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0643A1 -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0643A1
WO2021020643A1 PCT/KR2019/012319 KR2019012319W WO2021020643A1 WO 2021020643 A1 WO2021020643 A1 WO 2021020643A1 KR 2019012319 W KR2019012319 W KR 2019012319W WO 2021020643 A1 WO2021020643 A1 WO 20210206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material
band
insertion hole
fib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23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to JP202250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01766A/ja
Publication of WO20210206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06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and in detail, in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in which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buried in a reinforcing earth body and compaction is carried out,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anel as a facing member, but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panel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By maximizing and minimizing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reinforcement, the amount of reinforcement required and the amount of installation work can be reduced, reducing material costs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also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anel b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of inserting the reinforcement insert into the formwork during panel production. I made it possible.
  • connection bracket also called'attachment ring' or'anchor'
  • connection bracket additionally requires a connection pin to connect the reinforcement to the ring protruding from the rear, and the process of laying backfill soil (reinforcement soil) at the rear of the panel and performing compaction work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panel'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which attaches a hook (anchor) to the rear surface 20 of the panel P as shown in FIG.
  •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panel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connected without attachment, and anchor pin insertion grooves 26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s 22.
  • the reinforcement can be firmly connected, but this also has a problem that the reinforcement is bent rapidly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reinforcement and the connection pin assembly is structurally weak, and the connec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area is small and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reinforcement are excessive, so that the reinforcement is excessively required, as well a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time is required for the laying of the reinforcement.
  •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20 inside the facing member 10 as shown in FIGS. 2 and 3. Consisting of a buried structure,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20 is opened to the rear of the facing member and has two inlets 21 and 22 spaced from the left and right, and a facing member 10 at the two inlets 21 and 22.
  • the outer surface (22b) of the inlet is opened in a state of external light internal narrowing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12) of the facing member (10), and a flexibl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30) is inserted from one inlet (21) to the other inlet (22). It consisted of a structure that was pulled out, connected, and laid on reinforced soil to be buried.
  • Patent Documents 3 and 4 are disclosed as a technology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sleeve)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forming the panel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panel by replacing the connection bracket.
  • Patent Documents 2 to 4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belt-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anel by the sleeve, the bending of the sleeve, that is, the bending of the through path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and withdrawn is severe (Patent Document 2 And 3), the radius of curvature was small (Patent Documents 1 and 2), and the operation fatigue was high due to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such as having to work by connecting to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using a separate pull-out rope with excellent flexibility.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7432 (2014.05.14.)
  •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4541 (2015.07.01.)
  • Patent Document 3 US Patent US 8,152,417 (2012.04.10.)
  • Patent Document 4 US Patent US 8,579,549 (2013.11.12.)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st, insert a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nto a panel to directly connect it, but to maximize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panel and the reinforcement to minimiz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inforcement. As a result, it maximizes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while reducing the required amount of the band-type fiber reinforcement and the amount of work for laying the band-type fiber reinforcement. Second, it minimizes the friction and res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inserted inside the panel and the band-type fiber reinforcem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perform the continuous connection work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ir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panel b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of inserting the sleeve for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material into the formwork during panel pro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nel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of the C-shaped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inside to directly connect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to the panel are exposed to the rear of the panel. in;
  • the C-typ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is installed so that the entrances on both sides open to the back of the panel are at approximately 1/4 and 3/4 of the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panel is divided into four, so that only one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along the horizontal plane of the panel.
  • the entrances on both sides have an insertion angle of 10° to 40°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so that th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s of the panel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in a zigzag manner or drawn out to the rear of the panel to be placed on the reinforcing earth body.
  •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does not become jammed in the passageway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nel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of the C-typ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inside to directly connect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buried in the reinforcing soil to the panel are exposed to the rear of the panel;
  • the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is formed to be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panel and not more than 8 times the thickness of the panel,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anel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section, and maximiz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end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Provides a panel for build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firmly support the panel with only the minimum number of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i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on a panel for constructing a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of the C-shaped reinforcement insert are exposed to the back of the panel in order to directly connect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to the panel;
  • a plurality of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s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but each half-width folded state is maintained in the penetration path inside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and a plurality of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s are spread across the entire width, and are buried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up and dow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on of a single strip fiber reinforcement.
  •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arg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panel without using a separate connector, but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by minimizing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of the panel, as well as minimizing the connection points. Nevertheless, by maximiz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connection part, a belt-type fiber reinforcement with reinforced tensile strength can be used, so the amount of reinforcement required and the amount of laying work can be reduced to reduce material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 the productivity of the panel can also be improved.
  •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reduced when the work to connect th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to the panel, that is, insert th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continuously in zigzag and draw it to the rear. As it does not get caught, there is an effect that quick reinforcement connection and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work fatigue.
