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9588A1 -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9588A1
WO2020149588A1 PCT/KR2020/000562 KR2020000562W WO2020149588A1 WO 2020149588 A1 WO2020149588 A1 WO 2020149588A1 KR 2020000562 W KR2020000562 W KR 2020000562W WO 2020149588 A1 WO2020149588 A1 WO 20201495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electronic device
slit
groun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05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남석
심민규
김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21,04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65812B2/en
Publication of WO20201495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95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24Patterned shielding plane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s
    • H05K1/0227Split or nearly split shielding or ground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28Compensation of cross-talk by a mutually correlated lay-out of printed circuit traces, e.g. for compensation of cross-talk in mounted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Definitions

  • a large number of capacitors are used, or a noise transmission value is reduced or a low frequency band is used. It is designed by physically completely separating the areas where there are many ICs or parts and where there are many ICs using high frequency bands.
  •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blocking low-frequency noise by applying a slit around a receiver or speaker of an electronic device.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l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ground bridge structur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ariable width structure in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may be dispos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300 to be connected to the side bezel structure 3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bezel structure 310.
  •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nd/or a non-metal (eg, polymer) material.
  • the first support member 311, the display 330 is coupled to one surfac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4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 the printed circuit board 340 may be equipped with a processor, memory, and/or interface.
  • the processor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application processor, a graphic processing unit,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 the battery 350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cell, a rechargeable secondary cell, or a fuel cell. .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350 may be disposed on, for example,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340. The battery 350 may be integrally dispos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300 or may be detachably dispos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300.
  • 4A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quired return current path forms a Gaussian distribution, most of which is a high-speed signal line.
  • the ground bridge structure 70 may be located directly above or below (620).
  • the slit (eg, the slit 412 shown in FIG. 4 or the slit 512 shown in FIG. 5) is the first and second areas (eg, the first and second areas shown in FIG. 4A) (a1,a2)).
  • the slits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 the noise generato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 및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위로 또는 아래로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다층 적층 구조의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조에서, 전원과 그라운드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대역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캐패시터(Capacitor)를 다수 이용하거나, 노이즈 전달 값을 줄이거나, 또는 저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IC 또는 부품들이 많은 영역과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IC들이 많은 곳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하여 설계하였다.
하지만, 전원과 그라운드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대역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다수의 캐피시터를 사용할 경우, 전원과 그라운드가 형성하는 PDN(Power Delivery Network)에 고용량의 캐패시터가 다수 배치되어야 하며, 이럴 경우 고용량 캐패시터의 물리적인 사이즈로 인해 가용 실장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실장용 Chip Capacitor Array로는 DC~kHz에 이르는 대역의 전원/그라운드 노이즈의 차단은 불가능 하였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을 공간적으로 완전히 분리하였으나, 최근 경박 단소한 전자 장치에서는 매우 좁은 실장영역 때문에 저주파 대역에 해당하는 배터리 전원과, 기타 IC들과 고주파에 해당하는 RF신호, 고속전송신호(USB3.0, UFS, MIPI 등)의 신호 라인들이 필연적으로 함께 배치되어야 함으로서, 완전한 영역분리는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부분적인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분리를 실시할 경우, 이 부근에는 고속 신호를 배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부품이나, 노이즈가 민감한 부품 주변 영역에, 저주파 대역에서 그라운드를 분리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이로 말미암아 발생할 수 있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및 가변폭 구조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들 중, 음향 부품이 배치된 제1영역 주변에 형성되어, 저주파 대역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 및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위로 또는 아래로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 및 상기 제1회로기판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각각의 고속 신호 라인의 리턴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전자 장치의 리시버나 스피커 주변에 슬릿을 적용하면, 저주파 대역 노이즈 차단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전자 장치의 리시버나 스피커 및 카메라 모듈 사이에 슬릿과 브릿지 구조를 적용하면, 저주파 대역 노이즈 감소에 효과적이면서 고주파 대역의 신호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P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가변폭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에 형성된 가변폭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서, 슬릿 유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유무 및 가변폭 구조 유무에 따른 측정치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서, 슬릿 유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유무에 따른 측정치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 1 면(또는 전면)(110A), 제 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 1 면(110A) 및 제 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 1 면(110A), 제 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제 1 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 1 영역(1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 2 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 2 영역(110E)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1 영역(110D)들(또는 상기 제 2 영역(110E)들)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10D)들 또는 제 2 영역(1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110D)들 또는 제 2 