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5590A1 -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5590A1
WO2020085590A1 PCT/KR2019/003913 KR2019003913W WO2020085590A1 WO 2020085590 A1 WO2020085590 A1 WO 2020085590A1 KR 2019003913 W KR2019003913 W KR 2019003913W WO 2020085590 A1 WO2020085590 A1 WO 20200855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oss
section
square
tub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9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병관
Original Assignee
강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관 filed Critical 강병관
Priority to FIEP19876094.4T priority Critical patent/FI3872266T3/fi
Priority to JP2021518947A priority patent/JP7194471B2/ja
Priority to SG11202103417SA priority patent/SG11202103417SA/en
Priority to US17/277,283 priority patent/US11371204B2/en
Priority to DK19876094.4T priority patent/DK3872266T3/da
Priority to EP19876094.4A priority patent/EP3872266B1/en
Publication of WO20200855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55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57Shapes polygonal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 rectangular cross-section.
  • the temporary film is a facility temporarily installed to prevent water or soil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is generally constructed by drilling or crushing an H-shaped beam, a cylindrical pile, or a sheet pil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rovisional structure for preventing conventional soil.
  • the sheet pile 1 installed on the outer side, the strip length 2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sheet pile 1, and the strut 3 connected vertically to the same plane as the strip length 2, It comprises a center file (4)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 such a conventional provisional structure uses a sheet pile 1, so it lacks rigidity, and additional members such as a strip 2, a strut 3, and a center pile 4 are additionally required to reinforce the insufficient rigidity.
  • additional members such as a strip 2, a strut 3, and a center pile 4 are additionally required to reinforce the insufficient rigidity.
  • the more the depth the more the belt length (2), the strut (3) and the center pile (4).
  • the conventional provisional structure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due to the additionally installed sash (2), strut (3) and center pile (4), poor workability, difficult to shorten the air and economically costly. There is thi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2841 (invention name: corrugated steel using corrugated steel or bending steel) as a related patent for Korean traditional cladding.
  • the wall The stiffness is weak, so it is easy to deform the wall due to side press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upport method must be used in parallel by using a prop.
  • a two-row sheet pile wall is used in an area with high side pressure, and the second-row sheet cladding wall drives the sheet pile into two rows and moves it in.
  • sand is used as a water-repellent material (filling material)
  • tie cables are left and right tied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opening or spreading of both walls due to the load of earth and sand when internal good quality soil is thrown.
  • the technique of preventing deformation and cracking of the sheet pile wall by supporting it is mainly used.
  • Korean Patent No. 10-1859440 Invention name: composite steelwork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using inter-wall connecting means
  • this technology also uses sheet files, the filling space There is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that requires filling filler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employ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a cross-section of a trapezoid, by adopting an arch structure that acts as a force (compressive force) between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the depth of excavation
  •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temporary structure for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with little impac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securing a working space,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belt, a strut, and a central pi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n annular cladding and a structure for provisional construction, which can be easily dismantled because it can shorten the air and does not use welding or concrete fill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nular cladding structure having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and a provisional structure for drilling.
  •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 construction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includes a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having a cross-section of a trapezoidal shape, the plurality of Each of the four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pipes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or a coupling gro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pipes has a coupling protrusion or a coupling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sides
  • the cross-section rectangular tube is assembled by the coupling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engaging groove, and the longer side of the two sides parallel to the trapezoid is arranged on the outside, and the shorter side is arranged on the inside.
  •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has a cross-section of a coupling protrusion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a second cross-section square tube
  • the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gaging projection.
  • a cross-s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is formed in a T-shape, and the second edge surface
  • the coupling groove of the rectangular square tub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 a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tube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 the engaging groove of each tub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gaging projection.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the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re joined by welding of four flat plates. Can be.
  •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temporary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fitted to the upp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and the guide member Is a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tting coupling portion.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different inclined angles of the cross-sections of some of th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of the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It can have an oval shape as a whole.
  •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further includes an anchor member fitted to the low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and the anchor member
  • the fit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nchor member to be fitted to the bottom of one of the plurality of cross-section rectangular square tube;
  • an ancho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ing to the fitting portion and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bottom,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ancho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tting portion.
