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885B1 -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 Google Patents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885B1
KR101633885B1 KR1020150103704A KR20150103704A KR101633885B1 KR 101633885 B1 KR101633885 B1 KR 101633885B1 KR 1020150103704 A KR1020150103704 A KR 1020150103704A KR 20150103704 A KR20150103704 A KR 20150103704A KR 101633885 B1 KR101633885 B1 KR 10163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oint
handle
lower ro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to KR102015010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885B1/ko
Priority to PCT/KR2016/007852 priority patent/WO20170145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5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adjustable in rotation to a towing element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손잡이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 조절장치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고 일측에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결합체; 제1 지점에서 결합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되 제1 지점이 옆쪽으로 이동가능하고, 제1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하부로드; 제2 지점에서 결합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되 제2 지점이 옆쪽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 하부로드와 교차하는 제2 하부로드; 제1 하부로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로드; 제2 하부로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부로드; 및 제3 지점에서 제1 상부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지점에서 제2 상부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손잡이의 형성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의 형성방향이 가변되도록 이루어져 사용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손잡이 조절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내부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ADJUSTABLE HANDLE AND LUGGAGE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또는 수용되는 여행용 가방, 또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는 손수레 등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여행용 가방에는, 무거운 짐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바퀴 및 손잡이가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손잡이의 길이가 가변형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손잡이의 길이가 가변적인 여행용 가방은, 가방의 일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가방을 상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인출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방으로부터 인출된 손잡이의 전체 길이는, 2단계 또는 3단계 등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조건에 부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손잡이의 길이 조정이 더욱 폭넓은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방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314167호는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0314167호에 따른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볼링백, 여행용가방 등에서 손잡이를 상단부에 설치한 내부파이프가 외부파이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파이프의 이동 및 멈춤에 의하여 손잡이의 높이가 조정되는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에 있어서, 손잡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해제부재, 걸림해제부재와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해제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내부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단부가 걸림해제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걸림해제부재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전달와이어, 동력전달와이어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각각 내장하여 내부파이프의 하단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측면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본체, 지지본체의 가이드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경사돌기부가 선단부에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내부파이프의 하단부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각각 돌출되며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 또는 비고정되는 돌출부재, 그리고 외부파이프 내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재의 경사돌기부와 접촉하는 스트립요철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손잡이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의 신장이나 신체적인 조건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여행용 가방에서는, 손잡이의 길이(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여행용 가방의 일측면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를 위하여는 손잡이 조절용 장치가 여행용 가방의 내부의 일측면 바닥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므로 여행용 가방 내부에 짐을 수납하는 공간이 그 만큼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출원하여 등록(한국등록특허 제10-0950500호, 2010.03.24.자 등록)받은 바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방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된 지지수단과,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수납공간에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링크 조립체의 끝단에 또 다른 링크 조립체가 연결되며, 연결된 링크 조립체의 일측 끝단이 지지수단의 내부에 지지되는 접이수단과 접이수단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수단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접이수단을 구성하는 링크 조립체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길이가 조절되고 설치공간이 축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술한 한국등록특허를 포함하여 종래의 손잡이 조절장치는, 손잡이의 높이가 조정됨에 있어서 손잡이의 형성방향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손잡이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이러한 상태에서의 지속적인 사용은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314167호(등록일: 2001.10.26)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950500호(등록일: 2010.03.24)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각도)으로 손잡이의 형성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손잡이의 조정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고 일측에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결합체; 제1 지점에서 상기 결합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 지점이 옆쪽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하부로드; 