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2599A1 -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2599A1
WO2021172599A1 PCT/KR2020/002601 KR2020002601W WO2021172599A1 WO 2021172599 A1 WO2021172599 A1 WO 2021172599A1 KR 2020002601 W KR2020002601 W KR 2020002601W WO 2021172599 A1 WO2021172599 A1 WO 20211725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module
black box
signal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26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용덕
Original Assignee
박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덕 filed Critical 박용덕
Priority to PCT/KR2020/0026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72599A1/ko
Publication of WO20211725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25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현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 및 현관문의 개폐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영상신호를 지정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 전방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부를 물리적으로 가리는 차단모듈이 더 구비되고, 한편, 상기 감지모듈의 신호는 신호전달부를 통해 제어부 및 차단모듈에 일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중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본 발명은 가정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문의 개방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영역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온라인 쇼핑 및 주문 배달 앱 등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택배 및 음식 배달 등을 위한 불특정 다수의 가정 방문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배달 또는 택배 기사로 위장한 범죄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위장 범죄뿐만 아니라, 범죄의 의도가 없었음에도 집안에 진입 후 여성 또는 노약자 혼자 임을 확인한 후에 우발적인 범죄를 일으키는 일 또한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혼자 사는 여성인 경우 또는 아이들만 있는 경우에 위와 같은 배달 및 택배 등을 가장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인도 퇴근 후 배송서비스 업무를 하거나 심지어 범죄 전과자도 쉽게 배달서비스 취업이 가능하여 이로 인해 언제 누가 올지를 모르는 불특정 방문객 등에 대한 불안감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내의 출입자 감시를 위한 CCTV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 현관 감시용 CCTV는 모두 현관문 외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현관문 개방 전에 방문자를 확인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해서는 벽면 고정을 위해 별도의 설치공사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 CCTV 설비가 없는 경우 세입자가 추가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와 각 가정마다 설치가 어렵고 거리나 각도 등에 따라 촬영에 한계가 있으며, 현관 도어벨인 초인종 등에 장착된 방문객 확인용 CCTV는 현관문이 개방된 이후에는 촬영이 중단되거나 현관 외부 전면만 촬영이 되므로 현관문 개방 이후에 현관 도어 안팎이나 현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상황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비록 실내를 감시하고 촬영하기 위한 홈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부재 시 거실이나 침실 등에 설치되어 상시 녹화 또는 모션 감지 등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해킹에 의한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도 제약이 따른다.
또한, 기존 외부 현관 감시용 CCTV는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움직임에 대응한 촬영이 가능하지만, 문 개방에 따른 실제 방문객인지 단순히 이웃 등의 지나가는 사람인지 또는 동물인지 등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어, 무조건 촬영이 진행되므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와 외부 촬영에 대한 이웃의 거부감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현관문의 개방 시에만 소정 시간 작동하고 현관문으로부터의 실내 안팎을 함께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불특정 다수의 방문객에 의한 사고를 예방 및 대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블랙박스가 현관문에 부착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현관문에 부착된 센서부와 분리되어 집안에 설치되는 카메라 촬영부로 구성되어 현관문 출입 신호를 통해 거주자가 외출 시에만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됨으로써 해킹 등에 의한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현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 및 현관문의 개폐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영상신호를 지정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 전방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부를 물리적으로 가리는 차단모듈이 더 구비되고, 한편, 상기 감지모듈의 신호는 신호전달부를 통해 제어부 및 차단모듈에 일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중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모듈은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는 현관 문틀에 부착되어 현관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센서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현관문의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현관문 출입자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모듈을 촬영 준비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 발생 이후에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현관문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 보다 상기 접촉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모듈은 변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의 개방시 상기 현관문이 현관 문틀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현관문의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현관문 출입자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모듈을 촬영 준비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 발생 이후에 상기 변위센서에 의해 현관문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 보다 상기 변위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모듈은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가 상기 신호전달부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는 경우, 경보음 발생 및/또는 기 설정된 연락처로 경보 메시지 전송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와이파이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촬영 영상 및 현관문의 개폐 정보는 상기 송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앱과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이 