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07109A1 -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 Google Patents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07109A1
WO2017007109A1 PCT/KR2016/002183 KR2016002183W WO2017007109A1 WO 2017007109 A1 WO2017007109 A1 WO 2017007109A1 KR 2016002183 W KR2016002183 W KR 2016002183W WO 2017007109 A1 WO2017007109 A1 WO 20170071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d
connecting member
gripping portion
stop pi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1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ublication of WO20170071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071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Definitions

  • first through hole 15 second through hole
  •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When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coupled to a cart,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cart, and the bod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sket with an upper side opened, or It can b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placed on top of the simple frame form.
  • the wheel 4 is located at the bottom as a means for contacting the ground, the handle is pulled out toward the upper direction opposite to the wheel, so the travel bag (2) so that the handle portion is upward Based on this standing state,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defined and explained.
  •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comprises a combination 10, the first rod 20, the second rod 30 and the locking device 100.
  • the combined bod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3 of the travel bag 2, and serves to mediate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and the main body 3.
  • the assembly 10 may rub against the first rod 20 and / or the second rod 30 to prevent the first rod 20 and / or the second rod 30 from moving against the assembly 10. To this end, it can be made to effectively exert a friction force i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irst rod 20 and / or the second rod 30 for this purpose.
  • the coupling 10 may include a coupling frame 11, a first friction ring 12, and a second friction ring 13.
  • the first friction ring 12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ring) surrounding the first rod 20, and in this case, has a height of 0.5 to 10 cm and an inner diameter of 1 to 10 cm. Can be done.
  • the first friction ring 12 may have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rod 20.
  •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riction ring 1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and the like, and particularly, a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d 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al shape. .
  • the second friction ring 13 is provided on the second through hole 15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d 30,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coupling frame 11.
  • the second friction ring 13 is made to have a larger friction coefficient than the coupling frame 11,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d 30, or the frictional force is relatively, such as rubber It is made of large material.
  • the second friction ring 13 may be simply formed in the form of a rubber pad or in the form of a C-shaped pad in plan view,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rod 30.
  • the second friction ring 13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completely surround the second rod 30)
  • the first rod 20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4 of the coupling frame 11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d 20 is completely prevented from moving away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4 while moving the coupling frame 11. For this purpose, a separate stopper is formed below the first rod 20. Can be.
  •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rod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and the like.
  • a separate first sleeve 101 surrounding the first rod 20 may be formed, and the first sleeve 101 is formed in a pipe shape and has a first penetration.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frame 11 on the hole 14 to guide the smooth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rod 20.
  • the locking device 100 is used as a means for allowing or preventing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from moving relative to the assembly 10.
  • the lockin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to connect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handle. That is, the user is made to hold or lock the locking device 100 constituting the handle so that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can be fixed or moved relative to the assembly 10.
  • the lock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10, a second connector 120, and a grip 130.
  •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is formed in a form bent or bent toward the second rod 30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20,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rod 20.
  • th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20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2 and the portion facing the second rod 30 is the first control tube 111.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rol tube 111 may form a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control tube 111 which is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10 that faces the second rod 3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a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130.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form bent or bent toward the first rod 20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30,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rod 30.
  • th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30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portion facing the first rod 20 is the second control tube 121.
  • the second control pipe 121 which is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that faces the first rod 2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a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130.
  • the first control tube 111 of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of the second connector 120 are formed on the same li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gripper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S1, which is the rotation shaft of the gripper 130, is the first control tube 111. And penetrate the center of the second control tube 121 and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gripper 130 is screwed with the first control tube 111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respectively, wherein the screwing direction of the gripper 130 and the first control tube 111, the gripper Contrary to the screwing direction of the 130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 the holding unit 130 is preferably made of a symmetrical form.
  • the gripping portion 130 may be divided into an inner tube 131 and an outer tube 132.
  • the inner tube 131 is inserted so that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or 110 (inside of the first control tube 111), and the other end is inside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second control tu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121), and screwed with the first control tube 111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respectively, wherein the screwing direction of both sides are made opposite to each other.
  • first control tube 111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respectively, the direction of the screws are opposite to each other,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131 are each made of a male screw form the first control tube ( 111)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may be screwed while being inserted into.