  • FIG. 1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pa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shown in Figure 2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is folded and inserted in half width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band-type fiber reinforcement is constructed on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10.
  • FIGS. 4 to 8 show a panel for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state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irectly connects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100 buried in the reinforcing soil body G to the panel 200
  •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310 and 320 of the C-shaped reinforcement insert 300 formed inside the through path 330 are exposed to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 the C-shaped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approximately 1/4 of the position where the inlets 310 and 320 on both sides opened to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divid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into four. To come to the 3/4 point, only on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is installed along the horizontal plane of the panel 200.
  • the inlets 310 and 320 on both sides have an insertion angle ⁇ of 10° to 40°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so that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is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panels (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n the through path 330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310 and 320 when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of 200) in a zigzag or drawn out to the rear of the panel 200 and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earth body G It is designed so that insertion and withdrawal can be made smoothly without causing the jamming phenomenon of the (100).
  • a square panel that is substantially close to a square that is, a basic panel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shape of the pane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Of course, it can also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quare shape.
  • the panel 200 is a basic panel, and has a square shap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vertical height and left and right width, and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each about 1.2 to 1.5 m, and the thickness is 14 to 18 cm.
  • the reinforcing bars are lai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id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molded of synthetic resin is also inserted into the formwork for the molding of the panel 200, and the concrete is injected and molded.
  •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completely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forming the panel, as well as the front part of the through passage 330 is firmly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bar placed inside the panel,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nection strength with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has an inner width W1 of 50 to 66 cm, and an outer width W2 of 70 between the left and right inlets 310 and 320. It is formed about ⁇ 95cm, and the left and right entrances 310 and 320 are located at about 1/4 and 3/4 of the position where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is divided into 4 left and right, so the through path 330 The thickness of the panel 200 is located deeply and the length of the through path 330 itself is sufficiently long,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panel 200 is excellent.
  • the panel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penetrates the through path 330 and inserts one band-shaped fiber stiffener 100 to extend rearward, and when the band-shaped fiber stiffener 100 is subjected to tensile force, both entrances Since the resistance received at (310,320), that is, the connection strength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use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100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connection portion of the panel had to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a large number of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s with weak tensile strength to several places on the back side of the panel, and instead of using a reinforcement with high tensile strength due to low connection strength.
  •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and the panel is excellent, and the connection strength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is increased proportionally, so that a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having a relatively high tensile strength can be used.
  • the amount of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that must be laid per unit panel can be reduced, reducing the amount of reinforcement required and the amount of connection work, and the number of inserts in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can be reduced even when manufacturing panels.
  •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refer to FIG. 3) has the left and right lengths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nel,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inlets 310 and 32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100 as shown in FIG. 7
  •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very long so that the thickness (T) formed by the panel 200 is about 2 to 8 times, so that it is long left and right inside the concrete forming the panel 200 and is deeply buried back and forth.
  •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anel 200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improved, and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end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100 insert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maximized, and the panel 200 is supported only with the minimum number of reinforcing materials. It is supposed to be done.
  • the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inlets 310 and 320 means an inner width W1 and an outer width W2, and the inner width W1 is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panel T,
  • the outer width W2 is manufactured so as to achieve 8 times or less of the panel thickness T,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long left and right inside the concrete forming the panel 200 and deeply buried back and forth.
  • reference numeral 110 is a half-width folded portion of the tip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and is connec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path 33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as shown in FIG. 8, and 220 is a lifting ring. It is an insertion groove, and reference numeral 230 is a lifting ring fixing pin insertion groove.
  •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has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eft and right inlets 310 and 320, that is, the width W3 of each of the inlets 31 and 320 is approximately 10 to 20 cm, and the through path 330 Since the front and rear depth of the through path 330 is around 15 cm,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hrough path 330 is large, and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100 inserted into the through path 330 is also not bent with a locally small radius of curvature.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hrough-path 33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is large, and the dep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through-path 330 is relatively shallow compared to the radius of curvature, but the inlets 310 and 320 on both sides have left and right widths ( Since W3) is wide, it is easy to spread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to its full width, insert it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of the adjacent panel 100 continuously in a zigzag state, and draw it out to the rear of the reinforcing earth body (G).
  • the tip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is folded in half width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and inserted again, and the tip of the reinforcing material 100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path 33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by drawing it out from the other side. It will be possible to facilitate the work of allowing it to be folded in half width.
  •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Since the through-path 330 has a large radius of curvature and the width of the entrances 310 and 320 on both sides is wide, frictio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so that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100 are easily made, so work fatigue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ecause it is low and the working speed can be improved.
