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048A -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048A
KR19990077048A KR1019980705181A KR19980705181A KR19990077048A KR 19990077048 A KR19990077048 A KR 19990077048A KR 1019980705181 A KR1019980705181 A KR 1019980705181A KR 19980705181 A KR19980705181 A KR 19980705181A KR 19990077048 A KR19990077048 A KR 19990077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electrode tip
electrode
patient
annula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티. 소렌센
마이클 미텔스테인
소헤일라 머하스헤미
Original Assignee
마가레트 에이. 샬크
옵텍스 옵샐몰로직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가레트 에이. 샬크, 옵텍스 옵샐몰로직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가레트 에이. 샬크
Publication of KR1999007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02Probes for ope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9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non-laser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non-coherent light or micro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유류 눈(E)의 전방 수정체 피막(LC)에 작은(3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mm) 개구를 생성시켜서 수정체 축소/제거 장치(들) 및/또는 유동성 수정체 대체 물질을 수정체 피막(LC)에 주입하기 위한 캐뉼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치는 장치 전방으로 연장된 전기수술 프로브(10)를 갖는 핸드피이스(18)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기수술 프로브(10)는 수정체 피막에 바람직하게는 3mm 미만의 개구를 생성시키기 위해 수정체 피막(LC)과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는 환형 전극 팁(16)을 채택하고 있다. 환형 전극 팁(16)은 설계에 따라서 단극성 또는 쌍극성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눈의 수정체 피막에 비교적 작은(예를 들어, 1-2mm) 개구를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기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백내장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력 손상 및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 수술은, 현재로서는, 백내장에 의해 시력이 손상되었거나 실명된 환자에게 시력을 회복시키는 유일한 방법이다.
통상의 백내장 제거 수술은 눈의 수정체 피막의 전면에 형성된 7-10mm 절개부를 통해 제거하려는 손상되지 않은 백내장에 걸린 수정체를 필요로 한다. 손상되지 않은 백내장에 걸린 수정체가 7-10mm 절개부를 통해 제거된 후, 보철 수정체(예를 들어, 생물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중합체로 형성된 투명한 수정체)가 상기 7-10mm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고, 사전에 제거된 백내장에 걸린 수정체용의 대체물로서 작용하는 수정체 피막내에 이식된다. 이러한 종래의 백내장 제거 방법은 시력을 회복하는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수정체 피막에 생성된 커다란 7-10mm 절개부로 인해 수술후 합병증을 종종 유발시킨다.
가장 최근에, 수정체 유화(phacoemulsification)로 공지된 또 다른 외과적인 방법이 백내장에 걸린 수정체를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들 수정체 유화 방법에서, 초음파 진동 프로브가 그 안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수정체 피막내로 삽입된다. 그런 후, 초음파 진동 유화 프로브가 백내장에 걸린 수정체를 완전하게 유화시키기 위해 조작된다. 그런 후, 유화된 수정체 물질은 수정체 피막으로부터 아스피레이션된다. 그런 후, 원하는 보철 수정체 대체물이 수정체 피막내로 삽입된다. 수정체 유화 프로브의 직경은 비교적 작지만, 프로브가 완전한 유화 및 수정체 물질의 제거를 달성하는데 충분히 조작되도록 직경이 2.5-6.0mm인 캡슐 절개부를 이용하는 것이 여전히 전형적으로 필요하다. 더욱이, 사전 형성된 보철 수정체 이식물을 수정체 피막에 후속적으로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수정체 유화 프로브가 보통 7-10mm 크기로 삽입된 캡슐 절개부를 보다 크게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전방 수정체 피막에서 비교적 큰 절개부를 형성하여 보철 수정체 대체물을 수정체 피막으로 통과시키는 요건은 수정체 제거/대체 기술에서의 특정한 개발로 인해 머지않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기술분야에 공지되고/거나 현재 개발중인 특정의 주입 가능한 수정체 대체 물질은 니들 또는 관형 캐뉼라를 통해 수정체 피막의 내부로 통과될 수 있다. 이들 주입 가능한 수정체 대체 물질이 비교적 작은 개구를 통해 수정체 피막으로 통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주입 가능한 수정체 대체 물질의 도래는 수정체 피막에서의 커다란 절개부의 형성을 위한 어떠한 요건도 제거하여 수정체 피막으로 삽입시키려는 보철 수정체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출원 제 08/421,421호, 08/658,846호 뿐만 아니라 출원인이 소렌센(Sorensen)인 미국특허 제 5,437,678호에 기술된 장치와 같은, 특정의 회전 가능한 수정체 제거 장치가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통해 수정체 피막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수정체 축소 및 제거 동안에 실질적으로 정지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하게 되면 어떠한 큰(예를 들어, 3mm 이상) 캡슐 절개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어떠한 요건도 피할 수 있다.
