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77227A1 - 안과용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용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77227A1
WO2019177227A1 PCT/KR2018/014801 KR2018014801W WO2019177227A1 WO 2019177227 A1 WO2019177227 A1 WO 2019177227A1 KR 2018014801 W KR2018014801 W KR 2018014801W WO 2019177227 A1 WO2019177227 A1 WO 20191772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be
section
hold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8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차흥원
표병권
임순기
조운정
Original Assignee
(주)씨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오아이 filed Critical (주)씨오아이
Priority to US16/964,70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45547A1/en
Priority to CN201880087902.XA priority patent/CN111683630A/zh
Priority to JP2020534153A priority patent/JP2021501665A/ja
Priority to EP18910109.0A priority patent/EP3730105A4/en
Publication of WO20191772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77227A1/ko
Priority to JP2023041107A priority patent/JP2023088949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9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non-laser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non-coherent light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77Electrical conductivity high, i.e. electrically condu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21Head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64Features of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95Electrodes being detachable from a support structure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field of view during surgery.
  • Electrosurgical instruments are well known and widely used in the medical, dental, and veterinary fields. During the procedure, the surgeon may use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to perform a cutting procedure and a blood vessel coagulation procedure. Electrosurgical instruments provide setting of various operating parameters for surgical procedures, such as power settings, temperature control, electrode configurations, and radiowave-frequency energy settings.
  •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Teflon, which blocks the flow of electricity from the probe, is coated, and the insulating material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probe, especially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eflon which blocks the flow of electricity from the probe
  • the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probe portion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20 ⁇ m thick is considerably thick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conjunctiva, the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tabbing the conjunctiva,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lood vessels, such as unwanted due to the resistance.
  •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Teflon remains in internal tissues under the conjunctiva, causing inflammation and the lik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ose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rob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in front of the insulating material is not required, the thickness is reduced to ensure the user's field of view during ophthalmic surgery.
  •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path; And a first section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section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and a second sec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ection, the front section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It provides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comprising a.
  •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probe portion to the maximum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probe por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surgical stability may be formed to 0.01 to 0.015 or less.
  •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probe portion to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probe portion may be formed to 0.0116 or more and 0.035 or less.
  •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probe portion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to 0.03 or more and 0.07 or less.
  • the diameter of the probe portion may be formed to more than 30 ⁇ m 70 ⁇ m.
  • the probe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 the prob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ben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first section of the probe portion, concentric with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 the holder is inserted; And a handpiece body coupled to the holder part.
  • the holder portion may be reduced in diameter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handpiece body.
  •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piece body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der portion may be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 the holder portion the holder body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 a button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holder body in which the insertion unit is formed;
  • an elastic support part disposed between the button part and the support part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 the elastic support it may be formed of a coil-shaped spring.
  • the button portion may penetrate the holder body, and may be reciprocated inward of the holder body.
  • the holder portion the holder body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 a button unit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holder body;
  • a moving part contactable with the button part and movable on the insertion part;
  • an elastic support part disposed between the holder body and the moving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ing part in the holder body side direction.
  •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probe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ortion, a separate insulation is not require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portion during ophthalmic surge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view from being disturbed.
  • the ratio of the diameter to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in the probe section is 0.116 or more and 0.0175 or less, the rigidity of the probe section is secured, and the thickness of the probe section can be reduced to secure the user's field of vision during ophthalmic surgery.
  •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probe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is formed to be 0.03 or more and 0.07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e from being blocked by the support during ophthalmic surgery, and to secure a user's field of view.
  •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robe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can be quickly removed from the holder body.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with a separate probe.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be unit is removed from FIG. 3.
  •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pro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B of FIG. 7.
  • FIG.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be unit is removed from FIG. 7.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with a separate probe.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be unit is removed from FIG. 3.
  • the ophthalmic surgica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0, the probe 20, the holder 40, the handpiece body 50 It may include.
  • the support part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path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 the handpiece body 5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wire (C) or the like to provide an electrical path, and since the support 10 is coupled to the handpiece body 50, it can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 the support unit 10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to the probe unit 20 and contact the subject such as the conjunctiva in the probe unit 20 to treat a disease such as conjunctivitis.
  • RF radio frequency
  • the support part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support portion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the insertion portion 42 formed in the holder body 41.
  • the holder body 41 may have an insertion part 42 having a hollow insid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0.
  •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art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 function and a shape required for the ophthalmic surgical device 1.
  • the probe unit 2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a surgical site such as a conjunctiva.
  • the probe unit 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iameter over the entire sec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different diameter is 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 the probe unit 20 includes a first section 21 and a second section 25.
  • the first section 21 is coupled to the support 10,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10.
  • the first section 21 is disposed on the side coupled with the support 10 in the probe 2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
  • the first section 21 of the probe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10 and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 the first section 21, the second section 25, and the support section 10 are al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RF by providing an electrical path, and the probe section 20 includes conjunctiva, etc. Contact with the site of treatment can remove the site of injury.
  • the second section 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ection 21 and connected to the front section of the support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the second section 25 is protruding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andpiece body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section 25 is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
  • the part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10 is defined as the first section part 21, and the part protruding outside the support part 10 is defined as the second section. It may be defined as part 25.
  • the second section 25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25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no separate insulating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25. it means.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ection 25 does not increase, and the thickness of the probe 20, specifically, the second section 25, increases. Because it is no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ecure the field of view during surgery.
  •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second section 25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21 has a predetermined angle,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ross section may have a triangular shape in which a hypotenuse is formed. .
  • An angle formed with the hypotenuse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section 25 formed may be 10 degrees.
  • the cross-sectional area in a predetermined section is reduced, compared with the angle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ection 25 opposite to the first section 21 side, which is formed at 30 to 45 degrees, and the permeability to an object such as a conjunctiva is improved. It can be effected.