  • the panel 200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basic type panel, and a half-type panel, that is, a panel whose top and bottom width is half the size of the basic panel, is requir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retaining wall.
  • a half-type panel that is, a panel whose top and bottom width is half the size of the basic panel, is requir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retaining wall.
  • Two of the reinforcement inserts 300 are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they are approximately 1/4 and 3/4 of the height of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divided into four.
  • the reinforcement inserts are Only one is placed at the middle height (see Fig. 9(c)).
  • the panels 20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are arranged in half up and down to be continuously erected, and the reinforcing soil G at the rear is 1/4 height and 3/4 height of the panel 200 It is filled and compacted so as to reach to, and th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is continuously laid in a zigzag state as shown in Figs. 4 and 5 to be buried inside the reinforcing earth body G.
  • on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is continuously zigzag through the inlets 310 and 32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exposed to the rear surface 210 of the panel 20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Even in the case of inserting into and pulling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inserted in a zigzag back from the reinforcing earth body (G), the radius of curvature through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is large, as shown in FIG.
  • the insertion angle ( ⁇ ) of 10° to 40° more preferably constitutes 15° to 20° as in the drawing, even i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having a large bending radius is continuously inserted in a zigzag manner,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Since friction does not take much between the and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the work fatigue is low and the work speed can be improved.
  • the basic standard has been described only for the basic panel,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basic panel is enlarged by 2 times or 3 times left and right, or enlarged vertically, or simultaneously expanded vertically
  • the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described above is only necessary if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stiffener insertion hole is increased while maintaining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basic panel.
  • a panel of a larger standard may be manufactured, and it is obvious that the expanded panel of such a modified standard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 FIG. 10 and 11 illustrate another method of constructing a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n the block for building a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xample in which two band-shaped fiber stiffeners 100 are double-inserted into on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200
  • a plurality of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s 100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but in the through-path 330 inside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300, eac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s 300 maintains a folded state in half width, and the reinforcement soil body (G)
  • a plurality of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to be buried in a state of being stacked up and down with each other in a state that is spread in full width.
  •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by connecting multipl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s to on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at a construction site where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high or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reinforcing soil is short.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sufficiently maintain the supporting power of the panel by increasing the value.
  •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100 stacked up and down is wound with an adhesive tap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in order to prevent scattering.
  • a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side the panel, but both entrances are exposed to the rear of the panel, and the gap between the two entrances divides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into four equal parts. It is manufactured in a size that comes at approximately 1/4 and 3/4 of the location,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hrough path connected between the two entrances is large,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both entrances are wide, so that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n a state of full width is continuously zigzag.
