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327B1 - 낙하 분수 - Google Patents

낙하 분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327B1
KR102545327B1 KR1020210090137A KR20210090137A KR102545327B1 KR 102545327 B1 KR102545327 B1 KR 102545327B1 KR 1020210090137 A KR1020210090137 A KR 1020210090137A KR 20210090137 A KR20210090137 A KR 20210090137A KR 102545327 B1 KR102545327 B1 KR 10254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lling
nozzle
tank
f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579A (ko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정운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정운익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3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05B17/085Fountains designed to produce sheets or curtains of liquid, e.g. wate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05B1/305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the actuating means being a solen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일정하고 균일하게 물줄기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물 상단에 설치되며 분수용 물이 수용되는 상부수조, 상기 상부수조 하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상부수조의 물을 수직하방으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설치되어 관로를 개폐하여 물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프레임구조물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배출된 물을 받아 저장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와 상기 상부수조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수조의 물을 순환관을 통해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낙하 분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낙하 분수{FALLING FOUNTAIN}
본 개시내용은 낙하 분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이나 공원 또는 공공광장 등에는 물을 뿜어 올려 그 동적미와 더불어 시원함을 전달하기 위해 분수(fountain)가 설치된다. 분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물을 분사노즐로 분사시키는 구조로, 다양한 형태의 물줄기를 연출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수는 수압과 노즐의 형태에 따라 용수의 분사형태를 변화시켜 분수모양에 변화를 제공하거나,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나열하여 분사되는 물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하여 아름다움을 연출하게 된다.
최근에는 물을 낙하시키고 그 물줄기를 이용하여 문자나 그림을 표시하는 분수가 개발되어 미감과 더불어 광고나 홍보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분사되는 물줄기를 이용하여 독특한 조형미를 나타낼 수 있는 낙하 분수를 개발한 바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60716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낙하 분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낙하 분수는 위로부터 낙하되는 물줄기가 상부에서는 흐트러짐없이 잘 유지되나 하부에서는 가시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투명한 물줄기로 인해 시각적으로 확인이 쉽지 않고, 분수 주변의 풍속에 영향을 받아 제대로 된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낙하 분수는 벽면이나 다리 등 사람이 지나가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 환경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최근 들어, 볼거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분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요구와 치열한 시장 환경에 맞춰 기존 낙하 분수를 보다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잇점을 제공한다.
본 과제는 일정하고 균일하게 물줄기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된 낙하 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낙하되는 물방울의 하부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된 낙하 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물줄기를 불투명한 형태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된 낙하 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풍속에 따라 분수의 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낙하 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사용자가 물줄기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된 낙하 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낙하 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낙하 분수는, 프레임구조물 상단에 설치되며 분수용 물이 수용되는 상부수조, 상기 상부수조 하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상부수조의 물을 수직하방으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설치되어 관로를 개폐하여 물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프레임구조물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배출된 물을 받아 저장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와 상기 상부수조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수조의 물을 순환관을 통해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조에서 월류하는 물을 저장하는 보조수조, 상기 보조수조와 상기 하부수조를 연결하여 보조수주의 물을 하부수조로 배출하는 리턴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관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조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 분수는 물줄기를 통과하는 이동체를 감지하여 이동체 위치에서 물줄기를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각 노즐에 대한 이동체의 위치와 크기 및 형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센서, 상기 카메라와 반응센서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이동체가 물줄기를 통과하는 시점에 맞춰 해당 위치 노즐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물 