(도9 참조)의 하부에 결합되며 환자가 넘어지지 않도록 환자의 상체를 감싸는 안전보호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후면에는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경사로가 형성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없는 환자가 휠체어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된 경사로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상부에는 이송부(300)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체간운동부(200)가 결합되게 되며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은 개구되어 있어 환자가 재활 훈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체간운동부(200)는 도 2의 발판(210)을 밟아 환자가 제자리에서 보행함으로써 재활 훈련을 하는 장치로 도 2의 발판(210)이 외부 동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보행하지 못하는 환자도 재활 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
제어장치(120)는 체간운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환자가 올바른 자세로 보행하거나 환자의 상태에 맞는 속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체간운동부(200)를 제어하며, 제어장치(120) 내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따라 체간운동부(20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송부(3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 9의 이송판(310)을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지정된 위치로 이송할 수 있어 도 9의 이송판(310)에 결합된 지지부(400)와 안전보호구(500)를 체간운동부(200)의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프레임(100)의 후면에 휠체어를 타고 진입한 환자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부(400)는 환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환자가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할 때 지지부(400)를 손으로 잡아 보행 중 전면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안전보호구(500)는 조끼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상체에 착용이 가능하며 프레임(100)의 상부를 이동하는 이송부(300)에 결합되어 있어 환자가 공중에 매달린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하면 기립된 상태가 되어 하체의 힘이 없는 환자라도 쓰러지지 않고 재활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상기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보행하는 환자를 촬영하여 환자의 보행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장치(110)와,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되며 환자가 상기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하면 이동량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 재생되는 출력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장치(110)는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재활 훈련을 하는 환자를 촬영하게 되며 환자의 보행 자세 또는 하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환자의 보행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영상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즉, 촬영장치(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재활치료사나 의사가 보행하는 속도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120)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맞는 재활 훈련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출력장치(130)는 제어장치(120)에 저장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환자가 영상을 보며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출력장치(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공원, 길거리와 같이 사람이 보행할 수 있는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거나 환자가 평소에 다니던 길을 출력하여 체간운동부(200)의 속도에 따라 영상이 재생되는 속도를 달라지게 함으로써 실제 거리를 걷고 있는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130)는 가상현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환자가 가상현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착용한 후 재활 훈련을 하게 되면 체간운동부(200)의 속도에 따라 자신의 생활주변에서 경험했던 가상현실 영상이 재생되고 주위를 둘러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는 환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210)과, 발판(210) 하부에 형성되며 발판(21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제1회동장치(220)와, 제1회동장치(220) 하부에 형성되며 발판(210) 및 제1회동장치(220)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장치(230)와, 일측은 제2회동장치(23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제2회동장치(230)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간운동부(200)의 상기 발판(21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판(250)에 형성된 가이드홈(251)에 삽입되고 상기 발판(210)의 타측은 실린더(240)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240)가 동작하면 상기 발판(210)이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간운동부(200)는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환자가 보행할 때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발판(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발판(210) 하부에는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가 각각 차례대로 결합되게 된다.
제2회동장치(230)의 일측에는 실린더(240)의 피스톤로드(241)가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판(250)에 내측으로 파여진 가이드홈(251)에 삽입되어 제2회동장치(230)가 가이드홈(2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홈(251)은 사람이 보행할 때 발생되는 발의 궤적에 대응하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행하는 환자의 보행 습관에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251)이 형성된 가이드판(25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2회동장치(230)의 일측에 결합된 피스톤로드(241)는 실린더(240)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24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2회동장치(230)를 밀어내거나 당겨 제2회동장치(230)가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실린더(240)의 끝단은 프레임(100)에 고정된 회동대(242)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동대(242)를 기준으로 실린더(240)가 회동할 수 있게 되고 실린더(240)에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피스톤로드(241)는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하는 제2회동장치(230)의 위치에 따라 회동되면서 동작되게 된다.
제1회동장치(220)는 발판(2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형성되고, 제2회동장치(230)는 발판(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재활 훈련을 하는 환자가 보행할 때 발목을 사용하여 실제 보행과 유사한 발목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의 제1회동장치(220)는 발판(2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1회동판(221)과, 제1회동판(221) 하부에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회동판(22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전축(222)과, 제1회전축(222)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22)에 동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223)로 이루어진다.