현관문 내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장착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착탈식 거치대, 밸크로나 흡착판 등을 이용하여 현관문틀 또는 현관문의 내측에 부착되므로,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고정 작업이 불필요하고, 설치 후 제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세입자인 경우에도 설치가 자유롭고 이사 등의 경우에도 이전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외부 방문자용 CCTV 설비가 없는 가정이라도 별도의 설비나 추가설치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출입 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현관문의 개방 시에만 동작하므로 전기 소모가 매우 적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종래의 집안 및 집밖에 설치되던 상시 촬영용 CCTV 또는 모션감지형 CCTV와 달리 실제 현관문 개방 시에만 작동되어 소정 시간 동안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기 소모가 매우 적어 종래의 충전용 배터리 만으로도 충분히 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연결이 필요 없으므로 설치 위치가 매우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셋째, 물리적인 카메라 차단모듈이 구비되어 해킹에 의한 사생활 침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촬영이 진행되지 않을 때, 차단모듈이 카메라의 렌즈부를 가려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CCTV 카메라는 해킹에 의해 원하지 않는 위치 및 시간에 촬영이 수행되고, 그 촬영 데이터가 해커들에게 탈취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네트워크 연결된 카메라를 해킹이 발생한 경우에도 네트워크와 분리된 별도의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에만 동작하는 차단모듈에 대한 해킹은 불가능하므로, 해킹에 의한 불법적인 촬영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블랙박스의 작동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는 사용자 휴대폰과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모바일 앱을 통해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블랙박스의 촬영시간, 부재 일정 설정, 마이크 작동 설정, 네트워크 설정 등 각 기능과 사용 옵션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앱을 통해 영상 또는 음성의 자동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음성 분석은 앱 설정을 통해 사전에 마이크 동작 설정 시 입력된 음성 명령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시지와 연락처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 분석은 얼굴인식기능을 가진 카메라센서 등을 이용 블랙박스 내부 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로부터 송신된 영상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후 또는 저장과 동시에 클라우드 내 분석 서버에 의해서도 그 영상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가 현관문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차단모듈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접촉센서와 하우징이 별도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가 현관문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에 있어서 차단모듈을 나타내는 구조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블랙박스 10: 현관문
11: 현관문틀 100: 하우징
200: 감지모듈 210 : 접촉센서
220 : 변위센서 230 : 모션센서
240 : 신호전달부 300: 카메라모듈
310: 렌즈부 320: 구동부
400: 차단모듈 500: 제어부
600: 메모리부 700: 송신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의 문틀(11)에 부착되어 집안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하우징(100), 감지모듈(200), 카메라모듈(300), 차단모듈(400), 제어부(500), 메모리부(600) 및 송신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0)은 박스 형태로 구성되되, 내부에 카메라모듈(3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부에는 부착부(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부(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이 현관문(10) 내측 또는 현관문틀(11)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부(11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관문(10) 또는 현관문틀(11)은 방화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철로 구성되는데, 상기 부착부(110)를 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체결 장치 없이도 상기 하우징(100)을 현관문(10) 내측 또는 현관문틀(11)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110)는 자석 외에도 밸크로나 흡착판, 또는 착탈식 거치대와 같이 별도의 고정 작업이 불필요하여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모듈(2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의 개방 시에만 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에는 현관문(1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모듈(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모듈(200)은 접촉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센서(210)는 현관문틀(11)에 부착되어 현관문(10)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센서(210)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현관문(10)의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관문(10)은 현관문틀(11) 내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현관문틀(11)은 현관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양측면 중 현관문(10)을 향한 일측면에 접촉센서(210)를 구비하게 되면, 현관문(10)이 개방되는 경우 현관문(10)에 밀착되어 닫혀있던 상기 접촉센서(210)가 열림 상태로 변경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촉센서(210)에서 현관문(10)이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여 현관문(10) 개방 신호를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 내의 신호전달부(24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신호전달부(240)는 현관문(10)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제어부(500) 및 차단모듈(400)에 전달하여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현관문(10)을 향한 하우징(100) 일측면에 접촉센서(210)가 구비되는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현관문(10)의 개방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일측에 변위센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현관문(10)이 개방되는 경우 현관문(10)이 현관문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현관문(10)의 개방 신호가 상기 신호전달부(240)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지모듈(200)은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센서(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230)가 구비된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의 개방 시 현관 내부를 촬영하게 되는데, 외출 또는 방문객에 의한 현관문(10) 개방 시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와 귀가 시에 촬영되는 경우가 있다.
