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606A -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606A
KR20180128606A KR1020170063932A KR20170063932A KR20180128606A KR 20180128606 A KR20180128606 A KR 20180128606A KR 1020170063932 A KR1020170063932 A KR 1020170063932A KR 20170063932 A KR20170063932 A KR 20170063932A KR 20180128606 A KR20180128606 A KR 2018012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nit
experience
wing
experien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008B1 (ko
Inventor
이해성
이경남
Original Assignee
(주)루쏘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쏘팩토리 filed Critical (주)루쏘팩토리
Priority to KR102017006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0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4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providing simulation in a real vehic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가상현실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접근성이 높아진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현실 체험 시설을 윙탑차에 구비하여 체험자가 원하는 장소 또는 임의의 장소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과 다수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VR 체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MOV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가상현실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접근성이 높아진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부날씨와 상관없이 실내에서 외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칭함.) 체험 시설이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VR 체험을 위해서는 VR 체험 장치가 설치되어있는 고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했다.
이와 같이 VR 체험 학습이 VR 체험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만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VR 체험 장치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이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 외 VR 체험에 필요한 시설들이 VR 체험 장치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VR 체험을 하고자 하는 체험자들은 체험이 가능한 장소를 일일이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VR 체험 장치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는 단일 체험자만을 고려한 것이었다. 즉, 종래에는 단일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만이 구비되었으며, VR 체험 장치에 구비되어 VR 체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상기 단일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체험자로부터의 조작신호(조작 명령)를 입력하였다.
이로 인해, 다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하여 VR 체험을 하는 경우에, 상기한 종래의 단일 체험자 인터페이스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구체적으로 한 명의 VR 체험자가 한 대의 VR 체험대로 와서, 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화면 헤드 기어(Head Mounted Displayer: 이하, 'HMD'라 칭함.), 데이터 장갑(Data Glove), 각종 센서(예: 위치 센서) 등과 같은 체험자입력 단말기를 착용한다.
VR 체험자가 VR을 체험을 하는 동안에, 체험자입력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체험자 조작신호는 VR 체험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가상공간에서 VR 체험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VR의 상황이 소리와 진동으로 VR 체험 컴퓨터로부터 체험자에게 전달되어, 현실감을 높여 준다. 그리고 체험자가 체험자입력 단말기를 착용할 때나 가상현실 체험 도중에, 도우미는 여러 가지 조언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체험자 인터페이스가 단일 체험자만을 고려한 것이었기 때문에, VR 체험을 하고자 대기하고 있는 다수의 인원들은 한 사람씩 가상현실 체험대(1대)로 나가서 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HMD, 데이터 장갑, 위치센서 등을 착용하고, 상기 착용한 장비의 사용법에 대해 교육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체험을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해, 상기한 착용 및 교육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시간의 불필요한 낭비가 초래된다. 또한, 대기자들은 자신의 차례가 오면 체험대로 이동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641호(2016.10.26. 자 등록)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VR 체험시설을 윙탑차에 구비하여 체험자가 원하는 장소 또는 임의의 장소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체험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VR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후방에 체험실이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윙탑차;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탑재되고, 적어도 한명의 체험자가 가상현실에 부합하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착석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시뮬레이터 유닛;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에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기 위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과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을 무선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가상현실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윙탑차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체험실의 횡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측면 개방도어와, 상기 윙탑차의 후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체험실의 종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후면 개방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상기 체험자가 착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자부; 상기 의자부 각각의 하방에 구비되는 의자 작동부; 및 상기 