제2회동장치(230)는 상부에 제1회전축(222)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회동판(231)과, 제2회동판(231)의 하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결합되어 제2회동판(231)을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전축(232)과, 제2회전축(2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232)과는 별개로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234)과, 제2회전축(232)의 타측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232)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233)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스톤로드(241)의 끝단은 제2회전축(232)의 타측에 결합되게 되며 제2회전모터(233)는 피스톤로드(241)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회전축(232)은 피스톤로드(241)를 관통하여 제2회전모터(23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회전축(222)과 제1회동판(221), 제2회전축(232)과 제2회동판(231)은 결합할 때 키로 결합되어 제1회전축(222) 또는 제2회전축(232)이 회전할 때 제1회동판(221)과 제2회동판(231)이 슬립 없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회전축(232)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어링(234)은 도 2의 가이드홈(251) 내측에 삽입된 후 도 2의 가이드홈(25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도 2의 가이드홈(251)의 크기보다 베어링(234)의 외경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의 가이드홈(251) 내측에는 베어링(234)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에서 하부로 전면이 보이도록 절단한 단면이 "T"자가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베어링(234)은 피스톤로드(241)가 왕복운동하면서 제2회전축(232)을 도 2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 시킬 때 베어링(234)이 제2회전축(232)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축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는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져 있어 위치제어가 가능하므로 제1회전축(222)과 제2회전축(232)을 회전시킬 때 회전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발판(210)의 회동을 보행 자세에 맞춰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은 실린더(240)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로드(241)에 의해 가이드홈(251)을 따라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판(210)은 가이드판(250)에 형성된 가이드홈(251)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240)의 피스톤로드(241)가 왕복 운동을 하게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홈(251)은 보행할 때 발생하는 발의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자가 체간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경우 다리의 근육과 관절을 실제 보행할 때와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로 보행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판(2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51)을 환자의 보행 자세에 맞춘 경로로 형성한 후 가이드판(25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고, 표준 보행 자세에 맞춘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 재활 훈련을 하면서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도 있게 된다.
실린더(240)의 끝단은 회동대(242)에 결합되어 회동대(242)를 기준으로 실린더(240)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240)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241)는 가이드홈(251)을 따라 높낮이가 변경되면서 발판(2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의 제어장치(120)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발판(210)이 도 2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때 발판(2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발목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환자의 보행 습관에 맞춰 발판(210)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판(210)과 결합되는 제1회동장치(220)의 제1회동판(221)은 제1구동모터에 의해 제1회전축(222)이 회전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어 보행하는 환자의 보행 습관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즉, 환자가 보행할 때 발바닥의 내측이나 외측이 먼저 닿는 습관을 가지는 경우 발목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발판(2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켜 기울인 상태에서 보행하도록 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게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에 따라 회동되어 환자가 발판(210)을 밟고 보행할 때 발목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회동장치(2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회동장치(230)를 통해 발판(210)과 제1회동장치(220)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환자가 보행할 때 지면을 박차고 나가는 형상으로 발목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회동장치(230)는 도 2의 발판(210)이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발판(210)의 회전량을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보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도 1의 제어장치(12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1의 제어 장치는 발판(210)에 형성되어 발판(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환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분석하여 환자가 올바른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판(210)을 회동시켜 환자의 보행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판(2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으며 환자가 보행할 때 발판(21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제어장치(120)는 환자가 발판(210)을 밟고 보행할 때 발생하는 하중 분포를 이용하여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를 이용하여 발판(210)을 회동시켜 균일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발판(210)이 도 2의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할 때 발판(2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발목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가 회동하며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제어장치(120)(도1 참조)는 설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체간운동부(200)의 발판(210)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발판(210)의 회전량을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판(210)은 가이드홈(251)에 구속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41)의 왕복운동에 의해 가이드홈(2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발판(210)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서 발판(210)이 회동되어 실제 보행할 때 발생하는 발목운동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도 1의 제어장치(120)가 제어하게 된다.
