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20614A1 -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20614A1
WO2021020614A1 PCT/KR2019/009450 KR2019009450W WO2021020614A1 WO 2021020614 A1 WO2021020614 A1 WO 2021020614A1 KR 2019009450 W KR2019009450 W KR 2019009450W WO 2021020614 A1 WO2021020614 A1 WO 20210206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fire
fireproof
refractory fille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4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운
Original Assignee
김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운 filed Critical 김정운
Priority to PCT/KR2019/0094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20614A1/ko
Priority to JP2019565940A priority patent/JP2021533837A/ja
Priority to CN201980002576.2A priority patent/CN112585325A/zh
Priority to EP19804606.2A priority patent/EP3792420A4/en
Publication of WO20210206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206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5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providing fire-resist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roof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prevent fire from spreading at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a penetrating member such as a pipe penetrates a partition wall of a building.
  • a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seal the penetrating par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ireproof structure, and this is called a fireproof filling construction.
  • FIG. 1 is a general plastic pipe and electric wire, etc., including materials having thermally weak characteristics or forming the entire pipe, duct, tube, rods, electric wires (collectively referred to as'penetrating members'), etc. )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leeve is installed in a portion passing through, and FIG. 2 shows a cross-section AA′ of FIG. 1.
  • the conventional method is a sleeve filled with a refractory filler 22 in the penetrating portion 11a of a partition wall or steel deck (collectively referred to as'bulk wall') that does not have a sufficient insulating effect, including steel.
  • 21 is installed and the penetrating member 13 passes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the sealing portion 23 covers both ends thereof to seal the inside of the sleeve 21.
  • both spaces divided by the bulkhead 11 correspond to a fire zone in which fire can occur,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insulation 12 must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ulkhead 11, so the economical disadvantage is more pronounced. Will be revealed.
  • the existing method has disadvantages such as various limitations in working conditions and such as severe variation in quality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contractor, as the fireproof filling structure must be constructed directly on site.
  •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a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which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rtition wall 11 and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 through which the penetration member 13 passes;
  • the inner surface surround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the outer surface is an outer sleeve 120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fractory filler 130 that is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13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expands by heat above a certain temperature.
  • the outer sleeve 120 seals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sleeve 120 at both ends of the outer sleeve 120 and includes an outer sealing cover 121 having a through hole 121a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13 passes.
  • the outer sealing cover 121 includes a temporary cover 121d made of a material in which the area around the through hole 121a and the area adjacent to the refractory filler 130 in the outer sealing cover 121 is lost by heat above a certain temperature.
  •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following effects.
  • the existing method also has disadvantages such as various limitations in working conditions, etc., and severe variations in quality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constructor, since the fireproof filling structure must be constructed directly on site.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roduct in a specialized factory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quality and to solve the problem of delays in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eeve install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when a general penetrating member passes through a partition wall.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in Figure 1;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in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proof structure in which an inner sleeve is formed.
  • 6 to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to 11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efractory filler when a fire occurs.
  • the insulating material 140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which is a center of the penetrating portion 11a of the partition wall 11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13 passes and is perpendicular to the partition wall 11 to surround the penetrating member 13;
  • the inner surface surround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the outer surface is an outer sleeve 120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fractory filler 130 that is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13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expands by heat above a certain temperature.
  • the outer sleeve 120 seals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sleeve 120 at both ends of the outer sleeve 120 and includes an outer sealing cover 121 having a through hole 121a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13 passes.
  • the outer sealing cover 121 includes a temporary cover 121d made of a material in which the area around the through hole 121a and the area adjacent to the refractory filler 130 in the outer sealing cover 121 is lost by heat above a certain temperature.
  • an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which is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emporary cover 121d and the refractory filler 130.
  • the term'penetration member' refers to pipes, ducts, tubes, rods, electric wires, etc. that include materials having thermally weak characteristics such as general plastic pipes and electric wires penetrating the bulkhead of a building. It is a collective term, and'bulkwall' is a collective term for walls such as bulkheads or decks that do not have sufficient insulation effect, including steel that divides the space.