제2 지점에서 상기 결합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점이 옆쪽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하부로드와 교차하는 제2 하부로드; 상기 제1 하부로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로드; 상기 제2 하부로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부로드; 및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상부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지점에서 상기 제2 상부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형성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로드에는, 상기 제1 지점이 상기 제2 지점 쪽으로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유닛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부로드에는, 상기 제2 지점이 상기 제1 지점 쪽으로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유닛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4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에 각각 걸린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1 상부로드의 전체 길이와 상기 제2 하부로드 및 제2 상부로드의 전체 길이는 각각 최단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체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에 각각 걸린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로드, 제2 하부로드, 제1 상부로드 및 제2 상부로드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에서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 각각은, 그 길이가 상기 안내레일의 전체길이보다 짧고 상기 안내레일의 전체길이의 1/2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로드 및 제2 상부로드 각각은,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 각각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는, 상기 제1 하부로드와 제1 상부로드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제2 하부로드와 제2 상부로드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2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장치는, 상기 제1 상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1 안내로드; 상기 제1 안내로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하부로드의 제1 걸림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제1 잠금돌기; 및 상기 제1 잠금돌기가 상기 제1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잠금돌기를 탄력지지하는 제1 잠금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상기 제2 상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2 안내로드; 상기 제2 안내로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2 하부로드의 제2 걸림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제2 잠금돌기; 및 상기 제2 잠금돌기가 상기 제2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잠금돌기를 탄력지지하는 제2 잠금탄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 안내로드의 상단 헤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푸쉬로드, 상기 제2 안내로드의 상단 헤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푸쉬로드 및 상기 손잡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는 푸쉬프레임; 및 상기 푸쉬버튼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푸쉬프레임을 탄력지지하는 푸쉬탄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는, 상기 제1 하부로드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하부로드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술한 손잡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의 형성방향이 가변되도록 이루어져 사용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손잡이 조절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내부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 조절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는, 여행용 가방(캐리어), 손수레 등과 같이, 물건을 용이하게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가 여행용 가방(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손잡이 조절장치(1)는 여행용 가방(2)의 본체(3)에 결합되고, 이때 본체(3)는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또는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3)는 통상의 여행용 가방(2)과 같이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가 손수레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손잡이 조절장치(1)는 손수레의 본체에 결합되고, 이때 손수레의 본체는 상측이 개구된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단순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그 위쪽에 물건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본체(3)는, 가방, 바구니 또는 프레임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가 여행용 가방(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본체에는 4개의 바퀴가 결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는 여행용 가방(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때 본체(3)는 가방 형태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체(3)에서 바퀴는 지면에 닿는 수단으로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손잡이(60)는 이러한 바퀴의 반대방향인 위쪽 방향을 향하여 인출되는 것이므로, 손잡이(60)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여행용 가방(2)이 똑바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는 결합체(10), 제1 하부로드(20), 제2 하부로드(30), 제1 상부로드(40), 제2 상부로드(50) 및 손잡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손잡이 조절장치(1)는 제1 탄성유닛(70) 및 제2 탄성유닛(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체(10)는 여행용 가방(2)의 본체에 고정결합되며, 손잡이 조절장치(1)와 본체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체(10)는 여행용 가방(2)의 뒤쪽 상단에 인접하여 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하부로드(20), 제2 하부로드(30), 제1 상부로드(40), 제2 상부로드(50) 및 손잡이(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아울러 이러한 수단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결합체(10)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수용공간(14)이 구비되고, 위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결합체(10) 내부에는 안내레일(11)이 고정결합되며, 안내레일(11)은 수평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이루어진다. 안내레일(11)은, 제1 하부로드(20) 및 제2 하부로드(30)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며, 그 구속되는 지점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안내레일(11)은,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안내레일(11)은 상하로 배열된 상부레일(11a) 및 하부레일(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부레일(11a)과 하부레일(11b)의 간격은 일정하고, 이러한 상부레일(11a)과 하부레일(11b)의 사이에 제1 하부레일(11b)의 제1 지점(P1)과 제2 하부레일(11b)의 제2 지점(P2)이 개재되어 각각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로드(20)는, 막대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모양이 직선형태를 이룬다.
