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2425A2 -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2425A2
WO2019022425A2 PCT/KR2018/008063 KR2018008063W WO2019022425A2 WO 2019022425 A2 WO2019022425 A2 WO 2019022425A2 KR 2018008063 W KR2018008063 W KR 2018008063W WO 2019022425 A2 WO2019022425 A2 WO 201902242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ybean
cosmetic composition
soybean milk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0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9022425A3 (ko
Inventor
성문희
이도엽
최재철
유소현
조희진
엄태일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Priority to JP202052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0528930A/ja
Priority to CN201880054870.3A priority patent/CN111065375A/zh
Publication of WO201902242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2425A2/ko
Publication of WO201902242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242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ferment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obtained by fermenting soybean milk with a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atopy improving effect.
  • Soybean is a food material containing abundant vegetable protein.
  • Soybean milk is an oil beverage obtained by eluting proteins and other components from soybeans by removing water and so forth from soybeans, and is a health drink of low cholesterol and high protein. have.
  • Soy milk contains active ingredients such as isoflavin and has been known to have skin improving effect and lightening effect and has been used for skin for a long tim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05322).
  • microorganisms of the genus Rhizopus are used (JP-A No. 1-10211) or lactic acid bacteria (JP-A No. 3-127715).
  • an extract of a fermented soybean fermentation extract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rough skin and wrinkles by extracting a fermentation product obtained by reacting a microorganism belonging to the genus Bifidobacterium with a soybean extract solution with an organic solvent (Korean Patent No. 10 -0577914).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61447 disclos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which contains a soybean milk fermentation product and vitamin A or a derivative thereof to prevent roughness and keratinization of the ski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efforts to develop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having excellent antioxidation and atopy improving func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ntioxidant and the antioxidant is excellent i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tching improving activity by dry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soybean fermented product excellent in antioxidant and anti-aging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characterized in that soy milk is fermented with a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milk fermented product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oxidative and moisturizing effects and can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 for whitening, antiaging and wrinkle improvement.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a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show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the results of dermal moisture change after using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the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a * value indicating redness of skin after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oybean milk fer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croorganisms or enzymes decompose the proteins and glycoside materials present in the biomaterials and convert them into substances with improved functions.
  • the microorganisms or enzymes decompose the proteins and glycoside materials present in the biomaterials and convert them into substances with improved functions.
  • soybean oil fermented product in order to isolate a strain having a high protease activity for fermenting soybean milk rich in protein and containing an active ingredient such as isoflavin and fermenting soybean milk with the strain, soybean oil fermented product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showed antioxidative and skin irritation-improv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characterized in that soybean milk is fermented with a strai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func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hitening, anti-aging, wrinkle improvement, and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 a GRAS microorganism capable of efficiently decomposing a large amount of proteins contained in soymilk and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a functional substance was sele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illus strain isolated from Kimchi using a canary broth having a high proteolytic activity, It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was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 the strain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 the fermentation may be carried out for 4 to 48 hours, preferably 4 to 24 hours, more preferably 4 to 10 hours, at 37 ° C .
  • the obtained soybean fermentation broth can be used as a soybean fermentation product by lyophilization.
  • the soy milk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soy milk may be used.
  • 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whole soybean powder, defatted soybean powder or the like may be used.
  • soybean solids of 8.0% or more are defined as soybean milk, crude soybean milk is 6.0% or more, and soybean milk drink is 4.0% or more, but soybean solid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method of fermenting soybean milk with lactic acid bacteria can be carried out based on a generally known production method of yogurt or a lactic acid bacteria beverage.
  • Bacillus amyloliquefaciens can be fermented at a concentration of 1 x 10 4 to 1 x 10 8 cfu / mL, Is in the range of 1 x 10 5 to 1 x 10 7 cfu / mL for 4 to 48 hours, and the fermentation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fermented soybean milk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that the 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amino acids and Lys, Trp and Phe were increased and the aromatic amino acid, which is a precursor of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soybean milk.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soybean fermented product is 0.001 to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xtrac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is insignificant, which is not economica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ybean milk complex fermented extract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tion, gel, water-soluble liquid, cream, essence, oil (O / W)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easily produced in any for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 the natur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ined in a cream base of a general water type (O / W) or water type (W / O), and a flavor, a chelating agent, a colorant, an antioxidant, Etc. may be used as needed, and synthetic or natural materials such as proteins, minerals, and vitami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to a cosmetic, a gel, a water-soluble powder, a fat-soluble powder, a water-soluble liquid, a cream or an essence by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cosmetic by adding a pH adjust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ier, .
  • a cosmetic composition is formed with the useful substance.
  • Materials useful for cosmetic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tioxidants, binders, bulking agents, chelating agents, pigments, softeners, emulsion stabilizers, film formers, fillers, directional ingredients, gelling agents, hair conditioners, hair fixatives, , Preservatives, skin conditioners, solvents, sunscreen agents, surfactants, ultraviolet absorbers, viscosity modifiers, waxes, and the like.
  • Various cosmetic useful substances can be found in the CTFS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JM Nikitakis, Ed., 1 st Edition, p. 51-101 (1988),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hav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 the soybean fermented product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carrier may be an aqueous solution such as water or a polar organic solvent, an alcohol such as ethanol or other polar solvent, a natural or synthetic oil; Oil-in-water emulsion; Water-in-oil emulsion; Or wax.
  • the carrier is clearly non-toxic.
  • a preferred carrier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queous solu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solutions (lotion-like compositions), concentrated solutions, gels, ointments, emulsions (creams, emulsions), vesicular dispersions, powders, dense powders, pastes,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oral use such as ball puff, cream (facial cream, hand cream, moisturizing cream, sunscreen cream), cream powder, eyeliner, eye shade, eyebrow pencil, foundation, lotion, Emulsions, ointments, pomades, loze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y may be packaged in a squeeze pack containing a propellant that can be applied in the form of a foam or spray.
