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32337A1 -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32337A1
WO2020032337A1 PCT/KR2019/001913 KR2019001913W WO2020032337A1 WO 2020032337 A1 WO2020032337 A1 WO 2020032337A1 KR 2019001913 W KR2019001913 W KR 2019001913W WO 2020032337 A1 WO2020032337 A1 WO 20200323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eed
pet
water supply
space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9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동학
천기준
손정호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filed Critical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Priority to JP202150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1533733A/ja
Priority to CN201980060685.XA priority patent/CN112702909A/zh
Priority to US17/258,157 priority patent/US20210195873A1/en
Publication of WO20200323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323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smart ca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smart care system that can care for the pet by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pet.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nion pet smart care system that can reliably care for the pet on the basis of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pet and at the same time supplying the feed and water to the pet through the car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n provid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building provides a pet and pet food and at the same time the pet care device for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et to the external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Smartphone for controlling the pet care device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while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pet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while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et care device ; And transmitting care information for caring for the pet to the smartphon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preset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et care devic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et care device and the smartphone.
  • a companion animal smart care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 the smartphone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in which a car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pet care device is embedded.
  • the care application includes a monitoring menu for confirming the image of the pet, a food service setting menu for reserving the amount and time for feeding and feeding of the pet, an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care application, and And a notification inbox menu for displaying the care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 the monitoring menu includes a video call menu for calling the pet while checking the image of the pet, and a signal for receiving a signal for providing a feed or water to the pet while checking the pet image.
  • a meal menu may be included.
  • the care information may include a safety index for quantifying the safety degree of the pe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 the care application is a parenting diary menu for storing and recording the day and day content of the pe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 at least one of the picture and video, and statistical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he feed and watering for the pet It may further include a feed water statistics menu for displaying.
  • the pet car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P camera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related to the pet, a microphone for acquiring s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sound of the pet, and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It may include a speaker for displaying the user's voice, the main body is installed the IP camera,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case having a feed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eed of the pet and the feed space and the space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water supply space for receiving wat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case and the water supply space
  • the feed supply unit is a feed guide unit disposed inclined downwardly between the feed space and the feed container, a feed moving member for moving the feed introduced into the feed guide to the feed container, and rotating the feed moving member It may include a rotary drive for.
  • One side of the feeding guide may be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feed is introduced from the feeding spac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feeding guide may be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eed introduced into the inlet to the feeding pail.
  • the feed moving member may include a rotary shaft coupled to the rotary driving unit, and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for moving the feed introduced into the inlet while rotating combined with the rotary shaft.
  • the feed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edges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to protect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 the pet care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disposed in the water container to sense the level of water filled in the water container, and a second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the height of the feed filled in the food container. It may include.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ver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case.
  • the cover may include a feed spac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eed space portion, a water supply spac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space, a hinge coupling portion for hinge coupling the feed space cover and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It may include a stopper member for limiting th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 the hing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feed space cover and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and hinged with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 the stopper member may include a stopper body rotatably installed while penetrating the feed space cover, and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uter radial direction of the stopper body in a lower region of the stopper body.
  • the water supply space part cover may not be opened due to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stopper protrusion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Do.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base plat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case, an installation plate spaced upwardly from the base plate, and a support leg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installation plate.
  • the feed supply unit and the feed water supply unit are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plate, the feed supply unit is disposed above the feed container on the basis of the base plate, and the feed water supply unit is based on the base plate. It may be placed above the keg.
  • the pet smart care system monitors the status of the pet through the pet care device and induce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pet even when the user is at a distance from the pet. Provides health benefits.
  • the pet smart care system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and wat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pet care device, even if the user is absent from the building, the feeding and watering operation at a distance By controlling it, it is possible to supply feed and water to pet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t animal smart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t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et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lid of the pet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unit of the pet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eeding unit of the pet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tate of the car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menu of a car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t smart care system may include a pet care device 1000, a smartphone 2000, and a management server 3000.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be disposed inside a building to provide feed and water to the pet and simultaneousl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t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and the smart phone 2000, which are external devices described lat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be driven based on a signal input to the smart phone 2000.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be installed in the room where the pet lives.
  • the companion animal may be a dog, a cat,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other animals.
  • the pet care device 1000 plays a role of emotionally connecting the pet and the user even when the user is outside.
  •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may enable a video call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user by transmitting image data to the smartphone 2000 or receiving image data from the smartphone 2000.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supply the feed or water supply to the pet, and may transmit the sound data of the pet to the smart phone (2000).
  • the pet care device 1000 includes an IP camera 1100, a speaker 1200, a microphone 1300, a main body 1400, and a main board 1500. It may include.
  • the IP camera 1100, the microphone 1300, and the speaker 120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400.
  • the IP camera 1100 may obtain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related to the pet.
  • the IP camera 1100 may capture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t.
  •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feeding or watering state of the pet, and may b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state of the pet.
  • the IP camera 1100 may acquire th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and the intruder inside the indoor space.
  •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IP camera 1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or the smartphone 2000 through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main board 1500.
  • the speaker 1200 may output a voice of a user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2000.
  • the speaker 1200 may output not only user's voice but also acoustic content such as music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2000.
  • the microphone 1300 may acquire sound information including the sound of the companion animal.
  • the sound information may include state information about a sound such as a barking of the companion animal.
  • the soun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icrophone 1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or the smartphone 2000 through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main board 1500.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2000 on the screen.
  • the pet can check the image of the us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obtain psychological stability.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imag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2000).
