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157B1 - 집게형 도구 손잡이 - Google Patents

집게형 도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157B1
KR102128157B1 KR1020180050303A KR20180050303A KR102128157B1 KR 102128157 B1 KR102128157 B1 KR 102128157B1 KR 1020180050303 A KR1020180050303 A KR 1020180050303A KR 20180050303 A KR20180050303 A KR 20180050303A KR 102128157 B1 KR102128157 B1 KR 10212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hand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207A (ko
Inventor
이근직
Original Assignee
이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직 filed Critical 이근직
Priority to KR102018005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157B1/ko
Priority to PCT/KR2019/005195 priority patent/WO2019212227A1/ko
Publication of KR2019012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두 개의 몸체가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및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검지 끝부분을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가 형성된 손가락걸이를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집게형 도구 손잡이{Tool handles of the tongs type}
본 발명은, 손가락 본연의 기능과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아울러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는 손잡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집게류의 도구는,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는 것과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회전축으로 결합된 두 개의 몸체는, 분리와 재결합 방법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두 몸체를 회전축에 결합 또는 연결시킬 부품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품을 배제하고 두 개의 몸체만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정밀도나 안정성이 미흡한 수준인 것도 일반적이다.
따라서, 집는 기능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몸체와 별도로 결합용 부품을 구비해야 하고, 이러한 두 몸체의 결합과 분리과정에는 또다른 도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것이다.
재질의 탄력만을 이용하는 집게류의 경우, 한 쪽 방향의 탄력만을 이용하게 되어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그대로 구현하지 못함에 따른 불편이 있다.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즉,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집게류의 경우, 별도의 준비된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음에 따른 불편과 비효율성이 있다.
두 몸체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대다수 집게류의 경우, 결합부위의 틈새와 회전동작으로 인하여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성에 주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집게류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 물체취급부위가 바닥과 맞닿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 즉 바닥의 청결상태나 비위생가능성 등으로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또는 취급된 물체의 잔여분이 바닥에 묻게 되어 느낄 수 있는 불결감이나 불쾌감 또는 비위생성 등의 문제를 더불어 해소하는 것도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두 개의 몸체가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상기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의 뒷면은 각각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의 앞면과 각각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두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는 제1원통의 위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는 제1원통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와 아래 돌출띠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약 1/4.1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무게 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S)가 상기 제1원통의 중심부 공간에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연결부의 두 개의 돌출띠와 상기 우측연결부의 두 개의 돌출띠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에는
상기 제3원통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에는
상기 제2원통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에 물체취급부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16, 26)가 형성된 두 개의 손가락걸이(15, 25)로 구성되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는,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검지삽입구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본연의 집는 동작을 그대로 구현시킬 수 있어서, 보다 정교하고 편리한 집게형 도구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부는, 앞면과 뒷면이 서로 대칭이고 좌측과 우측이 서로 대칭인 구조로서, 오른손과 왼손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의 앞쪽과 뒤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부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두 개의 몸체를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생산효율과 사용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집게형 도구가 집는 기능을 수행할 때, 손잡이부의 수평유지기능으로 인하여 물체취급부가 어긋남 없이 안정적으로 정교하게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구를 보다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취급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몸체를 쉽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어서 세척과 위생관리가 용이하고, 결합부위의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회전동작 과정에서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이 방지되며,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에는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이고, 손잡이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아치형 공간은 일반적인 도구손잡이의 원형 구멍이나 고리보다 더 편리하게 도구걸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 손잡이는, 다양한 요리도구와 식사도구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고, 손동작을 이용하는 다양한 의료용 시술도구의 손잡이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실험용 도구나 기타 집게형 도구의 손잡이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좌측면도와 대칭)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3의 K부분에 대한 윗면도
도 8은 도 3의 K부분을 확대하여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K1-K1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분리된 좌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1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K2-K2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8에서 분리된 우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2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의 K3-K3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빗금처리)와 우측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6에서 좌측몸체(빗금처리)와 우측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적용된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바닥(음영처리)에 닿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 손잡이를 왼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4는 좌우측 연결부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커버로 덮은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 손잡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및 두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 그리고 두 손잡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손가락걸이(15, 25)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는 두 손잡이부(10, 20)의 연결기능과 함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체취급부(18, 28)를 벌리거나 붙이기 위한 회전동작기능이 필요한 것이며, 아울러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평유지기능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되도록 하고, 도 13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도 11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위 돌출띠(12a)의 뒷면(12ad)과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위 돌출띠(22a)의 앞면(22ad)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도 10과 도 13에 나타낸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의 뒷면과 상기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의 앞면도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는 제1원통(11)의 위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는 제1원통(11)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연결부(10R, 20R)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좌측연결부의 제4a원통(13)과 우측연결부의 제4b원통(23)은,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과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 사이의 앞뒤판중간선(1424)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서로 같은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몸체(100, 200)를 보다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방법과 함께, 결합된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효과적 방법을 설명하면,
도 3 및 도 10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약 1/4.1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또는 도 8)과 같이 조립후 결합상태에 있는 두 몸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몸체(100)와 우측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면,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과 두 돌출띠(22a, 22b)는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 안쪽 빈공간(12h)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과 두 돌출띠(12a, 12b)는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 바깥쪽 빈공간(22h)에 위치하게 되어,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두 몸체의 조립방법(또는 과정)도 또한 이와 같은 분리방법(또는 과정)과 서로 역순으로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몸체(100)와 우측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룬 경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가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a22a)로 물려있고,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도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b22b)로 물려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16 내지 도 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100)와 우측몸체(200)가 서로 약 9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로서, 좌측몸체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빗금처리하고, 우측몸체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음영처리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좌우측 연결부(10R, 20R)의 분리 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에서 좌측몸체(빗금처리)와 우측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6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로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의 돌출띠가 서로 겹쳐진 상태(12a22a, 12b22b)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체취급부’가 뜻하는 의미와 구성목적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는 기체가 아닌 고체나 액체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취급’은, 본 발명의 명칭이 ‘집게형 도구 손잡이’라고 하여 단지 집는 동작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물체의 상태와 도구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다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체취급부’는, 다양한 상태와 모양으로 이루어진 물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손가락걸이 아래 위치에서 다양한 구조와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와 무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그려진 젓가락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물체취급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구가 바닥에 놓여질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하 ‘승강상태’라 함)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점(P)을 기준으로 손잡이쪽구간(Pb)을 물체취급쪽구간(Pa) 보다 무겁게 함으로써 승강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두 구간(Pa, Pb)의 재질과 크기의 조정만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재질과 크기의 조정수준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상기 승강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원통(11)의 중심부 공간에 무게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S)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의 주요기능을 설명하면,
두 몸체의 회전동작과정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과 함께 물체취급과정에서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어긋나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어야 할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에는, 상기 제3원통(12)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12a, 12b)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하고,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에는, 상기 제2원통(22)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22a, 22b)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 - 즉,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12ah, 12bh, 22ah, 22bh)이 없는 상황에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를 성형할 때 발생되는 비효율성과 불안정성 등 - 을 일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이고도 견고하고 정밀하게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할 수 있는 구조와 여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를 이용하여 쉽게 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의 노출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손가락의 동작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와 함께 손가락걸이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은 손가락걸이(15, 2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걸이는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10, 20)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도록 하며,
도 22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16, 26)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는,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출입을 위해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며, 검지삽입구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두 손잡이부(10, 20) 사이에 아치형 긴 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의 일부분이 두 손잡이부 사이에 집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도구걸이에 손쉽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좌측몸체 200: 우측몸체
10: 좌측 손잡이부 20: 우측 손잡이부
10R: 좌측연결부 20R: 우측연결부
12a: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 22a: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
12b: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 22b: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
11: 제1원통 22: 제2원통
12: 제3원통 23: 제4b원통
13: 제4a원통 S: 무게조절부
14: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 24: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
15: 좌측 손가락걸이 25: 우측 손가락걸이
16: 좌측 검지삽입구 26: 우측 검지삽입구
18: 좌측 물체취급부 28: 우측 물체취급부