  • soybean milk fermentations described herein can be added to various types of cosmetic compositions. These include, for examp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at protect epidermis, hair, and mucous membranes; Makeup compositions for skin and surface area body creams; A tooth whitening agent and the like, or an ophthalmic composition such as a colgria.
  • the soybean ferment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and, if used i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ll conta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as described herein. Suitably they are present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mount of from about 0.01 to about 50%, more preferably from about 0.02 to about 10%,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0.05 to about 2% of the total composition weigh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for hair protection, they may be shampoos, lotions or gel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before or after rinsing or shampooing, before or after dyeing or discoloring, during wave medicine or straight treatment, before and after the composition. They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air styling or treating lotion or gel, a gel for lotion or blow dyeing or hair setting, a hair spray, a composition for wave or straight parmenans, or a hair dyeing or decolorizing composi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n eyelash, eyebrow, or makeup product for skin, they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oundation, a lipstick, an eye shadow, an eyeliner, a mascara or a skin cream.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ch a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a composition for removing wrinkles and facial hair lines, a moisturizer, etc., they are provided in the form of emulsion, gel, lotion, ointment, And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a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ch a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a composition for removing wrinkles and facial hair lines, a moisturizer, etc.
  • they are provided in the form of emulsion, gel, lotion, ointment, And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natural or artificial wax.
  • Natural waxes include animal and carnauba such as lanolin, beeswax, spermaceti or lanolin alcohol, hardened or acetylated lanolin, lanolin derivatives such as lanolin fatty acids or acetylated lanolin alcohols, carnauba, candelilla, There are vegetable such as kapok, rice, hardened jojoba, alfa or yaguan wax or cork fiber, sugar cane wax, cocoa butter and the like.
  • the inorganic wax may include paraffin, montan, lignite, petrolatum, petrolatum wax or microcrystalline wax, ceresin, or ozokerite.
  • Examples of synthetic waxes used include linear esters such as myristyl myristate, a reaction product of a polyethylene wax obtained by Fischer-Tropsch synthesis and a saturated C10-C40 carboxylic acid and a saturated C10-C40 alcohol.
  • Other waxes used include calcium lanolate or stearate or hardened coconut oil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modified or unmodified oils of vegetable or animal oils.
  • oils of vegetable or animal oils For example, sweet almond oil, avocado oil, castor oil, olive oil, jojoba oil, sunflower oil, turmeric oil, sesame oil, peanut oil, grape seed oil, soy milk, safflower oil, coconut oil, Light butter, palm oil, apricot seed oil, calf pill oil or perhydro-squalene.
  • the oil phase may be an inorganic oil such as liquid paraffin, liquid petrolatum, and the like.
  • the o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atty acid esters such as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2-ethylhexyl palmitate, penicillin oil (stearyloctonat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ate, palmitate, stearate, behen, linoleic, Volatile or non-volatile isoparaffins such as fatty acids or C8-C16 isoparaffins.
  • fatty acid esters such as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2-ethylhexyl palmitate, penicillin oil (stearyloctonat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ate, palmitate, stearate, behen, linoleic, Volatile or non-volatile isoparaffins such as fatty acids or C8-C16 isoparaffins.
  • the oil may be C12-C18 fatty alcohols such as oleyl alcohol, cetyl alcohol and stearyl alcohol.
  • the emulsifi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il phase and an aqueous phase.
  • the oil phase is preferably provided in a range of about 1 to about 75 wt%, more preferably about 5 to about 60 wt%, and most preferably about 40 to about 6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desirable.
  • the aqueous phase includes aqueous gels and adjuva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emulsions.
  • the aqueous phase may be provided at from about 0.5 to about 20 weight percent, and may include a lower C2-C6 monoalcohol and / or a polyol such as glycerol, butylene glycol, isoprene glycol,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and the like.
  • Emulsifiers may be used to prepare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s. Any amount of cosmetically acceptable emulsifier may be used as long as it exhibits the desired emulsion effect.
  • Emulsifiers are selected from known salts and surfactants.
  •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stearic acid, sorbitan sesquioleate, polyethylene glycol (PEG-30), dipolyhydroxystearate, lecithin, magnesium stearate, and derivatives and mixtures thereof.
  •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present in the range of about 0.5 to about 30 wt.%, More preferably about 1 to about 12 wt.%, And more preferably about 4 to about 8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desirab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use a thickener. It is possible to use any symptom that is normally used in cosmetics. Examples include hectorite,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and guar gum modified with modified magnesium silicate (Bentoncel VS38, Rheox), diste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Bentone 38 CE, Rheox) and modified or unmodified cellulose And the lik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film forming composition.
  • the film-forming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an aqueous dispersion of an aqueous dispersion of an acrylic, polyester and / or polyurethane polymer, for example an aqueous dispersion of a partially neutralized vinyl acetate / vinyl p-tert-butyl / benzoate / Can be selected 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same polymer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oloring agent.
  • a coloring agent may be an inorganic or organic pigment insoluble in an aqueous solution or an organic solvent, and may be an aqueous solution or a dye soluble in an organic material.
  • Lubricants are another optional ingredient.
  • Lubricants generally help the composition to create a soft, smooth feel in the hand. Examples include benzoic acid esters of C12-C15 alcohols, volatile silicones such as cyclomethicone, dimethicone, and derivatives thereof.
  • Silicon containing compounds that may be ut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nonvolatile silicones such as cyclomethicon tetramer and pentamer (obtained as Dow Corning 244 or 245 fluid) or stearyl dimethicone (obtained as Dow Corning 2503 cosmetic wax) Dicetyl polyol, dimethicone polyol, cetyl dimethicone copolyol, phenyl methicone, and derivatives thereof such as phenyl trimethicon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silicon-containing compound acts as an emulsifier.
  • the silicon-containing compound is preferably provided in a range of about 1 to about 50 wt%, more preferably about 5 to about 30 wt%, and most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2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 a moisturizing agent may also be add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 &Quot; Humectant refers to a reagent that provides a moisturizing effect to the skin such as a wetting agent.
  • the moisturizing agent is provided with a moisturizing amount.