제2 하부로드(30)는 제1 하부로드(20)와 대칭된 형태를 이루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대칭(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제1 하부로드(20) 및 제2 하부로드(30)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하부로드(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제1 걸림구멍(21)이 반복형성될 수 있고, 제2 하부로드(30)에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제2 걸림구멍(31)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제1 하부로드(20)와 제2 하부로드(30) 각각은, 직접 결합체(10)에 결합(결합체(10) 내부의 안내레일(11)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수단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결합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하부로드(20)의 제1 지점(P1)이 결합체(10)에 결합되고, 제2 하부로드(30)의 제2 지점(P2)이 결합체(10)에 결합된다.
후자의 경우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로드(20) 및 제2 하부로드(30)와 유사한 제1 보조하부로드(130) 및 제2 보조하부로드(14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1 하부로드(20)는 제1 보조하부로드(130)를 매개로 결합체(10)에 결합되고, 제2 하부로드(30)는 제2 보조하부로드(140)를 매개로 결합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하부로드(130)는 제1 하부로드(20) 및 결합체(10)(안내레일(11))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보조하부로드(140)는 제2 하부로드(30) 및 결합체(10)(안내레일(11))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보조하부로드(130)가 안내레일(11)에 결합되는 지점 및 제2 보조하부로드(140)가 안내레일(11)에 결합되는 지점은 안내레일(11)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로드(20)와 제2 하부로드(30)가 직접 결합체(10)에 결합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러한 경우 손잡이 조절장치(1)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제1 하부로드(20)의 제1 지점(P1)은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원통형 또는 원기둥 돌기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지점(P1)이 상부레일(11a)과 하부레일(11b)의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1 지점(P1)은, 수평방향(안내레일(11)의 길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안내레일(11)에 구속됨은 물론이다.
제1 하부로드(20)는 제1 지점(P1)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제1 하부로드(20)의 회전은 제1 지점(P1)의 이동(안내레일(11)을 따른 이동)과 함게 이루어진다.
제2 하부로드(30)의 제2 지점(P2) 또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원통형 또는 원기둥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지점(P2)이 상부레일(11a)과 하부레일(11b)의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2 지점(P2)은, 수평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안내레일(11)에 구속됨은 물론이다.
제2 하부로드(30)는 제2 지점(P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제2 하부로드(30)의 회전은 제2 지점(P2)의 이동(안내레일(11)을 따른 이동)과 함게 이루어진다.
제1 상부로드(40)는, 막대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모양이 직선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제1 상부로드(40)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하부로드(20) 내부에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상부로드(40)의 외주면 형상 및 크기는, 제1 하부로드(20)의 내주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로드(40)가 제1 하부로드(20)로부터 인출되는 정도에 따라, 제1 하부로드(20)와 제1 상부로드(40)를 합친 전체길이는 가변된다.(편의상, 제1 지점(P1)과 제3 지점(P3) 간의 직선 거리(L1으로 칭함)를 제1 하부로드(20)와 제1 상부로드(40)의 전체 길이로 표현하도록 한다.)
제2 상부로드(50)는, 막대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모양이 직선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제2 상부로드(50)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하부로드(30) 내부에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상부로드(50)의 외주면 형상 및 크기는, 제2 하부로드(30)의 내주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상부로드(50)가 제2 하부로드(30)로부터 인출되는 정도에 따라, 제2 하부로드(30)와 제2 상부로드(50)를 합친 전체길이는 가변된다.(편의상, 제2 지점(P2)과 제4 지점(P4) 간의 직선 거리(L2로 칭함)를 제2 하부로드(30)와 제2 상부로드(50)의 전체 길이로 표현하도록 한다.)
