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077B1 -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077B1
KR100960077B1 KR1020100023255A KR20100023255A KR100960077B1 KR 100960077 B1 KR100960077 B1 KR 100960077B1 KR 1020100023255 A KR1020100023255 A KR 1020100023255A KR 20100023255 A KR20100023255 A KR 20100023255A KR 100960077 B1 KR100960077 B1 KR 10096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ag
protrusion
rotary g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to KR102010002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077B1/ko
Priority to CN2011101089409A priority patent/CN102240098A/zh
Priority to US13/048,145 priority patent/US20110226575A1/en
Priority to EP11158524A priority patent/EP2366304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2Detachable handles; 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2Detachable handles; 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45C2013/226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가방 본체와, 가방 본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가방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핸들부는, 가방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며,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접이부; 접이부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며, 접이부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락 기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이부가 신축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락 기어부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부의 신축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차(tolerance)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Bag with handle part improving precision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length}
본 발명은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부의 신축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차(tolerance)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류나 옷, 물건 등을 수납하여 운반하는데 편리함을 주기 위해 가방이 많이 사용되며, 가방은 사용목적이나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가방들 중 여행 또는 체류를 위하여 각종 짐을 가능한 한 콤팩트하게 다량 수납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여행용 가방은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되고, 일측면에 손잡이수단이 장착된다. 손잡이수단은 가방의 내부 일측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방의 내부에는 손잡이수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구비된 지지수단이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수단은 다수개의 관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하고 지지수단에 의해 단계별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가방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수단을 허리 근처까지 신장시켜 손으로 잡고 가방을 지면에서 경사지게 기울여 바퀴가 굴러가도록 하면서 운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방에 장착되는 손잡이수단은 지지수단이 가방 내부의 일측면 바닥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므로 가방 내부에 짐을 수납하는 공간이 그만큼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수단은 보통 2단계 내지 3단계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키에 적합하게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8.09.11에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출원번호 제10-2008-0090040호)"을 특허출원한바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의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가방의 사용시 접이수단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tolerance)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가방(1)은 가방 본체(1a)와, 가방 본체(1a)의 일측에 장착되는 접이식 손잡이(1b)를 포함한다. 접이식 손잡이(1b)는 서로 포개지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이수단(1c)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 수단(1d)과, 임의의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의 접이수단(1c)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e)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가방(1)은 종래 구조에 비하여 가방(1)에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축소됨에 따라 가방(1)에 좀 더 많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접이수단(1c)이 인출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수단(1e)에 의하여 어느 위치에서든지 인출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가방(1)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접이수단(1c)이 인출되고 고정수단(1e)에 의하여 고정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접이수단(1c)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하게 출렁거리는 문제(이하, "공차(T, Tolerance)"라 함)가 발생한다. 즉 고정수단(1e)이 접이수단(1c)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특허출원에 따른 가방(1)은 고정수단(1e)이 접이수단(1c)의 인출길이를 정확히 고정하지 못하고 접이수단(1c)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일정한 공차(T = T1 + T2)를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차(T)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며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바, 공차(T)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양한 연구과정을 계속하여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특허출원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이부의 신축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차(tolerance)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며,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접이부; 상기 접이부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접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락 기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이부가 신축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락 기어부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락 기어부는,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락기어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기어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1 회전기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락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기어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락 기어홈이 형성되며, 상기 락 기어는, 기어 바디; 및 상기 락 기어홈에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기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삽입홈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락기어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제1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치부를 상기 락 기어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기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삽입홈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락 기어는, 상기 제2 회전기어에 인접한 기어 바디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돌기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기어조절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조절부재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락 기어가 상기 제1 회전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조절부재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진 제1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제2 회전기어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가압판;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판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회전량을 일치시키는 센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링부는, 다수의 제2 치부를 갖는 센터링 기어; 상기 제1 회전기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치부에 치합되는 다수의 제3 치부를 갖는 제1 랙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치부에 치합되는 다수의 제4 치부를 갖는 제2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장시 신장방향의 