현대의 주입 가능한 수정체 대체 물질, 및 수정체 피막내 비교적 작은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조작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수정체 제거 장치의 개발의 관점에서, 전방 수정체 피막의 나머지 부분이 손상되지 않고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전방 수정체 피막내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통해서 전체 백내장 제거 및 보철 수정체 대체를 수행하는 것은 현재 가능하다. 그러나, 전방 수정체 피막내의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생성시키는 방법은 수정체 피막 물질이 찢어지거나 구멍을 뚫을 때 움직이는 경향으로 인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의 전방 수정체 피막에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만들 수 있는 신규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포유류 눈의 전방 수정체 피막에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형성시키기 위한 전기수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세로축이 돌출할 수 있는 길다란 프로브, 및 b) 상기 길다란 프로브의 원위 말단에 위치한 환형 전극 팁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전기수술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환형 전극 팁은 프로브의 세로축과 평행하지 않은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수정체 피막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프로브는 환형 전극 팁의 수정체 피막 표면이 수정체 피막과 접촉되도록 눈으로 삽입 가능하며, 이로써 환형 전극 팁을 통한 전류의 통과는 수정체 피막에 개구를 생성시킬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요약된 프로브 장치는 단극성 또는 쌍극성 유형일 수 있다. 장치가 단극성 유형인 경우에, 제 2 전극(예를 들어, 판 전극)은 전기 회로를 완성시키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장치의 전극 팁과 제 2 전극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기에 충분히 근접하도록 정위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가 쌍극성 유형인 경우에, 제 2 전극은 프로브의 몸통부상에 형성되거나 고정될 것이며, 어떠한 외부 부착된 제 2 전극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유류 눈의 전방 수정체 피막에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형성하는 전기수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시스템은 사람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크기화되고 형성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는 핸드피이스; 상기 핸드피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신호 발생 장치; 전기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핸드피이스로의 전류 흐름 개시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핸드피이스의 원위 말단을 상기 프로브 장치의 근위 말단에 연결시키고 상기 전류 흐름을 핸드피이스로부터 프로브의 환형 전극 팁으로 통과시키는 커넥터 장치와 조합하여, 상기된 특성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눈의 수정체 피막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a)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이들의 원위 말단상에 형성된 전극 팁을 갖는 길다란 프로브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b) 전극 팁이 눈의 수정체 피막과 접촉되도록 프로브를 눈으로 삽입시키는 단계; c) 프로브를 통해 전극 팁으로 전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는 전극 팁이 수정체 피막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정체 피막에 개구를 형성시킬 정도로 충분히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읽어서 이해할 경우에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수술에 의해 사람 눈으로 삽입되는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2는 a) 전기 신호 발생 장치, b) 핸드피이스, 및 c) 핸드피이스의 원위 말단상에 고정된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이스의 원위 말단상에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부분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의 단극성 구체예의 후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극성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5는 노치가 제거되어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환형 전극 팁을 형성시키는 하이포튜빙(hypotubing)의 부분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하이포튜빙의 노치화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환형 전극 팁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3-4에 도시된 단극성 구체예의 부분 절단된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의 제 1 쌍극성 구체예의 부분 절단된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8-8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의 제 2 (대안적인) 쌍극성 구체예를 도시하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라인 10-10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1a-11c는 본 발명의 장치 및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전기파형 및 동력 수준의 변화를 도시하는 동력 대 시간의 그래프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하고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어떠한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눈의 전방 수정체 피막(LC)에 작은 개구(예를 들어, 3mm 미만)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는 멀게 연장된 길다란 프로브 부재(14), 및 길다란 프로브 부분(14)의 원위 말단상에 고정된 환형 전극 팁(16)을 갖는 근위 부착/접촉 허브(12)를 포함한다. 환형 전극 팁(16)은 길다란 프로브 부분(14)의 세로축(LA)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가 눈(E)의 전방 수정체 피막(LC)에 작은(예를 들어, 3mm 미만) 개구를 형성시키기 위해 눈(E)내로 삽입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수정체 피막(LC)이 전방(AC) 및 각막(C) 뒤, 눈(E)의 안쪽에 부유하고 있음을 도 1을 통해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정체 피막(LC)은 눈(E)의 홍채(I) 후방에 위치한 현수 인대(SL)를 포함하여, 눈의 다양한 앵커링 구조에 의해 보통의 해부학적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수술시에, 작은 절개부가 각막(C)에 형성되고, 장치(10)의 길다란 프로브 부분(14)이 작은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고, 환형 전극 팁(16)이 눈 캡슐(LC)은 전면과 접촉될 때까지 눈(E)의 전방(AC)을 통해 전진된다. 이후, 전류는 팁(14)이 수정체 피막(LC)을 관통시키도록 하기 위해 환형 전극 팁(16)을 통해 통과되어, 환형 전극 팁(16)과 거의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인 환형 개구를 형성시킨다.
환형 전극 팁(16)이 수정체 피막(LC)을 전기수술을 통해 관통시키는 경우, 열은 전극 팁(16)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둘러싸는 수정체 피막(LC) 중의 일부를 용융시켜서 상기 개구의 에지를 강화시킬 것이다. 개구 둘레의 그러한 강화는 백내장 제거 및/또는 수정체 대체 기구가 개구를 통해 통과될 때 후속적인 찢어짐, 원하지 않는 개구의 확장 또는 넓어짐을 방지할 것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는 안과학적인 수술시에 전형적으로 사용된 유형의 전기소작 시스템에의 부착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기소작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핸드피이스(18), 전기 신호 발생기(20) 및 풋 페달(22)과 같은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한다.
도 2-2a에 도시된 유형의 입수 가능한 전기소작 시스템 중의 한 예는 11557 뉴욕 휼레트 레일로우드 애브뉴 1135에 소재하는 엘만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Ellman International, Inc.)가 시판하는 써지트론(등록상품명: Surgitron) 모델명 FFPF이다.
