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2227A1 - 집게형 도구 - Google Patents

집게형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2227A1
WO2019212227A1 PCT/KR2019/005195 KR2019005195W WO2019212227A1 WO 2019212227 A1 WO2019212227 A1 WO 2019212227A1 KR 2019005195 W KR2019005195 W KR 2019005195W WO 2019212227 A1 WO2019212227 A1 WO 20192122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ick
protrusion
angle
pip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1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근직
Original Assignee
Lee Keun Ji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030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28157B1/ko
Application filed by Lee Keun Jig filed Critical Lee Keun Jig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04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3863B1/ko
Publication of WO20192122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22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ps-type tool capable of picking up or handling an object more accurately and safely by using a finger's natural functions and oper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type tool capable of more effectively combining or separating two bodies.
  • Tools of the tong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mon to use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and the two bodies ar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rotation axis at a certain point below or above the handle.
  • the two bodie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re not easy to separate and recombine, as well as additional components that are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the two shafts in general, it is excluded, the components are combined with only two bodies In this case, the level of precision and stability is insufficient.
  • the house should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mponent for the two bodies separately, it is common to require another tool for the process of joining and separating the two bodie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lves the problems such as anxiety that can be felt due to the cleanliness of the floor or the possibility of unsanitary, or problems such as imperfections, discomfort or unsanitary sensation that can be felt on the floor. It is a challenge to solv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ceps-type tool that enables a user to naturally implement a pinch-opening action, that is, a bidirectional forefinger of a finger, and two bodies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with only a user's hand. Shall be.
  • Clamp-type tool two handles for handling two bodies each having an object handling portion at the bottom;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two handle parts;
  •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third cylinder are formed above an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third cylinder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and above and below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ylinder is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are respectively projected above and below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 Each of the four protruding bands is form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two bodies are combined to form two object handling portions.
  • the upper projection band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projection band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overlap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same posi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ylinder,
  • the back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in front of the lower position of the first cylinder.
  •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 bands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s, and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 bands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also symmetric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s.
  • the four protruding bands are each formed to have a length of 1 / 4.1 to 1/6 of the circumference.
  • the weight adjus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weight adjusting filler to adjust the weight of the two handle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ral space of the first cylinder.
  • the rear plate of the lef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two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two protruding ban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ylinder, and the front plate of the righ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two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front faces of the two protruding band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wo cylinders are formed.
  • two handles for handling two bodies each having an object handling portion at the bottom; And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two handle parts, and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on the side parts of the two handle parts. It consists of two finger-rests formed with an index insertion hole that can be inserted or hooked.
  • the detection insertion openings formed in the two finger holders are penetra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inner side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detection insertion slot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sur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etection insertion port is inclined toward the object handl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as the concave surface.
  • the clamp-type tool comprises a first stick and a second stick, which constitute a left side or a right side,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provided, wherein the second stick includes a second pivotal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provided at the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ng portion.
  • the upper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around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located behi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art.
  •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variable,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is provided with a first slope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is provided with a second slope portion,
  •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 the first slope part and the second slope part abut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 th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paration angle
  • the first stick portion is pushed backward by the first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is pushed forward to separate from each other.
  • the clamp-type tool comprises a first stick and a second stick, which constitute a left side or a right side,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provided, wherein the second stick includes a second pivotal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provided at the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ng portion.
  • the upper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around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located behi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art.
  •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variable,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the other guide
  • the surface is provided, an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slope portion and the guide surface abut each other,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When the size of the inter-angl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stick is pushed backward by the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is pushed forwar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includes a rotational shaft exposed to the front
  • the second rotational shaft includes a second pipe exposed to the rear
  • the rotational shaft is The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terpolation in the second pipe.
  • the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is concentrically formed with the pivotal shaft, a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irst pipe,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inward of the first pipe.
  • the second pivotal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second projection, wherein the second projection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of the second pipe, and the pivot shaft is interpolated within the second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on.
  • a pipe is interpolated in the first pipe, but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the separation angle.
  •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verlap with the first protrusion located ahead of the second protrusion. Drooping.
  • the finger-native house can realize the operation as it is, so that a more precise and convenient nipper-type tool is provided.
  • the handle portion, the front and back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structure, can be used for both the right hand and left hand, of course,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handle, providing a more convenient use environment do.
  • the two bodies can be easily assembled or separated using only the user's hand without using any parts or tools, thereby providing higher production efficiency and ease of use.
  • the tongs-type tool when the tongs-type tool performs a picking func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stably and precisely operate the object handling unit without misalignment due to the horizontal holding function of the handle portion.
  • tools can be handled and managed more hygienically, safely and conveniently.
  • the two bodies can be easily separated or assembled, so cleaning and hygiene management is easy, and the saf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prevents the risk of being picked up or damaged in the course of the rotating operation. It is more hygienic because the object handling part is floating in the air, the arched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than the circular hole or hook of the general tool handle.
  • the clip-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handle of various cooking tools and eating tools, can also be used as a handle of various medical treatment tools using a hand gesture, the handle of laboratory tools or other tong-type tools It can also be used a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type tool attached to the object handling por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ngs-type tool spreading the object handling portion
  • 3 is a front view of the tongs-type tool attached to the object handling unit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tong-type tool with the object handling portion open.
  • FIG. 7 is a top view of the K portion of FIG.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state in which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expanding a portion K of FIG.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1-K1 of FIG.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separated in FIG.
  • FIG. 11 is a top view of FIG. 10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striated band 12a.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ght connection portion separated in FIG.
  • FIG. 14 is a top view of FIG. 13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rotrusion band.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3-K3 of FIG.
  •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arts when the left body and the right body are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with each other in FIG.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4-K4 of FIG.