  • the main body 1400 includes a main body case 1410, a water supply container 1420, a feed container 1430, a water supply unit 1440, and a feed supply unit 1450. It may further include.
  • a space forming unit 1411 may be formed in the body case 1410.
  • the space forming unit 1411 includes a feed space unit 1412 in which feed for feed of the pet is accommodated, a water supply space unit 1413 in which water for water supply of the pet is accommodated, and the feed space unit It may include a partition plate 1414 partitioning the 1414 and the water supply space portion (1413).
  • the main body 14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480 disposed on the main body case 1410.
  • the cover 1480 may include a feed space part cover 14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eed space part 1412, and a water supply space part cover 14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space part 1413.
  • the lid 1480 may include a hinge coupling portion 1148 for hinge coupling the feed space portion cover 1415 and the water supply space portion cover 1416.
  •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4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415a and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1416 formed on one side of the feed space cover 1415, and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1416a which is hinged to the 1415a.
  • the feeding space cover 1415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415a to open the feeding space 1414.
  •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1416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eed space 1414 based on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1416a to open the water supply space 1413.
  • cover 1480 may include a stopper member 1417 for limiting th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1416.
  • the stopper member 1417 may include a stopper body 1417a and a stopper protrusion 1417b.
  • the stopper body 1417a may be seated in a seating recess 1415b recessed in the feed space cover 1415, and may be rotatably installed while penetrating the feed space cover 1415.
  • the mounting recess 1415b has a through hole 1415c through which the stopper body 1417a penetrates.
  • the stopper protrusion 1417b may protrude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stopper body 1417a toward the outer radial direction of the stopper body 1417a.
  • the stopper protrusion 1417b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topper body 1417a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15c.
  • the stopper protrusion 1417b When the stopper protrusion 1417b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1416a due to the rotation of the stopper body 1417a, the stopper protrusion 1417b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1416a of the stopper body 1417a are disposed. Due to interference due to physical contact, the water supply space cover 1416 is not opened.
  •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1416a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 the water supply space part cover 1416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stopper member 1417 even if the pet falls over the pet care device 1000.
  • the discharge of water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 the main body 1400 is a base plate 1418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case 1410, the installation plate 1414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418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base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eg (1490) for connecting the 1418 and the installation plate (1419).
  • the feed supply unit 1450 and the feed water supply unit 1440 are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plate 1419, and the feed supply unit 1450 is more than the feed container 1430 based on the base plate 1418.
  • the water supply unit 1440 may be disposed above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based on the base plate 1418.
  • the feed supply unit 1450 is disposed above the feed container 1430, the feed received in the feed space 1412 can be easily moved to the feed container 1430.
  • the water supply unit 1440 is disposed above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space part 1413 may be easily mov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 the water container 14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141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case 1410.
  •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pace 1414 is fill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 the feeding container 143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141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case 1410.
  • the body case 1410, the feeding container 1430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is formed integrally can be manufactured in a compact device.
  • the water supply unit 1440 is disposed below the space forming unit 1411 and supplies water received in the water supply space 1414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 the feeding unit 1450 is disposed below the space forming unit 1411 and supplies the feed received in the feeding space unit 1412 to the feeding container 1430.
  • the water supply unit 144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case 1410.
  • the water supply unit 1440 suppli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space 1413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1441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410.
  • the water supply unit 1440 may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pipe (not shown) connecting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ump 1441 and the water supply space 1413,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a water supply port. It may include a second water supply pipe (not shown) for connecting (1442b).
  • the water supply unit 144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ort unit 144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1442.
  • the water supply port unit 1442 may further include a port housing 1442a, a water supply port 1442b, a first guide 1442c and a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1442d.
  • the port housing 1442a may be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plate 1418, but may be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water container 1420.
  • the water supply port 1442b may be installed at an inner wall of the port housing 1442a to discharg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pump 1442.
  • the first guide 1442c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port housing 1442a to guid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1442b to flow in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 the feed supply unit 14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410 to supply feed received in the feed space 1412 to the feed container 1430.
  • the feed supply unit 1450 may be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plate 1418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1418.
  • the feed supply unit 1450 may include a feed guide 1451, a feed moving member 1452, and a rotation driving unit 1454.
  • the feeding guide unit 1451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between the feeding space unit 1412 and the feeding container 1430.
  • an inlet 1451a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eeding guide unit 1451 to be connected to the feeding space unit 1412 and to feed the feed from the feeding space unit 1412.
  • the other side of the feed guide unit 1451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451b) connected to the feed container (1430) for the feed introduced into the inlet (1451a) is discharged to the feed container (1430).
  • the feed received in the feeding container 1430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451a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opening 1451b while being guided by the feeding guide 1451 and is supplied to the feeding container 1430.
  • the feed guide unit 145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1451b) to guide the fee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51b) to the feeding container (1430)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1451c.
  • the feed guide 145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1451b) may further include a splash prevention member (1451d) to prevent the feed to be moved to the feed bin (1430) to the outside.
  • the feed moving member 1452 may move the feed received in the feed space 1412 to the feed container 1430.
  • the feed moving member 1452 includes a rotary shaft 1452b coupled to the rotary driving unit 1454, and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for moving the feed introduced into the inlet 1451a while rotating combined with the rotary shaft 1452b ( 1452a).
  • the feeder supply unit 145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1453 formed to surround the edges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452a to protect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452a.
  • the elastic member 1453 protects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452a from feed introduc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452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1451a.
  • the elastic member 1453 plays a buffer role, thereby damaging the rotary blades 1452a. Is prevented.