분사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 분수는 상기 노즐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에 에어를 분사하여 물줄기의 물방울 낙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노즐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의 낙하 위치에 맞춰 상기 프레임구조물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물줄기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슬릿이 형성된 에어분사관, 상기 에어분사관에 연결되어 에어분사관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구조물의 하부 바닥에는 상기 물줄기의 낙하 위치에 물이 배출되는 격자형 배수판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수조가 배치되어 상기 배수판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배수판 아래에는 축방향을 따라 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분사관이 배수판 중심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상기 에어분사관은 송풍기와 연결되어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측면에서 물이 이동하는 내부 관로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홀을 더 포함하여, 외부 공기를 물과 혼합하여 낙하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홀은 관로의 축방향을 따라 노즐의 외측에서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홀은 관로의 방사방향에 대해 상기 노즐의 외측에 내부를 향해 상기 관로의 접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낙하 분수는 주변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계와, 상기 풍속계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바닥에서 상부로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낙하되는 물방울의 상부에서의 낙하속도와 하부에서의 낙하 속도 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물줄기의 물방울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외부에서 보다 선명하게 분수 형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줄기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여, 물줄기의 투명도를 낮춤으로서 외부에서 물줄기 또는 물줄기를 통해 구현되는 문자나 그림 등을 보다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상부에 구비된 수조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유량으로 물줄기를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물줄기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주변 풍속에 따라 분수를 제어함으로써, 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분수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검출하고 분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물줄기에 의한 영향없이 이동체가 물줄기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본 과제는 물줄기를 클라우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으며, 미세 먼지 등을 저감하고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수조 내 물을 정수와 살균 처리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고 보다 청결하고 안전하게 분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낙하 분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낙하 분수의 노즐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낙하 분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낙하 분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축방향이라 함은 관구조물의 중심축선이 지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노즐의 출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상부, 상방향 이라 하고 반대인 아래쪽을 하, 하부, 하방향이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x축 방향을 폭방향이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낙하 분수(10)는 프레임구조물(20) 상단에 설치되며 분수용 물이 수용되는 상부수조(30), 상부수조(30) 하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상부수조(30)의 물을 수직하방으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형성하는 노즐(40), 노즐(40)에 설치되어 관로(41)를 개폐하여 물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42), 프레임구조물(20) 하단에 설치되어 노즐(40)에서 배출된 물을 받아 저장하는 하부수조(50), 하부수조(50)와 상부수조(30)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52), 순환관(52)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수조(50)의 물을 순환관(52)을 통해 상부수조(30)로 공급하는 공급펌프(5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를 포함한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외부 신호 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되어 각 솔레노이드밸브(42)와 공급펌프(54)를 포함한 낙하 분수(10)의 작동을 위한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공급펌프(54)가 구동되어 상부수조(30)로 물을 공급하며, 각 노즐(40)의 솔레노이드밸브(42)가 개폐 작동되어 설정된 위치에 물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낙하 분수(10)는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노즐(40)을 통해 물을 하방향으로 낙하시켜 수직의 물줄기를 형성한다. 물줄기라 함은 연속적으로 낙하되는 물방울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줄기 형태의 물의 흐름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의 양과 시간차 등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문자나 그림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낙하 분수(10)는 주변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계(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풍속계(56)는 제어부(60)에 연결되어, 검출된 풍속값을 제어부(60)로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풍속계(56)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솔레노이드밸브(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분수 주변의 바람 세기에 따라 노즐(40)을 통한 물의 낙하와 연출을 통제함으로써, 바람 세기와 관계없이 언제나 문자나 그림 등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다.