  • the belt-shaped fiber reinforcement It is easy to insert or withdraw the belt-shaped fiber reinforcement, and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by folding the tip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n half width. As well as improving the workability, the burie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is excellent. Since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t both entrances is high, a band-type fiber reinforcement with relatively high tensile strength can be applied, so while enjoying the amount of laying of the band-type fiber reinforcement per unit panel,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required by design can be exhibited.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체(G)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C형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200)로; 상기 C형 보강재 삽입구(300)는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개방된 양측의 입구(310,320)가 패널 배면의 폭을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과 3/4지점에 오도록 하여 하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패널의 수평면을 따라 1개만 설치되고, 상기 양측의 입구(310,320)는 패널(200)의 배면(210)과 이루는 삽입각(θ)이 10°~ 40°를 이루어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삽입과 인출시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보강토체 내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매설하면서 다짐을 실시하는 방식의 보강토 옹벽에서 페이싱 부재인 패널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직접 연결하되 패널과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를 극대화시켜 보강재의 연결개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재 소요량과 부설작업량을 줄여 자재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패널 제작시 거푸집 내에 보강재 삽입구를 인서트하는 작업량도 줄여 패널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에는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부착고리' 또는 '앵커'로도 불림)이 배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연결핀을 사용하여 띠형 섬유보강재를 비롯한 각종 보강재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술한 연결브라켓은 배면에 돌출 형성된 고리에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이 추가로 필요하고, 패널 후방에 뒤채움흙(보강토체)을 부설하고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돌출된 연결브라켓으로 인해 패널 안쪽의 확실한 다짐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은 띠형 섬유보강재가 연결핀 부분에서 급격하게 꺾이게 되어 부등침하 등의 발생시 응력이 집중되게 됨으로써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었고, 급격하게 꺾인 부분에서의 느슨함으로 인해 옹벽시공 후 패널의 배부름 및 국부변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띠형 섬유보강재 선단의 루프 형태로 꺾인 부분과 연결핀 간의 연결면적이 작고 연결브라켓과 연결핀 간의 연결상태가 불안정하여 연결핀의 이탈우려와 아울러 연결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개발한 '보강토 옹벽 패널'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의 배면(20)에 부착고리(앵커)를 부착하지 않고도 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패널 배면의 양측에 보강재 삽입홈(22)을 형성하고, 이 보강재 삽입홈(22)과 직각으로 앵커핀 삽입홈(26)을 형성함으로써 보강재 삽입홈에 보강재(70)를 세워서 끼우고 수직으로 앵커(8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보강재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또한 보강재의 연결부위에서 보강재가 급격하게 꺾이게 되는 문제점과 연결핀 조립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연결면적이 작다는 문제점 및 보강재의 연결개소가 과도하게 많아 보강재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보강재의 부설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의 '보강토 옹벽용 페이싱 부재'를 개발하였는바, 이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연결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 연결방식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보강토체의 침하시 페이싱 부재와의 연결부에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 것인바, 특허문헌 2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싱 부재(10)의 내부에 보강재 삽입구(20)가 매설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 보강재 삽입구(20)는 각각 페이싱 부재의 배면으로 개방되고 좌우로 이격된 2개의 입구(21,22)와, 상기 양측 입구(21,22)에서 페이싱 부재(10)의 배면 내측으로 형성된 관통로(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의 입구(21,22)는 그 내측면(22a)이 페이싱 부재(10)의 배면(12)에 직각으로 개방되고, 입구의 외측면(22b)은 페이싱 부재(10)의 배면(12)에 대하여 외광내협의 상태로 개방되어 플렉시블한 띠형 섬유보강재(30)를 일측 입구(21)에서 삽입하여 타측 입구(22)로 인출시켜 연결하고 보강토체 위에 포설하여 매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외에도 연결 브라켓을 대체하여 보강재를 패널 내부에 직접 삽입하여 연결하도록 보강재 삽입구(슬리브)가 패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내부에 인서트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3 및 4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보강재 삽입구 인서트식 패널에 있어서는 단순히 기존의 연결브라켓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기존의 연결브라켓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보강재 삽입구가 인서트되어 있어 보강재의 소요량은 동일하며, 보강재 삽입구의 크기가 작아 각 연결부위의 연결강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서 보강재의 인장강도를 더 높은 것을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보강재의 부설량은 종래와 동일하여 자재비의 절감과 시공기간의 단축에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특허문헌 2 내지 4 등에서는 슬리브에 의해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에 직접 연결하도록 되어 있기는 하지만, 슬리브의 굴곡 즉, 보강재가 삽입되고 인출되는 관통로의 굴곡이 심하거나(특허문헌 2 및 3), 곡률반경이 작아(특허문헌 1,2) 유연성이 우수한 별도의 인발용 로프를 사용하여 보강재 선단에 연결하여 작업하여야 하는 등 띠형 섬유보강재의 삽입과 인출동작에 작업피로도가 높았으며, 굽힘반경(bend radius)이 비교적 큰 띠형 섬유보강재의 유연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과 심한 굴곡을 가진 소형 슬리브의 경우 띠형 섬유보강재의 삽입과 인출시 슬리브 내면에서 마찰력이 걸리게 됨으로써 삽입과 인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특히, 한 줄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좌우로 인접한 패널 배면의 슬리브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속으로 끼워서 인출하여 보강토체 위에 지그재그 상태가 되도록 포설하는 작업시 보강재가 슬리브 내측에 걸려서 쉽게 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보강재의 포설작업에 상당한 애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리브의 입구와 출구 측에 롤러 등의 부자재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등도 제시되어 있지만 일회성의 작업에 이들 롤러를 일일이 설치해주어야 하는 것도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슬리브 내측의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이조차도 무용지물이었다.
더욱이,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을 반폭으로 접어 슬리브(보강재 삽입구)에 재삽입하는 시공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반폭으로 접힌 띠형 섬유보강재의 유연성은 더욱 떨어지게 되므로 곡률반경이 큰 관통로를 통해 삽입하고 인출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작업속도가 떨어지게 되는 주요인이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397432호(2014.05.14.)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534541호(2015.07.01.)
(특허문헌 3) 미국특허 US 8,152,417호(2012.04.10.)