  • the outer tube 132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110 (the first control tube 1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second control tube 121)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tube 131.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length adjustment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length adjustment device 1 shown in Figure 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shown in FIG. 5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1 shown in FIG.
  • the lock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body 110, a second connecting body 120 and the holding part 130, but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the branch 13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not screwed with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 the lock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top pin 140, a second stop pin 150, and an elastic body 160.
  • the first connector 110 may include the first coupling part 112 and the first control tube 111, but the first control tube 111 is simply a circular tube. It is not made, the end is made in the form of getting closer or away from the second control tube 12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control tube 11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side facing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is cut in an oblique direction, and such a portion in the first control tube 111 to the first control end 113. Call it.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may include the second coupling part 122 and the second adjusting tube 121, but the second adjusting tube 121 is simply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It is not made, the end is made in the form of getting closer or away from the first control tube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control tube 12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side facing the first connector 110 in the oblique direction, this portion in the second control tube 121 to the second control end 123. Call it.
  • a concave first insertion groove 114 is formed on the first adjustment end 113,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is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S1). Is formed.
  • first control tube 111 and the second control tube 121 is formed in a symmetrical form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end 113 and the second control end ( 123) also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irst stop pin 1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elastic rubber, and is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130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djusting end 113.
  • the first stop pin 140 includes a first head 141, a first body 142, and a first elastic restoring arm 143.
  • the first head 141 is a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ntrol end 113 from the first body 142. If the external force is not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60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head 1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the rotation of the grip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or 110 is In addi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towar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is inhibi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S1.
  • the second stop pin 1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elastic rubber, and is coupled to the grip part 130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rol end 123.
  • the second stop pin 150 includes a second head 151, a second body 152, and a second elastic restoration arm 153.
  • the second body 152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130, wherein the second body 15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rotation axis (S3).
  • the third rotating shaft S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orthogonal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S2.
  • the second head 151 is a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4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ntrol end 123 from the second body 152. If the external force is not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60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d 15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4, the rotation of the grip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also This is inhibited, and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towar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is inhibi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S1.
  • the elastic body 160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are close to each other.
  • the elastic body 160 may have a spring-like shape. That is, if the first stop pin 140 and the second stop pin 150 are means for prevent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from approaching each other, the elastic body 160 may include a first stop pin 140.
  • the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corresponds to a means for preventing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4 is changed while mov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S1).
  • the first head 141 of the first stop pin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at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4 is closest.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rol end 113 and the second control end 123 is the maximum,
  •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are in a state where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 the first head 141 of the first stop pin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at a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4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4 is farthest.
  • the second head 151 of the second stop pin 1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24,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djusting end 113 and the second adjusting end 123 is minimized.
  •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are in a state closest to each other.
  •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is to be adjusted, this can be achieved by rotating the grip 130 against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Can be.
  • the first elastic restoration arm 143 is bent to store the elastic force.
  • the first head 141 is inserted into another adjacent first insertion groove 114 while exiting from the original first insertion groove 114, and the first elastic restoration arm 143 ) Is elastically restored.
  • the second elastic restoration arm 153 is bent to store the elastic force.
  • the second head 151 is inserted into another adjacent second insertion groove 124 while escaping from the original second insertion groove 124, and the second elastic restoration arm 153 ) Is elastically restored.
  • the first stop pin 140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control end 113, and the second stop pin 150 may be moved along the second control end 123.
  •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can be adjusted.
  • an auxiliary pipe 17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auxiliary pipe 17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and the elastic body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ipe 170. It may be made to be elastic.
  •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 This vertical direction see Figs. 4 (a) and (b)
  • this adjustment i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grip portion 130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It can be done through.
  • the grip unit 130 is properly rotat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whereby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are parallel to each other. Do it.
  •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When 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travel bag 2, the handle (grip portion 130) is preferably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rod 3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d is strongly adhered to the first friction ring 12,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rod 2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d is the second friction ring (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13),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rst rod 20 and the second rod 30 against the assembly 10 is prevented, and the fixing of the handle (grip portion 130) at an arbitrary height is prevented. Will be done.