먼저, 외출 또는 방문객에 의한 현관문(10) 개방 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현관문(10) 개방을 위해 사람이 현관문(10)에 접근하게 되면,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모션센서(230)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신호전달부(240)가 이를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모션센서(230)의 신호에 따라 절전 상태에 있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를 스탠바이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후, 접촉센서(210)에 의해 현관문(10)의 개방이 감지되면 신호전달부(240)는 차단모듈(400)에 개방 신호를 보내고, 동시에 제어부(500)에 현관문 개방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현관문(10) 내부에 대한 촬영이 진행된다.
이하, 귀가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모션센서(230)에 의한 신호 감지 후 접촉센서(210)에 의한 현관문(10) 개방 신호가 발생한 후 더 이상 모션센서(230)에 의한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외출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모션센서(230)의 선행 감지 없이 현관문(10)이 먼저 개방되어 접촉센서(210)에 의한 개방 신호가 신호전달부(240)에 전송되는 경우, 이를 귀가 모드로 인식하되, 차단모듈(400) 및 제어부(500)에 각각 개방 및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외출, 방문객 및 귀가의 출입 정보는 메모리부(6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특히 1인 가구인 경우 이러한 외출, 귀가 모드 등에 대한 설정과 옵션 사용을 통해 해당 모드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해진 동작은 집안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과 연동하여 전등을 소등/점등 하거나 AI 스피커를 동작시키는 등의 동작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우징(100)이 현관문(10) 내측 또는 현관문틀(11)에 부착되고, 접촉센서(210)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현관문(10)의 개방 방향에 따라서는 상기 카메라모듈(30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이 현관문(10)의 상부 벽 또는 현관문틀(11)의 상부나 측면 상단의 경첩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변위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또는 하부에서 바닥면의 거리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이 현관문(10)의 상부 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변위센서가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있고, 상기 현관문(10)이 내측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변위센서가 측정하던 바닥면의 거리가 상기 현관문(10)에 의해 변화되어 현관문(1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접촉센서(210)가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경우를 살펴보았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센서(210) 는 상기 하우징(10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접촉센서(210)는 현관문틀(11)에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300), 차단모듈(400), 제어부(500), 메모리부(600) 및 송신부(70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은 현관문(10)의 내측 또는 현관문(10)의 상부 벽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현관문(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0)이 집안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현관문(10)을 바라보는 방향 외에도 집안 내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소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션센서(230)는 상기 접촉센서(210)와 같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도록 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촉센서(210) 및 모션센서(230)의 센싱 정보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통신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카메라모듈(3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 안쪽의 집안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상기 카메라모듈(300)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300)에는 렌즈 구동부(32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렌즈 구동부(320)는 상기 렌즈부(310)를 상하 좌우 및 전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부(6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동시에 송신부(700)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송신부(7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네트워크가 단절된 경우 촬영 영상은 상기 메모리부(600)에만 저장되고, 네트워크가 복구되면 상기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영상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는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하우징(100)의 전방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영상에 마이크를 통한 음성 정보가 기록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차단모듈(400)에 대해 살펴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CCTV는 해킹 등에 의한 불법 영상촬영 및 영상 탈취에 따른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접촉센서(210)의 감지 신호에 따른 신호전달부(240)의 전달 신호에 의해서만 차단모듈(400)이 개방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가 차단모듈(400)에 의해 물리적으로 가려짐으로써, 설사 해킹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차단모듈(400)에 의해 집안 내부를 촬영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모듈(400)은 서보모터(410) 및 상기 서보모터(410)의 회전축에 연결된 가림막(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410)는 상기 제어부(500)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가림막(420)을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모듈(400) 및 제어부(500)는 상기 접촉센서(210) 및 모션센서(230)의 감지 신호가 신호전달부(240)에 의해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전달부(240)에 의한 차단모듈(400)의 개방 신호 및 제어부(500)에 대한 촬영 개시 신호는 일방향의 입력신호로만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킹에 의해 카메라모듈(300)이 임의로 동작되어 영상이 촬영된다고 하더라도, 제어부(500)를 통해 차단모듈(400)을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해킹에 의한 불법적인 영상 촬영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500), 메모리부(600) 및 송신부(70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500)는 신호전달부(240)와 연결되어 접촉센서(210) 및 모션센서(230)에 의한 감지 신호를 상기 신호전달부(240)로부터 일방향으로 전달 받아 카메라모듈(300)의 촬영을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촬영 개시 이후 소정 시간 동안만 촬영이 수행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300)을 제어한다.
