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4476A1 - 프라이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라이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4476A1
WO2020204476A1 PCT/KR2020/004172 KR2020004172W WO2020204476A1 WO 2020204476 A1 WO2020204476 A1 WO 2020204476A1 KR 2020004172 W KR2020004172 W KR 2020004172W WO 2020204476 A1 WO2020204476 A1 WO 20202044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primer composition
parts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1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현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CN202080024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631673B/zh
Priority to SG11202110841SA priority patent/SG11202110841SA/en
Priority to EP20783193.4A priority patent/EP3950864A4/en
Publication of WO20202044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4476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koxy silane 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 silane-based monomer containing at least two amino groups or imino groups and a unit derived from a trialkoxysilane-based monomer;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units derived from non-functional acrylate monomers; It provides a primer composition comprising; and hydrogenated rosin resin.
  • the silane-based monomer including at least two amino groups or imino groups is substituted with a trialkoxy group at the terminal,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trialkoxysilane-based monomer described above.
  • the viscosity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may be 10 to 100 cPs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25°C.
  • the viscosity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is less than 10 cPs, the content of the unreacted monomer is large, so that the storage property may be reduced, and when the viscosity is more than 100 cPs, the adhesion to the substrate may be decreased.
  • the epoxy equivalent (EEW)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is 3,000 g/eq. To 5,000 g/eq.
  • the epoxy equivalen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is 3,000 g/eq. If it is less than, the adhesion to the adhesive (DGU) may decrease, and 5,000 g/eq. If it exceeds, the storage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 the epoxy equivalent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JIS K7236, or may be measured using perchlor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crylic resin may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units derived from non-functional acrylate monomers.
  • the acrylic resi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units derived from a functional acrylate monomer, and the functional acrylate monomer is, for example, a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and a hydroxy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 the acrylic resin may be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one or more monomers selected from the non-functional acrylate monomers, and among the non-functional acrylate monomers,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and the hydroxy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It may be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one or more selected monomers.
  • the non-functional acrylate monomer is specifical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 (meth) acrylate, cycloalkyl (meth) acrylate, and bicycloalkyl (meth) acrylate as imparting adhesion and tackiness of the primer.
  • alkyl may have 1 to 10 carbon atoms
  • the cycloalkyl may have 3 to 10 carbon atoms
  • the bicycloalkyl may have 5 to 20 carbon atoms.
  • the non-functional acrylate monomer is methyl methacrylate (MMA),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BMA), isobutyl methacrylate, tertiary butyl methacrylate, normal hexyl methacrylate, 2-ethyl Hex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normal 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tertiary 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It may be a rate, normal octyl acrylate, or cyclohexyl 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enhances compatibility with a solid epoxy resin and increases adhesion to an adhesive (DGU). Specifically, the glycidyl group of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reacts with the amino group or imino group of the silane-based monomer containing at least two amino groups or imino groups, and the attachment site to the adhesive (DGU) (-OH ) To improve adhesion.
  •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is specifically glycidyl methacrylate (GMA), 3,4-epoxycyclohexyl methacrylate, 4-(oxiran-2-ylmethoxy)butyl-2-propenoate (4-(oxiran-2-ylmethoxy)butyl prop-2-enoate(CAS NO 119692-59-0))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GMA glycidyl methacrylate
  • 3,4-epoxycyclohexyl methacrylate 4-(oxiran-2-ylmethoxy)butyl-2-propenoate (4-(oxiran-2-ylmethoxy)butyl prop-2-enoate(CAS NO 119692-59-0))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ydroxy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is specifical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2,3-dihydroxy Propyl acrylate, 2,3-dihydroxypropyl methacrylate,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 acrylate, or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HPPA), etc., but limited thereto. It does not become.
  • the functional acrylate monomer may include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and the hydroxy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in a weight ratio of 1:1 to 5:1, and specifically, in a weight ratio of 1:1 to 2:1 Can be included as.
  • the weight ratio of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and the hydroxy group-containing acrylate monomer is less than 1:1, adhesion to the adhesive (DGU) may be poor, and when it is greater than 5:1, weather resistance may be poor.
  • the viscosity of the acrylic resin may be 50 to 300 cPs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25°C. When the viscosity o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50 cPs, adhesion to the substrate or adhesive (DGU) may decrease, and when the viscosity of the acrylic resin exceeds 300 cPs, storage properties may decrease.
  •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benzoyl peroxide, tert-butyl peroxide, di-tert-butyl peroxide, tert-butyl perbenzoate, tert-butyl perpivalate, tert-amylperbenzoate, tert-amylperoxyacetate , di-tert-amyl peroxide, tert-amylperoxyneodecanoate, tert-butylperoxyneodecanoate, tert-amyl-(2-ethylecyl) monoperoxycarbonate, azobisisobutylnitril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general polymerization initiators such as 2.2-azobis methylbutyronitrile.
