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784A -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784A
KR20090105784A KR1020080090040A KR20080090040A KR20090105784A KR 20090105784 A KR20090105784 A KR 20090105784A KR 1020080090040 A KR1020080090040 A KR 1020080090040A KR 20080090040 A KR20080090040 A KR 20080090040A KR 20090105784 A KR20090105784 A KR 2009010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lding
fixing
lin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500B1 (ko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to KR102008009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50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2Detachable handles; 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2Detachable handles; 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45C2013/226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의 다양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가방에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축소된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개시한다. 가방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된 지지수단과,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링크 조립체의 끝단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가 연결되며, 연결된 링크 조립체의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내부에 지지되는 접이수단과 상기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이수단을 구성하는 링크 조립체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길이가 조절되고 설치공간이 축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지수단, 접이수단, 손잡이수단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A HANDLE WITH EXTENDABLE ARM AND A BA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는 접이수단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손잡이가 장착되는 설치공간이 축소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류나 옷, 물건 등을 수납하여 운반하는데 편리함을 주기위해 가방이 많이 사용되며, 가방은 사용목적이나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가방들 중에서 장기간 체류를 위하여 각종 짐이 가능한 한 콤팩트하면서도 다량 수납할 수 있으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여행용 가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여행용 가방(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2)가 장착되고, 일측면에 손잡이수단(3)이 장착된다.
손잡이수단(3)은 가방(1)의 내부 일측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방(1)의 내부에는 손잡이수단(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구비된 지지수단(4)이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수단(3)은 다수개의 관(3a)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하고 지지수단(4)에 의해 단계별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가방(1)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수단(3)을 허리 근처까지 신장시켜 손으로 잡고 가방(1)을 지면에서 경사지게 기울여 바퀴(2)가 굴러가도록 하면서 운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방(1)에 장착되는 손잡이수단(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4)이 가방(1) 내부의 일측면 바닥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므로 가방(1) 내부에 짐을 수납하는 공간이 그 만큼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수단(3)은 보통 2단계 내지 3단계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키에 적합하게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수단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 수단이 인출되는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은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링크 조립체의 끝단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가 연결되며, 연결된 링크 조립체의 일측 끝단이 가방에 지지되는 접이수단; 및 상기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수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일측에 슬라이딩공이 관통된 손잡이 하우징; 및 상기 슬라이딩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공의 양측 끝단부에 짝을 이루어 장착되며 상기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수단에는 상기 접이수단이 임의의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들의 중간부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바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손잡이는 접이수단이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종래 구조에 비하여 가방에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축소됨에 따라 가방에 좀 더 많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성능 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손잡이는 손잡이 수단에 장착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접이수단이 인출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어느 위치에서든지 인출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접이식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접이수단이 접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접이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고정바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피니언 기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피니언 기어의 고정이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지지수단의 슬라이딩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은 가방(1)의 일측면 상단부에 장착되는 지지수단(10)과, 지지수단(10)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접이수단(20)과, 접이수단(20)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수단(30)과, 접이수단(20)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수단(20)은 제1 링크(21) 제2 링크(22)가 서로 교차되도록 중앙부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핀(23)이 장착되어 링크 조립체(24)를 이룬다. 제1 링크(21) 및 제2 링크(22)의 끝단부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24)를 이루는 제1 링크(21) 및 제2 링크(22) 끝단이 회동핀(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링크 조립체(24)가 연결된다. 제1 링크(21) 및 제2 링크(22)는 이웃하는 제1 링크(21) 제2 링크(22)와 이동궤적이 서로 겹쳐지도록 엇갈리게 연결되어 링크 조립체(24)는 접혀지는 경우 이웃하는 링크 조립체(24) 끼리 서로 그 일부가 포개질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지지수단(10)은 가방(1)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탈부착 방법은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나 고정 클램프 등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지지수단(10)은 접이수단(20)이 수납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수납공간(11a)이 구비되며 가방(1)의 외주면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개구부(11b)에 대향되는 수납공간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2)과, 가이드레일(12)에 형성된 레일(12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개의 치차로 이루어진 랙기어부(13a)가 형성된 슬라이딩판(13)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링크(21)의 끝단부는 슬라이딩판(1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이 가능하고, 제2 링크(22)의 끝단부는 케이스(11) 저 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접이수단(2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짝을 이루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10)에는 각각의 랙기어부(13a)에 맞물린 수 있도록 슬라이딩판(1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 피니언 기어(14)와, 슬라이딩판(13)에 고정되고 접이수단(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링크(21) 또는 제2 링크(22)의 끝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간격유지판(1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손잡이 수단(3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일측에 슬라이딩공(31a)이 관통된 손잡이 하우징(31)과 슬라이딩공(31a)의 양 끝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손잡이 하우징(31)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에 접이수단(20)의 타측 끝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32)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링크(21)와 제2 링크(22)의 끝단이 고정바(32)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 하우징(31)과 고정바(32) 사이에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33)가 각각 장착되며 각각의 커버(33)에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33a)이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바(32) 중간부에는 고정수단(40)이 개재된다.