  • the fireproof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in the building penetr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sleeve 120, a fireproof filler 130, and an insulating material 140 as shown in FIGS. 3 and 4 as a basic configuration, and an inner sleeve as shown in FIG. (110) may be further configured.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rtition wall 11 and is formed around the penetrating portion 11a of the partition wall 11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13 passes to surround the penetrating member 13. That is, the penetrating member 13 surrounds a certain section of th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1a.
  • a refractory filler 130 is formed over some or all sections, thereby preventing the refractory filler 130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high heat.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insulating material 12 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GS. 1 and 2.
  • Examples of the insulating material 140 include cement, foamed cement, gypsum, mineral wool, and cerak woo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 solid insulation material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insulation material 140.
  • the outer sleeve 120 is a housing whose inner surface surrounds the insulating material 140 and the outer surface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1, and is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through part 11a of the partition wall 11 and the outer sleeve 120 correspond The outer sleeve 1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11a.
  • outer sealing covers 121 for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sleeve 120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ealing cover 121, a through hole 121a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member 13 passes. ) Is formed.
  • outer sleeve 120 and the outer sealing cover 121 serve to protect the insulating material 140 to function properly even in the event of a fire, for this purpose, it will have t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eel that is not deformed by heat.
  • a part of the outer sealing cover 121 may be formed as a temporary cover 121d, and the temporary cover 121d has a region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21a and the refractory filler 130 in the outer sealing cover 121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dissipated by heat above a certain temperature.
  • the temporary cover 121d is formed, the temporary cover 121d is lost by heat when a fire occurs, so that heat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refractory filler 130.
  • the temporary cover 121d also serves to prevent heat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to the penetrating member 13 through the outer sealing cover 121 made of a steel material.
  • an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formed as an empty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emporary cover 121d and the refractory filler 130. This is when the temporary cover (121d) is lost when a fire occurs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refractory filler 130, so that when the refractory filler 130 wants to expand, the refractory filler 130 expands into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first and fireproof. It serves to induce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filler 130.
  • the two spaces divided based on the bulkhead 11 are referred to as G and F, 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F space, the fire occurs in the F space and the F space is As the protruding through member 13 melts, the P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ulating material 140 is softened and lost, and the temporary cover 121d is likewise lost by heat, so that the heat of the fire is transmitted to the refractory filler 130. At this time, the refractory filler 130 expands by heat, but expands into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as shown in FIG.
  •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may be filled with a temporary insulation material 121c
  • the temporary insulation material 121c is an insulation material made of a material that is dissipated by heat above a certain temperature, and the refractory filler 130 and the temporary It serves to insulate the refractory filler 130 between the covers 121d, but when a fire occurs,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is dissipated by heat so that it can play its role.
  • the temporary insulating material 121c may be, for example, cross-linked foamed polyethyl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selected as long as it has a heat insulation (heat insulation) function and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 the refractory filler 130 is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or 1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13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is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or 1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13, and is composed of a fireproof sealant Can be. This is to block the spread of the fire to the other space (G)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11)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a) as the through member (13) is lost in the space (F) where the fire occurred. For this purpose, it expands several times or more at a specific high temperature to block the through portion 11a.
  • the inner sleeve 110 is a housing formed to surround the refractory filler 130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and the refractory filler 130 as shown in FIG. 5 and forms a double partition wall with the outer sleeve 120.
  • the cross-section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 of the inner sleeve 110, and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composed of a sleeve made of a steel material having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square column shape.
  • one penetrating member 13 is wrapp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ner sleeve 110 and the outer sleeve 120 draw a concentric circle, but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pipes or wires as shown in FIG. have.
  •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6 shows that the refractory filler 130 is formed only at both ends of the section cover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leeve 120 where the partition wall 11 is located is cover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40 to the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13, and the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13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21a is a fireproof filler. (130) will be wrapped up. Therefore, when a fire occurs in any one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11, only the refractory filler 130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expands to block the passage by the penetrating member 13.
  • the third embodiment suggests that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is formed as shown in FIG. 7, an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leeve 120 where the partition wall 11 is located is the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13.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140 is wrapped up to, and the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13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21a may be configured to be wrapped with the refractory filler 130.
