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17624A1 -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17624A1
WO2019017624A1 PCT/KR2018/007559 KR2018007559W WO2019017624A1 WO 2019017624 A1 WO2019017624 A1 WO 2019017624A1 KR 2018007559 W KR2018007559 W KR 2018007559W WO 2019017624 A1 WO2019017624 A1 WO 20190176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ench
auxiliary
contact portion
contact
auxiliar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5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학수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전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학수 filed Critical 전학수
Priority to EP18835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56612A4/en
Priority to US16/632,705 priority patent/US20200139900A1/en
Priority to CN201880049074.0A priority patent/CN111094073B/zh
Publication of WO20190176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176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5Decorative or colour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93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terior material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 the interior material for a vehicle refers to interior parts such as an instrument panel, a door trim, and a console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includes a substrate, a cushion lay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a skin layer provided on the cushion layer.
  • the substrate is formed into a complicated three-dimensional shape, while the skin layer has a cloth or a flexible plate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interior material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whose decorative seams are arranged straight.
  •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trench formed therein; A skin portion of a flexible material wrapped on the base portion and flexing freely; A contact portion formed by sealing the skin portion with a main seam along a center line of the contact portion; A subsidiary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trench and coupling the contact portion to the trench; And a decorative seam formed on the skin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or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 the auxiliary portion when the auxiliary portion is fitted in the trench, the auxiliary portion is bent so as to coincide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rench, and the auxiliary portion is ben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ac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portion suppresses elastic deformation and flexural de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nch and is made of a material harder than the skin portion.
  • the contact portion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uxiliary portion by a main seal
  • the auxiliary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mean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trench, 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uide means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uide means of the auxiliary portion after the decorative seam is formed.
  • the contact portion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uxiliary portion by a main seal
  • the skin portion is coupled to the auxiliary portion by fasten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auxiliary portion
  •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auxiliary portion such that the auxiliary portion has the same shape before and after insertion of the auxiliary portion into the trench and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that converges the auxiliary por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nch.
  • auxiliary portion when the auxiliary portion is defin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is defined as the third direction, when the auxiliary portion is pr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A first guide means for converging the auxiliary por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nch along a third direction and a stopper for stopping movement of the auxiliary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trench when the auxiliary portion is pr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Means are provided.
  • the first guide means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auxiliary por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auxiliary portion, a first inner wall of the trench, and a second inner wall of the trench, A portion w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auxiliary portion meet or a portion where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second inner wall of the trench meet.
  •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idiary portion inserted into the trench of the base portion.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means, the second guide means, and the stopper means may be included.
  • the contact portion can be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decorative seam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in parallel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ct portion or the contact portion.
  • a failure phenomenon in which the decorative seam exposed to the outside is twisted can be prevented by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portion, the first guide means, the second guide means, or the stopper means.
  • the productivity of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due to the low defect rate and ease of manufacture.
  •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due to the properly aligned decorative seam.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vehic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vehicle interior material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eoretical trench as a comparative exampl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alistic trench as a comparative example.
  •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decorative seam of the comparative example.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coration seam of a vehic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ng cutou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100
  •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100.
  •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100 shown in the figure may include a substrate portion 110 and a skin portion 130.
  • the base material portion 110 can form the skeleton of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 the vehicle interior can be an instrument panel, a console, a door trim, a glove box, a filler garnish, and the like.
  • FIG. 1 shows an instrument panel installed in front of a vehicle interior as an example of the base portion 110.
  • the instrument panel is provided with a first vent hole 101 formed on the front glass window side for outputting wind toward the glass plate glass, a second vent hole 103 formed on the side glass window side and for outputting wind toward the side window or the room .
  • the base portion 110 is an element that provides the rigidity of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100 and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 th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wood, metal, or the like.
  • the substrat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non-planar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a curved surface, an irregular surface, or the like in order to reduce a user's injury due to collision and to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 the cushion part 15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base material part 110 and the skin part 130 to prevent injury when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is hit and to improve the feel when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is touched.
  • the cushion part 15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having elasticity.
  • the cushion part 150 includes a first outer shell 151 and a second outer shell 15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filament layer 153 inserted between the first outer shell 151 and the second outer shell 152, . ≪ / RTI >
  • the filament layer 153 may comprise a regular or irregularly entangled cotton or knitted fabric.
  • the filament layer 153 may be formed of sponge, rubber or the like.
  • the first outer shell 151 and the second outer shell 152 may prevent the outflow of the member forming the filament layer 153 and may prevent the filament layer 153 from being adhered to the base member 110 and the skin member 130 .
  • the first outer covering 151 may be adhered to the base 110 and the second outer covering 152 may be adhered to the skin 130.
  • the cushion unit 150 may be folded together with the skin unit 130 in a state where the cushion unit 150 is coupled to the skin unit 130 or may be folded together with the skin unit 130 (Not shown). Wrapping refers to pulling the flexible skin part 130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 110 in an unfolded manner and covering it without wrinkling or flapping.
  • the skin portion 130 is a flexible material that includes natur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fabric, and the like and freely flexes to improve the texture, improve the touch, and provide anaki appearance.
  • the end portion of the skin portion 130 wrapped on the substrate portion 110 may be folded inward at the end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r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This is because if the end portion of the skin portion 130 is not coupled to the bottom or inner wall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the skin portion 130 may be wrinkled depending on the elasticity of the skin portion 130.
  • An adhesiv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kin portion 130 and the substrate portion 110.
  • an adhesiv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ushion part 150, specifically, the first outer cover 151 and the base part 110.
  • the adhesive does not have adhesive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and can have an adhesive strength only in a specific set temperature rang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100 can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at which the adhesive operates.
  • the substrate portion 110 and the skin portion 130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skin portion 130 may be prepared in a flat sheet state before being wrapped in the substrate portion 110.
  • the sealed skin part 130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to match the contour of the substrate part 110.
  • the skin portion 130 may include a first sheet 131 on one side and a second sheet 132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facing portion 230.
  • the skin part 130 may include a first sheet 131 covering the first area of the substrate 110 and a second sheet 132 covering the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110.
  • a contact portion 230 formed by sealing the first sheet 131 and the second sheet 132 by the main seam 231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kin portion 130.