  •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handle length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n the state to stop at any point,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gainst the assembly to adjust the length
  • the industrial use is not only sufficient for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as it exceed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realistically viable. It is a possibility invention.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고 일측에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결합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봉;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1 봉과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는 제2 봉; 및 제1 봉과 제2 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체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 봉과 제2 봉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본 발명은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또는 수용되는 여행용 가방, 또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는 손수레 등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여행용 가방에는, 무거운 짐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바퀴 및 손잡이가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손잡이의 길이가 가변형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손잡이의 길이가 가변적인 여행용 가방은, 가방의 일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가방을 상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인출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방으로부터 인출된 손잡이의 전체 길이는, 2단계 또는 3단계 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조건에 부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손잡이의 길이 조정이 더욱 폭넓은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방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314167호는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0314167호에 따른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볼링백, 여행용가방 등에서 손잡이를 상단부에 설치한 내부파이프가 외부파이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파이프의 이동 및 멈춤에 의하여 손잡이의 높이가 조정되는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에 있어서, 손잡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해제부재, 걸림해제부재와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해제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내부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단부가 걸림해제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걸림해제부재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전달와이어, 동력전달와이어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각각 내장하여 내부파이프의 하단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측면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본체, 지지본체의 가이드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경사돌기부가 선단부에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내부파이프의 하단부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각각 돌출되며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되는 돌출부재, 그리고 외부파이프 내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재의 경사돌기부와 접촉하는 스트립요철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손잡이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의 신장이나 신체적인 조건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0314167호에서 개시되는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곤란하고 작동불량의 발생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지점에서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고, 손잡이의 길이 조정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고 일측에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결합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봉;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봉과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는 제2 봉; 및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체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 봉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봉을 향하여 꺾이거나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는 제1 연결체; 상기 제2 봉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봉을 향하여 꺾이거나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는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의 회전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제1 연결체의 나사결합 방향은,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제2 연결체의 나사결합 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는 각각 원형 관(管)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나사결합되는 내측관; 및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 외주면을 밀착되게 둘러싸는 외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에서, 상기 제1 연결체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연결체를 향하는 단부 테두리인 제1 조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체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연결체를 향하는 단부 테두리인 제2 조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조절단부와 상기 제2 조절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조절단부에 밀착되는 제1 스톱핀;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조절단부에 밀착되는 제2 스톱핀; 및 상기 제1 연결체와 상기 제2 연결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절단부에는 상기 제1 스톱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톱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톱핀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조절단부와 멀어지는 쪽을 향하여 길게 돌출되고 상기 파지부 일측에 지지되는 제1 탄성복원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톱핀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조절단부와 멀어지는 쪽을 향하여 길게 돌출되고 상기 파지부 일측에 지지되는 제2 탄성복원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제1 봉이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 및 상기 제2 봉이 관통하는 제2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제1 관통구멍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봉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프레임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는 제1 마찰링; 및 상기 제2 관통구멍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봉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프레임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는 제2 마찰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술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봉과 제2 봉이 임의의 지점에서 멈추도록 한 상태에서 제1 봉과 제2 봉이 결합체를 상대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여 길이의 조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2 : 여행용 가방
10 : 결합체 11 : 결합프레임
12 : 제1 마찰링 13 : 제2 마찰링
14 : 제1 관통구멍 15 : 제2 관통구멍
20 : 제1 봉 30 : 제2 봉
100 : 잠금장치
110 : 제1 연결체 111 : 제1 조절관
112 : 제1 결합부 113 : 제1 조절단부
114 : 제1 삽입홈
120 : 제2 연결체 121 : 제2 조절관
122 : 제2 결합부 123 : 제2 조절단부
124 : 제2 삽입홈
130 : 파지부 131 : 내측관
132 : 외측관 140 : 제1 스톱핀
141 : 제1 헤드 142 : 제1 몸체
143 : 제1 탄성복원아암 150 : 제2 스톱핀
151 : 제2 헤드 152 : 제2 몸체
