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606A - 집게형 도구 - Google Patents

집게형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606A
KR20200126606A KR1020190050449A KR20190050449A KR20200126606A KR 20200126606 A KR20200126606 A KR 20200126606A KR 1020190050449 A KR1020190050449 A KR 1020190050449A KR 20190050449 A KR20190050449 A KR 20190050449A KR 20200126606 A KR20200126606 A KR 20200126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rotrusion
angle
pip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863B1 (ko
Inventor
이근직
Original Assignee
이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직 filed Critical 이근직
Priority to KR102019005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863B1/ko
Priority to PCT/KR2019/005195 priority patent/WO2019212227A1/ko
Publication of KR2020012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본연의 기능과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두 개의 몸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게형 도구 {Tool of the tongs type}
본 발명은, 손가락 본연의 기능과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두 개의 몸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집게류의 도구는,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는 것과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회전축으로 결합된 두 개의 몸체는, 분리와 재결합 방법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두 몸체를 회전축에 결합 또는 연결시킬 부품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품을 배제하고 두 개의 몸체만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정밀도나 안정성이 미흡한 수준인 것도 일반적이다.
따라서, 집는 기능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몸체와 별도로 결합용 부품을 구비해야 하고, 이러한 두 몸체의 결합과 분리과정에는 또다른 도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7155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것이다.
재질의 탄력만을 이용하는 집게류의 경우, 한 쪽 방향의 탄력만을 이용하게 되어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그대로 구현하지 못함에 따른 불편이 있다.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즉,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집게류의 경우, 별도의 준비된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음에 따른 불편과 비효율성이 있다.
두 몸체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대다수 집게류의 경우, 결합부위의 틈새와 회전동작으로 인하여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성에 주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집게류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 물체취급부위가 바닥과 맞닿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즉 바닥의 청결상태나 비위생가능성 등으로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또는 취급된 물체의 잔여분이 바닥에 묻게 되어 느낄 수 있는 불결감이나 불쾌감 또는 비위생성 등의 문제를 더불어 해소하는 것도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두 개의 몸체가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집게형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과제로 한다.
아울러, 집게형 도구를 구성하는 2 개의 스틱 사이의 사이각을 넓게 벌렸을 때, 자연스럽게 스틱의 분리를 유도하여 스틱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와 상기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 및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와 상기 가이드면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전방으로 노출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축은 후방으로 노출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심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고 상기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파이프 내에 내삽되되,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겹쳐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본연의 집는 동작을 그대로 구현시킬 수 있어서, 보다 정교하고 편리한 집게형 도구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부는, 앞면과 뒷면이 서로 대칭이고 좌측과 우측이 서로 대칭인 구조로서, 오른손과 왼손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의 앞쪽과 뒤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부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두 개의 몸체를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생산효율과 사용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집게형 도구가 집는 기능을 수행할 때, 손잡이부의 수평유지기능으로 인하여 물체취급부가 어긋남 없이 안정적으로 정교하게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구를 보다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취급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몸체를 쉽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어서 세척과 위생관리가 용이하고, 결합부위의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회전동작 과정에서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이 방지되며,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에는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이고, 손잡이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아치형 공간은 일반적인 도구손잡이의 원형 구멍이나 고리보다 더 편리하게 도구걸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다양한 요리도구와 식사도구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고, 손동작을 이용하는 다양한 의료용 시술도구의 손잡이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실험용 도구나 기타 집게형 도구의 손잡이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집게형 도구를 구성하는 2 개의 스틱 사이의 사이각을 넓게 벌렸을 때, 자연스럽게 스틱의 분리가 유도되어 스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3의 K부분에 대한 윗면도
도 8은 도 3의 K부분을 확대하여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K1-K1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분리된 좌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1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K2-K2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8에서 분리된 우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의 K3-K3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와 우측몸체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6에서 좌측몸체와 우측몸체가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적용된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를 오른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를 왼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4는 좌우측 연결부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커버로 덮은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분리도면이다.