  • a trench 118 may be formed in the base 110 to receive the fixation reference position of the skin 130.
  • the contact portion 230 may be formed to guide the alignment of the skin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ortion 110 or to support the pulling force of the skin portion 130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230, It is necessary to firmly engage the trench 118 without rocking.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portion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though not the present invention.
  • the edge of the first sheet 131 and the edge of the second sheet 132 may be sealed by the main seam 231 to form the contact portion 230 in a state where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 the main seam 231 may correspond to a string or a thread that seams the edge of the first sheet 131 and the edge of the second sheet 132 against each other.
  • a seal pad 250 and a filler material 260 are added to the contact portion 230 of the comparative example so that the contact portion 230 can be formed of a water droplet elastic body.
  • the water droplet elastic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and the skin part 130 can be provisionally fix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ater droplet shape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 the seam pad 250 may include a leather, cloth, or the like that covers the contact portion 230 protruding toward the base 110 in a water droplet shape.
  • the filler material 26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30 and the shim pad 250 and may be a means for reinforcing the shape of the droplet of the contact portion 230.
  • the filler material 260 and the seal pad 250 are elastically deform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contact portion 230 and the trench 118, .
  • One end of the shim pad 250 is sew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first sheet 131 by the main seam 231 and the other end of the shim pad 250 is se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32 by the main seam 231. [ It can be sewn inside the edge.
  •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im pad 250, the edge of the first sheet 131, the edge of the second sheet 132, and the replenishing material 260 are sealed at one time through a single sewing thread forming the main seam 231 .
  •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kin portion 130 opposite to the contact portion 230 with the first sheet 131 and the second sheet 132 being curled.
  • a decorative seam 233 (seam) including a double stitch or a single stitch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 the decorative seam 233 and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must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which is kept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is not distorted.
  • the decorative seam 233 may be formed on the skin portion 130 in parallel with the contact portion 230 or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at regular intervals.
  • the skin contact portion 230 formed by the shim pad 250 or the replenishing material 260 is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and elastically deformed.
  • the pulling force F1 acts on the first sheet 131 during the fixing by the elastic deformation, a problem that the second sheet 132 is pulled can be caused. If the pulling force F2 acts on the second sheet 132, the first sheet 131 may be dragged. Therefore, the operator has to repeatedly perform the work of removing the wrinkles of the first sheet 131 and the second sheet 132.
  • the decorative seam 233 must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d from the contact portion 230 or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 6, if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trench 118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the contact portion 230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is rotated or skewed, and the decorative seam 233 is also distorted as shown in Fig.
  • the interior lining material 100 may be defective.
  • the entire vehicle built-in agent may be defective even if the seam is simply skewed.
  • the contact portion 230 is formed in the trench 118, .
  • the defective problem that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or the decorative seam 233 is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solely dependent on the repetitive work of the worker.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bstrate portion 110 in which a theoretical shaped trench 118 is formed as a comparative example.
  • the substrate 110 has a 3D solid shape, normal vector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may be dir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rench 118.
  • the substrate portion 11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left.
  • the substrate portion 110 may have a horizontal inclined surface on the ground.
  • the substrate portion 11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right.
  • the square-shaped trenches 118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spective inclined surfaces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 a protrusion or core for molding the trench 118 may be provided in the mold.
  •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ld having the protrusions or cores are removed from the substrate 110 is oriented in one direction.
  • the mold withdrawing angle? Can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 third positions, and all of them can be directed in one direction.
  • the core of the mold can easily escape from the trench 118 at the second position B but the sidewall of the trench 118 at the first position A or the sidewall of the trench 118 at the third position C, So that i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trench 118. Therefore, if the trench 118 for each position is sufficiently cured, a problem that the mold is difficult to be removed may occur. On the other hand, if the trench 118 for each position is not yet cured, the mold may be forcibly released and the side wall of the trench 118 may be crushed.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alistic trench 118 as a comparative example. Considering easy removal of the mold or forced release of the mold, one of the sidewalls of each trench 118 is chang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mold withdrawal angle e.
  • the right wall of the trench 118 in the first position A prevents the mold from coming off, the right wall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ld withdrawing angle?, And the trench 118 in the third position C has the left wall The left side wall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ld withdrawing angle e.
  • the positive displacement of the contact portion 230 becomes more severe.
  • the contact portion 230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can be weakened in the trench 118 and the flow amount can be enlarged.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in-vehicle interior material 100.
  • Fig. 7A shows a state before the skin portion 130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110.
  • Fig. 7 (b) shows a state after the skin portion 130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110.
  • FIG.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xiliary part 300. Fig.
  •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prevent the defective problem that the decorative seam 233 is twisted and to improve the lapping failure due to weakening of the bonding strength of the contact portion 230 and the trench 118, And a trench (118).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and the trench 118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the contact portion 230 can not occur and the ornamental seam 233 exactly follows the specified trajectory.
  • the auxiliary portion 300 may extend along the contact portion 230.
  • the contact portion 230 can be sewn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cus of the trench 118 extending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 the auxiliary portion 300 can be extended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trench 118 to the end point while being bent in the same locus as the contact portion 230. [ Therefore, the auxiliary portion 3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can be ben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 the auxiliary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sectional shap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shape, unlike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rt 30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hape of the trench 118.
  • the first inner wall 391 and the second inner wall 392 may be formed on the trench 118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inner wall 391 may have a curvature or a slope that moves the auxiliary portion 300 toward the second inner wall 392 by physical interference when the auxiliary portion 300 is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 the second inner wall 392 may have a curvature or a slope that moves the auxiliary portion 300 toward the first inner wall 391 by physical interference when the auxiliary portion 300 is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 the first guide means 31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bending or tilting of the first inner wall 391 and the bending or tilting of the second inner wall 392 to converge the auxiliary portion 30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nch 118 .
  • the trench 118 may have a "V" shaped cross-sec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deeper.
  • the first guide means 310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portion 300 as well.
  • the first guide means 310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and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311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312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Or the like.