153 : 제2 탄성복원아암 160 : 탄성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는, 여행용 가방(2)(캐리어), 손수레 등과 같이, 물건을 용이하게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가 여행용 가방(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는 여행용 가방(2)의 본체(3)에 결합되고, 이때 본체(3)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또는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3)는 통상의 여행용 가방과 같이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가 손수레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는 손수레의 본체에 결합되고, 이때 본체는 상측이 개구된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단순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그 위쪽에 물건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본체는, 가방, 바구니 또는 프레임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본체(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4)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는 여행용 가방(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때 본체(3)는 가방 형태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체(3)에서 바퀴(4)는 지면에 닿는 수단으로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손잡이는 이러한 바퀴의 반대방향인 위쪽 방향을 향하여 인출되는 것이므로, 손잡이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여행용 가방(2)이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는 결합체(10), 제1 봉(20), 제2 봉(30) 및 잠금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합체(10)는 여행용 가방(2)의 본체(3)에 고정결합되며,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와 본체(3)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체(10)는, 제1 봉(20) 및/또는 제2 봉(30)과 마찰하여 제1 봉(20) 및/또는 제2 봉(30)이 결합체(10)를 상대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제1 봉(20) 및/또는 제2 봉(30)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체(10)는 그 자체로 제1 봉(20) 및/또는 제2 봉(30)과 마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제1 마찰링(12) 및 제2 마찰링(13)이 구비되지 않고, 그 자체로 마찰에 적합한 소재,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체(10)는, 결합프레임(11), 제1 마찰링(12), 제2 마찰링(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프레임(11)은 본체에 고정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구멍(14) 및 제2 관통구멍(15)이 형성된다. 제1 관통구멍(14)과 제2 관통구멍(15) 각각은 제1 봉(20) 및 제2 봉(30)의 횡단면 모양에 각각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통구멍(14)은 그 직경이 제1 마찰링(12)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지고, 제2 관통구멍(15)은 그 직경이 제2 마찰링(13)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진다.
제1 마찰링(12)은 제1 관통구멍(14) 상에 구비되어 제1 봉(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결합프레임(11)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찰링(12)은 결합프레임(11)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제1 봉(20)과 접촉하는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거나,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 마찰링(12)은 탄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찰링(12)은, 제1 봉(20)을 둘러싸는 형태(링(ring)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0.5~10㎝의 높이를 가지고, 1~10㎝의 내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찰링(12)은, 그 내경이 제1 봉(2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마찰링(12)의 내주면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각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제1 봉(20)의 외주면의 횡단면 모양에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마찰링(12)은 단순히 고무 패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거나 평면도상 C자형 패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봉(20)의 표면 일측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즉, 제1 마찰링(12)은 제1 봉(20)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
제2 마찰링(13)은 제2 관통구멍(15) 상에 구비되어 제2 봉(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결합프레임(11)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마찰링(13)은 결합프레임(11)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제2 봉(30)과 접촉하는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거나,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2 마찰링(13)은 탄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마찰링(13)은, 제2 봉(30)을 둘러싸는 형태(링(ring)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0.5~10㎝의 높이를 가지고, 1~10㎝의 내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찰링(13)은, 그 내경이 제2 봉(3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마찰링(13)은 단순히 고무 패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거나 평면도상 C자형 패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봉(30)의 표면 일측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즉, 제2 마찰링(13)은 제2 봉(30)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
제1 봉(20)은 상하 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결합프레임(11)의 제1 관통구멍(14)을 관통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봉(20)은 결합프레임(11)을 상대로 이동하면서 제1 관통구멍(14)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제1 봉(20)의 하측에는 별도의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봉(20)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각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에서 제1 봉(20)을 둘러싸는 별도의 제1 슬리브(1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슬리브(101)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관통구멍(14) 상에서 결합프레임(11)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제1 봉(20)의 원활한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제2 봉(30)은 상하 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결합프레임(11)의 제2 관통구멍(15)을 관통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봉(30)은 결합프레임(11)을 상대로 이동하면서 제2 관통구멍(15)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제2 봉(30)의 하측에는 별도의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봉(30)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각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에서 제2 봉(30)을 둘러싸는 별도의 제2 슬리브(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슬리브(10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관통구멍(15) 상에서 결합프레임(11) 하측에 고정결합되어 제2 봉(30)의 원활한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제2 봉(30)은 제1 봉(20)과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장치(100)는 제1 봉(20) 및 제2 봉(30)이 결합체(10)를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이를 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잠금장치(100)는 제1 봉(20)과 제2 봉(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1 봉(20)과 제2 봉(30)을 서로 연결하며, 손잡이를 이루게 된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를 이루는 잠금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봉(20)과 제2 봉(30)이 결합체(10)를 상대로 고정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잠금장치(100)는 제1 봉(20)과 제2 봉(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체(10)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이 저지되도록, 제1 봉(20)과 제2 봉(30)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잠금장치(100)는 제1 연결체(110), 제2 연결체(120) 및 파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체(110)는 제1 봉(20)의 상단에서 제2 봉(30)을 향하여 꺾이거나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봉(20)에 고정결합된다. 제1 연결체(110)에서, 제1 봉(20)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1 결합부(112)이고 제2 봉(30)을 향하는 부분이 제1 조절관(111)이다.
