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46929A1 - 포그 스크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그 스크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46929A1
WO2019146929A1 PCT/KR2019/000173 KR2019000173W WO2019146929A1 WO 2019146929 A1 WO2019146929 A1 WO 2019146929A1 KR 2019000173 W KR2019000173 W KR 2019000173W WO 2019146929 A1 WO2019146929 A1 WO 20191469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g
fog screen
air
scree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1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문열
박연용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91469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469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8Fluid scree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screen system.
  • a method of generating a pseudo-hologram is a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from top to bottom on a transparent film that is installed at an angle of 45 degrees and facing the viewer. This has the same effect as floating video.
  • a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vertically on the network desert and reflecting it and a technique of projecting an image on a water screen.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suitable for the fog screen of the fog generated in the fog generating portion are ejected downward in the air to form a more uniform fog screen and a fog screen holding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g screen layer Screen system in which the fog screen layer is uniformly formed so as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fog screen layer to the periphery and guide the fog screen layer to keep its straight shape while downwardly moving.
  • the fog screen system includes a fog screen forming unit for forming a fog screen layer on the air hole by ejecting the fog generated from the inside downward, And a fog screen holding part for spraying downward air flow formed inside the fog screen layer through the air spray part provided on the fog screen to form a fog screen holding layer to hold the fog screen layer,
  • a fog generat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og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 fog screen layer forming air stream and supply the generated air stream to a lower portion of the fog screen forming unit; And the fine particles for fog screen layer generated and supplied from the fog generating portion And a fog guid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og generating portion and the fog generating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of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which maintains the floating state among the fog generated from the fog generating portion to the fog generating portion .
  • a fan for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fog blowing unit a slope plate coupled to the both side walls at one end thereof and guid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ing fan toward the center, And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swash plate to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ing fan toward the center of the fog generating portion.
  • the fog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fog from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y using ultrasonic waves.
  • the fog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inclined at the outer side of the extension plate and guiding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flowing inside the fog generating portion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inclined plate, A second guide portion guiding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guided to the guide portion to guide the fine particles for guiding the fog screen layer to the outside of the fog generating portion while guiding the fine particles for guiding the fog screen layer to the outside of the fog generating portion, And a third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guided through the second guide portion to the fog ejecting portion.
  • the fog screen holding par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art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nd uniformly supply the introduced air to the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fog screen layer at a preset pressure and speed to form a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 a second fog screen forming lay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art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art and supply the inflow air to the other side of the fog screen layer at a preset pressure and speed
  • the fog screen layer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 the fog screen layer may include a second retaining portion. The second retaining portion may guide the fog screen layer formed downward from the fog ejecting portion to prevent the fog screen layer from being scattered to the periphery, .
  • the first holding part includes a first air blowing part for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air blowing part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first air blowing part, And forming a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spraying downward to the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layer.
  • the second holding part includes a second air blowing part for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air blowing part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second air blowing part to blow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blowing part to the fog screen And forming a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spraying downwar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ayer.
  • the plurality of fog screen forming region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og screen forming regions and at least a fog screen forming region where the fog blowing portio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 the plurality of fog screen holding sections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t least a first air blowing section and a second air blowing section are provided on a plurality of fog screen holding sections, Screen holding areas can be distinguished.
  •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suitable for the fog screen of the fog generated in the fog generating portion can be selectively ejected downward in the air to form a more uniform fog scree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flow of air and fog inside the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og flow and the guide air flow generated inside the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g screen forming unit 10 and a fog screen holding unit 20.
  • the fog screen system can form a more uniform fog screen by blowing down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suitable for the fog screen among the fog generated in the fog generating unit 110 in the air.
  • the fog screen holding layer 40 is formed more uniformly on both sides of the fog screen layer 30 to guide the fog screen layer 30 downward to the periphery of the fog screen layer 30 while maintaining the linear shape of the fog screen layer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layer 30 from being scattered around.
  • the fog screen forming unit 10 may form the fog screen layer 30 in the air by discharging the fog generated therein from the inside downward.
  • the fog screen forming unit 10 includes a fog blowing unit 100, a fog generating unit 110, a fog blowing unit 120, and a fog guide unit 130.