  • the first inclined plane 311 may have a curvature or a slope that moves the auxiliary portion 300 toward the second inclined plane 312 due to physical interference when the first inclined plane 311 is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may have a curvature or a slope that moves the auxiliary portion 300 to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1 due to physical interference wh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is inserted into the trench 118.
  •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inner wall 391 of the trench 118.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second inner wall 392 of the trench 118.
  • the first guide unit 310 may have a V-shaped cross section by the first inclined plane 311 and the second inclined plane 312.
  • the auxiliary portion 300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means 310 may have an inverted triangular cross section.
  • the auxiliary part 300 is provided so as to generate a horizontal force to converge the auxiliary part 300 to the set position f0 of the trench 118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to push the auxiliary part 300 to insert the auxiliary part 300 into the trench 118.
  • the trench or curvature formed in the trench 118 is the first guide means 310.
  • the first inclined surface 311 contacting the first inner wall 391 prevents the auxiliary portion 300 from moving toward the first inner wall 39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2 abutting against the second inner wall 392
  •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toward the second inner wall 392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fully grasp both sides of the skin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230 fixed at the right position of the trench 118,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lapping productivity of the skin portion 130.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kin portion 130 as much as possibl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trench 118 by using a bone blade without using an adhesive.
  • the trench 118 can be formed to maintain the same shape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mold withdrawing angle Es.
  • the trenches 118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inner wall 391 and a second inner wall 392 having a bend or tilt.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crushing of the shape of the trench 118 by the mold withdrawing angle e, regardless of the first position A, the second position B and the third position C,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releasing the mold. As a result, the trenches 118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regardless of the position.
  • the accuracy of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contact portion 230 can be secured by using the auxiliary portion 300 having the same shape regardless of the position, the decorative seam 233 and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It can be formed in a correct position without being distorted.
  • Means 320 may be formed.
  • the second guide means 3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and include a groove into which the contact portion 230 is inserted.
  • the second guide means 32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 the contact portion 230 When the contact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means 320, the contact portion 230 is aligned with the auxiliary portion 300 and the decorative seam 233 aligned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230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auxiliary portion 300 ). ≪ / RTI > Since th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forming the decorative seam 233 is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bone blade, the contact center line 240 can be pressed while being aligned with the bone blade (not shown) The decorative seam 233 may be equally spaced in parallel to the seamed center line 240. The decorative seam 233 can be 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auxiliary part 300 when the contact part 230 is assembl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auxiliary part 300. [
  • the auxiliary portion 300 is aligned with the substrate 110 by the first guide means 310 and the decorative seam 233 and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are aligned with the auxiliary portion 300 by the second guide means 320 .
  • the stopper means regulates the coupling height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with respect to the trench 118.
  • the decorative seam 233 can be aligned at the precise location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due to the ancillary portion 300.
  • the decorative seam 233 may also be straightened to the substrate 110.
  • the defective problem that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or the decorative seam 233 is distorted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lapping operation for repeatedly calibrating the contact portion center line 240 or the decorative seam 233 to a position parallel to the set position f0 of the trench 118 is eliminated, the productivity can also be greatly improved.
  • the operator can keep the contact portion 230 and the decorative seam 233 at the correct positions by simply pressing the auxiliary portion 300 onto the trench 118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very easy and quick There are advantages.
  •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corative seam 233 of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ct part 230 can be inserted straight into the trench 118.
  • the contact center line 240 and the decorative seam 233 aligned with the contact portion 230 are straightened to the trench 118 and the substrate portion 110 as shown in Fig. 9, .
  • the contact center line 240 and the decorative seam 233 which are aligned straight to the substrate portion 110,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and can be free from defective problems.
  • the auxiliary part 300 may be sealed to the skin part 130 by the decorative seam 233 or may be sealed to the contact part 230 by the main seam 231.
  • the auxiliary part 300 of FIG. 7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wing part 330 that is sealed to the skin part 130 by a decorative seam 233.
  • the decorative seam 233 can be precisely aligned with the auxiliary part 300 by the first wing part 330.
  • a step 381 corresponding to a stepped portion of the first wing 330 may be formed around the entrance of the trench 118 in the substrate 110.
  • the jaw portion 381 can prevent the auxiliary portion 3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trench 118 during the process of pulling the skin portion 130 tight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230.
  • the jaw portion 381 prevents the skin portion 130 from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110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wing portion 330, and the attachment height of the skin portion 130 can be made constant have.
  •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xiliary portion 30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wing portion 340 that is sealed to the contact portion 230 by the main seal 231. [ According to the second wing portion 340 that is sealed to the contact portion 230, the contact portion 230 can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auxiliary portion 300.
  • the ornamental seam 233 is aligned with the receptacle 230 so as to maintain the distance d and the ornamental seam 233 can also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auxiliary part 300 via the seam 230.
  • the decorative seam 233 can be formed straight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10 as shown in FIG.
  • auxiliary portion 300 When the trench 118 extends in the three-dimensional trajectory, the auxiliary portion 300 also b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coincides with the trajectory of the trench 118. In order to facilitate the bending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in the extending direction, May be provided.
  • the wing cutout portion 332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irst wing portion 3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ortion 300 and allows the first wing portion 330 to closely contact the periphery of the trench 118 without lifting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트렌치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에 평행하게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 상기 보조부를 정렬시키는 제1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보조부에 상기 장식 시임을 정렬시키는 제2 가이드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등의 내장품을 지칭한다.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 기재 상에 설치된 쿠션층, 쿠션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포함한다.
기재는 복잡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스킨층은 천이나 플렉시블한 판 형상을 갖는다.
복잡한 입체 형상의 기재를 스킨층으로 감쌀 때, 스킨층이 기재에 편평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뜨거나 주름이 잡히면 차량용 내장재가 불량 처리된다.