역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이부의 신장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이는 공차억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차억제부는, 상기 다수의 링크 중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링크 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탄성스프링은 각각,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좌우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하단부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슬릿에 대하여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단부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링크 중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는,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슬릿에 대하여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핀에 의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핀은, 제1 확경부; 상기 제1 확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확경부; 상기 제2 확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3 확경부; 상기 제1 확경부의 직경 및 상기 제2 확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확경부 및 상기 제2 확경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소직경부; 및 상기 제2 확경부의 직경 및 상기 제3 확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확경부 및 상기 제3 확경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소직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부는, 일단부에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제1 단위링크; 및 일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위링크와 결합되는 제2 단위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와셔; 상기 결합돌기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홀을 따라 체결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 단위링크의 일단부,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일단부 및 상기 와셔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부는, 양단부에 제1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는 제1 단위링크; 상기 제1 단위링크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양단부에 제2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는 제2 단위링크; 및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링크 및 상기 제2 단위링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단위링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단위링크 및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접합지점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3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직경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직경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단위링크의 일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일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핀; 및 내부에 상기 제1 회전핀이 수용되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핀; 및 내부에 상기 제2 회전핀이 수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기어부는,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락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락기어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기어로부터 상기 락 기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푸시버튼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는 각각,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에 따라 상기 수용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그립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그립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치차에 치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회전량을 일치시키는 센터링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락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락 기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제1 회전기어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부는 상호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접이부와, 접이부의 신축시 발생하는 공차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접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락 기어부에 의하여 접이부의 신축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차(tolerance)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2008.09.11에 출원한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출원번호 제10-2008-0090040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방의 사용시 접이수단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tolerance)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핸들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접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락 기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회전기어 측에서 바라본 도 7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회전기어 측에서 바라본 도 6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하우징 및 공차억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하우징 및 접이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접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핸들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접이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락 기어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제2 회전기어 측에서 바라본 도 7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제1 회전기어 측에서 바라본 도 6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하우징 및 공차억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3의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의 하우징 및 접이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10, 이하 '가방(10)'이라 함)은 가방 본체(M)와, 가방 본체(M)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100)를 포함한다.
가방 본체(M)는 일측에 핸들부(100)가 장착되며 각종 물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가방 본체(M)는 일반적인 여행용 가방 등과 동일한 구성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핸들부(100)는 가방 본체(M)를 운반할 수 있도록 가방 본체(M)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이다. 핸들부(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는 접이부(120)와, 접이부(120)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는 락 기어부(130)와, 락 기어부(130)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가방 본체(M)의 일측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하우징(110)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접이부(120)는 하우징(110)의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며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부(120)는 일단부에 결합돌기(121a)가 마련되는 제1 단위링크(121)와, 일단부에 결합홀(122a)이 관통형성되는 제2 단위링크(122)와, 결합돌기(121a)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와셔(123)와, 결합돌기(121a)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결합홈(121b) 및 결합홀(122a)을 따라 체결되는 고정핀(124)과, 제1 단위링크(121) 및 제2 단위링크(122)가 결합되는 부분을 덮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125)를 포함한다.
제1 단위링크(121)는 일단부에 결합돌기(121a)가 형성되어 결합홀(122a)이 형성되는 제2 단위링크(122)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결합돌기(121a)는 제2 단위링크(122)의 결합홀(122a)로부터 돌출될 정도의 길이로 제1 단위링크(12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며, 결합홀(122a)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121a)의 일단부에는 와셔(123)가 체결된다. 또한, 결합돌기(121a)의 중앙 영역에는 결합홈(121b)이 마련되며, 이러한 결합홈(121b) 및 결합홀(122a)을 따라서는 고정핀(124)이 체결되어 제1 단위링크(121)와 제2 단위링크(122)를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고정핀(124)은 결합홈(121b)에 억지끼워맞춤 형식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대방에 대하여 상대회전운동하는 제1 단위링크(121) 및 제2 단위링크(122)의 반복사용시에도 일정한 내구성이 보장된다.
커버부재(125)는 제1 단위링크(121) 및 제2 단위링크(122)의 회전운동시 제1 단위링크(121) 및 제2 단위링크(122)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단위링크(121)의 일단부 및 제2 단위링크(122)의 일단부를 덮도록 체결된다.