상기 신호전달부(240)에 의한 상기 차단모듈(400)의 개방 신호는 상기 카메라모듈(300)의 촬영 시간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촬영 시간은 3분 내지 5분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의한 촬영 영상은 상기 메모리부(600)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600)에 저장되는 촬영 영상은 상기 송신부(700)를 통해 저장과 동시에 미리 등록해 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송신부(700)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전원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의 개방 시에만 소정 시간 동작하므로 전기의 사용량이 매우 적어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한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는 교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주기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며, 배터리의 가용량이 기 설정해둔 기준 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 배터리 부족 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를 통해 카메라 영상과 함께 음성을 저장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해둔 단어, 예를 들면 '도와줘', '살려줘', '경찰서' 등과 같은 단어를 인식한 경우 기 설정된 연락처 또는 경찰서 등으로 문자 또는 전화연결 등을 통해 위험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내부에는 충격감지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탈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가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제어부(500)에 전달되고, 이후 기 설정된 경보음 발생 또는 특정 연락처로 경보 메시지 전송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가 단말기 앱을 통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틀(11)에 설치된다.
현관문(10)이 개방되면 접촉센서(210)에 의해 현관문(10)이 개방되었다는 신호가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차단모듈(400)과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신호전달부(240)로부터 현관문(10)의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카메라모듈(300)에 촬영 개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차단모듈(400)은 신호전달부(240)의 개방 신호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300)은 제어부(500)의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는 구동부(320)에 의해 기 설정된 위치 및 각도로 카메라를 이동시킨 후 촬영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에 모션센서(230)가 구비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외출 또는 방문객에 의한 현관문(10) 개방 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현관문(10) 개방을 위해 사람이 현관문(10)에 접근하게 되면,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구비된 모션센서(230)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는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모션센서(230)의 신호에 따라 절전 상태에 있는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를 스탠바이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후, 접촉센서(210)에 의해 현관문(10)의 개방 신호가 신호전달부(240)에 전달되면, 신호전달부(240)는 차단모듈(400)에 개방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제어부(5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귀가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모션센서(230)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후, 접촉센서(210)에 의한 현관문(10) 개방 신호가 발생한 후 더 이상 모션센서(230)에 의한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에 외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모션센서(230)의 선행 감지 없이 접촉센서(210)에 의한 현관문(10)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귀가 모드로 인식하되,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촬영을 수행하도록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차단모듈(400)과 제어부(500)에 차단모듈(400)의 개방 및 촬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출, 방문객 및 귀가의 출입 정보는 메모리부(6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접촉센서(210) 및 모션센서(230)가 현관문틀(11)에 설치되고, 카메라모듈(300) 및 제어부(500) 등을 포함하는 하우징(100)은 상기 접촉센서(210) 및 모션센서(230)와 분리되어 집안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접촉센서(210) 및 모션센서(230)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외출 중 집안 내부의 소정 영역을 촬영하고, 귀가 시에 촬영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부(6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송신부(700)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600)에 저장되는 영상은 클라우드 서버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삭제되거나, 메모리가 다 사용될 때까지 보관되되, 이후 영상에 의해 덮어쓰기(overwrite)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송신부(700)와 서버간 네트워크 단절 시에는 네트워크가 복구되어 서버로 전송되기 전까지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부(70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로 구성되거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과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앱에는 카메라의 동작 개시 후 촬영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휴가, 출장 등 장기간 부재 시 부재 기간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재 기간 설정이 없이 출입 기록이 장기간 없는 경우, 기 설정된 연락처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알림 확인 설정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앱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확인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비교하여 경보 