영역(110E)들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110D)들 또는 제 2 영역(110E)들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104, 116, 119), 카메라 모듈(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발광 소자(106),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발광 소자(1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110A), 및 상기 측면(110C)의 제 1 영역(110D)들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지문 센서(116),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110D)들,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1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 116,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6,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 2 면(1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119)(예: HRM 센서) 및/또는 제 4 센서 모듈(116) (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 1면(110A)(예: 디스플레이(101)뿐만 아니라 제 2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105), 및 제 2 면(1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들(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110)의 제 2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측면 베젤 구조(310), 제 1 지지부재(311)(예 :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32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배터리(350), 제 2 지지부재(360)(예 :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 1 지지부재(311), 또는 제 2 지지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 1 지지부재(3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3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 도 1,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41)(예 ;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340))은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1)은 저주파 대역의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하여 슬릿(41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412)은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을 횡단하는 개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412)은 인쇄회로기판(41)의 제1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접지면(412)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면(412)은 도전층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412)은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최단 거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P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가변폭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b, 도 4c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41)은 접지면(4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412)을 횡단하는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51,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51,52)는 인쇄회로기판(41)의 위나 아래에 배치된 다른 인쇄회로기판(41)에 형성된 고속 신호의 리턴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브릿지(51,52)는 접지 구조로서, 슬릿(412)에 의해 분할된 접지면(412)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도전 구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412)은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51,52)에 의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릿(412)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51)은 제1영역(예 ; 도 4a에 도시된 제1영역(a1))에 배치된 제1부품(R)과, 제2영역(예 ; 도 4a에 도시된 제2영역(a2))에 배치된 제2부품(C) 사이를 횡단하는 슬릿(5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부품(R)은 음향 부품일 수 있고, 제2부품(C)은 광학 부품일 수 있다. 제1부품(R)은 리시버(예 ;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모듈(114))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부품(C)은 카메라 모듈(예 ;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나 스피커는 전자 장치의 전면 플레이트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후면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슬릿(512)은 제1,2부품 사이의 최단 거리를 횡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512)은 제1부품(R) 주변이나 제2부품(C) 주변 또는 제1,2부품(R,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6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60)은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612) 및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가 형성된 제1회로 기판(6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속 신호 라인(620)이 형성된 제2회로 기판(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60)은 저주파 대역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슬릿(612)이 형성되고, 슬릿(612)의 위 또는 아래로 고속 신호 라인(620)들이 지나갈 경우, 고속 신호의 리턴 전류 경로(Return Current Path)를 위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가 존재할 수 있다.
저주파 대역(DC포함)의 노이즈의 차단을 위해서는 저주파 대역의 전류를 감소시켜야 한다. 고속 신호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경우는 직접적인 저항을 붙여서 줄일 수 있지만, 전원과 그라운드로 인해서 형성되는 루프(Loop)에 의한 전류는 슬릿(612)을 생성시켜서 기존보다 저주파 대역의 전류 경로(Current Path)를 길게 만들어서 저항(Resistance)의 증가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의 감소가 발생하여 이로 말미암은 H-Field의 감소도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슬릿이 있는 회로 기판에 고속 신호의 리턴 전류 경로가 없을 경우, 고속 신호 배선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제1회로 기판(61)은 슬릿(612) 양단 간에 최소의 선 폭으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ground bridge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로 기판(62)에 형성된 고속 신호 라인(620)의 경우, 필요한 리턴 전류 경로(Return Current Path)는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를 형성하기에, 대부분은 고속 신호 라인(620) 바로 위나 밑에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가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로 기판(61)에 형성된 슬릿(412)은 노이즈 민감 부품이나 노이즈 발생 부품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 민감 부품은 리시버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노이즈 발생 부품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릿(612)은 음향 부품이나, 음향 부품과 이격된 광학 부품 주변 또는 근접 거리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612)은 제1회로 기판(61)의 음향 부품(예 ; 도 5에 도시된 음향 부품(R))이 배치된 제1영역(예 ; 도 4a에 도시된 제1영역(a1))과, 광학 부품(예 ; 도 5에 도시된 광학 부품(C)이 배치된 제2영역(예 ; 도 4a에 도시된 제2영역(a2)) 사이의 최단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412)은 최소의 선 폭으로(신호 라인의 선폭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로 기판(61)은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는 서로 평행하며, 슬릿(612)의 양측을 횡단하며, 슬릿(612)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릿으로 분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는 전기적 연결 통로로서, 도전 구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는 가변폭 구조(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예에 따르면,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는 가변 폭 구조(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폭 구조(72)는 양단 폭(t1)에 비해서 중간 부분의 폭(t2)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저주파 대역에서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DC에서의 저항 값을 크게 해주어야 한다. 