  • Table 1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and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 the vertical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unit 20, and the horizontal item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25 of the probe unit 20.
  •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unit 20 When measuring the stability of the procedure while varying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unit 20, one is to quantify the procedure stability for each diameter.
  • the stability of the procedure depends on the degree of deformation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and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and the conjunctiva according to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It is a valu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damage to the back object, etc., and generally defined as satisfying a predetermined procedure stability at 2.5 points or more.
  •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unit 20 may be formed to 70 ⁇ m, when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is formed to 70 ⁇ m In the case where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is 6 mm or less, the procedure stability meets a predetermined criterion.
  •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25 to meet the predetermined procedure stability for each diameter ( d2) is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when the diameter w1 is 50 ⁇ m, and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when the diameter w1 is 45 ⁇ m or less.
  • the diameter d1 of the second section 25 was measured to be 3 mm or less when the diameter w1 was 30 ⁇ m.
  •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section 20 to the maximum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of the probe section 20 that satisfies the predetermined surgical stability is the diameter of the probe section 20. 0.0116 when (w1) is 70 ⁇ m, 0.0125 when diameter w1 of probe 20 is 50 ⁇ m, 0.015 when diameter w1 of probe 20 is 45 ⁇ m, and It is formed at 0.01 when the diameter w1 is 30 ⁇ m.
  • the probe The part 20 may satisfy predetermined surgical stability.
  •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is shorter than 2mm, the operation field of the user may be covered by the support 10 having the predetermined diameter w2. Therefore, when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is 70 ⁇ m,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is preferably formed to be 2 mm or more and 6 mm or less.
  •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to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of the probe 20 is 0.0116 or more and 0.035 or less.
  •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unit 20 to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0.03 or more and 0.07 or less. .
  •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portion 20 may be formed to more than 30 ⁇ m 70 ⁇ m.
  •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portion 10 when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portion 10 is 1mm, the diameter of 0.8mm is reduced compared to the diameter (w2) of the conventional support portion 10 is 1.8mm,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portion 10 (Or thickness)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user's field of view, such as a doctor during surgery, in particular, unlike other surgical operations such as ophthalmic surgery can be improved the precision of the surgery performed in a relatively narrow area.
  • the probe unit 2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Since the probe unit 2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user 5 has an effect of accurately contacting the probe unit 20 with a damaged part.
  • the first section 21 of the probe 20 is concentric with the support 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10.
  • the probe unit 20, specifically, the first section 21 and the support unit 10 are al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supply power through an electrical path disposed inside the handpiece body 50 such as an electric wire C. Can be supplied.
  • the first section 21 and the second section 25 may b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portion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Holder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handpiece body 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holder portion 40 may be reduced in diameter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handpiece body 50.
  • the probe portion 20 Since the diameter of the holder portion 4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portion 40 coupled to the handpiece body 50 is reduced, the probe portion 20, specifically, the second section portion 25. The view of the side is secured, and when the user contacts the second section 25 with the conjunctiva or the like,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the view of the probe 20.
  • the cross section of the holder portion 4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holder 4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based on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X 1 of the holder 40. .
  • the handpiece body 50 and the holder 40 may be concentric, like a pencil, and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nd combined. Openings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lder part 40, and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42, which is an opening part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handpiece main body 50 through one opening part.
  • the second section 25 of the probe 2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 may protrude.
  • the holder portion 4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42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0 can be inserted.
  • the insertion part 42 has a hollow inside, and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and referring to FIG. 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4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
  • the support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42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axis ( X 1 ) may be formed concentrically and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 a predetermined angle ( ⁇ It can be arranged to achieve.
  • a longitudinal axis (X 1) of the holder part 40 is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axis (X 1) of the probe section 20 to be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10 and supporting member 10 coupled into the holder portion 40 Is formed.
  • One end of the holder portion 4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piece body 50 facing the holder portion 40, it may be coupled to the edg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handpiece body 50.
  • the holder portion 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body 50.
  • the holder portion 40 is rotatable at one end of the handpiece body 50, the longitudinal axis X 2 of the handpiece body 50 and the length of the holder portion 40, in particular, the holder body 41 are long.
  • the angle ⁇ formed by the direction axis X 1 may be adjusted.
  • the holder part 40 includes a holder body 41, a button part 43, and an elastic support part 45.
  • the holder body 4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10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0.
  •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der body 41, and when the use is completed, the support part 10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ody 41 again through the insertion part 42 to a new support part 10. It can be replaced.
  • the holder body 41 may be reduced in diameter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handpiece body 50.
  •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holder body 41, the diameter of the holder body 41 is reduced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handpiece body 5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change of each section of the holder body 41 is linear It is formed as,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in a non-linear curve.
  • the diameter of the holder body 41 is non-linearly curved, the closer the surgical site is, the larger the width of the holder body 41 may be formed than the side of the handpiece body 50.
  • the button part 43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41 in which the insertion part 42 is formed, and is opposite to the button part 43. 43 may be formed to allow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side the holder body (41).
  • buttons portion 43 An elastic support portion 45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button portion 43, and the support portion 10 presses the elastic support portion 45 when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41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42.
  • the button unit 43 may be moved to the rear (left of FIG. 4).
  • the button portion 4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button portion 43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not show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0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41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42 is the elastic support portion 45. And even if the button portion 43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45, the button portion 4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body 41.
  • the elastic support 4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43 and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41, the elastic One end of the support part 45 is coupled to the button part 43 and may be fixed in position.
  • the elastic support 45 may be formed of a coil-shaped spring.
  • the ophthalmic surgical device 1 includes a support 10, a probe 20, a holder 40, and a handpiece body 50.
  • the support part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path,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 and the support part 10 through a wire C disposed inside the handpiece body 50. Is delivered.