  • a plurality of fog screen forming regions are formed in a long continuous fash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g screen forming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fog screen forming regions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t least the fog blowing portions 1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140 Fog screen forming zones can be distinguished.
  •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140 may function to isolate the airflow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fog screen formation areas and to support a plurality of fog screen formation areas.
  • the fog blowing part (100)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generate and supply the air for forming the fog screen layer (30) to the lower part.
  • the fog spawning section 100 may include a blowing fan 102, a swash plate 104, and an extension plate 106.
  • the blowing fan 102 functions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fog generating unit 110.
  • the blowing fan 102 may be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fog screen forming zones defi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g screen forming unit 10.
  • the plurality of fog screen forming zones may be divided into eight, and eight blowing fans 102 may be provided.
  • the swash plate 104 is coupled to both side walls,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with an interval to guid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ing fan 102 toward the center.
  • the swash plate 104 may be provided with a symmetrical structure.
  • the swash plate 104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narrowed downward along the downward inclination direction.
  • the extension plate 106 is extended down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swash plate 104 and functions to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ing fan 102 toward the center of the fog generating unit 110.
  • the extension plate 106 functions as an outlet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102 is guided to the narrowed center as it goes down along the swash plate 104 to be discharged.
  • the airflow introduced into the fog generating unit 110 through the swash plate 104 and the extension plate 106 is transmitted to the fog generating unit 110 through the fog generating unit 110, Can be formed.
  • the fog generating unit 110 is provided below the fog generating unit 100 to generate fog including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 the fog generating unit 110 may include a water tank 112 for storing water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114 provided in the water tank 112 to generate fog from water stored using ultrasonic waves.
  • the water tank 112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og generating unit 110 and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14 and water as a space for generating fog.
  •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12 may be form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enerated fog can escape to the outside.
  • the fog spraying unit 120 is provided below the fog generating unit 110 to spray the fog screen layer fine particles generated from the fog generating unit 110 downward.
  • the fog spraying unit 120 can be formed with a nozzle structure in which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are uniformly sprayed downward to the outside.
  • the fog guide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fog generating unit 110 and the fog generating unit 120 to control the flow of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that maintains a floating state among the fog generated from the fog generating unit 110, (120).
  •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may comprise droplets of water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ns to 30 microns.
  • the fog guide unit 130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og generated in the water tank 112 can go out and is formed in a tilted structure so as to prevent the coarse water droplets generated in the water tank 112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 the fog guide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guide unit 132, a second guide unit 134, and a third guide unit 136.
  • the first guide part 132 is inclined from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late 106 to guide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which flow inside the fog generating part 110 in an upward direction.
  • the first guide part 132 forms a leakage preventing wall so that the coarse water drople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g formation in the water tub 112 are blocked at the outlet and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thick water droplets are linearly moved, so that most of the sloped first guide part 132 can not pass through.
  • the second guide part 134 is inclined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132 and the swash plate 104 so that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132 are guided obliquely upward, Thereby guiding the outside of the part 110.
  • the coarse water droplets are linearly moved, so that they can not pass through the inclined second guide part 134. It is difficult for some thick water droplets to pass through the second guide portion 134 formed continuously even though passing through the first guide portion 132.
  • the third guide part 136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og generating part 110 and the fog screen holding part 20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og discharging part 120 and the second guide part 134 So that the fine particles for guiding the fog screen layer can be guided downward to the fog spraying unit 120.
  • the fog screen holding part 20 is provided at at least one 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art 10 and guides the guide air flow formed inside through the air blowing pa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the periphery of the external fog screen layer 30
  • the fog screen holding layer 40 may be formed to eject the fog screen layer 30.
  • a plurality of fog screen holding sections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g screen holding section 20, and a plurality of fog screen holding sections include at least a first air blowing section 210a and a second air blowing section 210b
  • the fog screen holding section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divided by the plurality of holding blocking walls 240a and 240b.
  • the plurality of retention blocking walls 240a and 240b may function to isolate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fog screen retention areas and to support a plurality of fog screen retention areas.