도 2-2a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커넥터 어셈블리(24)는 핸드피이스(18)의 원위 말단상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에 전기 접촉부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커넥터 어셈블리(24)는 일반적으로 내부가 나사산 모양이고 회전 가능한 루어록(Luer-lock) 슬리이브(24)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형의 원위 연장 접촉 포스트(26)를 포함한다. 접촉 포스트는 프로브 장치(10)의 근위 말단상에 형성된 수용 접촉 보어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런 후, 루어록 슬리이브는 핸드피이스(18)의 접촉 포스트(26)가 프로브 장치(10)와의 단단한 전기 접촉이 유지되도록 핸드피이스(18)에 프로브 장치(10)를 확장시켜서 맞물려지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기술된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가 이하에서 보다 완전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단극성 또는 쌍극성 구체예 형태로 명확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i. 단극성 구체예
도 3-6에는 도 2-2a에 도시된 유형의 전기소작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단극성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a)가 도시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전극 팁(16a)이 프로브 장치(10a)의 몸통부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전극이 되도록 단극성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a)가 구성되어 있다. 판 전극(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제 2 전극은 전기 회로 또는 용량성 커플링이 환형 전극 팁(16a)과 외부에 위치한 제 2 전극(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극성 프로브 장치(10a)의 허브(12a)는 그 주변에 형성된 루어록 플랜지(32)를 갖는 전기 전도성이면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허브(30)를 포함한다.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그 밖의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절연성 덮개(34)는 원통형 허브(30)의 외부 표면 주위에 형성될 수는 있지만, 핸드피이스 커넥터 어셈블리(24)의 회전 가능한 슬리이브(28)의 내부 나사산에의 루어록 플랜지(32)의 맞물림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단극성 프로브 장치(10a)의 원위 연장 프로브 부분(1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 원뿔형 근위 허브(30)와 연속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먼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강성 베이스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이포튜브(38) 부재(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관(36)의 원위 부분으로 삽입되고, 이로부터 축으로 연장된다.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이포튜브 부재(38)의 원위 부분으로 삽입되며, 이로부터 먼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형 전극 팁(16a)은 이러한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원위 말단상에 형성된다.
환형 전극 팁이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원위 말단상에 형성될 수 있는 특정의 수단이 도 5 및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5a를 참조하면,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는 부분 절단된 노치(42)를 갖는다. 상기 노치(42)는 이의 원위 에지가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세로축(LA)에 대하여 수직이 되고, 이의 근위 에지가 상기 세로축(LA)에 대하여 만곡되거나 예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원위 말단에서 실질적으로 원통형 링을 형성시키는데, 상기 링은 노치(42) 근처에 위치한 제 2 하이포튜브(40)의 근위 부분에 제 2 하이포튜브(40)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원위 말단에서 형성된 원통형 링의 원위 표면(DS)은 세로축(LA)에 수직인 평면에 초기에 배치된다. 그러나, 나머지 부분(44)은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원위 말단에서 링 부재의 원위 표면의 평면(P)이 세로축(LA)에 대하여 내각(A)을 형성하도록 세로축(LA)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전기 전도성 와이어(54)는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내부에 납땜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부착된다.
어셈블리시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제 2 하이포튜브 부재의 근위 부분은 제 1 하이포튜브 부재(38)의 보어의 원위 부분으로 삽입되고, 이에 부착된다. 유사하게, 제 1 하이포튜브 부재(38)는 절두 원뿔형 근위 허브(30)에 부착된 베이스 관(36)에 부착된다. 하이포튜브 부재(38), 베이스 관(36) 및 절두 원뿔형 근위 허브(30)의 이와 같은 직접 부착은 이들 사이에서의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접촉 및 전도를 제공하는데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요소들 사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접촉 및 전도가 서로에 대한 직접 부착에 의해 달성되지 않을 경우, 추가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54)가 어떠한 또는 모든 하이포튜브 부재(38), 베이스 관(36) 및/또는 근위 허브(30)에 임의로 납땜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전기 전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프로브 장치(10a)의 환형 전극 팁(16a)의 원위 표면(DS)의 각(A)은 눈(E) 내부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a)의 의도된 위치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a)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경우에, 환형 전극 팁(16a)의 원위 표면(DS)가 90°이상, 전형적으로는 90°-150°의 내각(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제 1 절연성 외장(50)은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의 근위 부분 및 제 1 하이포튜브 부재(38)의 원위 부분 주위에서 열 수축되거나 고정된다. 이러한 절연성 외장(50)은 제 1하이포튜브 부재(38)와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를 하나로 안전하게 접합시키는 것을 도우며, 또한, 절연성 외부 덮개를 제공한다. 그런 후, 제 2 절연성 외장(52)은 제 1 절연성 외장(50)의 근위 부분 및 베이스 관(36) 주위에 형성된다.
단극성 전기수술 프로브(10a)는 접촉 포스트(26)의 외부 표면이 절두 원뿔형 허브(30a)의 내부 표면과 직접 근접 접촉되도록 커낵터 어셈블리(24)의 접촉 포스트(26)를 근위 허브(30a)내로 삽입시킴으로써 도 2-2a에 도시된 전기소작 시스템의 커넥터 어셈블리(24)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회전 가능한 슬리이브(24)는 회전 가능한 슬리이브(34)의 내부 나사산이 근위 허브(30)의 루어록 플랜지(32a)와 맞물려지도록 회전하면서 전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신호 발생기(20)로부터의 전류는 핸드피이스(18)를 통해 프로브 장치(10a)의 접촉 포스트(26)로부터 허브(30a)로 통과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전류는 제 1(38) 및 제 2(40) 하이포튜브 부재의 전기 전도성 벽 및/또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54)를 통해 허브(30)로부터 통과할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전류는 환형 전극 팁(16a)로부터, 전기 회로를 완성시키거나 필요한 용량성 커플링을 수립하기 위해서 환자 신체에 부착되거나 근접해진 제 2 전극(도시되지 않음)으로 통과할 것이다.
ii. 쌍극성 구체예
도 7-8에는 본 발명의 쌍극성 전기수술 프로브(10b)의 제 1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반면에 도 9-10에는 상기된 및 도 3-6에 도시된 단극성 구체예(10a)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 (많은 공통적인 구조적 속성을 공유하는) 대안적인 쌍극성 전기수술 프로브(10c)가 도시되어 있다.
