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5619A1 -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5619A1
WO2020085619A1 PCT/KR2019/009111 KR2019009111W WO2020085619A1 WO 2020085619 A1 WO2020085619 A1 WO 2020085619A1 KR 2019009111 W KR2019009111 W KR 2019009111W WO 2020085619 A1 WO2020085619 A1 WO 20200856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test piece
peel strength
magnetic body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1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왕연경
박찬우
곽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9876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3724A4/en
Priority to US16/959,664 priority patent/US11808693B2/en
Priority to CN201980005844.6A priority patent/CN111433588B/zh
Publication of WO20200856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56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5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91Peeling or tea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a battery component using an electromagnet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a battery component using the electromagnet, specificall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a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o peel off the edge of a battery component composed of several layers. It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strength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peeling strength of edge edges of battery parts using the same.
  • ITO films are also attached to glass substrates used in displays, and decoration films are also attached to windows to realize a special pattern design.
  • the methods for measuring the adhesion between each layer are a pull test, a peel test, and a crack growth method through four point bending.
  • pull test a fixed area of the stud is fixed to the thin film surface with an adhesive, and the interfacial adhesion is measured by pulling the rod vertically.
  • Peel test is a method of applying a separation load directly to an interface by measuring the interface adhesion while tearing the thin film with an adhesive tape or pulling the thin film itself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to separate the interface.
  • the crack growth method using four-point bending is to form a crack in a thin film and then to bend four-point stably to grow the crack, and interfacial adhesion can be measured us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crack.
  • Patent Literature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84723 (2011.07.26), hereinafter Patent Literature 1 induces a peeling phenomenon on a test tape of a thin film adhered to a test plate and bonds it by force. Alternatively, the peel force is to be measured, and the test tape must be pulled vertically in order to continue to tear it off the test plate. At this time, when the test tape of the thin film does not have sufficient strength,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earing or deformation in the gripping area of the test tape before interfacial delamination occurs. In order to measure the peel strength of the correct interface,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repeated experiments. 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have a limitation of measuring only the peeling force in the middle of the measuring surface.
  •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258073 (2013.04.19), hereinafter Patent Document 2) is a test articl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deposited on the top of the substrate, after the crack is formed on the substrate, cracked
  • the load value and the displacement measured by the load cell are fixed by horizontally fixing one side of the substrate to the fixed end, horizontally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cracked substrate to the mobile end, and moving the mobile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 interface separation device through induction of a substrate crack that measures an interface adhesive force between the thin film and the substrate using a vertical transfer displacement value measured by a measuring means.
  • the device is applicable to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thin film and a rigid substrate are combin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trate is damaged because the rigid substrate must be cracked.
  • the first defect of the product due to peeling is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weakest end.
  • Conventional devices still need to fix the ends of the sample and the measuring device for measurement, and still do not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accurately provide the adhesion of the edge of the edg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actual product desig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peel strength at any desired position by directly applying a load to a desired portion for measuring peel strength, and to provide a method for measuring peel strength using the same. Is done.
  • the test piec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test piece consisting of at least two or more layers; A magnetic body attach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xed test piece; An electromagnet that adds magnetic force to the magnetic body; A current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so that the electromagnet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it may include a curren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from the power supply.
  • the test piece fixing part may include a plate on which the test piece is plac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est piece.
  • the plate may be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
  • the plate may be formed with a perforation in the center.
  •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test piece should be greater than the peel strength of the test piece. It is a principl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ind that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electromagnet and the magnetic body is equal to the peel strength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
  • the magnetic body When the magnetic body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st piece, it may have a weight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degree capable of peeling the test piece.
  • the attra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magnetic body When the attra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and the magnetic body is lower than the peel strength by lowering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 peeling occurs and the peel strength can be measured.
  • the magnetic material is a paramagnetic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the magnetic material is a form in which the surface attached to the surface to which the test piece is peeled can be minimized.
  •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in the form of a rod, a column, a ball, or an array of a plurality of cylinders.
  • the electromagnet may generate a magnetic field in which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of magnetic force lines exerted on the magnetic body are substantially parallel.
  •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a test piece using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the electromagnet may include steps 1) to 4) as follows.
  • Step 3)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2).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the end of the test piece using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est piece using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art for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est piece using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est piece peeled while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the end of the test piece using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the end of the test piece using a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easuring the peel strength in the middle of the test piece using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peel strength using an electromagnet, wherei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peel strength includes a test piece fixing part, a magnetic body, an electromagnet, a power supply part, and a current control part.
  • Step 3)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2).
  •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peel strength attaches a magnetic bod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st piece to measure the peel strength, and places an electromagnet on the opposite side (upper surface of the test piece) of the magnetic body based on the test piece.
  • the test piece is peeled off by the weight of the magnetic body.
  • the peel strength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t the point where peeling of the test piece begins.