  • the fog screen holding portion 20 may include a first holding portion 20a and a second holding portion 20b.
  • the first holding part 20a and the second holding part 20b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fog screen forming part 10 positioned at the center therebetween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 the fog screen holding portion 20 prevents the fog screen layer 30, which is formed by spraying downward from the fog spraying portion 120, from scattering to the periphery, and downwardly in a linear direction close to vertical to the periphery of the fog screen layer 30. [ It is possible to guide the fog screen layer 30 to maintain the linear shape of the fog screen layer 30 while forming the guide air flow.
  • the first holding part 20a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art 10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nd to introduce the inflow air to the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fog screen layer 30 at a preset pressure and speed To form the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 the first holding portion 20a includes a first air blowing portion 210a for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rst air blowing tubes provided below the first air blowing portion 210a, A first air blowing part 220a for blowing dow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blowing part 210a toward one side of the fog screen layer 30 to form a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having a certain direction, .
  • the second holding portion 20b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ortion 10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fog screen forming portion 10 and keep the inflow air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fog screen layer 30 at a preset pressure and speed To form the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 the second holding portion 20b includes a second air blowing portion 210b for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air blowing holes provided below the second air blowing portion 210b, The second air blowing part 220b for blowing dow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blowing part 210b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og screen layer 30 to form the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having a certain direction .
  • the first air delivering portion 210a and the second air delivering portion 210b may include blowing fans 202a and 202b, respectively.
  • the blowing fans 202a and 202b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fog screen holding sections part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g screen holding section 20. [ The plurality of fog screen holding sections may be divided into twelve, and twelve blowing fans 202a and 202b may be provided.
  • the fog screen system generates fog in the fog screen forming unit 10 provided at the center, discharges the fog to the lower portion, and forms the fog screen layer 30.
  • a more uniform fog screen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fog guide portion 130 so as to eject only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suitable for the fog screen of the fog screen formed in the fog screen forming portion 10 downward in the air.
  • the guiding airflow is generated through the fog screen holding part 2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g screen forming part 10 and uniformly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to form the fog screen holding layer 40.
  • the fog screen holdin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g screen layers 30 so as to guide the fog screen layer 30 in a straight line shape while preventing the fog screen layer 30 from scattering to the periphery and downward to the periphery of the fog screen layer 30.
  •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can be formed by pipes having a diameter of 10 mm or less, and can function to change the airflow of the guide and the fog generated in the upper part from turbulence to laminar flow.
  •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ed section and the linear section are combined, and the sizes of the outlets of the tube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a process of forming a uniform fog screen layer 30 and a fog screen holding layer 40 through a fog 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 the fog generated in the fog generating unit 110 may include not only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suitable for the fog screen but also large water droplets.
  • the fog guide part 130 is formed.
  • the fog guide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fog generating unit 110 and the fog generating unit 120 to control the flow of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that maintains a floating state among the fog generated from the fog generating unit 110, (120).
  • the fog guide unit 130 has a continuous tilting structure of the first guide unit 132, the second guide unit 134 and the third guide unit 136, (120) so that the coarse water droplets generated in the water tank (112)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step by step. Accordingly, only the relatively light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pass through the fog guide portion 130. For this reason, the fine particles for the fog screen layer suitable for the fog screen of the fog generated in the fog generating unit 110 may be ejected downward in the air through the fog ejecting unit 120 to form a more uniform fog screen.
  • the first holding portion 20a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20b forming the fog screen holding portion 20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fog screen forming portion 10 positioned at the center therebetween And the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and the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can be formed.
  • the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and the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prevent the fog screen layer 30 from being scattered around and downward in a linear direction close to vertical to the periphery of the fog screen layer 30 It is possible to guide the fog screen layer 30 to maintain the linear shape of the fog screen layer 30 while forming the guide air flow. In this state, when the image is projected onto the fog screen layer 30, since the background is formed as the image is formed, a hologram effect can be realized because the image feels floating in the air.
  • a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and a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may be formed to provide an airflow so that the fog screen layer 30 can be formed as a flat top down fog screen have.
  • the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and the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g screen layer 30 while the fog screen layer 30 is formed.