  • Hydrogenated rosin resin included in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long pot life of the primer, improves adhesion at low temperatures, and serves as a tackifier for improving heat storage.
  • Rosin resin is a solid resin obtained from pine or coniferous trees, and is produced by heating a liquid resin to separate volatile liquid terpene components.
  • the above rosin resin may contain abietic acid as a main component, and resin acids such as neoabietic acid, repopimaric acid, hydroabietic acid, pimaric acid, and dextonic acid.
  •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may include a hydrogenated rosin resin among rosin resins. It may mean that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does not contain substantially no rosin resin, for example, rosin resin, rosin phenol resin, gum rosin, wood rosin, and the like. That is, it means that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does not contain hydrogenated rosin resin (rosin resin, rosin phenol resin, gum rosin, wood rosin, etc.) at all, or even if i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00 ppm. I can.
  • the acid value of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may be 4 to 8 mgKOH/g, and specifically 5 to 7 mgKOH/g.
  • the acid value of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is less than 4 mgKOH/g, the storage property of the primer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it is greater than 8 mgKOH/g, the adhesion to the base material or adhesive (DGU) may decrease.
  • the viscosity of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25° C. may be 4,000 to 6,600 cPs, and specifically 5,000 to 6,000 cPs.
  • DGU adhesion to the adhesive
  •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and specifically,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5 parts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silane polymer, adhesion between the primer and the adhesive (DGU) may be reduced, and if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the storage performance may be reduced. have.
  •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poxy resin.
  • the epoxy resin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rimer composition serves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primer or the DGU together with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 the epoxy resin may include a bisphenol-based epoxy resin, and the bisphenol-based epoxy resin may specifically be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a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or a mixtu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in order to secure time and improve adhesion at low temperatures.
  • the epoxy resin may contain a solid epoxy resin or a liquid epoxy resin.
  • the solid epoxy resin as described above serves as a film formation and may serve to impart adhesion to an adhesive (DGU).
  • solid epoxy resins have higher epoxy equivalents (g/eq.) than liquid epoxy resins, and higher epoxy equivalents mean higher molecular weights, so the more solid epoxy resins are, the better the film formation than liquid epoxy resins. That is, the adhesion to the body is excellent. Therefore, when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solid epoxy resin as above, compared to containing a liquid epoxy resin, a longer pot life can be secured in the primer composition, and at low temperatures (80°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adhesion in the following).
  • the epoxy equivalent of the solid epoxy resin may be 900 to 1,200 g/eq.
  • the epoxy equivalent of the solid epoxy resin is 900 g/eq. If it is less than the adhesive (DGU) may be poor adhesion, 1,200 g/eq. If it exceeds, the weather resistance may become poor.
  • the epoxy equivalent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JIS K7236, or may be measured using perchlor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iscosity of the solid epoxy resin may be 3,000 to 12,000 cPs as measured by an I.C.I viscometer at 150°C.
  • the viscosity of the solid epoxy resin is less than 3,000 cPs, adhesion to the adhesive (DGU) may be poor, and when it exceeds 12,000 cPs, a problem may occur in storage stability.
  • the solid epoxy resin may include two types of solid epoxy resins having different epoxy equivalents. Specifically, a first solid epoxy resin having a large epoxy equivalent and a second solid epoxy resin having a small epoxy equivalent may be included. That is, the epoxy equivalent of the first solid epoxy resin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the epoxy equivalent of the second solid epoxy resin.
  • the first solid epoxy resin is a bisphenol-based epoxy resin synthesized using a fusion process, and the epoxy equivalent of the first solid epoxy resin may be 1,100 to 1,200 g/eq., and the viscosity is 150 A value measured with an ICI Cone & Plate Viscometer at °C may be 5,000 to 12,000 cPs, and a softening point may be 115 to 122 °C.
  • the second solid epoxy resin is a bisphenol-based epoxy resin synthesized using a Taffy process, and the epoxy equivalent of the second solid epoxy resin may be 900 to 1,000 g/eq., and the viscosity may be 150.
  • a value measured by an ICI Viscometer (ICI Cone & Plate Viscometer) at °C may be 3,000 to 7,000 cPs, and a softening point may be 99 to 111 °C.
  • the epoxy equivalent of the liquid epoxy resin may be 150 to 200 g/eq.
  • the epoxy equivalent of the liquid epoxy resin is 150 g/eq. If it is less than, the adhesion with the adhesive (DGU) may be poor, and 200 g/eq. If it exceeds, the weather resistance may become poor.
  • the primer composition further includes the epoxy resin
  • the sum of the total weight of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and the epoxy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30 parts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in an amount of 15 to 30 parts by weight. If the sum of the total weight of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and the epoxy resin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the adhesion at low temperature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exceeds 50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The adhesion to (DGU) may be poor.
