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719B1 -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 Google Patents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719B1
KR102199719B1 KR1020180008269A KR20180008269A KR102199719B1 KR 102199719 B1 KR102199719 B1 KR 102199719B1 KR 1020180008269 A KR1020180008269 A KR 1020180008269A KR 20180008269 A KR20180008269 A KR 20180008269A KR 102199719 B1 KR102199719 B1 KR 10219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screen
block
fog screen
win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571A (ko
Inventor
정문열
박연용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7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8Fluid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생성된 포그를 층류 상태로 배출시켜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2 열로 배치된 블록부를 이용하여 분배된 포그 스크린이 중첩 영역을 가지며 포그 스크린의 공백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은 ⅰ) 포그(Fog)가 유입되어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관통부, ⅱ) 관통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구, ⅲ) 관통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포그를 층류(Laminar Flow) 상태로 분배하는 분배구를 포함하고, 관통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 1블록부, 제 1블록부와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관통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2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FOG WIND PIPE FOR FOG SCREEN}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이 제공된다.
영상을 얻기 위한 장치로 렌즈를 통해서 스크린 위에 투영하는 광학장치인 프로젝터(Projector), 프로젝트의 광영상을 영사하는 스크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은 넓은 천 등을 이용하는데, 넓은 천 스크린은 설치 시 찢어지거나 긁힘 등의 발생으로 스크린의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 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스크린 전체를 교환해야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이 높다. 이에 최근에는 포그(Fog) 스크린을 이용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포그 스크린 장치는 수조에서 생성된 포그를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바로 배출하므로, 포그의 기류가 와류 상태로 배출되어 포그가 일정한 방향을 가질 수 없어 포그 스크린의 균일성이 낮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포그 스크린 장치는 포그 배출관의 벽면만큼 포그가 없는 공백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의 선명도 및 품질이 낮아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성된 포그를 층류 상태로 배출시켜 균일한 포그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2 열로 배치된 블록부를 이용하여 분배된 포그 스크린이 중첩 영역을 가지며 포그 스크린의 공백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은 ⅰ) 포그(Fog)가 유입되어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관통부, ⅱ) 관통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구, ⅲ) 관통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포그를 층류(Laminar Flow) 상태로 분배하는 분배구를 포함하고, 관통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 1블록부, 제 1블록부와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관통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2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부를 통과한 포그와 제2 블록부를 통과한 포그는 상호 중첩영역을 가질 수 있다. 관통관의 단면은 평행사변형 형상일 수 있다. 관통관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관통부는 제1 블록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측벽부, 제2 블록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는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는 관통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관통부를 복수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관통부가 복수개로 연결될 경우 포그의 흐름을 연결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부를 통하여 와류 상태로 유입된 포그를 층류 상태로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2 열로 중첩영역을 가지며 분배되는 포그를 통해 포그 스크린의 균일성을 높여 공백현상을 줄이고 포그 스크린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의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은 포그(Fog) 스크린 생성 장치(3)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는 초음파 모터(미도시)를 통해 수조(30)에 수용된 물을 포그(Fog)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포그는 통로(31)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으로 유입될 수 있다. 포그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의 포그팬(미도시)에 의해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을 통과하고 분배구(15)를 따라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의 일측으로 분배되어 포그 스크린(F)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로젝터(P)는 포그 스크린(F)에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투사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은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에서 생성된 포그를 층류(Laminar Flow)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포그 스크린(F)을 균일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F)에 투사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통하여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는 관통부(10), 제1 측벽부(20), 제2 측벽부(21) 그리고 거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0)는 포그가 유입되어 제1 방향인 z축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관통부(10)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의 내부에서 생성된 포그가 z축 방향으로 장치의 외부로 분배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포그는 화살표를 따라 일정한 방향을 가지며 관통부(10)를 따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와류 상태에서 층류 상태로 기류가 변화될 수 있다.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은 관통부(10)를 통해서 층류 상태의 포그가 포그 스크린(F)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F)에 투사된 영상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가 높을 수 있다.