이때 도 1의 제어장치(120)는 발판(2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51) 내부에 다수의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판(210)의 위치를 도 1의 제어장치(120)가 판단하게 되면 구간별로 발판(210)이 회동되도록 도 5의 제1회동장치(220)와 제2회동장치(230)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1의 제어장치(120)는 실린더(240)에 가해지는 유체의 입출력을 속도를 제어하여 발판(210)이 이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보행 상태에 따라 보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체간운동부(200)는 실린더(240)(도6 참조)의 피스톤로드(241)의 운동에 의해 경로를 따라 발판(210)이 이동할 때 제2회동장치(230)에 형성된 제2회전축(232)이 피스톤로드(241)의 하중에 의해 축이 휘어지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스톤로드(241)가 베어링(234)과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스톤로드(241)가 도 2와 같이, 제2회전축(232)에 결합될 때 베어랑과 거리가 이격된 상태인 경우 피스톤로드(241)가 제2회전축(232)을 밀거나 당길 때 제2회전축(232)의 끝단에 결합된 베어링(234)을 기준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제2회전축(232)이 휘어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로드(241)는 베어링(234)과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로드(241) 및 도 6의 실린더(240)가 베어링(234)이 삽입된 도 2의 가이드판(250)에 간섭받지 않을 정도로 도 2의 가이드판(250)에 밀착되도록 하여 베어링(234)과의 이격되는 거리를 줄여야 한다.
또한 피스톤로드(241)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제2회전모터(233)를 고정시키기 위해 피스톤로드(241)의 끝단에는 중공으로 형성된 연결구(236)가 형성되고, 연결구(236)의 일면에는 도 2의 가이드판(250)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234)과 결합되는 지지축(237)이 돌출되고, 연결구(236)의 타면에는 내부에 제2회전축(2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중공축(238)이 돌출되게 된다.
중공축(238)의 끝단에는 제2회전모터(233)가 결합되어 제2회전축(23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제2회전축(232)이 회전할 때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해 중공축(238)의 양 단에는 제2회전축(232)을 지지하도록 지지대(235)가 위치하게 된다.
피스톤로드(241)가 도 6의 실린더(24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연결구(236)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축(237)이 베어링(234)을 가압하여 베어링(234)이 도 6의 가이드홈(251)에 의해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연결구(236)가 중공축(238)에 결합된 제2회동장치(2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회동장치(230)가 발판(2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공축(238)의 상부면에는 제2회전축(232)과 결합되는 제2회동판(231)의 하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삽입홈(239)이 형성되게 된다.
삽입홈(239)을 통해 제2회동판(231)의 하부가 중공축(238) 내부로 삽입되고 이후 중공축(238) 내부에 제2회전축(232)을 삽입시킴으로써 제2회동판(231)과 제2회전축(232)이 서로 연결이 가능하며 후 제2회전모터(233)의 회전력에 의해 제2회동판(23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중공축(238)의 외면에서부터 내측으로 파여지는 삽입홈(239)의 깊이에 따라 제2회동판(231)이 물리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설정된 각도보다 제2회동판(231)이 더 많이 회동하게 되는 경우 삽입홈(239)에 걸리게 되어 재활훈련하는 환자의 발목이 다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이송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이송부(300)의 이송판(310)은 위치제어가 가능한 이송모터(321)에 의해 프레임(100)의 후면에 진입한 휠체어의 상부로 이동되거나 체간운동부(200)(도1 참조)의 상부로 이송하면서 안전보호구(500)를 장착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부(300)는 이송판(310)을 프레임(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장치(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장치(32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송레일(324)과, 이송레일(324)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며 이송판(310)에 결합되는 이송블록(323)과, 이송판(310)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량에 따라 이송판(310)을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볼스크루(322)와, 볼스크루(322)에 회전력을 가하는 이송모터(321)로 구성되어 있다.
이송판(310)의 하부에는 지지부(400)와 안전보호구(50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된 경사로에 휠체어를 타고 환자가 진입하면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이송부(300)의 이송장치(320)가 작동되면서 이송판(310)을 프레임(100) 후면 방향으로 이동된다.