도 27, 28, 29 는 제1 회동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 31, 32 는 제2 회동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 36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 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내지 43 은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 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스틱과 제2 스틱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스틱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로프부와 맞닿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 는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1>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좌측면도와 대칭),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및 두 손잡이부(10, 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 그리고 두 손잡이부(10, 20)에 각각 구비되는 손가락걸이(15, 25)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는 두 손잡이부(10, 20)의 연결기능과 함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체취급부(18, 28)를 벌리거나 붙이기 위한 회전동작기능, 아울러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평유지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2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빗금처리)와 우측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1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된다. 또한, 도 13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22)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 11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위 돌출띠(12a)의 뒷면(12ad)과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위 돌출띠(22a)의 앞면(22ad)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도 10과 도 13에 나타낸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의 뒷면과 상기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의 앞면도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는 제1원통(11)의 위쪽 같은 위치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는 제1원통(11)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아울러,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연결부(10R, 20R)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좌측연결부의 제4a원통(13)과 우측연결부의 제4b원통(23)은,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과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 사이의 앞뒤판중간선(1424)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서로 같은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0, 200)를 보다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방법과 함께, 결합된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효과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3 및 도 10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5 의 길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또는 도 8)과 같이 조립후 결합상태에 있는 두 몸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면, 이하와 같은 상태를 갖는다.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과 두 돌출띠(22a, 22b)는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 안쪽 빈공간(12h)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과 두 돌출띠(12a, 12b)는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 바깥쪽 빈공간(22h)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조립방법(또는 과정)도 또한 이와 같은 분리방법(또는 과정)과 서로 역순으로 동일하게 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룬 경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가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a, 22a)로 서로 걸려있고,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도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b, 22b)로 서로 걸려있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16 내지 도 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은 도 8에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 약 9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이다. 여기서, 제1 몸체(100)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빗금처리하고, 제2 몸체(200)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음영처리로 나타내었다.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좌우측 연결부(10R, 20R)의 분리 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에서 제1 몸체(빗금처리)와 제2 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6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로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의 돌출띠가 서로 겹쳐진 상태(12a22a, 12b22b)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체취급부'가 뜻하는 의미와 구성목적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는 기체가 아닌 고체나 액체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취급'은, 본 발명의 명칭이 '집게형 도구'라고 하여 단지 집는 동작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물체의 상태와 도구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다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체취급부'는, 다양한 상태와 모양으로 이루어진 물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손가락걸이 아래 위치에서 다양한 구조와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와 무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그려진 젓가락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예컨대, 숟가락 형태의 구성일 수 있으며, 2 개의 물체취급부가 맞닿아서 합쳐져서 하나의 숟가락 형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체취급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구가 바닥에 놓여질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하 '승강상태'라 함)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점(P)을 기준으로 손잡이쪽구간(Pb)을 물체취급쪽구간(Pa) 보다 무겁게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두 구간(Pa, Pb)의 재질과 크기의 조정만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재질과 크기의 조정수준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상기 승강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원통(11)의 중심부 공간에 무게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S)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의 주요기능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두 몸체의 회전동작과정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과 함께 물체취급과정에서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어긋나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어야 할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구성은, 이하와 같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에는, 상기 제3원통(12)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12a, 12b)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한다.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에는, 상기 제2원통(22)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22a, 22b)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 - 즉,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12ah, 12bh, 22ah, 22bh)이 없는 상황에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를 성형할 때 발생되는 비효율성과 불안정성 등 - 을 일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이고도 견고하고 정밀하게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할 수 있는 구조와 여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를 이용하여 쉽게 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의 노출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손가락의 동작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와 함께 손가락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은 손가락걸이(15, 2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걸이는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10, 20)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22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16, 2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16, 26)는,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출입을 위해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며, 검지삽입구(16, 26)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16, 26)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두 손잡이부(10, 20) 사이에 아치형 긴 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의 일부분이 두 손잡이부 사이에 집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도구걸이에 손쉽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 2>
이하의 <설명 2> 에서는 상기 <설명 1> 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용어와 관점을 달리 하여 새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좌우", "전후" 는 각각 도 25 의 Z 축, X 축, Y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분리도면이다. 도 27, 28, 29 는 제1 회동연결부(300R)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 31, 32 는 제2 회동연결부(400R)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5, 36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을 포함한다.
제1 스틱(300)은, 바 형상의 제1 바디(30)를 갖고, 상기 제1 바디(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 그립부(32), 상기 제1 바디(3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1 바디(3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손가락 걸이부(33)를 포함한다. 제1 손가락 걸이부(33)는 제1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바디(30)와 제1 손가락 걸이부(33) 사이에 손가락(예컨대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1 손가락 끼움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가락 걸이부(33)보다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제1 손잡이부(31)로 구성된다.