한편, 스킨층에 형성된는 더블 스티치, 싱글 스티치 등의 장식 시임이 시접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지 않고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비뚤어지는 경우에도 차량용 내장재가 불량 처리된다.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장식 시임이 똑바로 배열된 차량용 내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스킨부; 상기 스킨부를 시접부 중심선을 따라 메인 시임(seam)으로 봉합한 시접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트렌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시접부를 상기 트렌치에 결합시키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시접부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끼워지면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의 연장 뱡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지고,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의 연장 방향, 상기 시접부 중심선의 연장 방향, 상기 장식 시임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렌치의 연장 방향과 일치시키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가 상기 트렌치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시접부의 탄성 변형 및 휨 변형을 억제하며, 상기 스킨부보다 더 딱딱한 재질로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접부는 메인 시임에 의하여 상기 보조부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1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장식 시임이 형성되기 전의 상기 보조부의 제1 가이드 수단의 단면 형상은 상기 장식 시임이 형성되고 난 후의 상기 보조부의 제1 가이드 수단의 단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접부는 메인 시임에 의하여 상기 보조부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시접부 및 상기 보조부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스킨부가 상기 보조부에 결합되고,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상기 보조부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기 전과 후에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보조부를 상기 트렌치의 정해진 위치로 수렴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면이 상기 보조부의 돌출된 부분에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보조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부를 상기 트렌치의 정해진 위치에 수렴시키는 제1 가이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눌려질 때 상기 트렌치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보조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수단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조부의 제1 경사면, 상기 보조부의 제2 경사면, 상기 트렌치의 제1 내벽 및 상기 트렌치의 제2 내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보조부의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이 만나는 부분 또는 상기 트렌치의 제1 내벽 및 제2 내벽이 만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부의 트렌치에 삽입되는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수단, 제2 가이드 수단 및 스토퍼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수단, 제2 가이드 수단 또는 스토퍼 수단이 마련되면, 시접부를 기재부의 정해진 위치에 조립할 수 있고, 장식 시임을 시접부 또는 시접부 중심선에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되는 장식 시임이 삐뚤삐뚤해지는 불량 현상이 보조부, 제1 가이드 수단, 제2 가이드 수단 또는 스토퍼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낮은 불량률과 제조의 용이함으로 인해 차량용 내장재의 생산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똑바로 정렬된 장식 시임으로 인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 실시예를 도시한 차량용 내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 실시예로서 이론상의 트렌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 실시예로서 현실적인 트렌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 실시예의 장식 시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재부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의 장식 시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윙 절개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은 차량용 내장재(10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100)는 기재부(110), 스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도어 트림, 글러브 박스(glove box), 필러 가니쉬 등일 수 있다. 도 1에는 기재부(110)의 예로 차량 실내 앞쪽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나타내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앞면 유리창 쪽에 형성되고 판면 유리챵을 향해 바람이 출력되는 제1 벤트 홀(101), 측면 유리창 쪽에 형성되고 측면 유리창 또는 실내를 향해 바람이 출력되는 제2 벤트 홀(103)이 마련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강성을 제공하는 요소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목재, 금속 등을 재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충돌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감소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곡면, 굴곡면, 요철면 등을 갖는 비평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에 부딪혔을 때의 부상을 방지하고 차량용 내장재를 만졌을 때의 촉감 개선을 위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의 사이에는 쿠션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쿠션부(150)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150)는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 사이에 삽입되는 필라멘트층(153)을 포함할 수 있다. 필라멘트층(153)은 가느다란 실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엉킨 솜 또는 편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 고무 등으로 필라멘트층(153)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는 필라멘트층(153)을 형성하는 부재의 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라멘트층(153)을 대신해 기재부(110), 스킨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외피(151)는 기재부(110)에 접착되고, 제2 외피(152)는 스킨부(130)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쿠션부(150)를 배제하고 있으나, 쿠션부(150)는 스킨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킨부(130)와 함께 접히거나, 스킨부(130)와 함께 기재부(110)에 랩핑될 수 있다. 랩핑(wrapping)은 기재부(110)의 표면에 플렉시블한 스킨부(130)를 팽팽하게 당기며 주름이나 들뜸없이 덮는 것을 말한다.
스킨부(130)는 질감 향상, 촉감 향상,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한 것으로, 천연 가죽, 인조 가죽, 직물 등을 포함하며,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이다.
기재부(110) 상에 랩핑된 스킨부(130)의 단부는 기재부(110)의 말단에서 안쪽으로 접혀져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킨부(130)의 단부를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벽면에 결합하지 않으면, 스킨부(130)의 신축성에 따라 스킨부(130)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킨부(130)와 기재부(1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쿠션부(150)가 존재하는 경우, 쿠션부(150), 구체적으로 제1 외피(151)와 기재부(110)의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해당 접착제는 상온에서 접착력을 갖지 않고 상온보다 높은 특정한 설정 온도 범위에서만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스킨부(130)가 랩핑되면 차량용 내장재(100)는 접착제가 동작하는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설정 온도로 가열된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진 후에는 스킨부(130)에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랩핑 공정에서 주름이나 들뜸을 최대한 없애야 한다.
기재부(110)에 랩핑되기 전에 스킨부(130)는 평면 시트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평면 시트 상태인 여러 조각의 스킨부(130)를 곡선의 시접부(230)로 봉합하면 봉합된 스킨부(130)는 기재부(110)의 외형에 맞게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시트(131) 및 타측의 제2 시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130)는 기재부(110)의 제1 영역을 덮는 제1 시트(131), 기재부(110)의 제2 영역을 덮는 제2 시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130)의 일면에는 메인 시임(231)(seam)에 의하여 제1 시트(131)와 제2 시트(132)를 봉합한 시접부(230)가 돌출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스킨부(130)의 고정 기준 위치를 잡기 위하여 시접부(230)가 결합되는 트렌치(118)(trench)가 형성될 수 있다.
시접부(230)는 기재부(110)에 대한 스킨부(130)의 정렬 상태를 가이드하거나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를 양측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힘을 지지하기 위하여, 트렌치(118)에 요동없이 꽉 끼이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은 아니지만 본 발명과 비교 실시예의 시접부(2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메인 시임(231)에 의해 봉합되어 시접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시임(231)은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꿰맨 줄 또는 실에 해당할 수 있다.