  • the moisturizing agent include glycerin,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sorbitol, sodium PCA, Glucam E-10, Glucam E-20 and the like.
  • the moisturizing agen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range of about 0.1 to about 10 wt%, more preferably about 0.1 to about 5 wt%, and most preferably about 1 to about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Do.
  • a softener may be included as needed. It is preferred that at least one softening agent is used in the composition. Softeners are used to give the skin surface a soft, smooth feel. They can be effective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skin hydration levels and / or skin liquefaction barriers. Examples of softeners include organic acid esters such as vegetable triglycerides such as avocado oil, olive oil and sunflower oil, sorbitan oleate, myristyl myristate, isopropyl myristate, glycol oleate, petroleum, glycerin, petrolatum, mineral oil jelly And the like. The softening agent is preferably present in the range of about 1 to about 50%, more preferably about 5 to about 40%, and most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25%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n antioxidant.
  • Antioxidants may be natural or synthetic. Examples include vitamin E derivatives such as tocopherol, vitamin E linoleate, vitamin E, vitamin E POE succinate, vitamin E acetate, ascorbic acid, ascorbyl palmitate, and ascorbyl PMG.
  • an effective amount is used to neutralize harmful oxides such as a single oxygen species. They are preferably provided in the range of about 0.1 to about 5 wt%, more preferably about 0.5 to about 1 w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ingredients that reduce the oily feel of the softener in the composition such as, for example, known creams such as PPG-2-myristyl ether propionate, isopropyl palmitate, and the like. If this component is required,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n amount of about 1 to about 30%, more preferably about 5 to about 25%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25% by weight.
  • a pH adjuster is generally used to adjust the acidity of the composition to a desired range, preferably about 6 to 8 pH.
  • This pH adjusting agent is added in an effective amount to change the pH to the desired pH range.
  • Sunscreens can be included as needed.
  • the expression " sun blocker” means useful for absorbing, blocking or preventing ultraviolet light penetrating the skin.
  • Sunscreen agents are preferably sunscreen agents coated with titanium dioxide, or zinc oxide, more preferably polymeric materials or cosmetically acceptable coatings.
  • sunscreen agents include microcrystalline titanium dioxide coated with aluminum stearate, polyfluoroalkyl phosphates of C9-C15, polymers coated with zinc oxide, aminobenzoic acid (PABA) and esters thereof, benzophenone-3, octyl Salicylate, menthyl anthranylate,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and the like.
  • sunscreen agents provide protection indexes (SPF) of at least 2-12, intermediate 12-30, and up to 30 or greater.
  • SPF protection indexes
  • the equilibrium of the composition can be determined by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dditives, fillers, organic solvents (alcohol and oil), buffer solutions, perfumes, tanning agents (dihydroxyacetone) and other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a filler.
  • conventional additives that can be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ispersants and preservatives.
  • the amount of conventional additives is typically provided in the range of from about 0 to about 20 weight percent, preferably from about 1 to about 15 weight percent, and more preferably from about 4 to about 10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 the remaining percentage or equilibrium of the composition is water.
  • Water acts as a carrier to disperse the composition into the skin.
  • the water used is preferably deionized water or distilled water, and the amount of water is typically about 10 to 80 wt%, most preferably about 20 to 40 w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eam or lotion or ointment, most preferably a cream.
  • the carrier is preferably water.
  • the preferred cream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n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essential cosmetic ingredien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nsure high quality even with the addition of soy milk fermented ingredients.
  • such ingredients include petrolatum in the range of from about 0.5 to about 1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especially white petrolatum, lanolin alcohol in the range of from about 0.5 to about 1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PPG-2-myristyl ether propionate in the range of about 6 weight percent, petroleum in the range of about 5 to about 10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triethanol amine in the range of about 0.2 to about 0.8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Glycerol in a range of from 2 to about 4 weight percent, particularly distilled glycerol, stearic acid in a range of from about 15 to about 20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isopropyl palmitate in a range of from about 10 to about 15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And the balance is water.
  • Cosmetics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ay contain conventional componen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fragrances such as antioxidants and coloring agents, perfumed vitamins, as well as those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particular cream form desir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oybean fermented product prepared as described above has several functions. First, they exhibit a remarkable restorative effect of the skin, as described in some hydraul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kin daily and preferably twice a day.
  • periodic application should be applied for several weeks or even months, even if the initial several times of application show visible effect.
  • the speed and duration of application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able to design suitable application methods to provide the required restoration effect.
  • Example 1 High-activity proteolytic enzyme-containing fermentation strain screening for soybean milk fermentation
  •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such as salted fish, and then microorganisms with high protease activity were searched.
  • the K3 microorganism isolated from Salted salted crab was higher in protease activity than other microorganisms.
  •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nam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FIGS. 1 to 3).
  •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was cultured in Trypic soy broth at 37 °C for 24 hours and then stored by freeze drying.
  • Soybean was soaked to make soymilk, and then immersed in water for 14 hours. Then, water was removed, and the soybean milk was ground using a grinder to remove water. The ground sample was boiled at 100 DEG C for 30 minutes, put into a bag, pressed to separate the beef, and soymilk was obtained.
  •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strain which was lyophilized in the obtained soy milk, was added at 0.1% and cultured at 37 ° C for 6 hours to produce a soybean fermented product.
  • the prepared liquid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was lyophilized to prepare a soy milk fermented product in a powdery state.
  •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prepared in Example 2 and the pre - fermented soybean milk were analyzed by HPLC to compare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soybean milk fermented product and the soybean milk before fermentation.
  • a soybean fermented product was prepared from soybean and black soybean as a raw material by the method of Example 2.
  • the prepared fermented soybean curd soybean milk and fermented soy sauce soybean milk were subjected to HPLC analysis to identify antioxidant substances contained in soy milk fermented milk.
  • Peptide fractions were separated and analyzed for antioxidativ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fraction.
  •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by using a spectrophotometer to measure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DPPH radical by reacting a stabl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with a certain sample solution. , 1 ml of distilled water, and 0.035% DPPH or 100 ⁇ l of methanol.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and the absorbance at 517 nm was measur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radical reduction. As a standard sample, ascorbic acid was used.