고정수단(40)은 길이방향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그 일측 끝단이 고정바(32)에 고정된 랙기어(41)와, 랙기어(41)들에 동시에 맞물릴 수 있도록 랙기어(41) 사이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42a)이 형성된 피니언 기어(42)와, 피니언 기어(4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그 일측 끝단부에는 고정 홈(42a)에 일시적으로 삽입가능한 고정돌기(43a)가 형성된 피니언 축(43)과, 피니언 축(43)의 일측 끝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4)와, 피니언 축(43)의 타측 끝단이 고정되고 손잡이 하우징(31)에 형성되는 버튼홀(31b)을 통해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버튼(45)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수단(20)을 이루는 링크 조립체(24) 들이 서로 포개지도록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케이스(11)의 수납공간(11a)에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이때, 손잡이 수단(30) 및 고정수단(40)은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수단(20)이 접히면 고정바(32)가 손잡이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접이수단(20)이 길게 펼쳐지면 고정바(32)가 손잡이 하우징(3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바(32)에 장착된 각각의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2)에 동시에 맞물린 상태이므로 고정바(30)는 손잡이 하우징(31)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슬라이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4)에 의해 피니언 축(43)이 가압되어 고정돌기(43a)가 피니언 기어(42)의 고정홈(42a)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고정된 피니언 축(43)에 의해 피니언 기어(42)도 회전이 정지된 상태가 되고, 피니언 기어(42)의 회전이 정지되면 랙기어(41)와 연결된 고정바(32)도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접이수단(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접이수단(20)이 일정 길이만큼 펼쳐진 상태라면 그 길이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버튼(45)을 가압하여 탄성부재(44)가 변형되면서 피니언 축(43)이 이동되면, 고정홈(42a)에서 고정돌기(43a)가 이탈되어 피니언 기어(42)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피니언 기어(4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42)에 맞물린 랙기어(41)에 연결된 고정바(32)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접이수단(20)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고정상태가 해지되면서 접이수단(20)의 펼쳐진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버튼(45)을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 축(43)이 복귀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상태로 전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수단(20)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접이수단(20)이 힌지결합되는 간격유지판(15)과 연결된 슬라이딩판(13)이 고정 피니언기어(14)에 맞물린 상태로 서로 연동되므로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의 슬라이딩판(13)이 이동되는 것이다. 간격유지판(15)은 접이수단(20)이 고정 피니언기어(1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131a)와 접이수단(20)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연결부(131b)가 구비된 고리 형상의 손잡이 하우징(131)과, 연결부(131b)의 내측면 양측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짝을 이루어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32)과, 접이수단(20)을 이루는 제1 링크(21) 및 제2 링크(22)의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가이드레일(132)에 형성된 레 일(132a)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개의 치차로 이루어진 랙기어부(133a)가 형성된 고정바(133)와, 랙기어부(133a) 사이에 장착되어 각각의 랙기어부(133a)에 동시에 맞물리며 일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는 고정홈(134a)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피니언 기어(134)와, 피니언 기어(13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 끝단부에 고정홈(134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35a)가 형성된 피니언 축(135)과, 피니언 축(135)이 고정되는 고정부재(136)와 고정부재(136)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7)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36)는 연결부(131b) 측에 위치하고 피니언 축(135)이 고정되는 지지부(136a)와, 지지부(136a)에서 손잡이부(131a) 까지 연장되는 연장부(136b)와, 연장부(136b)에 형성되고 손잡이 하우징(131)의 손잡이부(131a) 내측에 형성된 버튼홀(131c)을 통해 상단부가 노출되는 고정버튼(136c)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37)의 일측은 지지부(136a)에 접촉되고 타측은 손잡이 하우징(131)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즉, 지지부(136a)에서 피니언 축(135)이 장착된 면의 반대방향 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 외 손잡이 수단(130)이 장착되는 접이수단(20) 및 지지수단(10)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이식 손잡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7)에 의해 고정부재(136)가 가압되어 피니언 축(135)에 형성된 고정돌기(135a)가 피니언 기어(134)에 형성된 고정홈(134a)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고정된 피니언 축(135)에 의해 피니언 기어(134)도 회전이 정지된 상태가 되고, 피니언 기 어(134)의 회전이 정지되면 랙기어부(133a)가 형성된 고정바(133)도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접이수단(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접이수단(20)이 일정길이만큼 펼쳐진 상태라면 그 길이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버튼(136c)을 가압하여 탄성부재(137)가 압축되면서 피니언 축(135)이 이동되면, 고정홈(134a)에서 고정돌기(135a)가 이탈되어 피니언 기어(134)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피니언 기어(134)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134)에 맞물린 랙기어부(133a)가 형성된 고정바(133)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접이수단(20)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고정이 해지되면서 접이수단(20)의 펼쳐진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버튼(136c)을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 축(135)이 복귀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상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지지수단(210)은 가방(1)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탈부착 방법은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나 고정 클램프 등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210)은 접이수단(20)이 수납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수납공간(211a)이 구비되며 가방(1)의 외주면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 스(211)와, 접이수단(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각각의 수직링크(212)와, 각 수직링크(212)의 타측 끝단을 서로 연결하며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핀(213)과, 접이수단(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의 끝단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딩핀(214)으로 구성된다.