제1 봉(20)의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을 이룰 때 제1 조절관(111)의 길이방향은 수평방향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체(110)에서 제2 봉(30)을 향하는 부분인 제1 조절관(111)은, 파지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원형 관(管)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체(120)는 제2 봉(30)의 상단에서 제1 봉(20)을 향하여 꺾이거나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봉(30)에 고정결합된다. 제2 연결체(120)에서, 제2 봉(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2 결합부(122)이고 제1 봉(20)을 향하는 부분이 제2 조절관(121)이다.
제2 봉(30)의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을 이룰 때 제2 조절관(121)의 길이방향은 수평방향을 이룰 수 있다.
제2 연결체(120)에서 제1 봉(20)을 향하는 부분인 제2 조절관(121)은, 파지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원형 관(管)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체(110)의 제1 조절관(111)과 제2 연결체(120)의 제2 조절관(121)은 동일 선상에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된다.
파지부(130)는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지부(130)의 회전축인 제1 회전축(S1)은 제1 조절관(111) 및 제2 조절관(121)의 중심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파지부(130)는 제1 조절관(111) 및 제2 조절관(121)과 각각 나사결합되고, 이때 파지부(130)와 제1 조절관(111)의 나사결합 방향은, 파지부(130)와 제2 조절관(121)의 나사결합 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진다. 파지부(130)는 좌우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부(130)는 내측관(131) 및 외측관(1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측관(131)은 일측 단부가 제1 연결체(110) 내부(제1 조절관(111)의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제2 연결체(120) 내부(제2 조절관(121)의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제1 조절관(111) 및 제2 조절관(121)과 각각 나사결합되고 이때 양쪽의 나사결합 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 조절관(111) 및 제2 조절관(121)은 각각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나사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내측관(131)의 양쪽은 각각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조절관(111) 및 제2 조절관(121) 내부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를 상대로 내측관(131)이 회전하는 경우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관(132)은 제1 연결체(110)(제1 조절관(111)) 및 제2 연결체(120)(제2 조절관(121)) 외주면을 밀착되게 둘러싸고 내측관(131)에 고정결합된다. 외측관(132)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한 파지 및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와 같은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에서, 잠금장치(100)는 제1 연결체(110), 제2 연결체(120) 및 파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이때 파지부(130)는, 상술한 바와 달리,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와 나사결합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100)는 제1 스톱핀(140), 제2 스톱핀(150) 및 탄성체(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2) 및 제1 조절관(1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만 제1 조절관(111)은 단순히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제2 조절관(12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조절관(111)은 제2 연결체(120)를 향하는 쪽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조절관(111)에서 이러한 부분을 제1 조절단부(113)로 칭하도록 한다.
제2 연결체(12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122) 및 제2 조절관(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만 제2 조절관(121)은 단순히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조절관(11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2 조절관(121)은 제1 연결체(110)를 향하는 쪽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조절관(121)에서 이러한 부분을 제2 조절단부(123)로 칭하도록 한다.
제1 조절단부(113) 상에는 오목한 형태의 제1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 삽입홈(114)은 원주방향(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된다.