제2 스틱(400)은 바 형상의 제2 바디(40)를 갖고, 상기 제2 바디(4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 그립부(42), 상기 제2 바디(4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400R), 및 제2 바디(4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손가락 걸이부(43)를 포함한다. 제2 손가락 걸이부(43)는 제1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바디(40)와 제2 손가락 걸이부(43) 사이에 손가락(예컨대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2 손가락 끼움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가락 걸이부(43)보다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제2 손잡이부(41)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가능하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한다. 따라서,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켜서 물체 등의 그립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도 28, C1)을 갖는 원통형의 회동축(312), 및 상기 회동축(312)과 동심이며 상기 회동축(312)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파이프(314)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31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제1 내삽 공간(3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파이프(314)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제1 바디(3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는 제2 내삽 공간(318)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파이프(314)와 회동축(312)은, 제1 회동연결부(300R)의 후면을 구성하는 바텀부(310)를 통해서 제1 스틱(300)의 제1 바디(30)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회동축(312), 제1 파이프(314), 제1 내삽 공간(316), 및 제2 내삽 공간(318)은 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314)에 대해서 대면하는 제1 바디(30)의 단부면에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면(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도 31, C2)을 갖는 제2 파이프(412), 및 상기 제2 파이프(412)와 동심이며 상기 제2 파이프(412)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 파이프(418)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제3 내삽 공간(414)이 형성된다. 제2 파이프(412) 내에는 원통형의 제4 내삽 공간(416)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는, 제2 회동연결부(400R)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론트부(410)를 통해서 제2 스틱(400)의 제2 바디(40)와 연결된다. 아울러,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 제3 내삽 공간(414), 및 제4 내삽 공간(416)은 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412)에 대해서 대면하는 제2 바디(40)의 단부면에는 라운딩된 라운딩면(4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제1 내삽 공간(316) 내에 제2 파이프(412)가 내삽된다. 아울러, 제2 내삽 공간(318) 내에는 제3 파이프(418)가 내삽된다. 아울러, 제3 내삽 공간(414) 내에는 제1 파이프(314)가 내삽되고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상기 회동축(312)이 내삽된다. 따라서, 회동축(312), 제1 파이프(314), 제2 파이프(412), 및 제3 파이프(418)가 중심축을 공유하며 동심이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는,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는,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 및 원호각을 갖고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기(330)는 2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기(330)는,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는 제1 파이프(31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틱(300)을 세웠을 때, 제1-1 돌기(332)는 제1 파이프(314)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제1-2 돌기(334)는 제1 파이프(314)의 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1>에 비추어 보면, 제1-1 돌기(332)는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이며, 제1-2 돌기(334)는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는 소정의 원호각 범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8 을 참조하면,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θ1 과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 θ2 는,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울러, <설명 1> 에 비추어 보면,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의 원주 방향 범위는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및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가 72° 이며, 각각 제1 파이프(314)의 상, 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1 파이프(314)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 사이(제1 파이프(314)의 좌우)에는 각각 108° 의 원호각 범위를 갖는 공간(후술하는 제1-2 공간부(V2))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1-1 돌기(332) 및 제1-2 돌기(33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제1-1 공간부(V1)가 형성된다. 또한,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 사이에는 제1-2 공간부(V2)가 형성된다. 또한,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의 후방에는 제1-3 공간부(V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는, 상기 제2 파이프(4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430)는, 제2 파이프(412)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파이프(4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 및 원호각을 갖고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돌기(430)는 2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돌기(430)는,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는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틱(400)을 세웠을 때, 제2-1 돌기(432)는 제2 파이프(412)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제2-2 돌기(434)는 제2 파이프(412)의 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1>에 비추어 보면, 제2-1 돌기(432)는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이며, 제2-2 돌기(334)는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는 소정의 원호각 범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1 에 도시된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θ3 과,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 θ4 는, 각각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울러, <설명 1> 에 비추어 보면, 제2-1 돌기(432)와 제1-2 돌기(434)의 원주 방향 범위는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1 돌기(432)의 원호각 범위 및 제2-2 돌기(434)의 원호각 범위가 72° 이며, 각각 제2 파이프(412)의 상, 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2 파이프(412)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 사이(제2 파이프(412)의 좌우)에는 각각 108° 의 원호각 범위를 갖는 공간(후술하는 제2-2 공간부(W2))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2-1 돌기(432) 및 제2-2 돌기(43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제2-1 공간부(W1)가 형성된다. 또한,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 사이에는 제2-2 공간부(W2)가 형성된다. 또한,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의 전방에는 제2-3 공간부(W3)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회동연결부(400R)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K 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라 함은, 상기 제1 내삽 공간(316) 내에 제2 파이프(412)가 내삽되고, 제2 내삽 공간(318) 내에는 제3 파이프(418)가 내삽되며,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제1 파이프(314)가 내삽되고,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상기 회동축(312)이 내삽된 상태이다.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면, 상기 제1 돌기(330)는 제2 돌기(43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면, 중심축(C1, C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파이프(314) 및 제2 파이프(412)가 상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30) 및 제2 돌기(430) 또한 중심축(C1, 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한다.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는, 서로 전후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겹쳐지거나, 또는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지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걸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면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 사이의 전후 방향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인 분리각(예 : 90°)을 가지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상기 분리각 이하의 크기의 사이각을 가지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5, 36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상기 분리각 K 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 K 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즉,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분리의 반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설명 2> 는, 앞서 기술한 <설명 1> 에서의 설명과 상통하는 것이며,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용어와 설명을 달리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 2 는 설명 1 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실시 형태이며, 설명 2 에서 기재가 생략된 구성 또는 효과는 그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즉, 설명 1 의 구성 및 효과가 설명 2 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설명 3>