  • the fourth embodiment proposes that a temporary insulating material 121c is formed in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as shown in FIG. 8.
  • the fireproof structure 100 is installed on a vertical bulkhead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hen it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bulkhead that divides the upper and lower spaces such as the floor, it is unlikely that the fire will spread to the bottom. Since it diffuses upward, it is suggested that the refractory filler 130 is formed only in the lower portion based on the partition wall 11, and the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13 at the top is formed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140 is all wrapped around. At this time, both the expansion induction space 121b and the temporary insulation material 121c will also be formed only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11.
  • outer sealing cover 121 and the temporary cover (121d) are also formed in the upper part, which means that heat from the lower space rises through the outer sleeve 120 to the penetrating member 13 through the outer sealing cover 121. This is to prevent the direct heat transfer from the temporary cover 121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roof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prevent fire from spreading in a penetration part through which a penetrating member such as a pipe passes through a partition wall of a building, and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n insulating material separately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of the existing fire exposed area. Without doing so, the refractory filler expands tightly into the penetrating memb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reby effectively blocking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관통부재가 건축물의 격벽을 관통하는 관통부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내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격벽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재비 및 인건비가 절감되고, 내화충전재가 알맞은 온도에서 관통부재 내부로 빈틈없이 팽창하여 격벽의 관통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내화충전구조를 현장에서 직접 시공해야 하므로 작업 여건 등에서 여러 제약사항이 뒤따르며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등의 단점도 함께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은 모든 내화장치를 전문공장에서 제작가능하게 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높이고 현장 여건에 따른 공사의 지연 등에 대한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관통부재가 건축물의 격벽을 관통하는 관통부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내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나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하게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서 파이프나 전선 등이 건물의 바닥 또는 벽의 방화구획을 관통할 때에는 이러한 관통부에 내화충전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즉, 관통부를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키는 공사를 수행하게 되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등 열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이 포함되거나 전체를 이루는 파이프, 덕트, 튜브, 막대류, 전선류(이를 통칭하여 '관통부재'라 함)등이 격벽(철판 등)을 관통하는 부분에 슬리브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식은 스틸을 비롯한 그 자체로 충분한 단열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격벽 또는 스틸 데크(이를 통칭하여 '격벽'이라 함)의 관통부(11a)에는 내화충전재(22)가 내부에 충진된 슬리브(21)를 설치하고 이의 중심을 관통부재(13)가 관통하게 되며, 그 양단을 밀폐부(23)가 덮어 슬리브(21)의 내부를 밀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존 방식은 내화충전재(22) 및 관통부재(13)가 과도한 고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격벽(11)을 통한 열의 전도를 막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구역(F)의 격벽(11)을 단열재(12)로 덮는 시공을 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단열재(12)의 추가 시공에 따른 자재비와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격벽(11)을 기준으로 나뉘는 양 공간이 모두 화재발생 가능한 방화구획에 해당할 경우 단열재(12)를 격벽(11)의 양쪽으로 모두 시공해야 할 경우도 발생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의 단점은 더욱 극명히 드러나게 된다.