  • the fog screen layer 30 Since the peripheral diffusion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fog screen layer 30 is limited by the first fog screen holding layer 40a and the second fog screen holding layer 40b, the fog screen layer 30 is more uniform and has a higher density Lt; / RTI > When the optical image is projected onto the fog screen layer 30 in this state, the viewer can see a clearer image.
  • the fog screen system forms a top-down fog screen on the air hole by using the fine particles for the selected fog screen layer to produce the similar hologram effect, but does not occupy the bottom space, Can freely pass through.
  • the fog screen system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fog screen forming unit 10 and the fog screen holding unit 20 to minimize the space occupancy of the upper part, have. Further, the air flow forming the fog screen layer 30 and the guide air flow forming the fog screen holding layer 40 are separately generated to adjust the density and the length of the fog screen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fog screen is used It is possi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포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허공에 하향 분출하여 보다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하고, 포그 스크린층의 양측에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포그 스크린층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층이 하향하면서 포그 스크린층의 직선 형태를 계속 유지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그 스크린 시스템
본 발명은 포그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사홀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 중에 45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투명한 막에 영상을 위에서 아래로 투사하고 여기에서 반사된 영상이 관객 쪽으로 향하게 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이것은 영상이 허공에 떠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이외에도 망사막에 수직으로 영상을 투사하여 반사되도록 하는 방법과 워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법 등이 있다.
그러나 세 가지 기법 모두 허공에 영상이 떠 있는 것과 같은 유사홀로그램 효과를 연출할 수는 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다. 먼저, 45도로 경사져서 설치된 스크린은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한정된 공간을 사용하는 공연 예술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물을 사용하는 워터스크린은 주변에 별도의 수변공간을 만들어주어 낙하하는 물에 대한 후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45도 반투명막 기법과 망사막 기법은 스크린의 재질이 사람이나 물체가 스크린을 관통하여 스크린의 반대편으로 갈 수 없다. 워터 스크린의 경우 스크린을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사람이나 물체가 물에 젖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워터 스크린 기법의 경우 물방울들이 낙하하면서 만드는 소음 문제 역시 극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허공에 하향 분출하여 보다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하고, 포그 스크린층의 양측에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포그 스크린층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층이 하향하면서 포그 스크린층의 직선 형태를 계속 유지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내부에서 생성된 포그를 외부로 하향 분출하여 허공에 포그 스크린층을 형성하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 그리고 포그 스크린 형성부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구비된 공기 분출부를 통해 내부에서 형성된 기류를 외부의 포그 스크린층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포그 스크린층을 유지하도록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포그 스크린 유지부를 포함하며, 포그 스크린 형성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구비되어 포그 스크린층 형성용 기류를 생성하여 하부로 공급하는 포그 송풍부, 포그 송풍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포함한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생성부, 포그 생성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외부로 하향 분출하는 포그 분출부, 그리고 포그 생성부와 포그 분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포그 중 부유상태를 유지하는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의 흐름을 포그 분출부로 안내하는 포그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포그 송풍부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송풍팬, 일단이 양측벽에 결합되고, 타단이 간격을 두고 중심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중심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판, 그리고 경사판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하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포그 생성부의 중심방향으로 공급하는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포그 생성부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 그리고 수조 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장된 물로부터 포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가이드부는 연장판의 외측에서 각각 경사지게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의 내측에서 유동하는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 제1 가이드부와 경사판의 사이에서 각각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1 가이드부로 안내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여 포그 생성부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 그리고 포그 생성부의 외측과 포그 스크린 유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포그 분출부의 입구로 연결되며, 제2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포그 분출부로 하향 안내하는 제3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의 일측 주변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1 유지부, 그리고 포그 스크린 형성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의 타측 주변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2 유지부를 포함하며, 포그 분출부로부터 하향 분출되어 형성되는 포그 스크린층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층의 주변으로 하향하면서 포그 스크린층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유지부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1 공기 송풍부, 그리고 제1 공기 송풍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공기 분출관들을 포함하여 제1 공기 송풍부로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의 일측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1 공기 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지부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2 공기 송풍부, 그리고 제2 공기 송풍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공기 분출관들을 포함하여 제2 공기 송풍부로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의 타측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2 공기 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형성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이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은 적어도 포그 송풍부가 복수의 차단벽으로 서로 이웃한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이 구분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이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은 적어도 제1 공기 송풍부와 제2 공기 송풍부가 각각 복수의 유지 차단벽으로 서로 이웃한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이 구분될 수 있다.