  • the rotation driving unit 1454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moving member 1452 to rotate the feed moving member 1452.
  • the rotation driving unit 1454 may include a first gear 1454a, a second gear 1454b, and a driving motor 1454c.
  • the first gear 1454a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452b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452b, and the plurality of rotation blades 1452a rotate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452b.
  • the second gear 1454b is gear-coupled with the first gear 1454a, and the first gear 1454a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1454b.
  • the drive motor 1454c is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1454b so that the second gear 1454b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1454c.
  •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unit 1460 and a second sensor unit 1470.
  • the first sensor unit 1460 is disposed in the water container 1420 and detects the level of water supplied to and filled by the water container 1420.
  • the first sensor unit 1460 may be a water level sensor.
  • the controller detects the water supply level by the first sensor unit 1460 so that it is no longer filled.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1441) is stopped.
  • the second sensor unit 1470 is disposed in the feeding container 1430 and detects the height of the feed being filled in the feeding container 1430.
  • an optical sensor may be used for the second sensor unit 1470.
  • the second sensor unit 147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1471 and a light receiving unit 1472.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eed is filled to a certain height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1454.
  • the main board 1500 includes the IP camera 1100, the speaker 1200, the microphone 1300, the display unit, the food supply unit 1450, the water supply unit 1440, and each of them.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s 1460 and 1470.
  • the main board 1500 may include a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unit.
  •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000,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et care devic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user's video information or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speaker 1200. To control.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440 and the feed supply unit 1450 to be driven when a signal for feeding and water supply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000.
  • control unit detects the signals of the first sensor unit 1460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1420 and the second sensor unit 1470 installed in the feed container 1430, the water supply unit 1440 and the The operation of the food supply unit 1450 is controlled.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icrophone 1300 to be driven when a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the dog's sou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000.
  • the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and the user's smartphone 2000 through Wi-Fi (WIFI) inside the building.
  • WIFI Wi-Fi
  •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from the smartphone 2000 or transmi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 the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0.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 control unit may obtain the companion animal-related state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obtained companion animal-related stat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 the smart phone 2000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pe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pe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while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et care device 1000.
  • the smartphone 2000 may control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based on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 the smartphone 2000 is used to control the pet care device 10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may be used.
  • the smartphone 2000 may remotely control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 the user when the user needs to leave the house alone for a long time and leave the animal alone,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pet care device 1000 through the smart phone 2000.
  • the pet can be emotionally stabilized even when the pet is separated from the user.
  • the smartphone 200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in which a care application 2100 for controlling the pet care device 1000 is embedded.
  • the care application 2100 displays the car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00 and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on the smartphone 2000.
  • the car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providing feed and water to the pet,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barking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pet.
  • the care application 2100 includes a monitoring menu 2110, a food service setting menu 2120, an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and a notification receiving menu 2140. It may include.
  • the monitoring menu 2110 is a menu for confirming an image of the pet, and the monitoring menu 2110 includes a video call menu 2111, a random meal menu 2112, and an image confirmation menu 2113. can do.
  • a user conducts a video call with the companion animal while checking the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video call menu 2111.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he speaker 1200, and the microphone 1300 to be driv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or the video call menu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2000, thereby making a video call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user. To be performed.
  • the user can randomly provide the food or water to the pet through the random feeding water menu 2112 while checking the image of the pet.
  • the amount and timing of the food or water provided to the pet may be set in advance, but the user inputs a control signal for feeding or watering the pet to the pet at random through the random food menu. You may.
  •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pet care device is supplied to the feed supply unit 1450 or water supply
  • the unit 1440 may be controlled to supply the feed or water to the pet.
  • the image confirmation menu 2113 is for confirming only the image of the pet, and may include a photographing menu 2113a and a video photographing menu 2113b.
  • the user may take a pic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photo taking menu 2113a and store it in the smartphone 2000.
  • the user may take a video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video recording menu (2113b)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store it in the smart phone 2000.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P camera 1100 to be driven based on the signals of the photo shooting menu 2113a and the video shooting menu 2113b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2000 to the communication unit.
  • the companion animal may b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1100.
  • the user may reserve in advance the quantity and timing of the feeding and watering of the pet through the feeding water setting menu 2120.
  • the smartphone 2000 feeds the food.
  • the control signal for the amount and timing of over watering is transmitted to the pet care device (1000).
  • control unit of the pet care device 1000 is driven by the food supply unit 1450 or the water supply unit 1440 according to the scheduled tim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2000). Control.
  • the user may set the amount of feeding and water supply and how many times a day the feeding water is supplied to the pet through the feeding water setting menu 2112.
  • the user sets the state of the care application 2100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 the user may select an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on the care application 2100 to perform synchronization and account registration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care device 1000 and the smartphone 2000.
  • the user may se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name, weight, age, etc. for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 the user may set the notif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 the user may set the notification message to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when the bark of the companion animal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 the user may store a notification signal for notifying that the reserved meal time of the pet has been reached through the application general setting menu 2130.
  • a user may check the care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notification inbox menu 2140.
  • the user may check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barking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movement of an external invader through the notification inbox menu 2140.
  • a user may check the care information for feeding and watering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notification inbox menu 2140.
  •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et care device 1000 may include the bark interval of the companion animal, the number of bark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number of movement of the pet.
  • the ca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0 may include a safety index 2170 to quantify the safety degree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 the safety index 2170 may be displayed on the care application 2100.
  • the safety index 2170 is displayed on the care application 2100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safety degree of the pet.
