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7037A1 -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 Google Patents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7037A1
WO2018217037A1 PCT/KR2018/005909 KR2018005909W WO2018217037A1 WO 2018217037 A1 WO2018217037 A1 WO 2018217037A1 KR 2018005909 W KR2018005909 W KR 2018005909W WO 2018217037 A1 WO2018217037 A1 WO 20182170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gle
coupled
stopper
b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9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병돈
Original Assignee
이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돈 filed Critical 이병돈
Priority to EP18805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32511A4/en
Priority to CN201880034606.3A priority patent/CN110662584A/zh
Priority to US16/614,789 priority patent/US11161004B2/en
Priority to JP2019564158A priority patent/JP6883355B2/ja
Priority to AU2018271741A priority patent/AU2018271741B2/en
Publication of WO20182170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70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15User-manipulated weights pivoting about a fixed horizontal fulcrum
    • A63B21/0617User-manipulated weights pivoting about a fixed horizontal fulcrum with a changing moment as a function of the pivo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15User-manipulated weights pivoting about a fixed horizontal fulcr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with particular movement of the arms provided by handles moving otherwise than pivoting about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63Rotation about an axis passing through both shoulders, e.g. cross-country skiing-type arm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6Angular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Definitions

  •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weight or a weight of a machine and a disc using a stacking weight of a brick according to a form of providing a exercise load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using manual or electric. It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device that enables to adjust the handle angle of the hammer-type exercise device to provide a load.
  • Exercises in the health club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erobic exercise and exercise equipment called anaerobic exercise.
  • Instrument movemen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upper body muscles, lower body muscles, abdominal muscl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xercise.
  • a chest press for the upper body muscles
  • an incline chest press for the upper body muscles
  • a dark chest press for the upper body muscles
  • a shoulder for the upper body muscles
  • a long pull machine for the upper body muscles
  • a hammer exercise equipment for the upper body muscles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46865
  • the handle angle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can be described, for example, a chest press for exercising the pectoral muscle, a base frame seated on the ground; A chai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to allow an athlete to sit;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hing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chair and configured to push or pull the exercis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weight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and a weight member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to provide a weigh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are rotated by torsion.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 the handle angle can be variously adjusted to exercise the muscle by stimulating the muscle in various par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showing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left side,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and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 and 7 are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rsion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rsion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before the operation of the 'swivel plate tilting means'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after operation of the 'rotating plate tilting means'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ir adjusting means'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stopper'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first stopper' in FIG. 12;
  • 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econd stopper' in FIG. 12;
  • 1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showing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left side,
  • FIG. 17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right side,
  •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plan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and 22 are plan views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toward the body. 22 is an example of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outward,
  • Figure 2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gular variability receiving portion' of th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refracted toward the body, (b) is refracted toward the outside An illustration showing the state.
  • the handle angle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As shown in Figures 1 to 14, the handle angle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100 seated on the ground; A chair 200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on which an athlete can sit;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11, 12) hing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hair (200), the exercisers being pushed forward; A weight part 300 configured to provide weight by connecting members 29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nd weight members R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s 29; A weigh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a torsion angle adjusting means (2) for adjusting the torsion angle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12).
  • the torsion angle adjusting means 2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on both sides in the state where the torso is seated (rota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place. Can be altered to alter the irritated area of the pectoral muscle.
  • Torsion angle adjusting means 2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21 and 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 140 and having a first bracket 23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respectively. );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in opposite directions; And a torsion angle fixing member 25 which fixes the rotation angl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ans may be a belt 24. have.
  • the torsion angle fixing member 25 may include a cantilever bracket 252 which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and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first rotating plate 21; And a main stopper 254 coupled vertically through the cantilever bracket 252 and fit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holes 253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plate 21. Is there, the main stopper 254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fitted to the angle adjusting hole 253 as a pin that is released by the spring.
  • the main stopper 254 is separated from the angle adjusting hole 253 and rotates one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24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ors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12).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same shape on both sides.
  • the vertical rods (112,212)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23 is vertically coupled to form a round bar and bent at the top of the vertical rods (112,212) And bent portions 114 and 214, and handles 116 and 216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s of the bent portions 114 and 214.
  • the ends of the handles 116 and 216 ar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lines of the vertical rods 112 and 212.
  • the bent portions 114 and 21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 shape and an arc shape.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rotatably installed at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respectively, so that the movement bars 11 and 12 mov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Even if rotated, the connecting table 29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changing the angle. If the holder 61 is not present,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nd the connection table 29 move together, and accordingly,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of the weight support 63 to which the disc 300 is inserted. Also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bar is a large force caused by the problem that the vertical bar 150 and the inclined bar 160 collide.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to push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rotated in other directions to push the inner and outer body to collect inward.
  • the torsion operation is illustrated only for the first movement bar 11 on the right side, but the second movement bar 12 on the left side may also be torsionally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movement bar 11. To reveal.
  •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rotating plate tilting means 3 for tilting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to adjust the tilt angle.
  • the rotating plate tilting means 3 as shown in Figures 1 to 5, both ends of the pin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1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is rotated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140 and the inclined bar 160 inclined upward toward the other side;
  • An angle adjusting plate 180 formed on a vertical bar 150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holes 181 formed thereon;
  • a first stopper 190 fitt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bar 160 to the angle adjusting hole 181.
  •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may be installed in a manner in which a bearing housing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s created in a shaft formed in the lower support 140.
  • the first stopper 190 is composed of a circular pipe, a pin coupled to a spring inserted into the circular pipe and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hole 181, and a knob formed at an end of the pin.
  • the pin is removed from the angle adjusting hole 181.
  •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hole 181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be fixed.
  •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may be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may be used. (12) becomes vertical.
  • the cable unit 67 that is accompanied by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first stopper 190, the second stopper 65 on both sides can also be separated May be included.
  • Connecting rods 29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respectively, and second stoppers 65 are formed on the connecting rods 29, respectivel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 One end of the cable unit 67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19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65.
  • the second stopper 65 is coupled to a circular pipe, a spring inserted into the circular pipe, the pin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long hole 642 of the tilting control member 64 and the connecting table 29, and an end of the pin. Consists of a knob formed on.
  • the cable unit 67 includes an outer tube 672 having a wire 671 inserted therein. Referring to FIG. 13, one end of the wire 671 is fixed to the first stopper 190. 677,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671 is connected to the pin of the second stopper 65 as shown in FIG. 19.
  • the outer tube 672 is fixed to one end of the inclined bar 160,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 shaped bracket 674 protrudingly mounted on the plate 645 of the tilting control member 64. .
  • the movement bar tilting means 6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by rotationally actu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plate tilting means 3.
  • a long hole 642 formed in the vertical member 632 and corresponding to the pinhole of the connecting rod 29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both connecting rods 29.
  • Adjusting member (64); are formed on each side connection 29, respectively.