케이스(211)의 수납공간(211a) 내측면에는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 중앙부에 장착되는 회동핀(23)의 양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홈(215)이 형성되고, 고정홈(215)의 하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접이수단(20)의 이동궤적과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수직핀(2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홈(216)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핀(21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 짝을 이루어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고 고정홈(215)을 중심점으로 하는 호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 슬라이딩홈(217)이 형성된다.
그 외 지지수단(210)에 장착되는 접이수단(20) 및 손잡이수단(30, 130)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수단(21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수단(20)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수직링크(212)가 회동되고, 수직링크(212)의 회동에 따라 수직링크(212)가 수직홈(2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수직링크(212)는 수직홈(216)에 의해 그 이동이 접이수단(20)의 이동궤적과 평행을 이루도록 제한되므로 접이수단(20)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우 이동경로를 벗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수직핀(213)의 움직임이 수직홈(216)에 의해 제한되므로 접 이수단(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케이스(211)에 고정된 회동핀(23)을 기준으로 좌우 측으로 회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 수단(330)은 도 16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일측에 슬라이딩공(331a)이 관통된 손잡이 하우징(331)과, 상기 슬라이딩공(331a)의 양끝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터너 하우징(332)과, 인터너 하우징(332)의 외부측 끝단에 연결되고 연장된 끝단에 접이수단(20)의 타측 끝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333)로 이루어진다. 즉, 제1링크(21)와 제2링크(22)의 끝단이 고정바(333)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고정바(333) 중간부에는 고정수단(340)이 개재된다.
고정수단(340)은 각각의 인터너 하우징(132) 끝단부에 장착되는 볼하우징(341)과, 볼하우징(341)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터너 하우징(13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슬라이딩볼(341a)과, 슬라이딩공(331a)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슬라이딩공(331a)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감기는 스크류홈(342a)이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342)와, 스크류 샤프트(3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43)과, 인터너 하우징(132)이 삽입되고 손잡이 하우징(33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어링(343)이 고정되는 커버(344)와, 각각의 스크류 샤프트(342) 끝단에 장착되어 일시적으로 서로 접촉 가능하며 각 접촉면(345a)에 다수개의 마찰돌기가 구비된 브레이크(345)와, 각각의 브레이크(345)와 베어링(343) 사이에 장착되어 브레이크(345)를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6)과, 브레이크(345) 사이에 돌출된 끝단이 일시적으로 삽입되어 접촉되어있던 브레이크(345)를 분리시킬수 있도록 핀하우징(347)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브레이크(345)가 장착된 위치 반대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핀(348)과, 손잡이 하우징(331)의 내측면 일정부위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일시적으로 이격핀(348)을 브레이크(345)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33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딩볼(341a)은 스크류 샤프트(342)를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딩볼(341a)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스크류 샤프트(342)에 스크류홈(342)이 형성된다. 이격핀(348)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격핀(348)의 위치에 맞게 가압돌기(331b)도 두 곳에 형성된다. 또한 이격핀(348)과 핀하우징(347)이 접촉되는 사이에는 압축스프링이 장착되어 이격핀(348)을 탄성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는 도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수단(20)이 접히면 고정바(333)가 손잡이 하우징(3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접이수단(20)이 길게 펼쳐지면 고정바(333)가 손잡이 하우징(33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가 중앙부에 형성된 회동핀(23)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므로 손잡이 하우징(331)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바(333)가 손잡이 하우징(331)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슬라이딩되고, 고정바(333)에 연결된 슬라이딩볼(341a)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크류홈(342a)이 형성된 각각의 스크류 샤프트(34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접이수단(20)을 펼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잡이 하우징(331)을 회전시키면 가압돌기(331b)가 이격핀(348)을 가압하게 되고, 이격핀(348)의 돌출부가 브레이크(345) 사이에 끼워지면서 서로 접촉되어 있던 접촉면(345a)이 분리되면서 각각의 브레이크(345)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345)가 서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르큐 샤프트(342)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스크류홈(342a)에 끼워져 고정되었던 슬라이딩볼(341a)이 회전되는 스크류홈(342a)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접이수단(2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밀착되었던 브레이크(345)가 이격핀(348)에 의해 분리되면서 각각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 고정상태가 해지되면서 접이수단(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접이수단(20)을 일정길이만큼 펼친 상태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수단(20)을 일정길이만큼 펼친 상태에서 손잡이 하우징(33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격핀(348)을 가압했던 가압돌기(331b)가 제거되고, 탄성력에 의해 이격핀(348)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브레이크(345) 사이에서 이탈된다. 이격핀(348)이 이탈되면 각각의 브레이크(345) 접촉면(345a)은 스프링(346)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되면서 마찰돌기가 맞물려 회전이 구속되고, 각각의 스크류 샤프트(342)가 일체화 되면서 개별적인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342)의 개별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면 스크류홈(342a)에 맞물린 슬라이딩볼(341a)의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바(333)가 고정된 상 태가 되고, 그에 따라 접이수단(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고정바(333)가 외부로 인출되기 위해서는 접촉면(345a)를 기준으로 양측의 스크류 샤프트(3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고, 고정바(333)이 내부로 인입되기 위해서는 접촉면(345a)를 기준으로 양측의 스크류 샤프트(3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브레이크(345)가 서로 밀착되면서 개별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면 양측 스크류 샤프트(342)의 회전력이 상쇄되면서 접이수단(20)이 일정길이만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손잡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접이식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접이수단이 접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접이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고정바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피니언 기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피니언 기어의 고정이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지지수단의 슬라이딩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피니언 기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피니언 기어의 고정이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접이수단이 접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5는 도13에 도시된 접이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접이식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접이수단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접이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수단 20 : 접이수단