제2 조절단부(123) 상에는 오목한 형태의 제2 삽입홈(124)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2 삽입홈(124) 또한 원주방향(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관(111)과 제2 조절관(121)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때, 제1 조절단부(113)와 제2 조절단부(123) 또한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짐)
제1 스톱핀(140)은 탄성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파지부(130)에 결합되어 일측 단부가 제1 조절단부(113)에 밀착된다. 제1 스톱핀(140)은 제1 헤드(141), 제1 몸체(142) 및 제1 탄성복원아암(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몸체(142)는 파지부(13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이때 제1 몸체(142)는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축(S2)은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제1 회전축(S1)과 직교한다.
제1 헤드(141)는 제1 삽입홈(114)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제1 몸체(142)에서 제1 조절단부(113)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헤드(141)가 제1 삽입홈(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160)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1 연결체(110)를 상대로 한 파지부(130)의 회전이 저지되고, 아울러 제1 회전축(S1)의 축방향을 따라 제1 연결체(110)가 제2 연결체(120)에 접근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제1 탄성복원아암(143)은 제1 몸체(142)에서 제1 헤드(141)의 반대쪽을 향하여 길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파지부(130) 일측에 지지된다. 제1 탄성복원아암(143)은, 파지부(130) 일측에 지지됨으로써, 제1 몸체(142)가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회전시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고,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스톱핀(140)이 원래 상태로 탄성복원되게 된다.
제2 스톱핀(150)은 탄성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파지부(130)에 결합되어 일측 단부가 제2 조절단부(123)에 밀착된다. 제2 스톱핀(150)은 제2 헤드(151), 제2 몸체(152) 및 제2 탄성복원아암(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몸체(152)는 파지부(13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이때 제2 몸체(152)는 제3 회전축(S3)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회전축(S3)은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제2 회전축(S2)과 직교한다.
제2 헤드(151)는 제2 삽입홈(124)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제2 몸체(152)에서 제2 조절단부(123)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헤드(151)가 제2 삽입홈(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160)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역시 제2 연결체(120)를 상대로 한 파지부(130)의 회전이 저지되고, 아울러 제1 회전축(S1)의 축방향을 따라 제2 연결체(120)가 제1 연결체(110)에 접근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제2 탄성복원아암(153)은 제2 몸체(152)에서 제2 헤드(151)의 반대쪽을 향하여 길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파지부(130) 일측에 지지된다. 제2 탄성복원아암(153)은, 파지부(130) 일측에 지지됨으로써, 제2 몸체(152)가 제3 회전축(S3)을 기준으로 회전시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고,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제2 스톱핀(150)이 원래 상태로 탄성복원되게 된다.
탄성체(160)는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력지지하며, 이를 위하여 탄성체(160)는 용수철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스톱핀(140)과 제2 스톱핀(150)이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가 서로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이라면, 탄성체(160)는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에 해당된다.
제1 삽입홈(114)과 제2 삽입홈(124) 간의 수평거리는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달라진다.
따라서, 제1 삽입홈(114)과 제2 삽입홈(124) 간의 수평거리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제1 삽입홈(114)에 제1 스톱핀(140)의 제1 헤드(141)가 삽입되고 제2 삽입홈(124)에 제2 스톱핀(150)의 제2 헤드(151)가 삽입되는 경우, 제1 조절단부(113)와 제2 조절단부(123)의 이격 거리는 최대가 되며,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는 서로 최대한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체(160)에 의하여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는 서로 당겨지므로, 힘의 평형이 유지되면서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 간의 거리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1 삽입홈(114)과 제2 삽입홈(124) 간의 수평거리가 가장 먼 위치에서, 제1 삽입홈(114)에 제1 스톱핀(140)의 제1 헤드(141)가 삽입되고 제2 삽입홈(124)에 제2 스톱핀(150)의 제2 헤드(151)가 삽입되는 경우, 제1 조절단부(113)와 제2 조절단부(123)의 이격 거리는 최소가 되며,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는 서로 가장 근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에도, 탄성체(160)에 의하여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는 서로 당겨지므로, 힘의 평형이 유지되면서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 간의 거리가 유지된다.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 간의 거리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를 상대로 파지부(13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조절단부(113) 상에 배열된 어느 하나의 제1 삽입홈(114)에 제1 스톱핀(140)의 제1 헤드(141)가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160)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제1 연결체(110)를 상대로 파지부(130)를 회전시키면 파지부(130)에 고정된 제1 몸체(142)가 파지부(130)와 함께 이동하며 아울러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탄성복원아암(143)은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저장한다.