  • a second stopper 65 coupled to the long hole 642 of the tilting adjusting member 64 an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pinhole of the connecting rod 29 to se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rod 29 on both sides; Are respectively formed.
  •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631 of the weight support 63 may be coupled and rotated by the shaft 635 with the base frame 100 and the bearing interposed therebetween (see FIG. 2 or FIG. 4).
  • Tilting control member 64 is composed of two plates 645 are spaced apart in the inner, outer and fastened with a plurality of bolts, a long hole 642 is formed on the outer plate, a plurality of inn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Pin fastening holes are formed.
  •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table 29,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pinhole is formed, is inserted between the two plate members 645, and the second stopper 65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pin fastening hole through the long hole 642.
  • the tilting adjusting member 64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vertical member of the weight supporter.
  • Each connecting rod 29 is rotated up and down, and the tilting control member 64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29 is rotated up and down.
  • the upper part of the pectoral muscle is rotated up and down by accompanying the weight support member 63 with the weight member R mounted at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connected to the tilting control member 64. Can be stimulated.
  • the weight supporter 63 is composed of a first horizontal member 631, a vertical member 632,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and a fitting rod 310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 The weight member (R) is mounted on the fitting rod (310).
  •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subordinate thereto are rotated inclined downward, and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12) are also rotat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116,216) and the user.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operated forward, and the respective connecting rods 29 are rotated up and down, Tilt adjustment member 64 coupled to the connecting table 29 is rotated up and down.
  •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connected to the tilting adjusting member 64 and the weight support 63 mounted with the weight member R at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are accompanied by Rotating up and down can stimulate the lower part of the pectoral muscles.
  • the weight member (R) is applied to the weight disc is applied to the fitting rod 310 formed on the weight support (63) by combin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weight disc can be set the weight.
  • so-called wire that connects the wire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of the support body 63 to stack the brick-like stack to provide the exercise load
  • the base frame 100 includes a chair adjusting means (8)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spacing of the chair 200.
  • the chair adjusting means 8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81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100; A guide rod 82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ackets 81 and mounted horizontally; A chair frame 84 to which the chair 200 is attached; A movable panel 83 having a chair frame 84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guide holder 87 coupled to the guide rod 82 and sliding horizontally at one end thereof; And a fifth stopper 85 coupled to the movable panel 83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adjustment holes 108 formed in the base frame 100 to provide a fixing force.
  • the fifth stopper (85)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108) to fix the weight. It becomes possible.
  • the handle angle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As shown, the handle angle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100 seated on the ground; A chair 200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on which an athlete can sit;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11 and 12 which are hinged to both front sides of the chair 200 and are formed to push forward by the exerciser; Weight part for providing a weight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3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12) and the connecting bar 36, and the weight member (R)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32 It includes; the movement bar rotating portion (2) for adjusting the twist angle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nually or electrically; A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unit 3 for tilting the exercise bar rotating unit 2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gle change receiv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and the vertical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necting rod. And a control unit 400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for electrical control.
  • the exercise bar rotating unit 2 may change the irritated part of the pectoral muscle by adjusting the angle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11 and 12 on both sides while sitting on the chair 200.
  • the movement bar rotating part 2 is formed to be rotated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10 hing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00,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12) are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having hinged first brackets 23 formed thereon; A main disc 24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21 and 22 an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having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main disc 24; It includes; a first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disk 21 and the main disk 24, and a second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between the second rotating plate 22 and the main disk 24; .
  • the angle adjusting means includes a bar 271 connected from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main disc 24 to an outer circumference, a main stopper 272 coupled to an end of the bar 271, and a main stopper.
  •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holes (273) is formed so that the 272 is fitted, and the horizontal angle control plate 27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disc 24;
  • the main stopper 272 may be a solenoid (not shown), a pin or the like that is springed out by a spring (not shown), and the main stopper 272 may protrude in a necessary situation and fit into the angle adjusting hole 273.
  •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a first belt (T1) connecting the first disc 21 and the pulley 242 of the main disc 24, the second power transfer means is the second rotating plate ( 22) and the second belt (T2) connecting the pulley 242 of the main disc 24, if the configuration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s desired is not limited thereto.
  • first belt T1 and the second belt T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formed such that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belt T1 and the second belt T2 are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 the first belt T1 is formed in an '8' shape
  • the second belt T2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 a fixing clip 275 is hinged to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r 271, and the fixing clip 275 is operated to fix the main stopper 272 in an elevated state.
  • the fixing clip 275 is rotated toward the main stopper 272 to lock the main stopper 272 so that the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operate at a free angle.
  • the user can intentionally push or pull the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11 and 12 to obtain a free movement angle effect of exercising with a dumbbell.
  • the main disc 24 is rotated by rotating the bar 271 left or right.
  • the main stopper 272 When the main disc 24 is rotated at an appropriate angle and the main stopper 272 is raised, the main stopper 272 is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hole 273 to fix the angle.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hair 200, and the handles 116 and 216 at the top thereof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 the first movement bar 11 is hinged by a connecting pin 23 and the shaft pi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1 is formed vertically and formed of a round rod lower rod 111 and the lower rod 111 A holder 113 fitted to the upper part and having a bearing coupled to the lower rod body 111 therein and rotatable, and an upper rod 112 vertically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113; And a handle 116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rod body 112.
  • the second movement bar 12 is hinged by a connecting pin 23 and the shaft pi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2 is formed vertically and formed of a round bar, the lower rod 211 and the lower rod 211 A holder 213 that is fitted to an upper portion and has a bearing coupled to a lower rod body 211 and rotates therein, and an upper rod body 212 vertically fit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lder 213; And a handle 216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upper rod 212.
  • Each of the handles 116 and 216 has a 'c' shape or a 'c' shape consisting of a horizontal upper bar, a lower bar, and a vertical bar, and the openings are formed to face the chair 200.
  • the middle point of the upper bar holding the handles 116 and 216 by hand coincides with the axis of rotation of the upper rods 112 and 21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rt held by the hand is changed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rotated. It doesn't work.
  • the connecting bars 32 and the connecting bar 36 maintain their original positions without changing the angle even when the movement bars 11 and 12 are rotated in plac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 the inner, middle, and outer sides of the pectoral muscle can be subdivided to exercise.
  • the first and second exercise bars (11, 12) to push the inner side of the body to collect the stimulus to the inside of the pectoral muscles.
  • the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main stopper 272 may be formed to be a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by electric.
  • the motor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It further includes an electric angle adjusting unit 26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disc 24 to the first motor 264.
  • the electric angle adjusting section 26 a gear portion 26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disc 24;
  • a first motor 264 having a pinion gear 262 geared to the gear 261 and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110;
  • the first motor 264 is mounted and is fixed to the slide 28 to move;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fixing part 28 includes a support plate 281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0, a moving plate 282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81, and a vertical rod 283 perpendicular to the moving plate 282.