  • the high frequency is coupled to the handpiece body 50, the support 10 and the support 10 via an electrical path such as a wire (C) 20 Is passed to.
  • the high frequency transmitted to the probe 20 is transmitted to an injury site such as the conjunctiva of the subject in an ophthalmic operation.
  • the probe 2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section 21 is coupled to the support 10, specifically inserted into the support 10, the second section 25 is the first section ( 21 is integrally formed and connected, and all surfac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
  • the first section 21 and the second section 25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first section 21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robe 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ection 10. Is inserted through.
  • the resistance to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probe 20 may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probe 20 direct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linear probe 20 is prevented, and the rigidity against shape deformation is secured.
  • an insulating part formed of a separate insulating material such as Tefl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25.
  •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to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of the probe 20 may be formed to be 0.0116 or more and 0.035 or less. .
  • the ratio is less than 0.0116, that is, when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portion 20 is 70 ⁇ m, the length 2 of the second portion 25 is greater than 6 mm, compared to that of the second portion 25.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iffness, and to prevent the shape of the second section 25 from changing as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becomes longer.
  • the second section when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to the length d2 of the second section 25 is greater than 0.035, that is,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is 70 ⁇ m. While the length d2 of the part 25 is less than 2 mm, the second section 25 may prevent the visual fiel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support part 10 or the like, and the user may attach the probe part 20 to the surgical site such as the conjunctiva. In detail, when one end of the second section 25 is contacted, the treatment portion such as the conjunctiva and the support 10 coupled to the second section 25 may be prevented.
  • the support 10 and the probe 20 are concen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specifically, the first section 21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robe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10 and the support 10.
  • the second section 25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21 and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10.
  • the thickness of the probe 20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by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 the field of view of the probe 20, specifically, the second section 25 may be secured due to the insulation.
  •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to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0.03 or more and 0.07 or less.
  •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part 20 may be formed to be 30 ⁇ m or more and 70 ⁇ m or less.
  • the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to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10 is formed to be 0.03 or more and 0.07 or less, the ratio is less than 0.03, that is,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10 is 30 Compared with the formation of less than the microme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field of view from being disturbed due to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portion 10 in the ophthalmic surgery in which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local area compared to other surgical operations.
  • the first section portion has a ratio of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to the diameter w2 of the support 10 greater than 0.07, that is, the diameter w1 of the probe 20 exceeds 70 ⁇ m.
  • the rigidity of the support 10 coupled to surround 21 is secured.
  • Holder portion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body 41, the button portion 43, the elastic support portion 45.
  • Holder body 41 is coupled to the handpiece body 50, as shown in Figure 1 holder body 41 and the handpiece body 50 share a longitudinal axis, can be formed in a pen type, As in 3,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piece body 50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der part 4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 .
  • the support part 10 and the probe part 20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 are coupled together through the insertion part 42 formed in the holder body 41.
  •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41,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0 to which the probe part 20 is coupl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0 inside the holder body 41.
  • the elastic support 45 has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1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elastic support 45 contacting the support 10 presses the button 43. .
  • the button portion 43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left side of FIG. 4) opposite to one side (the right of FIG. 4) of the holder body 41 in which the insertion part 42 is formed,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45 is the button portion ( 43, it is moved to the left side (see FIG. 4).
  • the user 5 moves the button portion 4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portion 43 protrudes from the holder body 41 (the left side of FIG. 5). Pressing, the button portion 43 again presses the elastic support portion 45, the pressurized elastic support portion 45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portion 43 (see Fig. 5 right), the holder body The support 1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lder 41 may be separated out of the holder body 41.
  • the user 5 uses the holder 10, specifically the holder main body, to couple the support part 10 and the probe part 20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 by the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part 43. It can be removed at 41 and replaced with a new support 10 and probe 20.
  • the button part 43 is movable in the holder body 4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or remov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0.
  • the probe unit may include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first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 the second section 35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section 31, the probe section 30, specifically, the second section 35 is at least one bent portion 3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May be formed.
  • the bent portion 36 may be curved, and the pain of the subject is reduced while min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surgical site during the tear path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ross section of the probe having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The reduced area can shorten the recovery time of the damaged part.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B of FIG. 7.
  •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be unit is removed from FIG. 7.
  • the ophthalmic surgical device 1 may include a support 10, a probe 20, a holder 60, and a handpiece body 70. 7 to 9, the holder part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er body 61, a button part 63, a moving part 64, and an elastic support part 65. Can be.
  • the holder body 6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62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 the insertion part 6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hollow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art 10 formed in the cylindrical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button portion 63 is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holder body 61, one part of which protrudes outward of the holder body 61, except for the part protruding outward of the holder body 61 is the holder body ( 61 is penetrated through the inner side.
  • the button portion 63 has a stepped portion (not shown) protru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reby preventing the button portion 63 from protruding outside the holder body 61 by a predetermined portion or more.
  • the moving part 64 is in contact with the button part 63 and is formed to be movable on the insertion part 62.
  • the moving part 64 is arrang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utton part 63.
  • the moving part 64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button part 63 in a curved shape,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utton part 63, and friction between the button part 63 and the moving part 6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portion 63 from being damaged.
  • the elastic support part 65 is disposed between the holder body 61 and the moving part 64,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moving part 64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0.
  • the moving part 64 may have one surface facing the button part 63 protruding toward the button part 63 side, that is, convex toward the button part 63 side.
  •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 61 through the insertion part 62 of the holder body 61, and the support part 10 disposed inside the holder body 61.
  • the moving part 64 is in contact.
  • the user 5 when the user 5 completes the use of the support unit 10 and the probe unit 2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 the user 5 moves the button unit 63 to the moving unit 64 side (see FIG. 9). It presses on the lower side, and moves the moving part 64 to the support part 10 side (right of FIG. 9 reference
  •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5 extends, and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ortion 64 (right to left in FIG. 9). Since the moving unit 6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the button unit 63 moves outwardly (upper reference of FIG. 9) of the holder body 61 and protrudes outward.