  •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includes: hitting a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having a coupling gro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Placing a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on which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to a top near the first side-section square angle tube; Fitting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in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driving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second side-end square square tube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side-side square square tube.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is performed before the step of hitting the first first cross-section square tube, the first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elding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rectangular square tube, in the welding step, using the four flat plates to be configured to weld each of the first edg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and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You ca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 construction temporary facility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squar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pressure of the area for installing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Measuring; And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ateral pressure.
  •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visional structure for digging construction,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de pressur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de pressure is predetermined
  • a side pressure less than a valu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to be 10% or less of the entire width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or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de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de pressure When a lateral pressure over a value is measured,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to be at least 11% of the total width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or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 construction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is after the step of driving the square square tube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the top of the square square tube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 the step of coupling the guide member to; further comprising, the guide member is fitted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top of one of the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ortion forme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tting portion.
  •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fter the step of combining the guide members, moves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to the top of the guide part. Positioning; Inserting a coupling projection of the second rectangular cross-section square tube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rectangular cross-section square tube through the guide portion; And a step of hitting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second side-end square square tube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side-side square square tube.
  •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 construction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uses a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hav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 so that a partial force (compressive force) acts between the square square tubes of the cross-section. Since the arch structure is adopted, there is little influence on the depth of excavation, so it can be applied even in a deep field.
  •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construction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has an advantage of securing a working spac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elt, strut, and central pile.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simple in structure and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reliable structural analysis.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simple in structure and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reliable structural analysis.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pipe can shorten the air and have no advantage of easy dismantling because welding or concrete filling is not us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constructed with much fewer components than the prior art (no need for a belt, strut and central pil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rovisional structure for preventing conventional soil
  •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to 6 is a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included in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of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us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4 is a flow char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n annular cladding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 FIG. 3 is an annular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temporary cladding and digging work.
  •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construction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includes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trapezoidal cross-section, and has multiple cross-section squares
  • Each tube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or a coupling gro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s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or a coupling gro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urface.
  • the lef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and the righ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210 A coupling protrusion 211 is formed on one surface (left side), and a coupling groove 21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210.
  • a coupling protrusion 221 is formed on one surface (left side) of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leg tube 220, and a coupling groove 22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leg tube 220.
  •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temporary construction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has a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assembled by a combination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and the trapezoid is parallel to two sides.
  • the long side is disposed on the outside and the short side is disposed on the inside, so that the annular cladding structure can be completed.
  • FIG 3 is a plan view of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with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temporary construction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uses a square cross-section square cross-section of a trapezoidal cross section, so that a partial force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squar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 a partial force compression force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has various advantages compared to the prior art, one of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constructed even in areas with high side pressure.
  •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is construc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s, and each wall can be seen as two rows of plat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sheet piles are arranged in two rows.
  •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construction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eformation and expansion of a wall without using a tie cable and a belt.
  •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a different angle cross-section tube is fitted into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s, wherein the coupling groove Since it acts as a guide when joining itself, convenience in construction is increased, and after joining, the rigid structure can be maintained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entire structure, whereby excellent support can be secured.
  •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by welding of four flat plates.
  • the diameter of the entire cylindrical pile is inevitably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plat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entire cylindrical pile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is affected by the diameter of the entire cylindrical pile.
  •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construction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uses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s, and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s are joined by welding of four flat plates. do.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plate while maintaining the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ile) of the entire rectangular square tube of the side section.
  •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construction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the construction is much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pile in the region with high side pressure, but the construction is simple.
  • the membrane can sufficiently secure the space inside the structure.
  • FIG. 4 to 6 is a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angle tube includes a first front cross-section that is one of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s 410a and 420a.
  • the rectangular square tube 410a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41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protrusion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420a,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cross-section rectangular square tubes 410a, 420a, has an engaging protrusion 411a.
  • the engaging groove 422a When the engaging groove 422a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411a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410a is formed in a T-shape, and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420a is formed.
  • the engaging groove 42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gaging projection 411a.
  •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the second square pipe may be further improved than that of FIG. 2.
  • coupling protrusions 411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410b and coupling grooves 42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420b. You can. When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410b and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420b are alternately arranged, an annular structure can be completed as a whole.