  • Cream, lotion and shampoo formulations containing soymilk fermented products were evaluated for human skin irritation to cosmetic compositions.
  • the human body test was conducted by the Korea Dermatological Institute.
  • the skin patch test was conducted in 33 creams, lotions and shampoo formulations containing 0.1% soybean milk fermented by the method of Example 2.
  • Cream containing soy milk fermented product Raw material name Content (% by weight)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Liquid paraffin 7.0.
  • Beta Glucan 7.0 Carbomer 0.1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3.0 Squalane 5.0 Cetearyl glucoside 1.5 Sorbitan stearate 0.4 Polysorbate 1.2 antiseptic Suitable amount incense Suitable amount Pigment Suitable amount Fermented soy milk 1.0 Purified water Balance
  • the human body test was conducted by the Korea Dermatological Institute.
  • the subjects were 22 women who were 12 ⁇ 60 years old or older who had dry skin and had an average or more dry skin of 60 or less with Corneometer moisture meter.
  • the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Dermatological Institute Standard Work Practice Guide (SOP), and all procedures were checked by a person in charge of reliability assurance.
  • SOP Korean Dermatological Institute Standard Work Practice Guide
  • the results of the behavior and habit status of the itching test before and after using the test substance showed that the degree of itching was 2.36 1.41, and 0.91 after 4 weeks of use.
  • the frequency of itching was 1.73 before use of the test substance, 1.00 after 2 weeks use, 0.73 after 4 weeks use, 0.32 after use, and the itching rate at the time of the most severe itching was 1.45 after 2 weeks and 1.18 after using 2 weeks before use of test substance, and the itching degree at the lowest itching was 1.77 to 2 weeks (P ⁇ .001), respectively, after 1 week of use and 0.82 after 4 weeks of use.
  •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psychological state questionnaire of the test subjects using the 10 cm visual analogue scal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test substance was found to be 2.09 before the use of the test substance and 2.09 after the use of the test substance, Before the test subst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anger was improved from 4.82 before use to 1.95 after 2 weeks use, to 1.05 after 4 weeks use (p ⁇ . 00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유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두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와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항산화, 항노화, 주름개선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두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두유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두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콩은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식품 소재이며, 두유는 콩으로부터 열수 등에 의해 단백질, 그 밖의 성분을 용출시키고, 섬유질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유상의 음료이며, 저콜레스테롤, 고단백의 건강 소재로서 이전부터 주목받고 있다. 두유는 이소플라빈 등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개선 효과 및 라이트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오래전부터 피부에 사용되어 왔다(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05322).
또한, 마찬가지로 건강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는 유산균으로 두유를 발효시킴으로써, 두유와 유산균의 상승 효과에 의한 건강 기능도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효모 등의 천연 균주의 발효액을 이용한 화장품이 개발되면서, 천연발효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방화장품 소재를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하여 바이오 전환시키는 경우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첫 번째로 화장품 소재 내에 들어 있는 많은 물질의 크기가 작아지고, 일반화장품의 입자 크기는 um 단위의 크기이므로 피부흡수가 제한적인 반면, 발효화장품의 입자 크기는 30~70 nm가 되어 흡수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미생물이나 효소는 식물체에 존재하는 배당체 물질에서 당을 제거하여 기능이 대폭 향상된 물질로 전환시키게 되며, 미생물 발효를 통해 비타민, 유기산 등 피부에 유리한 영양성분이 생성된다.
두유 발효 생성물을 화장료에 이용하는 기술로는 리조푸스(Rhizopus) 속의 미생물을 사용하거나(일본 공개특허 평 1-10211호) 유산균을 사용한 것(일본 공개특허 평 3-127715호)이 있다. 또,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미생물을 대두 추출액에 작용시켜 얻어지는 발효생성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거친 피부 및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대두발효 추출물에 대한 발명도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등록 특허 10-0577914). 또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03-61447호에는 두유 발효생성물과 비타민 A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고 피부의 거침이나 각질을 방지, 개선하는 피부외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두유에 함유된 두유 단백질을 쉽게 이용 또는 분해하여 유용 펩타이드나 아미노산 및 항산화물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쉽게 증식되는 균주를 선별하여, 피부진정, 항산화, 항노화 등 기능성이 우수한 발효물을 생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 기능이 우수한 두유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단백질이 풍부한 까나리 액젓 김치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하여 두유를 발효시킨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항산화 및 건조에 의한 가려움 개선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목적은 항산화, 항노화 기능이 우수한 두유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유를 바실러스 아밀로리 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균주로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와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항노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의 선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발효물 함유 화장품 사용 후의 진피수분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유 발효물 함유 화장품 사용 후의 피부의 붉은기를 나타내는 a* value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생물 소재를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하여 바이오 전환시키거나, 발효시키는 경우 미생물이나 효소는 생물 소재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배당체 물질을 분해하여, 기능이 향상된 물질로 전환시키게 되며, 미생물 발효를 통해 항산화 펩타이드, 항산화 아미노산, 비타민, 유기산 등 유용성분이 생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이소플라빈 등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두유를 발효시키기 위하여,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균주로 두유를 발효시키는 경우, 항산화능이 우수한 두유 발효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항산화 효과 및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유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균주로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항노화, 주름개선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기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유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하여 기능성 물질로 전활 할 수 있는 GRAS 미생물을 선별하여, 까나리 액젓을 사용한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균주가 높은 단백질 분해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분리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로 