도 7-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쌍극성 프로브 장치(10b)는 내부 관형 전극 부재(60), 외부 관형 전극 부재(62)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절연성 관형 외장(64)으로 형성된 길다란 프로브 부분(14b)을 포함한다. 내부 관형 전극 부재(60), 외부 관형 전극 부재(62) 및 절연성 관형 외장(64)은 공통 세로축(LA)에 대하여 동축에 배치된다. 내부 관형 전극(60)의 원위 말단은 환형 전극 팁(16b)을 형성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이러한 환형 전극 팁(16b)은 이의 원위 표면이 세로축(LA)에 대하여 수직(즉, 90°각도)dl 되도록 내부 관형 전극(60)의 원위 말단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내부 관형 전극(60), 외부 관형 전극(62) 및/또는 삽입된 외장(64)의 원위 말단이 세로축(LA)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절단되는 경우에 환형 전극 팁(16b)의 상이한 환형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유사하게, 내부 관형 전극(60), 절연 외장(64) 및 외부 전극 부재(62)의 각각의 원위 말단이 상기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연 외장(64) 뿐만 아니라 외부 전극 부재(62)의 원위 말단도 축상에서 공간형성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8에 도시된 이러한 제 1 쌍극성 프로브(10b)의 길다란 프로브 부분(15b)은 단극성 프로브 장치(10a)에 관하여 상기된 근위 허브(12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근위 허브(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원위로 연장되거나 이에 연결된다. 그러나, 쌍극성 구체예에서, 단지 내부 관형 전극(60)만이 근위 허브에 전기 접속되며, 외부 관형 전극(62)은 신호 발생 장치(20)에의 별도의 전기 연결에 의해 별도로 연결됨으로써, 본 구체예의 원하는 쌍극성 회로를 완성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관형 전극(62)의 원위 말단은 내부 관형 전극(60)의 원위 말단에 근접한 공간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관형 전극의 원위 말단 이상으로 튀어나온 관형 절연 외장(64)의 원위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방식으로 점점 좁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쌍극성 프로브 장치(10b)가 눈으로 삽입되며, 내부 관형 전극(60)의 원위 말단은 수정체 피막(LC)과 접촉 위치한다. 이후, 에너지가 공급되면, 전류는 (환형 전극 팁(16b)을 형성하는) 내부 관형 전극(60)의 원위 말단과 외부 관형 전극(62)의 인접 원위 부분 사이에서 흐를 것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제 1 쌍극성 구체예에서는, 별도의 외부 전극을 환자의 신체에 부착시키거나 근접시킬 필요가 없지만, 상기된 단극성 프로브 장치(10a)에서는 요구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상기된 단극성 프로브(10a)와 구조면에서 유사한 쌍극성 프로브 장치(10c)의 대안적인 또는 제 2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쌍극성 프로브(10c)의 제 2 구체예는 원위 방향으로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길다란 프로브 부분(14c)을 갖는 원위 허브(12c)를 포함한다. 환형 전극 팁(16c)은 프로브 부분(14c)의 원위 말단상에 형성된다. 원통형 허브(30c), 제 2 하이포튜브 부재(38c),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c), 나머지 부분(44c), 환형 전극(16c) 및 전기 전도성 와이어(54c)는 단극성 구체예에 관하여 상기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배치되고 조립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 2 쌍극성 구체예에서,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외부 전극관(70)은 절연성 시이트(50c)를 둘러싼다. 상기 외부 전극관(70)은 근위 허브(12c)의 절연성 케이싱(34c)을 통해 연장되는 전기 절연선(55)에 연결되고, 전기 신호 발생 장치(2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극 관(70)은 절연성 외장(50c)과 원위 방향으로 연속되어, 단지 제 2 하이포튜브 부재(40c)의 나머지 부분과 환형 전극 팁(16c)만이 외부 전극(70)의 원위 말단을 초과하여 원위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수술시에, 프로브 부분(14c)의 원위 부분이 전방(AC)을 통해서 연장되고, 환형 전극 팁(16c)의 원위 표면(DS)이 전방 수정체 피막에 접촉되도록 장치(10c)의 이러한 제 2 쌍극성 구체예가 눈 내로 삽입된다. 이후, 전류가 눈의 전방내 전기 전도성 유체 환경을 통해서 환형 전극 팁(16c)으로부터 외부 관형 전형(40)의 원위 부분으로 통과되도록 전기 신호 발생기(20)로부터의 전류는 상기된 프로브 장치(10c)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 부재(54c) (55) 및/또는 그 밖의 전기 전도성 부분을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상기된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이 어떠한 적합한 기하학적인 형태도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 중심(예를 들어, 링 또는 테)을 가질 수 있거나, 고체 중심(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환형 외부 에지를 갖는 디스크)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더욱이,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의 원위 표면과 같은 수정체 피막 접촉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면일 필요가 없으며, 다소 오목하거나 그 밖의 어떠한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특허출원에서 원위 전극 팁의 수정체 피막 접촉 표면이 위치한 "평면" 참조부호가 만들어진 경우, 상기 평면이 이들의 평균 변형의 오목한 또는 파형 표면을 통해 주입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또한,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의 수정체 피막 접촉 표면이 평평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체 평평한 에지가 참조된 평면내에 위치할 수 있다.