포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선택적으로 허공에 하향 분출하여 보다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은 면적의 공간점유와 후처리의 불필요함, 그리고 통과가 자유로운 스크린을 생성하여 공연장, 이벤트, 실내인테리어, 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허공에 홀로그램 효과를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의 내부에서 기류와 포그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의 내부에서 생성된 포그의 흐름과 가이드 기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포그 스크린 형성부(10), 그리고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포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허공에 하향 분출하여 보다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그 스크린층(30)의 양측에서 포그 스크린층(30)의 주변으로 하향하면서 포그 스크린층(30)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하는 포그 스크린 유지층(40)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포그 스크린층(30)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형성부(10)는 내부에서 생성된 포그를 외부로 하향 분출하여 허공에 포그 스크린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형성부(10)는 포그 송풍부(100), 포그 생성부(110), 포그 분출부(120), 그리고 포그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포그 스크린 형성부(1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이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은 적어도 포그 송풍부(100)가 복수의 차단벽(140)으로 서로 이웃한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이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차단벽(140)은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으로 유입되는 기류들이 섞이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기능과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을 지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포그 송풍부(100)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구비되어 포그 스크린층(30) 형성용 기류를 생성하여 하부로 공급한다. 포그 송풍부(100)는 송풍팬(102), 경사판(104), 그리고 연장판(106)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02)은 외부의 공기를 포그 생성부(110)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능을 한다. 송풍팬(102)은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된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은 8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송풍팬(102)은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104)은 일단이 양측벽에 결합되고, 타단이 간격을 두고 중심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송풍팬(10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중심방향으로 안내한다. 경사판(104)은 좌우 대칭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104)은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내려갈수록 중심부분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106)은 경사판(104)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하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송풍팬(10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포그 생성부(110)의 중심방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연장판(106)은 송풍팬(102)으로 유입된 공기가 경사판(104)을 따라 내려갈수록 좁아진 중심으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출구 기능을 한다. 경사판(104)과 연장판(106)을 통해 포그 생성부(110) 내부로 유입된 기류는 중앙에 위치한 포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포그를 하부로 밀어주어 측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포그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포그 생성부(110)는 포그 송풍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포함한 포그를 생성한다. 포그 생성부(110)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112), 그리고 수조(112) 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장된 물로부터 포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112)는 포그 생성부(11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며 포그를 생성하는 공간으로 초음파 발생부(114)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조(112)의 상부는 생성된 포그가 외부로 나갈 수 있는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포그 분출부(120)는 포그 생성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외부로 하향 분출한다. 포그 분출부(120)는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가 외부로 균일하게 하향 분출되는 노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포그 가이드부(130)는 포그 생성부(110)와 포그 분출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된 포그 중 부유상태를 유지하는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의 흐름을 포그 분출부(120)로 안내한다. 여기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는 10미크론 내지 30미크론의 직경을 가진 작은 물방울을 포함할 수 있다. 포그 가이드부(130)는 수조(112)에서 생성된 포그가 외부로 나갈 수 있는 통로 기능을 하며, 수조(112)에서 생성된 굵은 물방울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진 꺾임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포그 가이드부(130)는 제1 가이드부(132), 제2 가이드부(134), 그리고 제3 가이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2)는 연장판(106)의 외측에서 각각 경사지게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110)의 내측에서 유동하는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한다. 제1 가이드부(132)는 수조(112)에서 포그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굵은 물방울들이 출구에 막혀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유출 방지벽을 형성한다. 굵은 물방울들이 직선운동을 하므로 경사진 형상의 제1 가이드부(132)를 대부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제2 가이드부(134)는 제1 가이드부(132)와 경사판(104)의 사이에서 각각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1 가이드부(132)로 안내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여 포그 생성부(110) 외측으로 안내한다. 