동정하고,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3로 명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유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a) 물에 침지하여 불린 대두를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대두를 열처리한 후, 비지를 분리하고, 두유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두유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3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두유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4~48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24시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10시간 수행할 수 있으며, 37℃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된 두유 발효액은 동결건조하여 두유 발효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두유로서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시판되고 있는 두유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탈피한 대두 또는 탈지 대두를 물에 침지하여 팽윤시킨 두류를 증자·마쇄하여 얻어지는 액체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액체로부터 비지를 제거한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립 대두분, 탈지 대두분 등을 용해한 액을 사용해도 된다. JAS 규격으로는, 대두 고형분 8.0% 이상의 것은 두유라고 정의되고, 조제 두유는 6.0% 이상, 두유 음료는 4.0% 이상이라고 정의되어 있지만, 대두 고형분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유를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요구르트나 유산균 음료의 제법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를 1x104∼1x108 cfu/mL, 보다 바람직하게는, 1x105∼1x107 cfu/mL이 되도록, 4∼48시간의 범위 내에서 발효하면 되고, 발효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유 발효믈은 두유에 비하여, 아미노산 및 Lys, Trp, Phe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증가되었고, 생리활성물질의 전구체인 방향족 아미노산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두유 발효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건조 중량 기준 0.001~3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거의 없으며, 30.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복합발효 추출액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도포형 화장료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서 크림형 도포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수중유형(O/W) 또는 유중수형(W/O)의 크림 베이스에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함유시키고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한편,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pH 조절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부가하여 통상의 화장료 제조 방법으로 화장수, 젤, 수용성 파우더, 지용성 파우더, 수용성 리퀴드, 크림 또는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유용한 물질과 함께 화장품 조성물을 형성한다. 화장용으로 유용한 물질에는 항산화제, 결합제, 벌크화제(bulking agent), 킬레이트제, 색소, 연화제, 에멀션 안정제, 막형성제, 충전재, 방향 성분, 젤화제, 두발 조절제, 헤어 고정제, 습윤제, 가소제, 보존제, 피부 조절제, 용매, 햇빛차단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점도조절제, 왁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 가지 화장용으로 유용한 물질은 CTFS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J.M. Nikitakis, Ed., 1st Edition, p.51-101 (1988)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 공개된 것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자료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두유 발효물은 미용상 허용가능한 담체와 관련되어 있다. 이 담체는 물과 같은 수용액 또는 극성 유기 용매, 에탄올과 같은 알콜 또는 그 밖의 극성 용매, 천연 또는 합성 오일; 수중유 에멀션; 유중수 에멀션; 또는 왁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분명히 무독성이다. 본 발명 조성물의 양호한 담체는 수용액이다.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용액(로션형 조성물), 농축 용액, 젤, 연고, 에멀션(크림, 유제), 소포 분산, 파우더, 조밀 파우더(dense powder), 페이스트 또는 고형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볼연지, 크림(안면 크림, 핸드 크림, 보습 크림, 햇빛 차단 크림), 크림 파우더, 아이 라이너, 아이 셰도우, 아이브로우 펜슬, 파운데이션, 로션, 마스카라, 마이크로에멀션, 연고, 포마드 및 루즈 등의 다양한 형태 내에서 분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거품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추진제를 포함한 압착 팩으로 포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두유 발효물을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표피, 두발및 점막을 보호하는 약학적 조성물; 피부 및 표면적 체성장용 메이크업 조성물; 치아미백제 등의 치아용 조성물 또는 콜레글리아(collegria)와 같은 안과용 조성물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유 발효물은 미용적 유효량을 함유할 수 있으며, 만일,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된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료적 유효량을 함유하게 될 것이다. 좋기로는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총 조성물 중량의 약 0.01 내지 약 50% 및 더 좋기로는 약 0.02 내지 약 10%, 가장 좋기로는 약 0.05 내지 약 2%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이 두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샴푸, 로션 또는 젤; 린스 또는 샴푸 전후의, 염색 또는 탈색 전후의, 웨이브 파마넨트 또는 스트레이트 트리트먼트 도중, 전후의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헤어 스타일링 또는 트리팅 로션 또는 젤, 로션 또는 블로우(blow) 염색 또는 두발 세팅용 젤, 두발 스프레이, 웨이브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넨트용 조성물 또는 두발 염색 또는 탈색용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아이래쉬, 아이블로우 또는 피부용 메이크업 제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셰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또는 표피 처리용 크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균 조성물, 주름 및 표정선 제거용 조성물, 보습제 등의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유제 또는 크림 등의 에멀션, 젤, 로션, 연고, 또는 소포 분산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천연 또는 인공 왁스가 함유될 수 있다. 천연 왁스에는 라놀린, 밀랍, 스퍼마세티(spermaceti) 또는 라놀린 알콜, 경화 또는 아세틸화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또는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 등의 라놀린 유도체와 같은 동물성과 카나우바(carnauba), 칸델릴라(candelilla), 카폭(kapok), 쌀, 경화 조조바(jojoba), 알파(alfa) 또는 야판(yapan)왁스 또는 코르크(cork)섬유, 사탕수수 왁스, 코코아 버터 등의 식물성이 있다. 대안적으로, 무기 왁스에는 파라핀, 몬탄, 리그나이트, 페트로라툼, 페트로라툼 왁스 또는 미소결정화 왁스, 세레신, 또는 오조케라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되는 합성 왁스의 예에는 피셔-트롭쉬 합성에 의해 얻은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포화 C10-C40 카르복실산 및 포화 C10-C40 알콜의반응 산물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선형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사용 되는 그 밖의 왁스에는 칼슘 라놀레이트 또는 스테아레이트 또는 경화 코코넛유 등이 포함된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의 개질 또는 비개질 오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트 아몬드오일, 아보카도 오일, 캐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조조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밀눈 오일, 참깨 오일, 땅콩 오일, 포도씨 오일, 두유, 홍화 오일, 코코넛 오일, 메이즈 오일, 헤즐넛 오일, 카라이트 버터, 팜 오일, 살구씨 오일, 칼로필럼 오일 또는 퍼하이드로스쿠알렌 등이 있다. 더욱이, 오일 상은 액체 파라핀, 액체 페트로라툼 등과 같은 무기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페니실린 오일(스테아릴 옥토네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올레, 팔미트, 스테아르, 베헨, 리놀레, 라놀레산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 또는 C8-C16의 이소파라핀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이소파라핀 등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오일은 올레일 알콜, 세틸 알콜 및 스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C12-C18의 지방 알콜 등일 수 있다.