(특허문헌 4) 미국특허 US 8,579,549호(2013.11.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패널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삽입하여 직접 연결하되 패널과 보강재 간의 연결강도를 극대화시켜 보강재의 연결개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띠형 섬유보강재의 소요량과 띠형 섬유보강재의 부설작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옹벽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둘째, 패널 내부에 인서트된 보강재삽입구와 띠형 섬유보강재간의 마찰과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띠형 섬유보강재의 연속적인 연결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셋째, 패널 제작시 거푸집 내에 보강재 연결용 슬리브를 인서트하는 작업량도 줄여 패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토체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가 형성된 C형 보강재 삽입구의 좌우측 입구가 패널의 배면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로;
상기 C형 보강재 삽입구는 패널의 배면으로 개방된 양측의 입구가 패널 배면의 폭을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과 3/4지점에 오도록 하여 하나의 보강재가 패널의 수평면을 따라 1개만 설치되도록 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양측의 입구는 패널의 배면과 이루는 삽입각이 10°~ 40°를 이루어 띠형 섬유보강재를 좌우로 인접한 패널의 보강재 삽입홈에 연속해서 지그재그로 삽입하거나 패널 후방으로 인출하여 보강토체 위에 포설할 때 좌,우측 입구 사이의 관통로에서 띠형 섬유보강재의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 보강토체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가 형성된 C형 보강재 삽입구의 좌우측 입구가 패널의 배면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로;
상기 보강재 삽입구의 좌우측 입구 사이의 폭은 패널 두께의 2배 이상 8배 이하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패널과 보강재 삽입구간의 결합력 향상과 더불어 이 보강재 삽입구에 삽입된 띠형 섬유보강재 선단의 연결강도를 극대화하고, 최소 수량의 보강재 삽입개소만으로 패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보강토체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C형 보강재 삽입구의 좌우측 입구가 패널의 배면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보강재 삽입구에는 복수의 띠형 섬유보강재가 삽입되되 보강재 삽입구 내부의 관통로에서는 각각 반폭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보강토체에는 복수의 띠형 섬유보강재가 전폭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호 상하로 중첩된 채로 매립되도록 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대형 보강토 옹벽 패널의 배면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하되 패널의 보강재 연결개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연결개소의 최소화에도 불구하고 연결부위의 연결강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인장강도가 강화된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강재의 소요량과 부설작업량을 줄여 자재비 절감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패널 제작시 거푸집 내에 보강재 연결용 슬리브를 인서트하는 작업량도 줄일 수 있으므로 패널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작업 즉, 띠형 섬유보강재를 지그재그로 연속으로 삽입하여 후방으로 인출하는 작업시 마찰저항이 걸리지 않으므로 작업피로없이 신속한 보강재 연결 및 포설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보강토 옹벽 패널의 시공상태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보강토 옹벽 패널의 시공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강재 삽입구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패널의 시공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사시도,
도 7는 도 6의 A - A선 단면도로 보강재가 펼쳐진 상태로 삽입된 경우,
도 8은 보강재의 선단이 반폭으로 접혀져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좌우 2배 확장형이고, (b)는 상하좌우 2배 확장형이며, (c)는 상하 높이를 절반으로 줄인 하프 패널을 보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다중으로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및 이의 시공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보강토체(G)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330)가 형성된 C형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로;
상기 C형 보강재 삽입구(300)는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개방된 양측의 입구(310,320)가 패널(200)의 배면(210) 좌우 폭을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과 3/4지점에 오도록 하여 하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패널(200)의 수평면을 따라 1개만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양측의 입구(310,320)는 패널(200)의 배면(210)과 이루는 삽입각(θ)이 10°~40°를 이루어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의 보강재 삽입구(300)에 연속해서 지그재그로 삽입하거나 패널(200) 후방으로 인출하여 보강토체(G) 위에 포설할 때 좌,우측 입구(310,320) 사이의 관통로(330)에서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체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정방형의 패널 즉, 기본형 패널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패널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또는 좌우로 긴 장방형이나 십자형 또는 6각형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200)은 기본형 패널로 상하 높이와 좌우 폭이 대체로 동일한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상하 높이와 좌우 폭은 각각 약 1.2~1.5m를 이루고 있고, 두께는 14~18cm를 이루며,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부에 철근이 종횡으로 배근되어 있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보강재 삽입구(300)도 패널(200)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성형되게 되므로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는 패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와 완전히 일체를 이루게 됨은 물론, 패널 내부에 배근된 철근에 의해서도 관통로(330)의 전방 부분이 견고하게 지지가 되므로 보강재 삽입구(300) 내부에 삽입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와의 연결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도면에 도시된 패널(200)에서,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는 좌우의 입구(310,320) 사이의 거리가 내측 폭(W1)은 50~66cm이고, 외측 폭(W2)은 70~95cm정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좌우측 입구(310,320)는 패널(200)의 배면(210)을 좌우로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지점과 3/4지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관통로(330)가 패널(200) 내부에 깊게 위치함과 동시에 관통로(330) 자체의 길이도 충분히 길어서 패널(200)과의 결합강도가 우수하다.