iii 장치를 작동시키는 바람직한 방법
본 발명의 어떠한 및 모든 상기된 구체예는 적어도 길다란 프로브 부분(14, 14a, 14b, 14c)가 각막(C)내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고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의 수정체 피막 접촉 원위 표면(DS)가 수정체 피막(LC)과 접촉될 때까지 전방(AC)을 통해 전진되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조작된다. 프로브 장치(10a)의 단극성 구체예가 사용되는 경우, 2차 전극이 프로브(10a)의 환형 전극 팁(16a)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서 전기 회로를 완성시키는데 적합한 위치에서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근접하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브 장치(10b, 10c)의 쌍극성 구체예 중의 하나가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제 2 전극을 제공하거나, 환자의 신체에 부착시키거나 근접시킬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후, 전기 신호 발생 장치(20)는 전류가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과 별도로 부착된 2차 전극(단극성 구체예) 또는 내장된 외부 전극 관(62, 70) 사이에서 흐르도록 하기 위해 가동된다. 어떠한 적합한 전기 파장 형태 또는 동력 수준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적용시에, 약 10와트(watts)의 평균 동력 수준을 제공하여 전방 수정체 캡슐에 바람직한 개구를 형성시키는 연속적인 펄스 또는 초펄스 파장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파장 형태가 펄스 또는 초펄스 형태가 되도록 의도되는 시스템의 구체예에서, 신호 발생 장치(20)는 도 11a, 11b 및 11c에 그래프로 도시된 바람직한 펄스 지속 시간, 펄스 트레인 지속시간, 펄스 다발 지속 시간 및/또는 효율 사이클을 세팅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를 참조하면, 공지된 펄스 지속 시간(PD)의, 단일 펄스에 의해 발생된 평균 동력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b는 개개의 펄스에 의해 발생된 평균 동력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개개의 펄스의 각각은 펄스 지속시간(PD)를 가지며, 전체 트레인의 펄스는 펄스 트레인 지속시간(PTD)를 갖는다.
도 11c는 각각의 개개의 펄스가 10밀리초의 펄스 지속 시간(PD)을 갖는 작은 개개의 펄스의 다발이 주어진 반복 기간(RP)에서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본 발명의 초펄스화된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신호 발생 장치(20)는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원하는 에너지 수준, 및/또는 고정된 온/오프 스위치의 각 개시에 반응하는 파형(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또한, 신호 발생 장치(20)는 풋 페달 또는 그 밖의 유형의 가감 저항 조절 장치에 의해 가감 저항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을 통해 전달된 에너지의 양 및 지속시간은 풋 페달 또는 그 밖의 가감 저항 조절 메카니즘의 전류 위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상기된 방식에서, 본 발명의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10)를 사용하게 되면 환형 전극 팁(16, 16a, 16b, 16c)의 외부 직경 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갖는 수정체 피막(LC)에 개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더욱이, 원하는 파형 및 동력 세팅이 사용되는 경우, 수정체 피막의 생성된 전기수술 개구는 상기 개구 주위에 열 용융 영역을 추가로 형성하게 될 것이며, 이로써 백내장 제거 장치(들) 및/또는 보철 수정체 이식 도입 캐뉼라의 후속적인 삽입 및 조작 중에 수정체 피막의 전면이 찢어지거나, 확대되거나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단지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만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설명되었을 뿐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구체예를 기술하고자 어떠한 시도도 없었다. 사실상, 본 발명의 의도된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부가, 삭제, 변화 및 변경이 상기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모든 합리적인 부가, 삭제, 변화 및 변경은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6)

  1.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과 같은 해부학적인 구조에 개구를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세로축이 돌출할 수 있는 길다란 프로브; 및
    길다란 프로브의 원위 말단상의 환형 전극 팁;
    프로브의 세로축과 평행하지 않은 평면에 위치한 수정체 피막 접촉면을 갖는 환형 전극 팁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브는 눈 내로 삽입될 수 있어서 환형 전극 팁의 수정체 피막 접촉면이 수정체 피막에 접촉하여 환형 전극 팁을 통한 전류의 통과가 수정체 피막에 개구를 생성시키게 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장치가 단극성이며; 장치의 환형 전극 팁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최소한의 용량성 커플링을 수립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는 제 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전극을 환자의 신체에 접촉시켜서 상기 제 2 전극이 환자의 신체와 접촉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 제 2 전극을 환자의 신체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유지시키서 환자의 신체에 용량적으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장치가 쌍극성이며; 환형 전극 팁의 원위 표면이 수정체 피막과 접촉되도록 프로브가 눈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환형 전극 팁과 제 2 전극 사이에서 전기 회로를 완성시키기 위해 환형 전극 팁에 충분히 근접하여 프로브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환형 전극 팁이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세로축이 돌출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관 부재;
    관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노치에 근접한 관 부재 중의 일부에 부착되는 링이 형성되도록 원위 말단에 인접한 관 부재로부터 절단된 노치;
    관 부재의 원위 말단에서 형성된 링 부재가 프로브의 환형 전극 팁을 형성시키도록 프로브의 원위 말단상에 동축으로 고정된 전기 전도성 관의 근위 말단으로 형성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환형 전극 팁이 프로브의 원위 말단상에 고정된 1개 루프 와이어로 형성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환형 전극 팁으로부터 프로브의 근위 말단으로 연장되어 관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환형 전극 팁으로의 전류의 유도를 용이하게 하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관 부재가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의해 프로브의 근위 말단에 연결되어 프로브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관 부재에 의해 형성된 환형 전극 팁으로의 전류의 유도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루프 와이어가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의해 관의 근위 말단에 연결되어 프로브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루프에 의해 형성된 환형 전극 팁으로의 전류의 유도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관 부재의 원위 말단에 형성된 링의 원의 표면이 환형 전극 팁의 수정체 피막 접촉 표면을 포함하며, 관 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세로축에 대하여 90° 내지 150°의 내각을 형성하는 평면에 배치되는 장치.