에멀션으로 제공된다면, 본 발명의 유화된 조성물은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 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75 중량 %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5 내지 약 60 중량%, 가장 좋기로는 약 40 내지 약 60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상에는 수성 젤 및 화장품 에멀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한다. 수성 상은 약 0.5 내지 약 20 중량%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저급 C2-C6 모노알콜 및/또는 글리세롤, 부티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화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소망하는 에멀션 효과를 나타내는 한 어떠한 양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유화제도 사용이 가능하다. 유화제는 알려진 염 및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다. 유화제는 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놀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30), 디폴리하이드록 시스테아레이트, 레시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및 혼합물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5 내지 약 30 중량%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1 내지 약 12 중량%, 더욱 좋기로는 약 4 내지 약 8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품에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증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는 개질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벤톤젤 VS38, Rheox),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벤톤 38 CE, Rheox)에 의해 개질된 헥토자이트,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및 구아 검 및 개질 또는 비개질된 셀룰로오스와 같은 개질 점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막형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형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우레탄 폴리머의 분산 수용액, 예컨대,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p-3차-부틸/벤조에이트/크로톤산공중합체의 분산 수용액과 같은 폴리머의 분산 수용액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착색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제는 수용액 또는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무기 또는 유기 안료일 수 있으며, 수용액 또는 유기 물질에 가용성인 염료가 될 수 있다.
윤활제는 또 다른 선택적 성분이다. 윤활제는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이 손에서 부드럽고 매끄러운 느낌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예에는 C12-C15 알콜의 벤조산 에스테르, 시클로메티콘, 디메티콘과 같은 휘발성 실리콘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리콘 함유 화합물에는 시클로메티콘 테트라머 및 펜타머(다우 코닝 244 또는245 유체로서 구득) 또는 스테아릴 디메티콘 (다우 코닝 2503 화장품 왁스로서 구득)과 같은 비휘발성 실리콘 또는 시클로메티콘폴리올, 디메티콘폴리올, 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페닐 메티콘, 페닐 트리메티콘과 같은 이들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당업자는 실리콘 함유 화합물은 유화제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실리콘 함유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50 중량%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5 내지 약 30 중량%, 가장 좋기로는 약 10 내지 약 25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보습제"는 습윤제 등의 피부에 보습효과를 제공하는 시약을 말한다.
보습제는 보습효과를 주는 양이 제공된다. 보습제의 예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소듐PCA, 글루캄 E-10, 글루캄 E-20 등이 있다.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0.1 내지 약 5 중량%, 가장 좋기로는 약 1 내지 약 5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연화제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1종 이상의 연화제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연화제는 피부 표면에 부드럽고 매끄러운 감촉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은 피부 수화 수준 및/또는 피부 액화 장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효과를 낼 수 있다. 연화제의 예에는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 오일과 같은 식물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소르비탄 올레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콜 올레이트, 석유, 글리세린, 페트롤라툼, 광유 젤리와 같은 유기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연화제는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50 %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5 내지 약 40 중량%, 가장 좋기로는 약 10 내지 약 25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항산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항산화제는 천연이거나 합성일 수 있다. 그 예로서는 토코페롤, 비타민 E 리놀레이트, 비타민 E, 비타민 E POE 석시네이트, 비타민 E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PMG 등의 비타민 E 유도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단일 산소소와 같은 유해한 산화물을 중성화하기 위해 유효량이 사용된다. 이들은 약 0.1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0.5 내지 약 1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PPG-2-미리스틸 에테르 프로피네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등의 알려진 크림과 같은 조성물 내의 연화제의 오일감을 줄여주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 성분이 필요하다면, 약 1 내지 약 30 %의 양으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기로는 약 5 내지 약 25 중량%, 가장 좋기로는 약 10 내지 약 25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산성을 좋기로는 pH 약 6 내지 8의 소망하는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서 pH 조절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 예로는 아미노메틸프로판올이 있다. 이 pH 조절제는 소망하는 pH 범위로 pH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첨가된다.
조성물 총 중량의 0.4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햇빛 차단제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햇빛 차단제"이라는 표현은 피부를 침투하는 자외선을 흡수, 차단 또는 예방하는 유용한 것을 의미한다. 햇빛 차단제는 좋기로는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아연, 더 좋기로는 폴리머 물질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피복으로 피복된 햇빛 차단제가 바람직하다. 햇빛 차단제의 예에는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로 피복된 미소화된 이산화티타늄, C9-C15의 폴리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산화아연으로 피복된 폴리머,아미노벤조산(PABA) 및 이들의 에스테르, 벤조페논-3, 옥틸 살리실레이트,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등이 있다.