  • a magnetic body is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est piece to measure the peel strength, and an electromagnet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est piece.
  • an electromagnet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est piece.
  • the peel strength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t the point where peeling of the test piece begins.
  • the specimen itself must be supported by the specimen fixing part so that it cannot be heard.
  • an electromagnet may be placed on the same surface as another method (3rd method) capable of measuring peel strength.
  • 3rd method another method capable of measuring peel strength.
  • magnetic materials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est piece, and an electromagnet is disposed around each magnetic material.
  • the test piece means a laminat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layers are adhered.
  • the test piece is a unit cell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laminated, and the separator includes a porous substrate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electrode, an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the electrode and An inorganic coating part is formed on the contacting part, and an adhesive par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organic coating part not contacting the electrode.
  • the test piece may be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stacked, or the test piece may be a separator itself composed of multiple layers, and any of parts composed of multiple layers among battery parts may be used.
  • the magnetic material is paramagnetic or ferromagnetic.
  • the paramagnetic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a very small magnetic field and includes aluminum, copper, magnesium, tungsten, platinum, gold, tin, manganese, and alloys thereof. When a magnet is approached to a paramagnetic material, it pulls very weakly and the total magnetic field increases, but since the magnetic field is very small, there is little effect.
  • the ferromagnetic material is a magnetic material having strong magnetic properties such as sticking to a magnet, and there are rare earth materials such as iron, cobalt, nickel and its alloys, and neodymium and gadolinium.
  • rare earth materials such as iron, cobalt, nickel and its alloys, and neodymium and gadolinium.
  • each atom acts as a magnet, and these atoms are not arranged as a magnet because they are irregularly arranged in the absence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 Metal oxides such as iron oxide, chromium oxide, and ferrite may also have ferromagnetic properties.
  • ferromagnetic alloys are used as permanent magnets.
  • the magnetic body When the magnetic body is fixed on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st piece, it has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tent to which it can be peeled off. This is a condition required when peeling a test piece using gravity, and when peeling using a magnetic force of an electromagnet and a magnetic body, this condition is not necessary.
  • the adhesion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magnetic body is made by an adhesive,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adhesive, but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test piece should be greater than the peel strength of the test piece.
  • the magnetic body is a form in which the surface attached to the surface to which the test piece is peeled can be minimized.
  • the magnetic body is in the form of a rod, a cylinder, an array of beads, and a plurality of cylinders.
  • the electromagnet may generate a magnetic field hav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ic propertie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magnetic force line applied to the magnetic body.
  • the magnetic force line is not a parallel line, it may be possible to pre-measure the force associated with this, but in order to obtain a high-consistency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wide so that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can form a balanced magnetic field.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peel strength measurement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test piece fixing part 110 and the electromagnet 120 are fixed to the support part 130.
  • the support part is made of a base member 131, a vertical frame 132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member 131, and the test piece fixing part 110 on the vertical frame 132 to be movable up and down. 1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133,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member 134, and the electromagnet 120 is fixed to the electromagnet 120 is movably connected up and down on the vertical frame 132 It includes a position adjustment member 135.
  • the test piece fixing part 110 includes a plate 111 on which the test piece 160 is placed and a fixing member 112 for fixing the test piece 160 to the plate 111.
  • the test piece 150 is a laminate composed of a first layer 151 and a second layer 152.
  • the plate 11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13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member 131.
  • the plate 111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in the z direction by the first height adjustment member 133.
  • the plate 111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nar structur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est piece 160.
  • the plate 111 is formed with a perforated portion 113 in the center.
  • the test piece 16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1 by a fixing member 112.
  • the fixing member 1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test piece 160 to a plate 111 such as a clip, tong, or pin.
  • a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st piece 160, that is, the second layer 152, and a magnetic force is added to the magnetic body 140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140 based on the test piece 160.
  • the electromagnet 120 is disposed.
  • the electromagnet 120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132 and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late 111.
  • the electromagnet 120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in the z direction by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member 134 on the vertical frame 132.
  •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member 134 is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120 by the position adjustment member 135.
  • the electromagnet 12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50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magnet 120 so as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And a current control unit 151 that controls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electromagnet 120.
  • the electromagnet 120 can be positioned in the x-direction as the length of the positioning member 122 is adjusted, and may be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magnetic body 120 attached to the test piece 160.
  • the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a portion to measure the peel strength of the test piece 160, and the electromagnet 120 is dispos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magnetic body 140.
  • the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test piece 160.
  • one end of the test piece 160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11, and the other end of the test piece 160 is fixed to the plate by a fixing member 112.
  • the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st piece 16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late 111, and the positioning member 135 is adjusted so that the electromagnet 120 and the magnetic body 140 line up in the z direction. Sort it to be.
  • the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test piece 160.
  • the test piece 16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111.