  • the first motor 264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rod (283).
  • the moving plate 282 and the support plate 281 are formed with an adjustment hole 284,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plate stopper 285 coupled to the adjustment hole 284 to fix or release.
  • the bar 271 of the movement bar rotating part 2 can be rotated by hand, and an appropriate angle can be set manually.
  • the pinion gear of the first motor 264 is coupled to the gear of the main disc by advancing the moving plate 282 and then tightening the moving plate stopper 285 to be fixed, then driving the first motor 264.
  • the main disc 24 can be rotated electrically.
  • the solenoid valve (not shown) mounted on the main stopper 272 which fixes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disc 24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raises the main stopper 272 to raise the angle adjusting hole 273. It is desirable to keep it separated from.
  • An angle sensor unit 265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disc 24 is included.
  • the angle sensor unit 265 is formed below the main disc 24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lurality of contacts 266 and the plurality of contacts 266 in an arc shape in proximity to the gear 261. And a sensor 267 formed on the top of the motor 264.
  • the first motor 264 is driven, the pinion gear 262 is rotated, and the pinion gear 262 rotates the gear 261 and the main disc 2 by a predetermined angle. Rotated.
  • the rotated angle is read by the angle sensor unit 265 and then displayed on the controller 400.
  • first belt T1 and the second belt T2 are rotat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coupled thereto are rotated opposite to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lates 21 and 22 may be rotated to adjust the angle.
  • it includes a vertical tilt angle adjustment unit 3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movement bar rotation part 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unit 3 includes a connecting bar 36 formed at both sides to connect the connecting table 32 and the holders 113 and 213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n inclined bar 37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0 and being inclined upward and having a third stopper 371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so as to correspond to a rear end of the inclined bar 373.
  • the connecting rod 32 and the connecting bar 3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angular chang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nd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forward and backwar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gular fluctuation receiving portion 38 to transmit to the connecting table (32).
  • Each of the two connecting bars 36 has a first pipe 361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holders 113 and 213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nd one end to the angle variable receiving portion 38.
  • the combined second pipe 362 is fit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363 are formed in the first pipe 361, respectively, and the length of the first pipe 361 is adjusted in the second pipe 362 And a first stopper 5 and a second stopper 6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ll 363 to provide a fixing force.
  • Each of the third stopper 371,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is coupled to a circular pipe and a spring inserted into the circular pipe and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hole 363. It is composed of a cable unit 55 connected to the pin.
  • the pin is pulled out of the length adjusting hole 363.
  •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hole 363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be fixed and manually. It can work.
  • the cable unit 55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third stopper 371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in series, when the third stopper 371 is operated, the cable The unit 55 is pulled out and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are also pulled out and released.
  • the inclined bar 373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0, the inclined bar 373 raises or lowers the angle of the angle plate 375 with the third stopper 371. Fix the angle to the adjusting hole.
  • the inclined bar 373 When the inclined bar 373 is raised or lowered,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36 occurs. For this reason, when the first pipe 361 and the second pipe 362 of the connecting bar 36 hav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pipe 361 of the connecting bar 36 has a long hole and the second pipe 362 respectively.
  • the cable unit 55 is used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 and 6 are mounted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 and 6 must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third stopper 371 is operated.
  •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re inclined toward the user's body, and if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36 is increased,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are made. Bars 11 and 12 are vertical.
  • the angular variation accommodating part 38 is as shown in Figs. 16 and 23,
  • a ball 382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322 and the shaft pin 323 formed on the connecting table 32 and a joint 383 fitted to the ball 382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It consists of a rod 384 hinged to the bar 36.
  • the joint 383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ball 382, thereby enabling the refraction operation.
  • the joint 383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joint 383 is coupled to the ball 382.
  • the connecting bar 36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first stopper 5, the second stopper 6, and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are also accompanied by an operation of separating the third stopper 371 so that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on the other side can be simultaneously removed.
  • 3 includes a cable unit 55 for connecting the stopper 371.
  • the connecting bars 36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 and 6 ar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s 362 of the connecting bars 36. Are respectively form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10 and a third stopper 371 is formed on the inclined bar 373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 the first stopper 5, the second stopper 6, and the third stopper 371 are connected to the cable unit 55. Therefore, one side of the cable unit 55 is connected to the third stopper 371,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 the cable unit 55 for interlock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ppers 5 and 6 and 371 includes a tube having a wire inserted therein, and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third stopper 37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 first, second and third stoppers 5, 6 and 371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not shown) to be electrically operated.
  • the third stopper 371 is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of the third stopper 371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to pull the cable unit 55 while removing the pins.
  •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 and 6 are interlocked with the cable unit 55 to perform the separating operation.
  •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5 and 6 are also fixed.
  • it further includes a vertical angle adjusting unit 4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tilt angle of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unit 3 to the second motor 48.
  • the vertical angle adjusting unit 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hing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00, the gear gear 4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gear;
  • a second motor 48 mounted on the plate 120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the pinion gear 46 being geared to the fan gear 42;
  • An angle sensing unit including a contact 491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an-shaped gear 42 in an arc shape, and a sensor 492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motor 48 to detect the plurality of contacts 491. 49,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plate 120 may be moved back and for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43.
  • connection pin 122 is formed so that the round head is formed at the top so that the plate 120 is not separated, but is movable along the length adjusting hole 121.
  • the fixing handle 124 can be released and the plate 12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late 12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while the connecting pin 122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hole 121. Operation is triggered to contro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pinion gear 46 and the fan gear 42 to control power transmission or interruption of the second motor 48.
  •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second motor 48 may be shorted.
  • the third stopper 371, the first stopper 5 and the second stopper 6 are released by the solenoid, and then the second motor 48 is driven to drive the pinion.
  • the gear 46 rotates the fan gear 42, the support frame 110 is rotated to set the angle.
  • the set angle is recognized by the angle sensing unit 49 and displayed on the control unit 400.
  •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bars 11 and 12 and the handles 116 and 216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support frame 110,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angle appropriate for the user.
  • the stimulus may be concentrat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pectoral muscle.
  • the weight disc (R) can be set to the appropriate number by combining the appropriate number to the fitting rod 321 formed on the connecting table (32).
  • machine that provides a kinetic load by stacking brick-like stacks by connecting wires to distal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633 of the weight support 63.
  • the self-generation unit for rotating and developing the rotor further includes.
  • the self-power generation unit as shown in Figure 18 and 19, the generator 72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100 and provided with a pulley 73 in the rotation shaft; A wire rope 74 having one end fixed to the connecting rod 32 and wound around the pulley 73 of the generator 72;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74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 the elastic member 76 is stretched and operated;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elastic member 76 is a coil spring or elastic band.
  • the elastic member 76 is a coil spring, and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acting to further increase the speed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wire rope 74 while being stretched or contracted.