의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은 EGD(Eyeglasses Display) 또는 HMD(Head Mounted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제어유닛은 상기 한명 이상의 체험자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착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체험자 인식부; 상기 한명 이상의 체험자가 착석된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 각각에 할당되어 상기 가상현실 관련 컨텐츠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가상현실 출력부; 및 상기 체험자 각각의 컨텐츠 시작과 종료 시점을 개별적으로 인지하여 가상현실 체험을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키는 체험상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윙탑차에 부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를 분석하는 복합센서와, 상기 복합센서에서 분석되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 결과값을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에 반영하는 외부 환경 정보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제어유닛은 상기 복합센서로부터 분석된 외부 환경 정보 결과값과 별도로 상기 가상현실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가상현실 환경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제1 및 제2 윙탑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윙탑차는 예정된 대역폭의 데이터 및 제어 전송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윙탑차의 제1 가상현실 제어유닛 또는 상기 제2 윙탑차의 제2 가상현실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윙탑차에서 실행 중이던 서로 다른 컨텐츠의 시뮬레이터 유닛과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컨텐츠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 출력 단계; 가상현실 제어유닛의 조작을 통한 가상현실 영상 제어 단계; 상기 가상현실 제어유닛의 조작을 통한 의자 작동부 구동 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영상의 계속 진행 여부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 내의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특수효과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동식 윙탑차에 VR 체험 장치를 설치하여 이동성이 향상되고, 각각의 장치들을 무선통신으로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관리가 용이하며, 체험자가 고정된 장소를 찾아가지 않고 원하는 곳에서 VR 체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는 시설에 놓여있는 체험자에게 외부환경에 대응하는 VR 환경을 제공하여 보다 현실감 높은 체험을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후방에 체험실이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윙탑차;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탑재되고, 적어도 한명의 체험자가 가상현실에 부합하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착석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시뮬레이터 유닛;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에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기 위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과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을 무선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가상현실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윙탑차(100)는 본 발명의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이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윙탑차(100)는 후방에 하우징 형태의 체험실이 구비되는 트럭 형태로 구성된다. 체험실은 윙탑차(100)의 좌우측면을 개방하기 위해 횡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좌우 측면 개방도어(101a, 101b)와, 체험실의 후면을 개방하기 위해 종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후면 개방도어(102)를 포함한다.
좌우 측면 개방도어(101a, 101b)와 후면 개방도어(102)를 통해 체험실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예비 체험자들이 가상현실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홍보 영상유닛(110)을 체험실에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이 다수의 체험자가 가상체험을 위해 무료하게 순서를 기다리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윙탑차(100)의 후면 개방도어(102)가 개방되면 체험자가 윙탑차(100) 내부로의 탑승이 용이하도록 탑승보조 유닛(120)을 설치 할 수 있고, 도 1에서는 탑승보조 유닛(120)이 계단형태를 가지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이며, 어린이나 휠체어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경사로 또는 승강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시뮬레이터 유닛(200)은 체험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해 착석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한 명의 체험자가 착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자부(210); 의자부(210) 각각의 하방에 구비되어 의자부(210)를 상, 하, 전, 후, 좌, 우로 움직이기 위한 의자 작동부(220); 및 의자부(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안전바(230)를 포함한다.
의자부(210)는 체험자가 착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거나,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의자부(210)는 후술할 의자 작동부(220)가 움직이게 되면, 체험자에게 입체감 있는 움직임을 전달한다.
의자 작동부(220)는 상단에 배치된 의자부(210)를 상, 하, 전, 후, 좌, 우로 입체감 있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의자 작동부(220) 각각에는 상하로 움직이는 적어도 세 개의 축을 구비되고, 이를 통해 승하강, 기울어짐, 진동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자가 상, 하를 포함한 전, 후, 좌, 우 모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가상현실 영상의 움직임과 같은 동작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의자 작동부(220)는 내부에 여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어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시 깔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윙탑차(100)는 체험자가 시뮬레이터 유닛(200)에 좀더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 유닛(200)의 측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발판(130)을 구비할 수 있다.