  • the user 5 presses the button part 63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holder body 61 (FIG. 9).
  • the support part 10 and the probe part 20 are remov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utton part 63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FIG. 9) of the button part 63.
  • the probe 20 is completed to quickly remove from the holder body 61 It can be effective.
  • the holder body 61 including the holder body 61, the button portion 63, the moving portion 64,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5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ophthalmic surgica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 an ophthalmic surgical device is provided.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lectrosurgical instruments and the like used in indu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경로가 제공되는 지지부; 및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구간부와, 상기 제1구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전면이 상기 지지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구간부, 를 포함하는 탐침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과용 수술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과용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안과용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외과용 기구는 의료, 치과, 및 수의사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널리 사용된다. 수술 과정에서 의사는 전기 외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커팅 절차, 혈관을 응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전기 외과용 기구는 전력 설정, 온도 제어, 전극 구성 및 RF(Radiowave-Frequency) 에너지 설정 등 수술 절차에 대한 다양한 동작 파라미터의 설정을 제공한다.
종래 RF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에서, 탐침부에서의 전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테프론 등의 절연 물질이 코팅되는데, 절연 물질로 인하여 탐침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특히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세로 방향으로 외과용 기구를 사용하는 안과용 수술의 경우 두꺼운, 탐침부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탐침부의 두께는 120㎛로 두껍게 형성되어 결막의 두께에 비해 상당히 두꺼워 결막을 찌르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되고, 저항으로 인해 혈관 등이 원치 않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프론(Teflon) 등의 절연 물질이 결막 하 내부 조직에 잔존하여 염증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탐침부의 소정 구간이 지지부의 외부에 전면 노출되어 절연 물질이 요구되지 않고, 두께가 감소하여 안과용 수술 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과용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경로가 제공되는 지지부; 및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구간부와, 상기 제1구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전면이 상기 지지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구간부, 를 포함하는 탐침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만족하는 상기 탐침부의 상기 제2구간부의 최대 길이에 대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이 0.01 이상 0.01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상기 제2구간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은 0.0116 이상 0.03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직경에 대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이 0.03 이상 0.07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은 30㎛ 이상 7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상기 제1구간부는, 상기 지지부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지지부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와 결합되는 핸드피스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핸드피스본체에서 이격될수록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본체의 길이 방향 축과 상기 홀더부의 길이 방향 축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홀더본체; 상기 삽입부가 형성되는 상기 홀더본체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상기 홀더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홀더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본체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관통 결합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접촉가능하고, 상기 삽입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홀더본체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홀더본체 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탐침부의 제2구간부의 전면(全面)이 지지부의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별도의 절연부가 요구되지 않고, 안과용 수술 시 절연부의 두께로 인해 사용자의 시야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탐침부에서 제2구간부의 길이에 대한 직경의 비율이 0.116 이상 0.0175 이하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탐침부의 강성이 확보되고, 탐침부의 두께를 감소시켜 안과용 수술 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직경에 대한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이 0.03 이상 0.07 이하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안과용 수술 시 탐침부가 지지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로 인하여 지지부에 결합되는 탐침부의 사용 완료 시 지지부 및 지지부에 결합되는 탐침부를 홀더본체에서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탐침부가 분리된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탐침부가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탐침부가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탐침부가 분리된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탐침부가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1)는, 지지부(10), 탐침부(20), 홀더부(40), 핸드피스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전기적 경로가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뒤에 설명할 핸드피스본체(50)는 전선(C) 등과 연결되어 전기적 경로를 제공하고, 지지부(10)가 핸드피스본체(50)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는 RF(Radio Frequency) 등의 전기적 신호를 탐침부(20)로 전달하고, 탐침부(20)에서 결막 등 대상체에 접촉하여, 결막염 등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뒤에 설명할 홀더부(40), 구체적으로 홀더본체(41)에 형성되는 삽입부(42)에 삽입된다. 홀더본체(41)에는 지지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가 중공인 삽입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안과용 수술 장치(1)에 요구되는 기능 및 형상에 따라 지지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결막 등 수술 부위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탐침부(20)가 전 구간에 걸쳐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소정 구간에 따라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탐침부(20)는 제1구간부(21), 제2구간부(25)를 포함한다. 제1구간부(21)는 지지부(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1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다. 제1구간부(21)는 탐침부(20)에서 지지부(10)와 결합하는 측에 배치되어 지지부(10)의 외측에 노출되지 않는다. 탐침부(20)의 제1구간부(21)는 지지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간부(21)와 제2구간부(25), 지지부(10)는 모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전기적 경로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RF 등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고, 탐침부(20)가 결막 등 치료 대상 부위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손상 부위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간부(25)는 제1구간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전면(全面)이 지지부(10)의 외부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25)는 뒤에 설명할 핸드피스본체(5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지지부(10)의 외측으로 돌출 결합되며, 제2구간부(25)는 전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면, 일체로 형성된 탐침부(20)에서, 지지부(10) 내에 삽입된 부분을 제1구간부(21)로 정의하고, 지지부(10)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제2구간부(25)로 정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구간부(25)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일물이므로, 제2구간부(25)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은 제2구간부(25)의 외주면을 따라 별도의 절연부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구간부(25)의 외주면을 따라 별도의 절연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절연부만큼의 두께가 증가되지 않으며, 탐침부(2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25)의 두께가 증가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수술 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구간부(21)와 연결되는 제2구간부(25)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소정 각도가 형성되며, 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빗변이 형성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빗변과 형성되는 제2구간부(25)의 길이 방향 축과 이루는 각도는 1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구간부(25)의 제1구간부(21) 측에 대향되는 단부의 각도가 30 내지 45도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소정 구간에서의 단면적이 감소되고, 결막 등 대상에 대한 침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결막 등 대상에 대한 침투면적이 감소됨으로 인하여 탐침부(20)로 인한 대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탐침부(20)의 직경(w1)과, 제2구간부(25)의 길이(d2)와의 관계를 도시한 표이다.
