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776A2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776A2
WO2019088776A2 PCT/KR2018/013283 KR2018013283W WO2019088776A2 WO 2019088776 A2 WO2019088776 A2 WO 2019088776A2 KR 2018013283 W KR2018013283 W KR 2018013283W WO 2019088776 A2 WO2019088776 A2 WO 201908877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cricket
crickets
protease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2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9088776A3 (ko
Inventor
김여진
배수진
박홍욱
정우경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WO201908877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776A2/ko
Publication of WO201908877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77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2Tyro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air of cricket extracts and a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 insects contain a larg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amino acids, as well as various vitamins, minerals, chitosan and contains nutrients.
  • Gryllus bimaculatus is an insect belonging to the locust tree cricket and has been registered as a food ingredient in Korea along with locusts, edible pupa, white mackerel, brown mackerel, white spotted mackerel, It is an insect.
  • the pair crickets are not familiar with ingesting insects having high quality nutrients such as carbohydrate 2.5%, protein 20.2% and fat 7.7%, or crickets of each pair as raw materials, and when they are simply dried and pulverized as in the past, Due to the fat content contained in the crickets, the shape of the powder is not spoiled, and there are already (insect peculiar peculiar smell) and odor (insect peculiar smell), making it difficult for ordinary consumers to easily ingest.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34939 (2016.11.24)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02,851 (Jan. 31, 2017)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r of cricket extracts with improved flavor so that the nutrition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rickets can be used for foo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of making a pair of cricket extracts comprising treating the pair of crickets with proteolytic enzym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pair of cricket extracts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anufacturing cricket extracts and having a hexanal content of 0 mg / L or more and 0.2 mg / L or less.
  •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a food material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cricket extract.
  • cricket extracts and the compositions or foods containing them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ricke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improved in flavor but also have a high content of free amino acid and have antioxidant and anti- .
  • Figure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king a cricket extract by pair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each of the protease enzymes Flavourzyme and Protamex in the preparation of cricket extra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yrosine (L-tyrosine).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ontent of L-tyrosine in the case where 1% of flavorzyme and 1% of proteasma were mix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ested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 FIG. 4 shows the titration conditions of the proteolytic enzyme tre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ricket extract of each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cricket extract of each of the present applica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2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 FIG. 6 is a table showing the EC 50 (ppm) value of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2.
  • FIG. 6 is a table showing the EC 50 (ppm) value of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2.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nitrite generation on RAW 264.7 macrophages of the cricke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was confirmed in Experimental Example 3, wherein FIG. 7 a shows the inhibitory effect on Nirite 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with or without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e treatment) And Fig. 7B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nhibiting Nirite formation by enzyme treatment and concentration difference.
  • FIG. 8 is a graph showing cell survival analysis results of RAW 264.7 macrophages of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4.
  • FIG. 8 is a graph showing cell survival analysis results of RAW 264.7 macrophages of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dentified in Experimental Example 4.
  • FIG.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content of hexanal components of the cricke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termined in Experimental Example 5.
  • FIG.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content of hexanal components of the cricke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termined in Experimental Example 5.
  •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twin cricket extracts and methods of making them.
  • the cricket extra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prepared by treating the crickets of each pair with proteolytic enzymes.
  • the crickets are treated with proteolytic enzymes.
  • the step of treating the pair of crickets with protease may be performed by decomposing a protein, which is one of the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pair crickets, into a free amino acid or polypeptide to make it easy to be absorbed into the body, And to reduce the foreign body sensation.
  • the prote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may be one that is widely used commercially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epsin, trypsin, Flavourzyme, Protamex, papain, alpha Chymotrypsin, pancreatase and the like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flavorzyme, protease, and the like.
  • the Plastic Bor atom is Aspergillus duck material (Aspergillus oryzae- derived protease has both endoprotease characteristics and exoprotease characteristics.
  • the protease is a protease derived from Bacillus subtilis ( Bacillus subtilis), and endoprotease and endoprotease (see FIG. 4).
  • the protease is used in a concentration of 0.0001 to 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3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1 to 2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ickets . ≪ / RTI > And wherein the proteolytic enzyme can be treated for 5 minutes to 5 hours, specifically 30 minutes to 2 hours, more specifically 1 hour to 1.5 hours.
  •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protease is less than 0.00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ickets by pair or the treatment time of the protease is less than 5 minutes, the protein is not sufficiently decomposed, , It is impossible to sufficiently reduce the already existing crumbs of crickets, odor or foreign body, and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protease exceeds 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ickets by the pair, or the treatment time of the protease is 5 If the time is excee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or the process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 the cricket before treating the proteolytic enzyme as described above, the cricke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step of fasting and pulverizing.