  • the test piece 16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113, the edge of the test piece 160 is fixed to the plate 111 by a fixing member 112.
  • the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est piece 160.
  • FIG. 4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test piece is peeled by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a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second layer 162 of the test piece, and the electromagnet 120 is positioned on the magnetic body 140.
  • the electromagnet 120 is arranged to be aligned with the magnetic body 140 in the z direc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135.
  • the peeling strength of the test piece 160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t the point where peeling of the test piece starts.
  • the magnetic body 14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st piece 160, and by adjust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the test piece is peeled to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ic body.
  • the peel strength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t the point where peeling of the test piece begins. However, at this time, the specimen itself must be supported by the specimen fixing part so that it cannot be heard.
  •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peel strength measurement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200 includes a support 230, a test piece fixing part 210, an upper magnetic body 241, a lower magnetic body 242, an upper electromagnet 221, and a lower electromagnet ( 222), a power supply unit 250 and a current control unit 251.
  • test piece fixing part and the electromagnet are fixed to the supporting part.
  • the support part is a base member 211, a first vertical frame 236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member 211, and the test piece fixing part 210 on the first vertical frame 236 is movable up and down
  • the first height adjustment member 233 is fixed
  • the second vertical frame 237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member 231, the electromagnet 221, 222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237 is up and down
  • It includes a second height adjustment member 234 that is fixed to be movable to, and a position adjustment member 235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magnet (221, 222).
  • the first vertical frame 236 is independentl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vertical frame 237 by a certain distance on the base member 231.
  • the test piece fixing part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236 by a first height adjusting member 233, and the electromagnets 221 and 222 are second height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37. It is connected by the adjustment member 234.
  • the first height adjustment member 233 and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member 234 are both height adjustable in the z direction.
  • the test piece fixing part 210 includes a plate 211 on which the test piece 260 is placed and a fixing member 212 for fixing the test piece 260 to the plate 211.
  • the upper electromagnet 221 and the lower electromagnet 222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test piece fixing portion 210, respectively.
  • the upper electromagnet 221 and the lower electromagnet 222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50 that supplies power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And a current control unit 251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from the power supply unit 250.
  • the upper magnetic body 241 is attached to the first layer 261 of the test piece 260, and the lower magnetic body 242 is attached to the second layer 262 of the test piece 260, respectively.
  • the magnetic body 240 is attached to a portion to measure the peel strength of the test piece 260, and the electromagnet 220 is dispos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magnetic body 240.
  • a magnetic body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test piece.
  • one end of the test piece 260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211, and the other end of the test piece 260 is fixed to the plate 211 by a fixing member 212.
  • the upper magnetic body 24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test piece 26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late 211, and the lower magnetic body 24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edge of the test piece 260.
  • a magnetic body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test piece.
  • the test piece 26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211.
  • the test piece 26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213, the edge of the test piece 260 is fixed to the plate 211 by the fixing member 212.
  • the upper magnetic body 24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est piece 260, and the lower magnetic body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est piece 260.
  • the upper electromagnet 221 is disposed above the upper magnetic body 241, and the lower electromagnet 222 is disposed below the lower magnetic body 242.
  • the electromagnet 220 is align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magnetic body 240 in the z direc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 a constant current is supplied to the upper electromagnet 221 and the lower electromagnet 222 to support the test piece 260 and the magnetic body 240 to be parallel to the plate 211.
  • a constant current is supplied to the upper electromagnet 221 to support the upper magnetic body 241 attached to the test piece 260, and the current strength of the lower electromagnet 222 is gradually increased to increase the lower magnetic body 242.
  • the test piece 260 is peeled off by pu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lectromagnet 222.
  • test piece 260 may be peeled 180 degrees.
  • the peeling strength of the test piece 260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when the test piece 260 is peeled off.
  • Conventional adhesive force measuring device is a test table to be attached to a test tape, a column arranged vertically on the test table, a platform fixed to be movable on the column and vertical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test table, the bottom of the platform It includes a chuck to fix the end of the test tape to be fixed to.
  • the adhesion test apparatus measures the adhesion by continuously peeling the test tape vertically as the chuck rises as the platform is raised.
  • the apparatus and method have a limitation of measuring only the peeling force in the middle of the measuring surface.