메시지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단어들을 설정할 수 있는 경보 메시지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마이크를 통해 녹음된 음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메시지 전송, 경보음 발생 등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제2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집안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도 1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하우징(100), 감지모듈(200), 카메라모듈(300), 차단모듈(400), 제어부(500), 메모리부(600) 및 송신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하우징(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하우징(100)은 박스형태로 구성되되, 내부에 카메라모듈(3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부에는 부착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부착부(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이 현관문(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부(11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관문(10)은 방화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철로 구성되는데, 부착부(110)를 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체결 장치 없이 현관문에 하우징(100)을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110)로 흡착판 및 벨크로 등의 탈부착 가능한 고정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고, 현관문 상단에 선반 역할을 하는 거치대를 설치하여 블랙박스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감지모듈(2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10)의 개방 시에만 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에는 현관문(1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모듈(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모듈(200)은 변위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위센서(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10)의 개방시 상기 현관문(10)이 현관문틀(11)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현관문(10)의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관문(10)은 현관문틀(11) 내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현관문틀(11)은 현관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양측면 중 개방부를 향한 일측면에 변위센서(220)를 구비하게 되면, 현관문(10)이 개방되는 경우 현관문(10)의 일측이 현관문틀(11)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때 하우징(100) 일측면에 구비된 변위센서(220)는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현관문 개방 신호를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 내의 신호전달부(24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신호전달부(240)는 현관문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제어부(500) 및 차단모듈(400)에 전달하여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현관문의 개방부를 향한 하우징(100) 일측면에 변위센서(220)가 구비된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현관문의 힌지부를 향한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변위센서(220)를 구비할 수도 있고, 현관문의 개방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면 모두에 변위센서(220)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감지모듈(200)은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센서(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210)가 구비된 경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의 개방시 현관 내부를 촬영하게 되는데, 외출 또는 방문객에 의한 문 개방시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와 귀가 시에 촬영되는 경우가 있다.
먼저 외출 또는 방문객에 의한 현관문 개방 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현관문 개방을 위해 사람이 현관문에 접근하게 되면,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구비된 모션센서(210)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신호전달부(240)가 이를 제어부 (5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모션센서(210)의 신호에 따라 절전 상태에 있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를 스탠바이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후 변위센서(220)에 의해 현관문의 개방이 감지되면 신호전달부(240)는 차단모듈(400)에 개방 신호를 보내고, 동시에 제어부(500)에 현관문 개방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현관문 내부에 대한 촬영이 진행된다.
이하, 귀가 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모션센서(210)에 의한 신호 감지 후 변위센서(220)에 의한 현관문 개방 신호가 발생한 후 더 이상 모션센서(210)에 의한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외출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모션센서(210)의 선행 감지 없이 현관문이 먼저 개방되어 변위센서(220)에 의한 개방 신호가 신호전달부(240)에 전송되는 경우 이를 귀가 모드로 인식하되 차단모듈(400) 및 제어부(500)에 각각 개방 및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외출, 방문객 및 귀가의 출입 정보는 메모리부(6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특히 1인 가구인 경우 이러한 외출, 귀가 모드 등에 대한 설정과 옵션 사용을 통해 해당 모드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해진 동작은 집안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과 연동하여 전등을 소등/점등 하거나 AI스피커를 동작시키는 등의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카메라모듈(3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 안쪽의 집안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상기 카메라모듈(300)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는 하우징(100)의 전면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300)에는 렌즈 구동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 구동부(320)는 상기 렌즈부(310)를 상하 좌우 및 전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부(600)에 저장되고, 동시에 송신부(700)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된다. 