  • the step of breeding the pair of crickets is a process for removing imine odor or foreign body inherent to the cricket by lowering the content of feed and excrement remaining in the inside of the cricket by pair.
  • the pair crickets are grown by maintaining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 the crickets are grown mainly by sawdust and pushing.
  • the abstinence step may be performed for 1 hour to 72 hours, specifically 12 hours to 36 hours, more specifically, 18 hours to 30 hours.
  • the fasting time is less than 1 hour, feed and excrement of the inside of the cricket can not be sufficiently removed, and foreign matter or a foreign object may be left. If the fasting time is more than 72 hours, the growth of crickets by pair may be inhibited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the crickets of the pair may be grown by grains such as wheat flour instead of sawdust or pushing before the cutting step,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imperfections of crickets by pairs.
  • the crickets that are fas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ulveriz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tease before the protease is treated.
  • the crushing may be performed by cutting or decomposing the fasted crickets by each site, then selectively crushing only necessary parts, or crushing all parts without separate cutting or decomposition processes.
  • a certain amount of water may be add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pulverization and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teolytic enzyme. 100 parts by weight to 3,00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asted pair of crickets, 200 to 2500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400 parts by weight to 2000 parts by weight of water may be added.
  • the nutritional components can be further extracted from the pulverized product as described above by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 a hydrothermal export method can be applied, and in this case, it can be extracted at a temperature of 70 ° C to 150 ° C, specifically 80 ° C to 120 ° C, for 5 minutes to 60 minutes, specifically, 10 minutes to 30 minutes.
  • the pulverized product of cricket by pair may be further subjected to centrifugation and further step of obtaining a supernatant, before further treatment of the proteolytic enzym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teolytic enzyme.
  • fat and sediment are excluded from the crushed crickets of the pair, and the water-soluble component and the protein component can be separated.
  • the proteolytic enzyme is treated in the supernatant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 the centrifugation and supernatant may be carried out by centrifuging the pulverized crushed crustaceans at 3000 rpm to 8000 rpm for 10 minutes to 30 minutes. If the pulverized crushed crustaceans are not separated sufficiently or the process economical efficiency There is a falling problem.
  • the enzyme-treated produ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ny one or more steps of heating and cooling, filtering, concentrating and lyophilizing.
  • the step of heating and cooling the enzyme-treated product is a process for sterilizing the microorganisms while improving the stability as a food while inactivating proteolytic enzymes in the enzyme-treated product.
  • the heating step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90 to 150 ° C, specifically 95 to 130 ° C, more specifically 100 to 120 ° C, for 10 minutes to 120 minutes, specifically 20 to 60 minutes, For 30 minutes to 40 minutes. If the heating step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90 ° C or is carried out at a time of less than 10 minutes, inactivation of the proteolytic enzyme or sterilization of the microorganism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 The nutritional components may be destroyed. Further, after the heating step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step may be performed.
  • the cooling step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0 ° C to 10 ° C, specifically 1 ° C to 7 ° C, more specifically 3 ° C to 5 ° C, for 30 minutes to 120 minutes, specifically 45 minutes to 90 minutes, May be carried out for a time of from 50 minutes to 70 minutes. If the cooling step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more than 10 DEG C or is carried out at a time of less than 30 minutes, the enzyme treatment may not be sufficiently cooled, and it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0 DEG C or at a time of more than 120 minut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cess economical efficiency may deteriorate.
  • the step of filtering the enzyme-treated product is a process for furthe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ulveriza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reducing the foreign sensation derived from the cricket by pair.
  • the enzyme-treated product only the water-soluble supernatant A conventional filtration method such as a filter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enzyme-treated product can be filtered with a filter having a size of 0.2 mu m to 5 mu m. Outside of the above range, the enzyme-treated product may not be sufficiently separated or the process economy may be deteriorated.
  • the step of concentrating the enzyme-treated product is a step for further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the food material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solid component and can be carried out through a concentration method that is generally used in the food field. For example, it can be concentrated under the conditions of 40 to 60 DEG C, 10 to 100 rpm and 20 to 100 mbar using a conventional concentrator.
  • the concentration step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treated product is from 5 brix to 40 brix, specifically from 10 brix to 30 brix. If the concentration is outside the above range, the freeze-drying step may not be easy or the process economical efficiency may deteriorate.
  • the enzyme-treated product is subjected to a simple deactivation of proteolytic enzymes at a temperature of 90 ° C or more for 10 minutes or more, The step may be carried out after the concentration step.
  • the lyophiliza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lyophilizing and pulverizing the enzymatically treated material, which is easy to store as a food material and applicable to various products.