  12. 제 1항에 따른 프로브 장치;
    사람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는 핸드피이스;
    핸드피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신호 발생 장치;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핸드피이스로의 전류 흐름을 개시하고 정지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핸드피이스를 프로브 장치의 근위 말단에 연결시키고, 핸드피이스로부터 프로브의 환형 전극 팁으로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커넥터 장치를 장치를 포함하여, 제 1항의 프로브 장치를 합체시킨 전기수술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프로브 장치가 단극성이며; 시스템이 프로브 장치의 환형 전극 팁과 제 2 전극 사이에서 최소한의 용량성 커플링을 수립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는 제 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 2 전극이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제 2 전극을 환자의 신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제 2 전극이 환자의 신체에 용량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제 2 전극을 환자의 신체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 10항에 있어서, 프로브 장치가 쌍극성이며; 시스템이 환형 전극 팁이 수정체 피막과 접촉하도록 프로브가 눈 내로 삽입되는 경우, 전기 회로를 완성시키는데 환형 전극 팁에 충분히 근접하여 프로브상에 형성된 제 2 전극; 및
    환형 전극 팁과 제 2 전극 사이의 전기 회로를 완성시키기 위해서 제 2 전극을 전류 발생 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6항에 있어서, 환형 전극 팁에 근접하며, 전극 팁의 수정체 피막 접촉 표면이 수정체 피막과 접촉되도록 프로브가 눈 내로 삽입되는 경우 눈에 존재하는 프로브 부분 주위에 형성된 절연성 외장을 추가로 포함하는 단극성 장치.
  18. a)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원위 말단상에 형성된 전극 팁을 갖는 길다란 프로브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프로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b) 전극 팁이 눈의 수정체 피막과 접촉하도록 프로브를 눈 내로 삽입시키는 단계;
    c) 전극 팁이 수정체 피막과 접촉하는 자리에서 수정체 피막에 개구를 형성시키는데 충분한 크기의 전류를 프로브를 통해 전극 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눈의 수정체 피막에 개구를 형성시키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제공된 프로브 장치가 단극성이며; 제 2 전극을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제 2 전극을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가 2차 전극을 환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환자의 신체에 2차 전극을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가 환자의 신체와 2차 전극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수립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근접하지만 접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c)가 약 10와트(watts)의 전력을 갖는 전류를 프로브를 통해 전극 팁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프로브를 통해 통과되는 전류가 펄스 형태의 전류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프로브를 통해 통과된 전류가 적어도 최소 전류의 개입 시간에 의해 분리된 전류의 여러 다발의 펄스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c)에 통과된 전류가 초펄스 형태의 전류인 방법.
  26.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c)가 일반적으로 사인파 형태의 전류를 프로브를 통해 전극 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80705181A 1996-11-07 1997-11-05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9990077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44,404 1996-11-07
US08/744,404 US5957921A (en) 1996-11-07 1996-11-07 Devices and methods useable for forming small openings in the lens capsules of mammalian ey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48A true KR19990077048A (ko) 1999-10-25

Family

ID=2499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81A KR19990077048A (ko) 1996-11-07 1997-11-05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5957921A (ko)
EP (1) EP0888088A4 (ko)
JP (1) JP2001511662A (ko)
KR (1) KR19990077048A (ko)
CN (1) CN1146364C (ko)
AU (1) AU736683B2 (ko)
BR (1) BR9707460A (ko)
CA (1) CA2242328A1 (ko)
CZ (1) CZ211098A3 (ko)
IL (1) IL125156A (ko)
NO (1) NO983078L (ko)
WO (1) WO1998019615A1 (ko)
YU (1) YU284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98B1 (ko) * 2010-10-26 2011-06-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정체낭 절개도구
KR101039394B1 (ko) * 2008-08-05 2011-06-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정체낭 절개도구
WO2019177227A1 (ko) * 2018-03-12 2019-09-19 (주)씨오아이 안과용 수술 장치
US11998485B2 (en) 2018-03-12 2024-06-04 Choi's Ophthalmic Institute Ophthalmic surgical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3069B1 (en) 2000-03-30 2004-01-06 Refractec, Inc. Thermokeratoplasty system with a power supply that can determine a wet or dry cornea
US20020002369A1 (en) * 1993-08-23 2002-01-03 Hood Larry L.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visual acuity by moving a focal point of energy within a cornea
US20020042612A1 (en) * 1997-10-27 2002-04-11 Hood Larry L.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ications of visual acuity by thermal means
US6780165B2 (en) 1997-01-22 2004-08-24 Advanced Medical Optics Micro-burst ultrasonic power delivery
US7169123B2 (en) 1997-01-22 2007-01-3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Control of pulse duty cycle based upon footswitch displacement
US6358260B1 (en) 1998-04-20 2002-03-19 Med-Logics, Inc. Automatic corneal shaper with two separate drive mechanisms
US6592541B1 (en) * 1998-07-21 2003-07-15 Badrudin Kurwa Ophthalmological surgical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00048520A1 (en) 1999-02-17 2000-08-24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val of lenses from mammalian eyes
US6702832B2 (en) 1999-07-08 2004-03-09 Med Logics, Inc. Medical device for cutting a cornea that has a vacuum ring with a slitted vacuum opening
US6699285B2 (en) 1999-09-24 2004-03-02 Scieran Technologies, Inc. Eye endoplant for the reattachment of a retina
US6428508B1 (en) 2000-02-01 2002-08-06 Enlighten Technologies, Inc. Pulsed vacuum cataract removal system
US6379370B1 (en) * 2000-02-18 2002-04-30 Matthew Feinsod Incising apparatus for use in cataract surgery