  • the safety index may be a valu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et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barking, barking interval, and number of movements of the pet during the day.
  • the care application 2100 may further include a parenting diary menu 2150 and a feed water statistics menu 2160.
  • the parenting diary menu 2150 may store and record at least one of a picture and a video of the day and day of the pe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 the feed water statistics menu 2160 may display statistical data for a period of time with respect to the feeding and water supply for the pet.
  • the amount of feeding and water supply consumed by the pet for one month may be displayed in graphs and tables.
  • the care application 2100 driven by the smart phone 2000 can monitor the companion animal to check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t the same time store the monitored video, the companion through the photo shoot The parenting diary of the animal can be recorded.
  • the care application 2100 can provide a video and voice call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companion animal.
  • the care application 2100 may provide a feed or water supply to the pets at random, and can set and manage the feeding and watering according to the preset reservation information.
  • the management server 30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et care device 1000 and the smart phone 2000 an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preset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et care device 1000, the smart The phone 2000 transmits care information for caring for the companion animal.
  • the management server 3000 may be a cloud-based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anagement server 3000 may be registered with the IP camera 1100, at the same time storing the data related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through the IP camera 1100 the smart phone (2000) Can be sent by
  • the management server 3000 may store image data related to the movement of a mobile object other than the companion animal, for example, an external invader photographed through the IP camera 1100, and the stored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smart phone 2000. ) Can be sent.
  • the management server 3000 may be linked with a Google or Apple notification server, and may transmit a notification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smart phone 2000 through the Google or Apple server.
  • the pet smart care system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feeding and water suppl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pet care device, even if the user is absent from the building by controlling the feeding and watering operation at a distance It can be widely used industrially because it can supply feed and water supp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돌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에게 급식 및 급수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을 안정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사료 및 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반려동물 케어장치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과, 상기 상태정보 및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반려동물을 케어하기 위한 케어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독신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독신 생활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람들의 고독감은 더욱 심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방식을 통하여 고독감을 해소한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기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장생활을 하고 있어 반려동물과 함께 있는 시간이 매우 적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짐으로써 반려동물이 자폐증 혹은 우울증 등의 병에 걸리는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나아가 이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은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의 주인 모두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특히, 보험적용이 되지 않는 동물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는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4-0146806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장치는 단지 주인의 음성 등의 기입력 혹은 설정된 단순한 정보만을 반려동물에게 전달하는 정도로 한정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하여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케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돌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에게 급식 및 급수를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을 안정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에게 사료 및 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반려동물 케어장치;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와 무선통신하면서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그리고,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연결되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 및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반려동물을 케어하기 위한 케어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돌봄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메뉴와, 상기 반려동물의 급식과 급수에 대한 양과 시기를 예약하기 위한 급식수 설정 메뉴와,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와, 상기 케어정보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수신함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메뉴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반려동물과 통화하기 위한 영상통화 메뉴와,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반려동물에게 급식 또는 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임의 급식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정보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안전한 정도를 수치화하는 안전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하루 일과 내용을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저장하여 기록하는 육아일기 메뉴와,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급식 및 급수에 대하여 일정 기간동안의 통계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급식수 통계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는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IP 카메라와, 상기 반려동물의 소리를 포함하는 소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와, 상기 IP 카메라,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반려동물의 사료가 수용되는 급식공간부 및 상기 급식공간부와 구획되며 물이 수용되는 급수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갖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공간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채워지는 급수통과, 상기 본체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급식공간부로부터 배출된 사료가 채워지는 급식통과,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급수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급유닛과,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공간부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식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급유닛은 상기 급식공간부와 상기 급식통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급식안내부와, 상기 급식안내부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급식이동부재와, 상기 급식이동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안내부의 일측에는 상기 급식공간부로부터 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식안내부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식이동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료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급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는 상기 급수통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통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급식통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통에 채워진 사료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급식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급식공간부 덮개와, 상기 급수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급수공간부 덮개와,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힌지결합부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의 개방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결합부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힌지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를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본체와, 상기 스토퍼본체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스토퍼본체의 외측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제2 힌지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돌기와 상기 제2 힌지결합부의 물리적 접촉에 따른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가 개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급식공급유닛과 상기 급수공급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급식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급식통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통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반려동물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진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도 반려동물 케어장치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반려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정신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반려동물 케어장치 상호간에 무선통신을 통해 급식 및 급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부재중이더라도 원거리에서 급식 및 급수 동작을 제어하여 반려동물에게 급식 및 급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주요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덮개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급수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급식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돌봄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봄 어플리케이션의 세부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와, 스마트폰(2000) 및 관리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에게 급식 및 급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무선통신을 통해 후술하는 외부기기인 관리서버(3000) 및 스마트폰(20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상기 스마트폰(2000)에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상기 반려동물이 거주하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은 강아지, 고양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동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사용자가 외부에 있더라도 상기 반려동물과 사용자를 정서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매개 역할을 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스마트폰(2000)으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반려동물과 사용자 간에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상기 반려동물에게 급식 또는 급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반려동물의 소리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IP 카메라(1100)와, 스피커(1200)와, 마이크(1300)와, 본체(1400)와, 메인보드(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400)에는 상기 IP 카메라(1100)와, 상기 마이크(1300) 및 상기 스피커(1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IP 카메라(1100)는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IP 카메라(1100)는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급식 또는 급수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IP 카메라(1100)는 실내 공간 내부의 환경 및 침입자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IP 카메라(110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메인보드(1500)에 구비되는 제어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서버(3000) 또는 