  • the powder obtained by lyophilization is lower in fat content than that obtained by drying in a general hot air drying method and then pulverized, so that the powder is not clumped and a more fine powder can be obtained.
  • an extract of crickets of each pair having low fat content and low odor and foreign body sensation can be produced.
  •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as described above has a hexanal concentration of 0 mg / L to 0.2 mg / L or less, more specifically 0 mg / L to 0.1 mg / L or less, 0 mg / L to 0.05 mg / L or less, 0 mg / L to 0.03 mg / L or less, 0 mg / L to 0.01 mg / L or less, or 0 mg / L to 0.008 mg / L or less.
  • L-tyrosine which is one of the amino acids produced by hydrolysis of proteins by protein hydrolytic enzymes, is in the range of 0.1 mg / mL to 1.0 mg / mL .
  • the cricket extract of each pair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tains a high content of other free amino acids or polypeptides in a form that is readily absorbable in the body.
  •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bu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ell death in anti-inflammatory action (see Experimental Examples 2 to 4).
  • the cricket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epared in powder, granule or liquid form and may be used or included as a component of food composition or food.
  • the crickets were slaughtered for 24 hours at the age of 40 to 45 days.
  • the pulverized product is centrifuged at 6000 rpm for 20 minutes, and only the supernatant is taken.
  • Protease protease Flavourzyme or Protamex was added to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ation at a concentration of 0.1%, 0.25%, 0.5%, 0.75%, and 1%, and flavorzyme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50 (Protamex) at a temperature of 60 ° C for 1, 2, 3, 4 or 5 hours, or 1% of flavorzyme and 1% of proteasma are added together at a temperature of 55 ° C For 1, 2, 3, 4, and 5 hours, and then the protease was inactivated at a temperature of 100 DEG C for 10 minutes.
  • the enzyme-treated solution was sterilized at 100 ° C for 30 minutes, cooled at 4 ° C for 60 minutes, and allowed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under refrigeration conditions.
  • the crickets were slaughtered for 24 hours at the age of 40 to 45 days.
  • the pulverized material is extracted at 100 DEG C for 20 minutes to extract water-soluble nutrients.
  • the extract is centrifuged at 6000 rpm for 20 minutes, and only the supernatant is taken.
  • Protease protease Flavourzyme or Protamex was added to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ation at a concentration of 0.1%, 0.25%, 0.5%, 0.75%, and 1%, and flavorzyme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50 (Protamex) at a temperature of 60 ° C for 1, 2, 3, 4 or 5 hours, or 1% of flavorzyme and 1% of proteasma are added together at a temperature of 55 ° C For 1, 2, 3, 4, and 5 hours, and then the protease was inactivated at a temperature of 100 DEG C for 10 minutes.
  • the enzyme-treated solution was sterilized at 100 ° C for 30 minutes, cooled at 4 ° C for 60 minutes, and allowed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under refrigeration conditions.
  • the content of hydrolyzate according to the hydrolysis tim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L-tyrosine.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0.1%, 0.25%, 0.5%, 0.75% and 1% of flavorzyme and protease enzyme, respectively, and the reaction time was set to 1, 2, 3, 4 and 5 hours.
  •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tyrosine content is shown in Fig.
  •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water-soluble nutrients and the hydrolyzate content of the hydrolyzate were also determined by measuring L-tyrosine.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mixing 1% each of flavorzyme and protease and setting the reaction time to 1, 2, 3, 4 and 5 hours. Respectively.
  • the water-soluble nutrients are extracted from the pulverized water of the cricket pair and centrifuged to remove the water-soluble nutrients. And exhibited superior hydrolysis performance.
  •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reducing power of DPPH (1,1 diphenyl-2-picrylhydrazyl). 100 ⁇ l of 0.2 mM DPPH solution was added to 100 ⁇ l of each of 98-5000 ppm of cricket extract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hot water extrac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zyme treatment. The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5 nm , which are shown in Fig. 5 and Fig.
  • RAW 264.7 cells induced by inflammation reaction through LPS were treated with cricket extracts of each pair to determine the amount of NO produc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NO 2 - present in the cell culture medium.
  •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100 units / ml of penicillin-streptomycin and 10% fetal bovine serum (Gibco, MD, USA) (Dubleco's Modified Eagle Medium / Gibco, Were incubated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Thermo Scientific, IL, USA) and subcultured at 2-day intervals.
  • RAW 264.7 cells were divided into 96-well plates at 2 ⁇ 10 5 cells / well. After 5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each of the above methods (whether or not there was hot water extraction, enzyme treatment, 8, 40, 200, 1000 ppm), Fig. 7b). Cricket extracts were treated with LPS and cultured in a 5% CO 2 incubator at 37 ° C for 24 hours.