발판(130)의 높이는 시뮬레이터 유닛(3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하되 의자부(210)로의 이동이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발돋움을 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윙탑차(100)의 개방된 전후면 방향과 대응되게 그 전면과 후면이 위치되는 시뮬레이터 유닛(200)이 구동할 시 윙탑차(100)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판(140)을 더 포함한다. 추락방지판(140)은 윙탑차(100)의 전, 후 하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향 설치되어 시뮬레이터 유닛(200)의 후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은 시각적으로 사실적인 영상인 가상현실 환경을 체험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체험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EGD(Eyeglasses Display) 또는 HMD(Head Mounted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상현실 제어유닛(300)은 운영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해 참여한 적어도 한 명의 체험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의자 구동부(220)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상현실 제어유닛은 체험자를 감지하는 체험자 인식부; 체험자가 인식될 경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출력부; 및 가상현실 출력부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 상황을 체험자 별로 각각 제어하기 위한 체험상황 제어부를 포함한다.
체험자 인식부는 한명 이상의 체험자가 시뮬레이터 유닛(200)으로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체험자의 착석 여부는 광센서의 가림 여부 또는 감압센서의 눌림 여부를 통해 인식 될 수 있다.
가상현실 출력부는 한 명 이상의 체험자가 착석된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 각각에 할당되어 가상현실 관련 컨텐츠 신호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체험자 인식부를 통해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체험자가 있는 시뮬레이터 유닛(200)에서만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체험상황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 각각의 컨텐츠 시작과 종료 시점을 개별적으로 인지하여 가상현실 체험을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다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시작하거나 종료하지 않고 각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상현실 제어유닛(300)은 윙탑차(100)에 부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를 분석하는 복합센서와, 복합센서에서 분석되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 결과값을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에 반영하는 외부 환경 정보 적용부를 포함한다.
복합센서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이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윙탑차(100)가 위치한 장소의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게 된다. 예컨대, 체험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놀이기구 탑승에 관한 것이라면 시뮬레이터 유닛(200)는 해당 놀이기구의 구동 동작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체험자에게 전달해주고, 복합센서를 통해 감지된 외부 환경 정보는 외부 환경 정보 적용부를 통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송되어 놀이기구를 탑승한 상황의 배경이 현실과 동일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
가령, 윙탑차(100)가 위치하는 실제 장소에서 비가 오는 경우라면, 가상현실 영상에도 비가 오는 배경을 제공하여 체험자가 실제 빗속에서 해당 컨텐츠를 진행하고 있는 것처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가상현실 제어유닛은 상기 복합센서로부터 분석된 외부 환경 정보 결과값과 별도로 가상현실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가상현실 환경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현실에서 바람의 강도가 10을 기준으로 2 강도만큼 불고 있을 경우 체험자는 2 강도보다 더 약한 1 강도 또는 3 내지 10 강도 중 원하는 세기로 조정할 수 있다. 물론 현실에서 비가 오더라도 가상현실에서 맑은 날씨가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한편, 위와 같은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제1 및 제2 윙탑차에 각각 탑제되고, 제1 및 제2 윙탑차는 예정된 대역폭의 데이터 및 제어 전송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윙탑차의 제1 가상현실 제어유닛 또는 상기 제2 윙탑차의 제2 가상현실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윙탑차에서 실행 중이던 서로 다른 컨텐츠의 시뮬레이터 유닛과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컨텐츠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기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 출력 단계(S11), 가상현실 제어유닛(300)의 조작을 통한 가상현실 영상 제어 단계(S13), 가상현실 제어유닛(300)의 조작을 통한 의자 작동부(220) 구동 단계(S15), 가상현실 영상 내의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단계(S17),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특수효과 생성 단계(S19) 및, 가상현실 영상의 진행 여부 결정 단계(S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먼저 기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을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을 통해 출력한다(S11).
여기서, 윙탑차(100)는 체험자가 원하는 장소 또는 불특정한 임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운영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한편 윙탑차(100)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체험자의 요금을 받는 경우에는 코인이 요금 정산기에 투입되어 가상현실 영상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은 투입된 코인에 의해 동작하게 되고, '착용하십시오' 등과 같은 안내문구를 영상을 통해 체험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후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은 기 프로그램된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은 현실세계를 비행하는 글라이더 형태의 가상체험인 경우, 현실세계의 상공을 비행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가상현실 영상은 가상현실 제어유닛(300)의 조작에 따라 제어된다(S13). 여기서, 가상현실 제어유닛(300) 조작에 따라 체험자가 탑승하고 있는 의자부(210)가 의자 구동부(220)에 의해 가상현실 영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S15).