US6663644B1 (en) 2000-06-02 2003-12-16 Med-Logics, Inc. Cutting blade assembly for a microkeratome
US6425905B1 (en) 2000-11-29 2002-07-30 Med-Log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a corneal graft
US6447510B1 (en) * 2000-12-04 2002-09-10 Alan G. Ellman Microlarynx electrosurgical probe for treating tissue
JP4194842B2 (ja) 2001-01-18 2008-12-10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低侵襲的緑内障外科用器具および方法
US6921398B2 (en) 2001-06-04 2005-07-26 Electrosurgery Associates, Llc Vibrating electrosurgical ablator
US6623437B2 (en) * 2001-08-28 2003-09-23 Rex Medical, L.P. Tissue biopsy apparatus
US6589240B2 (en) 2001-08-28 2003-07-08 Rex Medical, L.P. Tissue biopsy apparatus with collapsible cutter
US20070088415A1 (en) * 2001-11-07 2007-04-19 Minu Llc Method of treating the eye using controlled heat delivery
US20050177149A1 (en) * 2001-11-07 2005-08-11 Peyman Gholam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haping the cornea by controlled thermal delivery
US7147636B1 (en) * 2002-09-19 2006-12-12 Minu,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neal shrinkage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US20070142828A1 (en) * 2001-11-07 2007-06-21 Minu, Llc Method and system for altering the refractive properties of the eye
US20050149006A1 (en) * 2001-11-07 2005-07-07 Peyman Gholam A. Device and method for reshaping the cornea
US6723093B2 (en) 2002-03-22 2004-04-20 Refractec Inc. Electrode assembly for a thermokeratoplasty system used to correct vision acuity
US7316664B2 (en) 2002-10-21 2008-01-08 Advanced Medical Optics, Inc. Modulated pulsed ultrasonic pow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CA2830583C (en) 2003-03-12 2015-06-09 Abbott Medical Op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ulsed ultrasonic power delivery employing cavitation effects
US20060100617A1 (en) * 2004-11-09 2006-05-11 Alcon, Inc. Capsularhexis device
WO2006103728A1 (ja) * 2005-03-28 2006-10-05 Inami & Co., Ltd. 眼科用手術器具
US8162931B2 (en) * 2005-04-13 2012-04-24 Valens Associated Inc. Thermal capsulotomy tool and system
US8016843B2 (en) * 2005-09-09 2011-09-13 Alcon Research Ltd Ultrasonic knife
US7785336B2 (en) 2006-08-01 2010-08-31 Abbott Medical Optics Inc. Vacuum sense control for phaco pulse shaping
US8764736B2 (en) * 2007-09-05 2014-07-01 Alcon Lensx, Inc. Laser-induced protection shield in laser surgery
DE112008002405T5 (de) * 2007-09-06 2010-06-24 LenSx Lasers, Inc., Aliso Viejo Photodisruptive Behandlung von kristallinen Linsen
US9456925B2 (en) 2007-09-06 2016-10-04 Alcon Lensx, Inc. Photodisruptive laser treatment of the crystalline lens
US20090149841A1 (en) * 2007-09-10 2009-06-11 Kurtz Ronald M Effective Laser Photodisruptive Surgery in a Gravity Field
JP2011502585A (ja) * 2007-11-02 2011-01-27 アルコン レンゼ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術後の眼の光学的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DK3363415T3 (da) 2008-01-09 2019-11-25 Alcon Lensx Inc Fragmentering af væv med krum fotonedbrydende laser
EP2276420B1 (en) 2008-04-04 2021-10-06 Journey1, Inc. Device to treat an eye having an epithelium with a defect
US9125720B2 (en) * 2008-10-13 2015-09-08 Alcon Research, Ltd. Capsularhexis device with flexible heating element
US8137344B2 (en) * 2008-12-10 2012-03-20 Alcon Research, Ltd. Flexible, automated capsulorhexis device
EP2198799B1 (en) * 2008-12-16 2012-04-18 Arthrex, Inc. Electrosurgical ablator with a tubular electrode with scalloped grooves
US8157797B2 (en) * 2009-01-12 2012-04-17 Alcon Research, Ltd. Capsularhexis device with retractable bipolar electrodes
US8814854B2 (en) 2009-06-03 2014-08-26 Alcon Research, Ltd. Capsulotomy repair device and method for capsulotomy repair
US8591025B1 (en) 2012-09-11 2013-11-26 Nexisvision, Inc. Eye covering and refractive correction methods for LASIK and other applications
EP2490620A4 (en) 2009-10-23 2017-03-22 Forsight Labs, Llc Conformable therapeutic shield for vision and pain
ES2649890T3 (es) 2009-10-23 2018-01-16 Nexisvision, Inc. Enervación corneal para el tratamiento de dolor ocular
US20110118734A1 (en) * 2009-11-16 2011-05-19 Alcon Research, Ltd. Capsularhexis device using pulsed electric fields
US9241755B2 (en) 2010-05-11 2016-01-26 Alcon Research, Ltd. Capsule polishing device and method for capsule polishing
PT2575711T (pt) 2010-06-07 2017-11-15 Mynosys Cellular Devices Inc Dispositivo cirúrgico oftálmico para aceder a tecido e para realizar uma capsulotomia
US9149388B2 (en) 2010-09-29 2015-10-06 Alcon Research, Ltd. Attenuated RF power for automated capsulorhexis
JP2013544132A (ja) 2010-10-25 2013-12-12 ネクシス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力のための眼被覆物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591577B2 (en) 2010-12-16 2013-11-26 Bausch & Lomb Incorporated Capsulotomy device and method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WO2012149056A1 (en) 2011-04-28 2012-11-01 Nexisvision, Inc. Eye covering and refractive correction methods and apparatus having improved tear flow, comfort, and/or applicability
US9050627B2 (en) 2011-09-02 2015-06-09 Abbott Medical Op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nic power measurement and control of phacoemulsification systems
US9465233B2 (en) 2012-04-20 2016-10-11 Nexisvision, Inc. Bimodular contact lenses
CA2871027A1 (en) 2012-04-20 2013-12-12 Nexisvision, Inc. Contact lenses for refractive correction