파지부(130)를 더욱 회전시키면, 제1 헤드(141)는 원래의 제1 삽입홈(114)에서 빠져나오면서 인접한 다른 제1 삽입홈(114)에 삽입되게 되고, 제1 탄성복원아암(143)은 탄성복원된다.
또한 제2 조절단부(123) 상에 배열된 어느 하나의 제2 삽입홈(124)에 제2 스톱핀(150)의 제2 헤드(151)가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160)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제2 연결체(120)를 상대로 파지부(130)를 회전시키면 파지부(130)에 고정된 제2 몸체(152)가 파지부(130)와 함께 이동하며 아울러 제3 회전축(S3)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탄성복원아암(153)은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저장한다.
파지부(130)를 더욱 회전시키면, 제2 헤드(151)는 원래의 제2 삽입홈(124)에서 빠져나오면서 인접한 다른 제2 삽입홈(124)에 삽입되게 되고, 제2 탄성복원아암(153)은 탄성복원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제1 조절단부(113)를 따라 제1 스톱핀(140)을 이동시키고, 아울러 제2 조절단부(123)를 따라 제2 스톱핀(15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00)에는 보조관(17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관(170)은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보조관(170) 내부에 탄성체(160)가 삽입되어 탄성작용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2) 및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봉(20) 및 제2 봉(30)이 결합체(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제1 봉(20) 및 제2 봉(30)은 그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하며(도 4(a) 및 (b) 참조), 이러한 조정은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를 기준으로 한 파지부(130)의 회전정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파지부(130)를 적절히 회전시켜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 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이에 따라 제1 봉(20)과 제2 봉(30)이 서로 평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봉(20) 및 제2 봉(30)과 결합체(10)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최소가 된다.
한편, 손잡이(파지부(130))의 사용이 필요치 않은 경우, 제1 봉(20) 및 제2 봉(30)은 결합체(10)를 상대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1)가 여행용 가방(2)의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파지부(130))는 본체의 상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잡이(파지부(13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우선 제1 봉(20) 및 제2 봉(30)을 결합체(10) 상측으로 인출한다.(도 4(b) 참조)
다음으로 임의의 높이에서 손잡이(파지부(130))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를 상대로 파지부(130)를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가 서로 멀어지도록 파지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도 4(c) 참조), 이와 달리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파지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봉(20)과 제2 봉(30)은, 약간 휘어지거나 꺽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1봉의 외주면 중 제2 봉(30)의 반대쪽 면이 제1 마찰링(12)과 강하게 밀착되고 제2봉의 외주면 중 제1 봉(20)의 반대쪽 면이 제2 마찰링(13)과 강하게 밀착되면서, 결합체(10)를 상대로 한 제1 봉(20)과 제2 봉(30)의 상하방향 이동이 저지되게 되며 임의의 높이에서 손잡이(파지부(13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후자의 경우, 제1봉의 외주면 중 제2 봉(30)을 향하는 면이 제1 마찰링(12)과 강하게 밀착되고 제2봉의 외주면 중 제1 봉(20)을 향하는 면이 제2 마찰링(13)과 강하게 밀착되면서, 결합체(10)를 상대로 한 제1 봉(20)과 제2 봉(30)의 상하방향 이동이 저지되게 되며 역시 임의의 높이에서 손잡이(파지부(13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봉과 제2 봉이 임의의 지점에서 멈추도록 한 상태에서 제1 봉과 제2 봉이 결합체를 상대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여 길이의 조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고 일측에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결합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봉;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봉과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는 제2 봉; 및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결합체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마찰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 봉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봉을 향하여 꺾이거나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는 제1 연결체;
    상기 제2 봉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봉을 향하여 꺾이거나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는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의 회전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제1 연결체의 나사결합 방향은,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제2 연결체의 나사결합 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는 각각 원형 관(管)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나사결합되는 내측관; 및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 외주면을 밀착되게 둘러싸는 외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연결체를 향하는 단부 테두리인 제1 조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체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연결체를 향하는 단부 테두리인 제2 조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조절단부와 상기 제2 조절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조절단부에 밀착되는 제1 스톱핀;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조절단부에 밀착되는 제2 스톱핀; 및