이후, 가상현실 영상에서 특정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7). 특정이벤트는 복합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환경 정보이고, 특정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시에 가상 세계에서도 그에 맞는 특수효과가 발생하게 된다(S19). 이를 통해 체험자는 현실 환경과 동일한 환경 조건의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한편,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요금을 수납하는 경우 윙탑차(100)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해당 컨텐츠를 더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안내 문구를 체험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체험자는 이용중인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이용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체험자가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결정하면, 체험자의 추가적인 코인 투입에 의해 컨텐츠는 지속될 수 있다.
체험자가 컨텐츠 이용을 중지하고자 결정했다면, 가상현실 영상은 코인이 투입되기 전의 최초 영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가상현실 영상이 최초 영상으로 돌아가게 되는 경우는 체험자에 의해 종료가 입력된 경우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윙탑차
101a: 전면 개방도어
101b: 후면 개방도어
102: 측면 개방도어
110: 홍보 영상유닛
120: 탑승보조 유닛
130: 발판
140: 추락방지판
200: 시뮬레이터 유닛
210: 의자부
220: 의자 작동부
230: 안전바
300: 가상현실 제어유닛

Claims (8)

  1. 후방에 체험실이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윙탑차;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탑재되고, 적어도 한명의 체험자가 가상현실에 부합하는 움직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착석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시뮬레이터 유닛;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에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기 위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과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을 무선통신으로 제어하기 위한 가상현실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탑차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체험실의 횡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측면 개방도어와,
    상기 윙탑차의 후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체험실의 종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후면 개방도어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상기 체험자가 착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자부;
    상기 의자부 각각의 하방에 구비되는 의자 작동부; 및
    상기 의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은
    EGD(Eyeglasses Display) 또는 HMD(Head Mounted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제어유닛은
    상기 한명 이상의 체험자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착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체험자 인식부;
    상기 한명 이상의 체험자가 착석된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 각각에 할당되어 상기 가상현실 관련 컨텐츠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가상현실 출력부; 및
    상기 체험자 각각의 컨텐츠 시작과 종료 시점을 개별적으로 인지하여 가상현실 체험을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키는 체험상황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탑차에 부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를 분석하는 복합센서와,
    상기 복합센서에서 분석되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 결과값을 상기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에 반영하는 외부 환경 정보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제어유닛은 상기 복합센서로부터 분석된 외부 환경 정보 결과값과 별도로 상기 가상현실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가상현실 환경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제1 및 제2 윙탑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윙탑차는 예정된 대역폭의 데이터 및 제어 전송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윙탑차의 제1 가상현실 제어유닛 또는 상기 제2 윙탑차의 제2 가상현실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윙탑차에서 실행 중이던 서로 다른 컨텐츠의 시뮬레이터 유닛과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컨텐츠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KR1020170063932A 2017-05-24 2017-05-24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KR10199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32A KR101996008B1 (ko) 2017-05-24 2017-05-24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32A KR101996008B1 (ko) 2017-05-24 2017-05-24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06A true KR20180128606A (ko) 2018-12-04
KR101996008B1 KR101996008B1 (ko) 2019-07-03

Family