굵은 물방울들은 직선운동을 하므로 경사진 형상의 제2 가이드부(134)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일부 굵은 물방울들이 제1 가이드부(132)를 통과하더라도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134)를 통과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그리고 제3 가이드부(136)는 포그 생성부(110)의 외측과 포그 스크린 유지부(20)의 사이에 구비되어 포그 분출부(120)의 입구로 연결되며, 제2 가이드부(134)를 통해 안내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포그 분출부(120)로 하향 안내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구비된 공기 분출부를 통해 내부에서 형성된 가이드 기류를 외부의 포그 스크린층(30)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포그 스크린층(30)을 유지하도록 포그 스크린 유지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이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은 적어도 제1 공기 송풍부(210a)와 제2 공기 송풍부(210b)가 각각 복수의 유지 차단벽(240a, 240b)으로 서로 이웃한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이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유지 차단벽(240a, 240b)은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으로 유입되는 기류들이 섞이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기능과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을 지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는 제1 유지부(20a), 그리고 제2 유지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지부(20a)와 제2 유지부(20b)는 중심에 위치된 포그 스크린 형성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는 포그 분출부(120)로부터 하향 분출되어 형성되는 포그 스크린층(30)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층(30)의 주변으로 수직에 가까운 직선방향으로 하향 분출되는 가이드 기류를 형성하면서 포그 스크린층(30)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유지부(20a)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30)의 일측 주변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지부(20a)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1 공기 송풍부(210a), 그리고 제1 공기 송풍부(210a)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공기 분출관들을 포함하여 제1 공기 송풍부(210a)로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30)의 일측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을 형성하는 제1 공기 분출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지부(20b)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30)의 타측 주변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유지부(20b)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2 공기 송풍부(210b), 그리고 제2 공기 송풍부(210b)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공기 분출관들을 포함하여 제2 공기 송풍부(210b)로 유입된 공기를 포그 스크린층(30)의 타측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을 형성하는 제2 공기 분출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송풍부(210a)와 제2 공기 송풍부(210b)는 각각 송풍팬(202a, 202b)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02a, 202b)은 포그 스크린 유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된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은 12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송풍팬(202a, 202b)은 1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중앙에 구비되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에서 포그를 생성하여 하부로 배출하고, 포그 스크린층(30)을 형성한다.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만을 허공에 하향 분출하도록 포그 가이드부(130)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를 통해 가이드 기류를 생성하여 하부로 균일하게 배출하고, 포그 스크린 유지층(40)을 형성한다.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는 포그 스크린층(30)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층(30)의 주변으로 하향하면서 포그 스크린층(30)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분출관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분출관들은 지름 10mm 이하의 관들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서 생성된 가이드 기류와 포그의 기류를 난류에서 층류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분출관들은 경사구간과 직선구간이 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로 구비된 관의 출구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을 통해 균일한 포그 스크린층(30)과 포그 스크린 유지층(40)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포그 생성부(110)의 수조(112)에 물이 저장되고, 초음파 발생부(114)의 구동으로 수조(112)에 저장된 물로부터 포그가 생성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포그 송풍부(10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수조(112)에서 생성된 포그가 부유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포그 송풍부(100)의 구동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경사판(104)과 연장판(106)을 통해 포그 생성부(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포그 생성부(110)에서 생성되는 포그는 기류의 영향으로 하부로 밀려 측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포그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포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포그는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 뿐만 아니라 입자가 큰 물방울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포그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포그 스크린층(30)을 형성하면 균일하지 못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포그 가이드부(130)를 형성한다. 포그 가이드부(130)는 포그 생성부(110)와 포그 분출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포그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된 포그 중 부유상태를 유지하는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의 흐름을 포그 분출부(120)로 안내하는 통로 기능을 한다. 포그 가이드부(130)는 제1 가이드부(132)와 제2 가이드부(134), 그리고 제3 가이드부(136)의 연속되는 경사진 꺾임 구조로 포그 생성부(110)의 상부와 포그 분출부(12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수조(112)에서 생성된 굵은 물방울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단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들만 포그 가이드부(130)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포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들이 포그 분출부(120)를 통해 허공에 하향 분출되어 보다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를 형성하는 제1 유지부(20a)와 제2 유지부(20b)는 중심에 위치된 포그 스크린 형성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과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과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은 포그 스크린층(30)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층(30)의 주변으로 수직에 가까운 직선방향으로 하향 분출되는 가이드 기류를 형성하면서 포그 스크린층(30)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그 스크린층(30)에 영상을 투사하면 영상이 맺히면서 배경이 보이므로 허공에 영상이 홀로 떠 있는 느낌을 주므로 홀로그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포그 발생부에서 생성된 포그 중 포그 스크린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만을 허공에 균일하게 하향 분출하여 포그 스크린층(30)을 형성하고, 포그 스크린층(30)의 좌우에서 수직 방향의 가이드 기류를 제공하는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과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을 형성하여 포그 스크린층(30)이 주변으로 흩어지지 않고 아래로 향하면서 평평한 하향식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층(30)이 형성되는 동안, 포그 스크린층(30)의 양측에서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과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을 형성한다. 