프레임구조물(20)은 낙하 분수(10)의 뼈대를 이루며, 노즐(40)을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하여 지지한다. 프레임구조물(20)은 낙하 분수(10)의 크기나 설치 장소에 따라 크기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프레임구조물(20)의 상부에 상부수조(30)가 설치된다. 상부수조(30)는 프레임구조물(20)을 따라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상부수조(30)의 하단에 복수개의 노즐(40)이 폭방향을 따라 배열 설치된다. 노즐(40)의 설치 개수나 설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각 노즐(40)은 상부수조(30)와 연통 설치되어 상부수조(3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부수조(30)에 수용된 물은 노즐(40)을 통해 자유 낙하 방식으로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프레임구조물(20)의 하부에는 노즐(40)에서 낙하된 물을 받아 수용하는 하부수조(50)가 설치된다. 하부수조(50)는 프레임구조물(20)을 따라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프레임구조물(20)의 하부에는 하부수조(50)를 덮어 보호하는 배수판(58)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판(58)은 프레임구조물(20)의 하부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배수판(58)은 격자형태의 판 구조로, 노즐(40)에서 낙하된 물이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하부수조(50)와 상부수조(30)는 순환관(52)을 통해 연결되며, 순환관(52) 일측에 설치된 공급펌프(54)의 구동에 따라 하부수조(50)에 저장된 물이 상부수조(30)로 재공급된다. 이에 상부수조(30)와 하부수조(50) 사이에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노즐(40)을 통해 물을 계속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관(52) 일측에는 상부수조(30)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정화부(5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정화부(59)는 물을 살균하거나 정화 처리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정화부(59)는 예를 들어, 오존이나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물을 살균 처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하부수조(50)로 낙하된 물은 상부수조(30)로 재공급되는 과정에서 정화부(59)에 의해 살균처리되어 오염이 제거된 청정한 상태로 재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오염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낙하 분수(10)는, 프레임구조물(20)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수조(30)에서 월류하는 물을 저장하는 보조수조(32), 보조수조(32)와 하부수조(50)를 연결하여 보조수주의 물을 하부수조(50)로 배출하는 리턴라인(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수조(32)는 상부수조(30)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상부수조(30)의 상단을 넘어 월류하는 물을 저장한다. 이에, 공급펌프(54)에 의해 상부수조(30)로 공급된 물은 상부수조(30)에 채워진고 남은 물은 상부수조(30)를 월류하여 보조수조(32)에 수용된다. 보조수조(32)로 월류된 물은 리턴라인(34)을 통해 하부수조(50)로 이동되어 하부수조(50)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부수조(30)에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을 채울 수 있고, 노즐(40)을 통해 일정하게 물을 자유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각 노즐(40)에는 노즐(40)의 관로(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42)가 설치된다. 솔레노이드밸브(42)의 개폐구동에 따라 노즐(40)에서 물이 하부로 낙하되어 물줄기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40)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즐(40)은 내부 중심에 물을 배출하는 관로(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40)의 측면에는 내부 관로(41)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관로(41)로 유입시키기 위한 홀(44)이 형성된다. 홀(44)은 복수개가 노즐(40)의 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44)은 3개가 120도 각도로 형성된다. 홀(44)의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노즐(40) 측면에 홀(44)이 형성됨에 따라 물이 관로(41)를 통해 낙하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홀(44)을 통해 관로(41) 내부로 유입되어 물과 혼합될 수 있다.
노즐(40)의 내부 관로(41)를 통해 물이 흐르게 되면, 관로(41) 내부 압력은 외부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에, 외부의 공기가 홀(44)을 통해 노즐(40)의 관로(41) 내부로 유입되어 물과 혼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노즐(40)은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형태의 물줄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물과 공기가 섞임에 따라 공기에 의해 물줄기의 투명도가 떨어지게 되고, 불투명의 뿌연 색상의 물줄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줄기를 불투명하게 형성함으로서 외부에서 물줄기 또는 물줄기를 통해 구현되는 문자나 그림 등을 보다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44)은 관로(41)의 축방향을 따라 노즐(40)의 외측에서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홀(44)은 관로(41)의 방사방향에 대해 노즐(40)의 외측에 내부를 향해 관로(41)의 접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즉, 홀(44)은 관로(41)를 통한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관로(41)의 접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공기는 홀(44)을 통해 노즐(40)의 관로(41) 내부로 소용돌이 형태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관로(41) 내부를 지나는 물에 소용돌이 형태로 유입되어 물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낙하 분수(10)는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에 에어를 분사하여 물줄기의 물방울 낙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는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의 낙하 위치에 맞춰 프레임구조물(20)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물줄기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슬릿(72)이 형성된 에어분사관(70), 에어분사관(70)에 연결되어 에어분사관(70)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송풍기(74)가 구동되면 에어가 에어분사관(70)으로 공급되고, 에어분사관(70) 상부에 형성된 슬릿(72)을 통해 낙하되는 물을 향해 고압의 에어가 분사된다. 따라서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의 낙하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물줄기를 이루는 물방울의 낙하 속도가 줄게 된다.