이하의 설명 3 에서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 및 제2 스틱(4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슬로프부가 구비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설명 3 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소정의 각도(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간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 요소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을 수 있다.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은 각각 상부분에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제2 슬로프부(440)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 및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00)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400)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는,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4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예컨대,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340)와 상기 가이드면(440-1)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3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40)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440)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형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 사이의 연결 관계는, 소정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내삽되어 회동 가능한 회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 설명 2 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설명 1 의 용어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실시 형태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간단한 예로, 아래의 설명에서, 제1 슬로프부(340)는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 설명의 용어를 사용하면, 제1 슬로프부(340)는 제1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 2 가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 3 에서 설명하는 구성이 추가로 적용된 것과 같은 설명이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가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상단부에 스틱 사이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며, 이러한 실시 형태에 권리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도, "상하", "좌우", "전후" 는 각각 도 25 의 Z 축, X 축, Y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38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 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내지 43 은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400)의 상단부에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상기 분리각을 가질 때,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1 슬로프부(340)의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바텀부(310)로부터 이격되는(즉,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또한, 제2 슬로프부(440)의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프론트부(410)로부터 이격되는(즉,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각각의 제1, 제2 슬로프부(340, 440)의 경사각은 한정하지 않지만, 일 예에 의하면 30 내지 60°일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슬로프부(340, 440)의 단부에는 라운딩(R1, R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슬로프부(340, 440)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설명한 분리각 이상으로 커질 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단부에 라운딩, 또는 빗면(예컨대, 도 41 에 도시된 330a, 4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소정의 범위의 원호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보다 커져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될 때에는,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충돌하거나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돌기(330)를 구성하는 제1-1 돌기(332), 제1-2 돌기(334) 및 제2 돌기(430)를 구성하는 제2-1 돌기(432), 제2-2 돌기(434)는, 소정의 길이(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를 갖거나, 소정의 원호각 범위(60° 내지 8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제1 및 제2 슬로프부(340, 440)에 의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리될 때,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걸리거나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분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면 도 40 과 같다. 도 40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일 때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40 의 (a) 내지 (c) 는 각각 제1 스틱(300)의 제1 회동연결부(300R),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 및 제1 회동연결부(300R)의 제1 돌기(330)와 제2 회동연결부(400R)의 제2 돌기(430)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0 이후 도면에서는, 확인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도 40 (c) 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일 때에는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물론,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 이하 범위일 때에도,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을 것이다.
도 41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벌려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한 상태일 때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하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서로 맞닿을 수 있다.
도 42 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분리각보다 더 벌린 상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분리각을 가질 때,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서로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더 벌리면,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제1 스틱(300)은 화살표 S2 와 같이 미끄러져 후방으로 안내되고, 제2 스틱(400)은 화살표 S1 과 같이 미끄러져 전방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더 벌리면, 도 43 과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슬로프부에 의해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충돌하거나 걸려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에 각각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원호각 범위)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상기 분리각보다 커지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슬로프부가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면 제1 스틱(300)의 상단부와 제2 스틱(400)의 상단부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틱이 부러지거나 회동연결부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마련됨으로서, 이러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사이각이 커지면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44 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스틱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로프부와 맞닿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4 에서는 제1 스틱(300)에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며, 제2 스틱(400)에는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어 있다.