비교 실시예의 시접부(230)에는 시임 패드(250), 보충재(260)가 추가되어 시접부(230)를 물방울 모양의 탄성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방울 모양의 탄성체는 트렌치(118)에 삽입된 후 탄성 변형되고, 트렌치(118)에 삽입된 물방울 형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킨부(130)가 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시임 패드(250)(seam pad)는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시접부(230)를 물방울 형상으로 덮는 피혁, 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충재(260)는 시접부(230)와 시임 패드(250) 사이에 삽입되고 시접부(230)의 물방울 형상을 강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시접부(230)가 트렌치(118)에 삽입되면, 보충재(260) 및 시임 패드(250)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시접부(230)와 트렌치(118) 사이의 틈을 메워 위치 고정력을 발생할 수 있다.
시임 패드(250)의 일단은 메인 시임(231)에 의해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 내면에 봉제되고, 시임 패드(250)의 타단은 메인 시임(231)에 의해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 내면에 봉제될 수 있다. 메인 시임(231)을 형성하는 한번의 재봉질을 통해 시임 패드(250)의 일단 및 타단,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 보충재(260)가 한번에 봉합될 수 있다.
스킨부(130)에서 시접부(230)에 반대되는 면에는 제1 시트(131)와 제2 시트(132)가 말려 들어가면서 시접부 중심선(240)이 형성될 수 있다.
시접부 중심선(240)의 양측에 더블 스티치(stitch) 또는 싱글 스티치를 포함하는 장식 시임(233)(seam)이 형성될 수 있다. 장식 시임(233) 및 시접부 중심선(240)은 외부에 노출되므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비뚤어지지 않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장식 시임(233)은 시접부(230) 또는 시접부 중심선(24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스킨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시임 패드(250)나 보충재(260)에 의하여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된 시접부(230)가 트렌치(118)에 삽입되어 탄성 변형되면 스킨부(130)의 결합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변형에 의한 고정시, 제1 시트(131)를 잡아당기는 힘 F1이 작용하면 제2 시트(132)가 끌려오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제2 시트(132)를 잡아당기는 힘 F2가 작용하면 제1 시트(131)가 끌려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시트(131)나 제2 시트(132)의 주름을 없애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장식 시임(233)은 시접부(230) 또는 시접부 중심선(240)로부터 일정한 거리 d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트렌치(118)에 삽입된 시접부(230)가 회전하거나, 삐뚤어지나, 트렌치(118)에 대한 탄성 변형량이 연장 방향으로 변동되면 장식 시임(233)도 도 6과 같이 삐뚤어질 수밖에 없다.
시접부 중심선(240)이 삐뚤어지거나 장식 시임(233)이 삐뚤어지면 차량용 내장재(100)로서는 불량 처리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에 스킨부(130)가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는 단순하게 시임이 비뚤어지는 것만으로도 차량용 내장제 전체가 불량 처리될 수 있다.
시임 패드(250), 시접부(230), 보충재(260)가 물방울 형상으로 시접부(230)에 탄성 결합될 뿐이므로, 시접부(230)는 트렌치(118) 내에서 직선 유동 또는 회전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시접부 중심선(240) 또는 장식 시임(233)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삐뚤어지는 불량 문제 해소는 전적으로 작업자의 반복 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한편, 트렌치(118)에 삽입된 시접부(230)의 유동으로 인한 장식 시임(233)의 정렬 불량 문제는 금형 빼기 각도 ⓔ로 인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도 4는 비교 실시예로서, 이론적인 형상의 트렌치(118)가 형성된 기재부(11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재부(110)는 3D 입체 형상이므로 트렌치(118)의 위치에 따라 기재부(110)의 표면에 수직한 법선 벡터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1 위치 A에서 기재부(110)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위치 B에서 기재부(110)는 지면에 수평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3 위치 C에서 기재부(110)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사각 형상의 트렌치(118)는 기재부(110)의 각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재질의 기재부(110)를 금형으로 사출할 때, 금형에는 트렌치(118)를 성형하는 돌출부 또는 코어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 또는 코어가 마련된 금형을 기재부(110)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은 하나의 방향을 향하며, 금형 빼기 각도 ⓔ는 제1 위치 내지 제3 위치의 특성을 고려할 수 없고 모두 하나의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금형 빼기 각도 ⓔ에 따르면, 금형의 코어는 제2 위치 B의 트렌치(118)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지만, 제1 위치 A의 트렌치(118)의 측벽 또는 제3 위치 C의 트렌치(118)의 측벽에 저지되어 트렌치(118)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따라서, 각 위치별 트렌치(118)가 충분히 경화되었다면 금형이 이탈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각 위치별 트렌치(118)가 아직 경화되기 전이라면 금형이 강제로 이탈되면서 트렌치(118)의 측벽을 뭉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비교 실시예로서, 현실적인 트렌치(118)의 단면도이다. 금형의 용이한 이탈 또는 금형의 강제 이탈을 고려하면, 각 트렌치(118)의 측벽 중 하나가 금형 빼기 각도 ⓔ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변경된다.
일 예로, 제1 위치 A의 트렌치(118)는 우측벽이 금형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우측벽이 금형 빼기 각도 ⓔ와 동일 방향이고, 제3 위치 C의 트렌치(118)는 좌측벽이 금형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좌측벽이 금형 빼기 각도 ⓔ와 동일 방향이다.
금형 빼기 각도 ⓔ에 따라 변형된 측벽을 갖는 트렌치(118) 때문에, 시접부(230)의 정위치 이탈은 더욱 심해진다. 트렌치(118)에 삽입된 시접부(230)는 트렌치(118) 내에서 탄성 고정력이 약해지고 유동량이 확대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시접부 중심선(240) 또는 장식 시임(233)이 정해진 궤적을 이탈하고 삐뚤삐뚤하게 형성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의 (a)와 (b)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의 (a)는 기재부(110)에 스킨부(130)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7의 (b)는 기재부(110)에 스킨부(130)가 장착된 이후의 상태이다. 도 7의 (c)는 보조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장식 시임(233)이 삐뚤삐뚤해지는 불량 문제를 방지하고, 시접부(230) 및 트렌치(118)의 결합력 약화에 의한 랩핑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는 시접부(230)와 트렌치(118)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부(300) 및 트렌치(118)의 결합에 의하면 시접부(230)의 유동이 발생할 수 없고 장식 시임(233)이 정해진 궤적을 정확히 추종한다.