  • the peel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does not employ a peel test method through gripping,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test piece. Peel strength can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시험편이 고정되는 시험편 고정부; 시험편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자기력을 부가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본 출원은 2018년 10월 26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18-0128606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방법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여러 층으로 구성된 전지부품의 끝부분 모서리의 박리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지부품의 끝부분 모서리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자 부품이 얇은 복수의 층을 적층한 후 이를 고정 또는 접착하여 제조된다.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위에 ITO 필름을 붙이기도 하며, 윈도우에 특수한 패턴의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부착하기도 한다.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부품의 경우, 각 층 사이의 접착력이 약할 경우 성능 확보 및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접착력이 약할 경우 외관 불량 또는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 등에 함침 시 테이프가 탈착되어 전극조립체의 적층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제품의 안전성 향상 및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각 층 사이의 박리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각 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는 풀 테스트(pull test), 필 테스트(peel test), 4접 굽힘(four point bending)을 통한 균열 성장 방법 등이 있다. 풀 테스트(pull test)는, 일정 면적의 막대(stud)를 접착제(adhesive)로 박막 표면에 고정하고, 막대를 수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계면 접착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필테스트(peel test)는, 접착 테이프로 박막을 뜯거나 혹은 기판으로부터 일부 박리된 박막 자체를 잡아당겨서 계면을 분리시키면서 계면 접착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계면에 직접 분리 하중을 인가하는 방법이다. 4점 굽힘을 이용한 균열 성장 방법이란, 박막에 균열을 형성시킨 후 4점 굽힘하여 안정적으로 균열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균열의 성장 특성을 이용하여 계면 접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의 경우, 박막의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거나 유연할 경우 계면 박리를 유발할 수 없으며, 종래의 접착력 측정 방법은 정확도와 반복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4723호 (2011.07.26), 이하 특허문헌 1)에 따른 테이프 점착력 측정장치는 시험판 상에 적층 접착된 박막의 시험용 테이프에 박리 현상을 강제로 유도하여 접합력 또는 박리력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시험용 테이프를 시험판으로부터 계속 뜯어내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이때, 박막의 시험용 테이프가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한 경우에 계면 박리현상이 일어나기도 전에 시험용 테이프의 그립핑 영역에서 찢어지거나 변형될 소지가 높아진다. 정확한 계면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반복 실험을 수행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 및 방법은 측정면의 중간 부분 박리력만을 측정하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2(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58073호 (2013.04.19), 이하 특허문헌 2)는 기판 상부에 박막이 증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시험물에 대하여, 기판에 균열이 형성되도록 한 후, 균열된 상기 기판의 일측을 상기 고정단에 수평하게 고정시키고, 균열된 상기 기판의 타측을 상기 이동단에 수평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이동단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되는 하중 값 및 상기 변위 측정 수단에서 측정되는 수직 이송 변위 값을 사용하여 상기 박막 및 상기 기판 간의 계면 접착력을 측정하는 기판 균열 유도를 통한 계면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연질 박막과 경질 기판이 조합된 구조물에서 적용 가능하나, 상기 경질 기판을 균열시켜야하기 때문에 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박리에 의해서 제품의 불량이 먼저 발생하는 것은 가장 취약한 끝부분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종래의 장치는 측정을 위해서 시료와 측정 장치의 끝부분을 고정해야하므로 실제 제품 설계에 가장 중요한 끝부분 모서리의 접착력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다는 구조적 한계를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리강도 측정을 원하는 부분에 하중을 직접적으로 인가시켜 원하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박리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시험편이 고정되는 시험편 고정부; 상기 고정되는 시험편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자기력을 부가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편 고정부는, 상기 시험편이 올려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시험편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비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중심부에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와 상기 시험편 사이의 접착 강도는 상기 시험편의 박리 강도보다 큰 것이야 한다. 상기 전자석의 강도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자성체의 인력이 박리 강도와 같은 점을 찾아내는 것이 본원 발명에 따른 장치의 원리이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의 하면에 고정될 경우 상기 시험편을 박리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무게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의 강도를 낮추어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자성체의 인력이 박리 강도보다 낮은 경우 박리가 발생하며 이를 통해서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이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이 박리되는 면에 부착되는 면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는 막대 형태, 원기둥 형태, 구슬, 다수의 원기둥이 연결된 어레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자성체에 미치는 자력선이 실질적으로 다수의 직선이 평행인 형태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시험편의 박리강도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은 1) 단계 내지 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자성체의 무게와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와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단계;
2) 상기 시험편을 상기 시험편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
3) 2) 단계의 시험편 중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를 부착하는 단계; 및
4) 3) 단계의 시험편에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험편이 박리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3) 단계는 상기는 2) 단계 이전에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 끝부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 중간부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 중간부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 끝부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중 시험편이 박리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 끝부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편 중간부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박리강도 측정장치는 시험편 고정부, 자성체, 전자석, 전원공급부 및 전류제어부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박리강도 측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제1방법, 제2방법, 제3방법
상기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시험편의 박리강도 측정 방법은,
1) 상기 자성체의 무게와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와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단계;
2) 상기 시험편을 상기 시험편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
3) 2) 단계의 시험편 중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를 부착하는 단계;
4) 3) 단계의 시험편에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험편이 박리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3) 단계는 상기는 2) 단계 이전에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제1방법)은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시험편의 하면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시험편을 기준으로 상기 자성체의 반대면(시험편의 상면)에 전자석을 배치한다.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무게에 의해서 시험편이 박리된다. 시험편의 박리가 시작되는 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박리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제2방법)으로는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시험편의 상면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시험편의 상면에 전자석을 배치한다.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인력에 시험편이 박리된다. 시험편의 박리가 시작되는 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때는 시험편 자체가 들리지 않도록 시험편 고정부에 의해서 지지되어야 한다.