21 : 제1 링크 22 : 제2 링크
14 : 링크 조립체 30, 130 : 손잡이 수단
40 : 고정수단

Claims (18)

  1.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링크 조립체의 끝단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가 연결되며, 연결된 링크 조립체의 일측 끝단이 가방에 지지되는 접이수단; 및
    상기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수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일측에 슬라이딩공이 관통된 손잡이 하우징; 및
    상기 슬라이딩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공의 양측 끝단부에 짝을 이루어 장착되며 상기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수단에는 상기 접이수단이 임의의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들의 중간부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바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손잡이 수단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 한 간격이 유지되며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고 그 일측 끝단이 상기 고정바에 고정된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들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랙기어 사이에 장착되며 그 회전이 제어되는 피니언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그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고정홈에 일시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피니언 축;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축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피니언 축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서 일시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축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외부로 상단부가 노출되는 고정버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각각의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슬라이딩공 내부로 인 입되는 인터너 하우징;
    상기 인터너 하우징의 끝단부에 중심점을 향해 돌출되고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슬라이딩공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딩볼을 안내하는 스크류홈이 상기 슬라이딩공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감기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류사프트;
    상기 스트류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는 커버;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끝단에 일시적으로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각각 장착되는 브레이크;
    상기 브레이크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브레이크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사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이격핀; 및
    상기 손잡이 하우징이 회전되면서 일시적으로 상기 이격핀을 상기 브레이크 사이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내측면 일정부위에서 돌출되는 가압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수단은 손잡이부와 상기 링크 조립체의 끝단이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고리 형상의 손잡이 하우징;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연결부를 따라 짝을 이루어 장착된 가이드레일;
    상기 링크 조립체의 타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치차로 이루어진 랙기어부가 형성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랙기어부에 동시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랙기어부 사이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 끝단부에 상기 고정홈에 일시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피니언 축;
    상기 피니언 축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손잡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사용자가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서 일시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내측 외부로 그 상단부가 노출되는 고정버튼이 구비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축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은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중앙부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핀이 장 착되어 상기 링크 조립체를 이루고,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끝단부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를 이루는 제1링크 및 제2링크 끝단이 회동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 끝단이 이웃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와 이동궤적이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인입 시 이웃하는 상기 링크 조립체의 일부가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의 일측 끝단이 지지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구비되고 가방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가방의 외주면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접이수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상기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가방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대향되는 수납공간 저면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접이수단의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 라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짝을 이루어 장착되고, 각각의 슬라이딩판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치차로 이루어진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랙기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동시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 피니언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접이수단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이수단 방향으로 연장된 간격유지판이 장착되고, 상기 간격유지판의 끝단에 상기 접이수단의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접이수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상기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접이수단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각 링크의 중앙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핀이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방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접이수단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각 링크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링크; 및
    각각의 상기 수직링크의 타측 끝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접이수단의 이동궤적과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수직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직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상기 회동핀을 중심점으로 하는 호형상을 이루도록 좌우 짝을 이루어 함몰된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접이수단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각 링크의 끝단에 장착되는 슬라이딩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18. 가방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된 지지수단;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링크 조립체의 끝단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가 연결되며, 연결된 링크 조립체의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수단의 내부에 지지되는 접이수단; 및
    상기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가 부착된 가방.