포그 스크린층(30)에서 미세 입자들의 주변 확산이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40a)과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40b)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포그 스크린층(30)은 보다 균일하고 높은 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광학 영상이 포그 스크린층(30)에 프로젝션되면 관객은 보다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선택된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들을 이용하여 허공에 하향식 포그 스크린을 형성함으로써 유사홀로그램 효과를 연출하면서도 하부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며, 사람이나 물질이 하향식 포그 스크린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 시스템은 상부의 공간 점유를 최소화하기 위해 포그 스크린 형성부(10)와 포그 스크린 유지부(20)를 블록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포그 스크린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포그 스크린층(30)을 형성하는 기류와 포그 스크린 유지층(40)을 형성하는 가이드 기류를 별도로 생성하여 포그 스크린의 밀도와 길이를 조절하여 포그 스크린이 사용되는 공간의 특성에 맞게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9)

  1. 내부에서 생성된 포그를 외부로 하향 분출하여 허공에 포그 스크린층을 형성하는 포그 스크린 형성부, 그리고
    상기 포그 스크린 형성부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구비된 공기 분출부를 통해 내부에서 형성된 기류를 외부의 상기 포그 스크린층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상기 포그 스크린층을 유지하도록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포그 스크린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그 스크린 형성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구비되어 포그 스크린층 형성용 기류를 생성하여 하부로 공급하는 포그 송풍부,
    상기 포그 송풍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포함한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생성부,
    상기 포그 생성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그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된 상기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외부로 하향 분출하는 포그 분출부, 그리고
    상기 포그 생성부와 상기 포그 분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포그 중 부유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의 흐름을 상기 포그 분출부로 안내하는 포그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포그 송풍부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송풍팬,
    일단이 양측벽에 결합되고, 타단이 간격을 두고 중심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중심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판, 그리고
    상기 경사판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하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포그 생성부의 중심방향으로 공급하는 연장판을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포그 생성부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 그리고
    상기 수조 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장된 물로부터 상기 포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포그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판의 외측에서 각각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포그 생성부의 내측에서 유동하는 상기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경사판의 사이에서 각각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로 안내된 상기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여 상기 포그 생성부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포그 생성부의 외측과 상기 포그 스크린 유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그 분출부의 입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된 상기 포그 스크린층용 미세 입자를 상기 포그 분출부로 하향 안내하는 제3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포그 스크린 유지부는
    상기 포그 스크린 형성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포그 스크린층의 일측 주변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1 유지부, 그리고
    상기 포그 스크린 형성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포그 스크린층의 타측 주변으로 미리 설정된 압력과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2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그 분출부로부터 하향 분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포그 스크린층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포그 스크린층의 주변으로 하향하면서 상기 포그 스크린층의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가이드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유지부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1 공기 송풍부, 그리고
    상기 제1 공기 송풍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공기 분출관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공기 송풍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포그 스크린층의 일측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상기 제1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1 공기 분출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제2 유지부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제2 공기 송풍부, 그리고
    상기 제2 공기 송풍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공기 분출관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공기 송풍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포그 스크린층의 타측 주변으로 하향 분출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상기 제2 포그 스크린 유지층을 형성하는 제2 공기 분출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포그 스크린 형성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이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은 적어도 상기 포그 송풍부가 복수의 차단벽으로 서로 이웃한 포그 스크린 형성구역이 구분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포그 스크린 유지부는
    상기 포그 스크린 형성부와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이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은 적어도 상기 제1 공기 송풍부와 상기 제2 공기 송풍부가 각각 복수의 유지 차단벽으로 서로 이웃한 포그 스크린 유지구역이 구분되는 포그 스크린 시스템.