  •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includes a first edge cross-section that is one of a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510a and 520a.
  • the rectangular angular tube 510a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51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econd angular cross-section rectangular angular tube 520a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cross-sectional rectangular angular tubes 510, 520a,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511a.
  • the cross s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511a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510a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coupling of the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520a is performed.
  • the groove 52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gaging projection 511a.
  • coupling protrusions 511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510b
  • coupling grooves 52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520b. You can. When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510b and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520b are alternately arranged, an annular structure can be completed as a whole.
  •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the second square pipe may be further improved than in the case of FIG. 2.
  •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of a coupl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6 (A).
  • a cross-s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611a of the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610a is formed in a step shape, and the coupling portion 621a of the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620a is formed to correspond thereto, thereby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
  •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611b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610b may be formed in an extended bent form once in the step form, and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 The coupling portion 621b of 620b)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is, thereby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611c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610c may be formed in a bent form extending twice from the step shape, and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 ( The coupling portion 621c of 620c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hereto, so that a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a cross-section included in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reference drawing, and a plurality of rectangular cross-sections of a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7 may be combined to complete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of each tube.
  • FIG 8 is a plan view of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us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member 900 includes: a fitting coupling part 910 that is fitted on one of a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s; And a guide portion 92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tting coupling portion 910.
  • the fitting coupling portion 910 is preferably formed in a quadrangular column shape because it is fitted to the square cross-section of each side.
  • the guide portion 9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apered guide plate 921 that narrows in width from top to bottom and an inflow hole 92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plate.
  • the annular cladding and digging temporary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must continuously install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s using a crane (using a steering or punching method), particularly combining The projections must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grooves, but even an experienced crane operator may not be able to install the coupling protrusions correctly in the coupling grooves.
  • the guide member 900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install because it guides the lower end of the square square tube on the side edge for easy coupling.
  • the fitting portion 910 of the guide member 900 is turned to the left side.
  •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square tube 720 on the right side is installed in the stat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square tube 710, installation is facilitated by the guide function of the guide unit 920.
  • the guide memb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with the squar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it is easy to detach and use one guide member 900 even if the squar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is continuously installed using a crane.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 FIG. 10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using an anch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chor member 800 fitted to the bottom of one of a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730 )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anchor member 800 includes a fitting part 810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anchor member so as to be fitted to the lower end of one of the multiple rectangular cross-section square tubes; And an anchor portion 8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ing to the fitting portion 810 and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bottom.
  •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may have different angles at which the inclined side surfaces of some of the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of a plurality of cross-section square angle tubes are inclined. , Whereby the structure can be formed in an oval shape. Such an oval structure can be applied when necessar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11 to 14 is a flow char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provisional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of a trench construction hit a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having a coupling groove along a length direction on one surface.
  •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is performed before the step of hitting the square cross-sec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the first side Welding a square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second rectangular rectangular cross section (S50); Driving a first rectangular cross-section square tube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on one surface (S100); A step of placing a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on which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to a top near the square square tube of the first edge cross-section (S200); Step S300 of engaging the projection of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S300); And a step (S400) of hitting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 step S50 it may be configured to weld each of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and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using four flat plates.
  •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square tube includes installing the first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and the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Measuring the side pressure of the area for the operation (S10);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de pressure (S20); Welding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and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respectively (S50); Driving a first rectangular cross-section square tube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on one surface (S100); A step of placing a second square cross-section square tube on which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to a top near the square square tube of the first edge cross-section (S200); Step S300 of engaging the projection of the second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side cross-section square square tube (S300); And a step (S400) of hitting the second edge
  •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when the side pressure is measured and the side pressur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may be determined to be 10% or less of the total width of the first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or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In contrast, when the side pressure is measured and the side pressur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measured,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may be determined to be 11% or more of the total width of the first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or the second edge cross-section square tube.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nnular cladding and trench construction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cross-section squar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quare square tube of the cross-se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hickness unlike the conventional round steel pipe. It has the effect of designing and apply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ambient side pressure.
  •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nnular cladding and trench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a cross-section angle tube is performed after the step of hitting the square cross-section of the first cross-section, the first edge cross-s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S150) of coupling the guide member to the top of each square tube.