다만, 송신부(700)와 클라우드 서버 간에 네트웍이 단절된 경우 촬영 영상은 메모리부(600)에만 저장되고, 네트웍이 복구되면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영상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는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하우징(100)의 전방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촬영 영상에 마이크를 통한 음성 정보가 기록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차단모듈(400)에 대해 살펴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CCTV는 해킹 등에 의한 불법 영상촬영 및 영상 탈취에 따른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변위센서(220)의 감지 신호에 따른 신호전달부(240)의 전달 신호에 의해서만 차단모듈(400)이 개방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가 차단모듈(400)에 의해 물리적으로 가려짐으로써 설사 해킹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더라도 차단모듈(400)에 의해 집안 내부를 촬영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모듈(400)은 서보모터(410) 및 상기 서보모터(410)의 회전축에 연결된 가림막(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410)는 제어부(500)의 신호에 의해 상기 가림막(420)을 회전시켜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모듈(400) 및 제어부(500)는 변위센서(220) 및 모션센서(210)의 감지 신호가 신호전달부(240)에 의해 전달되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호전달부(240)에 의한 차단모듈(400)의 개방 신호 및 제어부(500)에 대한 촬영 개시 신호는 일방향의 입력신호로만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해킹에 의해 카메라모듈(300)이 임의로 동작되어 영상이 촬영된다고 하더라도, 제어부(500)를 통해 차단모듈(400)을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해킹에 의한 불법적인 영상 촬영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500), 메모리부(600) 및 송신부(70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500)는 신호전달부(240)와 연결되어, 변위센서(220) 및 모션센서(210)에 의한 감지 신호를 상기 신호전달부(240)로부터 일방향으로 전달 받아 카메라모듈(300)의 촬영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촬영 개시 이후 소정 시간 동안만 촬영이 수행되도록 카메라모듈(300)을 제어한다. 신호전달부(240)에 의한 차단모듈(400)의 개방 신호는 카메라모듈(300)의 촬영 시간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촬영 시간은 3분 내지 5분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의한 촬영 영상은 메모리부(600)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600)에 저장되는 촬영 영상은 송신부(700)를 통해 저장과 동시에 미리 등록해 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부(700)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전원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1000)는 현관문의 개방 시에만 소정 시간 동작하므로 전기의 사용량이 매우 적어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한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는 교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주기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의 가용량이 기 설정해둔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 배터리 부족 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를 통해 카메라 영상과 함께 음성을 저장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해둔 단어, 예를 들면 '도와줘', '살려줘', '경찰서' 등과 같은 단어를 인식한 경우 기 설정된 연락처 또는 경찰서 등으로 문자 또는 전화연결 등을 통해 위험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내부에는 충격감지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탈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가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제어부(500)에 전달되고, 이후 기 설정된 경보음 발생 또는 특정 연락처로 경보메세지 전송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가 단말기 앱을 통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다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블랙박스(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10) 내측 상단에 설치된다.
현관문(10)이 개방되면 변위센서(220)에 의해 현관문이 개방되었다는 신호가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차단모듈(400)과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신호전달부(240)로부터 현관문(10)의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카메라모듈(300)에 촬영 개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차단모듈(400)은 신호전달부(240)의 개방 신호에 의해 개방된다.
한편, 카메라모듈(300)은 제어부(500)의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을 시작한다. 이때, 카메라모듈(300)의 렌즈부(310)는 구동부(320)에 의해 기 설정된 위치 및 각도로 카메라를 이동시킨 후 촬영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에 모션센서(210)가 구비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외출 또는 방문객에 의한 현관문 개방 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현관문 개방을 위해 사람이 현관문에 접근하게 되면,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구비된 모션센서(210)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는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제어부(500)에 전달된다. 제어부(500)는 상기 모션센서(210)의 신호에 따라 절전 상태에 있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를 스탠바이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후 변위센서(220)에 의해 현관문의 개방 신호가 신호전달부(240)에 전달되면, 신호전달부(240)는 차단모듈(400)에 개방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제어부(5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촬영을 진행한다.