접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축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1 단위링크(121) 및 제2 단위링크(122)가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한편, 락 기어부(130)는 접이부(120)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며, 접이부(120)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이부(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락 기어부(130)는 접이부(120)의 신축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131)와, 접이부(120)의 신축시 제1 회전기어(1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132)와,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사이에 개재되는 락 기어(133)를 포함한다.
제1 회전기어(131)는 접이부(1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접이부(120)의 신축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제1 회전기어(131)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락기어홈(131a)과, 락기어홈(131a)이 형성된 영역을 관통하는 4개의 제1 돌기삽입홈(131b)을 포함한다.
락기어홈(131a)은 후술하는 락 기어(133)의 기어 바디(133a)의 일측면을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치부(133b)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1 회전기어(1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1 돌기삽입홈(131b)은 후술하는 조절부재(150)의 제1 삽입돌기(151)가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락기어홈(131a)이 형성된 영역을 관통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돌기삽입홈(131b)은 4개로 마련되나, 제1 삽입돌기(151)의 개수에 따라 4개 이상 또는 4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회전기어(132)는 접이부(1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접이부(120)의 신축에 따라 제1 회전기어(1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제2 회전기어(132)에는 후술하는 락 기어(133)의 제2 삽입돌기(133c)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4개의 제2 돌기삽입홈(132a)이 관통형성된다. 다만, 전술한 제1 돌기삽입홈(131b)과 마찬가지로 제2 돌기삽입홈(132a)은 제2 삽입돌기(133c)의 개수에 따라 4개 이상 또는 4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락 기어(133)는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사이에 개재되며 락기어조절부(140)의 조절에 따라 제1 회전기어(131)와 결합되거나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1 회전기어(131)의 회전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락 기어(133)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기어 바디(133a)와, 기어 바디(133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치부(133b)와, 제2 회전기어(132) 측에 인접하게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4개의 제2 삽입돌기(133c)를 포함한다.
기어 바디(133a)는 락 기어(133)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금속성 부재이다.
제1 치부(133b)는 기어 바디(133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제1 회전기어(131)의 락기어홈(131a)에 삽입되는 구성이며, 제2 삽입돌기(133c)는 제2 회전기어(132)에 인접한 락 기어(133)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4개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락 기어(133)는 조절부재(150)를 가압하는 락기어조절부(140)의 구동에 따라 제1 회전기어(131)와 결합되거나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접이부(120)의 신축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락기어조절부(140)가 구동되면 락기어조절부(140)에 연결된 조절부재(150)의 제1 삽입돌기(151)가 제1 회전기어(131)의 제1 돌기삽입홈(131b)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락 기어(133)를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결국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접이부(120)의 신축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락기어조절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접이부(120)가 신축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락 기어부(130)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기어조절부(140)는 파지부(141)와, 파지부(141)의 양단부로부터 조절부재(150)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42)와, 조절부재(15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연장부(142) 및 조절부재(150) 사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압부(143)를 포함한다.
파지부(14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식 버튼(B)을 포함하며, 연장부(142)는 파지부(141)의 양단부로부터 조절부재(150)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구성으로 파지부(141)와 일체로 마련된다.
가압부(143)는 락 기어(133)가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조절부재(150)를 가압하기 위해 연장부(142) 및 조절부재(150)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43)는 조절부재(15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경사면(152)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143b)이 형성된 가압돌기(143a)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부(141)를 파지한 상태로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파지부(141)와 일체로 마련된 연장부(142)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압부(143)에 마련된 가압돌기(143a)가 조절부재(150)의 제1 경사면(152)을 타고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절부재(150)를 제1 회전기어(131) 측으로 가압한다. 조절부재(150)의 가압에 따라 조절부재(150)에 마련된 제1 삽입돌기(151)가 제1 회전기어(131)에 형성된 제1 돌기삽입홈(131b)에 삽입되며, 결국 락 기어(133)가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측으로 계속 힘을 가하면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가 회전하며 접이부(120)가 신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절부재(150)는 락기어조절부(140)의 조절에 따라 락 기어(133)를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조절부재(150)는 일측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4개의 제1 삽입돌기(151)와, 반대측면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진 제1 경사면(152)을 포함한다.