  •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igment.
  • an extender pigment red series, yellow/orange series, blue series, green series, black series, white series, pearl and metallic series, etc.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igment is, for example, barium sulfate (Ba 2 SO 4 ) (barite, barite), barite, calcium carbonate (CaCO 3 ), clay (clay, Al 2 O 3 2SiO 2 2H 2 O), bone Extender pigments such as stone powder (3MgO ⁇ 4SiO 2 ⁇ H 2 0), silica powder (SiO 2 ), diatomaceous earth (SiO 2 ⁇ nH 2 O), silica, bentonite, talc, and aluminum silicate; White pigments such as titanium oxide (eg, TiO 2 ), zinc oxide (ZnO), lithopone, zinc sulfide, lead white (2PbCO 3 ⁇ Pb(OH) 2 ), and antimony oxide (Sb 2 O 3 ); Black pigments such as carbon black, graphite, and iron black (Fe 3 O 4 ); Yellow such as yellow lead (PbCrO 3 ), zinc chromate, cadmium yellow (CdS), lead
  • the pigm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to 20 parts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pigment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silane polymer, the hiding property and appearance of the primer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problems in dispersi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as a primer may occur. I can.
  •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solvent.
  • the solvent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primer composition may play a role of controlling the drying property of the coating film by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primer composition.
  • the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based solvents, ketone-based solvents, ester-based solvents, and carbonate-based solvents.
  • the alcohol-based solvent may include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and the like, and the ketone-based solvent include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K), methyl propyl ketone, methyl butyl ketone, ethyl prop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etc.
  • the ester-based solvent may inclu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EA), n-propyl acetate, n-butyl acetate, ethyl ethoxypropionate, etc., and the carbonate-based solvent is dimethylcar Bonate (DMC)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DMC dimethylcar Bonate
  • the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carbonate-based solvent for compatibility with the acrylic resin or the epoxy resin.
  •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3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silane polymer, and specifically 70 to 200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80 to 18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80 to 160 parts by weight It can be included as a negative content. If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the dispersi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the pigment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exceeds 300 parts by weight, adhesion to the base material or adhesive (DGU), weather resistance The back may deteriorate.
  • DGU base material or adhesive
  • the pri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a dispersant, a storage stabilizer, and a moisture absorbent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int and the coating film.
  • additives such as a dispersant, a storage stabilizer, and a moisture absorbent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int and the coating film.
  • the dispersant serves to disperse the pigment in a uniform and stable state in the composition, and a dispersant such as EFKA PU 4061, LUBRIZOL 2063, DISPERBYK-180, DISPERBYK-110, DISPERBYK-2152 may be used, but is limited thereto. no.
  • the moisture absorbent serves to improve workability by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rimer composition.
  • the moisture absorbent may include sodium/calcium aluminosilicate.
  •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 silane polymer. If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oxysilane polymer, the dispersibility, workability, storage stability, etc. of the primer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Adhesiveness, weather resistance, etc. may be deteriorated.
  • Methyl ethyl ketone MEK
  • MMA methyl methacrylate
  • BMA butyl methacrylate
  • GMA glycidyl methacrylate
  • HPPA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 TBPO tert-butyl peroxide
  • a primer (primer) composition prepared on a glass or an adherend coated with hard silicone on the glass surface with a coating area of 25 to 150 mm, and pressurize a urethane sealant and adhesive [KCC, brand name: PU9370-BTX] on it was made into a test piece.
  • the test piece was stored at 20° C. and humidity of 65% RH, and a peel test was performed 7 days after application to observe the state of the adhesive interface.
  •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및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및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라이머 조성물
본 발명은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와 유리창과의 접착에는 접착제가 적용되고 있지만, 접착제만을 사용한 접착으로는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접착제 단독으로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접착면에 미리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그 위에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하고 있다.
기존에 이용되던 프라이머의 주요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이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바인더 성분(조막 성분)에 실란 커플링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카본블랙 등을 배합한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6283호).
그러나 바인더 성분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과 같은 우레탄 수지를 이용할 경우, 프라이머의 품질은 높더라도 내후성이 떨어지고, 작업 공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우레탄 수지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대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프라이머 표면의 활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충분한 부착성을 얻기 위해 다시 도포하는 등 작업성 또는 재작업성이 열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기반의 자동차용 프라이머는 실리콘 하드 코팅된 유리에 대해서는 충분한 부착성을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628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반의 우레탄 접착제용 프라이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후성이 우수하면서도, 가사시간이 길어서 프라이머 도포 후에 저장 안정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특히 자동차용 차체뿐만 아니라 유리에 있어서도 우수한 부착성을 가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및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및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와,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및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프라이머의 부착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프라이머 조성물은 내후성이 우수하면서도, 가사시간이 길어서 프라이머 도포 후에 저장 안정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특히 자동차용 차체뿐만 아니라 유리에 있어서도 부착성(특히, 저온 접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알콕시 실란 폴리머; 아크릴 수지; 및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를 포함한다.