KR1020080090040A 2008-04-01 2008-09-11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10095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40A KR100950500B1 (ko) 2008-04-01 2008-09-11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244 2008-04-01
KR1020080090040A KR100950500B1 (ko) 2008-04-01 2008-09-11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784A true KR20090105784A (ko) 2009-10-07
KR100950500B1 KR100950500B1 (ko) 2010-03-31

Family

ID=4153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040A KR100950500B1 (ko) 2008-04-01 2008-09-11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5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77B1 (ko) * 2010-03-16 2010-05-31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101633885B1 (ko) * 2015-07-22 2016-06-28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KR101634662B1 (ko) * 2015-07-07 2016-06-28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CN109171297A (zh) * 2018-11-20 2019-01-11 湖南喜传天下家居有限公司 一种折叠式沙发
CN109171297B (zh) * 2018-11-20 2024-06-07 湖南喜传天下家居有限公司 一种折叠式沙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7986B (en) 1996-02-24 2000-06-28 Moveasy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llapsible trolley
KR200322564Y1 (ko) * 2003-03-11 2003-08-09 신경대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다용도 가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77B1 (ko) * 2010-03-16 2010-05-31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101634662B1 (ko) * 2015-07-07 2016-06-28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WO2017007109A1 (ko) * 2015-07-07 2017-01-12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손잡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KR101633885B1 (ko) * 2015-07-22 2016-06-28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WO2017014535A1 (ko) * 2015-07-22 2017-01-26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CN109171297A (zh) * 2018-11-20 2019-01-11 湖南喜传天下家居有限公司 一种折叠式沙发
CN109171297B (zh) * 2018-11-20 2024-06-07 湖南喜传天下家居有限公司 一种折叠式沙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500B1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728B2 (en) Foldable table bench
US8214972B2 (en) Control handle of a retractable handle assembly for travel bag
US8875854B2 (en) Apparatus that includes a suitcase with integrated support arrangements for conversion to a bed or a chaise lounge
US4087102A (en) Hand carryable travel container convertable to rollable cart
EP2106717B1 (en) Foldable cross-patterned pull-handle and bag having the same
US7874408B2 (en) Work bag or travel suitcase with an incorporated extendable pull handle and with wheels
CN101543988B (zh) 用于伸缩杆的锁定装置和装备所述锁定装置的装置
US20100283227A1 (en) Service cart
US7770246B2 (en) Foldable bed
US20100187062A1 (en) Travel luggage with a laptop computer mount
KR20150140628A (ko) 바퀴 접이식 캐리어
KR100950500B1 (ko)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US20060261564A1 (en) Luggage carrier
JP2020039875A (ja) プレイヤード
CN207579894U (zh) 一种多功能推车
US8776411B2 (en) Ironing board comprising two legs arranged in an X-configuration
CN207403774U (zh) 一种多功能乌龟车
KR100960077B1 (ko)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102442413B1 (ko) 우산
KR102299341B1 (ko)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US5490688A (en) Control device for folding and expanding a baggage cart
JP6928497B2 (ja) アイロン台
CN213550182U (zh) 一种方便携带的工具拉杆包
CN208274300U (zh) 滑板箱包的滑板收容机构及滑板箱包
TWI829521B (zh) 可收折兒童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