그 외, 기존의 방식은 내화충전구조를 현장에서 직접 시공해야 하므로 작업여건 등에서 여러 제약사항이 뒤따르며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등의 단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격벽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내화충전재가 알맞은 온도에서 관통부재 내부로 빈틈없이 팽창하여 격벽의 관통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격벽(11)의 관통부(11a)를 중심으로 하며 격벽(11)에 수직 방향인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관통부재(13)를 감싸는 단열재(140); 내측면은 단열재(140)를 감싸며 외측면은 격벽(11)과 결합되는 외부슬리브(120); 단열재(140)의 일단 일부구간 또는 양단 일부구간 또는 전체구간에서 단열재(140)와 관통부재(13)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충전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부슬리브(120)는 외부슬리브(120)의 양단에서 외부슬리브(12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며 중심에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관통구(121a)가 형성된 외부밀폐커버(12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밀폐커버(121)는 외부밀폐커버(121)에서 관통구(121a)의 주변 및 내화충전재(130)와 인접한 영역이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의 임시커버(12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임시커버(121d)와 내화충전재(130) 사이에 빈 공간인 팽창유도공간(12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격벽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재비 및 인건비가 절감되고, 내화충전재가 알맞은 온도에서 관통부재 내부로 빈틈없이 팽창하여 격벽의 관통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내화충전구조를 현장에서 직접 시공해야 하므로 작업 여건 등에서 여러 제약사항이 뒤따르며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등의 단점도 함께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은 모든 내화장치를 전문공장에서 제작가능하게 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높이고 현장 여건에 따른 공사의 지연 등에 대한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관통부재가 격벽을 관통할 때 관통부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A-A'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A-A' 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내부슬리브가 형성된 내화구조물의 투시도.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 내지 11은 화재발생시 내화충전재가 팽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격벽(11)의 관통부(11a)를 중심으로 하며 격벽(11)에 수직 방향인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관통부재(13)를 감싸는 단열재(140); 내측면은 단열재(140)를 감싸며 외측면은 격벽(11)과 결합되는 외부슬리브(120); 단열재(140)의 일단 일부구간 또는 양단 일부구간 또는 전체구간에서 단열재(140)와 관통부재(13)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충전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부슬리브(120)는 외부슬리브(120)의 양단에서 외부슬리브(12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며 중심에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관통구(121a)가 형성된 외부밀폐커버(12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밀폐커버(121)는 외부밀폐커버(121)에서 관통구(121a)의 주변 및 내화충전재(130)와 인접한 영역이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의 임시커버(12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임시커버(121d)와 내화충전재(130) 사이에 빈 공간인 팽창유도공간(12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관통부재'는 건축물의 격벽을 관통하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등 열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이 포함되거나 전체를 이루는 파이프, 덕트, 튜브, 막대류, 전선류 등을 통칭하는 말이며, '격벽'은 공간을 나누는 스틸을 비롯한 그 자체로 충분한 단열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격벽 또는 데크 등의 벽면체를 통칭하는 말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1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부슬리브(120), 내화충전재(130), 단열재(140)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도 5와 같이 내부슬리브(11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재(140)는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격벽(11)의 관통부(11a)를 중심으로 하며 격벽(11)에 수직 방향인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관통부재(13)를 감싸게 된다. 즉, 관통부재(13)가 관통부(11a)를 지나는 부분의 일정 구간을 감싸는 것이다.
이 때, 단열재(140)와 내화충전재(130)의 사이에는 일부구간 또는 전부구간에 걸쳐 내화충전재(130)가 형성되어 내화충전재(130)가 고열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도 1 및 도 2의 기존 방식과 같은 별도의 단열재(12)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단열재(140)로는 시멘트, 기포시멘트, 석고, 미네랄울, 세라크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내부슬리브(110)가 생략된 구조에서는 단열재(140)의 형태 유지를 위해 고형의 단열재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형의 단열재를 사용할 경우 내화충전재(130)가 팽창시에도 관통부재(13)의 안쪽으로 채워 들어갈 수 있도록 형태를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
외부슬리브(120)는 내측면은 단열재(140)를 감싸며 외측면은 격벽(11)과 결합되는 하우징으로서, 격벽(11)의 관통부(11a)와 외부슬리브(120)의 단면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관통부(11a)에 외부슬리브(120)가 삽입되는 것이다.
외부슬리브(120)의 양단에는 외부슬리브(12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외부밀폐커버(121)가 각각 형성되고, 외부밀폐커버(121)의 중심에는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관통구(121a)가 형성된다.
외부슬리브(120)와 외부밀폐커버(121)는 화재 발생시에도 단열재(140)가 제 기능을 하도록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스틸과 같은 재질이어야 할 것이다.