  •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17.
  • FIG. 19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16.
  • FIG. 20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arts when the left body and the right body are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60 degrees with each other in FIG. 16.
  •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handling part is floating in the air without touching the floor when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22 is a use state in the case of holding the tool with the right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state of use when holding the forceps-type tool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left hand
  • 2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ortions are covered with a cover;
  • 25 and 26 are separate views of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0, 31, and 32 are structures showing the second pivotal connector.
  • FIG. 3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grip part and the second grip part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but each other, and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K5-K5 of FIG. 33.
  • 35 and 36 are views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 FIG. 3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 FIG. 38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slope portion and a second slop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contact each other
  • FIG. 39 is a separ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The first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having a.
  • 40 to 43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at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slope part and the second slope part.
  • FIG. 4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slope portion is provided,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of one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other stick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lope portion. It is shown.
  • 4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ngs 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lamp-type tool two handles for handling two bodies each having an object handling portion at the bottom;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two handle parts;
  •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third cylinder are formed above an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third cylinder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and above and below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ylinder is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are respectively projected above and below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 Each of the four protruding bands is form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two bodies are combined to form two object handling portions.
  • the upper projection band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projection band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overlap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same posi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ylinder,
  • the back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in front of the lower position of the first cylind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open
  • FIG. 3 is a front view (back view and symmetry)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 FIG. 4 is an object handling The front view (back view and symmetry) of a pliers-tipped tool
  • FIG. 5 is the right side view (symmetry with a left view)
  • FIG. 6 is a right side view when the object handling part shift
  • Clamp-type tool for handling two first and second body (100, 200) having an object handling portion (18, 28) at the bottom, respectively Finger straps (10R and 20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handles (10, 20) and the two handles (10, 20) and the right hook (20R) and the two handles (10, 20) respectively 15, 25).
  • the left connecting portion 10R and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20R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function of the two handle portions 10 and 20, open or paste the two object handling portions 18 and 28 as shown in FIGS. Rotation operation function for,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18, 28 a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 FIG. 14 is a top view of FIG. 13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rojection band 22a.
  • the shaded portion, and FIG. 16 is a left body (hatched) and a right body (shaded) in FIG. Are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to each other,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ortions.
  • the upper projection band 12a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third cylinder 12, respectively.
  • the lower protrusion band 12b are formed. 13 and 15,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22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20R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ylinder 22, respectively.
  • the upper protrusion band 22a and the lower protrusion band 22b are formed.
  • the rear surface 12ad of the upper projection 12a of the left connection 10R and the front surface 22ad of the upper projection 22a of the right connection 20R are Located in a position where they can touch each other.
  •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12b, 22a, and 22b are all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ylinder 11, respectively.
  • the upper projection band 12a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projection band 22a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may overlap each other in front of and behind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11.
  • the lower protrusion 12b and the lower protrusion 22b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may overlap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same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first cylinder 11.
  • the fourth connection cylinder 13 of the left connection portion and the fourth b cylinder 23 of the right connection por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the same height so as to be able to abut on the front and rear plate middle lines 1424 between the rear plate 14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and the front plate 24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 the upper protrusion band 12a and the lower protrusion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 W.
  • FIG. 1 the upper protrusion band 12a and the lower protrusion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 W.
  • the upper protrusion band 22a and the lower protrusion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also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 (W).
  • the four protruding bands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length of about 1 / 4.1 to 1/6, respectively.
  • the two bodies in the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ure 16,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rotated about 90 degrees to each other When it is achieved, it has the following state.
  • the second cylinder 22 and the two protruding bands 22a and 22b of the right connector are positioned in the empty space 12h inside the third cylinder 12 of the left connector.
  • the third cylinder 12 and the two protruding bands 12a and 12b of the left connecting portion are located in the empty space 22h outside the second cylinder 22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easily separated.
  • the assembling method (or process)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also the same as the separation method (or process) in the reverse order.
  • the upper protrusion band 12a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protrusion band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 22a are partially (about 1/3 length)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overlap (12a, 22a),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protrusion 12b of the left connection and the lower protrusion 22b of the right connection are also partially (about 1/3). Length) and are suspended from each other in an overlapped state (12b, 22b). Therefore, as a result, the rotation operation function and the horizontal holding function of the two connecting parts 10R and 20R can be more stably implemented, and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18 and 28 a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You can avoid the problem.
  • FIG. 16 illustrates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10R and 20R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rotated at about 90 degrees with each other in FIG. 8.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4-K4 of FIG. 16 and illustrates a state before separation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ortions 10R and 20R
  • FIG. 18 shows the left connecting portion 10R and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20R in FIG.
  • FIG. 1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being separated in a direction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internal structure by separating a left connection part and a right connection part from FIG. 16.
  • FIG. 20 is an internal structure of left and right connecting parts 10R and 20R when the first body (hatched) and the second body (shaded) are rotated at about 60 degrees from each other in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12a22a, 12b22b which strip
  • 'Object' refers to a solid or liquid substance that is not a gas.
  • 'handling' refers to a process of being hand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bject and the intention of the user of the tool, as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lier-type tool'.
  • the 'object handling unit' is intended to be able to handle objects of various stat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can be made of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or various sizes and weights at the position under the finger-rest. It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chopsticks drawn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form of a spoon, and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may be joined to form one spoon.
  • the state in which the object handling portion floats in the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elevation state") when th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handle side section Pb may be heavier than the object handling side section Pa based on the support point P.
  • FIG. Therefore, the lifting state is made, it is possible only by adjusting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two sections (Pa, Pb).