  • the overall construction method is a first side in which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 This construction method ha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because the guide member 900 guides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square tube of the cross-section to facilitate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가물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상기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사다리꼴에서 평행인 두 변 중 길이가 긴 변이 외측에 배치되고, 길이가 짧은 변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본 발명은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이용하는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가물막이란 공사 현장에서 물 또는 토사를 막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해 놓는 시설물로, 주로 H형 빔, 원통형의 파일(pile) 또는 시트 파일(sheet pile)을 천공 또는 항타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토사를 막기 위한 가시설 구조물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외곽에 설치되는 시트 파일(1), 시트 파일(1)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띠장(2), 띠장(2)과 동일 평면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스트럿(3), 지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센터 파일(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시설 구조물은 시트 파일(1)을 이용하기 때문에 강성이 부족하여, 부족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띠장(2), 스트럿(3) 및 센터 파일(4) 등으 부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깊이에 따라 측압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깊이가 깊을수록 띠장(2), 스트럿(3) 및 센터 파일(4)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시설 구조물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띠장(2), 스트럿(3) 및 센터 파일(4) 때문에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시공성이 좋지 못하며, 공기의 단축이 어려워 경제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물막이 관련 특허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22841호(발명의 명칭: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가 있는데, 1열로 설치되는 단일 시트 파일 벽체의 경우 강재의 특성상 벽체의 강성이 취약해 측압에 의한 벽체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버팀재 등을 사용하여 별도 지지 방법을 병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측압이 큰 구역에서는 2열 시트 파일 벽체가 이용되는데, 2열 차수 가물막이 벽체는 시트 파일을 2열로 항타하여 근입시키고 2열의 시트 파일 사이 공간에 차수재로서 주로 양질토(황토흙)나 모래를 차수재(채움재)로 사용하는데, 내부 양질토 투하시 토사의 하중에 의한 양 벽체의 벌어짐 또는 배불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 케이블(tie cable)을 일정 간격으로 좌우 상하결속하여 지지함으로써 시트 파일 벽체의 변형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타이 케이블 공법은 가물막이 벽체가 대부분 수중이나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수중의 경우는 잠수부를 동원한 수중 작업을 시행하여야 하고, 지중에 근입되어 있는 벽체 구간은 현실적으로 어떠한 지지 장치를 할 수 없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1859440호(발명의 명칭: 가물막이 벽체간 연결 수단을 이용한 복합형 강가시설 공법)의 기술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 역시 시트 파일을 이용하기 때문에 충진 공간에 충진재를 충진하여야만 하는 시공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원통형의 파일을 다수 개를 이용하여 가물막이를 시공할 수 있으나, 원통형 파일은 판재를 말아서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그 두께의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고, 측압이 높은 지역에서 강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이용함으로써, 변단면 사각형 각관 사이에 분력(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아치 구조를 채용하여 굴착 깊이에 영향이 거의 없는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띠장, 스트럿 및 중앙 파일 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공간 확보가 유리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확실한 구조 해석이 가능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용접이나 콘크리트 채움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체가 용이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성이 우수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상기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사다리꼴에서 평행인 두 변 중 길이가 긴 변이 외측에 배치되고, 길이가 짧은 변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4개의 평평한 판재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 및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일부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변단면이 기울어진 각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타원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앵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끼움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의 상단의 단면적이 상기 끼움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근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접하는 단계에서, 4개의 평평한 판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을 용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설치하기 위한 지역의 측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미만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0% 이하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이상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1% 이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상단에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 및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이용함으로써, 변단면 사각형 각관 사이에 분력(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아치 구조를 채용하여 굴착 깊이에 영향이 거의 없어 깊이가 깊은 현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띠장, 스트럿 및 중앙 파일 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공간 확보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확실한 구조 해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확실한 구조 해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용접이나 콘크리트 채움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적은 구성요소로 시공이 가능(띠장, 스트럿 및 중앙 파일 등이 필요 없음)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토사를 막기 위한 가시설 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에 포함되는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시공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부재를 이용한 시공 상태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