  • NO is a free radical generated through enzyme catalysis of NOS (NO Synthase),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regulating blood pressure and acting as a neurotransmitter in the immune response. Excess NO production is known to cause an inflammatory reaction.
  • NOS NO Synthase
  •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100 units / ml of penicillin-streptomycin and 10% fetal bovine serum (Gibco, MD, USA) (Dubleco's Modified Eagle Medium / Gibco, Were incubated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Thermo Scientific, IL, USA) and subcultured at 2-day intervals.
  • RAW 264.7 cells were divided into 96-well plates at 2 ⁇ 10 5 cells / well, treated with the above-mentioned cricket extract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8, 40, 200, 500 and 1000 ppm) in% CO 2 incubator and cultured for 24 hours.
  • the cells were incubated in a microplate reader (Beckman Coulter, CA, USA)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for 90 min. And the absorbance at 490 nm was measured to determine cell viability.
  • the cricket extract of each pair showed a cell survival rate of 88.45 ⁇ 2.65 ⁇ 103.71 ⁇ 4.68 %%,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ell death at the concentration of 8-1000 ppm .
  • Hexanal which is one of the oxidation products,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m to confirm that the degree of oxidation was decreased by reducing the odor and virgin components derived from insects and utilizing it as a food material.
  • Hexanal is a substance mainly produced by the oxidation of fatty acids such as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and the decomposition of aldehydes. Hexanal is one of the oxidation products, It is known as a component. The fat content of crickets is 9.0% (oleic acid 26%, linoleic acid 32%).
  • Hexanal was reduced by pretreatment (dietary control, fasting), extraction, centrifugation, and enzyme treat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odor and vignetting decrea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출원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3년에 곤충을 식량으로 추천하는 유엔 보고서가 나온 이후, 미래 식량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식용 곤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곤충에는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과 아미노산이 고루 포함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비타민, 무기질, 키토산 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 중,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에 속하는 곤충으로서, 메뚜기, 식용번데기, 백강잠누에, 갈색거저리 애벌레(고소애),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꽃무지), 장수풍뎅이 유충과 함께 국내에 식품 원료로 등록되어 있는 곤충이다. 상기 쌍별귀뚜라미는 탄수화물 2.5%, 단백질 20.2%, 지방 7.7%로 양질의 영양분을 가지는 곤충이나, 쌍별귀뚜라미를 원물 형태 그대로 섭취하기에는 익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단순히 건조 및 분말화한 경우에는 쌍별귀뚜라미에 포함된 지방 성분으로 인해 분말의 형태가 곱지 않고, 이미(곤충 특유의 비린맛)와 이취(곤충 특유의 비린내)가 있어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섭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쌍별귀뚜라미와 같은 곤충 식품 원료에 대한 혐오감을 없애면서,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고, 특히 곤충의 불포화지방산과 같은 영양성분이나 풍미 개선을 위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쌍별귀뚜라미에 대해서는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4939호와 같이 양어용 사료 첨가제 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02,851호와 같은 기능성 소재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었으나, 풍미 개선을 통해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일 뿐만 아니라,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4939호(2016.11.24)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02,851호(2017.01.31.)
본 출원의 일 목적은 쌍별귀뚜라미에 포함된 영양성분을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풍미를 개선한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측면은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고, 헥사날(hexanal) 함량이 0mg/L 초과 0.2mg/L 이하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소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나 식품은 이미, 이취가 적어 풍미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 항염증의 효능을 나타낸다.
다만, 본 출원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 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과 프로타맥스(Protamex)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별, 시간 경과에 따른 L-티로신(L-tyrosi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 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플라보르자임 1%와 프로타맥스 1%를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의, 추출 공정 유무에 따른 시간별 L-티로신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쌍별 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서 처리한 단백질 분해 효소의 적정 처리 조건을 나타내었다.