귀가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모션센서(210)에 의한 신호 감지 후 변위센서(220)에 의한 현관문 개방 신호가 발생한 후 더 이상 모션센서(210)에 의한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외출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모션센서(210)의 선행 감지 없이 변위센서(220)에 의한 현관문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귀가 모드로 인식하되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촬영을 수행하도록 신호전달부(240)를 통해 차단모듈(400)과 제어부(500)에 차단 모듈의 개방 및 촬영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외출, 방문객 및 귀가의 출입 정보는 메모리부(6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촬영 영상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부(6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송신부(700)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된다. 메모리부(600)에 저장되는 영상은 클라우드 서버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삭제되거나 메모리가 다 사용될 때까지 보관되되 이후 영상에 의해 덮어쓰기(overwrite)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송신부(700)와 서버간 네트웍 단절시에는 네트웍이 복구되어 서버로 전송되기 전까지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부(70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1000)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과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앱에는 카메라의 동작 개시 후 촬영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휴가, 출장 등 장기간 부재시 부재 기간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재 기간 설정이 없이 출입 기록이 장기간 없는 경우 기 설정된 연락처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알림확인설정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앱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확인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에는 블랙박스(10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비교하여 경보메세지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 단어들을 설정할 수 있는 경보메세지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랙박스(1000)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마이크를 통해 녹음된 음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메시지 전송, 경보음발생 등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며, 현관문의 개방 시에만 동작하므로 전기의 소모가 매우 적고, 물리적인 카메라 차단모듈이 구비되어 해킹에 의한 사생활 침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블랙박스의 작동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용 블랙박스의 분야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모듈;
    현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 및 현관문의 개폐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의 영상신호를 지정된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 전방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부를 물리적으로 가리는 차단모듈이 더 구비되고,
    한편, 상기 감지모듈의 신호는 신호전달부를 통해 제어부 및 차단모듈에 일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차단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중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는 현관 문틀에 부착되어 현관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센서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현관문의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현관문 출입자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모듈을 촬영 준비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 발생 이후에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현관문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 보다 상기 접촉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변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현관문의 개방시 상기 현관문이 현관 문틀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현관문의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현관문 출입자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모듈을 촬영 준비 또는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 신호 발생 이후에 상기 변위센서에 의해 현관문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 보다 상기 변위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단모듈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촬영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듈은,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차단막;
    을 포함하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가 상기 신호전달부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는 경우, 경보음 발생 및/또는 기 설정된 연락처로 경보 메시지 전송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와이파이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촬영 영상 및 현관문의 개폐 정보는 상기 송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앱과 연동되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이 현관문 내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부착부;
    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PCT/KR2020/002601 2020-02-24 2020-02-24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WO202117259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2601 WO2021172599A1 (ko) 2020-02-24 2020-02-24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2601 WO2021172599A1 (ko) 2020-02-24 2020-02-24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599A1 true WO2021172599A1 (ko) 2021-09-02

Family

ID=7749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2601 WO2021172599A1 (ko) 2020-02-24 2020-02-24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7259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329A (ja) * 1999-12-17 2001-06-26 Hisatake Sotokoshi 監視カメラを設置可能なドア、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04145643A (ja) * 2002-10-24 2004-05-20 Tateyama Alum Ind Co Ltd セキュリティ装置
JP2005086609A (ja) * 2003-09-10 2005-03-3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6163929A (ja) * 2004-12-08 2006-06-22 Osaka Gas Security Service Kk 安否確認システム
JP2013222187A (ja) * 2012-04-19 2013-10-28 Panasonic Corp 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329A (ja) * 1999-12-17 2001-06-26 Hisatake Sotokoshi 監視カメラを設置可能なドア、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04145643A (ja) * 2002-10-24 2004-05-20 Tateyama Alum Ind Co Ltd セキュリティ装置
JP2005086609A (ja) * 2003-09-10 2005-03-3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6163929A (ja) * 2004-12-08 2006-06-22 Osaka Gas Security Service Kk 安否確認システム
JP2013222187A (ja) * 2012-04-19 2013-10-28 Panasonic Corp カメ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2464A1 (ko)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WO2016186458A1 (ko)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동 객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WO2017171177A1 (ko) Aihonet 모듈을 통한 인공지능형 안전사고감지 홈네트워크 통합관리장치
WO201402165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WO2010137860A4 (ko) 지능형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WO2020204531A1 (ko) Tv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tv 제어 장치
WO2017030262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251549A1 (en) Display device
WO2012096505A2 (ko) 제어 장치, 제어 타겟 장치, 및 이들의 다중 네트워크 동작 방법
WO2015023145A1 (ko) 공간 해상도가 가변되는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거리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WO2017126909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48098A1 (en) Portab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9004742A1 (ko) 이동 로봇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
WO2021172599A1 (ko)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WO2019208915A1 (ko) 외부 장치의 자세 조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006547A2 (en) Mov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160191A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604783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92929A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WO2017099402A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10047A1 (ko) 랩톱 pc 도난 감시 시스템
WO201909367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재생 판단 장치, 컨텐츠 재생 확인 방법
WO2021194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93640A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184758A1 (ko)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22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2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