일 실시예로서, 기재부(110)에 보조부(300)를 정렬시키는 제1 가이드 수단(310), 보조부(300)에 장식 시임(233)을 정렬시키는 제2 가이드 수단(320), 트렌치(118)에 대한 보조부(300)의 체결 높이를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시접부(23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기재부(110) 표면에 3차원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118)의 궤적에 맞추어 시접부(230)가 3차원 방향으로 봉제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시접부(230)와 동일한 궤적으로 휘어지면서 트렌치(118)의 시작점으로부터 종착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부(300)는 연장 방향을 따라 휘어짐이 가능한 합성 수지 재질이 될 수 있다.
또한, 비교 실시예와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118) 내부에서 시접부(230)의 유동이 억제된다. 보조부(300)가 트렌치(118) 형상대로 탄성 변형되면서 형상이 변화되는 비교 실시예와 다르게, 본 발명의 보조부(300)는 단면 형상이 설정 형상으로 유지되는 합성 수지 재질이다.
트렌치(118)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내벽(391)과 제2 내벽(3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벽(391)은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2 내벽(392)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벽(392)은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1 내벽(391)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수단(310)은 제1 내벽(391)의 굴곡 또는 경사, 제2 내벽(392)의 굴곡 또는 경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보조부(300)를 트렌치(118)의 정해진 위치로 수렴시킨다. 트렌치(118)는 깊게 내려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 수단(310)은 보조부(300)에도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수단(310)은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보조부(300)의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며, 보조부(30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11)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2 경사면(312)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경사면(312)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1 경사면(311)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경사면(311)은 트렌치(118)의 제1 내벽(391)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312)은 트렌치(118)의 제2 내벽(392)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가이드 수단(310)은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에 의해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수단(310)이 마련되는 보조부(300)는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수단(310)이 마련되면, 보조부(300)의 단부 f1이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 f0가 아닌 임의의 방향에서 트렌치(118)에 삽입되더라도, 보조부(300)의 단부 f1은 제1 내벽(391)의 굴곡 또는 경사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제2 내벽(392) 측으로 이동하고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 f0에 수렴될 수 있다.
보조부(300)의 단부 f1이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 f0를 넘어 제2 내벽(392) 측으로 벗어나려고 해도, 제2 내벽(392)에 맞닿은 단부 f1은 제2 내벽(392)의 굴곡 또는 경사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므로,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 f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보조부(300)를 트렌치(118)에 삽입하기 위하여 보조부(300)를 눌러주는 수직 하중이 가해질 때, 보조부(300)를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 f0로 수렴시키는 수평 분력이 발생하도록 보조부(300) 또는 트렌치(118)에 형성된 경사 또는 굴곡이 바로 제1 가이드 수단(310)이다.
또한, 제1 내벽(391)에 맞닿은 제1 경사면(311)으로 인해 보조부(300)가 제1 내벽(391) 측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이 저지되고, 제2 내벽(392)에 맞닿은 제2 경사면(312)으로 인해 보조부(300)가 제2 내벽(392) 측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트렌치(118)의 정위치에 고정된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의 양측을 마음껏 잡아당겨서 스킨부(130)의 랩핑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골 블레이드를 이용해서 시접부 중심선(240)을 트렌치(118)에 강하게 압박한 상태에서 스킨부(130)를 마음껏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굴곡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내벽(391)과 제2 내벽(392)에 따르면, 금형 빼기 각도 ⓔ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트렌치(1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가이드 수단(310)이 마련된 트렌치(118)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트렌치(118)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는 제1 내벽(391) 및 제2 내벽(39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위치 A, 제2 위치 B, 제3 위치 C에 상관없이 금형 빼기 각도 ⓔ에 의한 트렌치(118) 형상의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의 이탈 곤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트렌치(118)는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상의 보조부(300)를 이용해서 기재부(110)와 시접부(230)의 체결 위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장식 시임(233)이나 시접부 중심선(240)을 비뚤어짐없이 정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보조부(300)의 일면에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수단(310)이 형성될 때, 보조부(300)의 타면에는 시접부(230)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수단(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수단(320)은 보조부(300)의 상면에 마련되며 시접부(230)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접부(230)가 사각 단면을 갖는 경우, 제2 가이드 수단(320)은 사각 단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수단(320)에 시접부(230)가 삽입되면, 시접부(230)가 보조부(300)에 정렬되고, 시접부(230)에 대해 정렬된 장식 시임(233)이 자연스럽게 보조부(300)에 정렬될 수 있다. 시접부 중심선(240)은 골 블레이드(미도시)에 정렬된 채로 눌려질 수 있고, 장식 시임(233)을 형성하는 미싱의 바늘은 골 블레이드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골 블레이드에 시접부 중심선(240)을 정렬시키면 장식 시임(233)은 당연히 시접부 중심선(240)에 평행하게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00)에 시접부(230)가 정위치로 조립되면 장식 시임(233)도 보조부(300)의 정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수단(310)에 의하여 보조부(300)가 기재부(110)에 정렬되고, 제2 가이드 수단(320)에 의하여 장식 시임(233) 및 시접부 중심선(240)이 보조부(300)에 정렬된다. 스토퍼 수단은 트렌치(118)에 대한 보조부(300)의 결합 높이를 규제한다. 따라서, 장식 시임(233)은 보조부(300) 때문에 기재부(110)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시접부 중심선(240)은 제1 가이드 수단(310) 및 제2 가이드 수단(320)에 의해 기재부(110)에 똑바로 정렬되므로, 시접부 중심선(240)에 d 간격으로 이격된 바늘이 형성하는 장식 시임(233) 역시 기재부(110)에 똑바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수단(310), 제2 가이드 수단(320) 및 스토퍼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시접부 중심선(240) 또는 장식 시임(233)이 삐뚤어지는 불량 문제가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시접부 중심선(240) 또는 장식 시임(233)을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 f0에 평행한 위치로 반복 교정하는 랩핑 작업이 배제되므로, 생산성 역시 큰 폭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시접부(230)가 보조부(300)를 단순히 트렌치(118)에 눌러주기만 하면 시접부(230) 및 장식 시임(233)이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므로,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의 장식 시임(233)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보조부(300), 제1 가이드 수단(310), 제2 가이드 수단(320)에 따르면, 시접부(230)가 트렌치(118)에 똑바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시접부(230)에 정렬된 시접부 중심선(240) 및 장식 시임(23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삐뚤삐뚤하지 않고 자를 대고 그린 것처럼 트렌치(118) 및 기재부(110)에 똑바로 정렬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 똑바로 정렬된 시접부 중심선(240) 및 장식 시임(233)은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며, 불량 문제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장식 시임(233)에 의해 스킨부(130)에 봉합되거나, 메인 시임(231)에 의해 시접부(230)에 봉합될 수 있다. 