<알콕시 실란 폴리머>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는 프라이머가 소지 또는 접착제(DGU(Direct Glazing Urethane))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는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및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는,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와,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는 말단에 트리알콕시기가 치환된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는 아크릴기, 메르캅토기 및 글리시딜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는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감마-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bis-(gamma-Triethoxysilylpropyl)amine), 또는 비스-(감마-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bis-(gamma-Trimethoxysilylpropyl)amine) 등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는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와 중합 반응하여 알콕시 실란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는 말단에 트리알콕시기가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가 말단에 트리알콕시기가 치환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는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N-beta-(Aminoethyl)-gamma-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세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triaminofucntional sila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는,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와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가 1:1 초과 5:1 이하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지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1 초과 3:1 이하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지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와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의 중량비가 1:1 이하인 경우에는 프라이머와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되며, 5:1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열세해질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700 내지 5,000 g/mol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700 g/mol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00 g/mol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등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점도는 25℃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 10 내지 100 cPs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점도가 10 cPs 미만인 경우에는 미반응 모노머의 함량이 많아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0 cPs 초과인 경우에는 소지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EEW)은 3,000 g/eq. 내지 5,000 g/eq.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이 3,000 g/eq.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00 g/eq.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당량은 JIS K7236에 따라 측정할 수 있고, 과염소산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수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 수지는 프라이머에 부착성과 더불어 점착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를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후성이 특히 우수하며 광택 및 색상 보유력을 개선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상기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5:1 내지 25:1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지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상기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량비가 5:1 미만인 경우에는 내후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25:1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력이 불량해질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 수지는,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특히 프라이머의 부착성 및 점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0일 수 있고, 상기 시클로알킬은 탄소수 3 내지 10일 수 있으며, 상기 비시클로알킬은 탄소수 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말옥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고상의 에폭시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여주고,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글리시딜기가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의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와 반응하여 접착제(DGU)와의 부착 부위(adhesion site)(-OH)를 생성하여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4-(옥시란-2-일메톡시)부틸-2-프로페노에이트(4-(oxiran-2-ylmethoxy)butyl prop-2-enoate(CAS NO 119692-59-0))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접착제(DGU)와의 부착 부위(-OH)를 형성할 수 있어서, 특히 프라이머에 내후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PP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1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량비가 1:1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력이 불량해질 수 있고, 5:1 초과인 경우에는 내후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 미만인 경우에는 소지 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0,000 g/mol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등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점도는 25℃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 50 내지 300 cPs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점도가 5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소지 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300 cPs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저하될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합을 위해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사이드, di-tert-부틸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피발레이트, tert-아밀퍼벤조에이트, tert-아밀퍼옥시아세테이트, di-tert-아밀퍼옥사이드, tert-아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아밀-(2-에틸에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2.2-아조비스 메틸부티로니트릴 등의 일반적인 중합 개시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4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프라이머와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Hydrogenated Rosin)는 프라이머의 긴 가사시간을 확보하고, 저온에서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열 저장성을 개선시키는 점착 부여제로서 역할을 한다.
로진 수지는 소나무 또는 침엽수에서 얻어지는 고체 형태의 수지로서, 휘발성 액상 테르펜(terpene)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해 액상의 수지를 가열하여서 생산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로진 수지는 아비에트산을 주성분으로, 네오아비에트산, 레포피마르산, 하이드로아비에트산, 피마르산, 덱스톤산 등의 수지산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는 로진 수지 중에서도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에는 수소 첨가되지 않은 로진 수지, 예를 들어 로진 수지, 로진 페놀 수지, 검 로진, 우드 로진 등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에는 수소 첨가되지 않은 로진계 수지(로진 수지, 로진 페놀 수지, 검 로진, 우드 로진 등)가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100 ppm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는 수소 첨가된 로진 변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변성 수지는 수소 첨가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수소 첨가된 로진의 메틸 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의 산가는 4 내지 8 mgKOH/g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7 mgKOH/g일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의 산가가 4 mgKOH/g 미만인 경우에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고, 8 mgKOH/g 보다 큰 경우에는 소지 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의 25℃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4,000 내지 6,600 cPs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000 내지 6,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의 점도가 4,0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6,600 cPs 초과인 경우에는 작업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는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의 함량이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프라이머와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저할될수 있고,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는 에폭시 수지는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와 함께 프라이머의 소지 또는 DGU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는 구체적으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긴 가사시간을 확보하고 저온에서의 부착성 개선을 위해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고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고상의 에폭시 수지는 필름 형성(Film formation) 역할을 하고,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고상의 에폭시 수지는 액상의 에폭시 수지에 비하여 에폭시 당량(g/eq.)