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해를 돕기 위해 왼쪽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이라 칭하고, 오른쪽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칭함),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210)의 일면(왼쪽면)에는 결합 돌기(211)가 형성되고,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210)의 타면(오른쪽면)에는 결합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220)의 일면(왼쪽면)에는 결합 돌기(221)가 형성되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220)의 타면(오른쪽면)에는 결합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사다리꼴에서 평행인 두 변 중 길이가 긴 변이 외측에 배치되고, 길이가 짧은 변이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환형의 가물막이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위와 같은 결합 구조로 완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이용함으로써, 변단면 사각형 각관 사이에 분력(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아치 구조를 채용하여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종래기술에 비해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가 측압이 높은 지역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측압이 큰 구역에서는 2열 시트 파일 벽체가 이용되는데, 2열 차수 가물막이 벽체는 시트 파일을 2열로 항타하여 근입시키고 2열의 시트 파일 사이 공간에 차수재로서 주로 양질토(황토흙)나 모래를 차수재(채움재)로 사용하는데, 이때 내부 양질토 투하시 토사의 하중에 의한 양 벽체의 벌어짐 또는 배불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 케이블(tie cable)을 일정 간격으로 좌우 상하결속하여 지지함으로써 시트 파일 벽체의 변형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에 의해 시공되고, 이때 각각의 벽체는 2열의 판이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시트 파일이 2열로 배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타이 케이블 및 띠장을 사용하지 않아도 벽체의 변형 및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가 이에 대응되는 결합 홈에 끼움 결합되는데, 이때 결합 홈은 그 자체로 결합 시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공에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며, 결합 후에는 단단한 결합 구조를 유지하여 구조물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우수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4개의 평평한 판재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가물막이 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술 중 하나로, 원통형의 파일을 다수 개를 이용하여 가물막이를 시공하는 방법이 있으나, 원통형 파일은 판재를 말아서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그 두께의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원통형 파일은 판재를 말아서 제작되기 때문에 원통형 파일 전체의 직경은 판재의 두께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즉 원통형 파일 전체의 직경과 판재의 두께는 서로 비례 관계에 있게 된다. 따라서 판재의 두께는 원통형 파일 전체의 직경에 영향을 받게된다.
가령 측압이 높은 지역에서 원통형 파일을 이용하여 가물막이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높은 측압에 의해 높은 지지력의 확보가 필요하며, 높은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판재의 두께가 두꺼울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판재의 두께가 뚜꺼워지면 원통형 파일 전체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가물막이 구조물의 벽체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 내부에 확보되는 공간이 오히려 작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이용하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4개의 평평한 판재의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는 변단면 사각형 각관 전체의 폭(원통형 파일의 직경에 대응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판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측압이 높은 지역에서 종래의 원통형 파일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가물막이 구조물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410a, 420a) 중 하나인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410a)은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411a)가 형성되고,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410a, 420a) 중 하나인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420a)는 결합 돌기(411a)가 내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422a)이 형성될 때,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410a)의 결합 돌기(411a)의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420a)의 결합 홈(422a)이 결합 돌기(411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경우는 도 2의 경우보다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과 제2 사각파이프 사이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410b)의 양측에 결합 돌기(411b)가 형성되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420b)의 양측에 결합 홈(4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410b)와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420b)를 번갈아 배치하면 전체적으로 환형의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a, 520a) 중 하나인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a)은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511a)가 형성되고,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 520a) 중 하나인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520a)는 결합 돌기(511a)가 내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522a)이 형성될 때,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a)의 결합 돌기(511a)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520a)의 결합 홈(522a)이 결합 돌기(511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b)의 양측에 결합 돌기(511b)가 형성되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520b)의 양측에 결합 홈(5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b)와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520b)를 번갈아 배치하면 전체적으로 환형의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경우는 도 2의 경우보다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과 제2 사각파이프 사이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경우는 결합 돌기(411a)가 T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T의 목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결합 돌기(411a)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에 비해 도 5의 경우는 사다리꼴 형태인 결합 돌기(511a)에서 변의 길이가 긴 쪽보다 변의 길이가 짧은 쪽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데, 이때 도 4의 경우보다 결합 돌기(511a)와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a) 사이의 결합 면적(접합 면적)이 더 넓기 때문에, 응력이 집중되어도 도 4에 비해 결합 돌기(511a)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즉, 도 5의 