또, 본 실시 예의 패널(200)은 상기 관통로(330)를 관통하여 하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삽입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인장력을 받게 될 경우 양측 입구(310,320)에서 받게되는 저항력 즉, 연결강도가 향상되게 되므로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인장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 패널의 보강재 연결부위의 연결강도가 떨어져 인장강도가 높은 보강재를 사용하지 못하고 대신 인장강도가 약한 띠형 섬유보강재 다수를 패널이 배면 여러 개소에 연결하여 시공하여야만 했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띠형 섬유보강재의 부설량을 줄이면서도 각 패널의 면적당 요구로 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연결강도를 만족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자재비 절감과 아울러 보강재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속도 향상과 시공기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특허문헌 1 내지 4 등에 개시된 종래의 패널에 있어서는 금속재 연결브라켓이나 합성수지재 소형 슬리브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들 금속재 연결브라켓이나 합성수지 슬리브의 패널 내부에의 인서트립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과 패널 사이의 각각의 연결강도가 비교적 낮을 수 밖에 없었으므로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장강도도 그에 맞는 것을 사용하면서 각 패널의 면적당 요구로 하는 연결강도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여러 개소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일일이 연결해주어야 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패널에서는 보강재 삽입구와 패널의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보강재 삽입구 양단의 입구 내측에 걸리는 연결강도가 그에 비례하여 높아지게 되어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위 패널당 부설해주어야 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부설량도 줄일 수 있어 보강재의 소요량과 연결작업량을 줄일 수 있고, 패널의 제작시에도 보강재 삽입구의 인서트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보강재 삽입구(도 3 참조)는 좌우 길이가 패널의 두께에 비하여 협소하게 이루어져 있는 반면, 본 실시 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 삽입구(100)의 좌우측 입구(310,320) 사이의 폭은 패널(200)이 형성하는 두께(T)의 약 2배 이상 8배 이하를 이루도록 좌우 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패널(2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내부에 좌우로 길고 전후로 깊게 매립된 상태를 이루므로 패널(200)과 보강재 삽입구(300)간의 결합력 향상과 더불어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에 삽입된 띠형 섬유보강재(100) 선단의 연결강도를 극대화하고, 최소 수량의 보강재만으로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우측 입구(310,320) 사이의 폭은 내측 폭(W1)과 외측 폭(W2)을 의미하는데, 내측 폭(W1)은 패널 두께(T)의 2배 이상을 이루고, 외측 폭(W2)은 패널 두께(T)의 8배 이하를 이루도록 제작함으로써 보강재 삽입구(300)가 패널(2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내부에 좌우로 길고 전후로 깊게 매립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10은 띠형 섬유보강재(100) 선단의 반폭 접힘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 삽입구(300)의 관통로(330)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부호 220은 인양고리 삽입홈이고, 부호 230은 인양고리 고정핀 삽입홈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는 좌,우측 입구(310,320)의 좌우 폭 즉, 각각의 입구(31,320)의 폭(W3)이 대략 10~20cm를 이루고, 관통로(330)의 전후 깊이는 15cm내외이므로 관통로(330)의 곡률반경이 크고, 상기 관통로(330)로 삽입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도 국부적으로 작은 곡률반경으로 꺾여지지 않게 되므로 띠형 섬유보강재 선단에 국부적인 응력집중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유연한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을 반폭으로 접어서 재삽입할 때에도 띠형 섬유보강(100)의 굽힘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활한 삽입과 재인출이 가능하여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선단을 반폭으로 접어주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재 삽입구(300)의 관통로(330)의 곡률반경이 크고, 관통로(330)의 전후 깊이는 곡률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으면서도 양측의 입구(310,320)는 좌우 폭(W3)이 넓으므로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전폭으로 펼쳐서 지그재그상태로 연속해서 인접한 패널(100)의 보강재 삽입구(300)에 삽입하고 보강토체(G)의 후방으로 인출하는 작업도 용이하고, 이러한 작업을 종료한 후 보강재 삽입구(300)에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선단을 반폭으로 접어서 다시 집어넣고 반대편에서 인출하여 보강재 삽입구(300)의 관통로(330) 내면에 보강재(100)의 선단이 반폭으로 접힌 상태가 되도록 해주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보강재의 선단은 반폭으로 접어서 보강재 삽입구(300)에 삽입할 경우에는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유연성이 떨어져 굽힘반경(bend radius)이 커지게 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재 삽입구(300)의 관통로(330) 곡률반경이 크고, 양측의 입구(310,320) 폭이 넓으므로 보강재 삽입구(300)의 내면에서 마찰력이 크게 걸리지 않으므로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삽입과 인출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피로도가 낮고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패널(200)은 기본형 패널이며, 옹벽의 하단부와 상단부 측에는 하프형 패널 즉, 상하 폭이 기본형 패널의 절반 크기로 된 패널이 필요하게 되는데, 기본형 패널(200)의 경우에는 보강재 삽입구(300)를 패널(200)의 배면(210) 상하 높이를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과 3/4높이에 오도록 2개가 상하로 배치되고, 하프형 패널의 경우에는 보강재 삽입구가 중간 높이에 하나만 배치되게 된다(도 9의 (c) 참조).