박리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제3방법)으로는 또는 시험편을 기준으로 같은 면에 전자석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시험편의 양 면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상기 각각의 자성체 주변에 전자석을 배치한다. 상기 전자석의 강도를 올려서 자성체와 전자석 사이의 인력이 박리 강도보다 높게 되면 시험편에서 박리가 발생하고, 이때 박리가 발생하는 전류로부터 박리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b) 시험편
상기 시험편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이 접착된 적층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시험편은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lamination)되어 있는 단위셀로서, 상기 분리막은 전극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서, 전극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무기물 코팅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과 접촉하지 않는 무기물 코팅부의 양측 부위에는 점착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시험편은 단위셀이 다수 적층된 전극조립체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시험편은 다층으로 구성된 분리막 자체일 수 있으며, 전지부품 중 다층으로 구성된 부품은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 자성체
상기 자성체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이다.
상기 상자성체(Paramagnetic Material)는 자기장이 매우 작은 물질로 알루미늄, 구리, 마그네슘, 텅스텐, 백금, 금, 주석, 망간 및 이들의 합금 등이 있다. 상자성체에 자석을 접근시키면 매우 약하게 당기며 전체 자기장이 증가하지만 자기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영향이 거의 없다.
상기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는 자석에 달라붙는 등 강한 자성을 지닌 자성체로, 철, 코발트, 니켈 및 그 합금과 네오디움, 가돌리늄 등의 희토류 물질이 있다. 강자성체에 자석을 접근시키면 매우 강하게 당기며 전체 자기장이 증가한다. 강자성체에서는 개개의 원자가 자석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들 원자들은 외부의 자기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불규칙하게 정렬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석과 같은 효과는 없다. 그러나 외부에서 자석을 갖다 대면 그 원자들이 외부 자기장의 방향으로 배열하려 하기 때문에 자석에 달라붙게 된다. 산화철, 산화크롬, 페라이트 등 금속 산화물도 강자성을 지닐 수 있다. 주로 합금 상태의 강자성이 영구자석으로 사용된다.
박리강도가 매우 약한 물질의 경우 전류를 조금만 높여도 쉽게 박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성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통상적인 박리강도를 측정하는데는 강자성체가 유리하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의 하면에만 고정될 경우 상기 시험편을 박리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무게이다. 이는 중력을 이용하여 시험편을 박리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조건이며, 전자석과 자성체의 인력을 사용하여 박리할 경우에는 이러한 조건은 필요치 않다.
상기 시험편과 자성체의 접착은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지며, 접착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자성체와 상기 시험편 사이의 접착 강도는 상기 시험편의 박리 강도보다 커야 한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이 박리되는 면에 부착되는 면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 자성체는 막대 형태, 원기둥 형태, 구슬, 다수의 원기둥이 연결된 어레이 형태이다.
d) 전자석
상기 전자석은 상기 자성체에 미치는 자력선이 실질적으로 다수의 직성이 평행인 형태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자력선이 평행선이 아닌 경우, 이와 관련된 힘을 미리 측정할 수도 있지만 일관성이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전자석의 면이 넓어서 다수의 직선이 평형인 형태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시험편 고정부(110) 및 전자석(120)은 지지부(130)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재(131), 상기 베이스부재(131)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32), 상기 수직프레임(132) 상에서 상기 시험편 고정부(11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높이조절부재(133), 상기 수직프레임(132) 상에서 상기 전자석(12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되는 제2높이조절부재(134), 및 상기 전자석(1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35)를 포함한다.
상기 시험편 고정부(110)는 시험편(160)이 올려지는 플레이트(111) 및 상기 시험편(160)을 플레이트(1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시험편(150)은 제1층(151)과 제2층(152)로 이루어진 적층체이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베이스부재(131)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132)에 연결된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제1높이조절부재(133)에 의해 z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사각 평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험편(16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중심부에 천공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1)의 상면에는 시험편(160)이 고정부재(11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13)는 클립, 집게, 핀 등 플레이트(111)에 상기 시험편(16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시험편(160)의 하면, 즉 제2층(152)에는 자성체(140)가 부착되고, 상기 시험편(160)을 기준으로 상기 자성체(140)의 반대면에는 자성체(140)에 자기력을 부가하는 전자석(120)이 배치된다.
상기 전자석(120)은 수직프레임(132)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11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전자석(120)은 수직프레임(132) 상에서 제2높이조절부재(134)에 의해 z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34)는 위치조절부재(135)에 의해 전자석(120)과 연결된다.