  •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12b, 22a, 22b have a function of maintaining a solid binding force so that there is no shaking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two bodies, and the two object handling portions 18 and 28 are displaced in the object handling process. It should have a level function so that it is level.
  • molding the said four protruding strip which should have such a function more efficiently is as follows.
  • two rear projections 12a and 12b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hird cylinder 12 may be projected to the rear plate 14 of the left connection portion.
  • Four through holes 12ah and 12bh are formed.
  • the front plate 24 of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two front surfaces of the two projection bands 22a, 22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22 can be seen The through holes 22ah and 22bh are formed.
  • the molding can be achieved simply.
  • This configuration is a problem that can be predict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that is,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12b, 22a, 22b in the absence of the four through holes 12ah, 12bh, 22ah, 22bh.
  • the inefficiency and instability generated during molding can be eliminat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in that it provides a structure and a condition for forming four protruding bands more efficiently, firmly and precisely.
  • the four through holes can be easily concealed by using the cover (C)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method for forming the four protruding band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four through holes are exposed.
  •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operation of a fing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hook with a handle.
  • the finger ring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on the side portions of the two handle portions (10, 20).
  • the detection insertion holes 16 and 26 may be formed to insert or hook the end of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or left ha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direction.
  • the detection insertion openings 16 and 26 formed in the two finger holders allow the fingers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ide to the inner side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handle for natural access of the fingers.
  • the upper portion is preferably inclin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concave at the same tim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detection inserts 16 and 26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bject handling and at the same time concave.
  • the arched long space 30 is formed between the two handle portions 10 and 20, so that a part of the hand is held between the two handle portions in the process of holding and using the handle.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m from being squeezed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m to easily hang over common tool racks.
  • FIG. 25 and 26 are separate views of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7, 28, and 29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ortion 300R
  • FIGS. 30, 31, and 3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ortion 400R.
  • FIG. 33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but each other
  •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K5-K5 of FIG. 33.
  • 35 and 36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FIG. 3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 the tongs-type tool includes a first stick 300 and a second stick 400 constituting a left side or a right side and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stick 300 has a bar-shaped first body 30,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grip part 32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body 30,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30.
  • the first pivot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first finger hook part 33 provided at one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part and the upper end part of the first body 30.
  • the first finger hook part 33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body 30 to allow a finger (for example, a thumb or index finger)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body 30 and the first finger hook part 33.
  • the first finger fitting portion 34 may be formed.
  • the portion located above the first finger hook portion 33 is composed of a first handle portion 31.
  • the second stick 400 has a second body 40 having a bar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grip part 42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40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40.
  • the second pivotal connector 400R, and the second finger holder 43 is provided at one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40.
  • the second finger hook portion 43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body 30 to allow a finger (for example, a thumb or index finger) to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body 40 and the second finger hook portion 43.
  • the second finger fitting portion 44 may be formed.
  • the portion located above the second finger hook portion 43 is composed of a second handle portion 41.
  •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the upper e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pivot connecting portion 300R and the second pivot connecting portion 400R.
  •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relatively rotatable around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art 400R, and thus, the first stick 300 may be used.
  • angle between the second stick 400 is variable.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may be varied to perform grip of an object or the like.
  • the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300R has a cylindrical pivot 312 having a central axis (FIG. 28, C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centric with the pivot shaft 312, and the pivot shaft 312 is internal.
  • the first pipe 314 is located in.
  • An annular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314 and the pivot shaft 312.
  • a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is form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ipe 314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30.
  • a rounded rounding surface 320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first body 30 facing the first pipe 314.
  •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art 400R includes a second pipe 412 having a central axis (FIG. 31, C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econd pipe 412 concentric with the second pipe 412. Includes a third pipe 418 located therein.
  • An annular third interpolation space 414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ipe 412 and the third pipe 418.
  • a cylindrical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is formed in the second pipe 412.
  • the second pipe 412 and the third pipe 418 and the second body 40 of the second stick 400 through the front portion 410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ortion 400R. Connected.
  • a rounded rounding surface 420 is formed at an end surface of the second body 40 facing the second pipe 412.
  • a second pipe 412 is interpolated in the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 the third pipe 418 is interpolated in the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 the first pipe 314 is interpolated in the third interpolation space 414, and the pivot shaft 312 is interpolated in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Accordingly, the pivot shaft 312, the first pipe 314, the second pipe 412, and the third pipe 418 share the central axis and are concentric.
  •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art 400R.
  • the first pivotal connector 300R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330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pe 314.
  • the first protrusion 330 protrudes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first pipe 314 and extend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c ang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pe 314.
  • first protrusion 330 may include a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a first-second protrusion 334.
  •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the second-second protrusion 334 may be position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the first pipe 314 interposed therebetween.
  • first-first protrusion 332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pe 314, and the first-second protrusion 334 is formed on the first pipe 314. It can be located at the bottom.
  • the 1-1 protrusion 332 is the upper protrusion 12a of the left connector, and the 1-2 protrusion 334 corresponds to the lower protrusion 12b of the left connector. It can be said that the configuration.
  •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the second-second protrusion 334 may be formed by a predetermined arc angle range.
  • the arc angle range ⁇ 1 of the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the arc angle range ⁇ 2 of the 1-2 protrusion 334 may be 60 ° to 80 °.
  • the circumferential ranges of the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the second-second protrusion 334 may be lengths of about 1 / 4.1 to 1/6, respectively.
  • the arc angle range of the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the arc angle range of the 1-2 protrusion 334 are 72 degrees, respectively,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pipe 314.
  • a space having an arc angle range of 108 ° between the first-first protrusion 332 and the first-second protrusion 334 (left and right of the first pipe 31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314 ( The 1-2 space part V2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 the first-first space 332 is formed between the first-first protrusion 332, the first-second protrusion 334, and the rotation shaft 312.