  • the generated electricity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battery 77 to be used as the power of the display of the controller 400, and may also be used as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264 and the second motor 48.
  • the display lamp of the storage battery 77 is turned on, and a power outlet is provided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storage battery 77.
  • bend angle adjusting means 3 rotating plate tilting means
  • tilting angle control unit 6 movement bar tilting means
  • base frame 140 lower support
  • T1 1st belt
  • T2 2nd belt
  • base frame 113,213 holder
  • gear part 262 pinion g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수동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웨이트트레이닝기구의,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형태에 따라 벽돌의 적층 무게를 이용하는 머신류와 원판의 무게를 가감하여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햄머형 운동기구의 손잡이 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 상기 제1,2운동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되는 중량부재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 상기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비틀림 각도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개시되는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웨이트트레이닝기구의,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형태에 따라 벽돌의 적층 무게를 이용하는 머신류와 원판의 무게를 가감하여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햄머형 운동기구의 손잡이 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헬스 클럽에서 하는 운동은 크게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라 불리는 기구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구 운동은 다시 운동 목적에 따라 상체 근육운동, 하체 근육운동, 복부 근육운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체 근육 운동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체스트 프레스, 인크라인 체스트프레스, 디크라인체스트프레스, 쇼울더, 롱풀 머신및 햄머류 운동기구가 있다.
현존하는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각이 특정되어 있고, 단일 각으로 고정되어져 있어 해당 부위 근육 자극을 다양하게 하지못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특허출원 10-2009-0046865호
개시되는 발명의 목적은, 해당 근육을 부위별로 다양하게 자극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가능 하도록한 웨이트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정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흉근을 운동하는 체스트 프레스를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는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 상기 제1,2운동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되는 중량부재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로서, 상기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근육을 부위별로 다양하게 자극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가능 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좌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비틀림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비틀림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회전판 틸팅수단'의 작동 전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회전판 틸팅수단'의 작동 후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의자조절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제1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서 '제1스토퍼'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4는 상기 도 12에서 '제2스토퍼'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좌측에서 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요부 확대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후방 우측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제1,2운동바'의 회전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21은 몸쪽을 향해 '제1,2운동바'를 회전시킨 것이고, 도 22는 바깥쪽을 향해 '제1,2운동바'를 회전시킨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의 '각도변동수용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a)는 몸쪽을 향해 굴절된 상태이고, (b)는 바깥쪽을 향해 굴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시예 1, 2로 구분하여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실시예 1>
첨부된 도면 중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정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200); 상기 의자(200)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방으로 밀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11,12); 상기 제1,2운동바(11,12)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29)와, 상기 연결대(29)에 형성되는 중량부재(R)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300);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로서, 상기 제1,2운동바(11,12)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비틀림 각도조절수단(2);이 포함된다.
비틀림 각도조절수단(2)은, 의자(200)에 앉은 상태에서 운동자가 양측의 제1,2운동바(11,12)를 자전(rotation)(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자전이라 함은 비틀어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것으로 정의됨.)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흉근의 자극받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흉근의 바깥쪽, 가운데, 안쪽을 구분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비틀림 각도조절수단(2)은, 상기 하부지지대(140)의 양측에 자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1,2운동바(11,12)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23)이 형성된 제1,2회전판(21,22); 상기 제1,2회전판(21,22)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연결되어 제1,2회전판(21,22)을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 제1,2회전판(21,22) 중 어느 하나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비틀림 각도고정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은 벨트(24)일 수 있다.
상기 비틀림 각도고정부재(25)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제1회전판(21)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캔틸레버 브라켓(252); 캔틸레버 브라켓(252)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판(21)에 형성된 다수의 각도조절공(253) 중 어느 하나에 끼움결합되는 메인 스토퍼(2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바, 상기 메인 스토퍼(254))는 스프링에 의해 출몰되는 핀으로 각도조절공(253)에 끼워지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스토퍼(254)가 각도조절공(25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제1,2운동바(11,12)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모두를 동시에 자전시키면 제1,2회전판(21,22)이 회전력전달수단(24)으로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어 제1,2운동바(11,12)의 비틀림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제1,2운동바(11,12)는 양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게 결합된다.
제1,2운동바(11,12)의 형상을 살펴보면, 제1브라켓(23)과 결합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수직봉체(112,212)와, 상기 수직봉체(112,212)의 상단에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14,214)와, 상기 절곡부(114,214)의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손잡이(116,2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16,216)의 끝단이 수직봉체(112,212)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4,214)는 'ㄷ'자 형상, 호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2운동바(11,12)의 형상에 의해 도 6 및 도 7와 같이 회전을 시키더라도 손을 잡는 그립의 위치는 회전판(21)의 중심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1,2운동바(11,12)를 자전시켜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흉근의 바깥쪽, 가운데, 안쪽을 의도대로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제1,2운동바(11,12)는 하단이 각각 연결대(29)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61)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운동바 (11,12)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회전 되더라도 연결대(29)는 각도 변화 없이 원래 위치를 유지한다. 만약 홀더(61)가 없으면 제1,2운동바(11,12)와 연결대(29)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원판(300)을 꽂는 중량체 지지대(63)의 제2수평부재(633)도 함께 움직여 운동바 회전조절시 큰힘이 들고 수직바(150)과 경사바(160)가 충돌하는 문제도 야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몸 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 미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도 8을 참조하면, (c)로 표시된 위치에 해당된다. 이 상태의 운동은 흉근의 바깥쪽에 자극을 주게 된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몸 안쪽으로 모아지도록 미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도 8을 참조하면, (a)로 표시된 위치에 해당된다. 이 상태의 운동은 흉근의 안쪽에 자극을 주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b)로 표시된 위치의 운동은 흉근의 가운데에 자극을 주게 된다.
도 8에서 설명의 편의상 우측의 제1운동바(11)에 대해서만 비틀림 작동을 예시하였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측의 제2운동바(12)도 제1운동바(11)와 동일하게 비틀림 작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개시되는 실시예는 제1,2회전판(21,22)을 틸팅시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판 틸팅수단(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회전판 틸팅수단(3)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제2브라켓(142)에 양단부가 핀결합되어 회전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2회전판(21,2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하부지지대(140); 하부지지대(14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바(160);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바(150)에 형성되며 다수의 각도조절공(181)이 형성된 각도조절판(180); 경사바(160)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공(181)에 끼워지는 제1 스토퍼(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회전판(21,22)은 중앙부에 베어링 하우징이 형성되어서 하부지지대(140)에 형성되는 샤프트에 창작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190)는 원형 파이프와,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공(181)에 삽입되는 핀과, 핀의 단부에 형성된 노브로 구성된다.