Claims (6)

  1.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의 뒷면은 각각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의 앞면과 각각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두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는 제1원통(11)의 위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는 제1원통(11)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며,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뒤쪽 판(14)에는
    상기 제3원통(12)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12a, 12b)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앞쪽 판(24)에는
    상기 제2원통(22)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22a, 22b)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도구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50303A 2018-05-01 2018-05-01 집게형 도구 손잡이 KR10212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303A KR102128157B1 (ko) 2018-05-01 2018-05-01 집게형 도구 손잡이
PCT/KR2019/005195 WO2019212227A1 (ko) 2018-05-01 2019-04-30 집게형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303A KR102128157B1 (ko) 2018-05-01 2018-05-01 집게형 도구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07A KR20190126207A (ko) 2019-11-11
KR102128157B1 true KR102128157B1 (ko) 2020-06-29

Family

ID=6853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303A KR102128157B1 (ko) 2018-05-01 2018-05-01 집게형 도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614B1 (ko) * 2001-08-14 2004-12-17 박병진 지능개발용 학습저
KR101846348B1 (ko) * 2016-08-12 2018-04-06 이근직 집게형 도구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680U (ko) * 1987-04-15 1988-10-2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614B1 (ko) * 2001-08-14 2004-12-17 박병진 지능개발용 학습저
KR101846348B1 (ko) * 2016-08-12 2018-04-06 이근직 집게형 도구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07A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7803S1 (en) Cordless vacuum cleaner
USD927103S1 (en) Cordless hand-held vacuum cleaner
USD976826S1 (en) Charger for robotic vacuum cleaner
USD940413S1 (en) Vacuum cleaner
USD980162S1 (en) Charger for robotic vacuum cleaner
USD941758S1 (en) Battery charger for a vacuum cleaner
USD863700S1 (en) Vacuum cleaner
USD924503S1 (en) Cyclonic vacuum cleaner
USD924505S1 (en) Vacuum cleaner
USD924504S1 (en) Vacuum cleaner
USD928433S1 (en) Vacuum cleaner
USD928432S1 (en) Vacuum cleaner
USD961869S1 (en) Top button and lid of an autonomous floor cleaning robot
USD946838S1 (en) Vacuum cleaner
USD876736S1 (en) Vacuum cleaner
USD1000606S1 (en) Blood collecting device
USD898141S1 (en) Bat
KR102128157B1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USD910948S1 (en) Cleaning foot of a multi-surface vacuum cleaner
KR101846348B1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KR102353863B1 (ko) 집게형 도구
USD968622S1 (en) Modular knee extension device
USD910949S1 (en) Cleaning foot of a multi-surface vacuum cleaner
JP6691591B2 (ja) ステルス搾乳装置
KR20180018465A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