도 4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모두 슬로프부를 가질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스틱에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스틱에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면(440-1)의 단부에는 소정의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상기 분리각보다 커지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가이드면(440-1)이 맞닿아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상기 설명한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5 는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틱(300)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 돌출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400)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 돌출부(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2 지지 돌출부(35, 45)와 제1,2 스틱(300, 400)의 상단부 사이(Pb)의 중량은 제1,2 지지 돌출부(35, 45)와 제1,2 스틱(300, 400)의 하단부 사이(Pa)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바닥에 닿지 않아서 사용자의 위생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제1 몸체
10: 좌측 손잡이부
10R: 좌측연결부
12a: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
12b: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
11: 제1원통
12: 제3원통
13: 제4a원통
14: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
15: 좌측 손가락걸이
16: 좌측 검지삽입구
18: 좌측 물체취급부
200: 제2 몸체
20: 우측 손잡이부
20R: 우측연결부
22a: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
22b: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
22: 제2원통
23: 제4b원통
S: 무게조절부
24: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
25: 우측 손가락걸이
26: 우측 검지삽입구
28: 우측 물체취급부
300: 제1 스틱
30: 제1 바디
31: 제1 손잡이부
32: 제1 그립부
33: 제1 손가락 걸이부
34: 제1 손가락 끼움부
35: 제1 지지 돌출부
300R: 제1 회동연결부
310: 바텀부
312: 회동축
314: 제1 파이프
316: 제1 내삽 공간
318: 제2 내삽 공간
330: 제1 돌기
332: 제1-1 돌기
334: 제1-2 돌기
340: 제1 슬로프부
400: 제2 스틱
40: 제2 바디
41: 제2 손잡이부
42: 제2 그립부
43: 제2 손가락 걸이부
44: 제2 손가락 끼움부
45: 제2 지지 돌출부
400R: 제2 회동연결부
410: 프론트부
412: 제2 파이프
414: 제3 내삽 공간
416: 제4 내삽 공간
418: 제3 파이프
430: 제2 돌기
432: 제2-1 돌기
434: 제2-2 돌기
440: 제2 슬로프부

Claims (4)

  1.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와 상기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 및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집게형 도구.
  2.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와 상기 가이드면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집게형 도구.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축은 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가 서로 연결되는 집게형 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심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고 상기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파이프 내에 내삽되되,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집게형 도구.
KR1020190050449A 2018-05-01 2019-04-30 집게형 도구 KR10235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ko) 2019-04-30 2019-04-30 집게형 도구
PCT/KR2019/005195 WO2019212227A1 (ko) 2018-05-01 2019-04-30 집게형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ko) 2019-04-30 2019-04-30 집게형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06A true KR20200126606A (ko) 2020-11-09
KR102353863B1 KR102353863B1 (ko) 2022-01-24

Family

ID=7342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ko) 2018-05-01 2019-04-30 집게형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8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680U (ko) * 1987-04-15 1988-10-25
KR200294125Y1 (ko) * 2002-08-02 2002-11-04 황정시 집게
KR101108589B1 (ko) * 2009-04-29 2012-01-31 안순희 숟가락이 구비된 원터치 젓가락
KR20130027974A (ko) * 2011-09-08 2013-03-18 구교진 변신 캐릭터 젓가락
KR20130007155U (ko) 2012-06-05 2013-12-13 문기원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680U (ko) * 1987-04-15 1988-10-25
KR200294125Y1 (ko) * 2002-08-02 2002-11-04 황정시 집게
KR101108589B1 (ko) * 2009-04-29 2012-01-31 안순희 숟가락이 구비된 원터치 젓가락
KR20130027974A (ko) * 2011-09-08 2013-03-18 구교진 변신 캐릭터 젓가락
KR20130007155U (ko) 2012-06-05 2013-12-13 문기원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863B1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1724B2 (en) Multifunctional electric cleaning apparatus
TW201210758A (en) Tweezers
EP3610767A1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KR102309302B1 (ko) 청소기
US201902494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ust-Free Tile Removal Tool
KR102311690B1 (ko)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KR20200126606A (ko) 집게형 도구
KR102128157B1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CN201996199U (zh) 一种半自动筷子
JP4545045B2 (ja) 電気掃除機
CN212382587U (zh) 清扫工具用柄、清扫工具以及用于清扫工具的清扫片材
KR20180018465A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CN211111957U (zh) 转移抓手
JP6287952B2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WO2014163303A1 (ko) 일체형 수저
KR101311373B1 (ko)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WO2019212227A1 (ko) 집게형 도구
JP7039016B2 (ja) ジョイント構造及び道具
CN110628570A (zh) 转移抓手
JP6861019B2 (ja) 取り出し具付き容器
USD972886S1 (en) Flatware holder
KR101817843B1 (ko) 진공 청소기 및 청소기의 핸들
JP2000325277A (ja) 電気掃除機
KR200315278Y1 (ko) 주방용 집게
KR101610208B1 (ko) 정역회전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