US9888954B2 (en) 2012-08-10 2018-02-1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Plasma resection electrode
USD707818S1 (en) 2013-03-05 2014-06-24 Alcon Research Ltd. Capsulorhexis handpiece
US20190274754A1 (en) * 2016-09-12 2019-09-12 Baylis Medical Company Inc. Electrosurgical device having a distal aperture
CA2916885A1 (en) 2013-06-26 2014-12-31 Nexisvision, Inc. Contact lenses for refractive correction
US9341864B2 (en) 2013-11-15 2016-05-17 Nexisvision, Inc. Contact lenses having a reinforcing scaffold
WO2015116559A1 (en) 2014-01-29 2015-08-06 Nexisvision, Inc. Multifocal bimodulus contact lenses
USD737438S1 (en) 2014-03-04 2015-08-25 Novartis Ag Capsulorhexis handpiece
US10433898B2 (en) 2015-01-13 2019-10-08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Tapered precision blade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10433899B2 (en) 2015-01-13 2019-10-08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Precision blade electrosurgical instrument
EP3081198A1 (en) * 2015-04-14 2016-10-19 Eyevensys Elektroporation device for the eye with a support and with a needle electrode
EP3181080A1 (en) * 2015-12-15 2017-06-21 Netvlieschirurg B.V. Microsurgical fine gripping and diathermy forceps and scissors
US10251634B2 (en) * 2016-02-19 2019-04-09 Brett Foxman Scleral depressor
JPWO2018123498A1 (ja) * 2016-12-27 2019-10-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手術装置
US11877953B2 (en) 2019-12-26 2024-01-23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Phacoemulsification apparatus
US11642246B1 (en) 2021-12-06 2023-05-09 Jon Gordon Dishler Vibrating surg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468A (en) * 1979-06-15 1987-06-02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Capacitively coupled indifferent electrode
US4301802A (en) * 1980-03-17 1981-11-24 Stanley Poler Cauterizing tool for ophthalmological surgery
DE3050386C2 (de) * 1980-05-13 1987-06-2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Multipolare elektrochirurgische Vorrichtung
US4805616A (en) * 1980-12-08 1989-02-21 Pao David S C Bipolar probes for ophthalmic surgery and methods of performing anterior capsulotomy
US4674499A (en) * 1980-12-08 1987-06-23 Pao David S C Coaxial bipolar probe
US4481948A (en) * 1980-12-29 1984-11-13 Sole Gary M Medical instrument,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US5722945A (en) * 1990-07-17 1998-03-03 Aziz Yehia Anis Removal of tissue
US5281216A (en) * 1992-03-31 1994-01-25 Valleylab, Inc. Electrosurgical bipolar treating apparatus
US5300068A (en) * 1992-04-21 1994-04-05 St. Jude Medical, Inc. Electrosurgical apparatus
US5413574A (en) * 1992-09-04 1995-05-09 Fugo; Richard J. Method of radiosurgery of the eye
US5374188A (en) * 1993-07-19 1994-12-20 Bei Medical Systems, Inc.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use with dental implantations
US5749871A (en) * 1993-08-23 1998-05-12 Refrac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ications of visual acuity by thermal means
US5533999A (en) * 1993-08-23 1996-07-09 Refrac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ications of visual acuity by thermal means
ES2149241T3 (es) * 1993-11-10 2000-11-01 Xomed Inc Instrumento electroquirurgico bipolar y metodo de fabricacion.
US5445637A (en) * 1993-12-06 1995-08-29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SG52621A1 (en) * 1994-02-09 1998-09-28 Keravision Inc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recurving the cornea
US5582608A (en) * 1995-04-11 1996-12-10 Brown; Alan W. Lamellar illumination apparatus for eye surge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94B1 (ko) * 2008-08-05 2011-06-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정체낭 절개도구
KR101039398B1 (ko) * 2010-10-26 2011-06-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정체낭 절개도구
WO2019177227A1 (ko) * 2018-03-12 2019-09-19 (주)씨오아이 안과용 수술 장치
KR102006907B1 (ko) * 2018-03-12 2019-10-01 주식회사 씨오아이 안과용 수술 장치
CN111683630A (zh) * 2018-03-12 2020-09-18 株式会社Coi 眼科用手术装置
US11998485B2 (en) 2018-03-12 2024-06-04 Choi's Ophthalmic Institute Ophthalmic surgic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364C (zh) 2004-04-21
WO1998019615A1 (en) 1998-05-14
BR9707460A (pt) 2000-01-04
US5957921A (en) 1999-09-28
NO983078L (no) 1998-09-07
CZ211098A3 (cs) 1998-11-11
EP0888088A4 (en) 2000-07-19
NO983078D0 (no) 1998-07-02
US6142996A (en) 2000-11-07
EP0888088A1 (en) 1999-01-07
IL125156A0 (en) 1999-01-26
CA2242328A1 (en) 1998-05-14
JP2001511662A (ja) 2001-08-14
CN1211908A (zh) 1999-03-24
YU28498A (sh) 2001-12-26
AU736683B2 (en) 2001-08-02
AU5178798A (en) 1998-05-29
IL125156A (en) 200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048A (ko) 포유류 눈의 수정체 피막에 작은 개구를 생성시키는 데에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US8137344B2 (en) Flexible, automated capsulorhexis device
EP2355760B1 (en) Capsularhexis device with flexible heating element
EP1809196B1 (en) Capsularhexis device
US6527766B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phacoemulsification by direct thermal irradiation
US8157797B2 (en) Capsularhexis device with retractable bipolar electrodes
RU25405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псулорексиса с гибким нагрева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имеющим изогнутый переходный перешеек
US20110118734A1 (en) Capsularhexis device using pulsed electric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