  • the 1-2th space portion V2 is formed between the 1-1th protrusion 332 and the 1-2th protrusion 334.
  • the first to third protrusions 332 and the first to second protrusions 334 are formed with the first to third spaces V3.
  • the second pivotal connector 400R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protrusions 43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412.
  • the second protrusion 430 protrudes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412 and extends at one or more second protrusions 4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c ang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412. ) May be included.
  • two second protrusions 430 may be provided.
  •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include a second-1 protrusion 432 and a second-2 protrusion 434.
  •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may be located at opposite positions.
  • the second-first protrusion 432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pe 412
  • the second-second protrusion 434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pe 412. It can be located at the bottom.
  • the 2-1 protrusion 432 corresponds to the upper protrusion band 22a of the right connector
  • the 2-2 protrusion 334 corresponds to the lower protrusion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or. It can be said that the configuration.
  •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may be formed by a predetermined arc angle range.
  • the arc angle range ⁇ 3 of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arc angle range ⁇ 4 of the 1-2 protrusion 334 shown in FIG. 31 may be 60 ° to 80 °, respectively.
  • the circumferential ranges of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1-2 protrusion 434 may be about 1 / 4.1 to 1/6 lengths, respectively.
  • each space having an arc angle range of 108 ° ( 2-2 space part W2) mentioned later is formed.
  • the 2-1 th protrusion 432 is formed between the 2-1 th protrusion 432, the 2-2 th protrusion 434, and the rotation shaft 312.
  • a second-2 space portion W2 is formed between the second-first protrusion 432 and the second-second protrusion 434.
  • a second-3 space portion W3 is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first protrusion 432 and the second-second protrusion 434.
  • FIG. 3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contact each other while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K5-K5 of FIG. 33. The figure shown.
  •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eans that the second pipe 412 is interpolated in the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and within the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3, the third pipe 418 is interpolated, the first pipe 314 is interpolated in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and the pivot shaft 312 is interpolated in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
  • the first protrusion 3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protrusion 430.
  • the first pipe 314 and the second pipe 412 around the central axis (C1, C2) Rotates relative. Therefor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lso rotate relative to the central axes C1 and C2.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r may not overlap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30 and 430 are hu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maintained in the connected state.
  • first pivotal connector 300R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or 400R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eg, 90 °) that is an angle between each other of a predetermined size
  •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be positioned at positions no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cross each other. It may be positioned in the overlapping position.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maintained.
  • FIG. 35 and 36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FIG. 3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the separation angles.
  •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300R and the seco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s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pivotal connections 400R to each other.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made in the reverse order of separation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the above-described ⁇ description 2>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n the above-described ⁇ description 1>, and may be understood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ifferent terms and descriptions for clarity.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2 is an embodiment esse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description 1, and the configuration or effect in which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description 2 does not exclude it. That i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description 1 can be applied to the description 2 as it is.
  •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400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3 in the clip-type tool comprising a first stick 300 and a second stick 400 which respectively constitute a left side or a right side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tick ( When the angle between the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separation angle), a component for inducing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provided. .
  • Each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s a first pivotal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pivotal connection por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ortion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shaft is rotatably coupled around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to each other,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variable.
  • a first slope part 34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 a second slope part 44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 the second stick 400 may be pushed forward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for example,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other guide surface 440-1 is provided, an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slope part 340 and the guide surface ( 440-1 abuts each other, an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paration angle, the slope part 340 allows the first portion to be contacted with each other.
  • the stick 340 may be pushed backwards and the second stick 440 may be pushed forwar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ivot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ng por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pipe and the pipe are inserted through the rotatable pivot shaft interpolated into the pipe.
  • the first slope portion 34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but using the terms of the first description, the first slope portion 340 is a first It may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100).
  • 38 illustrates a first slope part 340 and a second slope part 440 in a state where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3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contact each other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to be.
  • 40 to 43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at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 first slope part 3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will be described.
  •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are locat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the separation angle.
  • the direction of the first slope portion 340 has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310 (ie, facing forward) from the left to the right.
  •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lope portion 440 has a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ortion 410 (that is, toward the rear) from right to left.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lopes 340 and 440 is not limited, it may be 30 to 60 ° according to one example.
  • rounding R1 and R2 may be formed at ends of the slope portions 340 and 440.
  • the first and second slopes 340 and 440 may be forme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angle.
  • the second stick 400 is a component that induces a natural separation.
  •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have a rounding or inclined surface (for example, 330a and 430a shown in FIG. 41) at an end portion thereof.
  •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have an arc angle 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t may not overlap each other.
  • the first protrusion 33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not collide with each other or be caught.
  • the second-2 protrusion 434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ength of about 1 / 4.1 to 1/6 of the circumference) or may have a predetermined arc angle range (60 ° to 80 °). Therefor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separ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by the first and second slope portions 340 and 440,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re separated. May not hang or collide with each other.
  • FIG. 40 shows the first pivotal connection part 300R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400R of the second stick 400 is shown.
  • (a) to (c) of Figure 40 is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300R of the first stick 300,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400R of the second stick 400, and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330 of 300R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of the second pivotal connector 400R is illustrated.
  • FIG. 41 illustrates a first rota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widened so that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 the connection portion 300R and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portion 400R of the second stick 400 are shown.
  •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IG. 42 illustrates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300R and a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of the second stick 400 in a state wher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angle. 400R).
  •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contact each other.
  • the first stick 300 is formed by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440.
  • Sliding as shown by arrow S2 is guided backward, and the second stick 400 is slid as shown by arrow S1 and guided forward.