제1 삽입돌기(151)는 락기어조절부(140), 보다 정확하게 가압부(143)의 가압에 따라 제1 회전기어(131)에 형성된 제1 돌기삽입홈(131b)에 삽입됨으로써 락 기어(133)를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제1 경사면(152)은 가압부(143)의 가압돌기(143a)가 용이하게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10)은 제2 회전기어(132)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가압판(160)과, 하우징(110) 및 가압판(16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70)와,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회전량을 일치시키는 센터링부(180)와, 접이부(120)의 신장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차억제부(190)를 더 포함한다.
가압판(160)은 제2 회전기어(132)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탄성부재(170)의 가압에 따라 평상시 락 기어(133)가 제1 회전기어(13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탄성부재(170)는 가압판(16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17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회전기어(132) 측을 향하는 가압판(160)의 일측면에는 4개의 돌기(미도시)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돌기는 평상시 탄성부재(170)의 가압에 따라 제2 회전기어(132)의 제2 돌기삽입홈(132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락 기어(133)가 제1 회전기어(13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센터링부(180)는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회전량을 일치시키는 구성이다.
센터링부(180)는 센터링 기어(181)와, 제1 회전기어(131)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랙기어(182)와, 제2 회전기어(132)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 랙기어(183)를 포함한다.
제1 랙기어(182)는 제1 회전기어(131)의 상단부 일정 영역에 다수의 제3 치부(182a)를 갖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랙기어(183)는 제2 회전기어(132)의 상단부 일정 영역에 다수의 제4 치부(183a)를 갖도록 마련되는 구성이고, 센터링 기어(181)는 제3 치부(182a) 및 제4 치부(183a)에 각각 치합되는 다수의 제2 치부(181a)를 갖는 구성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 기어(181)의 회전에 따라 제1 랙기어(182) 및 제2 랙기어(183)는 동일한 회전량을 지닌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접이부(120)를 구성하는 제1 단위링크(121) 및 제2 단위링크(122)가 동일한 양만큼 신축되고 결국 접이부(120)의 안정적인 신축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공차억제부(190)는 접이부(120)의 신장시 신장방향의 역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접이부(120)의 신장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이는 구성이다.
공차억제부(190)는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91)와, 가이드부재(191)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192)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91)는 접이부(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링크(121, 122) 중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121c, 122c)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링크 핀(P)에 결합되며 하우징(110) 내부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제1 가이드슬릿(111)이 관통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121c, 122c) 및 가이드부재(191)를 따라서는 링크 핀(P)이 관통한 뒤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막음부재(CP)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91)는 접이부(120)의 신축시 제1 가이드슬릿(1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탄성스프링(192)은 가이드부재(191)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91)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구성이다. 한 쌍의 탄성스프링(192)은 일단부가 하우징(110)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가이드부재(191)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가이드부재(191)의 좌우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다. 가이드부재(19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부재(191)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한 쌍의 탄성스프링(192)은 가이드부재(191)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접이부(120)의 신장시 발생하는 공차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슬릿(111)에 인접한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제2 가이드슬릿(112)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121c, 122c)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121d, 122d)는 제2 가이드슬릿(11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가이드슬릿(112)에 대하여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핀(I)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이동핀(I)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확경부(I1)와, 제1 확경부(I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확경부(I2)와, 제2 확경부(I2)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3 확경부(I3)와, 제1 확경부(I1) 및 제2 확경부(I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소직경부(I4)와, 제2 확경부(I2) 및 제3 확경부(I3)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소직경부(I5)를 포함한다.