이 크고, 에폭시 당량이 크다는 것은 분자량이 크다는 것이기 때문에 고상의 에폭시 수지일수록 액상의 에폭시 수지에 비하여 필름 형성에 유리, 즉 소지와의 부착력이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고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에 비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에 긴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저온(80℃ 이하)에서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가 고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900 내지 1,200 g/eq.일 수 있다.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900 g/eq.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1,200 g/eq. 초과인 경우에는 내후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당량은 JIS K7236에 따라 측정할 수 있고, 과염소산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점도는 150℃에서 I.C.I 점도계(I.C.I Cone & Plate Viscometer)로 측정한 값이 3,000 내지 12,000 cPs일 수 있다.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점도가 3,0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12,000 cPs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연화점(softening point: 고상의 에폭시 수지가 열을 흡수하여서 녹아 내리는 온도)은 78 내지 122℃일 수 있다.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연화점이 78℃ 미만인 경우에는 가사시간이 짧아져서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122℃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연화점은 METTLER FP9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상의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서로 다른 2종의 고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당량이 큰 제1 고상의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작은 제2 고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상기 제2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에폭시 수지로, 에폭시 당량이 상대적으로 큰 제1 고상의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고상의 에폭시 수지를 혼용하는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소지 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상의 에폭시 수지는 퓨전 공정(Fusion process)을 이용하여 합성한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로서, 상기 제1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100 내지 1,200 g/eq.일 수 있고, 점도는 150℃에서 I.C.I 점도계(I.C.I Cone & Plate Viscometer)로 측정한 값이 5,000 내지 12,000 cPs일 수 있으며, 연화점(softening point)은 115 내지 122℃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상의 에폭시 수지는 태피 공정(Taffy process)을 이용하여 합성한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로서, 상기 제2 고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900 내지 1,000 g/eq.일 수 있고, 점도는 150℃에서 I.C.I 점도계(I.C.I Cone & Plate Viscometer)로 측정한 값이 3,000 내지 7,000 cPs일 수 있으며, 연화점(softening point)은 99 내지 111℃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가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50 내지 200 g/eq.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150 g/eq.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200 g/eq. 초과인 경우에는 내후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에폭시 수지의 점도는 25℃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 10,000 내지 15,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에폭시 수지의 점도가 10,0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15,000 cPs 초과인 경우에는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이 상기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의 총 중량의 합은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의 총 중량의 합이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안료>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는 안료는 프라이머 조성물에서 프라이머의 색상을 구현하며, 내후성, 분산성 등의 물성을 우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료로는 체질안료, 레드 계열, 황색/오렌지 계열, 블루 계열, 녹색 계열, 블랙 계열, 백색 계열, 펄 및 메탈릭 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료는 예를 들어, 황산바륨(Ba2SO4)(바라이트, barite),·중정석, 탄산칼슘(CaCO3), 클레이(점토, Al2O3·2SiO2·2H2O), 골석분(3MgO·4SiO2·H20), 규석분(SiO2), 규조토(SiO2·nH2O), 실리카, 벤토나이트, 탈크(Talc),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의 체질안료; 산화티탄(예, TiO2), 산화아연(ZnO), 리토폰(Lithopon), 황화아연, 연백(2PbCO3·Pb(OH)2), 산화안티몬(Sb2O3) 등의 백색 안료; 카본블랙(carbon black), 흑연, 철흑(Fe3O4) 등의 흑색 안료; 황연(PbCrO3), 징크크로메이트(Zinc chromate), 카드뮴 옐로(CdS), 리드 시안아미드(PbCN2), 티타늄 옐로(TiO2-NiO-Sb2O3), 스트론튬 옐로(SrCrO4) 등의 황색 안료; 철적(Fe2O3), 연단(Pb3O4), 은주(HgS), 카드뮴 레드(CdS와 HgS와의 혼합결정), 몰리브덴 레드(PbCrO4와 PbMoO4, PbSO4의 혼합결정), 아산화동(Cu2O) 등의 적색 안료; 감청(MFe[Fe(CN)6], M=K, NH4, Na), 군청(2(Al2Na2Si3O10)Na2S4), 코발트 블루(CoO·nAl2O3) 등의 청색 안료; 크롬녹(PbCrO4과 감청 KFe[Fe(CN)6]의 혼합물), 산화크롬(Cr2O3), 수산화크롬(Cr2O3·2H2O) 등의 녹색 안료; 은분(Alluminium powder), 금분(Bronze powder) 등의 금속분말안료; 및 천연 펄 에센스, 합성 펄 안료 등의 펄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색상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본 블랙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프라이머의 은폐성 및 외관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프라이머로서 분산성 및 저장성에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는 용제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도막의 건조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알코올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및 카르보네이트계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톤계 용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스테르계 용제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EA), n-프로필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르보네이트계 용제는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아크릴 수지 또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의 상용성을 위해서 카르보네이트계 용제를 적어도 한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3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20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18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6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 기준으로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안료의 분산성, 저장성이 저하될 수 있고, 30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소지 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 내후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그 외 첨가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도료 및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 저장안정제, 수분흡수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안료를 조성물 내에서 균일하고 안정한 상태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EFKA PU 4061, LUBRIZOL 2063, DISPERBYK-180, DISPERBYK-110, DISPERBYK-2152 등의 분산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안정제는 프라이머의 가사시간을 길게 하여 작업성과 함께 저장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디에틸말로네이트 등의 저장안정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분흡수제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수분 함량을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분흡수제는 소듐/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 기준으로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분산성, 작업성, 저장 안정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제(DGU)와의 부착성, 내후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합성
반응 용기에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beta-aminoethyl) gamma-aminopropyltrimethoxysilane),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MEK),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메탄올을 넣고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20 내지 50 시간 반응시켜 알콕시 실란 폴리머를 합성하였다.