도 5는 실험예 2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을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EC50(ppm) 값을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 귀뚜라미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itrite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7a는 제조방법 (열수 추출 유무, 효소 처리 유무)에 따른 Nirite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리프이고, 도 7b는 효소 처리, 농도 차이에 따른 Nirite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 4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세포 생존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예 5에서 확인한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단계별 헥사날(Hexanal) 성분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먼저,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쌍별귀뚜라미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성분 중 하나인 단백질을 유리 아미노산이나 폴리펩티드로 분해하여 체내 흡수가 용이한 형태로 만드는 한편, 쌍별귀뚜라미 고유의 이미나 이취를 제거하고 이물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펩신, 트립신,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프로타멕스(Protamex), 파파인, 알파키모트립신, 판크레아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라보르자임, 프로타맥스 등일 수 있다. 상기 플라보르자임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유래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 엔도프로테아제(endoprotease)의 특성과 엑소프로테아제(exoprotease)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고, 상기 프로타멕스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is) 유래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 엔도프로테아제(endoprotease)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도 4 참고).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상기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농도로, 구체적으로는 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의 농도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의 농도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5분 내지 5시간 동안, 구체적으로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더욱 구체적으로는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 농도가 상기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미만이거나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단백질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아서 체내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쌍별귀뚜라미의 이미, 이취 또는 이물감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 농도가 상기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초과이거나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 시간이 5시간 초과인 경우에는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공정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기 전에, 상기 쌍별귀뚜라미는 절식시킨 후 분쇄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쌍별귀뚜라미를 절식시키는 단계는 쌍별귀뚜라미의 내장에 잔존하는 사료 및 배설물의 함량을 낮추어 쌍별귀뚜라미 고유의 이미나 이취, 또는 이물감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쌍별귀뚜라미는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생육되는 것으로, 주로 톱밥이나 밀겨 등의 식이로 생육되는데, 쌍별귀뚜라미를 절식 없이 가공하게 되면 쌍별귀뚜라미의 내장에 있던 잔여 사료나 배설물로 인하여 가공에도 불구하고 강한 이미, 이취 또는 이물감이 남아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절식 과정을 통해 쌍별귀뚜라미 고유의 이미나 이취, 또는 이물감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식 단계는 1시간 내지 72시간,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내지 36시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절식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쌍별귀뚜라미의 내장의 사료 및 배설물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이미, 이취 또는 이물감이 남을 수 있고, 상기 절식 시간이 72시간 초과인 경우에는 쌍별귀뚜라미의 생육이 저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절식 단계 이전에 상기 쌍별귀뚜라미를 톱밥이나 밀겨 등의 식이 대신에, 밀가루 등의 곡물 식이로 생육함으로써 쌍별귀뚜라미의 이미, 이취 또는 이물감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식시킨 쌍별귀뚜라미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기 전에,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작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쇄는 상기 절식시킨 쌍별귀뚜라미를 부위별로 절단 또는 분해한 후 필요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분쇄하거나 별도의 절단 또는 분해 공정 없이 모든 부위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쇄를 용이하게 하고 단백질 분해 효소의 작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첨가할 수 있는데, 상기 절식시킨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내지 3000 중량부, 구체적으로 200 내지 250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400 중량부 내지 20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절식시킨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 대비 첨가되는 물의 양이, 10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쌍별귀뚜라미의 분쇄 효율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고, 300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고형분이 낮아 추후 농축 과정 등에서 공정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 하기 전에, 상기와 같이 분쇄된 분쇄물로부터 통상의 추출 방법으로 영양성분을 더욱 추출해 낼 수 있다. 예컨대 열수 수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70℃ 내지 150℃,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60분, 구체적으로 10분 내지 30분의 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쌍별귀뚜라미의 분쇄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기 전에,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작용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심 분리하고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쌍별귀뚜라미의 분쇄물에서 지방과 침전물은 제외되고, 수용성 성분과 단백질 성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심분리 및 상등액 수득 과정을 거치는 경우,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상기 과정을 통해 수득된 상등액에 처리되는 것이다. 