따라서 노브를 잡고 당기면 핀이 각도조절공(181)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노브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각도조절공(181)에 핀이 인입되어 고정상태가 된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도조절공(181)의 상부에 제1스토퍼(190)를 끼우면 제1,2회전판(21,22)은 수평 상태가 되고, 제1,2운동바(11,12)는 수직상태가 된다.
한편 도 5 및 도 10를 참조하면, 각도조절공(181)의 하부에 제1스토퍼(190)를 끼우면 제1,2회전판(21,22)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제1,2운동바(11,12)는 기울어져 몸쪽에 가깝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190)를 분리하는 작동에 동반되어 양측의 제2스토퍼(65)도 분리될 수 있는 케이블유닛(67)이 포함될 수 있다.
제1,2운동바(11,12)에 각기 연결대(29)가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연결대(29)에 제2스토퍼(65)가 각기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운동바 틸팅수단(6)을 설명하면서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블유닛(67)은 제1스토퍼(19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2스토퍼(65)에 연결된다.
제2스토퍼(65)는 원형 파이프와,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조절부재(64)의 장공(642) 및 연결대(29)의 핀홀에 삽입되는 핀과, 핀의 단부에 형성된 노브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유닛(67)은 내부에 와이어(671)가 삽입된 외부관체(67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와이어(671)의 일단이 제1스토퍼(190)에 고정된 브래킷(677)에 연결되고, 또한 와이어(671)의 타단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토퍼(65)의 핀에 연결된다.
상기 외부관체(672)는 경사바(16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틸팅조절부재(64)의 판재(645)의 돌출되게 장착된 'ㄱ'자 형상의 브라켓(674)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스토퍼(190)를 외측으로 당기면 와이어(671)가 당겨지면서 타측의 제2스토퍼(65)도 동반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제2스토퍼(65)의 분리 작동이 동반 수행될 수 있다.
즉, 외부관체(672)의 타단부가 브라켓(67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671)만 당겨질 수 있으므로 제2스토퍼(65)와 반대편의 제2스토퍼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 틸팅수단(3)에 동반하여 회전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1,2운동바(11,12)의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틸팅수단(6)이 포함된다.
상기 운동바 틸팅수단(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회전판(21,22)의 상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23)에 하단부가 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운동바(11,12)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6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핀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2운동바(11,12) 각각에 결합되는 양측의 연결대(29);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수평부재(631)와, 상기 제1수평부재(631)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632)와, 상기 수직부재(63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수평부재(633)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평부재(633)의 단부에는 중량부재(R)가 장착되는 중량체 지지대(63)에 형성된 끼움봉(310);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632)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29)의 핀홀에 대응하는 장공(64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 연결대(29)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조절부재(64);가 양측 연결대(29)에 각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조절부재(64)의 장공(642)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29)의 핀홀에 관통 결합되어 양측 연결대(29)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제2스토퍼(65);가 양측 연결대(29)에 각기 형성된다.
상기 중량체 지지대(63)의 제1수평부재(631)의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베어링이 개재된 샤프트(635)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도 2 또는 도 4 참조).
틸팅조절부재(64)는 2개의 판재(645)가 내,외측에 이격 배치되고 다수의 볼트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외측 판재에는 장공(642)이 형성되고, 내측 판재에는 장공에 대응되는 다수의 핀체결공이 형성된다.
2개의 판재(645) 사이에 연결대(29)의 타단, 즉 핀홀이 형성된 부위가 삽입되고, 제2스토퍼(65)가 장공(642)을 관통하여 핀체결공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틸팅조절부재(64)는 중량체 지지대의 수직부재에 부착되어 일체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 틸팅수단(3)의 제1스토퍼(190)를 해제시킨후 하부지지대(140)를 내려서 회전시키면, 그에 종속된 제1,2회전판(21,22)이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회전되고, 제1,2운동바(11,12)도 기울여지도록 회전됨으로써 손잡이(116,216)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손잡이(116,216)가 가까워진만큼 의자(200)을 몸뒤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2운동바(11,12)를 전방으로 밀어서 작동을 실시한다.
각각의 연결대(29)가 상하로 회전되고, 연결대(29)가 결합된 틸팅조절부재(64)가 상하 회전된다.
틸팅조절부재(64)에 연결된 제2수평부재(633) 및 제2수평부재(633)의 단부에 중량부재(R)가 장착된 중량체 지지대(63)가 동반하여 상하로 회전됨으로써 흉근의 상부를 자극시킬 수 있다.
중량체 지지대(63)는 제1수평부재(631)와 수직부재(632), 제2수평부재(633)로 구성되며, 제2수평부재(633)의 단부에 끼움봉(310)이 형성되며, 끼움봉(310)에 중량부재(R)가 장착된다.
아울러 회전판 틸팅수단(3)의 제1스토퍼(190)를 해제시킨후 하부지지대(140)를 올려서 회전시키면, 그에 종속된 제1,2회전판(21,22)이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회전되고, 제1,2운동바(11,12)도 기울여지도록 회전됨으로써 손잡이(116,216)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손잡이(116,216)가 멀어진만큼 의자(200)을 몸 앞쪽으로 이동시킨후 제1,2운동바(11,12)를 전방으로 밀어서 작동을 실시하면, 각각의 연결대(29)가 상하로 회전되고, 연결대(29)가 결합된 틸팅조절부재(64)가 상하 회전된다.
틸팅조절부재(64)에 연결된 제2수평부재(633) 및 제2수평부재(633)의 단부에 중량부재(R)가 장착된 중량체 지지대(63)가 동반하여 상하로 회전됨으로써 흉근의 하부를 자극 시킬 수 있다.
중량부재(R)는 중량원판이 적용되어 중량체 지지대(63)에 형성된 끼움봉(310)에 적정한 갯수의 중량원판을 결합시켜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량체 지지대(63)의 제2수평부재(633)의 말단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벽돌 형상의 스택을 적층하여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이른바
"머신"의 기구에도 응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의자(200)의 앞뒤 간격을 조절하는 의자조절수단(8)이 포함된다.
상기 의자조절수단(8)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81); 복수의 브라켓(81)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수평되게 장착되는 가이드봉(82); 의자(200)가 부착된 의자 프레임(84); 의자 프레임(84)이 장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봉(82)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더(87)가 형성된 가동패널(83); 및 가동패널(83)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다수 형성된 조절공(108)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5스토퍼(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운동바(11,12)의 기울기에 따라서 의자(200)를 앞뒤로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를 설정한 후 제5스토퍼(85)를 조절공(108)에 끼워 고정시킨 다음 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첨부된 도면 도 15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정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200); 의자(200)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방으로 밀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11,12); 제1,2운동바(11,12)의 일측과 커넥팅바(36)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대(32)와, 연결대(32)에 형성되는 중량부재(R)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며, 제1,2운동바(11,12)를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회전부(2); 운동바 회전부(2)를 틸팅시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부(3); 상기 제1,2운동바의 회전각 및 상하각의 변화를 수용하여 연결대의 수직 운동을 가능케 하는 각도변동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적인 제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바 회전부(2)는, 의자(200)에 앉은 상태에서 운동자가 양측의 제1,2운동바(11,12)를 자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흉근의 자극받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제1,2운동바(11,12)를 자전시켜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흉근의 바깥쪽, 가운데, 안쪽 등 다양한 부위를 다이내믹하게 변경시켜 자극을 줄 수 있다.