이 때 용제의 양은 반응물 총 중량의 80 중량%를 넘지 않게 조절하였고, 알콕시 실란 폴리머의 에폭시 당량(EEW)는 3,000 내지 5,000 g/eq.이었다.
상기 제조예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 - 아크릴 수지의 합성
메틸에틸케톤(MEK)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PPA), 개시제로 tert-부틸퍼옥사이드(TBPO)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에서 10 내지 15 시간 동안 라디칼 중합 반응시켜 아크릴 수지를 합성하였다.
상기 제조예 2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9>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배합하여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약 400 내지 800 rpm으로 40분간 프리믹싱(premixing) 하였다. 프리믹싱이 끝나면 분산기(ring mill)를 이용하여 약 400 내지 800 rpm으로 70 내지 100분간 분산시켰다. 이 때 내부 온도를 30℃가 넘지 않게 유지하였고, 최종 입도가 10 ㎛ 이하가 될 때까지 분산시켜, 1액형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알콕시 실란 폴리머 N-(beta-aminoethyl) gamma-aminopropyltrimethoxysilane 4.90 4.90 4.90 4.90 4.90 4.90 4.90 4.90 5.90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9.10 9.10 9.10 9.10 9.10 9.10 9.10 9.10 12.5
Methyl ethyl ketone(MEK) 6.71 6.71 6.71 6.71 6.71 6.71 6.71 6.71 6.71
Dimethylcarbonate(DMC) 15.61 15.61 15.61 15.61 15.61 15.61 15.61 15.61 15.61
Methanol 0.90 0.90 0.90 0.90 0.90 0.90 0.90 0.90 0.90
아크릴 수지 Methyl methacrylate(MMA) 2.28 2.28 2.28 2.28 2.28 2.28 2.28 2.28 2.28
Butyl methacrylate(BMA) 1.92 1.92 1.92 1.92 1.92 1.92 1.92 1.92 1.92
Glycidylmethacrylate(GMA)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2-Hydroxy-3-phenoxypropylacrylate(HPPA)(Aronix M5700)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tert-Butyl Peroxide(TBPO) 0.09 0.09 0.09 0.09 0.09 0.09 0.09 0.09 0.09
Methyl ethyl ketone(MEK) 8.49 8.49 8.49 8.49 8.49 8.49 8.49 8.49 8.49
점착 부여제(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 The methyl ester of Hydrogenated rosin(Foralyn 5020-F)(점도: 5,400 cPs, 밀도: 1.03kg/dm3) 7.80 3.90 1.96 1.96 3.90 1.96 15.6 3.91 1.96
에폭시 수지 Bisphenol A epoxy resin 1(고상, 에폭시 당량 1,100-1,200 g/eq.) - - - - 2.76 4.13 - - -
Bisphenol A epoxy resin 2(고상, 에폭시 당량 900-1,000 g/eq.) - - - - 1.14 1.71 - - -
Bisphenol A epoxy resin 3(액상, 에폭시 당량 184-190 g/eq.) - 3.90 5.84 5.84 - - - - -
용제 Ethyl Acetate(EA) 18.00 18.00 18.00 18.00 18.00 18.00 13.00 19.50 19.44
Dimethylcarbonate(DMC) 15.20 15.20 15.20 15.20 15.20 15.20 12.40 17.59 15.20
안료 carbon black(Raven425)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수분흡수제 Baylith L-Powder(zeolite)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0.45
분산제 Hyperbranched Polyester(BYK-2152)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저장안정제 Diethyl malonate(DEM)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배합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알콕시 실란 폴리머 N-(beta-aminoethyl) gamma-aminopropyltrimethoxysilane 4.90 4.90 4.90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9.10 9.10 9.10
Methyl ethyl ketone(MEK) 6.71 6.71 6.71
Dimethylcarbonate(DMC) 15.61 15.61 15.61
Methanol 0.90 0.90 0.90
아크릴 수지 Methyl methacrylate(MMA) 2.28 2.28 2.28
Butyl methacrylate(BMA) 1.92 1.92 1.92
Glycidylmethacrylate(GMA) 0.45 0.45 0.45
2-Hydroxy-3-phenoxypropylacrylate(HPPA)(Aronix M5700) 0.35 0.35 0.35
tert-Butyl Peroxide(TBPO) 0.09 0.09 0.09
Methyl ethyl ketone(MEK) 8.49 8.49 8.49
점착 부여제 Gum Rosin 7.80 - -