상기 전자석(120)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자석(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 및 전원공급부(150)에서 전자석(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15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120)은 위치조절부재(122)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x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바, 상기 시험편(160)에 부착된 자성체(120)와 동일한 축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40)는 상기 시험편(160)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전자석(120)은 자성체(140)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시험편(160)의 가장자리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시험편(160)의 가장자리에 자성체(140)를 부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험편(160)의 일단은 플레이트(111)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험편(160)의 타단은 고정부재(112)에 의해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111)의 외부로 돌출된 시험편(160)의 하면에 자성체(140)를 부착하고, 위치조절부재(135)를 조절하여 상기 전자석(120)과 상기 자성체(140)가 z방향으로 일렬이 되도록 정렬한다.
시험편(160) 중심부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험편(160)의 중심부에 자성체(140)를 부착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험편(160)은 플레이트(111)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시험편(160)은 상기 천공부(113)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시험편(160)의 가장자리가 고정부재(112)에 의해 플레이트(111)에 고정된다. 상기 자성체(140)는 상기 시험편(160)의 중심부 하면에 부착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박리강도 측정장치에 의해 시험편이 박리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시험편의 제2층(162)에 자성체(140)를 부착하고, 상기 전자석(120)을 상기 자성체(140)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전자석(120)은 위치조절부재(135)를 조절하여 상기 자성체(140)와 z방향으로 일렬이 되도록 정렬한다.
전자석(120)에 전류를 공급하면, 자성체(140)를 끌어당기는 힘이 생겨, 자성체(140)는 전자석(120)에 의해 일정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점차 전류 세기를 점점 감소시키면, 자성체(140)를 끌어당기려는 힘이 약해지고, 상기 자성체(140)가 자성체(140)의 무게에 의해 낙하하면서 시험편(160)을 박리한다.
시험편의 박리가 시작되는 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시험편(160)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자성체(140)는 상기 시험편(160)의 상면에 부착되고,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인력에 시험편이 박리된다. 시험편의 박리가 시작되는 점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때는 시험편 자체가 들리지 않도록 시험편 고정부에 의해서 지지되어야 한다.
<실시예 2>
도 5 및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박리강도 측정장치(200)는 지지부(230), 시험편 고정부(210), 상부 자성체(241), 하부 자성체(242), 상부 전자석(221), 하부 전자석(222), 전원공급부(250) 및 전류제어부(251)를 포함한다.
상기 시험편 고정부 및 전자석은 지지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재(211), 상기 베이스부재(211)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수직프레임(236), 상기 제1수직프레임(236) 상에서 상기 시험편 고정부(21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높이조절부재(233), 상기 베이스부재(231)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237), 상기 제2수직프레임(237) 상에서 상기 전자석(221, 222)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높이조절부재(234), 및 상기 전자석(221, 222)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2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236)은 베이스부재(231) 상에서 제2수직프레임(237)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236)에는 상기 시험편 고정부(210)가 제1높이조절부재(23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237)에는 상기 전자석(221, 222)이 제2높이조절부재(23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33) 및 제2높이조절부재(234)는 모두 z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시험편 고정부(21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시험편(260)이 올려지는 플레이트(211) 및 상기 시험편(260)을 플레이트(2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전자석(221) 및 하부 전자석(222)은 각각 상기 시험편 고정부(2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전자석(221) 및 하부 전자석(222)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 및 전원공급부(250)에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25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 자성체(241)는 시험편(260)의 제1층(261)에 부착되고, 하부 자성체(242) 시험편(260)의 제2층(262)에 각각 부착한다.
상기 자성체(240)는 상기 시험편(260)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전자석(220)은 자성체(240)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시험편 가장자리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시험편의 가장자리에 자성체를 부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험편(260)의 일단은 플레이트(211)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험편(260)의 타단은 고정부재(212)에 의해 플레이트(211)에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211)의 외부로 돌출된 시험편(26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 자성체(241)를 부착하고, 시험편(26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하부 자성체(242)를 부착한다.
시험편(260) 중심부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험편의 중심부에 자성체를 부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시험편(260)은 플레이트(211)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시험편(260)은 상기 천공부(213)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시험편(260)의 가장자리가 고정부재(212)에 의해 플레이트(211)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자성체(240)는 상기 시험편(260)의 중심부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260)의 중심부 하면에 부착된다.
상부 전자석(221)은 상부 자성체(241)의 위쪽에 배치하고, 하부 전자석(222)은 하부 자성체(242)의 아래쪽에 배치한다.
박리강도 측정을 위해, 상기 전자석(220)은 위치조절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자성체(240)와 z방향으로 일렬이 되도록 정렬한다.