손잡이(6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아래쪽에서 제1 상부로드(40) 및 제2 상부로드(50) 각각과 결합되도록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서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60)는 제3 지점(P3)에서 제1 상부로드(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지점에서 제2 상부로드(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지점(P3)의 회전축과 제4 지점(P4)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3 지점(P3)과 제4 지점(P4)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손잡이(60) 형성라인(손잡이(60)의 형성방향)이라고 할 때, 이러한 손잡이(60) 형성라인은 수평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도 4(a), (b) 참조), 또한 수평방향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도 4(c), (d) 참조)
즉, 제1 하부로드(20)로부터 인출되는 제1 상부로드(40)의 정도와, 제2 하부로드(30)로부터 인출되는 제2 상부로드(50)의 정도가 서로 같거나 다름에 따라 손잡이(60) 형성방향이 수평이거나 수평이 아닌 임의의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에는 L1과 L2 동일한 경우가 나타나고, 도 4의 (c) 및 (d)에는 L1과 L2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는, 이처럼 손잡이(60) 형성방향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수평이 아닌 임의의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손잡이(60)를 파지하더라도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6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 탄성유닛(70)은 제1 하부로드(20)에 결합되어 제1 하부로드(20)에 탄성력을 작용하며, 구체적으로 제1 지점(P1)이 제2 지점(P2) 쪽으로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를 위하여 제1 탄성유닛(70)은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용수철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유닛(70)이 용수철 형태로 이루어질 때, 제1 탄성유닛(70)의 일측 단부는 제1 지점(P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안내레일(11)에 결합되어 양 지점이 서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2 탄성유닛(80)은 제2 하부로드(30)에 결합되어 제2 하부로드(30)에 탄성력을 작용하며, 제2 지점(P2)이 제1 지점(P1) 쪽으로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유닛(80) 또한 제1 탄성유닛(70)과 같이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유닛(80)이 용수철 형태로 이루어질 때, 제2 탄성유닛(80)의 일측 단부는 제2 지점(P2)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안내레일(1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손잡이(60)에는 제1 걸림돌기(61) 및 제2 걸림돌기(62)가 구비되고, 결합체(10)에는 제1 걸림턱(12) 및 제2 걸림턱(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61)는 제3 지점(P3)과 인접하여 손잡이(60)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가 돌출되어 제1 걸림턱(12)의 모서리 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제1 걸림돌기(61)는,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로 손잡이(60)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유단 부분이 제1 걸림턱(12)에 걸리거나 이탈할 때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걸림돌기(61)에서 제1 걸림턱(12)에 닿는 면은 걸리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외력(제1 걸림돌기(61)가 제1 걸림턱(12)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작용하는 외력)의 작용시 제1 걸림돌기(61)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2 걸림돌기(62)는 제4 지점(P4)과 인접하여 손잡이(60)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가 돌출되어 제2 걸림턱(13)에 걸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제2 걸림돌기(62)는,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로 손잡이(60)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걸림턱(13)에 걸리거나 이탈할 때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걸림돌기(62)에서 제2 걸림턱(13)에 닿는 면은 걸리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외력(제2 걸림돌기(62)가 제2 걸림턱(13)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외력)의 작용시 제2 걸림돌기(62)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2 걸림돌기(62)는 제1 걸림돌기(61)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걸림턱(12)과 제2 걸림턱(13) 각각은, 결합체(10)에서 수용공간(14)의 상측으로 개구된 입구의 모서리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제1 걸림돌기(61) 및 제2 걸림돌기(62)가 제1 걸림턱(12) 및 제2 걸림턱(13)에 각각 걸린상태에서, 제1 하부로드(20) 및 제1 상부로드(40)의 전체 길이와 상기 제2 하부로드(30) 및 제2 상부로드(50)의 전체 길이는 각각 최단 길이가 된다.