Crystalizer - 7.80 -
로진 수지 - - 7.80
용제 Ethyl Acetate(EA) 18.00 18.00 18.00
Dimethylcarbonate(DMC) 15.20 15.20 15.20
안료 carbon black(Raven425) 6.00 6.00 6.00
수분흡수제 Baylith L-Powder(zeolite) 0.45 0.45 0.45
분산제 Hyperbranched Polyester(BYK-2152) 1.25 1.25 1.25
저장안정제 Diethyl malonate(DEM) 0.50 0.50 0.50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프라이머 조성물 및 프라이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내후성 평가
내후성 평가방법은 XENON WEATHER-O-METER(WOM)에서 1,000시간 시편을 폭로하고, 폭로후 외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XENON 시험조건은 MS600-35에 따른다)
○(우수): WOM 폭로 후 외관이 흑색인 것
△(양호): WOM 폭로 후 외관이 흑색에 가까운 것
Х(불량): WOM 폭로 후 외관이 백색에 가까운 것
2) 침강성 평가
카본 블랙의 침강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한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우수): 20℃에서 1주간 정치한 후의 상등액의 도포막이 흑색인 것
△(양호): 20℃에서 1주간 정치한 후의 상등액의 도포막이 흑색에 가까운 것
Х(불량): 20℃에서 1주간 정치한 후의 상등액의 도포막이 흑색이 아닌 것
3) 부착성 평가
유리 또는 유리 표면에 실리콘 경질 피복된 피착체에 조제된 하도제(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 면적 25 내지 150 mm로 하여 도포하고, 그 위에 우레탄 밀봉제와 접착제[KCC, 상품명: PU9370-BTX]를 압착시켜 시험편으로 하였다.
시험편은 20℃ 및 습도 65%RH에서 보존하고, 도포 후 7일이 경과한 때에 박리 시험을 실시하여 접착 계면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우수): 밀봉제 층의 응집 파괴 90% 초과
△(양호): 밀봉제 층의 응집 파괴 30% 이상 90% 이하
Х(불량): 밀봉제-하도제 계면이 파괴, 밀봉제 층의 응집 파괴 30% 미만
4) 가사 부착성 평가
유리 또는 유리 표면에 실리콘 경질 피복된 피착체에 조제된 하도제(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 면적 25 내지 150 mm로 하여 도포하고, 그 시험편은 20℃ 및 습도 65%RH 조건에서 3개월 방치후 그 위에 우레탄 밀봉제와 접착제[KCC, 상품명: PU9370-BTX]를 압착시켜 시험편으로 하였다.
시험편은 20℃ 및 습도 65%RH에서 보존하고, 도포 후 7일이 경과한 때에 박리 시험을 실시하여 접착 계면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우수): 밀봉제 층의 응집 파괴 90% 초과
△(양호): 밀봉제 층의 응집 파괴 30% 이상 90% 이하
Х(불량): 밀봉제-하도제 계면이 파괴, 밀봉제 층의 응집 파괴 30% 미만
5) 저장 안정성 평가
배합 후 60℃에서 10일간 저장한 하도제 조성물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우수): 바닥에 침전물이 5% 이하이고, 겔화가 없는 상태
△(양호): 바닥에 침전물이 5% 초과 10% 미만이고, 겔화가 없는 상태
Х(불량): 겔화가 생기거나 바닥에 침전물이 10% 이상인 상태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내후성
침강성
가사 부착성(glass, 3개월)
부착성(glass)
저장안정성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후성
침강성 × ×
가사 부착성(glass, 3개월) × × ×
부착성(glass) × ×
저장안정성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및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및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
    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는 수소 첨가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는, 상기 트리알콕시실란계 모노머와 상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는 실란계 모노머가 1:1 초과 5:1 이하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지는 알콕시 실란 폴리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되는 단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상기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5:1 내지 25:1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지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 수지는 20 내지 50 중량부,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는 5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프라이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된 로진 수지 및 상기 에폭시 수지의 총 중량의 합은 상기 알콕시 실란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프라이머 조성물.