    상기 제1 연결체와 상기 제2 연결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단부에는 상기 제1 스톱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톱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톱핀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조절단부와 멀어지는 쪽을 향하여 길게 돌출되고 상기 파지부 일측에 지지되는 제1 탄성복원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톱핀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조절단부와 멀어지는 쪽을 향하여 길게 돌출되고 상기 파지부 일측에 지지되는 제2 탄성복원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제1 봉이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 및 상기 제2 봉이 관통하는 제2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제1 관통구멍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봉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프레임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는 제1 마찰링; 및
    상기 제2 관통구멍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봉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프레임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는 제2 마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9. 제8항 따른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PCT/KR2016/002183 2015-07-07 2016-03-04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WO20170071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679 2015-07-07
KR1020150096679A KR101634662B1 (ko) 2015-07-07 2015-07-07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09A1 true WO2017007109A1 (ko) 2017-01-12

Family

ID=5636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183 WO2017007109A1 (ko) 2015-07-07 2016-03-04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4662B1 (ko)
WO (1) WO20170071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8660A (zh) * 2017-03-31 2017-08-18 平湖市恒辉箱包配件有限公司 拉杆箱提拉把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8158A1 (en) 2016-11-07 2018-05-09 Samsonite IP Holdings S.à.r.l. Extendable tow handle for a luggage article
KR102144441B1 (ko) 2019-08-13 2020-08-13 리피트(주) 여행가방 손잡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46A (ko) * 1998-08-11 2000-03-06 승병선 휴대 및 운반간편한 캐리어
KR20090105784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20100052613A (ko) * 2008-11-11 2010-05-20 김윤식 조향식 여행가방
KR101139999B1 (ko) * 2010-01-28 2012-05-02 김종성 캐리어가방
JP2012135435A (ja) * 2010-12-27 2012-07-19 T & S Co Ltd バッグ類の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047U (ko) * 1989-09-25 1991-05-29
KR100314167B1 (ko) 1999-09-13 2001-11-23 배성환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46A (ko) * 1998-08-11 2000-03-06 승병선 휴대 및 운반간편한 캐리어
KR20090105784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20100052613A (ko) * 2008-11-11 2010-05-20 김윤식 조향식 여행가방
KR101139999B1 (ko) * 2010-01-28 2012-05-02 김종성 캐리어가방
JP2012135435A (ja) * 2010-12-27 2012-07-19 T & S Co Ltd バッグ類の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8660A (zh) * 2017-03-31 2017-08-18 平湖市恒辉箱包配件有限公司 拉杆箱提拉把手
CN107048660B (zh) * 2017-03-31 2024-04-12 平湖市恒辉箱包配件有限公司 拉杆箱提拉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662B1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7109A1 (ko)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WO2015147462A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3108992A1 (ko) 홀딩-포인트를 갖는 그리퍼 장치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14021603A1 (ko) 스트링 꼬임 기반 모션 제어 장치
WO2013125742A1 (ko)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177427A2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CN107207098A (zh) 云台、成像装置及无人飞行器
WO2013069952A1 (en) Separation type bed
WO2021194101A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WO2011159073A2 (ko) 볼 지압기
WO2017209438A1 (ko) 그리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 시스템
WO2012096471A2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WO2014133220A1 (ko) 유닛 확장이 가능한 이동통신기기 케이스
WO2014168421A1 (ko) 온열치료기
WO2023008706A1 (ko) 텐셔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 구동 장치
WO2020218752A2 (ko) 암 레스트 장치
WO2013118924A1 (ko) 폴더용 휴대단말기의 프리스탑 힌지모듈
WO2015160032A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WO2020111770A1 (ko) 이동 자석식 자전거 페달 및 쇳가루 부착 방지 수단이 구비된 신발 결합장치
WO2022260449A1 (ko) 미끄럼 방지 스트랩이 구비된 가방
WO2016143928A1 (ko) 자석락 장치를 구비한 의지 구조체
WO2012124851A1 (ko) 각질 제거장치
WO2018105813A1 (ko) 터치펜
WO2010107219A2 (ko) 바퀴와 받침대가 함께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바퀴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15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15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