경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510a)와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520a) 사이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결합 돌기(511a)의 변형이나 파손 가능성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결합 구조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610a)의 결합부(611a)의 단면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620a)의 결합부(621a)가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610b)의 결합부(611b)의 단면이 계단 형태에서 한번 연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620b)의 결합부(621b)가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610c)의 결합부(611c)의 단면이 계단 형태에서 두번 연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620c)의 결합부(621c)가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에 포함되는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참고적인 도면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다수 개 결합하여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시공 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900)는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910); 및 끼움 결합부(9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 결합부(910)는 변단면 사각형 각관에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9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가이드판(921) 및 가이드 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홀(922)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연속으로 설치(항타 또는 천공 방식을 이용)해야 하고, 특히 결합 돌기를 결합 홈에 맞추어 설치해야 하는데, 숙련된 크레인 작업자라고 하더라도 결합 돌기를 결합 홈에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가이드 부재(900)를 이용하면 변단면 사각형 각관 하단을 결합이 쉽도록 가이드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왼쪽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7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오른쪽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720)를 설치할 때 가이드 부재(900)의 끼움부(910)를 왼쪽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710) 상단에 끼운 상태에서 오른쪽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720)를 설치하면, 가이드부(920)의 가이드 기능에 의해 설치가 용이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900)는 변단면 사각형 각관과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연속으로 설치하더라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00)를 탈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부재를 이용한 시공 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73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앵커 부재(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앵커 부재(800)는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73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810);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끼움부(810)에 연장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앵커부(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일부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변단면이 기울어진 각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구조물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원형의 구조물은 주변 환경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100);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근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S200);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각각 용접하는 단계(S50);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100);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근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S200);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50 단계에서는 4개의 평평한 판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을 용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설치하기 위한 지역의 측압을 측정하는 단계(S10);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S20);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각각 용접하는 단계(S50);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100);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근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S200);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20 단계에서는,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미만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0% 이하로 결정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이상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1%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원형 강관과 달리 두께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측압에 따라 두께를 달리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상단에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이 S150 단계를 포함할 때 전체적인 시공 방법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100);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상단에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S150);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S210);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S310);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S4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공 방법은 가이드 부재(900)를 이용하여 변단면 사각형 각관 하단을 결합이 쉽도록 가이드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은 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상기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사다리꼴에서 평행인 두 변 중 길이가 긴 변이 외측에 배치되고, 길이가 짧은 변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은 4개의 평평한 판재의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 및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일부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변단면이 기울어진 각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앵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끼움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의 상단의 단면적이 상기 끼움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9.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근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접하는 단계에서,