제1 확경부(I1)는 한 쌍의 링크(121d, 122d)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제2 확경부(I2)는 한 쌍의 링크(121d, 122d)의 결합부분에 걸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3 확경부(I3)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 가이드슬릿(112)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분이며, 제1 소직경부(I4)는 제1 확경부(I1)의 직경 및 제2 확경부(I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 확경부(I1) 및 제2 확경부(I2)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고, 제2 소직경부(I5)는 제2 확경부(I2)의 직경 및 제3 확경부(I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2 확경부(I2) 및 제3 확경부(I3)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이동핀(I)의 형상에 따라 접이부(120)는 하우징(110)의 전후방향으로 출렁거리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제2 가이드슬릿(112)을 따라 하우징(110)의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1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방 본체(M)에 핸들부(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방(10)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자는 락기어조절부(140)의 파지부(141)를 움켜쥔 상태로 이를 상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파지부(141)를 상측 방향으로 당기면, 파지부(141)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142)가 미세하게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제2 경사면(143b)을 갖는 가압부(143)의 가압돌기(143a)가 조절부재(150)의 제1 경사면(152)을 타고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압돌기(143a)의 이동에 따라 조절부재(150)의 제1 삽입돌기(151)가 제1 회전기어(131)의 제1 돌기삽입홈(131b)에 삽입되어 제1 회전기어(131)에 결합된 락 기어(133)를 제2 회전기어(132) 측으로 밀어내며, 락 기어(133)에 마련된 제2 삽입돌기(133c)가 제2 회전기어(132)의 제2 돌기삽입홈(132a)에 삽입됨으로써 락 기어(133)가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된다.
락 기어(133)가 제1 회전기어(13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회전이 가능해지며, 사용자가 상측 방향으로 계속 힘을 가하면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가 회전하면서 접이부(120)가 신장된다. 접이부(120)의 신장시 센터링부(180)에 의하여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의 회전량이 일치되게 되므로 접이부(120)의 다수의 링크들은 동일한 양만큼 신장하게 된다. 또한, 접이부(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링크 중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121d, 122d)는 이동핀(I)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바 접이부(120)의 전후방향의 출렁거림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키 등에 맞게 접이부(120)를 신장시키게 되면 파지부(141)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게 되므로 연장부(142)가 미세하게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 경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160)에 마련된 돌기가 제2 회전기어(132)의 제2 돌기삽입홈(132a)에 삽입되며 락 기어(133)의 제2 삽입돌기(133c)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락 기어(133)의 제1 치부(133b)가 제1 회전기어(131)의 락 기어홈(131a)에 치합되며 조절부재(150)를 밀어낸다. 락 기어(133)의 제1 치부(133b)가 제1 회전기어(131)의 락 기어홈(131a)에 치합됨에 따라 제1 회전기어(131) 및 제2 회전기어(132)는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접이부(120)의 신장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접이부(120)가 신장된 상태에서 공차억제부(190)가 하측 방향으로 계속하여 일정한 탄성력을 공급하게 되므로 접이부(120)의 공차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접이부(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락 기어부(130)에 의하여 본 출원인이 2008.09.11에 선출원한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출원번호 제10-2008-0090040호)"에서 발생하는 공차를 대략 6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가방은 접이수단과 분리되어 마련되는 고정수단의 특성상 접이수단의 신축시 필연적으로 일정한 정도의 공차가 발생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접이부(120)의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락 기어부(130)를 접이부(120)의 상단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러한 공차를 아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접이부(120)의 신장시 신장방향의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공차억제부(190)를 추가함으로써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가방에 비해 공차를 3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방(10)은 접이부(12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락 기어부(130) 및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차억제부(190)에 의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가방에 비해 공차를 9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가방(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접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가방 본체와, 가방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핸들부는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는 접이부(220)와, 접이부(220)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는 락 기어부(미도시)와, 락 기어부(미도시)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방 본체, 하우징,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가방 본체(M), 하우징(110), 락 기어부(130) 및 락기어조절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접이부(220)는 하우징의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며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부(220)는 양단부에 제1 체결홀(221a)이 형성되는 제1 단위링크(221)와, 양단부에 제2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는 제2 단위링크(222)와, 제1 단위링크(221) 및 제2 단위링크(222)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핀(223)과, 제1 단위링크(221)의 일단부를 덮는 제1 커버부(224)와, 제2 단위링크(222)의 일단부를 덮는 제2 커버부(225)를 포함한다.
제1 단위링크(221) 및 제2 단위링크(222)는 각각 양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홀(221a) 및 제2 체결홀을 따라 삽입되는 체결핀(223)에 의해 상호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이다.