매우 짧은 구간에서만 매우 큰 저항 값만 가져도 전체 전류의 감소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의 일부 짧은 구간에서 선 폭을 줄여서 DC에서의 저항을 키워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로 기판(6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속 신호 라인(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회로 기판(62)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속 신호 라인(620)이 인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로 기판(61) 위에서 봤을 경우, 각각의 고속 신호 라인(620)은 그라운드 브릿지(700)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는 각각의 고속 신호 라인(620)의 리턴 전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700)의 폭은 각각의 고속 신호 라인(620)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그라운드 브릿지(700) 구조(50)에 형성된 가변 폭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폭 구조(91)는 양측 폭(t1)에 비해서 중간 지점(P1) 폭(t2)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양측 폭(t1)은 중간 지점(P1)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폭 구조(92)는 양측 폭(t1)에 비해서 중간 부분(P2) 폭(t2)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양측 폭(t1)에서 중간 부분 폭(t2) 사이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폭 구조(93)는 양측 폭(t1)에 비해서 중간점(P3) 에서의 폭(t2)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양측 폭(t2)은 중간점(P3)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서, 슬릿 유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유무 및 가변폭 구조 유무에 따른 측정치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 예 ; 도 4a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41))은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이 있을 경우와, 슬릿에 형성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및 그라우드 브릿지 구조에 형성된 가변 폭 구조(예 ; 도 6에 도시된 가변폭 구조(72))에 의해 저주파 대역 노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예 ; 도 4a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41))에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이 없을 경우(a)와, 인쇄회로기판에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이 있을 경우(b)와, 인쇄회로기판에 슬릿과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및 가변폭 구조(예 ; 도 6에 도시된 가변폭 구조(72))가 점(point)으로 형성될 경우(c)와, 인쇄회로기판에 슬릿과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폭이 10μm) 및 가변폭 구조가 형성된 경우(d)와, 인쇄회로 기판에 슬릿과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폭이 30μm) 및 가변폭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e), 측정된 값을 보면 다음과 같다.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이 없을 경우(a)에 비해서,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을 형성할 경우(b)에 대략적으로 저주파 노이즈가 1/4로 감소(20.49A/m→4.85A/m)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슬릿이 없을 경우(a)(20.49A/m)에 비해서,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과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및 가변폭 구조(예 ; 도 6에 도시된 가변폭 구조(72))가 있을 경우(c,d)(20.49A/m→9.39A/m,9.46A/m)에 대략적으로 저주파 노이즈가 1/2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서, 슬릿 유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유무에 따른 측정치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예 ; 도 4a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41))은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이 없을 경우(①)보다 슬릿(예 ; 도 4a에 도시된 슬릿(412))이 있을 경우(②)에 저주파 대역 노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슬릿과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를 구비할 경우(③), 고속 신호의 리턴 전류 경로를 확보함으로서, 고속 신호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예;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34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들 중, 음향 부품(예; 도 5에 도시된 음향 부품(R))이 배치된 제1영역(예; 도 4a에 도시된 제1영역(a1)) 주변에 형성되어, 저주파 대역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이 형성된 회로 기판(예; 도 4에 도시된 회로기판(41) 또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기판(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예; 도 4에 도시된 회로기판(41) 또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기판(51))은 상기 음향 부품(예; 도 5에 도시된 음향 부품(R))과 이격된 광학 부품(예; 도 5에 도시된 광학 부품(C))이 배치된 제2영역(예; 도 4b에 도시된 제2영역(a2))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1,2영역 사이를 횡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부품(예; 도 5에 도시된 음향 부품(R))은 리시버이고, 상기 광학 부품(예; 도 5에 도시된 광학 부품(C))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은 상기 제1,2영역(예; 도 4a에 도시된 제1,2영역(a1,a2)) 사이의 최단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예; 도 6에 도시된 접지면(610))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과,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를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예; 도 4에 도시된 회로기판(41) 또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기판(51) 또는 도 6에 도시된 회로 기판(61)); 및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위로 또는 아래로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예; 도 6에 도시된 고속 신호 라인(620))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예; 도 6에 도시된 제2회로 기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로 기판(예; 도 4에 도시된 회로기판(41) 또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기판(51) 또는 도 6에 도시된 회로 기판(61)) 위에서 봤을 경우,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와 상기 신호 라인(예; 도 6에 도시된 고속 신호 라인(620))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의 폭과 상기 신호 라인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은 상기 제1회로 기판(예; 도 4에 도시된 회로기판(41) 또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기판(51) 또는 도 6에 도시된 회로 기판(61))에 배치된 음향 부품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는 가변 폭 구조(예; 도 6에 도시된 가변 폭 구조(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폭 구조(예; 도 6에 도시된 가변 폭 구조(72))는 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간 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은 노이즈 발생원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발생원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예; 도 4에 도시된 슬릿(412) 또는 도 5에 도시된 슬릿(512))을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예; 도 4에 도시된 회로기판(41) 또는 도 5에 도시된 회로 기판(51) 또는 도 6에 도시된 회로 기판(61)); 및 상기 제1회로기판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예; 도 6에 도시된 고속 신호 라인(620))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예; 도 6에 도시된 제2회로 기판(62))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 기판은 상기 각각의 고속 신호 라인의 리턴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예; 도 4b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50))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70))는 가변 폭 구조(예; 도 6에 도시된 가변 폭 구조(72))를 포함하고, 가변 폭 구조(예; 도 6에 도시된 가변 폭 구조(72))는 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간 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판들 중,
    음향 부품이 배치된 제1영역 주변에 형성되어, 저주파 대역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음향 부품과 이격된 광학 부품이 배치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1,2영역 사이를 횡단하게 형성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부품은 리시버이고, 상기 광학 부품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2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6.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 및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 위로 또는 아래로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 기판 위에서 봤을 경우,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와 상기 신호 라인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의 폭과 상기 신호 라인의 폭은 동일한 전자 장치.