따라서, 옹벽의 시공시 좌우로 인접하는 패널(200)은 상하로 절반씩 엇갈리게 배치되어 연속으로 세워지게 되며, 후방의 보강토체(G)가 패널(200)의 1/4높이와 3/4높이에 다다르도록 채워져 다져지게 되고, 그 위에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으로 지그재그상태가 되도록 포설되어 보강토체(G) 내부에 매립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좌우로 인접한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노출된 보강재 삽입구(300)의 입구(310,320)를 통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으로 삽입하는 작업과 지그재그로 삽입된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보강토체(G) 위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작업을 할 경우에도 보강재 삽입구의 관통로 곡률반경이 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입구의 삽입각(θ)이 1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15°~20°를 이루고 있으므로 굴곡반경이 큰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연속해서 지그재그로 삽입하더라도 보강재 삽입구(300)와 띠형 섬유보강재(100) 사이에 마찰이 크게 걸리지 않게 되므로 작업피로도가 낮고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본 규격이 기본형 패널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형 패널을 좌우로 2배 또는 3배로 확대하거나 상하로 확대할 경우 또는 상하좌우로 동시에 확장되는 확장형 패널의 경우, 즉,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보강재 삽입구(300)의 배치는 기본형 패널의 배치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강재 삽입구의 설치 개수만 증가하면 더 큰 규격의 패널을 제작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은 변형된 규격의 확장형 패널 또한 이하에 기재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시공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2개의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하나의 보강재 삽입구(200)에 이중으로 끼운 예를 보여주고 있는바, 보강재 삽입구(300)에는 복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삽입되되 보강재 삽입구(300) 내부의 관통로(330)에서는 각각 반폭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보강토체(G)에는 복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전폭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호 상하로 포개진 상태에서 매립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보강재의 시공방법에서는 옹벽의 높이가 높거나 보강토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시공현장에서 하나의 보강재 삽입구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다중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장강도를 높여 패널의 지지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하로 포개진 띠형 섬유보강재(100)는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별로 접착 테이프 등을 감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은 패널의 내부에 보강재 삽입구가 인서트되되 양측 입구가 패널의 배면으로 노출되며, 양측 입구 사이의 간격이 패널의 배면을 좌우로 4등분 하는 위치의 대략 1/4과 3/4지점에 오는 크기로 제작되어 양측 입구 사이에 연결된 관통로의 곡률반경이 크고, 양측 입구의 좌우 폭이 넓어서 전폭으로 펼쳐진 상태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연속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을 반폭으로 접어서 다시 보강재 삽입구에 삽입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강재 삽입구의 매설강도가 우수하여 양측 입구에서의 보강재 연결강도가 높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단위 패널당 띠형 섬유보강재의 부설량을 즐이면서도 설계상 요구로 하는 보강재의 연결강도를 발휘할 수 있어 시공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부호의 설명]
100 : 띠형 섬유보강재
110 : 반폭 접힘부
200 : 패널
210 : 배면
220 : 인양고리 삽입홈
230 : 고정핀 삽입홈
300 : 보강재 삽입구
310,320 : 입구
330 : 관통로
θ : 삽입각
W1 : 내측 폭(양측 입구 사이의)
W2 : 외측 폭(양측 입구 사이의)
W3 : 폭(입구 자체의)
T : 패널 두께

Claims (5)

  1. 보강토체(G)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330)가 형성된 C형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로;
    상기 C형 보강재 삽입구(300)는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개방된 양측의 입구(310,320)가 패널(200)의 배면(210) 폭을 4분할하는 위치의 대략 1/4과 3/4지점에 오도록 하여 하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패널(200)의 수평면을 따라 1개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양측의 입구(310,320)는 패널(200)의 배면(210)과 이루는 삽입각(θ)이 10°~ 40°를 이루어 띠형 섬유보강재(100)의 삽입과 인출시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200)은 기본형 패널이고, 패널(200)의 좌우 폭 또는 상하 높이가 상기 기본형 패널의 배수로 증가하는 확장형 패널의 경우에는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도 패널(200)의 좌우 및 상하 방향을 따라 기본형 패널과 동일한 배치간격을 이루면서 개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3. 보강토체(G)에 매설되는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패널(200)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내측에 관통로(330)가 형성된 C형 보강재 삽입구(300)의 좌우측 입구(310,320)가 패널(200)의 배면(210)으로 노출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로;
    상기 보강재 삽입구(100)의 좌우측 입구(310,320) 사이의 폭은 패널(200) 두께의 2배 이상 8배 이하를 이룬 상태로 형성되어 패널(200)과 보강재 삽입구(300)간의 결합력 향상과 더불어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에 삽입된 띠형 섬유보강재(100) 선단의 연결강도를 극대화하고, 최소 수량의 보강재만으로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삽입구(100)의 좌우측 입구(310,320)는 내측 폭(W1)이 패널 두께(T)의 2배 이상을 이루고, 외측 폭(W2)은 패널 두께(T)의 8배 이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5. 청구항 1 내지 4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200)에 띠형 섬유보강재(100)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보강재 삽입구(300)에는 복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삽입되되 보강재 삽입구(300) 내부의 관통로(330)에서는 각각 반폭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보강토체(G)에는 복수의 띠형 섬유보강재(100)가 전폭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호 상하로 중첩된 채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PCT/KR2019/012319 2019-07-30 2019-09-23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WO20210206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06273A JP2023501766A (ja) 2019-07-30 2019-09-23 補強土擁壁築造用パネル及び帯状繊維補強材の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44 2019-07-30