즉, 노즐(40)에서 떨어져 물줄기를 이루는 물방울은 밑으로 자유 낙하하며, 물방울의 낙하 방향 바로 아래에 위치한 슬릿(72)을 통해서는 고압의 에어가 물방울을 향해 분사됨에 따라 물방울은 에어 부딪쳐 속도가 줄게 된다.
이와 같이,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방울의 종말 속도를 분수 바닥쪽에서 저하시킴에 따라 물방울의 상부 낙하 속도와 하부 낙하 속도 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물줄기의 형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외부에서 분수를 볼 때 분수의 물줄기가 이루는 물방울의 형태를 보다 확실하고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분사관(70)은 예를 들어 원통형 파이프 구조물로, 배수판(58) 아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에어분사관(70)은 배수판(58) 중심부에 배치되어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다. 에어분사관(70)의 상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슬릿(72)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에어분사관(70)으로 공급된 에어는 상부의 슬릿(72)을 통해 위로 분사될 수 있다.
슬릿(72)의 위치는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의 낙하 위치와 일치될 수 있다. 이에, 슬릿(72)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정확히 노즐(40)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와 충돌되어 물방울의 낙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배수판(58)은 언급한 바와 같이, 격자형태의 판 구조물로, 슬릿(72)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배수판(58)을 통과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면서 위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에어는 배수판(58)에 의해 흐트러지거나 퍼지지 않고 상부를 향해 직선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수의 낙하 형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물방울의 낙하 속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낙하 분수(10)는 물줄기를 통과하는 이동체를 감지하여 이동체 위치에서 물줄기를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각 노즐(40)에 대한 이동체의 위치와 크기 및 형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80), 이동체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센서(82), 카메라(80)와 반응센서(82)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이동체가 물줄기를 통과하는 시점에 맞춰 해당 위치 노즐(40)의 솔레노이드밸브(42)를 제어하여 물 분사를 차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에 의해 이동체는 물줄기를 피해 자유롭게 분수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동체라 함은 사람이나 개 또는 물건 등 분수를 지나는 모든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80)는 예를 들어, 프레임구조물(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분수 폭방향 전체 길이에 대해 이동체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80)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카메라(80)의 검출 신호를 통해 분수의 폭방향에 대한 이동체 위치와 이동체의 크기 및 형태가 검출된다. 카메라(80)로부터 촬영된 디지털신호는 제어부(60)로 인가되고 제어부(60)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신호를 연산하여 이동체의 위치와 크기 및 형태를 검출할 수 있다.
반응센서(82)는 이동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반응센서(82)는 예를 들어,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반응센서(82)는 이동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응센서(82)는 높이가 낮은 이동체도 충분히 검출할 수 있도록, 분수의 프레임구조물(20)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움직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도 2의 z축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반응센서(82)가 분수대를 향해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이동체가 분수를 향해 움직이면 배치된 반응센서(82)가 순차적으로 이동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60)는 각 반응센서(82)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분수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체의 움직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이동체가 분수의 물줄기에 도달하는 시점에 맞춰 해당 위치의 노즐(4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42)가 작동되어 노즐(40)을 통한 물의 낙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가 분수를 지나는 위치에 배치된 노즐(40)에서는 물이 낙하되지 않아, 이동체는 물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분수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수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도 이동체는 자유롭게 분수를 통과하면서 분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낙하분수 20 : 프레임구조물
30 : 상부수조 32 : 보조수주
34 : 리턴라인 40 : 노즐
41 : 관로 42 : 솔레노이드밸브
44 : 홀 50 : 하부수조
52 : 순환관 54 : 공급펌프
56 : 풍속계 58 : 배수판
59 : 정화부 60 : 제어부
70 : 에어분사관 72 : 슬릿
74 : 송풍기 80 : 카메라
82 : 반응센서

Claims (4)