환자가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할 때는 재활치료사나 의사의 도움을 통해 착용할 수 있으며 안전보호구(500)를 승강 시키는 장치를 형성시켜 환자가 스스로 착용한 후 승강장치에 의해 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한 환자는 이송판(310)에 결합된 안전보호구(500)에 의해 매달리거나 기립된 상태가 되며 이송판(310)이 이송장치(320)에 의해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이동할 때 환자도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보호구(500) 전면에 위치한 지지부(400)를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중에 몸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송장치(320)의 제2회전모터(233)는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후면과 전면에 지정된 위치로 이송판(3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지지부(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지지부(400)는 이송판(310)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중공관으로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대(410)와, 각각의 높이조절대(410)의 하단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여 결합된 후 끝단이 가로지르도록 연결되어 환자가 손으로 잡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대(430)와, 이송판(310) 상부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대(410)의 높이를 모터 또는 실린더(240)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구동유닛(4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400)는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조절대(410)는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송판(310)에서 멀어질수록 중관관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하여 크기가 작은 중공관이 크기가 큰 중공관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중공관을 다단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으며 높이조절대(410)의 끝단에는 이송판(310)의 상부에 형성된 구동유닛(420)과 연결된다.
구동유닛(420)의 동작에 의해 높이조절대(410)의 끝단을 이송판(310) 방향으로 상승시켜 크기가 큰 중공관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 1의 체간운동부(200) 방향으로 하강시켜 높이조절대(4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유닛(420)은 모터 또는 실린더(240)로 구성되어 있어 높이조절대(410)의 중공관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어를 높이조절대(410) 끝단에 연결시킨 후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43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양 끝단이 이송판(3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높이조절대(410)의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환자가 도 1의 체간운동부(200)를 통해 재활 훈련을 할 때 환자 전면에 위치한 지지대(430)를 손으로 잡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430)는 높이조절대(410)의 승강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고, 지지대(430)가 높이조절대(41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신체에 따라 지지대(4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안전보호구(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의 안전보호구(500)의 상부에는 탄성체(520)가 형성되어 있어 보행 중 균형을 잃고 넘어질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며 탄성체(520)를 교체하여 환자의 신체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보호구(500)는 환자의 상체를 감싸 착용할 수 있도록 보호조끼(540)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조끼(540)의 상부 양측에는 팔을 넣어 겨드랑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팔지지끈(53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조끼(540)의 하부 양측에는 다리를 넣어 사타구니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지지끈(550)이 형성되어 있다.
어깨근의 상부는 연결대(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510)는 도 8의 이송판(310) 하부에 결합되게 되고 안전보호구(500)를 착용한 환자가 넘어지거나 쓰러질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연결대(510)의 중간에는 탄성체(520)가 위치하게 된다.
탄성체(520)는 교체가 가능하여 환자의 몸무게에 따라 탄성력을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환자의 키에 따라 탄성체(520)의 길이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호조끼(540)의 전면에는 조절벨트(560)가 형성되어 있어 조끼를 상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다리지지끈(550)에는 연결벨트(570)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다리지지끈(550)에 다리를 넣은 후 다리지지끈(550)을 서로 연결시켜 다리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에 의하면 외부 동력을 통해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없는 환자가 보행할 때처럼 다리가 움직이도록 해줌으로써 관절을 사용하여 재활 훈련이 가능하며, 자신의 평소 습관을 설정시킨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동작되므로 재활 훈련을 받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 속도나 보행 자세를 교정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고, 환자가 보행하는 속도나 이동량에 따라 환자가 생활주변에서 경험했던 가상현실 영상이 출력되어 환자가 실제로 보행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촬영장치
120 : 제어장치 130 : 출력장치
200 : 체간운동부 210 : 발판
220 : 제1회동장치 221 : 제1회동판
222 : 제1회전축 223 : 제1회전모터
230 : 제2회동장치 231 : 제2회동판
232 : 제2회전축 233 : 제2회전모터
234 : 베어링 235 : 지지대
236 : 연결구 237 : 지지축
238 : 중공축 239 : 삽입홈
240 : 실린더 241 : 피스톤로드
242 : 회동대 250 : 가이드판
251 : 가이드홈 300 : 이송부
310 : 이송판 320 : 이송장치
321 : 이송모터 322 : 볼스크루
323 : 이송블록 324 : 이송레일
400 : 지지부 410 : 높이조절대
420 : 구동유닛 430 : 지지대
500 : 안전보호구 510 : 연결대
520 : 탄성체 530 : 팔지지끈
540 : 보호조끼 550 : 다리지지끈
560 : 조절벨트 570 : 연결벨트

Claims (9)