보조부(300)의 타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수단(320)에 시접부(230)가 삽입된 상태에서 봉합이 이루어지면, 보조부(300)와 스킨부(130)/시접부(230) 간의 견고한 결합이 보장되는 동시에 장식 시임(233)이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의 보조부(300)에는 장식 시임(233)에 의해 스킨부(130)에 봉합되는 제1 날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부(330)에 의해 장식 시임(233)은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서 트렌치(118)의 입구 주변에는 제1 날개부(330)에 걸리는 단턱에 해당하는 턱부(381)가 형성될 수 있다. 턱부(381)는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를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공정 중에 보조부(300)가 트렌치(1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아울러, 턱부(381)는 제1 날개부(330)의 두께만큼 스킨부(130)가 기재부(110)의 표면에 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스킨부(130)의 부착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차량용 내장재(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보조부(300)에는 메인 시임(231)에 의해 시접부(230)에 봉합되는 제2 날개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시접부(230)에 봉합되는 제2 날개부(340)에 따르면, 시접부(230)는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장식 시임(233)은 d의 거리를 유지하게 시접부(230)에 정렬된 상태이므로, 장식 시임(233) 역시 시접부(230)를 거쳐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보조부(300)를 적용하더라도, 도 9와 같이 장식 시임(233)이 기재부(110)에 대해 똑바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트렌치(118)가 3차원 궤적으로 연장될 때, 보조부(300)도 연장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트렌치(118)의 궤적과 일치되는데, 보조부(300)의 연장 방향 휘어짐을 용이하게 위하여 윙 절개부(332)가 마련될 수 있다. 윙 절개부(332)는 보조부(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날개부(330)의 일부를 절개한 것으로서, 제1 날개부(330)가 들뜸없이 트렌치(118)의 주변에 잘 밀착되도록 한다.

Claims (20)

  1.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스킨부;
    상기 스킨부를 시접부 중심선을 따라 메인 시임(seam)으로 봉합한 시접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트렌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시접부를 상기 트렌치에 결합시키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시접부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끼워지면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의 연장 뱡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지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의 연장 방향, 상기 시접부 중심선의 연장 방향, 상기 장식 시임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렌치의 연장 방향과 일치시키고,
    상기 기재부에 상기 보조부를 정렬시키는 제1 가이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조부에 마련되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과 상기 트렌치에 마련되는 제1 내벽 및 제2 내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보조부는 상기 보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휘어지면서 단면 형상이 설정 형상으로 유지되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의 연장 방향, 상기 시접부 중심선의 연장 방향, 상기 장식 시임의 연장 방향, 상기 트렌치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과 일치하는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길게 연장되는 차량용 내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에는 서로 대면되는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2 내벽이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에 대하여 상기 보조부가 눌러질 때,
    상기 제1 내벽은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2 내벽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내벽은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1 내벽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및 상기 보조부의 적어도 일부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차량용 내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일면에는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상기 제1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의 타면에는 상기 시접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에 상기 장식 시임을 정렬시키는 제2 가이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수단에 상기 시접부가 삽입되면, 상기 장식 시임이 상기 보조부의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트렌치에 상기 제1 가이드 수단이 삽입되면, 상기 보조부가 상기 기재부에 정렬되며,
    상기 장식 시임은 상기 제1 가이드 수단 및 상기 제2 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상기 기재부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는 차량용 내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장식 시임에 의해 상기 스킨부에 봉합되는 차량용 내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에는 상기 장식 시임에 의해 상기 스킨부에 봉합되는 제1 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부에 의해 상기 장식 시임은 상기 보조부에 정렬되는 차량용 내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양 측면에는 제1 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트렌치의 입구 주변에는 상기 제1 날개부가 삽입되는 턱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양 측면에는 제1 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일부가 절개된 윙 절개부가 상기 제1 날개부에 마련되는 차량용 내장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시임은 상기 시접부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장식 시임은 상기 시접부 및 상기 보조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보조부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면, 상기 장식 시임 및 상기 시접부 중심선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기재부의 일정한 위치에 정렬되는 차량용 내장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보조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눌려질 때 상기 트렌치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보조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보조부의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만나는 부분이거나, 상기 트렌치의 상기 제1 내벽 및 상기 제2 내벽이 만나는 부분인 차량용 내장재.
  14.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스킨부;
    상기 스킨부를 시접부 중심선을 따라 메인 시임(seam)으로 봉합한 시접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트렌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시접부를 상기 트렌치에 결합시키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시접부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끼워지면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의 연장 뱡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지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의 연장 방향, 상기 시접부 중심선의 연장 방향, 상기 장식 시임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렌치의 연장 방향과 일치시키고,
    상기 보조부에는 상기 메인 시임에 의해 상기 시접부에 봉합되는 제2 날개부가 마련되는 차량용 내장재.