    4개의 평평한 판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 각각을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설치하기 위한 지역의 측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미만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0% 이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판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압의 측정 결과 소정 수치 이상의 측압이 측정되면, 상기 판재의 두께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 또는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전체 너비의 11% 이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이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상단에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변단면 사각형 각관 중 하나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 및
    상기 끼움 결합부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를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변단면 사각형 각관의 결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변단면 사각형 각관을 항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PCT/KR2019/003913 2018-10-24 2019-04-03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WO20200855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EP19876094.4T FI3872266T3 (fi) 2018-10-24 2019-04-03 Rengasmainen työpato, jossa käytetään kartiomaisia neliöputkia, tilapäinen rakenne kaivosaukon rakentamista varten ja rakennusmenetelmä
JP2021518947A JP7194471B2 (ja) 2018-10-24 2019-04-03 変断面角管を用いた環形囲い堰及び掘削工事仮施設構造物及び施工方法
SG11202103417SA SG11202103417SA (en) 2018-10-24 2019-04-03 Annular cofferdam using tapered square pipes, temporary structure for pit excavatio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17/277,283 US11371204B2 (en) 2018-10-24 2019-04-03 Ring-shaped cofferdam and temporary pit excavation structure using tapered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K19876094.4T DK3872266T3 (en) 2018-10-24 2019-04-03 Annular cofferdam using tapered square pipes, temporary structure for pit excavatio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EP19876094.4A EP3872266B1 (en) 2018-10-24 2019-04-03 Annular cofferdam using tapered square pipes, temporary structure for pit excavatio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45 2018-10-24
KR1020180127445A KR101959691B1 (ko) 2018-10-24 2018-10-24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590A1 true WO2020085590A1 (ko) 2020-04-30

Family

ID=6594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913 WO2020085590A1 (ko) 2018-10-24 2019-04-03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71204B2 (ko)
EP (1) EP3872266B1 (ko)
JP (1) JP7194471B2 (ko)
KR (1) KR101959691B1 (ko)
DK (1) DK3872266T3 (ko)
FI (1) FI3872266T3 (ko)
PT (1) PT3872266T (ko)
SG (1) SG11202103417SA (ko)
WO (1) WO2020085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685A (zh) * 2019-04-16 2019-06-14 沈阳建筑大学 一种带有翼缘的装配式钢桩及其装配方法
KR102118098B1 (ko) * 2019-11-14 2020-06-02 강문기 흙막이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장치
CN113502837B (zh) * 2021-07-10 2022-05-24 中铁一局集团(广州)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砂岩地层围堰引孔防漏渣施工工艺
CN114277819B (zh) * 2021-12-25 2022-10-18 中铁广州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超长co阴阳锁扣钢管桩围堰施工方法
KR102577843B1 (ko) 2022-06-30 2023-09-13 김민혁 기성품 파일을 이용한 가물막이 구조물
KR102657857B1 (ko) 2023-02-28 2024-04-18 김수민 다양한 구조 형성이 가능한 모듈형 가물막이 격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709B1 (ko) * 2004-12-15 2006-09-28 (주) 선암기술연구소 조립식 수밀패킹재
KR20080065333A (ko) * 2007-01-09 2008-07-14 듀라케미 (주) 해안 수중 구조물 공사용 케이슨 장치
KR101022841B1 (ko) 2010-12-27 2011-03-17 송유림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KR101118734B1 (ko) * 2009-10-07 2012-03-12 김준성 조립식 가물막이
KR101255961B1 (ko) * 2011-12-12 2013-04-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CN107217676A (zh) * 2017-07-18 2017-09-29 江苏景源万河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带密封槽及咬合结构的钢筒或钢板桩及钢结构连续墙
KR101859440B1 (ko) 2017-08-30 2018-05-21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물막이 벽체간 연결 수단을 이용한 복합형 강가시설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742A (en) * 1902-10-22 1903-06-23 John W Beaumont Well-lining.
US923975A (en) * 1908-11-21 1909-06-08 Walter D Johnston Concrete block for cribwork and the like.
US3555751A (en) 1968-08-16 1971-01-19 Robert M Thorgusen Expansible construction form and method of forming structures
JPS4816819B1 (ko) * 1968-09-18 1973-05-24
JPS5148498Y2 (ko) * 1973-01-24 1976-11-22
US4202647A (en) * 1976-03-22 1980-05-13 Lamy Jacques E Buoyant base for marine platforms
JPS53101809A (en) * 1977-02-18 1978-09-05 Honshu Shikoku Renrakukiyou Ko Method of making continuous wall of boxxshaped steel sheet piles
US4118941A (en) * 1977-05-16 1978-10-10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Stressed caisson retained island
JPS54162804A (en) * 1978-06-15 1979-12-24 Minoru Kuroda Auxiliary tool for fitting pile and its pile fitting auxiliary method
JPS6014133U (ja) * 1983-07-08 1985-01-30 日本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角型鋼管コンクリ−ト複合壁体パイル
JPS60172849U (ja) * 1984-04-23 1985-11-15 日本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カ−ブ用壁体パイル
JPH01198913A (ja) * 1988-01-30 1989-08-10 Nippon Steel Corp 堤体構築方法
FR2631355B1 (fr) * 1988-05-13 1990-09-07 Doris Engineering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ouvrages en mer et procede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dispositif
NL8902752A (nl) * 1989-11-07 1991-06-03 Darya Paye Jetty Co Ltd Werkwijze voor het maken van een kunstmatige constructie op een waterbodem, zoals een kunstmatig eiland,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volgens de uitvinding en constructie te vervaardigen met en verkregen door toepassing van werkwijze en inrichting volgens de uitvinding.