  1.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발판이 형성되어 있어 환자가 상기 발판을 밟아 보행하면서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간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간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발판의 타측은 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가 동작하면 상기 발판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발판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통해 환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분석하여 환자가 올바른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을 회동시켜 환자의 보행자세를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사람이 보행할 때 발생되는 발의 궤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환자의 보행자세에 또는 표준 보행자세에 맞춘 경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판은 교체가 가능하여 환자의 보행자세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는 상기 발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발판이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간운동부는
    환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제1회동장치와;
    상기 제1회동장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 및 상기 제1회동장치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장치와;
    일측은 상기 제2회동장치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장치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환자가 상기 발판을 밟고 보행할 때 발목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환자의 보행 습관에 맞춰 상기 발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체간운동부의 상기 발판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발판의 회전량을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체간운동부를 통해 보행하는 환자를 촬영하여 환자의 보행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되며 환자가 상기 체간운동부를 이용하여 보행하면 이동량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 재생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9. 삭제
KR1020160119154A 2016-09-19 2016-09-19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KR10177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54A KR101778086B1 (ko) 2016-09-19 2016-09-19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54A KR101778086B1 (ko) 2016-09-19 2016-09-19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086B1 true KR101778086B1 (ko) 2017-09-13

Family

ID=5996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54A KR101778086B1 (ko) 2016-09-19 2016-09-19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228B1 (ko) * 2018-03-15 2019-09-25 이철헌 평지 및 경사 보행 재활기기
WO2024010545A1 (en) * 2022-07-05 2024-01-11 Ozyegin Universitesi A robotic balance rehabilita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8989A (zh) * 2008-12-10 2009-05-27 阎国图 偏瘫病人自行护理康复训练小车
CN105411814A (zh) 2015-12-31 2016-03-23 王俊华 踏步装置及具有该装置的步态康复训练机器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8989A (zh) * 2008-12-10 2009-05-27 阎国图 偏瘫病人自行护理康复训练小车
CN105411814A (zh) 2015-12-31 2016-03-23 王俊华 踏步装置及具有该装置的步态康复训练机器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228B1 (ko) * 2018-03-15 2019-09-25 이철헌 평지 및 경사 보행 재활기기
WO2024010545A1 (en) * 2022-07-05 2024-01-11 Ozyegin Universitesi A robotic balance rehabilit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20B1 (ko) 가상현실 플랫폼을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US10376734B1 (en) Gait training exercise and analysis systems for body support systems with adjustable user body weight force
CN106137489B (zh) 交互式外骨骼膝关节机器系统
KR101384988B1 (ko) 능동적 로보틱 보행 훈련 시스템 및 방법
US9161872B2 (en) Gait rehabilitation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238917B2 (ja) 下肢機能訓練装置
KR101912343B1 (ko) 웨어러블 센서를 포함하는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KR101289005B1 (ko) 보행 훈련 장치
US20100152629A1 (en) Integrated system to assist in the rehabilitation and/or exercising of a single leg after stroke or other unilateral injury
Gazzani et al. WARD: a pneumatic system for body weight relief in gait rehabilitation
TW201639534A (zh) 外骨骼踝關節機器裝置
KR20180010838A (ko)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Koceska et al. Robot devices for gait rehabilitation
KR20190056592A (ko) 발목보조장치
KR20160024110A (ko) 고정훈련과 이동훈련이 가능한 분리형 하지 재활로봇
US20190183719A1 (en) Medical Walker
KR101778086B1 (ko) 사람의 평소 습관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다축의 체간운동부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TWI555555B (zh) 多功能下肢步態復健與助走機器裝置
KR101887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중증 장애자용 보행 재활 장치
KR101913187B1 (ko) 편마비 환자용 보행 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75456A (ja) 人体モデルに基づく装着型支援システム
KR102263988B1 (ko) 융합형 중증 장애자용 재활 장치
KR102185448B1 (ko) 재활기능 겸용 스쿼트 운동장치
CN113230094A (zh) 一种单腿外骨骼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1991805B1 (ko) 하지 재활 훈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