스마트폰(20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200)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1200)는 사용자의 음성뿐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수신된 음악 등과 같은 음향 콘텐츠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300)는 반려동물의 소리를 포함하는 소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리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짖음과 같은 소리에 대한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300)에 의하여 획득된 소리정보는 상기 메인보드(1500)에 구비되는 제어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서버(3000) 또는 스마트폰(20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송출되는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400)는 본체케이스(1410)와, 급수통(1420)과, 급식통(1430)과, 급수공급유닛(1440) 및 급식공급유닛(1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410)에는 공간형성부(1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411)는 상기 반려동물의 급식을 위한 사료가 수용되는 급식공간부(1412)와, 상기 반려동물의 급수를 위한 물이 수용되는 급수공간부(1413)와, 상기 급식공간부(1412)와 상기 급수공간부(1413)를 구획하는 구획판(14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400)는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1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1480)는 상기 급식공간부(1412)를 개폐하기 위한 급식공간부 덮개(1415)와, 상기 급수공간부(1413)를 개폐하기 위한 급수공간부 덮개(14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1480)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1415)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힌지결합부(14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1481)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1415)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결합부(1415a)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힌지결합부(1415a)와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141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1415)는 상기 제1 힌지결합부(1415a)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급식공간부(141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는 상기 제2 힌지결합부(1416a)를 기준으로 상기 급식공간부(141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급수공간부(1413)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1480)는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의 개방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1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1417)는 스토퍼본체(1417a)와 스토퍼돌기(14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본체(1417a)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1415)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부(1415b)에 안착되되,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1415)를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부(1415b)에는 상기 스토퍼본체(1417a)가 관통하는 관통홀(141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돌기(1417b)는 상기 스토퍼본체(1417a)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스토퍼본체(1417a)의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돌기(1417b)는 상기 관통홀(1415c)을 관통한 상기 스토퍼본체(1417a)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본체(1417a)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스토퍼돌기(1417b)가 상기 제2 힌지결합부(1416a)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돌기(1417b)와 상기 제2 힌지결합부(1416a)의 물리적 접촉에 따른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힌지결합부(1416a)의 단면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넘어뜨려도 상기 스토퍼부재(1417)에 의해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급식공간부(1412)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돌기(1417b)가 상기 제2 힌지결합부(1416a)의 하부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1416)는 자유롭게 개방된다.
한편, 상기 본체(1400)는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18)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18)에서 상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설치플레이트(1419)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18)와 상기 설치플레이트(1419)를 연결하는 지지레그(1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플레이트(1419) 상에는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과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이 배치되고,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18)를 기준으로 상기 급식통(1430)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18)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통(142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이 상기 급식통(1430)보다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급식공간부(1412)에 수용된 사료가 상기 급식통(1430)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이 상기 급수통(1420)보다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급수공간부(1413)에 수용된 물이 상기 급수통(1420)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통(1420)은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케이스(1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통(142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공간부(1413)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급식통(1430)은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케이스(1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식통(1430)의 내부에는 상기 급식공간부(1412)로부터 배출되는 사료가 채워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케이스(1410)와 상기 급식통(1430) 및 상기 급수통(1420)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의해 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은 상기 공간형성부(14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부(1413)에 수용된 물을 상기 급수통(1420)으로 공급한다.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은 상기 공간형성부(14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공간부(1412)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1430)으로 공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은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은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내부에 배치된 급수펌프(14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급수공간부(1413)에 수용된 물을 상기 급수통(1420)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은 상기 급수펌프(1441)의 일단과 상기 급수공간부(1413)를 연결하는 제1 급수연결관(미도시)과, 상기 급수펌프의 타단과 급수포트(1442b)를 연결하는 제2 급수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은 상기 급수펌프(1441)와 연결된 급수포트부(14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포트부(1442)는 포트하우징(1442a)과, 급수포트(1442b)와, 제1 가이드(1442c) 및 비산방지부재(144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하우징(1442a)은 상기 설치 플레이트(1419)의 하부측에 배치되되 상기 급수통(14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포트(1442b)는 상기 포트하우징(1442a)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펌프(1441)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1442c)는 상기 포트하우징(1442a)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트(1442b)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급수통(142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부재(1442d)는 상기 급수포트(1442b)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급수포트(1442b)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은 상기 본체케이스(14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공간부(1412)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14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8)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설치 플레이트(1419)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은 급식안내부(1451)와, 급식이동부재(1452) 및 회전구동부(1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안내부(1451)는 상기 급식공간부(1412)와 상기 급식통(1430)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식안내부(1451)의 일측에는 상기 급식공간부(1412)와 연결되어 상기 급식공간부(1412)로부터 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451a)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식안내부(1451)의 타측에는 상기 급식통(1430)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451a)로 유입된 사료가 상기 급식통(1430)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451b)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식통(1430)에 수용된 사료는 상기 유입구(1451a)로 유입되어 상기 급식안내부(1451)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배출구(1451b)로 배출되어 상기 급식통(143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식안내부(1451)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급식공간부(1412)로부터 배출된 상기 사료는 상기 급식안내부(1451)의 안내를 받아 상기 급식통(1430)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식안내부(1451)는 상기 배출구(1451b)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1451b)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가 상기 급식통(1430)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145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식안내부(1451)는 상기 배출구(1451b)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급식통(1430)로 이동되는 사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튐 방지부재(145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이동부재(1452)는 상기 급식공간부(1412)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14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급식이동부재(1452)는 상기 회전구동부(1454)와 결합되는 회전축(1452b)과, 상기 회전축(1452b)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1451a)로 유입된 사료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14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은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의 테두리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 탄성부재(1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53)는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와 상기 유입구(1451a)의 내주면 사이로 유입된 사료로부터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를 보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딱딱한 사료가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의 끝단부와 상기 유입구(1451a)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1453)가 완충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회전날개(1452a)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구동부(1454)는 상기 급식이동부재(1452)와 연결되어 상기 급식이동부재(14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동부(1454)는 제1 기어(1454a), 제2 기어(1454b) 및 구동모터(145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454a)는 상기 회전축(1452b)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452b)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1452b)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기어(1454b)는 상기 제1 기어(1454a)와 기어 결합되며, 상기 제2 기어(145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1454a)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454c)는 상기 제2 기어(1454b)와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454c)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기어(1454b)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1454c)가 작동되면, 상기 제2 기어(1454b)가 회전되고 상기 제2 기어(145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1454a)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어(1454a)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급식이동부재(14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1452a)에 의해 상기 유입구(1451a)로 유입된 사료가 급식안내부(1451) 상에서 이동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는 제1 센서부(1460) 및 제2 센서부(1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460)는 상기 급수통(1420)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통(1420)으로 공급되어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제1 센서부(1460)는 수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공간부(1413)에서 상기 급수통(1420)으로 공급되는 물이 일정 높이까지 채워질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1460)에 의해 급수 수위를 감지하여 더 이상 채워지지 않도록 상기 급수펌프(1441)의 작동을 중단한다.