상기 상부 전자석(221) 및 하부 전자석(222)에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상기 시험편(260)과 자성체(240)가 플레이트(211)와 평행이 되도록 지지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 전자석(221)에는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상기 시험편(260)에 부착된 상부 자성체(241)를 지지하고, 하부 전자석(222)의 전류 세기를 점점 증가시켜 상기 하부 자성체(242)를 상기 하부 전자석(222)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시험편(260)을 박리시킨다.
반대로, 하부 전자석(222)에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하부 자성체(242)를 지지하고, 상부 전자석(221)의 전류 세기를 점점 증가시켜 시험편을 박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자석(221)과 하부 전자석(222)의 전류 세기를 모두 증가시켜 상기 시험편(260)이 180도 박리되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시험편(260)이 박리되었을 때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시험편(260)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비교예>
종래의 점착력 측정장치는 시험용 테이프를 부착하도록 된 시험테이블, 상기 시험테이블에 수직으로 배치된 칼럼, 상기 칼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시험테이블과 수평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저면에 고정되는 시험용 테이프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척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력 시험장치는 승강대를 상승시킴에 따라 척이 상승하여 시험용 테이프를 수직으로 연속 박리시켜 점착력을 측정한다.
이때, 박막의 시험용 테이프가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한 경우에 계면 박리현상이 일어나기도 전에 시험용 테이프의 그립핑 영역에서 찢어지거나 변형될 소지가 높아진다. 정확한 계면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반복 실험을 수행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 및 방법은 측정면의 중간 부분 박리력만을 측정하는 한계가 있다.
이상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박리강도 측정장치
110, 210: 시험편 고정부
111, 211: 플레이트
112, 212: 고정부재
113, 213: 천공부
120, 220: 전자석
221: 상부 전자석
222: 하부 전자석
130, 230: 지지부
131, 231: 베이스부재
132, 232: 수직프레임
236: 제1수직프레임
237: 제2수직프레임
133, 233: 제1높이조절부재
134, 234: 제2높이조절부재
135, 235: 위치조절부재
140, 240: 자성체
241: 상부 자성체
242: 하부 자성체
150, 250: 전원공급부
151, 251: 전류제어부
160, 260: 시험편
161, 261: 제1층
162, 262: 제2층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는, 그립핑(gripping)을 통한 필테스트(peel test)방식을 채용하고 있지 않아 시험편의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박리강도 측정을 원하는 부분에 하중을 직접적으로 인가시켜 원하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박리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종래의 모든 장치에 내재된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Claims (11)

  1.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시험편이 고정되는 시험편 고정부;
    상기 시험편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자기력을 부가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 고정부는,
    상기 시험편이 올려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시험편을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중심부에 천공부가 형성되는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의 하면에 고정될 경우 상기 시험편을 박리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무게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와 상기 시험편 사이의 접착 강도는 상기 시험편의 박리 강도보다 큰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이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편이 박리되는 면에 부착되는 면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태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막대 형태, 원기둥 형태, 구슬, 다수의 원기둥이 연결된 어레이 형태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자성체에 미치는 자력선이 실질적으로 다수의 직성이 평행인 형태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시험편의 박리강도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은 하기의 단계에 따른 측정 방법,
    1) 상기 자성체의 무게와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와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단계;
    2) 상기 시험편을 상기 시험편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
    3) 2) 단계의 시험편 중 박리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를 부착하는 단계;
    4) 3) 단계의 시험편에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시험편이 박리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는 2) 단계 이전에 진행되는 측정 방법.
PCT/KR2019/009111 2018-10-26 2019-07-23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WO202008561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76782.4A EP3693724A4 (en) 2018-10-26 2019-07-23 APPARATUS FOR MEASURING PELING RESISTANCE OF A BATTERY COMPONENT USING AN ELECTRO-MAGNET, AND METHOD FOR MEASURING PELING RESISTANCE USING IT
US16/959,664 US11808693B2 (en) 2018-10-26 2019-07-23 Apparatus for measuring peel strength of battery part using electromagnet and peel strength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CN201980005844.6A CN111433588B (zh) 2018-10-26 2019-07-23 使用电磁体的电池部件剥离强度测量设备及使用该设备的剥离强度测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06A KR102366493B1 (ko) 2018-10-26 2018-10-26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KR10-2018-0128606 2018-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619A1 true WO2020085619A1 (ko) 2020-04-30

Family

ID=7033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111 WO2020085619A1 (ko) 2018-10-26 2019-07-23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8693B2 (ko)
EP (1) EP3693724A4 (ko)
KR (1) KR102366493B1 (ko)
CN (1) CN111433588B (ko)
WO (1) WO2020085619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23A (ko) 2010-01-18 2011-07-26 박장호 테이프 점착력 측정장치
KR20120097179A (ko) * 2011-02-24 2012-09-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장시험장치