2mm 3mm 4mm 5mm 6mm 7mm
30㎛ 2.5 2.5 1.25 1.25 1 1
45㎛ 2.75 2.75 1.25 1.5 1.25 1.25
50㎛ 3 3 2.5 2.25 2 1.25
70㎛ 3 3 3 2.75 2.5 2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 항목은 탐침부(20)의 직경(w1)을 나타내고, 가로 항목은 탐침부(20)의 제2구간부(25)의 길이를 나타내며, 탐침부(20)의 직경(w1)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시술 안정성을 측정하였을 때, 각 직경에 대한 시술 안정성을 수치화한 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시술 안정성은 탐침부(20)의 직경(w1)과 제2구간부(25)의 길이(d2)의 비율에 따라 변형되는 정도, 탐침부(20)의 직경(w1)에 따라 결막 등 대상체에 가해지는 손상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값으로, 통상적으로 2.5점 이상의 경우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20)의 직경(w1)은 70㎛로 형성될 수 있고,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로 형성되는 경우, 제2구간부(25)의 길이(d2)가 6mm 이하인 경우에, 시술 안정성은 소정의 기준을 충족시킨다.
표 1을 참고하면, 탐침부(20)의 직경(w1)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시술 안정성을 측정하였을 때, 각 직경에 대해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제2구간부(25)의 길이(d2)는, 직경(w1)이 50㎛일 때 제2구간부(25)의 길이(d2)는 4mm 이하, 직경(w1)이 45㎛일 때 제2구간부(25)의 길이(d2)는 3mm 이하, 직경(w1)이 30㎛일 때 제2구간부(25)의 길이(d2)는 3mm 이하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탐침부(20)의 제2구간부(25)의 최대 길이(d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은,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일 때 0.0116, 탐침부(20)의 직경(w1)이 50㎛일 때 0.0125, 탐침부(20)의 직경(w1)이 45㎛일 때 0.015, 탐침부(20)의 직경(w1)이 30㎛일 때 0.01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만족하는 탐침부(20)의 제2구간부(25)의 최대 길이(d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이 0.01 이상 0.015 이하인 경우 탐침부(20)는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표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구간부(25)의 길이(d2)가 2mm 미만으로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정 직경(w2)을 가지는 지지부(10)에 의해 사용자의 수술 시야가 가려질 우려가 있으므로,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일 때 제2구간부(25)의 길이(d2)는 2mm 이상 6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일 때, 탐침부(20)의 제2구간부(25)의 길이(d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은 0.0116 이상 0.03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 탐침부(20)의 직경(w1)이 120㎛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탐침부(20)의 직경(w1)이 감소되어, 수술 시 의사 등 사용자(5)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안과용 수술 등 타 외과 수술과 달리 비교적 좁은 부위에서 행해지는 수술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잇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의 직경(w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이 0.03 이상 0.07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의 직경(w2)이 1mm로 형성되는 경우, 탐침부(20)의 직경(w1)은 30㎛ 이상 70㎛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0)의 직경(w2)이 1mm일 때, 종래 지지부(10)의 직경(w2)이 1.8mm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0.8mm의 직경이 감소되고, 지지부(10)의 직경(w2) (또는 두께)이 감소되어, 수술 시 의사 등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안과용 수술 등 타 외과 수술과 달리 비교적 좁은 부위에서 행해지는 수술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2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탐침부(20)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5)는 손상 부위에 정확하게 탐침부(20)를 접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탐침부(20)의 제1구간부(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와 동심을 이루며, 지지부(10)에 관통 삽입된다. 탐침부(20), 구체적으로 제1구간부(21)와 지지부(10)는 모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전선(C) 등 핸드피스본체(5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구간부(21)와 제2구간부(25)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40)에는 지지부(10)가 삽입된다. 홀더부(40)는 뒤에 설명할 핸드피스본체(50)에 결합된다. 홀더부(40)는 핸드피스본체(50)에서 이격될수록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핸드피스본체(50)에 결합되는 홀더부(40)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는 홀더부(40)의 직경이 감소됨으로 인하여, 탐침부(2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25) 측의 시야가 확보되며, 사용자가 제2구간부(25)를 결막 등에 접촉 시에 탐침부(20)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홀더부(40)의 길이 방향 축(X1)과 직교되는 축을 기준으로,홀더부(40)의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홀더부(40)의 길이 방향 축(X1)과 직교되는 축을 기준으로, 홀더부(40)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핸드피스본체(50)와 홀더부(40)는 펜슬(Pencil)과 같이 동심을 이루며,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며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40)는 양측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일측의 개구부를 통해 핸드피스본체(50)와 결합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측의 개구부인 삽입부(42)에는 지지부(10)가 삽입되며, 지지부(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탐침부(20)의 제2구간부(25)가 돌출될 수 있다.