상기 제2 센서부(1470)는 상기 급식통(1430)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통(1430)의 내부에 채워지는 사료의 높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제2 센서부(1470)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1470)는 발광부(1471)와 수광부(14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식공간부(1412)에서 상기 급수통(1420)으로 공급되는 사료가 일정 높이까지 채워지는 동안, 상기 발광부(147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수광부(1472)에서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료가 일정 높이까지 채워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회전구동부(1454)의 작동을 중단한다.
상기 메인보드(1500)는 상기 IP 카메라(1100)와, 상기 스피커(1200)와, 상기 마이크(13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과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 및 각 센서부(1460,14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1500)는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마트폰(200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세부구성들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사용자의 영상 정보 신호나 음성정보 신호가 송출되면 사용자의 영상정보나 음성정보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1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급식 및 급수 정보에 대한 신호가 송출되면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 및 급식공급유닛(1450)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통(1420)에 설치된 제1 센서부(1460) 및 상기 급식통(1430)에 설치된 제2 센서부(147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 및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상기 반려견의 소리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제어신호가 송출되면 상기 마이크(1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통신부는 건물 내부의 와이파이(WIFI)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20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획득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관리서버(30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획득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반려동물 관련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획득된 반려 동물 관련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2000)은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와 무선통신하면서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2000)이 사용된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데스크 탑,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의 통신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2000)은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와 무선통신을 하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장시간 집을 비우고 반려 동물을 홀로 남겨두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2000)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2000)은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이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은 관리서버(30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케어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스마트폰(2000)상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어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에게 급식 및 급수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짖음 및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은 모니터링 메뉴(2110)와, 급식수 설정 메뉴(2120)와,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와, 알림 수신함 메뉴(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메뉴(2110)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로서, 상기 모니터링 메뉴(2110)는 영상통화 메뉴(2111)와, 임의 급식수 메뉴(2112) 및 영상확인 메뉴(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영상통화 메뉴(2111)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반려동물과 영상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에서 송신된 상기 영상통화 메뉴에 대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 스피커(1200) 및 마이크(1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반려동물과 사용자 간에 영상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임의 급식수 메뉴(2112)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에게 임의적으로 급식 또는 급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급식 또는 급수의 양과 시기는 미리 예약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여서 임의로 반려동물에게 급식 또는 급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임의 급식수 메뉴를 통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임의 급식수 메뉴(2112)를 통하여 급식공급유닛 또는 급수공급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반려동물 케어장치에 구비된 제어부는 급식공급유닛(1450) 또는 급수공급유닛(1440)을 제어하여 상기 반려동물에게 급식 또는 급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확인 메뉴(2113)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만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진촬영 메뉴(2113a)와 동영상촬영 메뉴(2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진촬영 메뉴(2113a)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 스마트폰(20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영상촬영 메뉴(2113b)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스마트폰(20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사진촬영 메뉴(2113a) 및 상기 동영상촬영 메뉴(2113b)의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IP 카메라(11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IP 카메라(1100)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급식수 설정 메뉴(212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급식과 급수에 대한 수량과 시기를 미리 예약할 수 있다.