ID=6466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32A KR101996008B1 (ko) 2017-05-24 2017-05-24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0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619A1 (ko)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KR102174566B1 (ko) * 2020-04-20 2020-11-05 주식회사 트윈 이동식 태풍 체험 차량
KR20210144468A (ko) * 2020-05-22 2021-11-30 곽미진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4333445A (zh) * 2022-01-21 2022-04-12 深圳市励深展览策划有限公司 一种数字化三维动感体验台
KR20220074471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버터플라이드림 이동 방식의 가상 현실 체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135B1 (ko) * 2020-07-20 2020-12-16 (주)엠라인스튜디오 가상 체험형 안전 교육 시스템
KR102599727B1 (ko) 2021-08-26 2023-11-08 (주)브이리스브이알 안전펜스를 갖는 이동식 가상 현실 체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095A1 (ja) * 2010-09-06 2012-03-15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車両システム
KR20150007023A (ko) * 2013-07-10 2015-01-20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운송장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08766B1 (ko) * 2013-03-28 2015-04-08 장현진 게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50115272A (ko) * 2014-04-03 2015-10-14 신동호 복수 인원 탑승용 회전식 시뮬레이터 및 그를 사용한 원형 구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671641B1 (ko) 2015-08-13 2016-11-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Vr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095A1 (ja) * 2010-09-06 2012-03-15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車両システム
KR101508766B1 (ko) * 2013-03-28 2015-04-08 장현진 게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50007023A (ko) * 2013-07-10 2015-01-20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운송장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5272A (ko) * 2014-04-03 2015-10-14 신동호 복수 인원 탑승용 회전식 시뮬레이터 및 그를 사용한 원형 구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671641B1 (ko) 2015-08-13 2016-11-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Vr 기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619A1 (ko)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석을 이용한 전지부품의 박리강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강도 측정방법
KR102174566B1 (ko) * 2020-04-20 2020-11-05 주식회사 트윈 이동식 태풍 체험 차량
KR20210144468A (ko) * 2020-05-22 2021-11-30 곽미진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4471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버터플라이드림 이동 방식의 가상 현실 체험 장치
CN114333445A (zh) * 2022-01-21 2022-04-12 深圳市励深展览策划有限公司 一种数字化三维动感体验台
CN114333445B (zh) * 2022-01-21 2024-02-02 深圳市励深展览策划有限公司 一种数字化三维动感体验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008B1 (ko)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08B1 (ko)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CN104851330B (zh) 一种停车入位模拟训练方法及系统
KR20140128086A (ko) 장애인 안내용 가변구조 휠체어 로봇
CN109615969A (zh) 基于虚拟现实技术的汽车装配实验平台
KR102120553B1 (ko) Vr hmd와 모니터 방식을 동시 적용하는 다목적 차량용 멀티모드 주행 시뮬레이터
KR20170005971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특수 차량 훈련용 시뮬레이터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68680A (zh) 一种车载游戏方法和装置
US20180182261A1 (en) Real Time Car Driving Simulator
JP2017191350A (ja) 運転技量評価装置、サーバ装置、運転技量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運転技量評価方法
CN109686165A (zh) 一种多运动平台的列车轻量化模拟系统及其构建方法
CA3073360C (en) Fairground ride, in particular roller coaster,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a fairground ride of this type
US20230219419A1 (en)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display
WO2022154330A1 (ko) 지하철 영상효과 및 급정거 체험시스템
CN207134006U (zh) 临近空间的体验系统
KR102580672B1 (ko) 전동이동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102511586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장애인/노인의 이동보조기기 시뮬레이션 방법
CN110461749A (zh) 电梯系统和运行电梯系统的方法
JP2021051301A (ja) 車掌模擬訓練システム
RU2780698C1 (ru) Рабочее место-тренажер машиниста-оператора беспилот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DE102019210466B4 (de) Simulieren einer autonomen Fahrt eines Fahrzeugs
KR102512131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장애인/노인의 이동보조기기 시뮬레이터 시스템
JP6755064B2 (ja) 鉄道シミュレータ用システム
KR102651985B1 (ko) 가상 현실 기반 이동보조기기 체험 시스템
KR102207860B1 (ko) 셀프 카트 모델링을 이용한 체험형 카트 운행 시스템
JP2003084660A (ja) 電車シミュレータ用側方車掌映像切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