외부밀폐커버(121)의 일부는 임시커버(121d)로 형성될 수 있는데, 임시커버(121d)는 외부밀폐커버(121)에서 관통구(121a)의 주변 및 내화충전재(130)와 인접한 영역이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임시커버(121d)가 형성될 경우 화재발생시 임시커버(121d)가 열에 의해 소실되어 내화충전재(130)로 열이 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시커버(121d)는 스틸재질의 외부밀폐커버(121)를 통해 관통부재(13)로 열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임시커버(121d)와 내화충전재(130) 사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팽창유도공간(121b)을 둘 수 있다. 이는 화재발생시 임시커버(121d)가 소실되어 내화충전재(130)로 열이 전달됨에 의해 내화충전재(130)가 팽창하고자 할 때, 팽창유도공간(121b)으로 내화충전재(130)가 먼저 팽창하면서 내화충전재(130)의 팽창 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격벽(11)을 기준으로 나뉘는 두 공간을 G와 F라 하고, F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F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F공간으로 돌출된 관통부재(13)가 녹으면서 단열재(140)의 외곽에 있는 P부분이 연화되고 소실되며, 임시커버(121d)도 마찬가지로 열에 의해 소실되어 화재의 열기가 내화충전재(130)로 전달된다. 이 때 내화충전재(130)가 열에 의해 팽창하는데 도 10과 같이 팽창유도공간(121b)으로 팽창하여 그 팽창의 결과물이 열에 의해서 P부분의 관통부재(13)에 발생하는 틈새를 즉시 메우게 되며, 이러한 작용이 관통부재(13)의 둘레를 따라 관통구(121a)의 부근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도 11과 같이 관통구(121a)를 팽창한 내화충전재(130')가 채워 화재에 의한 열 또는 화염이 진행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팽창유도공간(121b)이 없는 경우에는 팽창된 내화충전재(130')의 결과물이 열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는 P부분의 관통부재(13)의 틈새들을 메우지 못하고 외부밀폐커버(121)의 외부로 빠져나가 탈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팽창유도공간(121b)을 둠으로써 팽창의 결과물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관통부재에 생기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팽창유도공간(121b)에는 임시단열재(121c)가 충진될 수 있는데, 임시단열재(121c)는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의 단열재로서, 일정온도 이내의 범위에서는 내화충전재(130)와 임시커버(121d)의 사이에서 내화충전재(130)를 보온시키는 역할을 하나, 화재 발생시에는 팽창유도공간(121b)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열에 의해 소실되는 것이다. 임시단열재(121c)는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열(보온)기능을 갖고 녹는점이 비교적 낮은 물질이라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내화충전재(130)는 단열재(140)의 일단 일부구간 또는 양단 일부구간 또는 전체구간에서 단열재(140)와 관통부재(13)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팽창 내화재로서 방화 실란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1을 참고하면 화재가 발생한 공간(F)에서 관통부재(13)가 소실됨에 따라 관통부(11a)를 통해 격벽(11)으로 분리된 다른 공간(G)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특정 고온에서 수배 이상으로 팽창하여 관통부(11a)를 막는 역할을 한다.
내부슬리브(110)는 도 5와 같이 단열재(140)와 내화충전재(130)의 사이에서 내화충전재(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으로서 외부슬리브(120)와 이중격벽을 형성하게 된다. 단면이 내부슬리브(1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그 입체적인 형태가 원통형 또는 장방의 사각기둥형인 스틸재질의 슬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관통부재(13)를 내부슬리브(110)와 외부슬리브(120)가 동심원을 그리며 원통형태로 감싸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나, 도 5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파이프 또는 전선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과 같이 내화충전재(130)가 단열재(140)가 형성된 전 구간에 걸쳐 단열재(140)와 관통부재(13)의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1실시예라 할 때, 제2실시예는 도 6과 같이 내화충전재(130)가 단열재(140)가 감싼 구간의 양단 일부에만 형성된 것을 제시한다. 즉, 격벽(11)이 위치한 외부슬리브(120)의 중앙부는 관통부재(13)의 표면까지 단열재(140)가 감싸게 되고, 관통구(121a)와 인접한 부분의 관통부재(13) 표면은 내화충전재(130)가 감싸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격벽(11)으로 구분된 어느 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시 해당 공간에 위치한 내화충전재(130)만 팽창하여 관통부재(13)에 의한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제3실시예는 도 7과 같이 팽창유도공간(121b)이 형성된 것을 제시하며, 이 또한 제2실시예와 같이 격벽(11)이 위치한 외부슬리브(120)의 중앙부는 관통부재(13)의 표면까지 단열재(140)가 감싸게 되고, 관통구(121a)와 인접한 부분의 관통부재(13) 표면은 내화충전재(130)가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실시예는 도 8과 같이 팽창유도공간(121b)에 임시단열재(121c)가 형성된 것을 제시한다.
제5실시예는 내화구조물(100)이 이전 실시예와 같이 수직 격벽에 설치되는 경우와 달리 바닥 등의 위아래 공간을 나누는 수평 격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화재 불길이 아래로 확산될 가능성은 희박하고 대부분 위로 확산되므로, 격벽(11)을 기준으로 하부에만 내화충전재(130)가 형성되고 상부의 관통부재(13) 표면은 단열재(140)가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제시한다. 이 때, 팽창유도공간(121b) 및 임시단열재(121c) 역시 모두 격벽(11)을 기준으로 하부에만 형성될 것이다.
다만, 상부에도 외부밀폐커버(121)와 임시커버(121d)가 형성되는데, 이는 아래 공간에서의 열기가 외부슬리브(120)를 타고 올라면서 외부밀폐커버(121)를 통해 관통부재(13)로 열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임시커버(121d)가 차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관통부재가 건축물의 격벽을 관통하는 관통부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내화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화재 노출 구역의 격벽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재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내화충전재가 알맞은 온도에서 관통부재 내부로 빈틈없이 팽창하여 격벽의 관통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Claims (3)

  1.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격벽(11)의 관통부(11a)를 중심으로 하며 격벽(11)에 수직 방향인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관통부재(13)를 감싸는 단열재(140);
    내측면은 단열재(140)를 감싸며 외측면은 격벽(11)과 결합되는 외부슬리브(120);
    단열재(140)의 일단 일부구간 또는 양단 일부구간 또는 전체구간에서 단열재(140)와 관통부재(13)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충전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리브(120)는
    외부슬리브(120)의 양단에서 외부슬리브(12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며 중심에 관통부재(13)가 지나는 관통구(121a)가 형성된 외부밀폐커버(12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밀폐커버(121)는
    외부밀폐커버(121)에서 관통구(121a)의 주변 및 내화충전재(130)와 인접한 영역이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소실되는 재질의 임시커버(12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임시커버(121d)와 내화충전재(130) 사이에 빈 공간인 팽창유도공간(12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PCT/KR2019/009450 2019-07-30 2019-07-30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WO202102061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450 WO2021020614A1 (ko) 2019-07-30 2019-07-30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JP2019565940A JP2021533837A (ja) 2019-07-30 2019-07-30 建設物貫通部火災拡散防止用の耐火構造物
CN201980002576.2A CN112585325A (zh) 2019-07-30 2019-07-30 用于防止火灾在建筑物贯穿部扩散的耐火结构物
EP19804606.2A EP3792420A4 (en) 2019-07-30 2019-07-30 FIRE-RESISTANT STRUCTURE FOR BUILDING THROUGH FIRE BARR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450 WO2021020614A1 (ko) 2019-07-30 2019-07-30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614A1 true WO2021020614A1 (ko) 2021-02-04

Family

ID=7422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450 WO2021020614A1 (ko) 2019-07-30 2019-07-30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92420A4 (ko)
JP (1) JP2021533837A (ko)
CN (1) CN112585325A (ko)
WO (1) WO20210206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3154B2 (en) * 2017-09-11 2023-07-18 Beele Engineering B.V. Conduit through which at least one pipe or cable extends, and method for sealing such a condu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352A (ja) * 1993-02-10 1994-08-30 Inba Denki Sangyo Kk 構造体の空調配管貫通部の耐火構造
KR20080064500A (ko) * 2007-01-05 2008-07-0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체의 관통홀에 설치되는 파이프고정재에 의한 관통홀 공간 채움방법
KR101637197B1 (ko) *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0482602Y1 (ko) * 2015-12-09 2017-02-13 양윤석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JP2018007836A (ja) * 2016-07-13 2018-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4129A1 (de) * 1985-12-13 1987-06-19 Missel Gmbh & Co E Abschottungsvorrichtung
JPH0595133U (ja) * 1992-05-18 1993-12-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における断熱被覆管貫通部の防火構造
JP2002372179A (ja) * 2001-04-13 2002-12-26 A & A Material Corp 耐火二層管の接合部構造
JP2003314789A (ja) * 2002-04-23 2003-11-06 Kawaguchi Makku Kogyo:Kk 耐火性保護管とこれを用いた配管保護構造