더 자세히는, 햇빛 차단제에는 최소 2-12, 중간 12-30, 최대 30 이상의 보호 지수(SPF)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평형은 부가제, 충전재, 유기 용매(알콜 및 오일), 완충 용액, 향수, 자체 태닝제(tanning agent) (디하이드록시 아세톤) 등의 종래의 첨가제와 그 밖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충전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종래의 첨가제에는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한다. 종래의 첨가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로 제공되며, 좋기로는 약 1 내지 약 15 중량%, 더 좋기로는 약 4 내지 약 10 중량%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은 백분율 또는 조성물의 평형은 물임을 이해할 것이다. 물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로 분산시키는 담체로서 작용한다. 사용되는 물은 탈이온화수 또는 증류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양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80 중량%, 가장 좋기로는 약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구체적 실시상태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크림 또는 로션 또는 연고이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크림이다. 담체는 물이 바람직하다. 선호되는 크림 조성물은 두유 발효물 성분을 첨가하고도 고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필수적인 일반 화장품 성분을 함유한 수중유 에멀션으로 제형화되었다. 선호되는 구체적 실시상태에서, 이러한 성분에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페트롤라툼, 특히 백색 페트롤라툼,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라놀린 알콜, 조성물의 약 3 내지 약 6 중량%의 범위의 PPG-2-미리스틸 에테르 프로피오네이트, 조성물의 약5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의 석유, 조성물의 약 0.2 내지 약 0.8 중량%의 범위의 트리에탄올아민, 조성물의 약 2 내지 약 4 중량%의 범위의 글리세롤, 특히 증류된 글리세롤, 조성물의 약 15 내지 약 20 중량 %의 범위의 스테아르산,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의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여분은 물이다.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내에는 소망하는 특정 크림 제형에 따라 전술한 것들뿐만 아니라 항산화제 및 착색제와 같은 방향제, 향수 비타민 및 그 밖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일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두유 발효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몇가지 기능을 지닌다. 첫번째로, 본 발명의 일부 수체적 실시 상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들은 피부의 놀라운 복구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일 및 바람직하게는 1일 2회 이상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언급한 안정적인 복구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몇 번의 도포에 의해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몇 주 또는 몇 달간 주기적으로 도포해야 한다. 상기 도포의 속도와 지속시간은 유효 성분의 농도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필요로 하는 복구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합한 도포방법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두유 발효를 위한 고활성 단백질 분해효소 보유 발효 균주 스크리닝
유용 미생물 탐색을 위해 젓갈 등 발효식품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한 후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이 높은 미생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까나리 젓갈에서 분리한 K3 미생물이 타 미생물과 비교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이 높았으며, 이를 동정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확인되었으며,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로 명명하였다(도 1 내지 도 3).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는 Trypic soy broth에서 37 ℃로 24시간 배양한 후, 동결건조하여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발효균주를 이용한 두유 발효물의 제조
두유를 제조하기 위해 대두를 세척한 후 14시간 물에 침지시킨 후 물기를 제거하고 마쇄기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면서 마쇄하였다. 마쇄된 시료를 100℃에서 30분간 끓인 후 헝겊 주머니에 넣고 압착하여 비지를 분리하고, 두유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두유에 동결건조된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 균주를 0.1 % 첨가한 후 37℃에서 6시간 배양하여 두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액상의 두유 발효물은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에의 두유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두유 발효물의 아미노산 조성 분석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두유 발효물과 발효전 두유를 HPLC로 분석하여 아미노산을 분리하여, 두유 발효물과 발효전 두유의 아미노산 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유 발효물은 두유에 비하여, 아미노산 및 Lys, Trp, Phe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증가되었고, 생리활성물질의 전구체인 방향족 아미노산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1).
B. amyloliquefaciens K3 발효에 의한 두유 내 아미노산 조성 변화
amino acids 두유(ug/ml) 두유 발효물(ug/ml)
EssentialAmino acid HIS 5.1 74.5
VAL 10.4 115.7
ILE 1.4 142.5
LEU 1.5 179.2
MET 38.7 99.3
THR 1.4 38.7
LYS 12.9 594.9
TRP 24.1 231.1
PHE 17.2 226.4
Non-essential amino acids TYR 2.2 135.0
ASN 8.5 24.3
SER 2.4 24.2
PRO 3.8 4.7
GLU 39.1 144.2
GLY 4.4 17.6
ALA 14.1 53.5
ASP 31.0 6.8
GLN 0.8 23.6
CYS 0.0 0.0
ARG 117.4 164.5
TOTAL 336.3 2300.6
실시예 4: 두유 발효물의 항산화활성 분석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백태(soy bean)와 서리태(Black soybean)을 원료로 하여 두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백태 두유 발효물과 서리태 두유 발효물을 제조하고, 두유 발효유에 함유된 항산화기능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펩타이드를 분획을 분리하고, 각 분획별 항산화 기능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고활성을 가진 분획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안정한 자유 라디칼인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를 일정한 시료 용액과 반응시켜 DPPH 라디칼이 감소되는 정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샘플 100 ul와 메탄올 800 ul, 증류수 1 ml 및 0.035% DPPH 또는 메탄올 100 ul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라디칼 감소 정도를 계산하였다. 표준 시료는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HPLC를 통해 분획된 샘플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3개의 분획을 선별하였다.(39, 44, 45 분획)
실시예 5: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여부 확인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크림, 로션 및 샴푸 제형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인체 피부자극을 평가하였다.
인체적용 시험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두유 발효물을 0.1% 함유하는 크림, 로션, 샴푸 제형을 33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피부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로션
원료명 함량(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0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5
피토스쿠알란 3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2
디메치콘 0.5
폴리소르베이트60 1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
메틸파라벤 0.1
프로필파라벤 0.05
부틸렌글리콜 5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0.5
두유 발효물 1.0
정제수 잔량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크림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두유 발효물 1.0
정제수 잔량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샴푸
원료명 함량(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액 28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액 20
페녹시에탄올 0.2
폴리쿼터늄-10 0.4
세틸알콜 1
디메치콘 1
시트릭애씨드 0.1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0.3
두유 발효물 1.0
정제수 잔량
성인 남여 피시험자 33명을 대상으로 Finn Chamber를 이용하여 피부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시험자의 등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시험물질 20 μL를 직경 8 ㎜의 Finn Chamber에 적하하고 시험부위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시험물질 #3의 경우, Filter paper disc를 직경 8 ㎜의 Finn Chamber 내에 얹은 후 시험물질 20 μL를 적하하고 시험부위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시험물질 #3은 멸균된 1차 증류수에 1%의 농도로 희석하여 적용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고, 결과 판정표에 따라 평균 피부반응도(Mean score)를 구하였다.
그 결과,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크림"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로션"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샴푸"는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크림, 로션 및 샴푸 제형 모두, 피부첩포에 의한 피부 일차 자극 평가에 대한 인체적용시험 결과, 모두 무자극 제품군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진정효과 확인
실시예 5에서 사용한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크림에 대한 피부진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체적용 시험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피험자는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 증상이 있으며, Corneometer 보습 측정기기에 의한 피부 수분량이 60 이하로 평균 이상의 건 성 피부를 가진 12~60세 이상의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기간인 4주 동안 세안 및 세정 후, 1일 2회(건조할 경우 수시로 덧바름) 시험 물질인 크림을 동일한 양을 안면부위와 오른쪽 전완 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시켰다.