상기 원심분리 및 상등액 수득 단계는 쌍별귀뚜라미의 분쇄물을 3000rpm 내지 8000rpm으로 10분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외의 조건에서는 쌍별귀뚜라미의 분쇄물이 충분히 분리되지 않거나 공정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한 다음, 상기 효소 처리물은 가열 및 냉각하는 단계, 여과하는 단계, 농축하는 단계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효소 처리물을 가열 및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효소 처리물 내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을 살균하여 식품으로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가열 단계는 90℃ 내지 150℃, 구체적으로는 95℃ 내지 130℃,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120℃의 온도 조건으로, 10분 내지 120분, 구체적으로는 20분 내지 60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30분 내지 40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단계가 9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0분 미만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실활이나 미생물의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150℃ 초과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20분 초과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영양성분이 파괴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열 단계 이후에는 냉각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는 0℃ 내지 10℃, 구체적으로는 1℃ 내지 7℃, 더욱 구체적으로는 3℃ 내지 5℃의 온도 조건으로, 30분 내지 120분, 구체적으로는 45분 내지 90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50분 내지 70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가 10℃ 초과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30분 미만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효소 처리물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을 수 있고, 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20분 초과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공정경제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효소 처리물을 여과하는 단계는 쌍별귀뚜라미에서 유래한 이물감을 감소시키는 한편, 상기와 같은 분말화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상기 효소 처리물에서 침전물을 제외하고 수용성 상등액만을 분리하는 것인데, 필터 등과 같은 통상의 여과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효소 처리물을 0.2㎛ 내지 5㎛의 필터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외에서는 효소 처리물이 충분히 분리되지 않거나 공정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 처리물을 농축하는 단계는 고형분의 함량을 높혀 식품 소재로서의 유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종래 식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농축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의 농축기를 이용하여 40℃ 내지 60℃, 10rpm 내지 100rpm, 20mbar 내지 100mbar의 조건에서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단계는 상기 효소 처리물의 농도가 5brix 내지 40brix, 구체적으로 10brix 내지 30brix가 되도록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외로 농축할 경우 동결 건조 단계가 용이하지 않거나, 공정 경제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가열 및 냉각 단계와 상기 농축 단계가 모두 수행되는 경우, 상기 효소 처리물은 90℃ 이상의 온도에서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 단백질 분해 효소만을 간단히 실활시킨 후 농축 단계를 먼저 수행하고, 가열 및 냉각 단계는 상기 농축 단계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효소 처리물을 분말화함으로써 식품 소재로서 저장이 용이하고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구체적으로 동결 건조 후 분말화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일반적인 열풍 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에 비하여 지방 함량이 낮아 뭉치지 않으므로, 보다 고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함으로써, 지방의 함량이 낮고, 이미, 이취 및 이물감이 낮은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에는, 이취를 내는 산화 생성물 중의 한 성분인 헥사날(hexanal)이 0mg/L 초과 0.2mg/L 이하, 구체적으로는 0mg/L 초과 0.1mg/L 이하, 0mg/L 초과 0.05mg/L 이하, 0mg/L 초과 0.03 mg/L 이하, 0mg/L 초과 0.01mg/L 이하, 또는 0mg/L 초과 0.008mg/L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에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가 단백질을 가수분해 함으로써 생성되는 아미노산 중 하나인 L-티로신(L-tyrosine)이 0.1 mg/mL 내지 1.0mg/mL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L-티로신 외에도,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에는 체내 흡수가 용이한 형태의 다른 종류의 유리 아미노산이나 폴리펩티드가 높은 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산화, 항염증 효과를 가지면서도 항염증 작용에서 세포 사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실험예 2 내지 4 참고).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분말, 과립 또는 액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식품 소재용 조성물이나 식품의 일 성분으로 이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조예 1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1) 쌍별귀뚜라미를 절식시키는 단계
밀겨 식이로 생육한 40~45일령의 쌍별귀뚜라미를 24시간 동안 절식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다음, 세척 후 냉동 보관하였다.
(2) 쌍별귀뚜라미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식시킨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분쇄하여 추출 및 효소 처리가 용이한 액상으로 제조하였다.
(3) 분쇄물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6000rpm으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만 취한다.
(4) 상등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원심 분리하여 수득한 상등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또는 프로타맥스(Protamex)를 0.1%, 0.25%, 0.5%, 0.75%, 1%의 농도로 첨가하고 플라보르자임은 50℃의 온도에서, 그리고 프로타맥스(Protamex)는 60℃의 온도에서 1, 2, 3, 4, 5시간 처리하거나, 플라보르자임 1%와 프로타맥스 1%를 함께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1, 2, 3, 4, 5시간 처리한 후, 10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5) 쌍별귀뚜라미 효소 처리액을 살균, 냉각하는 단계
상기 효소 처리액을 100℃에서 30분 간 살균하고, 4℃에서 60분간 냉각하여 냉장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조예 2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1) 쌍별귀뚜라미의 식이를 조절하는 단계
밀겨 식이로 생육한 40~45일령의 쌍별귀뚜라미를 24시간 동안 절식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다음, 세척 후 냉동 보관하였다.
(2) 쌍별귀뚜라미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식시킨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분쇄하여 추출 및 효소 처리가 용이한 액상으로 제조하였다.
(3) 분쇄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100℃에서 20분간 추출하여 수용성 영양 성분을 추출한다.
(4) 추출액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6000rpm으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만 취한다.