운동바 회전부(2)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제1,2운동바(11,12)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23)이 형성된 제1,2회전판(21,22); 제1,2회전판(21,22)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메인원판(24); 메인원판(24)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 제1원판(21)과 메인원판(24) 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력전달수단과, 제2회전판(22)과 메인원판(24) 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수단은 메인원판(24)의 상부 중심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결되는 바(271)와, 바(271)의 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스토퍼(272)와, 메인 스토퍼(272)가 끼움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273)이 형성되며 메인원판(24)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각도조절판(27);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토퍼(272)는 솔레노이드(미도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출몰되는 핀 등일 수 있는바, 필요한 상황에서 돌출되어 각도조절공(273)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력전달수단은 제1원판(21)과 메인원판(24)의 풀리(242)를 연결하는 제1벨트(T1)일 수 있고, 제2회전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회전판(22)과 메인원판(24)의 풀리(242)를 연결하는 제2벨트(T2)일 수 있는데, 소망하는 대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벨트(T1), 제2벨트(T2)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2운동바(11,12)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벨트(T1)와 제2벨트(T2)의 회전방향이 상반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벨트(T1)는 '8'자형으로 형성되고, 제2벨트(T2)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271)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클립(275)이 힌지 결합되고, 고정클립(275)은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킨 후 고정클립(275)을 메인 스토퍼(272) 쪽으로 회전시켜 메인 스토퍼(272)를 록킹시켜, 제1,2운동바(11,12)의 각도가 자유각으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의도되로 제1,2운동바(11,12)를 밀거나 당길 수 있어 아령을 갖고 운동하는 자유 운동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2운동바(11,12)의 회전 구동을 설명한다.
도21과22같이,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켜 각도조절공(27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바(27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메인원판(24)이 회전된다.
메인원판(24)이 회전되면 제1,2벨트(T1,T2)의 상반되는 회전이 수행되고, 제1,2벨트(T1,T2)가 연결된 제1,2원판(21,22)이 상반되게 회전하므로, 제1,2원판(21,22)에 각기 연결된 제1,2운동바(11,12)가 서로 상반되게 회전된다. 전술한 회전은 제자리에 회전되는 자전을 의미한다.
적정한 각도로 메인원판(24)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승시켰던 메인 스토퍼(272)를 놓으면 메인 스토퍼(272)가 각도조절공(273)에 인입되어 각도가 고정된다.
이렇게 제1,2운동바(11,12)를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손잡이(116,21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2운동바(11,12)는 의자(20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부의 손잡이(116,216)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운동바(11)는, 제1회전판(21)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23)와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하부봉체(111)와, 상기 하부봉체(111)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하부봉체(111)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113)와, 상기 홀더(113)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봉체(112); 및 상기 상부봉체(1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116)로 구성된다.
제2운동바(12)는, 제2회전판(22)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23)와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하부봉체(211)와, 상기 하부봉체(211)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하부봉체(211)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213)와, 상기 홀더(213)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봉체(212); 및 상기 상부봉체(2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16)로 구성된다.
손잡이(116,216) 각각은 수평의 상부바와 하부바 및 수직바로 구성된 'ㄷ'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가 의자(20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
특히 손잡이(116,216)를 손으로 파지하는 상부바의 중간점을 상부봉체(112,212)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2운동바(11,12)가 회전되더라도 손으로 파지한 부위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2운동바(11,12)를 회전시켜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흉근의 바깥쪽, 가운데, 안쪽을 의도대로 자극할 수 있다.
홀더(113,213)가 장착되어 있어 운동바 (11,12)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회전 되더라도 연결대(32)와 커넥팅바(36)는 각도 변화 없이 원래 위치를 유지한다.
제1,2운동바(11,12)를 회전시켜 몸통의 바깥쪽 또는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흉근의 내측, 중간, 외측을 세분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일예로 도22와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몸통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각도를 변경한 상태에서 미는 운동을 하면 흉근의 바깥쪽에 자극을 주게 된다.
또는 도21과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몸통의 안쪽으로 모아지도록 미는 운동을 하면 흉근의 안쪽에 자극을 주게 된다.
도20과 같이 제1,2운동바(11,12)를 몸통의 중앙에서 미는 운동을 하면 흉근의 가운데에 자극을 주게 된다.
전술한 메인 스토퍼(272)를 이용하는 방식은 전동식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식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실시예에서는 메인원판(24)의 회전 각도를 제1모터(264)로 자동 설정하는 전동식 각도조절부(26)를 더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각도조절부(26)는, 메인원판(24)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치차로 이루어진 치차부(261); 상기 치차부(261)에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262)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0)에 장착된 제1모터(264); 제1모터(264)가 장착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8)는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된 받침판(281)과, 받침판(281)의 상면에 안착된 이동판(282)과, 이동판(282)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봉(283)으로 구성되고, 수직봉(283)의 상부에 제1모터(264)가 장착된다.
이동판(282)과 받침판(281)에는 각기 조절장공(284)이 형성되고, 조절장공(284)에 결합되어 고정 또는 해제작동하는 이동판 스토퍼(2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판 스토퍼(285)를 풀고 이동판(282)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연결된 제1모터(264)와 피니언기어(262)가 치차부(261)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는 운동바 회전부(2)의 바(271)를 손으로 회전시켜 적정한 각도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이동판(282)을 전진시켜 제1모터(264)의 피니언기어가 메인원판의 치차부에 결합되도록 한 후 이동판 스토퍼(285)를 조여서 고정되도록 한 다음 제1모터(264)를 구동시키면 메인원판(24)을 전동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메인원판(24)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메인 스토퍼(272)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메인 스토퍼(272)를 상승시켜 각도조절공(273)으로부터 분리 시킨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원판(24)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부(265)가 포함된다.
상기 각도센서부(265)는 메인원판(24)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치차부(261)에 근접하여 호형상으로 다수의 접점(266)과, 상기 다수의 접점(266)을 감지하도록 제1모터(264)의 상부에 형성된 센서(267);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제1모터(264)가 구동되고, 피니언기어(262)가 회전되며, 피니언기어(262)가 치차부(261) 및 메인원판(2)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된 각도는 각도센서부(265)에서 리딩한 후 제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
메인원판(24)이 회전되면 제1벨트(T1)와 제2벨트(T2)가 서로 상반되게 회전되고, 이에 각기 결합된 제1,2회전판(21,22)이 서로 상반되게 회전되며, 제1,2회전판(21,22)에 결합된 제1,2운동바(11,12)이 회전되어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운동바 회전부(2)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상하 경사각 조절부(3)가 포함된다.