  •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as shown in FIG. 43.
  •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or hang.
  • rounding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nd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circ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cause it has a whistle range).
  •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are used.
  •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guided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ncreases,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naturally be separated. Thu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the slope part is not provided, i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ncreases,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collide with each other. can do. In this case, an accident such as a broken stick or breakage of the pivot connection may occur.
  •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44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uch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That is,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ncreases, a collision does not occur and a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occurs naturally.
  • first slope part 340 is provided on the first stick 300
  • guide surface 440-1 is provided on the second stick 400.
  • bot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do not necessarily have a slope portion, and one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the other stick has a straight guide.
  •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surface 440-1 is also possible.
  • a predetermined rounding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guide surface 440-1.
  •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guide surface 440-1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are described above.
  • 4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ngs 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tick 300 is provided at one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35 protruding rearward
  • the second stick 400 has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It is provided at one position therebetween and includes a second support protrusion 45 projecting rearward.
  • the weight of the P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35 and 45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icks 300 and 400 may b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35 and 45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35 and 45.
  • the weight may be greater than the weight Pa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sticks 300 and 400. Therefore, when the clamp-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do not touch the floor, so that the user's hygiene may be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두 개의 몸체가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집게형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및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검지 끝부분을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가 형성된 손가락걸이를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집게형 도구
본 발명은, 손가락 본연의 기능과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두 개의 몸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집게류의 도구는,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는 것과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회전축으로 결합된 두 개의 몸체는, 분리와 재결합 방법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두 몸체를 회전축에 결합 또는 연결시킬 부품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품을 배제하고 두 개의 몸체만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정밀도나 안정성이 미흡한 수준인 것도 일반적이다.
따라서, 집는 기능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몸체와 별도로 결합용 부품을 구비해야 하고, 이러한 두 몸체의 결합과 분리과정에는 또다른 도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것이다.
재질의 탄력만을 이용하는 집게류의 경우, 한 쪽 방향의 탄력만을 이용하게 되어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그대로 구현하지 못함에 따른 불편이 있다.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즉,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집게류의 경우, 별도의 준비된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음에 따른 불편과 비효율성이 있다.
두 몸체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대다수 집게류의 경우, 결합부위의 틈새와 회전동작으로 인하여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성에 주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집게류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 물체취급부위가 바닥과 맞닿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즉 바닥의 청결상태나 비위생가능성 등으로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또는 취급된 물체의 잔여분이 바닥에 묻게 되어 느낄 수 있는 불결감이나 불쾌감 또는 비위생성 등의 문제를 더불어 해소하는 것도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두 개의 몸체가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집게형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과제로 한다.
아울러, 집게형 도구를 구성하는 2 개의 스틱 사이의 사이각을 넓게 벌렸을 때, 자연스럽게 스틱의 분리를 유도하여 스틱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상기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의 뒷면은 각각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의 앞면과 각각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제1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두 몸체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는 제1원통의 위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는 제1원통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를 좌우손잡이중심선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도 좌우손잡이중심선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1/4.1 내지 1/6 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무게 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가 상기 제1원통의 중심부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에는 상기 제3원통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에는 상기 제2원통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가 형성된 두 개의 손가락걸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는,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검지삽입구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와 상기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 및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와 상기 가이드면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전방으로 노출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축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심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고 상기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파이프 내에 내삽되되,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겹쳐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본연의 집는 동작을 그대로 구현시킬 수 있어서, 보다 정교하고 편리한 집게형 도구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부는, 앞면과 뒷면이 서로 대칭이고 좌측과 우측이 서로 대칭인 구조로서, 오른손과 왼손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의 앞쪽과 뒤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부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두 개의 몸체를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생산효율과 사용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집게형 도구가 집는 기능을 수행할 때, 손잡이부의 수평유지기능으로 인하여 물체취급부가 어긋남 없이 안정적으로 정교하게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구를 보다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취급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몸체를 쉽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어서 세척과 위생관리가 용이하고, 결합부위의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회전동작 과정에서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이 방지되며,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에는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이고, 손잡이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아치형 공간은 일반적인 도구손잡이의 원형 구멍이나 고리보다 더 편리하게 도구걸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다양한 요리도구와 식사도구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고, 손동작을 이용하는 다양한 의료용 시술도구의 손잡이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실험용 도구나 기타 집게형 도구의 손잡이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집게형 도구를 구성하는 2 개의 스틱 사이의 사이각을 넓게 벌렸을 때, 자연스럽게 스틱의 분리가 유도되어 스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3의 K부분에 대한 윗면도
도 8은 도 3의 K부분을 확대하여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K1-K1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분리된 좌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1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K2-K2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8에서 분리된 우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의 K3-K3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와 우측몸체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6에서 좌측몸체와 우측몸체가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적용된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를 오른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를 왼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4는 좌우측 연결부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커버로 덮은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분리도면이다.