KR20190092444 2019-07-30
KR1020190111395A KR102034144B1 (ko) 2019-07-30 2019-09-09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KR10-2019-0111395 2019-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643A1 true WO2021020643A1 (ko) 2021-02-04

Family

ID=6854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2319 WO2021020643A1 (ko) 2019-07-30 2019-09-23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501766A (ko)
KR (1) KR102034144B1 (ko)
WO (1) WO2021020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209B1 (ko) 2020-06-01 2021-12-14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연속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클립
KR102401122B1 (ko) * 2021-08-18 2022-05-20 이계일 옹벽용 패널
KR102616011B1 (ko) 2022-01-27 2023-12-20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46083B1 (ko) * 2022-04-25 2023-06-22 공학봉 스트립을 결합한 철근콘크리트 패널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98492B1 (ko) 2023-08-11 2023-11-06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762A (ja) * 1995-08-18 1997-06-24 Soc Civile Des Brevets De Henri Vidal 安定化された盛土構造体の表面被覆要素
JP2004263395A (ja) * 2003-02-28 2004-09-24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工法
KR100660356B1 (ko) *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1397432B1 (ko) * 2014-02-17 2014-05-20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534541B1 (ko) * 2014-12-11 2015-07-07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페이싱 부재, 이 페이싱 부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863A (ja) * 1981-12-28 1983-07-06 Sony Tektronix Corp ロジツク・アナライザ
US7850400B2 (en) 2004-11-25 2010-12-14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Stabilized soil structure and facing elements for its construction
FR2939157B1 (fr) 2008-12-02 2013-02-15 Terre Armee Int Ouvrage en sol renforce et elements de parement pour sa construction
KR20160133952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재 삽입구가 내장된 옹벽 페이싱 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762A (ja) * 1995-08-18 1997-06-24 Soc Civile Des Brevets De Henri Vidal 安定化された盛土構造体の表面被覆要素
JP2004263395A (ja) * 2003-02-28 2004-09-24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工法
KR100660356B1 (ko) *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1397432B1 (ko) * 2014-02-17 2014-05-20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534541B1 (ko) * 2014-12-11 2015-07-07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페이싱 부재, 이 페이싱 부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144B1 (ko) 2019-11-08
JP2023501766A (ja)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0643A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패널
WO2022059977A1 (ko) 프리캐스트 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6093432A1 (ko) 보강토 옹벽용 페이싱 부재, 이 페이싱 부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WO2010068013A2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저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0147306A2 (ko)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의 제작방법 및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시공방법
CN212200443U (zh) 一种用于软土地基的深基坑支护结构
WO2020085590A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WO2009096725A2 (ko) 프리캐스트 가시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WO2009136762A9 (ko) 가로보를 정착부로 이용한 피에스씨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및 그 구조
WO2012044091A2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WO2014171628A1 (ko) 건축물의 벽면 시공방법과 벽면구조물
WO2015178584A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WO2017034354A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WO2010068014A2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WO2020013543A1 (ko) 내진용 파일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24039157A1 (ko) 가이드 브라켓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16204558A1 (ko) 벽체 시공장치
WO2021025310A1 (ko) 기둥 타설용 매입형 타설관
WO2016129800A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WO2024053817A1 (ko)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6021854A1 (ko) 이동가설지지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WO2018080105A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WO2018147680A1 (ko) 흙막이 가시설 시공 구조 및 방법
WO2012011783A2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98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0627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98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