  1. 프레임구조물 상단에 설치되며 분수용 물이 수용되는 상부수조, 상기 상부수조 하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상부수조의 물을 수직하방으로 배출하여 물줄기를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설치되어 관로를 개폐하여 물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프레임구조물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배출된 물을 받아 저장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와 상기 상부수조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수조의 물을 순환관을 통해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노즐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에 에어를 분사하여 물줄기의 물방울 낙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노즐에서 낙하되는 물줄기의 낙하 위치에 맞춰 상기 프레임구조물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물줄기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슬릿이 형성된 에어분사관, 상기 에어분사관에 연결되어 에어분사관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낙하 분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조에서 월류하는 물을 저장하는 보조수조, 상기 보조수조와 상기 하부수조를 연결하여 보조수주의 물을 하부수조로 배출하는 리턴라인을 더 포함하는 낙하 분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90137A 2021-07-09 2021-07-09 낙하 분수 KR10254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37A KR102545327B1 (ko) 2021-07-09 2021-07-09 낙하 분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37A KR102545327B1 (ko) 2021-07-09 2021-07-09 낙하 분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79A KR20230009579A (ko) 2023-01-17
KR102545327B1 true KR102545327B1 (ko) 2023-06-22

Family

ID=8511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37A KR102545327B1 (ko) 2021-07-09 2021-07-09 낙하 분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42B1 (ko) * 2023-06-21 2023-12-18 한은희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555B1 (ko) * 2006-06-20 2007-11-20 정태석 물의 낙하 시차에 의한 상(像)의 구현장치
JP2009042395A (ja) 2007-08-07 2009-02-26 Koei Co Ltd ウォータ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65782B1 (ko) * 2011-03-29 2011-09-20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물줄기를 이용한 영상 구현 장치
KR101788547B1 (ko) * 2017-03-22 2017-10-20 최연하 분수 운용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07A (ja) * 1993-01-14 1995-01-24 Kubota Corp 気泡によ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94115B1 (ko) * 2000-12-07 2003-08-0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2중 수조를 이용한 매직분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555B1 (ko) * 2006-06-20 2007-11-20 정태석 물의 낙하 시차에 의한 상(像)의 구현장치
JP2009042395A (ja) 2007-08-07 2009-02-26 Koei Co Ltd ウォータ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65782B1 (ko) * 2011-03-29 2011-09-20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물줄기를 이용한 영상 구현 장치
KR101788547B1 (ko) * 2017-03-22 2017-10-20 최연하 분수 운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79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327B1 (ko) 낙하 분수
ES2944586T3 (es) Sistema de monitorización y control de espuma de flujo lateral
ES2346692T3 (es) Instalacion de lavado.
US5810043A (en) Automatic chlorinator
US5089127A (en) Chemical feed apparatus
KR910011210A (ko) 고압 클리너
ES2605630T3 (es) Sistema de gestión de líquido
KR101391149B1 (ko) 습식집진기
KR100471419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434106Y1 (ko) 먼지 제거 분무장치
US6202678B1 (en) Gas discriminating valve for shutting off excessive flow of liquids
JP4948097B2 (ja) 降温用噴霧システム
JP2019529071A (ja) 排水蒸発装置
WO2007105492A1 (ja) ミスト発生器
KR101549795B1 (ko) 수질정화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
JP2004000845A (ja) 降水装置
EP19803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use solution
US6413416B1 (en) Water treatment vessel with cartridge holder for holding tablets
KR101509009B1 (ko)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ES2711302T3 (es) Aparato para el cuidado de la colada con un elemento de deflexión
KR101843515B1 (ko) 라돈 제거장치
JP2009172584A (ja) 薬剤溶解器および薬液供給装置
KR20160018960A (ko) 기액 혼합장치
ES2302776T3 (es) Dispositivo de gas de proteccion para maquinas de colada a presion.
KR101692241B1 (ko) 낙수방지 포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