즉,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 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급식수 설정 메뉴(2120)를 선택하고, 상기 반려동물에게 공급되는 급식과 급수에 대한 양과 시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스마트폰(2000)은 급식과 급수의 양과 시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예약된 시간에 맞추어 상기 급식공급유닛(1450) 또는 상기 급수공급유닛(1440)이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급식수 설정 메뉴(2112)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하루에 얼마나 공급할 것인지에 대한 급식 및 급수에 대한 양과, 하루에 몇 번 공급할 것인지에 대한 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루에 공급되는 급식 및 급수의 양을 시간별로 구분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을 통하여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의 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를 선택하여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와 상기 스마트폰(2000) 간에 동기화 및 계정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을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이름, 몸무게 나이 등과 같은 신상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를 통하여 알림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일정시간 짖음이 지속되면 상기 스마트폰 상에서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2130)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예약된 식사시간이 도달했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신호를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알림 수신함 메뉴(2140)를 통하여 상기 케어정보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알림 수신함 메뉴(214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짖음, 외부 침입자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알림 수신함 메뉴(214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급식 및 급수를 위한 상기 케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짖음 간격, 상기 반려동물의 짖음 횟수 및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케어정보는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안전한 정도를 수치화하는 안전지수(2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지수(2170)는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의 구동 시,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 상에 상기 안전지수(2170)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반려동물의 안전한 정도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지수는 하루동안 반려동물의 짖음 횟수, 짖음 간격, 움직임 횟수를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심리상태를 수치화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은 육아일기 메뉴(2150)와 급식수통계 메뉴(2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아일기 메뉴(2150)에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하루 일과 내용을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급식수통계 메뉴(2160)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급식과 급수에 대하여 일정 기간동안의 통계자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급식수통계 메뉴(2160)를 선택하면, 상기 반려동물이 한달 동안 섭취한 급식 및 급수의 양이 그래프 및 표로 표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마트폰(2000)을 통해 구동되는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은 상기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모니터링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진촬영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육아일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은 상기 반려동물과 사용자 간에 영상 및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려동물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2100)은 상기 반려동물에게 임의적으로 급식 또는 급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예약정보에 따라 급식 및 급수를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0)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 및 상기 스마트폰(2000)과 무선연결되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 및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 상기 반려동물을 케어하기 위한 케어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3000)는 클라우드(Cloud) 기반의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관리서버(3000)는 상기 IP 카메라(1100)가 등록될 수 있고, 상기 IP 카메라(11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정보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0)는 상기 IP 카메라(1100)를 통해 촬영된 상기 반려동물 외의 이동체, 예를 들면 외부의 침입자의 움직임 관련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0)는 구글 또는 애플 알림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림을 구글 또는 애플 서버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반려동물 케어장치 간에 무선통신을 통해 급식 및 급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부재중이더라도 원거리에서 급식 및 급수 동작을 제어하여 반려동물에게 급식 및 급수를 공급할 수 있기에 산업상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에게 사료 및 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반려동물 케어장치;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와 무선통신하면서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그리고,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 및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연결되어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 및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반려동물을 케어하기 위한 케어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돌봄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메뉴와, 상기 반려동물의 급식과 급수에 대한 양과 시기를 예약하기 위한 급식수 설정 메뉴와,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일반설정 메뉴와, 상기 케어정보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수신함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메뉴는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반려동물과 통화하기 위한 영상통화 메뉴와, 상기 반려동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반려동물에게 급식 또는 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임의 급식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정보는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안전한 정도를 수치화하는 안전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하루 일과 내용을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저장하여 기록하는 육아일기 메뉴와,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급식 및 급수에 대하여 일정 기간동안의 통계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급식수 통계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는,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IP 카메라;
    상기 반려동물의 소리를 포함하는 소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IP 카메라,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반려동물의 사료가 수용되는 급식공간부 및 상기 급식공간부와 구획되며 물이 수용되는 급수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갖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공간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채워지는 급수통;
    상기 본체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급식공간부로부터 배출된 사료가 채워지는 급식통;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급수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급유닛;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공간부에 수용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식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식공급유닛은,
    상기 급식공간부와 상기 급식통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급식안내부;
    상기 급식안내부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급식이동부재; 및
    상기 급식이동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식안내부의 일측에는 상기 급식공간부로부터 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식안내부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료를 상기 급식통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식이동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료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식공급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장치는,
    상기 급수통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통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급식통에 배치되어 상기 급식통에 채워진 사료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급식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급식공간부 덮개와, 상기 급수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급수공간부 덮개와,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힌지결합부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의 개방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힌지결합부와,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힌지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급식공간부 덮개를 관통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본체와, 상기 스토퍼본체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스토퍼본체의 외측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본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제2 힌지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돌기와 상기 제2 힌지결합부의 물리적 접촉에 따른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급수공간부 덮개가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레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플레이트 상에는 상기 급식공급유닛과 상기 급수공급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급식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급식통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통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PCT/KR2019/001913 2018-08-06 2019-02-18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WO20200323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01329A JP2021533733A (ja) 2018-08-06 2019-02-18 伴侶動物スマートケアシステム