그리고 이때, 제1 하부로드(20), 제2 하부로드(30), 제1 상부로드(40) 및 제2 상부로드(50)는 수용공간(14)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결합체(10) 상측으로 손잡이(60) 만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제1 하부로드(20) 및 제2 하부로드(30) 각각은, 그 길이가 안내레일(11)의 전체길이보다 짧고 안내레일(11)의 전체길이의 1/2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체(10)의 수용공간(14)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 쪽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돌기(61) 및 제2 걸림돌기(62)가 제1 걸림턱(12) 및 제2 걸림턱(13)에 각각 걸린상태에서 손잡이 조절장치(1)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손잡이(60)를 위쪽으로 당겨 각 걸림을 해제시키는 경우 제1 탄성유닛(70) 및 제2 탄성유닛(80)에 의해 제1 하부로드(20)와 제2 하부로드(30)가 이동 및 회전하면서 손잡이(60)가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어 손잡이(60)의 보다 용이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는 제1 잠금장치(90) 및 제2 잠금장치(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손잡이(60)는 푸쉬프레임(63) 및 푸쉬탄성유닛(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잠금장치(90)는 제1 안내로드(91), 제1 레버(92), 제1 잠금돌기(93) 및 제1 잠금탄성유닛(9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잠금장치(100)는 제2 안내로드(101), 제2 레버(102), 제2 잠금돌기(103) 및 제2 잠금탄성유닛(1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잠금장치(100)의 제2 안내로드(101), 제2 레버(102), 제2 잠금돌기(103) 및 제2 잠금탄성유닛(104) 각각은, 제1 잠금장치(90)의 제1 안내로드(91), 제1 레버(92), 제1 잠금돌기(93) 및 제1 잠금탄성유닛(94) 각각에 대응되며,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제2 잠금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제1 잠금장치(9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하고, 제2 하부로드(30)의 제2 걸림구멍(31)에 대한 설명 또한 제1 하부로드(20)의 제1 걸림구멍(2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 안내로드(91)는 제1 상부로드(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안내로드(91)는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상부로드(4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상부로드(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제1 안내로드(91)는 위쪽(손잡이(60)와 가까운 쪽)의 헤드(91a)가 제1 안내로드(91) 외부로 돌출되며, 이러한 헤드(91a)가 아래쪽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제1 상부로드(40) 상에서 이동하게 되고, 아래쪽(손잡이(60)와 먼 쪽) 단부가 제1 레버(92)와 연결된다.
제1 레버(92)는 제1 상부로드(4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단부가 제1 안내로드(91)에 연결되어 제1 안내로드(9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제1 레버(9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제1 안내로드(91)와 연결되는 부분)가 대체로 제1 상부로드(40)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엄밀하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할 때, 타측 단부(제1 잠금돌기(93)와 연결되는 부분)가 제1 상부로드(40)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엄밀하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한다.
제1 잠금돌기(93)는 제1 상부로드(40)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하부로드(20)의 제1 걸림구멍(21)에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가 제1 상부로드(40)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잠금돌기(93)는 이동은 제1 레버(92)의 회전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제1 잠금탄성유닛(94)은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잠금돌기(93)가 제1 걸림구멍(2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 잠금돌기(93)를 탄력지지한다. 즉,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 잠금탄성유닛(9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잠금돌기(93)는 제1 상부로드(40) 횡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고, 제1 잠금돌기(93)가 제1 걸림구멍(21)이 위치하는 지점에 놓인 상태라면 제1 걸림구멍(2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상부로드(40)와 제1 하부로드(20)는 서로 고정이 이루어지며(제1 잠금장치(90)에 의한 잠금이 이루어짐), 제1 상부로드(40)와 제1 하부로드(20)의 전체 길이가 유지되게 된다.
제1 상부로드(40)와 제1 하부로드(2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키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작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안내로드(91)의 헤드(91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제1 안내로드(91)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안내로드(91)와 연결된 제1 레버(92)가 회전하고, 제1 레버(92)의 회전과 연동하여 제1 잠금돌기(93)가 제1 상부로드(40)의 횡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제1 걸림구멍(21)에 삽입된 제1 잠금돌기(93)는 제1 상부로드(40) 쪽으로 회수되며, 제1 상부로드(40)와 제1 하부로드(20)는 제1 잠금장치(90)에 의한 잠금이 해제된다.
제1 안내로드(91)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잠금탄성유닛(9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잠금돌기(93)는 제1 상부로드(40) 횡방향 외측으로 다시 가압됨은 물론이다.