(5) 상등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원심 분리하여 수득한 상등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또는 프로타맥스(Protamex)를 0.1%, 0.25%, 0.5%, 0.75%, 1%의 농도로 첨가하고 플라보르자임은 50℃의 온도에서, 그리고 프로타맥스(Protamex)는 60℃의 온도에서 1, 2, 3, 4, 5시간 처리하거나, 플라보르자임 1%와 프로타맥스 1%를 함께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1, 2, 3, 4, 5시간 처리한 후, 10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6) 쌍별귀뚜라미 효소 처리액을 살균, 냉각하는 단계
상기 효소 처리액을 100℃에서 30분 간 살균하고, 4℃에서 60분간 냉각하여 냉장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험예 1: 효소 종류 및 처리 조건에 따른 L-티로신(L-tyrosine) 함량 측정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효소적 가수 분해를 위한 적정 효소 농도 및 반응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함량을, L-티로신의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 단일 효소를 각각 0.1%, 0.25%, 0.5%, 0.75%, 1%의 농도로 처리하고, 반응 시간을 1, 2, 3, 4, 5시간으로 설정하여 실험하였고, 이에 따른 티로신 함량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수용성 영양 성분의 추출 단계 유무 및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함량 역시 L-티로신의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용성 영양 성분의 추출 단계 유무의 차이 외에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를 각 1%씩 혼합하고, 반응 시간을 1, 2, 3, 4, 5시간으로 설정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의 단일 효소 처리한 경우 및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를 혼합 처리한 경우 중, 가수분해능은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를 혼합 처리한 경우의 가수분해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 단일 효소를 처리한 경우는 유사한 수준의 가수분해능을 나타내었고, 농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시간의 측면에서는 효소 처리 후 1시간부터 급격히 가수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이후에는 약간의 증가가 있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의 단일 효소를 처리한 경우에는 1-5시간의 반응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이며,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를 혼합 처리한 경우에는 1-3시간의 반응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플라보르자임과 프로타맥스를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 쌍별귀뚜라미의 분쇄물에서 수용성 영양 성분을 추출한 후 원심 분리하여 효소 처리하는 것보다, 수용성 영양 성분을 추출하지 않고 원심 분리하여 효소 처리하는 것이 더욱 우수한 가수분해능을 나타내었다.
이하의 실험예 2 내지 실시예 5에서는 플라보르자임 1%와 프로타맥스 1%를 혼합하여 55℃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전자공여능은 DPPH(1,1 diphenyl-2-picrylhydrazyl)의 환원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열수추출 유무, 효소 처리 유무에 따른 제조 방법 별 98~50000ppm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100㎕에 0.2mM DPPH 용액 100 ㎕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산화 저해율을 계산하였고, 이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별귀뚜라미(쌍별이)의 추출물은 제조 방법과 무관하게 항산화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별귀뚜라미의 수용성 영양성분을 추출하고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한 경우 EC50 값이 3967ppm 수준으로 우수한 항산화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LPS(Lipopolysaccharide)를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생성된 NO의 양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MD, USA)이 함유된 배지(Dubl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MD,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Thermo Scientific, IL,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NO 생성 측정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2x105 cells/well로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5시간 후에 상기 제조 방법 별(열수 추출 유무, 효소 처리 유무, 도 7a; 또는 효소 처리 농도 별(8, 40, 200, 1000ppm), 도 7b)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LPS와 함께 처리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배양액 100㎕와 Griess reagent[1%(w/v) sulfanilamide in 5%(v/v) phosphoric acid와 0.1(w/v) naphtylethylenediamine-HCl] 100㎕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물질로는 NaNO2를 사용하였다.
NO는 NOS(NO Synthase)의 효소 촉매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로 혈압 조절과 신경 전달 매개체로 면역 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나, 과량의 NO 생성은 염증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 결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PS로 유도한 Raw cell 264.7에서의 NO2 생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으며, 이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후술되는 실험예 4에서의 세포 생존율 분석을 토대로 세포 독성에도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천연 기능성 소재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4: 세포생존율 분석
Raw 264.7 세포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MD, USA)이 함유된 배지(Dubl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MD,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Thermo Scientific, IL,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2x105 cells/well로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농도별(8, 40, 200, 500, 1000ppm)로 처리 후 37℃, 5% CO2 인큐베이터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ellTiter 96 aqueousnon-radio 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Promega,WI,USA)를 첨가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90분 반응시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Beckman Coulter, CA,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88.45±2.65~103.71±4.68%%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8~1000 ppm 농도에서 항염증 활성 측정 시 세포 사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예 5: 효소 종류 및 처리 조건에 따른 헥사날 ( hexanal ) 함량 측정