경사각 조절부(3)는 연결대(32)와 제1,2운동바(11,12)의 홀더(113)(213)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커넥팅바(36); 지지프레임(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제3 스토퍼(371)가 형성된 경사바(373)와, 상기 경사바(373)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며 제3 스토퍼(371)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각도판(375)으로 구성된 회동부(37); 연결대(32)와 커넥팅바(36)를 연결하며 제1,2운동바(11,12)의 상하좌우방향의 각도 변화를 수용하고 제1,2운동바(11,12)의 전후진 작동을 연결대(32)에 전달하는 각도변동수용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측 커넥팅바(36) 각각은 제1,2운동바(11,12)의 홀더(113,213)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1파이프(361)와, 각도변동수용부(38)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2파이프(362)가 서로 끼움결합되고, 제1파이프(361)에는 다수의 길이조절공(363)이 각기 형성되며, 제2파이프(362)에는 제1파이프(361)의 길이조절공(363)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1 스토퍼(5) 및 제2 스토퍼(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 스토퍼(371), 제1 스토퍼(5), 제2 스토퍼(6) 각각은 원형 파이프와,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길이조절공(363)에 삽입되는 핀과, 핀에 연결된 케이블유닛(5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유닛(55)이 당겨지면 핀이 길이조절공(363)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케이블유닛(55)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길이조절공(363)에 핀이 인입되어 고정상태가 되어 수동으로 작동시킬수 있다.
케이블유닛(55)은 제3 스토퍼(37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스토퍼(5) 및 제2 스토퍼(6)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3 스토퍼(371)를 작동시키면 케이블유닛(55)이 당겨지고 제1 스토퍼(5), 제2 스토퍼(6)도 동반하여 당겨져 해제된다.
경사각 조절부(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경사바(373)가 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되고 경사바(373)를 올리거나 내리고 제3 스토퍼(371)로 각도판(375)의 각도조절공에 각도를 고정한다.
경사바(373)를 올리거나 내릴 때 커넥팅바(36)의 길이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커넥팅바(36)의 제1파이프(361)와 제2파이프(362)의 결합구조이어야하면 커넥팅바(36)의 제1파이프(361)에는 장공이 제2파이프(362)에는 각각 제1, 2 스토퍼(5,6)가 장착되고 제3 스토퍼(371)가 작동할 때 동시에 제1, 2 스토퍼(5,6)가 작동되어야하기 때문에 케이블유닛(55)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커넥팅바(36)의 길이를 짧게 하면 제1,2운동바(11,12)는 사용자의 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커넥팅바(36)의 길이를 길게 하면 제1,2운동바(11,12)는 수직상태가 된다.
상기 각도변동수용부(38)는 도 16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는 연결대(32)에 형성된 힌지브라켓(322)과 축핀(323)으로 결합되는 볼(382)과, 상기 볼(382)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383)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커넥팅바(36)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384)로 구성된다.
로드(384)와 커넥팅바(36)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인트(383)가 볼(382)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굴절 작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로드(384)와 커넥팅바(36)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시 조인트(383)가 볼(38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1,2운동바(11,12) 및 커넥팅바(36)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제3 스토퍼(371)를 분리하는 작동에 동반되어 타측의 제1 스토퍼(5) 및 제2 스토퍼(6)도 동시에 분리될 수 있도록 제1 스토퍼(5), 제2 스토퍼(6), 제3 스토퍼(371)를 연결하는 케이블유닛(55)이 포함된다.
제1,2운동바(11,12)에 각기 커넥팅바(36)가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커넥팅바(36)의 제2파이프(362)에 제1,제2 스토퍼(5,6)가 각기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10)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바(373)에 제3 스토퍼(371)가 형성된다.
제1 스토퍼(5), 제2 스토퍼(6), 제3 스토퍼(371)는 케이블유닛(55)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블유닛(55)은 제3 스토퍼(37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스토퍼(5) 및 제2 스토퍼(6)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2,3 스토퍼(5)(6)(371)를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케이블유닛(55)은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튜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와이어의 일단이 제3 스토퍼(37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스토퍼(5)와 제2 스토퍼(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3 스토퍼(371)를 외측으로 당기면 케이블유닛(55)의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타측의 제1,제2 스토퍼(5,6)도 동반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제1,2 스토퍼(5,6)의 분리 작동이 동반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1,2,3 스토퍼(5,6,371)는 전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스토퍼(371)만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고, 제어부(400)의 신호를 받아 제3 스토퍼(371)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여 핀을 분리하면서 케이블유닛(55)을 당기게 되므로, 제1,2 스토퍼(5)(6)는 케이블유닛(55)에 연동되어 분리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경사각 조절부(3)의 수동 작동을 설명한다.
상하 각도조절부(4)를 해제한다.
제3 스토퍼(371)를 해제작동시키면, 그에 동반하여 제1 스토퍼(5) 및 제2 스토퍼(6)가 해제되어 경사바(373)가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후 경사바(373)를 올리거나 내리면, 지지프레임(110)이 회전되고, 동반하여 커넥팅바(36)의 길이가 변동된다.
각도를 결정하고 제3 스토퍼(371)를 고정시키면 동시에 제1,2 스토퍼(5,6)도 고정된다.
한편 상기 경사각 조절부(3)의 틸팅 각도를 제2모터(48)로 자동 설정하는 상하 각도조절부(4)를 더 포함한다.
도 17, 도 18,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각도조절부(4)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부채꼴 기어(42); 부채꼴 기어(42)에 치차결합되는 피니언기어(46)가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된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제2모터(48); 부채꼴 기어(42)의 측면에 호형으로 다수 배치되는 접점(491)과, 제2모터(48)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접점(491)을 감지하는 센서(492)로 구성되는 각도센싱부(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20)는, 길이조절공(121)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연결핀(122)이 상기 길이조절공(121)에 관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공(121)의 일단에 나사결합되며 장착프레임(143)의 상면에 압착되어 플레이트(120)의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핸들(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공(121)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143)에 연결핀(12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120)는 장착 프레임(143)의 상면을 타고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핀(122)은 상단에 둥근머리가 형성되어 플레이트(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길이조절공(12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핸들(124)을 풀고 플레이트(12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연결핀(122)이 길이조절공(12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앞뒤로 플레이트(120)가 움직일수 있어 치차결합 또는 분리 작동이 유발되어 피니언기어(46)와 부채꼴 기어(42)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제어하여 제2모터(48)의 동력 전달 또는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들어 플레이트(120)를 후방(의자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부채꼴 기어(42)와 피니언기어(46) 간의 분리되므로 제2모터(48)의 동력 전달이 단락될 수 있다.