반면에, 종래에는 포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그가 포그가 와류 상태로 바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포그 스크린의 균일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의 품질이 낮아 질 수 있다.
관통부(10)는 제1 블록부(11), 제2 블록부(12), 관통관(13a, 13b), 유입구(14) 그리고 분배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부(11)는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은 제2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관통관(13a, 13b)는 z축 방향을 따라 뻗을 수 있다. 유입구(14)는 관통관(13a, 13b)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14)에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에서 생성된 포그가 유입될 수 있다. 분배구(15)는 관통관(13a, 13b)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구(15)는 관통관(13a, 13b)으로 유입된 포그를 관통관(13a, 13b)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블록부(11)는 제2 블록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블록부(11)와 제2 블록부(12)는 제3 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블록부(11)와 제2 블록부(12)는 xz면에서 면 접촉하며 연결될 수 있다. 제2 블록부(12)는 하나 이상의 관통관(13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통관(13b)은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블록부(11)와 제2 블록부(12)는 2 열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 블록부(11)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과 제2 블록부(12)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은 제1 블록부(11)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의 빈 공간을 제2 블록부(12)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이 채워줄 수 있고, 제2 블록부(12)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의 빈 공간을 제1 블록부(11)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이 채워줄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F)의 공백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포그 스크린(F)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제1 측벽부(20)는 제1 블록부(11)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부(20)는 제1 블록부(11)의 일부분만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부(20)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부(20)는 하측 단부에 거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2)는 제1 측벽부(20)와 제1 블록부(11)과 연결되지 않은 공간일 수 있다. 거치부(22)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의 돌출부(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1)는 제2 블록부(12)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벽부(21)는 제2 블록부(12)의 일부분만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벽부(21)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벽부(21)는 하측 단부에 거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2)는 제1 측벽부(20)와 제1 블록부(11)과 연결되지 않은 공간일 수 있다. 거치부(22)는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의 돌출부(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은 제1 측벽부(20)와 제2 측벽부(21)를 통해 양측 단부가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1)는 관통부(10), 제1 블록부(11), 제2 블록부(12), 관통관(13a, 13b), 연결부(16) 그리고 날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록부(11)와 제2 블록부(12)는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 13b)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 13b)의 단면은 블록부들(11, 12)이 뻗은 방향으로 평행한 밑변 선분과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두 밑변 사이를 연결하는 높이 선분으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 형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 13b)의 단면은 마주보는 선분과 길이가 상호 동일한 평행사변형 형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 13b)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통관(13a 13b)의 단면은 네 변의 길이가 상호 동일한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통관(13a 13b)들의 단면적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관통관(13a 13b)의 단면이 마름모 또는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될 경우, 1 열에 배치된 제1 블록부(11)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1)과 2 열에 배치된 제2 블록부(12)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2) 사이에 충첩영역(18)을 가질 수 있다.