KR101258073B1 (ko) 2011-04-27 2013-04-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판 균열 유도를 통한 계면 분리 장치
KR20130076950A (ko) * 2011-12-29 2013-07-09 전자부품연구원 태양전지 구성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50053582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필름의 계면간 접합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76579A1 (en) * 2014-04-01 2015-10-01 Hyundai Motor Company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gas diffusion layer for fuel cells
JP2017198518A (ja) * 2016-04-27 2017-11-0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試験装置
KR20180128606A (ko) 2017-05-24 2018-12-04 (주)루쏘팩토리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6130A1 (de) * 1977-06-10 1978-12-21 Ato Chim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s haftvermoegens eines haftklebers
JPH0816648B2 (ja) 1993-11-25 1996-02-21 広島県 硬質薄膜の密着性評価方法及び密着性評価試験装置
KR100296002B1 (ko) * 1996-12-23 2001-11-22 이구택 도금강판의파우더링과도금박리측정장치및방법
JPH11112139A (ja) 1997-10-07 1999-04-23 Victor Co Of Japan Ltd クリーム半田の粘着性測定方法
KR100832851B1 (ko) 2007-03-19 2008-05-28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상변환물질을 이용한 잠열 축열식 연료전지용 열저장시스템
KR100901982B1 (ko) 2007-07-12 2009-06-08 주식회사 실트론 접착강도 시험장치
JP2009156680A (ja) 2007-12-26 2009-07-16 Shimadzu Corp 変位計、伸び計および材料試験機
KR101007997B1 (ko) 2008-12-31 2011-01-14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점착척용 점착패드의 점착특성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12053286A1 (ja) 2010-10-21 2012-04-26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とその製造方法、電気化学素子用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US9304073B2 (en) * 2013-02-05 2016-04-05 Pilkington Group Limited Bond strength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CN203385648U (zh) * 2013-07-24 2014-01-08 深圳市金瑞电子材料有限公司 Pptc电池片的剥离强度测试夹具
KR102592574B1 (ko) 2016-07-11 2023-10-23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차 배터리용 상변환물질 함유 냉각재 및 그 제조방법
CN207816748U (zh) 2018-01-30 2018-09-04 北京建筑材料检验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结构胶粘剂的t冲击剥离试验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23A (ko) 2010-01-18 2011-07-26 박장호 테이프 점착력 측정장치
KR20120097179A (ko) * 2011-02-24 2012-09-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장시험장치
KR101258073B1 (ko) 2011-04-27 2013-04-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판 균열 유도를 통한 계면 분리 장치
KR20130076950A (ko) * 2011-12-29 2013-07-09 전자부품연구원 태양전지 구성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50053582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필름의 계면간 접합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76579A1 (en) * 2014-04-01 2015-10-01 Hyundai Motor Company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gas diffusion layer for fuel cells
JP2017198518A (ja) * 2016-04-27 2017-11-0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試験装置
KR20180128606A (ko) 2017-05-24 2018-12-04 (주)루쏘팩토리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80377A1 (en) 2021-03-18
KR20200046860A (ko) 2020-05-07
CN111433588B (zh) 2023-02-21
US11808693B2 (en) 2023-11-07
EP3693724A4 (en) 2020-12-16
EP3693724A1 (en) 2020-08-12
KR102366493B1 (ko) 2022-02-24
CN111433588A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532B1 (ko) 성막장치, 성막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제조방법
JP7010800B2 (ja) 成膜装置、成膜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5182806A1 (ko)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KR100976801B1 (ko) 윈도우 필름부착장치
WO2015156494A1 (ko) 잔류 자기를 최소화한 자성체 홀딩 장치
WO2018070801A2 (ko) 다층형 캐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소자 전사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전자제품 제조방법
JP6954880B2 (ja) 成膜装置、成膜方法、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9102801A (ja) 成膜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9190031A1 (ko) 마이크로 소자 전사장치 및 마이크로 소자 전사방법
WO2018088708A1 (ko) 플렉시블 촉각 액추에이터
WO2020085619A1 (ko)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WO2022097966A1 (ko)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WO2014084472A1 (ko) 웨이퍼 식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식각 공정
WO2020116835A1 (ko)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KR20190078432A (ko) 성막장치, 성막방법 및 이를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1108012B1 (ko) 대면적 기판용 기판정렬장치
KR20190077973A (ko) 터치 플레이트와 일체로 되고 스위칭 마그넷을 구비한 마그넷 플레이트 및 이를 적용한 얼라인먼트 시스템
WO2017160030A1 (ko)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지케이스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WO2020032511A1 (ko) 마스크의 이송 시스템 및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150070571A (ko)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WO2021002524A1 (ko) 터치센서 모듈
KR102146631B1 (ko) 스위칭 마그넷의 자력을 이용한 기판홀딩장치
WO2020022661A1 (ko)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101362673B1 (ko) 정전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전력 측정방법
JPH03102814A (ja) 静電チャ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76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508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6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