홀더부(40)에는 지지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2)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0)가 삽입되고, 도 1을 참조하면, 삽입부(42)의 내주면은 지지부(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부(42)의 내주면은 지지부(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삽입부(42)의 길이 방향 축(X1)을 따라 동심을 이루며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본체(50)의 길이 방향 축(X2)과 홀더부(40)의 길이 방향 축(X1)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더부(40)의 길이 방향 축(X1)은 홀더부(40)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의 길이 방향 축(X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홀더부(40)의 일단부는 홀더부(40)와 마주보는 핸드피스본체(50)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핸드피스본체(50)의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가장 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40)는 핸드피스본체(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40)가 핸드피스본체(50)의 일단부에서 회동 가능함으로 인하여 핸드피스본체(50)의 길이 방향 축(X2)과 홀더부(40), 구체적으로 홀더본체(41)의 길이 방향 축(X1)이 이루는 각도(θ)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40)는, 홀더본체(41), 버튼부(43), 탄성지지부(45)를 포함한다. 홀더본체(41)는, 지지부(10)가 삽입되는 것으로, 지지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0)는 홀더본체(4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서 삽입되고, 사용이 완료되면, 삽입부(42)를 통해 다시 홀더본체(41)의 외부로 탈거되어 새로운 지지부(10)로 교체가 가능하다.
홀더본체(41)는 핸드피스본체(50)에서 이격될수록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홀더본체(41)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핸드피스본체(50)로부터 이격될수록 홀더본체(41)의 직경이 감소되며, 본 발명에서는 홀더본체(41)의 구간별 직경 변화가 선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비선형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본체(41)의 직경이 비선형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수술 부위에 근접할수록 홀더본체(41)의 직경의 감소 폭이 핸드피스본체(50) 측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핸드피스본체(5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를 수술 대상 부위에 접촉 시, 홀더본체(41)의 외주면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43)는, 삽입부(42)가 형성되는 홀더본체(41)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버튼부(43)는 홀더본체(41)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43)에는 뒤에 설명할 탄성지지부(45)가 결합되어, 삽입부(42)를 통해 홀더본체(41)에 지지부(10)가 삽입 시 지지부(10)가 탄성지지부(45)를 가압함에 따라서 버튼부(43)가 후방(도 4 기준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4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43)는 외주면을 따라 단차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홀더본체(41)에 삽입부(42)를 통해 삽입되는 지지부(10)가 탄성지지부(45) 및 탄성지지부(45)와 결합되는 버튼부(43)를 가압하여도, 버튼부(43)가 홀더본체(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45)는 버튼부(43)와 홀더본체(41)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탄성지지부(45)의 일단부는 버튼부(43)에 결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45)는 코일(Coil)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과용 수술 장치(1)는, 지지부(10), 탐침부(20), 홀더부(40), 핸드피스본체(50)를 포함한다. 지지부(10)에는 전기적 경로가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핸드피스본체(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C)을 통해 지지부(10) 및 지지부(10)와 결합되는 탐침부(2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고, 고주파가 전선(C) 등의 전기적 경로를 통해 핸드피스본체(50), 지지부(10) 및 지지부(10)와 결합되는 탐침부(20)로 전달된다. 탐침부(20)로 전달되는 고주파는 안과용 수술 등에서 대상체의 결막 등 손상 부위에 전달된다.
탐침부(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제1구간부(21)는 지지부(10)에 결합, 구체적으로 지지부(10)에 삽입되고, 제2구간부(25)는 제1구간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며, 모든 면이 지지부(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구간부(21)와 제2구간부(25)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일체로서 연결되며, 탐침부(20)의 소정 구간에 해당되는 제1구간부(21)가 지지부(10)에 관통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지지부(10)의 외주면에 탐침부(20)가 직접 바로 결합되는 것에 비해 탐침부(20)의 형상 변형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직선 형상의 탐침부(2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형상 변형에 대한 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탐침부(2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25)의 전면이 지지부(10)의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테프론 등 별도의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부가 제2구간부(25)의 외주면을 둘러쌀 필요가 없고, 별도의 절연부가 요구되지 않아 절연부가 탐침부(20)에 결합되는 것에 비하여 직경이 감소되고, 수술 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20)의 제2구간부(25)의 길이(d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은 0.0116 이상 0.03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비율이 0.0116 미만, 즉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로 형성 시 제2구간부(25)의 길이(d2)가 6mm를 초과하는 것에 비하여 제2구간부(25)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2구간부(25)의 길이(d2)가 길어짐에 따라 제2구간부(25)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구간부(25)의 길이(d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이 0.035 초과, 즉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로 형성 시 제2구간부(25)의 길이(d2)가 2mm 미만인 것에 비하여 제2구간부(25)가 지지부(10) 등에 의해 시야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결막 등 수술 부위에 탐침부(2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25)의 일단부를 접촉시킬 때 제2구간부(25)와 결합되는 지지부(10)와 결막 등 치료 부위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0)와 탐침부(20)는 동심을 이루며 결합되고, 구체적으로 탐침부(20)의 소정 구간에 해당되는 제1구간부(21)는 지지부(10)와 결합되며, 지지부(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구간부(25)는 제1구간부(21)와 연결되어 지지부(10)의 외측에 배치된다.
특히, 제2구간부(25)의 모든 면이 지지부(10)의 외측에 노출되고, 별도의 절연부가 요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절연부의 두께만큼 탐침부(20)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과용 수술 시 절연부로 인하여 탐침부(2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25)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의 직경(w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이 0.03 이상 0.07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10)의 직경(w2)이 1mm인 경우, 탐침부(20)의 직경(w1)이 30㎛ 이상 7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의 직경(w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이 0.03 이상 0.07 이하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비율이 0.03 미만, 즉 지지부(10)의 직경(w2)이 30㎛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다른 외과용 수술에 비해 국소 부위에서 수술이 행해지는 안과용 수술에서 지지부(10)의 직경(w2)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0)의 직경(w2)에 대한 탐침부(20)의 직경(w1)의 비율이 0.07 초과, 즉 탐침부(20)의 직경(w1)이 70㎛ 초과하는 것에 비하여, 제1구간부(21)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지지부(10)의 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40)는, 홀더본체(41), 버튼부(43), 탄성지지부(45)를 포함한다. 홀더본체(41)는 핸드피스본체(5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홀더본체(41)와 핸드피스본체(50)는 길이 방향 축을 공유하며, 펜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핸드피스본체(50)의 길이 방향 축과 홀더부(40)의 길이 방향 축이 소정 각도(θ)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더본체(41)에 형성되는 삽입부(42)를 통하여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가 함께 결합된다. 지지부(10)가 홀더본체(41)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탐침부(20)가 결합되는 지지부(1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홀더본체(41)의 내측에서 지지부(1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탄성지지부(45)와 접촉된다.