US5987845A (en) * 1998-05-08 1999-11-23 Laronde; Mark J. Post cover with tongue and groove joint
JP2004324377A (ja) * 2003-04-28 2004-11-18 Kagero Kobosha:Kk 山留め構造
US7628570B2 (en) 2004-02-25 2009-12-08 Trueline, LLC Modular retaining wall
GB0921699D0 (en) 2009-12-11 2010-01-27 Roberts Matthew W L A pile wall system, pile and method of installation
AU2013358895B2 (en) * 2012-12-14 2015-11-12 Mag Tank Hunter, Llc Modular above-ground tank
KR20140135026A (ko) * 2013-05-15 2014-11-25 노지연 콘크리트 파일
US20160138239A1 (en) * 2013-06-05 2016-05-19 Acciona Ingeniería S.A., Caisson
CA3046622C (en) * 2016-12-21 2020-02-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Floating modular protective harbor structure and method of seasonal service extension of offshore vessels in ice-prone environments
KR20180084411A (ko) * 2017-01-17 2018-07-25 이신원 Pcc 구조를 이용한 교각 우물통기초 시공구조
CN107268636A (zh) * 2017-07-18 2017-10-20 江苏景源万河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槽及咬合结构的钢筒或钢板桩构成的连续墙基坑用围护及施工法
CN107326904A (zh) * 2017-08-24 2017-11-07 颜小荣 一种自行无配重静力压桩设备
CN208501718U (zh) * 2018-07-06 2019-02-1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环形沉井结构
KR102011321B1 (ko) * 2018-12-27 2019-10-21 (주)더브릿지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KR102295198B1 (ko) * 2019-03-08 2021-08-31 (주)더브릿지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709B1 (ko) * 2004-12-15 2006-09-28 (주) 선암기술연구소 조립식 수밀패킹재
KR20080065333A (ko) * 2007-01-09 2008-07-14 듀라케미 (주) 해안 수중 구조물 공사용 케이슨 장치
KR101118734B1 (ko) * 2009-10-07 2012-03-12 김준성 조립식 가물막이
KR101022841B1 (ko) 2010-12-27 2011-03-17 송유림 파형강재 또는 절곡강재를 이용한 가물막이
KR101255961B1 (ko) * 2011-12-12 2013-04-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CN107217676A (zh) * 2017-07-18 2017-09-29 江苏景源万河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带密封槽及咬合结构的钢筒或钢板桩及钢结构连续墙
KR101859440B1 (ko) 2017-08-30 2018-05-21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물막이 벽체간 연결 수단을 이용한 복합형 강가시설 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87226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4471B2 (ja) 2022-12-22
EP3872266A4 (en) 2021-12-22
EP3872266B1 (en) 2023-12-20
PT3872266T (pt) 2024-02-20
KR101959691B1 (ko) 2019-03-18
US20210348358A1 (en) 2021-11-11
EP3872266A1 (en) 2021-09-01
SG11202103417SA (en) 2021-05-28
DK3872266T3 (en) 2024-03-11
US11371204B2 (en) 2022-06-28
FI3872266T3 (fi) 2024-03-20
JP2022504425A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85590A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WO2016129826A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WO2016111513A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WO2019059480A1 (ko) 기둥과 보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코어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접합 방법
WO2019054703A1 (ko)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6021811A1 (ko) 선조립 벽체 유니트 및 프레임
WO2010134731A2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WO2012044091A2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WO2009096725A2 (ko) 프리캐스트 가시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WO2019156274A1 (ko) 고장력 볼트의 장력 도입으로 거더 처짐을 제어하는 가설교량 시공 방법
WO2012144699A1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100977206B1 (ko)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WO2016171374A1 (ko)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WO2015009124A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버팀보 연결구조
KR20190132771A (ko) 보강 구조물을 구비한 프리스트레스 빔 및 이를 사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KR102081574B1 (ko) 흙막이 지보공의 띠장 조립체
KR102295198B1 (ko) 각관을 이용한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WO2018080105A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WO2024039010A1 (ko)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WO2024075920A1 (ko) 가이드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WO2024053817A1 (ko)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1059145A1 (ko) 강관 말뚝을 이용한 구조물
WO2019172587A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및 강관 버팀보 조립체
WO2015009126A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WO2013022194A1 (ko) 지중 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60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1894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760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