CN201980060685.XA CN112702909A (zh) 2018-08-06 2019-02-18 智能宠物护理系统
US17/258,157 US20210195873A1 (en) 2018-08-06 2019-02-18 Smart pet car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66A KR102108451B1 (ko) 2018-08-06 2018-08-06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2018-0091366 2018-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337A1 true WO2020032337A1 (ko) 2020-02-13

Family

ID=6941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913 WO2020032337A1 (ko) 2018-08-06 2019-02-18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95873A1 (ko)
JP (1) JP2021533733A (ko)
KR (1) KR102108451B1 (ko)
CN (1) CN112702909A (ko)
WO (1) WO20200323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7671A (zh) * 2020-04-28 2020-07-03 杭州嗪皓商贸有限公司 一种避免宠物随意操作的智能陪宠喂食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39B1 (ko) * 2020-03-02 2022-02-24 주식회사 아이비알 반려동물 맞춤형 식수 자동 공급 시스템
KR102658221B1 (ko) * 2020-11-24 2024-04-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스마트 케어 장치
CN113985766B (zh) * 2021-10-15 2022-06-17 中山市海宝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远程控制的水泵在线调控管理系统
CN114900513A (zh) * 2022-04-24 2022-08-12 浙江工业大学 一种远程宠物安全告警系统
KR20240014158A (ko) 2022-07-25 2024-02-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반려동물 음수 케어 장치 및 방법
CN116755378A (zh) * 2023-08-22 2023-09-15 四川华鲲振宇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家居客厅场景下宠物智能监控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502A (ko) * 2009-10-30 2011-05-09 송희영 애완동물용 자동급식장치
KR20130000643A (ko) * 2011-06-23 2013-01-03 장성 애완동물의 자동 급식장치
KR20160091191A (ko) * 2015-01-23 2016-08-02 엠케어시스(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양방향 통신으로 애완 동물과 소통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장치
KR101772630B1 (ko) * 2015-07-21 2017-09-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원격관리 방법
KR20180065399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이앤씨 애완동물 사료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478A (en) * 1975-01-30 1976-03-09 Derek Lane Automatic pet feeding apparatus
US5649499A (en) * 1995-08-08 1997-07-22 Krietzman; Mark H. Animal feeding bowl with protective cover movable by animal
JP2004212544A (ja) * 2002-12-27 2004-07-29 Casio Comput Co Ltd 音声分析結果送信装置、動物用端末装置、音声分析結果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409923B2 (en) * 2005-12-21 2008-08-12 Sung Ho Park Pet food storage and feeder device
JP4876999B2 (ja) * 2007-03-23 2012-02-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小動物用の食事容器装置
US8286588B2 (en) * 2009-04-22 2012-10-16 Sung Ho Park Automatic pet food dispensing device
WO2011109812A2 (en) * 2010-03-05 2011-09-09 Federal Molding Corp Food dispensing container
US9615547B2 (en) * 2011-07-14 2017-04-11 Petpace Ltd. Pet animal collar for health and vital signs monitoring, alert and diagnosis
US8656862B2 (en) * 2011-10-25 2014-02-25 Navin Manickchan Automatic animal feeding and watering device
US9226477B2 (en) * 2012-06-02 2016-01-05 Andrew Peter Davis Internet can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40146806A (ko) 2013-06-18 2014-12-29 이동환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6438476B2 (ja) * 2013-08-13 2018-12-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ペット監視及び給餌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給餌装置
US20150373945A1 (en) * 2014-06-26 2015-12-31 Zillians Incorporated Smart Animal Feeder
KR20160005456A (ko) * 2014-07-07 2016-01-15 배보현 동물의 활동량에 따른 자동 사료조절 방법 및 시스템
RU2694196C1 (ru) * 2014-07-08 2019-07-09 Нестек Са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здоровью, питанию и/или благополучию животных
KR101901995B1 (ko) * 2016-12-27 2018-09-2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체내 체류형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 공급 시스템
WO2018135993A1 (en) * 2017-01-23 2018-07-26 Delaval Holding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animal feeding management
US20180295808A1 (en) * 2017-04-13 2018-10-18 Thirstypet Llc Intelligent water dispensing system for pets
CN107094639A (zh) * 2017-05-05 2017-08-29 瑞派宠物医院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宠物智能喂食机器人的转动式定量食盘及其控制方法
CN107410063A (zh) * 2017-07-20 2017-12-01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控制方法及物联网服务器
WO2019058311A1 (en) * 2017-09-21 2019-03-28 Ndlovu Tshepo DOMESTIC ANIMAL FEEDING DEVICE
CN108207683A (zh) * 2018-01-31 2018-06-29 四川思诺创意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健康分析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502A (ko) * 2009-10-30 2011-05-09 송희영 애완동물용 자동급식장치
KR20130000643A (ko) * 2011-06-23 2013-01-03 장성 애완동물의 자동 급식장치
KR20160091191A (ko) * 2015-01-23 2016-08-02 엠케어시스(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양방향 통신으로 애완 동물과 소통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장치
KR101772630B1 (ko) * 2015-07-21 2017-09-1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원격관리 방법
KR20180065399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이앤씨 애완동물 사료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7671A (zh) * 2020-04-28 2020-07-03 杭州嗪皓商贸有限公司 一种避免宠物随意操作的智能陪宠喂食设备
CN111357671B (zh) * 2020-04-28 2022-03-29 山东一贯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避免宠物随意操作的智能陪宠喂食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02909A (zh) 2021-04-23
KR102108451B1 (ko) 2020-05-13
US20210195873A1 (en) 2021-07-01
KR20200016087A (ko) 2020-02-14
JP2021533733A (ja)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32337A1 (ko)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WO2018105836A1 (ko)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15072619A1 (ko)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WO2018221758A1 (ko)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18048118A1 (en)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WO2018221757A1 (ko)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18147556A1 (ko) 애완동물용 제어장치
SG43694A1 (en) Remotely initiated telemetry calling system
WO2020166917A1 (ko)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100686436B1 (ko) 텔레비전전화 감시시스템
WO2013151298A1 (en)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WO2013108993A1 (ko) 착유기 자동 점검 장치 및 방법
WO2020027606A1 (ko) 양방향 영상 통화가 가능한 tv 시청 제어 장치
WO2017130330A1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22186469A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2305600A (ja) ペット監視システム及びペット監視装置
JPH08287383A (ja) 監視カメラ連動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WO2020022754A1 (en) Smart thea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72599A1 (ko)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JP3731563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WO2020032315A1 (ko) 봉사료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0184758A1 (ko) 로봇
JP6322595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170011370A (ko)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TW201946427A (zh) 對講機系統、控制方法及電腦程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48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0132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48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