시험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모든 절차는 신뢰성 보증업무 담당자가 점검하였다.
MoistureMeterD Compact와 피시험자 설문조사를 이용한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평가 결과, 진피 수분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9.37%, 4주 사용 후 10.09% 증가되어 진피 속보습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p<.001). (도 9)
또한, 피시험자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개선도를 평가한 결과, 시험물질 사용 전후의 가려움증으로 인한 행동 및 습관상태 설문조사 결과에서 가려움 정도는 시험물질 사용 전 2.36에서 2주 사용 후 1.41, 4주 사용 후 0.91로, 가려움 빈도는 시험물질 사용 전 1.73에서 2주 사용 후 1.00, 4주 사용 후 0.73으로, 수면시 가려움 정도는 시험물질 사용 전 1.18에서 2주 사용 후 0.41, 4주 사용 후 0.32로, 가려움이 가장 심할 때의 가려움 정도는 시험물질 사용 전 2.59에서 2주 사용 후 1.45, 4주 사용 후 1.18로, 가려움이 가장 적을 때의 가려움 정도는 시험물질 사용 전 1.77에서 2주 사용 후 1.00, 4주 사용 후 0.82 로 각각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
10 ㎝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한 피시험자의 시험물질 사용 전후의 가려움증으로 인한 심리상태 설문조사 결과에서 우울함 정도는 시험물질 사용 전 5.27에서 2주 사용 후 2.09, 4주 사용 후 1.32로, 집중력 저하 정도는 시험 물질 사용 전 5.36에서 2주 사용 후 2.27, 4주 사용 후 1.27로, 분노 정도는 시험 물질 사용 전 4.82에서 2주 사용 후 1.95, 4주 사용 후 1.05로 각각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p<.001).
SkinColorCatch와 전안촬영시스템 JANUS-1을 이용한 피부 진정효과 평가 결과, 피부의 붉은기를 나타내는 a* value가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83%, 4 주 사용 후 5.13% 감소되어 피부 진정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p<.05) (도 10), 시험기간 동안 피시험자로부터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두유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균주로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유 발효물은 필수 아미노산인 Lys, Trp, Phe 및 방향족 아미노산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 항노화, 주름개선, 가려움 개선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기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두유 발효물은 다음 단계를 거쳐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 물에 침지하여 불린 대두를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대두를 열처리한 후, 비지를 분리하고, 두유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두유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3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두유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PCT/KR2018/008063 2017-07-27 2018-07-17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22425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25841A JP2020528930A (ja) 2017-07-27 2018-07-17 豆乳発酵物を含有する抗酸化およびアトピー改善用化粧料組成物
CN201880054870.3A CN111065375A (zh) 2017-07-27 2018-07-17 包含豆乳发酵物的抗氧化和减轻特应性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79A KR20190012337A (ko) 2017-07-27 2017-07-27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5079 2017-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25A2 true WO2019022425A2 (ko) 2019-01-31
WO2019022425A3 WO2019022425A3 (ko) 2019-03-28

Family

ID=6504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063 WO2019022425A2 (ko) 2017-07-27 2018-07-17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528930A (ko)
KR (1) KR20190012337A (ko)
CN (1) CN111065375A (ko)
WO (1) WO20190224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69B1 (ko) * 2020-11-09 2021-05-10 주식회사 바람인터내셔날 다알리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다알리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995129B1 (en) * 2020-11-09 2023-03-29 Baram International Co., Lt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ahlia pinnata fermente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dahlia pinnat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0273A (ja) * 2004-04-21 2005-12-02 Aol Corporation 生体内ラジカル捕捉組成物
KR20080105470A (ko) * 2007-05-31 2008-12-0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CN102112106B (zh) * 2008-07-31 2013-03-20 高丽雅娜化妆品股份有限公司 包含经发酵和酶处理的绿豆种子提取物、用于皮肤抗老化的化妆品组合物
KR100898311B1 (ko) * 2008-10-23 2009-05-19 주식회사 더멋진 바이오텍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3196B1 (ko) * 2010-02-23 2012-08-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분리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암기능성 발효두유
JP2012135280A (ja) * 2010-12-27 2012-07-19 J-Oil Mills Inc 改良固体大豆蛋白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4121B1 (ko) * 2012-10-26 2014-07-01 한국식품연구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플란타럼 아종(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플란타럼 아종(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1414120B1 (ko) * 2012-10-26 2014-07-01 한국식품연구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140N 균주(기탁번호 KCCM 11286P) 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140N 균주(기탁번호 KCCM 11286P)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CN103131655B (zh) * 2013-03-06 2014-03-26 江苏苏滨生物农化有限公司 解淀粉芽孢杆菌k-8及其菌剂
KR101644593B1 (ko) * 2013-10-18 2016-08-02 한국식품연구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26n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1517326B1 (ko) * 2014-01-28 2015-05-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 대두박 생산능이 향상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 대두박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35982B1 (ko) * 2014-08-19 2016-07-07 한국식품연구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190823A (ja) * 2015-03-31 2016-11-10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神経成長因子抑制剤
JP2017108700A (ja) * 2015-12-18 2017-06-22 赤穂化成株式会社 油揚げ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8930A (ja) 2020-10-01
CN111065375A (zh) 2020-04-24
WO2019022425A3 (ko) 2019-03-28
KR20190012337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2606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rfaces
US20070020216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rfaces
WO2011099665A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1896684B2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6514657A (ja) しわ、細かいすじ及び発汗過多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伝達方法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US20070041922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rfaces
US20040009130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rfaces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22425A2 (ko) 두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0692258B1 (fr) Extrait de graine de pervenche et composition le contenant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4317B1 (ko)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4510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j2k-187 균주를 이용한 밀크씨슬 발효 추출물 및 상기 밀크씨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과 진정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137B1 (ko)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US20160324762A1 (en) Dark circle correcting and concealing compositions
JPH04312513A (ja) 化粧料
WO2012173383A2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0226311A (ja) 抗老化剤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79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2584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79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