체결핀(22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23a)와, 제1 돌출부(223a)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돌출부(223b)와, 제2 돌출부(223b)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3 돌출부(223c)와, 제1 돌출부(223a) 및 제2 돌출부(223b)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부(223d)와, 제2 돌출부(223b) 및 제3 돌출부(223c)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부(223e)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23a)는 제1 단위링크(22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부분이며, 제2 돌출부(223b)는 제1 단위링크(221) 및 제2 단위링크(222)의 접합지점에 배치되는 부분이고, 제3 돌출부(223c)는 제2 단위링크(22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부분이며, 제1 연결부(223d)는 제1 돌출부(223a)의 직경 및 제2 돌출부(223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 돌출부(223a) 및 제2 돌출부(223b)를 연결하는 부분이고, 제2 연결부(223e)는 제2 돌출부(223b)의 직경 및 제3 돌출부(223c)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2 돌출부(223b) 및 제3 돌출부(223c)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커버부(224)는 제1 단위링크(221)의 일단부를 덮도록 제1 연결부(223d)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1 커버부(224)는 제1 회전핀(224a)과, 제1 회전핀(224a)이 수용되는 제1 회전부재(224b)를 포함한다.
제1 회전핀(224a)은 일측이 개방되며 제1 연결부(223d)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1 회전부재(224b)는 내부에 제1 회전핀(224a)이 수용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회전핀(225a)은 일측이 개방되며 제2 연결부(223e)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2 회전부재(225b)는 내부에 제2 회전핀(225a)이 수용되는 구성이다.
제1 단위링크(221) 및 제2 단위링크(222)는 접합지점에 제2 돌출부(223b)가 배치되는 체결핀(223)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며, 체결핀(223)의 제1 연결부(223d)는 제1 회전핀(224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회전부재(224b)에 삽입되고, 체결핀(223)의 제2 연결부(223e)는 제2 회전핀(225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회전부재(225b)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단위링크(221) 및 제2 단위링크(222)는 상호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방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며, 본 실시예의 접이부(220)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일정한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회전핀(224a)은 제1 회전부재(224b)에 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회전핀(225a)도 제2 회전부재(225b)에 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회전핀(224a), 제1 회전부재(224b), 제2 회전핀(225a) 및 제2 회전부재(225b)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는 사항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접이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축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1 단위링크(221) 및 제2 단위링크(222)가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가방 본체와, 가방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핸들부는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는 접이부(미도시)와, 접이부(미도시)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는 락 기어부(330)와, 락 기어부(330)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34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 하우징(350)을 포함한다.
가방 본체, 하우징 및 접이부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가방 본체(M), 하우징(110), 접이부(12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락 기어부(330)는 접이부의 신축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331)와, 접이부의 신축시 제1 회전기어(33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332)와, 제1 회전기어(331) 및 제2 회전기어(332)의 사이에 개재되는 락 기어(333)를 포함한다.
제1 회전기어(331)는 회전몸체(331a) 및 회전몸체(331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수용부(331b)를 포함하며, 제2 회전기어(332)는 회전몸체(332a) 및 회전몸체(332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수용부(332b)를 포함한다.
제1 회전기어(331)의 회전몸체(331a)는 제1 회전기어(331)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회전몸체(331a)의 중앙 영역 내주면에는 락 기어(33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치부(333a)에 치합될 수 있는 다수의 치부(331c)가 형성된다.
수용부(331b)는 회전몸체(331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접이부의 신장시 그립 하우징(350)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수용부(331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후술하는 센터링 기어(334)의 치부에 치합되는 치차(미도시)가 마련된다.