  15.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스킨부를 시접부 중심선을 따라 메인 시임(seam)으로 봉합한 시접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트렌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시접부를 상기 트렌치에 결합시키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시접부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끼워지면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의 연장 뱡향과 일치하도록 휘어지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의 연장 방향, 상기 시접부 중심선의 연장 방향, 상기 장식 시임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트렌치의 연장 방향과 일치시키고,
    상기 보조부에는 상기 시접부가 삽입되는 홈이 마련되며,
    상기 스킨부는 상기 메인 시임에 의하여 봉합되기 전에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메인 시임에 의하여 봉합되면, 상기 제1 시트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1 단부는 상기 제1 시트로부터 상기 보조부의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제2 시트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2 단부는 상기 제2 시트로부터 상기 보조부의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구부러지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 시트의 외면이 연장된 상기 제1 단부의 제1 표면 및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시트의 외면이 연장된 상기 제2 단부의 제2 표면은, 상기 메인 시임이 형성된 후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접촉되며 단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표면의 반대면인 제1 배면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제2 표면의 반대면인 제2 배면은, 상기 메인 시임이 형성된 후에 상기 단부 접촉면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놓여지며 상기 시접부의 단부 노출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부의 홈은 양 측벽 및 상기 양 측벽 사이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 노출면은 상기 보조부의 홈에 삽입되면 상기 홈의 상기 양 측벽에 접촉되며,
    상기 시접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메인 시임으로부터 상기 홈의 상기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차량용 내장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내벽과 제2 내벽이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에 대하여 상기 보조부가 눌러질 때,
    상기 제1 내벽은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2 내벽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내벽은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1 내벽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장식 시임에 의해 상기 스킨부에 봉합되는 차량용 내장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에는 상기 장식 시임에 의해 상기 스킨부에 봉합되는 제1 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부에 의해 상기 장식 시임은 상기 보조부에 정렬되는 차량용 내장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양 측면에는 제1 날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일부가 절개된 윙 절개부가 상기 제1 날개부에 마련되는 차량용 내장재.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에는 상기 메인 시임에 의해 상기 시접부에 봉합되는 제2 날개부가 마련되는 차량용 내장재
PCT/KR2018/007559 2017-07-21 2018-07-04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WO20190176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35641.4A EP3656612A4 (en) 2017-07-21 2018-07-04 INTERIOR FOR VEHICLES WITH ADDITIONAL PART
US16/632,705 US20200139900A1 (en) 2017-07-21 2018-07-04 Interior material for vehicles, comprising subsidiary part
CN201880049074.0A CN111094073B (zh) 2017-07-21 2018-07-04 包括辅助部的车辆用内饰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033 2017-07-21
KR1020170093033A KR101837964B1 (ko) 2017-07-21 2017-07-21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624A1 true WO2019017624A1 (ko) 2019-01-24

Family

ID=6166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559 WO2019017624A1 (ko) 2017-07-21 2018-07-04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39900A1 (ko)
EP (1) EP3656612A4 (ko)
KR (1) KR101837964B1 (ko)
CN (1) CN111094073B (ko)
WO (1) WO2019017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7889A1 (ja) * 2017-11-06 2019-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品ユニット及び樹脂成形品ユニットの成形方法
KR102203846B1 (ko) * 2018-10-31 2021-01-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의 스티치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FR3112513B1 (fr) * 2020-07-15 2022-07-22 Renault Sas Panneau intérieur de porte latérale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435A (ja) * 2003-08-07 2005-03-03 Kasai Kogyo Co Ltd 加飾部品並びに自動車用内装部品
US7644969B2 (en) * 2007-04-23 2010-01-12 Honda Motor Co., Ltd. Cover for interior trim componen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11194932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品
KR20140128757A (ko) * 2013-04-29 2014-11-06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스티치 라인 정렬가이드부를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KR101648092B1 (ko) * 2016-01-29 2016-08-24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지점의 레이저 조사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스티치 라인 정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3830A1 (en) * 2004-09-09 2008-04-24 Ryoichiro Takezawa Interior Trim Material For Vehicle Formed By Applying Double Stitch To Mount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52537A (ja) * 2008-08-27 2010-03-11 Kanto Auto Works Ltd 表皮材、および内装品
EP2230132B1 (de) * 2009-03-18 2016-05-2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bundteil zur Verkleidung von Kraftfahrzeuginnenräumen
JP5325252B2 (ja) * 2011-03-29 2013-10-23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室内用加飾樹脂部品とその取付方法
DE102012203012B4 (de) * 2012-02-28 2014-08-2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s sowie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JP6247493B2 (ja) * 2013-10-04 2017-12-13 盟和産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材および車両用内装部材の端末処理方法
DE102014225944A1 (de) * 2014-12-15 2016-06-1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ormteil,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Formteils bzw. des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435A (ja) * 2003-08-07 2005-03-03 Kasai Kogyo Co Ltd 加飾部品並びに自動車用内装部品
US7644969B2 (en) * 2007-04-23 2010-01-12 Honda Motor Co., Ltd. Cover for interior trim componen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11194932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品
KR20140128757A (ko) * 2013-04-29 2014-11-06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스티치 라인 정렬가이드부를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KR101648092B1 (ko) * 2016-01-29 2016-08-24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지점의 레이저 조사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스티치 라인 정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5661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9900A1 (en) 2020-05-07
EP3656612A1 (en) 2020-05-27
KR101837964B1 (ko) 2018-03-13
CN111094073B (zh) 2023-03-17
EP3656612A4 (en) 2021-04-14
CN111094073A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17624A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EP1820625A1 (en) Vehicular interior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011955B (zh) 索环和用于车门的止水结构
WO2016093640A1 (ko) 이경도를 갖는 일체발포형 헤드레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05000A1 (ja) 車両用シート
US20200180525A1 (en) Electrical component-attached wire harness and assembly structure of electrical component-attached wire harness
US11707869B2 (en) Foam molding method, foam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molded article
KR101929369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EP0960782B1 (en) Trim assembly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569021A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气囊门翼板的内饰板部件
JP2022055872A (ja) ドア構造及び車両用ドアの組付方法
WO2023143049A1 (zh) 一种三角警告牌安装结构及车辆
KR20140128757A (ko) 스티치 라인 정렬가이드부를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WO2017119636A1 (ko) 조수석 에어백의 하우징,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20190035238A (ko) 패치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KR101560542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JP3829039B2 (ja) クリップ
WO2023058915A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H1119963A (ja) 表皮一体樹脂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WO2021137353A1 (ko)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이에 의한 자동차 내장재
JP7403349B2 (ja) ドアホールシール
KR101988625B1 (ko)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KR101992291B1 (ko) 캐릭터 라인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JP6398852B2 (ja) ステッチ加飾付き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023128A (ja) 車両用内装材、車両用内装材の製造装置、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56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356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