도 27, 28, 29 는 제1 회동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 31, 32 는 제2 회동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 36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 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내지 43 은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 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스틱과 제2 스틱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스틱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로프부와 맞닿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 는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상기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의 뒷면은 각각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의 앞면과 각각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제1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두 몸체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는 제1원통의 위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는 제1원통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1>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좌측면도와 대칭),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및 두 손잡이부(10, 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 그리고 두 손잡이부(10, 20)에 각각 구비되는 손가락걸이(15, 25)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는 두 손잡이부(10, 20)의 연결기능과 함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체취급부(18, 28)를 벌리거나 붙이기 위한 회전동작기능, 아울러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평유지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2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빗금처리)와 우측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1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된다. 또한, 도 13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22)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 11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위 돌출띠(12a)의 뒷면(12ad)과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위 돌출띠(22a)의 앞면(22ad)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도 10과 도 13에 나타낸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의 뒷면과 상기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의 앞면도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는 제1원통(11)의 위쪽 같은 위치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는 제1원통(11)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아울러,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연결부(10R, 20R)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좌측연결부의 제4a원통(13)과 우측연결부의 제4b원통(23)은,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과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 사이의 앞뒤판중간선(1424)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서로 같은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0, 200)를 보다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방법과 함께, 결합된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효과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3 및 도 10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또는 도 8)과 같이 조립후 결합상태에 있는 두 몸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면, 이하와 같은 상태를 갖는다.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과 두 돌출띠(22a, 22b)는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 안쪽 빈공간(12h)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과 두 돌출띠(12a, 12b)는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 바깥쪽 빈공간(22h)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조립방법(또는 과정)도 또한 이와 같은 분리방법(또는 과정)과 서로 역순으로 동일하게 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룬 경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가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a, 22a)로 서로 걸려있고,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도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b, 22b)로 서로 걸려있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16 내지 도 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은 도 8에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 약 9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이다. 여기서, 제1 몸체(100)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빗금처리하고, 제2 몸체(200)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음영처리로 나타내었다.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좌우측 연결부(10R, 20R)의 분리 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에서 제1 몸체(빗금처리)와 제2 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6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로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의 돌출띠가 서로 겹쳐진 상태(12a22a, 12b22b)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체취급부'가 뜻하는 의미와 구성목적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는 기체가 아닌 고체나 액체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취급'은, 본 발명의 명칭이 '집게형 도구'라고 하여 단지 집는 동작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물체의 상태와 도구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다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체취급부'는, 다양한 상태와 모양으로 이루어진 물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손가락걸이 아래 위치에서 다양한 구조와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와 무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그려진 젓가락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예컨대, 숟가락 형태의 구성일 수 있으며, 2 개의 물체취급부가 맞닿아서 합쳐져서 하나의 숟가락 형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체취급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구가 바닥에 놓여질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하 '승강상태'라 함)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점(P)을 기준으로 손잡이쪽구간(Pb)을 물체취급쪽구간(Pa) 보다 무겁게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두 구간(Pa, Pb)의 재질과 크기의 조정만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재질과 크기의 조정수준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상기 승강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원통(11)의 중심부 공간에 무게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S)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의 주요기능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두 몸체의 회전동작과정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과 함께 물체취급과정에서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어긋나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어야 할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구성은, 이하와 같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에는, 상기 제3원통(12)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12a, 12b)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한다.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에는, 상기 제2원통(22)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22a, 22b)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 - 즉,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12ah, 12bh, 22ah, 22bh)이 없는 상황에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를 성형할 때 발생되는 비효율성과 불안정성 등 - 을 일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이고도 견고하고 정밀하게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할 수 있는 구조와 여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를 이용하여 쉽게 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의 노출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손가락의 동작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와 함께 손가락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은 손가락걸이(15, 2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걸이는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10, 20)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22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16, 2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16, 26)는,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출입을 위해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며, 검지삽입구(16, 26)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16, 26)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두 손잡이부(10, 20) 사이에 아치형 긴 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의 일부분이 두 손잡이부 사이에 집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도구걸이에 손쉽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 2>
이하의 <설명 2> 에서는 상기 <설명 1> 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용어와 관점을 달리 하여 새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좌우", "전후" 는 각각 도 25 의 Z 축, X 축, Y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분리도면이다. 도 27, 28, 29 는 제1 회동연결부(300R)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 31, 32 는 제2 회동연결부(400R)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5, 36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을 포함한다.
제1 스틱(300)은, 바 형상의 제1 바디(30)를 갖고, 상기 제1 바디(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 그립부(32), 상기 제1 바디(3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1 바디(3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손가락 걸이부(33)를 포함한다. 제1 손가락 걸이부(33)는 제1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바디(30)와 제1 손가락 걸이부(33) 사이에 손가락(예컨대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1 손가락 끼움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가락 걸이부(33)보다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제1 손잡이부(31)로 구성된다.