PCT/KR2019/000173 2018-01-23 2019-01-07 포그 스크린 시스템 WO20191469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68A KR102132430B1 (ko) 2018-01-23 2018-01-23 포그 스크린 시스템
KR10-2018-0008268 2018-0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929A1 true WO2019146929A1 (ko) 2019-08-01

Family

ID=6739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173 WO2019146929A1 (ko) 2018-01-23 2019-01-07 포그 스크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2430B1 (ko)
WO (1) WO20191469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2166A1 (en) * 2020-05-21 2021-11-25 Plantaform Technology Inc. Fogponic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8519A (ko) * 1991-03-15 1992-10-22 이또 마사까쯔 포그 스크린 형성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 형성방법
KR20080109534A (ko) * 2007-06-13 2008-12-17 이용백 미스트 스크린 장치
JP2015121655A (ja) * 2013-12-24 2015-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形成装置、投影システム及びスクリーン形成方法
JP2015179131A (ja) * 2014-03-18 2015-10-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形成装置、投影システム及びスクリーン制御方法
JP2016197192A (ja) * 2015-04-06 2016-11-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と映像投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012B1 (ko) * 2015-06-19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 감지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8519A (ko) * 1991-03-15 1992-10-22 이또 마사까쯔 포그 스크린 형성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 형성방법
KR20080109534A (ko) * 2007-06-13 2008-12-17 이용백 미스트 스크린 장치
JP2015121655A (ja) * 2013-12-24 2015-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形成装置、投影システム及びスクリーン形成方法
JP2015179131A (ja) * 2014-03-18 2015-10-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形成装置、投影システム及びスクリーン制御方法
JP2016197192A (ja) * 2015-04-06 2016-11-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と映像投影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2166A1 (en) * 2020-05-21 2021-11-25 Plantaform Technology Inc. Fogponic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70A (ko) 2019-07-31
KR102132430B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0527A1 (ko) 초입자 분무장치
ES2239926T3 (es) Loseta de impacto para dividir y distribuir un flujo de metal liquido.
JPH0751360Y2 (ja) 水環境造形装置
US20200238955A1 (en) Cleaning system for optical surface
TWI431229B (zh) Clean room
US6575437B2 (en) Counterflow column with a liquid distributor
CN107683209B (zh) 液体排出设备、压印设备和制造组件的方法
WO2019146929A1 (ko) 포그 스크린 시스템
KR100843275B1 (ko) 현상 장치 및 현상 방법
CA2351294C (en) Airplane cabin overhead air outlets
US10780386B2 (en) Liquid film dust arrester and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JP2008544098A (ja) 浮選セル
JP3819948B2 (ja) 紙パルプ脱インキ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1424268B (zh) 表面处理装置
KR20190089572A (ko) 포그 스크린 시스템용 포그 가이드 장치
US6656279B2 (en) Apparatus for the spra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 boards
RU2735361C2 (ru) Душ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45327B1 (ko) 낙하 분수
KR20190089573A (ko) 포그 스크린용 가이드 바람관
JPH08238367A (ja) 弾球遊技機の整流樋
JP2000354798A (ja) ミストによる塗布法及びその装置
SE508846C2 (sv) Tilluftsdon med hålförsedd vägg vid vilken är anordnad dysor och slitshål
CN218860827U (zh) 气液冷却装备
KR102199719B1 (ko)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JPH02172553A (ja) 塗装用ブ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442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442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