제어부(400)의 판넬에서, 전동모드로 전환하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제3 스토퍼(371)와 제1 스토퍼(5)와 제2 스토퍼(6)가 해제되고 이후 제2모터(48)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46)가 부채꼴 기어(42)를 회전시키면 지지프레임(110)이 회전되면서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각도는 각도센싱부(49)에서 인식하여 제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10)의 각도 변경에 의해 제1,2운동바(11,12) 및 손잡이(116,216)의 기울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각도로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각도를 설정함에 따라 흉근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자극이 집중될 수 있다.
한편 중량원판(R)은 연결대(32)에 형성된 끼움봉(321)에 적정한 갯수를 결합시켜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량체 지지대(63)의 제2수평부재(633)의 말단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벽돌 형상의 스택을 적층하여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이른바 "머신"의 기구에도 응용할수있다.
한편 상기 연결대(32)의 상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시키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가발전부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 장착되며 풀리(73)를 회전축에 구비한 발전기(72); 일단이 연결대(32)에 고정되고 상기 발전기(72)의 풀리(73)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74); 와이어로프(74)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축작동되는 탄성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76)는 코일스프링 또는 탄력밴드인 것이다.
따라서 제1,2운동바(11,12)를 전후로 밀거나 당기는 작동을 실시하면, 연결대(32)가 상하로 회전되고, 연결대(3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74)가 상하 왕복 작동되고 풀리(73)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발전기(72)를 구동시켜 발전을 하게 된다.
탄성부재(76)는 코일스프링이며,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와이어로프(74)의 상하 왕복 작동의 속도를 보다 증속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발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생성된 전기는 축전지(77)에 저장되어 제어부(400)의 디스플레이의 사용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제1모터(264) 및 제2모터(48)의 사용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축전지(77)의 전력량이 적정 수준 이하일 경우 축전지(77)의 표시 램프가 켜지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원콘센트가 구비되어 축전지(77)를 충전 할수 있다.
이상은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부호의 설명]
<실시예 1>
3 : 비들림 각도조절수단 3 : 회전판 틸팅수단
4 : 틸팅각도조절부 6 : 운동바 틸팅수단
8 : 의자조절수단
11,12 : 제1,2운동바 25 : 비틀림 각도고정부재
26 : 자전각도조절부 29 : 연결대
100 : 베이스 프레임 140 : 하부지지대
180 : 각도조절판 190 : 제1 스토퍼
200 : 의자 252 : 캔틸레버 브라켓
300 : 중량부
<실시예 2>
2 : 운동바 회전부 3 : 경사각 조절부
4 : 상하 각도조절부 5 : 제1 스토퍼
6 : 제2 스토퍼 7 : 자가발전부
8 : 의자조절수단 11,12 : 제1,2운동바
32 : 연결대 21,22 : 제1,2회전판
24 : 메인원판 27 : 수평각도조절판
T1 : 제1벨트 T2 : 제2벨트
26 : 전동식 각도조절부 32 : 연결대
34 : 받침대 36 : 커넥팅바
37 : 회동부 38 : 각도변동수용부
42 : 부채꼴 기어 48 : 제2모터
49 : 각도센싱부 55 : 케이블유닛
72 : 발전기 74 : 와이어로프
76 : 탄성부재 77 : 축전지
82 : 가이드봉 84 : 의자프레임
83 : 가동패널 85 : 제4 스토퍼
100 : 베이스 프레임 113,213 : 홀더
116,216 : 손잡이 200 : 의자
261 : 치차부 262 : 피니언기어
264 : 제1모터 265 : 각도센서부
371 : 제3 스토퍼 400 : 제어부

Claims (18)

  1.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
    상기 제1,2운동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되는 중량부재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비틀림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비틀림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제1,2운동바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회전판;
    상기 제1,2회전판을 연결하여 제1,2회전판을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 및
    상기 제1,2회전판 중 어느 하나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비틀림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각도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제1회전판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캔틸레버 브라켓; 및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판에 형성된 다수의 각도조절공에 결합되는 메인스토퍼; 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운동바 각각은
    제1,2회전판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수직봉체;
    상기 수직봉체의 상단에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끝단이 수직봉체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체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연결대 및 제2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회전판을 틸팅시켜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판 틸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 틸팅수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제2브라켓에 양단부가 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2회전판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바에 형성되며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된 각도조절판; 및
    상기 경사바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공에 끼워지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는 원형 파이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공에 삽입되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틸팅수단에 동반하여 회전 작동되고, 제1,2운동바의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틸팅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운동바 틸팅수단은,
    상기 제1,2회전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에 하단부가 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운동바 각각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핀홀이 형성되어 제1,2운동바 각각에 결합되는 양측의 연결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수평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평부재의 단부에 중량부재가 장착되는 중량체 지지대;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의 핀홀에 대응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양측 연결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조절부재;
    상기 틸팅조절부재의 장공과, 상기 연결대의 핀홀에 관통 결합되어 양측 연결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원형 파이프와,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 및 핀홀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형성된 노브로 구성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틸팅수단의 제1 스토퍼를 분리하는 작동에 동반되어 제2 스토퍼도 분리될 수 있는 케이블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케이블유닛은 내부에 와이어가 삽입된 외부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제1 스토퍼에 고정된 브래킷에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제2 스토퍼의 핀에 연결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의자의 앞뒤 간격을 조절하는 의자조절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의자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브라켓;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수평되게 장착되는 가이드봉;
    의자가 부착된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이 장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더가 형성된 가동패널; 및
    상기 가동패널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다수 형성된 조절공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4 스토퍼;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8.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상기 의자의 전면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운동자가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된 제1,2운동바;
    상기 제1,2운동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되는 중량부재로 구성되어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
    상기 제1,2운동바를 자전시켜 비틀림 각도를 조절하는 운동바 회전부;
    상기 운동바 회전부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임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조절부;
    상기 제1,2운동바의 자전각 및 상하각의 변화를 수용하여 연결대의 수직 운동을 가능케 하는 각도변동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바 회전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제1,2운동바가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이 형성된 제1,2회전판;
    제1,2회전판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메인원판;
    상기 메인원판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
    상기 제1회전판과 메인원판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력전달수단과, 상기 제2회전판과 메인원판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력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메인원판에 연결되는 바와, 상기 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스토퍼와, 상기 메인 스토퍼가 끼움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되며 메인원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평각도조절판;
    을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운동바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벨트와 제2벨트의 회전방향이 상반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벨트는 '8'자형으로 형성되고, 제2벨트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운동바 각각은
    제1,2회전판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부와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환봉으로 형성된 하부봉체와, 상기 하부봉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하부봉체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는 홀더;
    상기 홀더의 상부에 수직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봉체;
    상기 상부봉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및
    상기 상부봉체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과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수평의 상부바와 하부바 및 수직바로 구성된 'