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0362A1 -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0362A1
WO2021040362A1 PCT/KR2020/011284 KR2020011284W WO2021040362A1 WO 2021040362 A1 WO2021040362 A1 WO 2021040362A1 KR 2020011284 W KR2020011284 W KR 2020011284W WO 2021040362 A1 WO2021040362 A1 WO 20210403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le
lifting
lifting device
chuck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2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규상
Original Assignee
김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상 filed Critical 김규상
Priority to US17/753,15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18507B2/en
Priority to EP20856573.9A priority patent/EP4023583A4/en
Priority to CN202080060126.1A priority patent/CN114341045A/zh
Priority to CN202210434037.XA priority patent/CN114715779B/zh
Priority to JP2022513483A priority patent/JP2022537082A/ja
Publication of WO20210403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03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54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 B66C1/56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for handling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으로 말뚝을 척킹하여 인양할 수 있고, 인양 중에 척킹이 해제되더라도 전도가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는, 인양장비에 연결하여 말뚝을 인양시키는 데 사용되는 말뚝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비에 연결되어 수평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 플레이트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에 복수의 제1인양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말뚝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어져 유압력으로 말뚝을 부여잡는 말뚝 인양척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축 공사 중에 말뚝을 인양하는데 사용되는 말뚝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으로 말뚝을 척킹하여 인양할 수 있고, 인양 중에 전도가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뚝을 현장에서 인양하는 방법으로 도 13의 (가)와 같이 와이어(101)로 올가미를 말들어 말뚝(100)의 상부에 걸어 인양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올가미(101)가 말뚝(100)에서 빠지는 경우 인양 중인 말뚝(100)이 전도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또 다른 인양 방법으로 도 13의 (나)와 같이 말뚝(100) 선단에 있는 볼트 구멍에 아이볼트를 돌려서 잠그고 와이어(101)를 걸어서 인양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아이볼트가 풀리는 경우 인양 중인 말뚝(100)이 전도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인양 중 전도의 염려가 없는 말뚝 인양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83330호로서, '말뚝 인양용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말뚝의 일정 부분에 다수개의 고정편이 돌출된 두개의 장착기를 대칭되게 설치하여 와이어로 체결한 다음 기중기의 로프 일단에 고정된 후크에 상기 와이어를 걸고 로프를 끌어당겨 용이하게 말뚝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와이어가 풀리는 경우 인양 중 전도가 발생되어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43358호로서, '파일 인양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체결밴드를 말뚝에 고정시킨 후 체결밴드의 하측에 위치된 인양링체를 인양와이어로 들어올리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체결밴드의 체결력이 해제되는 경우 파일의 인양 중 전도가 일어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83330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43358호
본 발명은 유압으로 말뚝을 척킹하여 인양할 수 있고, 인양 중에 척킹이 해제되더라도 전도가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는, 인양장비에 연결하여 말뚝을 인양시키는 데 사용되는 말뚝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비에 연결되어 수평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 플레이트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에 직접 또는 제1인양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말뚝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어져 유압력으로 말뚝을 부여잡는 말뚝 인양척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뚝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말뚝 인양척의 하단에 연결된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뚝의 외경을 수용하는 관통된 말뚝 전도방지홀을 갖고 제2인양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뚝 인양척은 말뚝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부, 원통부에 안쪽으로 일정 높이마다 직경방향으로 마주하여 관통하여 형성된 확장구 설치용 각형 포켓, 원통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플랜지를 갖는 척 하우징과; 상기 척 하우징의 확장구 설치용 각형 포켓에 배치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확장구와; 일단이 한 쌍의 확장구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에 힌지 연결되어 확장 작동시 반경방향으로 확장구를 이동시켜 말뚝을 척킹하는 척킹실린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뚝 인양척은 상부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드라이빙 헤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에 따르면, 말뚝 인양척에 공급된 유압으로 확장구를 확장시켜 말뚝을 척킹하여 인양할 수 있다.
또한, 말뚝 인양척에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나 밸런스 플레이트에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인양 중에 전도가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인양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말뚝 인양척의 사시도로서 확장구 작동 전,후 상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말뚝 인양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의 말뚝 인양장치를 통한 말뚝의 인양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말뚝 인양장치를 통한 말뚝 척킹 전,후 상태도.
도 10의 (가),(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인양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1의 (가),(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인양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말뚝 인양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말뚝 인양척을 다수 직열 연결하여 구성된 파일의 회전 관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의 (가),(나)는 본 발명의 말뚝 인양장치에 적용되는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가 밸런스 플레이트에 직접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6의 (가),(나)는 종래 현장에서 파일을 인양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말뚝 인양장치(10)는 말뚝(100)을 유압력으로 척킹하여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말뚝 인양장치(10)는 인양시 전도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인양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말뚝(100)은 중공을 갖는 것으로 PHC 파일, 강관 말뚝 등이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서와 같이 말뚝 인양장치(10)는 인양장비(500)에 연결되는 밸런스 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인양장비(500)는 예로 주지의 크레인장비가 될 수 있다.
밸런스 플레이트(2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형으로 중앙 상부에 형성된 인양홀(20a), 하부에 대칭적으로 연결되어진 제1인양케이블(21)을 포함한다. 인양홀(20a)은 인양장비에 구비된 후크가 바로 연결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로프(15)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밸런스 플레이트(20)는 사각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밸런스 플레이트(20)에 복수의 제1인양케이블(21)을 매개로 말뚝 인양척(30)이 연결되어 있다. 말뚝 인양척(30)은 말뚝(100)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어져 유압력으로 말뚝(100)을 부여잡게 되어 있다.
이때 제1인양케이블(21)의 하단은 상부 확장링(25)에 연결되고, 상부 확장링(25)은 말뚝 인양척(30)의 상단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인양케이블(21)은 상부 확장링(25)을 매개로 말뚝 인양척(30)을 인양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말뚝 인양척(30)은 척 하우징(32), 척 하우징(32)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확장구(34) 및 한 쌍의 확장구(34)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척킹실린더(36)로 구성된다.
척 하우징(32)은 말뚝(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부(321), 원통부(321)에 안쪽으로 일정 높이마다 직경방향으로 마주하여 관통하여 형성된 확장구 설치용 각형 포켓(322), 원통부(321)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플랜지(323,324)를 갖는다. 상,하부플랜지(323,324)는 말뚝 인양척(30)이 하나 이상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볼트 결합되기 위해 각기 원형 배열된 체결홀(323a,324a)을 갖는다. 한 쌍의 확장구(34)는 척 하우징(32)의 확장구 설치용 각형 포켓(322)에 배치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확장구(34)는 다각단면을 갖는 각형 보스(341), 인양 대상체인 말뚝(100)의 내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고 각형 보스(341)에 일체되어 있는 물림판(342)으로 구성된다. 척킹실린더(36)는 일단이 한 쌍의 확장구(34)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척킹실린더(36)의 확장 작동시 반경방향으로 확장구(34)를 이동시켜 말뚝(100)을 척킹하게 되어 있다. 확장구(34)에는 압착용 고무판(343)이 더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척킹실린더(36)에 공급되는 압유는 도 5와 같이 압유관로(31)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압유라인(31)은 예로 인양장비(500)의 유압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양장비(500)의 조작자는 척킹실린더(36)를 제어하여 말뚝을 인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말뚝 인양장치(10)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인양장비(500)에 밸런스 플레이트(20)가 연결된 상태에서, 말뚝 인양척(30)이 도 8와 같이 말뚝(100)의 상부측 내경부에 삽입된다.
이후, 말뚝 인양척(30)의 척킹실린더(36)에 압유가 공급되면, 도 9와 같이 척킹실린더(36)에 연결된 확장구(34)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말뚝(100)을 부여잡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양장비(500)를 구동시켜 밸런스 플레이트(20)를 들어올리면, 제1인양케이블(21)을 매개로 말뚝 인양척(30)이 해당 말뚝(100)을 인양하게 된다. 이때 척킹실린더(36)의 척킹력이 유지됨으로써 인양된 말뚝(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말뚝(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 완료한 후에는 척킹실린더(36)를 반대로 동작시켜 확장구(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말뚝 인양척(30)이 말뚝(100)에서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척킹실린더(36)의 원위치 복귀는 압유의 공급방향을 바꾸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로 올가미를 만들어 인양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와이어의 풀림이 없어져 전도의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말뚝 선단에 있는 볼트 구멍에 아이볼트를 돌려 잠그고 와이어를 걸어서 인양하는 방식도 아니기 때문에 아이볼트의 풀림이 없어져 전도의 염려가 없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말뚝 인양장치(10)에는 도 10과 같이 말뚝(100)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과 일정 길이를 갖고 말뚝 인양척(30)의 하단에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40)이 더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말뚝(100) 안에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40)을 삽입하여 말뚝(100)이 인양장치(10)를 벗어나더라도 전도되지 않는다. 이때 말뚝(100)은 지면으로부터 통상 1~2m 정도 거리를 유지하고 인양되기 때문에 말뚝(100)이 인양도중 지면으로 떨어지더라도 말뚝(100) 내부에 삽입된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40)이 말뚝(100)을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여 전도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말뚝 인양장치(10)에는 도 11과 같이 말뚝(100)의 외경을 수용하는 관통된 말뚝 전도방지홀(52)을 갖고 복수의 제2인양케이블(22)을 매개로 밸런스 플레이트(20)에 연결되는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도 말뚝(100)이 지면으로부터 통상 1~2m 정도 거리를 유지하고 인양되기 때문에 말뚝(100)이 인양도중 지면으로 떨어지더라도 말뚝(100)이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50)에 걸려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전도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말뚝 인양장치(10)는 인양 중 전도 방지를 위해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40)와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50)가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말뚝 인양척(30)은 도 14와 같이 다수개를 직열로 결합시켜서 말뚝을 회전 관입시키는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말뚝 인양척(30)의 최상부에는 회전 관입을 위해 드라이빙 헤드(29)가 추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빙 헤드(29)는 내부에 유압을 발생시켜 척킹실린더(36)를 작동신키는 유압펌프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 15와 같이 밸런스 플레이트(20)는 말뚝 인양척(30)의 상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때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50)는 제2인양케이블(22)을 매개로 밸런스 플레이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5)

  1. 인양장비(500)에 연결하여 말뚝(100)을 인양시키는 데 사용되는 말뚝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비(500)에 연결되어 수평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 플레이트(20)와;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20)에 직접 또는 제1인양케이블(21)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말뚝(100)의 상부 내경부에 삽입되어져 유압력으로 말뚝(100)을 부여잡는 말뚝 인양척(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100)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말뚝 인양척(30)의 하단에 연결된 말뚝 전도방지용 강관(40)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100)의 외경을 수용하는 관통된 말뚝 전도방지홀(52)을 갖고 제2인양케이블(22)을 매개로 상기 밸런스 플레이트(20)에 연결되는 말뚝 전도방지용 링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인양척(30)은
    말뚝(1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부(321), 원통부(321)에 안쪽으로 일정 높이마다 직경방향으로 마주하여 관통하여 형성된 확장구 설치용 각형 포켓(322), 원통부(321)의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플랜지(323,324)를 갖는 척 하우징(32)과;
    상기 척 하우징(32)의 확장구 설치용 각형 포켓(322)에 배치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확장구(34)와;
    일단이 한 쌍의 확장구(34)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에 힌지 연결되어 확장 작동시 반경방향으로 확장구(34)를 이동시켜 말뚝(100)을 척킹하는 척킹실린더(3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인양척(30)은 상부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드라이빙 헤드(2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PCT/KR2020/011284 2019-08-29 2020-08-25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WO20210403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53,151 US11718507B2 (en) 2019-08-29 2020-08-25 Pile lif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overturning
EP20856573.9A EP4023583A4 (en) 2019-08-29 2020-08-25 STACKING DEVICE TO PREVENT TIPPING
CN202080060126.1A CN114341045A (zh) 2019-08-29 2020-08-25 可防止桩颠覆的起吊装置
CN202210434037.XA CN114715779B (zh) 2019-08-29 2020-08-25 桩起吊夹具和桩起吊装置
JP2022513483A JP2022537082A (ja) 2019-08-29 2020-08-25 杭引き上げチャック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杭引き上げ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30 2019-08-29
KR1020190106730A KR102141314B1 (ko) 2019-08-29 2019-08-29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362A1 true WO2021040362A1 (ko) 2021-03-04

Family

ID=7204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284 WO2021040362A1 (ko) 2019-08-29 2020-08-25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18507B2 (ko)
EP (1) EP4023583A4 (ko)
JP (1) JP2022537082A (ko)
KR (1) KR102141314B1 (ko)
CN (2) CN114341045A (ko)
WO (1) WO2021040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14B1 (ko) * 2019-08-29 2020-08-04 김규상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IT202000028784A1 (it) * 2020-11-27 2022-05-27 F Lli Righini S R L Gruppo di presa
CN113338286A (zh) * 2021-05-31 2021-09-03 华新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桩基安全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69A (ja) * 1999-04-21 2000-10-3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管の吊上装置
KR200283330Y1 (ko) 2002-04-19 2002-07-26 (주)서영기술단 말뚝 인양용 장치
KR20140102078A (ko) * 2013-02-13 2014-08-21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피에이치씨 파일 들고리 장치
KR20150089027A (ko) * 2012-11-29 2015-08-04 아이에이취시 홀랜드 아이이 비.브이. 파일 전도 장치
JP2015206208A (ja) * 2014-04-21 2015-11-19 千代田ソイルテック株式会社 鋼管杭のチャック装置
KR101743358B1 (ko) 2015-09-08 2017-06-02 원병천 파일 인양기구
KR20180103274A (ko) * 2017-03-09 2018-09-19 원병천 파일 인양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설치공법
KR102141314B1 (ko) * 2019-08-29 2020-08-04 김규상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9570A (en) 1978-06-06 1979-12-17 Toshiba Corp Control unit
JPS6265485U (ko) 1985-10-15 1987-04-23
JPH0194391U (ko) 1987-12-14 1989-06-21
JPH02169491A (ja) 1988-12-19 1990-06-29 Nippon Yusoki Co Ltd シート管吊り具
JP2704118B2 (ja) * 1994-08-01 1998-01-26 株式会社平林製作所 圧入鋼管の中掘装置
KR0141314B1 (ko) 1994-12-09 1998-06-15 성재갑 재조합 인간 적혈구생성 촉진인자 제조방법, 이를 위한 벡터 및 동물 세포주
JP4068926B2 (ja) 2002-09-09 2008-03-2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鋼管チャック装置
JP4560060B2 (ja) * 2007-02-28 2010-10-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管杭の杭頭把持装置および鋼管杭の施工方法
US8434969B2 (en) * 2010-04-02 2013-05-07 American Piledriving Equipment, Inc. Internal pipe clamp
JP6042172B2 (ja) * 2012-10-24 2016-12-14 調和工業株式会社 杭保持中継装置及び杭施工方法
CN206590757U (zh) * 2017-03-24 2017-10-27 安徽省经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管桩垂直起吊装置
KR101912039B1 (ko) 2017-04-07 2018-10-25 김규상 유압잭 확장 방식의 원형관 회전 관입장치
JP6709431B2 (ja) * 2017-06-12 2020-06-17 株式会社みらい技術研究所 鋼管杭のチャ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69A (ja) * 1999-04-21 2000-10-3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管の吊上装置
KR200283330Y1 (ko) 2002-04-19 2002-07-26 (주)서영기술단 말뚝 인양용 장치
KR20150089027A (ko) * 2012-11-29 2015-08-04 아이에이취시 홀랜드 아이이 비.브이. 파일 전도 장치
KR20140102078A (ko) * 2013-02-13 2014-08-21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피에이치씨 파일 들고리 장치
JP2015206208A (ja) * 2014-04-21 2015-11-19 千代田ソイルテック株式会社 鋼管杭のチャック装置
KR101743358B1 (ko) 2015-09-08 2017-06-02 원병천 파일 인양기구
KR20180103274A (ko) * 2017-03-09 2018-09-19 원병천 파일 인양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설치공법
KR102141314B1 (ko) * 2019-08-29 2020-08-04 김규상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15779B (zh) 2023-07-21
EP4023583A4 (en) 2023-08-23
US20220274807A1 (en) 2022-09-01
KR102141314B1 (ko) 2020-08-04
JP2022537082A (ja) 2022-08-23
CN114341045A (zh) 2022-04-12
EP4023583A1 (en) 2022-07-06
CN114715779A (zh) 2022-07-08
US11718507B2 (en)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0362A1 (ko)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US5653556A (en)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driving caissons into the earth
CA1069110A (en) Extraction device for ditch sheeting elements
EP0976676B1 (en) Deep water lowering apparatus
WO2011126170A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US5011117A (en) Post puller
JP2700566B2 (ja) 穴堀建柱抜柱車
US5573355A (en) Offshore oil drilling and producing platform provided with improved means for anchoring in the sea bed
CN111549788A (zh) 基坑型钢组合支撑的安装方法
EP3670961B1 (en) A rope connector for connecting prepared ends of two rope segments, a rope extension system and a hoisting system comprising such rope connector
KR20210027075A (ko) 말뚝 인양척 및 이를 이용한 말뚝 인양장치
WO2021049878A2 (ko) 항타기용 보조붐유닛과 이를 이용한 인발 및 항타공법
US10822212B1 (en) Counterweight attachment mechanism for a crane
CN113756287A (zh) 一种竹节桩保护结构
WO2024085452A1 (ko) 다방향 앵커
CN211769744U (zh) 吊装组件
CN220596780U (zh) 钢筋笼主笼吊运装置
CN218843094U (zh) 一种内涨式起桩器
CN210419023U (zh) 塔吊标准节垂直度引导固定结构
SU89796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статического испытани свай
CN212452668U (zh) 一种基坑型钢组合支撑的安装装置
WO2023163255A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GB2226539A (en) Improvements in load handling
CN210710492U (zh) 抗浮锚杆的吊装装置
RU2133794C1 (ru) Опорная колонна самоподъемной плавучей платформы со съемным башмаком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упомянутой опорной колонны с башмак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565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348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565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