지지부(10)가 홀더본체(41)의 내측에서 소정 위치까지 이동됨에 따라 지지부(10)가 탄성지지부(45)를 가압하고, 탄성지지부(45)는 압축된다. 탄성지지부(45)는 지지부(1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발생되고, 지지부(10)와 접촉되는 탄성지지부(45)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버튼부(43)를 가압한다.
버튼부(43)는 삽입부(42)가 형성되는 홀더본체(41)의 일측(도 4 기준 우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4 기준 좌측)에 배치되며, 탄성지지부(45)가 버튼부(43)를 가압함에 따라 좌측(도 4 기준)으로 이동된다.
안과용 수술이 완료되면, 사용자(5)는 버튼부(43)가 홀더본체(41)에서 돌출되는 방향(도 5 기준 좌측)에 대향되는 방향(도 5 기준 우측)으로 버튼부(43)를 가압하고, 버튼부(43)는 다시 탄성지지부(45)를 가압하며, 가압되는 탄성지지부(45)는 버튼부(4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5 기준 우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홀더본체(41) 내부에 삽입된 지지부(10)를 홀더본체(41)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5)는 버튼부(43)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사용이 완료된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를 홀더부(40), 구체적으로 홀더본체(41)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새로운 지지부(10) 및 탐침부(20)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43)는 지지부(10)의 삽입 또는 탈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홀더본체(41)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탐침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1구간부, 제2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구간부는 지지부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제2구간부(35)는 제1구간부(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탐침부(3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35)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36)는 곡선 형상일 수 있으며, 종래 탐침부의 길이 방향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눈물길 치료 시 수술 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대상체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수술 부위와의 접촉 면적 감소로 인해 손상 부분의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탐침부(30), 구체적으로 제2구간부(35)의 형상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지지부(10), 홀더부(40), 핸드피스본체(50)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탐침부가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1)는, 지지부(10), 탐침부(20), 홀더부(60), 핸드피스본체(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60)는 홀더본체(61), 버튼부(63), 이동부(64), 탄성지지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홀더본체(61)는 지지부(10)가 삽입되도록 삽입부(62)가 형성된다. 삽입부(62)는 지지부(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에 대응되도록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63)는 홀더본체(61)에 관통 결합되는 것으로, 일 부분이 홀더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홀더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홀더본체(61)의 내측에 관통 결합된다.
버튼부(63)는 외주면을 따라 단턱부(도면부호 미설정)가 돌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버튼부(63)가 소정 부분 이상 홀더본체(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이동부(64)는 버튼부(63)와 접촉가능한 것으로, 삽입부(62)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동부(64)는 버튼부(63)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동부(64)는 버튼부(63)와 마주보는 일면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형성될 수 있고, 버튼부(63)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버튼부(63)와 이동부(64) 간 마찰로 인해 버튼부(6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65)는 홀더본체(61)와 이동부(64)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부(64)를 지지부(10) 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동부(64)는, 버튼부(63)와 마주보는 일면이 버튼부(63)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 즉 버튼부(63) 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부(10)가 홀더본체(61)의 삽입부(62)를 통해 홀더본체(6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홀더본체(61)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0)와 이동부(64)가 접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5)는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의 사용이 완료되면, 버튼부(63)를 이동부(64) 측(도 9 기준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동부(64)를 지지부(10) 측(도 9 기준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버튼부(63)가 이동부(64)를 가압함에 따라 탄성지지부(65)가 늘어나며, 이동부(64)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도 9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이동부(64)가 다시 원위치에 복귀됨으로 인하여 버튼부(63)는 홀더본체(61)의 외측(도 9 기준 상측)으로 이동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사용자(5)는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의 사용이 완료되면, 버튼부(63)를 가압하여 홀더본체(61)의 내측에서 제1방향(도 9 기준 상측에서 하측) 이동시키고, 버튼부(63)의 이동 방향(도 9 기준 상측에서 하측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지부(10) 및 탐침부(20)를 탈거한다.
이로 인하여 일회용의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탐침부(2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이 완료된 지지부(10), 탐침부(20)를 신속하게 홀더본체(61)에서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1)는, 홀더본체(61), 버튼부(63), 이동부(64), 탄성지지부(65)를 포함하는 홀더부(6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 장치(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과용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산업상 이용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전기적 경로가 제공되는 지지부; 및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구간부와,
    상기 제1구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전면(全面)이 상기 지지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구간부, 를 포함하는 탐침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수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술 안정성을 만족하는 상기 탐침부의 상기 제2구간부의 최대 길이에 대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이 0.01 이상 0.015 이하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상기 제2구간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은 0.0116 이상 0.035 이하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직경에 대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의 비율이 0.03 이상 0.07 이하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직경은 30㎛ 이상 70㎛ 이하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상기 제1구간부는, 상기 지지부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지지부에 관통 삽입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와 결합되는 핸드피스본체;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핸드피스본체에서 이격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본체의 길이 방향 축과 상기 홀더부의 길이 방향 축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홀더본체;
    상기 삽입부가 형성되는 상기 홀더본체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상기 홀더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홀더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본체의 내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안과용 수술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관통 결합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접촉가능하고, 상기 삽입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홀더본체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홀더본체 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수술 장치.