푸쉬프레임(63)은 손잡이(60)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푸쉬프레임(63)은 제1 푸쉬로드(63a), 제2 푸쉬로드(63b) 및 푸쉬버튼(6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푸쉬로드(63a)는 제1 안내로드(91)의 상단 헤드(91a)를 향하여 돌출되며, 푸쉬프레임(63)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제1 안내로드(91)의 헤드(91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2 푸쉬로드(63b)는 제2 안내로드(101)의 상단 헤드(101a)를 향하여 돌출되며, 푸쉬프레임(63)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제2 안내로드(101)의 헤드(101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2 푸쉬로드(63b)는 제1 푸쉬로드(63a)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버튼(63c)은 손잡이(6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푸쉬탄성유닛(64)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푸쉬버튼(63c)이 손잡이(60) 상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푸쉬프레임(63)을 탄력지지한다. 즉, 푸쉬탄성유닛(64)은, 외력에 의해 푸쉬프레임(63)이 아래쪽으로 가압된 후 외력이 제거될 때 푸쉬프레임(63)이 위쪽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푸쉬버튼(63c)을 가압하여 푸쉬프레임(63)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푸쉬로드(63a) 및 제2 푸쉬로드(63b)가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각각 제1 안내로드(91) 및 제2 안내로드(101)를 가압하고, 이에 의하여 제1 잠금장치(90) 및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에서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1)는 제1 회전체(110) 및 제2 회전체(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체(110)는 제1 하부로드(20)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2 회전체(120)는 제2 하부로드(30)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1 회전체(110)는 제1 하부로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회전체(120)는 제2 하부로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체(110)와 제2 회전체(12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전체(110)와 제2 회전체(120)의 회전축은,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1 회전체(110)와 제2 회전체(120)는, 제1 하부로드(20)와 제2 하부로드(30)의 교차하는 각도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지지하면서, 제1 하부로드(20)와 제2 하부로드(30)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제1 하부로드(20) 및 제2 하부로드(30)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60)의 형성방향이 가변되도록 이루어져 사용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손잡이 조절장치(1)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내부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2)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손잡이 조절장치 2 : 여행용 가방
10 : 결합체 11 : 안내레일
12 : 제1 걸림턱 13 : 제2 걸림턱
14 : 수용공간 20 : 제1 하부로드
21 : 제1 걸림구멍 30 : 제2 하부로드
31 : 제2 걸림구멍 40 : 제1 상부로드
50 : 제2 상부로드 60 : 손잡이
61 : 제1 걸림돌기 62 : 제2 걸림돌기
63 : 푸쉬프레임 63a : 제1 푸쉬로드
63b : 제2 푸쉬로드 63c : 푸쉬버튼
64 : 푸쉬탄성유닛 70 : 제1 탄성유닛
80 : 제2 탄성유닛 90 : 제1 잠금장치
91 : 제1 안내로드 92 : 제1 레버
93 : 제1 잠금돌기 94 : 제1 잠금탄성유닛
100 : 제2 잠금장치 101 : 제2 안내로드
102 : 제2 레버 103 : 제2 잠금돌기
104 : 제2 잠금탄성유닛

Claims (11)

  1. 운반이 필요한 물건이 저장, 수용, 거치 또는 안착되고 일측에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결합체;
    제1 지점에서 상기 결합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 지점이 옆쪽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하부로드;
    제2 지점에서 상기 결합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점이 옆쪽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하부로드와 교차하는 제2 하부로드;
    상기 제1 하부로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로드;
    상기 제2 하부로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부로드; 및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상부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지점에서 상기 제2 상부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형성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로드에는, 상기 제1 지점이 상기 제2 지점 쪽으로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유닛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부로드에는, 상기 제2 지점이 상기 제1 지점 쪽으로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유닛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4 지점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에 각각 걸린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1 상부로드의 전체 길이와 상기 제2 하부로드 및 제2 상부로드의 전체 길이는 각각 최단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에 각각 걸린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로드, 제2 하부로드, 제1 상부로드 및 제2 상부로드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 각각은, 그 길이가 상기 안내레일의 전체길이보다 짧고 상기 안내레일의 전체길이의 1/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로드 및 제2 상부로드 각각은, 상기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로드와 제1 상부로드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제2 하부로드와 제2 상부로드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2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장치는,