제2 회전기어(332)의 회전몸체(332a) 및 수용부(332b)에 관한 사항은 제1 회전기어(331)의 회전몸체(331a) 및 수용부(331b)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도면번호 332d는 제2 회전기어(332)의 수용부(332b)에 형성된 치차(332d)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락기어조절부(34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기어(33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푸시버튼으로 마련되며, 그립 하우징(350)은 제1 회전기어(331)의 수용부(331b) 및 제2 회전기어(332)의 수용부(332b)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방의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는 푸시버튼으로 마련되는 락기어조절부(340)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락기어조절부(34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락 기어(333)에 형성된 돌기(333b)를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락 기어(333)가 제1 회전기어(331)로부터 분리되며 제1 회전기어(331) 및 제2 회전기어(332)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그립 하우징(3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회전기어(331) 및 제2 회전기어(332)가 회전하면서 접이부가 신장되는데, 이 경우 제1 회전기어(331)의 수용부(331b) 및 제2 회전기어(332)의 수용부(332b)는 그립 하우징(350)의 내부에 점차 수용되게 된다. 또한, 센터링 기어(334)의 조절에 따라 접이부를 구성하는 단위 링크들은 동일한 양만큼 신장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키 등에 맞게 접이부를 신장시키게 되면 락기어조절부(340)의 누름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이에 따라 락 기어(333)와 제2 회전기어(332)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락 기어(333)를 제1 회전기어(331) 측으로 밀게 되고 결국 락 기어(333) 및 제1 회전기어(331)가 결합됨으로써 더 이상 접이부가 신장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그립 하우징(350)에 수용되는 수용부(331b, 332b)를 포함함으로써 접이부의 운동방향을 그대로 따르도록 마련되는 제1 회전기어(331) 및 제2 회전기어(332)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가방의 락 기어부 및 락기어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가방 본체와, 가방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핸들부는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는 접이부(미도시)와, 접이부(미도시)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는 락 기어부(430)와, 락 기어부(430)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44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하우징(450) 및 제2 하우징(460)을 포함한다.
가방 본체, 하우징 및 접이부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가방 본체(M), 하우징(110), 접이부(12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락 기어부(430)를 구성하는 제1 회전기어(431) 및 제2 회전기어(432)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 수용부(331b, 332b)를 제거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하우징(450)은 3개의 부재(451, 452, 453)로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1 회전기어(431)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며, 제2 하우징(460)은 3개의 부재(461, 462, 463)로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2 회전기어(432)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1 하우징(450)의 타단부 및 제2 하우징(460)의 타단부는 상호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상호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450) 및 제2 하우징(460)을 포함함으로써 접이부의 운동방향을 그대로 따르도록 마련되는 제1 회전기어(331) 및 제2 회전기어(332)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가방 M : 가방 본체
100 : 핸들부 110 : 하우징
120 : 접이부 130 : 락 기어부
140 : 락기어조절부

Claims (26)

  1.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상에 배치되며,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접이부;
    상기 접이부의 신축길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접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락 기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이부가 신축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락 기어부의 구동을 조절하는 락기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기어부는,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락기어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기어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1 회전기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락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기어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락 기어홈이 형성되며,
    상기 락 기어는,
    기어 바디; 및
    상기 락 기어홈에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 바디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기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삽입홈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락기어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제1 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치부를 상기 락 기어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기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삽입홈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락 기어는,
    상기 제2 회전기어에 인접한 기어 바디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돌기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기어조절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조절부재 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락 기어가 상기 제1 회전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조절부재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테이퍼진 제1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기어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가압판;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판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회전량을 일치시키는 센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부는,
    다수의 제2 치부를 갖는 센터링 기어;
    상기 제1 회전기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치부에 치합되는 다수의 제3 치부를 갖는 제1 랙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치부에 치합되는 다수의 제4 치부를 갖는 제2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장시 신장방향의 역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이부의 신장에 따라 발생하는 공차를 줄이는 공차억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억제부는,
    상기 다수의 링크 중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링크 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대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한 쌍의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스프링은 각각,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좌우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하단부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슬릿에 대하여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단부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링크 중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는,
    상기 제2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슬릿에 대하여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핀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은,
    제1 확경부;
    상기 제1 확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확경부;
    상기 제2 확경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3 확경부;