  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회로 기판에 배치된 음향 부품 주변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는 가변 폭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폭 구조는 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간 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노이즈 발생원 주변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발생원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기판들의 적층 구조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층된 기판들 중,
    적어도 일부면에 형성된 접지면과, 상기 접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제1회로 기판; 및
    상기 제1회로기판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 기판은
    상기 각각의 고속 신호 라인의 리턴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슬릿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그라운드 브릿지 구조는 가변 폭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폭 구조는 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간 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0562 2019-01-14 2020-01-13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495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1,043 US11765812B2 (en) 2019-01-14 2020-01-13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with sl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62A KR20200088048A (ko) 2019-01-14 2019-01-14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04562 2019-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88A1 true WO2020149588A1 (ko) 2020-07-23

Family

ID=7161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0562 WO2020149588A1 (ko) 2019-01-14 2020-01-13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65812B2 (ko)
KR (1) KR20200088048A (ko)
WO (1) WO2020149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482B1 (ko) * 2018-07-26 2023-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배선에서 발생된 전자기파를 상쇄하기 위한 접지 배선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25372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0298A (ja) * 2008-08-22 2010-03-04 Canon Inc プリント回路板
US20160133532A1 (en) * 2013-07-18 2016-05-1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d circuit board
JP2016076540A (ja) * 2014-10-03 2016-05-12 沖プリンテッドサーキット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18101682A (ja) * 2016-12-20 2018-06-28 オンキヨー株式会社 多層基板
WO2018128120A1 (ja) * 2017-01-06 2018-07-1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4912A1 (en) 2004-03-17 2005-10-13 Rogers Shawn D Circuit and method for enhanced low frequency switching noise suppression i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using a chip capacitor lattice
US8927879B2 (en) 2010-11-22 2015-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osstalk reduction between signal layers in a multilayered package by variable-width mesh plane structures
CN102687600B (zh) 2010-12-03 2014-04-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线路
TWI423746B (zh) * 2011-04-08 2014-01-11 Altek Corp 影像擷取裝置之電路佈局
JP5751343B2 (ja) 2011-12-02 2015-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の製造方法
JP5794218B2 (ja) * 2012-02-14 2015-10-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9502773B2 (en) * 2015-03-24 2016-11-22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26067B2 (ja) 2015-08-06 2018-11-21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26665A1 (en) * 2016-03-31 2017-10-04 Thomson Licensing Tunable slot resonator etched at the edge of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332463B1 (ko) * 2017-03-15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릿 구조를 갖는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0298A (ja) * 2008-08-22 2010-03-04 Canon Inc プリント回路板
US20160133532A1 (en) * 2013-07-18 2016-05-1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d circuit board
JP2016076540A (ja) * 2014-10-03 2016-05-12 沖プリンテッドサーキット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18101682A (ja) * 2016-12-20 2018-06-28 オンキヨー株式会社 多層基板
WO2018128120A1 (ja) * 2017-01-06 2018-07-1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48A (ko) 2020-07-22
US11765812B2 (en) 2023-09-19
US20220061151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71477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O202020436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O202106067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WO2020171452A1 (en) Stack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using interpos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15392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ir vent
WO202103391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WO202109110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WO202101542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hielding sheet and a heat radiation member
WO202011675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WO2021015438A1 (ko)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49588A1 (ko)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30445A1 (en) Decoration fil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02530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WO2020145648A1 (en)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189883A1 (ko)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72719A1 (ko)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622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shielding structure
WO202111251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eliminating parasitic emission
WO2020085719A1 (ko) 관통 배선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측면에 도전성 부재가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06112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WO2020060001A1 (ko) 미세 패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72739A1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5640A1 (ko) 차폐 커넥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226365A1 (en) Wide-ban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3249193A1 (ko)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413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413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