PCT/KR2018/014801 2018-03-12 2018-11-28 안과용 수술 장치 WO20191772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64,707 US20200345547A1 (en) 2018-03-12 2018-11-28 Ophthalmic surgical apparatus
CN201880087902.XA CN111683630A (zh) 2018-03-12 2018-11-28 眼科用手术装置
JP2020534153A JP2021501665A (ja) 2018-03-12 2018-11-28 眼科用手術装置
EP18910109.0A EP3730105A4 (en) 2018-03-12 2018-11-28 OPHTHALMIC SURGICAL DEVICE
JP2023041107A JP2023088949A (ja) 2018-03-12 2023-03-15 眼科用手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45 2018-03-12
KR1020180028845A KR102006907B1 (ko) 2018-03-12 2018-03-12 안과용 수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227A1 true WO2019177227A1 (ko) 2019-09-19

Family

ID=6790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801 WO2019177227A1 (ko) 2018-03-12 2018-11-28 안과용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45547A1 (ko)
EP (1) EP3730105A4 (ko)
JP (2) JP2021501665A (ko)
KR (1) KR102006907B1 (ko)
CN (1) CN111683630A (ko)
WO (1) WO2019177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186B1 (ko) * 2021-06-30 2024-02-1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마이봄샘 기능장애 치료용 마이크로니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048A (ko) * 1996-11-07 1999-10-25 마가레트 에이. 샬크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JP2001517974A (ja) * 1996-09-06 2001-10-09 メントール コーポレーション 二極式電気的外科治療用デバイス
US20020126501A1 (en) * 1999-04-06 2002-09-12 Duke University Intensity controllable hand-held surgical light
KR20080092400A (ko) * 2006-01-03 2008-10-15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단백질성 조직의 해리 및 제거를 위한 시스템
KR101812480B1 (ko) * 2016-08-02 2018-01-30 이덕형 보비 나이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035A (en) * 1989-03-24 1991-01-15 Torre Randall J Removable handle for bladed surgical instruments
TW259716B (ko) * 1992-10-09 1995-10-11 Birtcher Med Syst
BR9506762A (pt) * 1994-02-09 1997-10-07 Keravision Inc Procedimento eletrocirúrgico para a recurvação da córnea
US5755716A (en) * 1996-08-30 1998-05-26 Garito; Jon C. Method for using an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treating glaucoma
AU2004249284A1 (en) * 2003-06-18 2004-12-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Electro-adhesive tissue manipulator
US20070027443A1 (en) * 2005-06-29 2007-02-01 Ondine International, Ltd. Hand piece for the delivery of light and system employing the hand piece
WO2009073619A2 (en) * 2007-11-30 2009-06-11 New England Association Of Gynecologic Laparoscopists, Llp Transcervical excision and removal of tissue
US8512335B2 (en) * 2010-05-20 2013-08-20 Curo Medical, Inc. High 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medical device with self-limiting 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US20170224413A1 (en) * 2014-08-07 2017-08-10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Surgical instrument electrodes and methods of use
CN106999238B (zh) * 2014-09-17 2020-06-16 威廉·J·辛南迪 排烟和排液式电外科手术探针
CN105167909A (zh) * 2015-10-20 2015-12-23 成都美创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低温等离子眼科手术刀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974A (ja) * 1996-09-06 2001-10-09 メントール コーポレーション 二極式電気的外科治療用デバイス
KR19990077048A (ko) * 1996-11-07 1999-10-25 마가레트 에이. 샬크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US20020126501A1 (en) * 1999-04-06 2002-09-12 Duke University Intensity controllable hand-held surgical light
KR20080092400A (ko) * 2006-01-03 2008-10-15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단백질성 조직의 해리 및 제거를 위한 시스템
KR101812480B1 (ko) * 2016-08-02 2018-01-30 이덕형 보비 나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5547A1 (en) 2020-11-05
JP2023088949A (ja) 2023-06-27
JP2021501665A (ja) 2021-01-21
EP3730105A4 (en) 2021-11-17
EP3730105A1 (en) 2020-10-28
KR102006907B1 (ko) 2019-10-01
CN111683630A (zh)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4134A1 (ko) 초음파 프로브에 부착되는 혈관 천자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혈관 천자 시스템
WO2020080730A1 (ko) 미용 의료 장치
US10751111B2 (en) Electro-surgical bipolar forceps
US3911241A (en) Switching device for electro-surgical instruments
WO2018182188A1 (ko) Rf치료기기, rf치료기기의 제어방법 및 rf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치료방법
WO2019177227A1 (ko) 안과용 수술 장치
WO2011093622A2 (en) Electrode needle and hemostat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746395B2 (en) Urological resectoscope comprising a contacting device
WO2020159057A1 (ko) 소프트 센서 내장형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101785A1 (ko) 혈관 직경에 따라 조작 가능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WO2022060076A2 (ko) 검체 채취 스틱
JPH10328203A (ja) 内視鏡用焼灼具
JP2004173768A (ja) マーキング装置
WO2021141281A1 (ko) 약물주입장치
WO2022060074A1 (ko) 검체 채취 스틱
WO2022060072A1 (ko) 검체 채취 스틱
CN211066999U (zh) 一种超声微介入等离子针刀
WO2022164253A1 (ko) 이중맹검용 침 세트
WO2021095889A1 (ko) Rf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기기용 피부 패치, 이를 이용하는 rf에너지를 이용한 치료기기, 그 제어방법 및 rf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치료방법
WO2022060075A2 (ko) 검체 채취 스틱
WO2022145840A1 (ko) 전기수술 핸드피이스용 전도성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215425045U (zh) 高频电刀
WO2022060070A1 (ko) 검체 채취 스틱
WO2022065631A1 (ko) 전기수술 핸드피이스용 전도성 전극
WO2023191124A1 (ko) 의료영상장비를 이용한 실시간 생검용 생검침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10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3415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910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72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