제2 스틱(400)은 바 형상의 제2 바디(40)를 갖고, 상기 제2 바디(4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 그립부(42), 상기 제2 바디(4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400R), 및 제2 바디(4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손가락 걸이부(43)를 포함한다. 제2 손가락 걸이부(43)는 제1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바디(40)와 제2 손가락 걸이부(43) 사이에 손가락(예컨대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2 손가락 끼움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가락 걸이부(43)보다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제2 손잡이부(41)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가능하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한다. 따라서,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켜서 물체 등의 그립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도 28, C1)을 갖는 원통형의 회동축(312), 및 상기 회동축(312)과 동심이며 상기 회동축(312)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파이프(314)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31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제1 내삽 공간(3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파이프(314)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제1 바디(3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는 제2 내삽 공간(318)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파이프(314)와 회동축(312)은, 제1 회동연결부(300R)의 후면을 구성하는 바텀부(310)를 통해서 제1 스틱(300)의 제1 바디(30)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회동축(312), 제1 파이프(314), 제1 내삽 공간(316), 및 제2 내삽 공간(318)은 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314)에 대해서 대면하는 제1 바디(30)의 단부면에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면(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도 31, C2)을 갖는 제2 파이프(412), 및 상기 제2 파이프(412)와 동심이며 상기 제2 파이프(412)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 파이프(418)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제3 내삽 공간(414)이 형성된다. 제2 파이프(412) 내에는 원통형의 제4 내삽 공간(416)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는, 제2 회동연결부(400R)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론트부(410)를 통해서 제2 스틱(400)의 제2 바디(40)와 연결된다. 아울러,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 제3 내삽 공간(414), 및 제4 내삽 공간(416)은 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412)에 대해서 대면하는 제2 바디(40)의 단부면에는 라운딩된 라운딩면(4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제1 내삽 공간(316) 내에 제2 파이프(412)가 내삽된다. 아울러, 제2 내삽 공간(318) 내에는 제3 파이프(418)가 내삽된다. 아울러, 제3 내삽 공간(414) 내에는 제1 파이프(314)가 내삽되고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상기 회동축(312)이 내삽된다. 따라서, 회동축(312), 제1 파이프(314), 제2 파이프(412), 및 제3 파이프(418)가 중심축을 공유하며 동심이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는,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는,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 및 원호각을 갖고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기(330)는 2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기(330)는,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는 제1 파이프(31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틱(300)을 세웠을 때, 제1-1 돌기(332)는 제1 파이프(314)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제1-2 돌기(334)는 제1 파이프(314)의 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1>에 비추어 보면, 제1-1 돌기(332)는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이며, 제1-2 돌기(334)는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는 소정의 원호각 범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8 을 참조하면,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θ1 과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 θ2 는,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울러, <설명 1> 에 비추어 보면,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의 원주 방향 범위는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및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가 72° 이며, 각각 제1 파이프(314)의 상, 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1 파이프(314)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 사이(제1 파이프(314)의 좌우)에는 각각 108° 의 원호각 범위를 갖는 공간(후술하는 제1-2 공간부(V2))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1-1 돌기(332) 및 제1-2 돌기(33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제1-1 공간부(V1)가 형성된다. 또한,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 사이에는 제1-2 공간부(V2)가 형성된다. 또한,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의 후방에는 제1-3 공간부(V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는, 상기 제2 파이프(4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430)는, 제2 파이프(412)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파이프(4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 및 원호각을 갖고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돌기(430)는 2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돌기(430)는,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는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틱(400)을 세웠을 때, 제2-1 돌기(432)는 제2 파이프(412)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제2-2 돌기(434)는 제2 파이프(412)의 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1>에 비추어 보면, 제2-1 돌기(432)는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이며, 제2-2 돌기(334)는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는 소정의 원호각 범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1 에 도시된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θ3 과,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 θ4 는, 각각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울러, <설명 1> 에 비추어 보면, 제2-1 돌기(432)와 제1-2 돌기(434)의 원주 방향 범위는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1 돌기(432)의 원호각 범위 및 제2-2 돌기(434)의 원호각 범위가 72° 이며, 각각 제2 파이프(412)의 상, 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2 파이프(412)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 사이(제2 파이프(412)의 좌우)에는 각각 108° 의 원호각 범위를 갖는 공간(후술하는 제2-2 공간부(W2))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2-1 돌기(432) 및 제2-2 돌기(43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제2-1 공간부(W1)가 형성된다. 또한,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 사이에는 제2-2 공간부(W2)가 형성된다. 또한,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의 전방에는 제2-3 공간부(W3)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회동연결부(400R)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라 함은, 상기 제1 내삽 공간(316) 내에 제2 파이프(412)가 내삽되고, 제2 내삽 공간(318) 내에는 제3 파이프(418)가 내삽되며,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제1 파이프(314)가 내삽되고,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상기 회동축(312)이 내삽된 상태이다.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면, 상기 제1 돌기(330)는 제2 돌기(43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면, 중심축(C1, C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파이프(314) 및 제2 파이프(412)가 상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30) 및 제2 돌기(430) 또한 중심축(C1, 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한다.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는, 서로 전후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겹쳐지거나, 또는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지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걸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면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 사이의 전후 방향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인 분리각(예 : 90°)을 가지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상기 분리각 이하의 크기의 사이각을 가지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5, 36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상기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즉,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분리의 반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설명 2> 는, 앞서 기술한 <설명 1> 에서의 설명과 상통하는 것이며,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용어와 설명을 달리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 2 는 설명 1 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실시 형태이며, 설명 2 에서 기재가 생략된 구성 또는 효과는 그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즉, 설명 1 의 구성 및 효과가 설명 2 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설명 3>
이하의 설명 3 에서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 및 제2 스틱(4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슬로프부가 구비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설명 3 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소정의 각도(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간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 요소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을 수 있다.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은 각각 상부분에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제2 슬로프부(440)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 및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00)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400)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는,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4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예컨대,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340)와 상기 가이드면(440-1)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3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40)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440)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형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 사이의 연결 관계는, 소정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내삽되어 회동 가능한 회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 설명 2 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설명 1 의 용어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실시 형태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간단한 예로, 아래의 설명에서, 제1 슬로프부(340)는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 설명의 용어를 사용하면, 제1 슬로프부(340)는 제1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 2 가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 3 에서 설명하는 구성이 추가로 적용된 것과 같은 설명이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가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상단부에 스틱 사이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며, 이러한 실시 형태에 권리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도, "상하", "좌우", "전후" 는 각각 도 25 의 Z 축, X 축, Y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38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 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내지 43 은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400)의 상단부에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상기 분리각을 가질 때,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1 슬로프부(340)의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바텀부(310)로부터 이격되는(즉,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또한, 제2 슬로프부(440)의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프론트부(410)로부터 이격되는(즉,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각각의 제1, 제2 슬로프부(340, 440)의 경사각은 한정하지 않지만, 일 예에 의하면 30 내지 60°일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슬로프부(340, 440)의 단부에는 라운딩(R1, R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슬로프부(340, 440)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설명한 분리각 이상으로 커질 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단부에 라운딩, 또는 빗면(예컨대, 도 41 에 도시된 330a, 4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소정의 범위의 원호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보다 커져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될 때에는,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충돌하거나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돌기(330)를 구성하는 제1-1 돌기(332), 제1-2 돌기(334) 및 제2 돌기(430)를 구성하는 제2-1 돌기(432), 제2-2 돌기(434)는, 소정의 길이(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를 갖거나, 소정의 원호각 범위(60° 내지 8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제1 및 제2 슬로프부(340, 440)에 의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리될 때,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걸리거나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분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면 도 40 과 같다. 도 40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일 때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40 의 (a) 내지 (c) 는 각각 제1 스틱(300)의 제1 회동연결부(300R),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 및 제1 회동연결부(300R)의 제1 돌기(330)와 제2 회동연결부(400R)의 제2 돌기(430)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0 이후 도면에서는, 확인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도 40 (c) 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일 때에는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물론,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 이하 범위일 때에도,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을 것이다.