PCT/KR2020/004172 2019-04-05 2020-03-27 프라이머 조성물 WO20202044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24850.9A CN113631673B (zh) 2019-04-05 2020-03-27 底漆组合物
SG11202110841SA SG11202110841SA (en) 2019-04-05 2020-03-27 Primer composition
EP20783193.4A EP3950864A4 (en) 2019-04-05 2020-03-27 PRIM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96A KR102394273B1 (ko) 2019-04-05 2019-04-05 프라이머 조성물
KR10-2019-0040396 2019-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476A1 true WO2020204476A1 (ko) 2020-10-08

Family

ID=7266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172 WO2020204476A1 (ko) 2019-04-05 2020-03-27 프라이머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50864A4 (ko)
KR (1) KR102394273B1 (ko)
CN (1) CN113631673B (ko)
SG (1) SG11202110841SA (ko)
WO (1) WO2020204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38B1 (ko) * 2022-02-27 2022-07-14 김점식 고탄성 나노 퍼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830A (en) * 1984-01-12 1988-04-05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Glass primer
KR20020007345A (ko) * 2000-01-28 2002-01-26 하기와라 세이지 하도제 조성물
US20040176518A1 (en) * 2001-06-08 2004-09-09 Toshihiko Okamoto Pri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bonding therewith
KR20090066283A (ko) 2006-10-05 2009-06-2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유리 접합용 접합제
US20130052460A1 (en) * 2010-05-17 2013-02-28 Nitto Denko Corporation Primer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50123261A (ko) * 2013-03-08 2015-11-03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수계 프라이머 및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8406A1 (de) * 1984-05-17 1985-11-21 Wacker-Chemie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zum verstaerken des haftens von elastomer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beschichtungen
WO2008134111A1 (en) * 2007-04-24 2008-11-0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mproved primer adhesion promoters,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321864B1 (ko) * 2011-01-05 2013-10-28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1액형 유리용 도료 조성물
JP6106232B2 (ja) * 2015-09-07 2017-03-29 日東電工株式会社 グラファイトシート用粘着シート
EP3385345B1 (en) * 2015-11-30 2023-05-31 Chugoku Marine Paints, Ltd.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antifouling coating film, antifouling b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ifouling ba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830A (en) * 1984-01-12 1988-04-05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Glass primer
KR20020007345A (ko) * 2000-01-28 2002-01-26 하기와라 세이지 하도제 조성물
US20040176518A1 (en) * 2001-06-08 2004-09-09 Toshihiko Okamoto Pri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bonding therewith
KR20090066283A (ko) 2006-10-05 2009-06-2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유리 접합용 접합제
US20130052460A1 (en) * 2010-05-17 2013-02-28 Nitto Denko Corporation Primer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50123261A (ko) * 2013-03-08 2015-11-03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수계 프라이머 및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S , no. 119692-59-0
See also references of EP3950864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0864A1 (en) 2022-02-09
EP3950864A4 (en) 2022-06-01
KR20200117768A (ko) 2020-10-14
CN113631673A (zh) 2021-11-09
CN113631673B (zh) 2022-09-23
SG11202110841SA (en) 2021-10-28
KR102394273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507B1 (ko) 도로표지용 속건성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19945B1 (ko) 하도제 조성물
WO2020204476A1 (ko) 프라이머 조성물
KR102419825B1 (ko) 도료 조성물
KR101800969B1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CN116445036B (zh) Uv固化喷墨打印绝缘墨水及uv固化涂层
CN112480831A (zh) 一种uv固化热熔丙烯酸酯压敏胶及其制备的电工胶带
KR102311358B1 (ko) 프라이머 조성물
CA2990044A1 (en) Polyamide compositions for sealants and high solids paints
WO2021172733A1 (ko) 유리 접착제용 프라이머 조성물
CN112521868B (zh) 一种uv固化热熔橡胶压敏胶及其制备的电工胶带
JP5606146B2 (ja) 硬化性組成物
WO2022211400A1 (ko) 저온 경화성 일액형 클리어 도료 조성물
WO2022158755A1 (ko) 유리 접착제용 프라이머 조성물
WO2021177586A1 (ko) 유리 접착제용 프라이머 조성물
WO2021045363A2 (ko) 분체도료 조성물
WO2024025185A1 (ko) 유리 접착제용 프라이머 조성물
JP4577818B2 (ja) 水性塗料組成物
WO2021066369A1 (ko) 유리 접착제용 프라이머 조성물
US7070713B2 (en) Moisture activated single-component ebonite composition
JP5132512B2 (ja) 水性有機無機塗料組成物
JP2004300196A (ja) 水性塗料組成物
WO2023101086A1 (ko) 안료를 포함하는 저경도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WO2020159258A2 (ko) 중도용 도료 조성물
CN117887400A (zh) 一种硅烷封端的聚合物基胶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831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831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