JPWO2006054572A1 (ja) * 2004-11-17 2008-08-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体の貫通部構造
JP2007154566A (ja) * 2005-12-07 2007-06-21 Sekisui Chem Co Ltd 防火区画貫通部構造
GB0800765D0 (en) * 2008-01-16 2008-02-27 Beele Eng Bv Fire-stop system for placement in a conduit through which a thermally weakenable pipe extends, method for placing the system and conduit provided
JP2011058346A (ja) * 2009-08-10 2011-03-24 Sekisui Chem Co Ltd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用防火装置
JP2015036497A (ja) * 2013-08-13 2015-02-23 株式会社東芝 防火止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CA3062803C (en) * 2015-05-21 2024-05-14 Cloudtraq Llc Identification, lo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6240230B2 (ja) * 2016-01-19 2017-11-29 未来工業株式会社 貫通部の耐火構造
KR20180018248A (ko) * 2016-08-10 2018-02-21 김정운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352A (ja) * 1993-02-10 1994-08-30 Inba Denki Sangyo Kk 構造体の空調配管貫通部の耐火構造
KR20080064500A (ko) * 2007-01-05 2008-07-0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체의 관통홀에 설치되는 파이프고정재에 의한 관통홀 공간 채움방법
KR101637197B1 (ko) *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0482602Y1 (ko) * 2015-12-09 2017-02-13 양윤석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JP2018007836A (ja) * 2016-07-13 2018-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92420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3154B2 (en) * 2017-09-11 2023-07-18 Beele Engineering B.V. Conduit through which at least one pipe or cable extends, and method for sealing such a cond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2420A1 (en) 2021-03-17
CN112585325A (zh) 2021-03-30
JP2021533837A (ja) 2021-12-09
EP3792420A4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9587B1 (en) Fire resistant sealing system for holes in fire resistant building partitions and method of forming the system
CA2040928C (en) Fire protecting structure of channel portion of plastic piping in a fire partition
FI89957C (fi) Anordning foer kabelgenomfoering
US4219173A (en) Insulated pipe supports
WO2021020614A1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US11072924B2 (en) System for providing a fire safe sealing in an aperture in a wall, a ceiling or a floor of a building, an element for a fire safe sealing system and a bulkhead for a fire safe sealing in the aperture
KR20190096568A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KR102042337B1 (ko) 층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직배관관통공 내화충전구조
FI76615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randtaetning av en genomfoering foer en kabel eller ledning genom en byggnadsdel.
KR20180018248A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WO2018030641A1 (ko)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KR102132819B1 (ko) 일체형 배기덕트
RU2761812C1 (ru) Гибкая накладная огнестойкая кабельная проходка для тонкостенных преград
JPH0595133U (ja) 防火区画体における断熱被覆管貫通部の防火構造
WO2021075656A1 (ko) 체인 형식의 발포 실링 시스템
KR102245923B1 (ko) 스틸 격벽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084635A (ja) ケーブル配線の貫通部の防火構造
EP3724545B1 (en) A system consisting of a fire safe sealing and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sealing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KR102175036B1 (ko) 벽체 관통 설비라인의 화재 차단용 박스
RU21865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ожара по электрическому кабелю
JPH0223053Y2 (ko)
JPS6036978Y2 (ja) ケ−ブル貫通部の密閉構造
JP2738497B2 (ja) 防火区画壁貫通装置
JPH09182256A (ja) ケーブル貫通部の防火構造
JPS58107013A (ja) 屋内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6594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046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10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