도 41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벌려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한 상태일 때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하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서로 맞닿을 수 있다.
도 42 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분리각보다 더 벌린 상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분리각을 가질 때,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서로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더 벌리면,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제1 스틱(300)은 화살표 S2 와 같이 미끄러져 후방으로 안내되고, 제2 스틱(400)은 화살표 S1 과 같이 미끄러져 전방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더 벌리면, 도 43 과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슬로프부에 의해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충돌하거나 걸려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에 각각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원호각 범위)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상기 분리각보다 커지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슬로프부가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면 제1 스틱(300)의 상단부와 제2 스틱(400)의 상단부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틱이 부러지거나 회동연결부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마련됨으로서, 이러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사이각이 커지면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44 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스틱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로프부와 맞닿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4 에서는 제1 스틱(300)에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며, 제2 스틱(400)에는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어 있다.
도 4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모두 슬로프부를 가질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스틱에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스틱에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면(440-1)의 단부에는 소정의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상기 분리각보다 커지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가이드면(440-1)이 맞닿아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상기 설명한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5 는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틱(300)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 돌출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400)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 돌출부(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2 지지 돌출부(35, 45)와 제1,2 스틱(300, 400)의 상단부 사이(Pb)의 중량은 제1,2 지지 돌출부(35, 45)와 제1,2 스틱(300, 400)의 하단부 사이(Pa)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바닥에 닿지 않아서 사용자의 위생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의 뒷면은 각각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의 앞면과 각각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두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는 제1원통(11)의 위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는 제1원통(11)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1/4.1 내지 1/6 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무게 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S)가 상기 제1원통(11)의 중심부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도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뒤쪽 판(14)에는
    상기 제3원통(12)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12a, 12b)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앞쪽 판(24)에는
    상기 제2원통(22)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22a, 22b)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도구.
  5.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및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16, 26)가 형성된 두 개의 손가락걸이(15, 25)로 구성되는 집게형 도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는,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검지삽입구(16, 26)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16, 26)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도구.
  7.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와 상기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 및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집게형 도구.
  8.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와 상기 가이드면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집게형 도구.
  9. 청구항 7 또는 8 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축은 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가 서로 연결되는 집게형 도구.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심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고 상기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파이프 내에 내삽되되,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집게형 도구.
PCT/KR2019/005195 2018-05-01 2019-04-30 집게형 도구 WO201921222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303 2018-05-01
KR1020180050303A KR102128157B1 (ko) 2018-05-01 2018-05-01 집게형 도구 손잡이
KR10-2019-0050449 2019-04-30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ko) 2019-04-30 2019-04-30 집게형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227A1 true WO2019212227A1 (ko) 2019-11-07

Family

ID=6838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195 WO2019212227A1 (ko) 2018-05-01 2019-04-30 집게형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21222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680U (ko) * 1987-04-15 1988-10-25
KR200233444Y1 (ko) * 2000-12-08 2001-09-25 이장우 소아 식사용 젓가락
KR200294125Y1 (ko) * 2002-08-02 2002-11-04 황정시 집게
KR100461614B1 (ko) * 2001-08-14 2004-12-17 박병진 지능개발용 학습저
KR101846348B1 (ko) * 2016-08-12 2018-04-06 이근직 집게형 도구 손잡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680U (ko) * 1987-04-15 1988-10-25
KR200233444Y1 (ko) * 2000-12-08 2001-09-25 이장우 소아 식사용 젓가락
KR100461614B1 (ko) * 2001-08-14 2004-12-17 박병진 지능개발용 학습저
KR200294125Y1 (ko) * 2002-08-02 2002-11-04 황정시 집게
KR101846348B1 (ko) * 2016-08-12 2018-04-06 이근직 집게형 도구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19001A2 (en) To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10030114A2 (en) To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19198933A1 (ko) 에어로졸 생성원 지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15147462A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2096471A2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WO2019103249A1 (en) Air cleaner
WO2019212227A1 (ko) 집게형 도구
WO2016200172A1 (ko) 세척 가능 빨대
WO2017034286A1 (en) Vacuum cleaner
WO2013048041A2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WO2014025204A1 (en) Surgical robot hand with decoupled wrist structure
WO2021117913A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WO2020141759A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WO2020166799A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WO2014061938A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5163630A1 (ko) 이젝터 어셈블리 및 진공펌프
WO2013151245A1 (ko) 둥근 날 가위
WO2018030782A1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WO2016024726A1 (ko) 발치용 포셉
WO2017116067A1 (ko) 진공 청소기 및 청소기의 핸들
WO2017007109A1 (ko)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WO2013018022A1 (en) Locking and unlocking kinetic motion of a mop base
WO2013157733A1 (ko) 헤어 브러시
WO2014163303A1 (ko) 일체형 수저
KR20200126606A (ko) 집게형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969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969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