    상기 제1 확경부의 직경 및 상기 제2 확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확경부 및 상기 제2 확경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소직경부; 및
    상기 제2 확경부의 직경 및 상기 제3 확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확경부 및 상기 제3 확경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소직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일단부에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제1 단위링크; 및
    일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위링크와 결합되는 제2 단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결합돌기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와셔;
    상기 결합돌기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홀을 따라 체결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 단위링크의 일단부,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일단부 및 상기 와셔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양단부에 제1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는 제1 단위링크;
    상기 제1 단위링크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양단부에 제2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는 제2 단위링크; 및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링크 및 상기 제2 단위링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단위링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단위링크 및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접합지점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3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직경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직경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단위링크의 일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단위링크의 일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핀; 및
    내부에 상기 제1 회전핀이 수용되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핀; 및
    내부에 상기 제2 회전핀이 수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기어부는,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기어;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시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회전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락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락기어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회전기어로부터 상기 락 기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기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푸시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는 각각,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치차가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접이부의 신축에 따라 상기 수용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그립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치차에 치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기어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회전량을 일치시키는 센터링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기어 및 상기 락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락 기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기어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회전기어의 일측에 일단부가 힌지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부는 상호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1020100023255A 2010-03-16 2010-03-16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10096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255A KR100960077B1 (ko) 2010-03-16 2010-03-16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CN2011101089409A CN102240098A (zh) 2010-03-16 2011-03-15 包含具有改进精度的可伸展长度的把手单元的包
US13/048,145 US20110226575A1 (en) 2010-03-16 2011-03-15 Bag having a handle unit with improved precision of an extendable length
EP11158524A EP2366304A2 (en) 2010-03-16 2011-03-16 Bag having a handle unit with improved precision of an extendable l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255A KR100960077B1 (ko) 2010-03-16 2010-03-16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077B1 true KR100960077B1 (ko) 2010-05-31

Family

ID=4228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255A KR100960077B1 (ko) 2010-03-16 2010-03-16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26575A1 (ko)
EP (1) EP2366304A2 (ko)
KR (1) KR100960077B1 (ko)
CN (1) CN1022400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762B1 (ko) * 2009-08-07 2017-06-01 토소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지르코니아 소결체, 그리고 그의 제조방법
US20120006638A1 (en) * 2010-07-06 2012-01-12 Semersky Frank E Garment hanger for luggage
FR3012299B1 (fr) 2013-10-25 2015-12-18 Vuitton Louis Sa Bagage roulant comportant une canne escamotable
JP6051326B1 (ja) * 2016-05-20 2016-12-27 第一工商有限会社 操作ハンド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64Y1 (ko) 2003-03-11 2003-08-09 신경대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다용도 가방
KR20090105784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1632A (zh) * 1997-10-27 1998-12-16 陈平和 旅行箱拉杆和定位机构及其制造方法
US7934289B2 (en) * 2008-04-01 2011-05-03 Carimax Corporation Foldable cross-patterned pull-handle and bag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64Y1 (ko) 2003-03-11 2003-08-09 신경대 핸드캐리어를 구비한 다용도 가방
KR20090105784A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6304A2 (en) 2011-09-21
CN102240098A (zh) 2011-11-16
US20110226575A1 (en)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077B1 (ko)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US7997591B2 (en) Chassis with retractable wheels
CN207644546U (zh) 折叠式个人移动式车辆
EP3345816B1 (en) Folding vehicle
US7874408B2 (en) Work bag or travel suitcase with an incorporated extendable pull handle and with wheels
JP5513533B2 (ja) 旅行かばん拡張システム
US20100187062A1 (en) Travel luggage with a laptop computer mount
EP3143899A1 (en) Carrier having foldable wheels
CN104870146A (zh) 外展箱
KR102053432B1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US6131928A (en) Bars of trunks and the like
WO2005055759A2 (en) Convertible luggage
CN107771144A (zh) 具有次级附加装置的婴儿手推车
JP4686576B2 (ja) 折畳み式取っ手及びこれを備えたかばん
KR100950500B1 (ko)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CN110481619A (zh) 婴幼儿车手把兼具伸缩与收车的装置
WO2007005217A2 (en) Customizable luggag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2442413B1 (ko) 우산
KR102203069B1 (ko) 캐리어 클램핑 장치
KR101287623B1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페달장치
JP6762566B2 (ja) 物品収納ケース
CN114727691A (zh) 折叠袋
KR20150009818A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페달장치
CN210581507U (zh) 一种便于折叠收纳的背包
CN218978722U (zh) 一种可折叠浴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