    상기 제1 상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1 안내로드;
    상기 제1 안내로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하부로드의 제1 걸림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제1 잠금돌기; 및
    상기 제1 잠금돌기가 상기 제1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잠금돌기를 탄력지지하는 제1 잠금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상기 제2 상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2 안내로드;
    상기 제2 안내로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2 하부로드의 제2 걸림구멍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제2 잠금돌기; 및
    상기 제2 잠금돌기가 상기 제2 걸림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잠금돌기를 탄력지지하는 제2 잠금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 안내로드의 상단 헤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푸쉬로드, 상기 제2 안내로드의 상단 헤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푸쉬로드 및 상기 손잡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는 푸쉬프레임; 및
    상기 푸쉬버튼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푸쉬프레임을 탄력지지하는 푸쉬탄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로드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하부로드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조절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잡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KR1020150103704A 2015-07-22 2015-07-22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KR10163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04A KR101633885B1 (ko) 2015-07-22 2015-07-22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PCT/KR2016/007852 WO2017014535A1 (ko) 2015-07-22 2016-07-19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04A KR101633885B1 (ko) 2015-07-22 2015-07-22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885B1 true KR101633885B1 (ko) 2016-06-28

Family

ID=5636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704A KR101633885B1 (ko) 2015-07-22 2015-07-22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3885B1 (ko)
WO (1) WO20170145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45B2 (ja) * 1985-07-03 1995-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可搬機器用ハンドル装置
KR100314167B1 (ko) 1999-09-13 2001-11-23 배성환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
US7270223B2 (en) * 2004-10-13 2007-09-18 Travelpro International, Inc. Luggage handle system with pivot grip
JP2009178455A (ja) * 2008-01-31 2009-08-13 Vanguard Co Ltd スーツケース
KR20090105784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7023B2 (ja) * 2013-10-31 2016-02-10 エンドー鞄株式会社 キャリーバッ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45B2 (ja) * 1985-07-03 1995-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可搬機器用ハンドル装置
KR100314167B1 (ko) 1999-09-13 2001-11-23 배성환 가방용 손잡이의 높이조정장치
US7270223B2 (en) * 2004-10-13 2007-09-18 Travelpro International, Inc. Luggage handle system with pivot grip
JP2009178455A (ja) * 2008-01-31 2009-08-13 Vanguard Co Ltd スーツケース
KR20090105784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100950500B1 (ko) 2008-04-01 2010-03-31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535A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703B2 (en) Rollator
US7883104B2 (en) Mobile carriage, for example for a buggy
JP5301342B2 (ja) 折畳式手押し車
US9616907B1 (en) Multi-mode hand truck
TW201300266A (zh) 嬰兒車
US6439585B1 (en) Golf bag carrier
JP5767489B2 (ja) 乳母車
JP2008001174A (ja) 手押し車
US6811198B2 (en) System for storing a load in a vehicle
JP6770728B2 (ja) 折り畳み椅子を有する鞄及びこれを構成するベースフレーム
CZ14706U1 (cs) Rukojeť a kočárek s touto rukojetí
EP3831247A1 (en) Collapsible carry cot
US9540023B2 (en) Shopping cart displaceable by hand and having a detachable handle
US6609599B1 (en) Extensible handle system for carrying container
EP1667887A2 (en) Modular stroller
KR101633885B1 (ko) 손잡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JP2005137902A (ja) 車輪付きの旅行鞄のための引き込み可能な傾斜した牽引ハンドルシステム
US20150251681A1 (en) Detachable Stroller Handle Tray
JP6027367B2 (ja) 折り畳み式手押し車
JP3880980B2 (ja) 手押車
CN1322651A (zh) 婴儿四轮车
WO2017081269A2 (en) Device for carrying golf clubs and accessories
JP4586036B2 (ja) 手押し車
JP5857023B2 (ja) キャリーバッグ
JP7318484B2 (ja) 搬送補助具および搬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