곤충 유래의 이취, 비린취 성분을 저감화하여 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산화 생성물 중 한 성분인 헥사날(Hexanal)을 가스 크로마토그램으로 분석하여 비린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헥사날 (Hexanal)은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와 같은 지방산의 산화와 알데하이드류의 분해에 의해 주로 생성되는 물질이며, 산화 생성물 중 하나로 이취, 비린취를 내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쌍별귀뚜라미의 지방함량은 생물 기준 9.0% (oleic acid 26%, linoleic acid 32%) 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처리(식이조절, 절식), 추출, 원심분리, 효소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헥사날(Hexanal)이 줄어들어 이취와 비린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제조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쌍별귀뚜라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쌍별귀뚜라미는 1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분쇄된 것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펩신, 트립신,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프로타멕스(Protamex), 파파인, 알파키모트립신 및 판크레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상기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농도로 처리되는 것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상기 쌍별귀뚜라미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의 농도로 처리되는 것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5분 내지 5시간 동안 처리되는 것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처리되는 것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헥사날 함량이 0mg/L 초과 0.2mg/L 이하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L-티로신의 함량이 0.1mg/mL 내지 1.0mg/mL인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10. 청구항 1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PCT/KR2018/013283 2017-11-03 2018-11-02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8877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52A KR102565192B1 (ko) 2017-11-03 2017-11-03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곤충 추출물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2017-0146052 2017-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776A2 true WO2019088776A2 (ko) 2019-05-09
WO2019088776A3 WO2019088776A3 (ko) 2019-06-27

Family

ID=6633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283 WO2019088776A2 (ko) 2017-11-03 2018-11-02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5192B1 (ko)
WO (1) WO20190887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585A2 (ko) * 2019-07-25 2021-0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별귀뚜라미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활용
KR102418178B1 (ko) * 2019-10-28 2022-07-08 주식회사 케일 쌍별귀뚜라미 단백질 추출물 및 분말의 제조방법
KR20220015769A (ko) 2020-07-31 2022-02-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릴루스 비마쿨라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274B2 (ja) * 2005-06-09 2012-03-14 君陽生物科学株式会社 イナゴ加水分解物、その製造方法、及びイナゴ加水分解物配合剤
JP5008081B2 (ja) * 2005-06-14 2012-08-22 株式会社明治 原料乳及び殺菌乳における異常風味抑制方法及び当該方法を用いて処理された殺菌乳
JP2009159997A (ja) * 2009-04-27 2009-07-23 Yamada Bee Farm Corp 低分子化ハチノコ含有食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3734B1 (ko) 2015-05-13 2017-06-07 농업회사법인 녹색곤충 주식회사 곤충을 이용한 양어용 사료 첨가제
KR20170014448A (ko) * 2015-07-30 2017-02-08 (주) 에이티바이오 곤충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KR101702851B1 (ko) 2015-12-09 2017-02-06 이삼구 발모촉진, 탈모예방과 모낭개선용 식용귀뚜라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40A (ko) 2019-05-13
KR102565192B1 (ko) 2023-08-10
WO2019088776A3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8776A2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Zhu et al. Improvement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traditional fermented okara (Meitauza) using Bacillus subtilis B2
Je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peptide obtained from tuna backbone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Lima et al. Antimicrobial and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bovine collagen hydrolysates produced by Penicillium aurantiogriseum URM 4622 collagenase
PARK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an edible seaweed Sargassum horneri using ESR spectrometry
WO2015115790A1 (ko) 발효 대두박 생산능이 향상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 대두박을 제조하는 방법
Chen et al. Preparation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collagen oligopeptide-rich hydrolysate from fish skin with the serine collagenolytic protease from Pseudoalteromonas sp. SM9913
JPH05505304A (ja) 酵素加水分解物の製造方法
KR101594490B1 (ko) 발효 해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해삼
Xie et al. Non-gastrointestinal-hydrolysis enhances bioavailability and antioxidant efficacy of casein as compared with its in vitro gastrointestinal digest
KR20180055120A (ko)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간 보호용 및 스트레스 감소용 식품 조성물
WO2019088774A2 (ko)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Banihashemi et al. Bioactive peptides fractions from traditional Iranian Koopeh cheese; lactic fermentation products
Le et al. Rice bran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to enhance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crease the ferulic acid, ρ-coumaric acid, and γ-oryzanol content
KR20200062214A (ko) 영양 품질이 개선된 완두 단백질 조성물
Ho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peptides from fermented goat placenta
US6372452B1 (en) Process for obtaining plant peptones with a high hydrolysis degree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230150357A (ko) 세포 성장 배지를 생산하는 방법
WO2020091483A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ngh et al. Impact of processing condition on nutraceutical potency of soy whey hydrolysate
WO2020091484A1 (ko)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45492A2 (en) HYDROLYZED SOY PROTEIN CONCENTRATE UNDER LOW MOISTURE COND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4084916B2 (ja) 麦若葉由来の素材を含む抗高血圧食品
CN111423489A (zh) 抗氧化肽、含有该抗氧化肽的大豆蛋白水解物
Zeng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marine peptides from fish and shri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8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8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