만약, 관통관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1 열에 배치된 관통관 사이의 벽면들과 2열에 배치된 관통관 사이의 벽면들이 블록부들이 연장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각 관통관 사이의 벽면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직접적으로 포그가 배출되지 않으며, 관통관에서 배출된 포그가 충분히 분배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의 일부분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마름모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의 관통관(13a, 13b)은 사이벽(19)이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비스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블록부(11)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1)의 빈 공간을 제2 블록부(12)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2)이 채워줄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F1, F2) 사이의 공백을 상쇄시킬 수 있다. 마름모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의 관통관(13a, 13b)은 1 열에서 분배되는 포그 스크린(F1)과 2열에서 분배되는 포그 스크린(F2) 사이에 중첩영역(18)을 가질 수 있으므로 포그 스크린(F1, F2)이 상호 보완되어 포그 스크린의 균일성을 높여 공백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연결부(16)는 관통관(13a, 13b)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6)는 관통관(13a, 13b)과 또 다른 관통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6)는 블록부들(11, 12)과 또 다른 블록부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날개부(17)는 연결부(16)를 통해 블록부들(11, 12)이 또 다른 블록부들과 연결될 경우, 포그가 유입되는 유입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포그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7)를 제거하여 포그의 유입이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관통부
11. 제1 블록부
12. 제2 블록부
13. 관통관
14. 유입구
15. 분배구
16. 연결부
17. 날개부
18. 중첩영역
19. 사이벽
20. 제1 측벽부
21. 제2 측벽부
22. 거치부
30. 수조
31. 통로

Claims (7)

  1. 포그(Fog)가 유입되어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구 그리고
    상기 관통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포그를 층류(Laminar Flow) 상태로 분배하는 분배구,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 1블록부, 상기 제 1블록부와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관통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2 블록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관은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비스듬한 형태의 사이벽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블록부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1)의 빈 공간을 상기 제2 블록부에서 분배된 포그 스크린(F2)이 채워 중첩되도록 복수의 포그 스크린(F1, F2)이 상호 보완되어 상기 복수의 포그 스크린(F1, F2) 사이의 공백을 상쇄시켜 포그 스크린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블록부를 통과한 포그와 상기 제2 블록부를 통과한 포그는 상호 중첩영역을 가지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3. 제2항에서,
    상기 관통관의 단면은 평행사변형 형상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4. 제3항에서,
    상기 관통관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인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5. 제1항에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블록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2 블록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는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6. 제1항에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관통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부를 복수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7. 제6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부가 복수개로 연결될 경우, 포그의 흐름을 연결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KR1020180008269A 2018-01-23 2018-01-23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KR10219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69A KR102199719B1 (ko) 2018-01-23 2018-01-23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69A KR102199719B1 (ko) 2018-01-23 2018-01-23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71A KR20190089571A (ko) 2019-07-31
KR102199719B1 true KR102199719B1 (ko) 2021-01-07

Family

ID=6747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269A KR102199719B1 (ko) 2018-01-23 2018-01-23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7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19B1 (ko) * 2012-08-21 2013-04-30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특수효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11B1 (ko) * 1993-12-15 1998-05-15 송효순 영사용 향기포그(Fog) 스크린장치
KR20080109534A (ko) * 2007-06-13 2008-12-17 이용백 미스트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19B1 (ko) * 2012-08-21 2013-04-30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특수효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71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8143B2 (ja) 充填カラム用液体分配器及び同液体分配器を備えたカラム
ES2246304T3 (es) Elemento mezclador para un paso de brida en una tuberia.
KR102199719B1 (ko) 포그 스크린용 포그 바람관
US5476012A (en) Air flow sensor with swirl generator
US8317390B2 (en) Stepped down gas mixing device
KR102153710B1 (ko) 포그 스크린용 가이드 바람관
KR102542304B1 (ko) 가습장치
US3650292A (en) Device for deflecting liquid or gaseous media in rectangular ducts
CN105826168B (zh) 基板处理装置
KR102141157B1 (ko) 포그 스크린 시스템용 포그 가이드 장치
BRPI0702569B1 (pt) dispositivo de admissão de fluido, coluna, e método para operação
US3946993A (en) Suction-mixing head provided with swirl chamber
JP2009030857A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7377641B2 (ja) 塗布ノズル及び塗布装置
JP6844495B2 (ja) 車両機器の配設構造
KR102543795B1 (ko) 가습장치
KR102132430B1 (ko) 포그 스크린 시스템
JP2662750B2 (ja) 調温塔
EP0101682A1 (en) FLOW DISTRIBUTOR.
JP2019157683A (ja) 送風装置
JP3259055B2 (ja) 人工竜巻式局所排気装置
US3411572A (en) Nozzle constructions
SE445069C (sv) Tilluftsdon
JP2018162755A (ja) 送風装置
US2785621A (en) Projection booth port hole b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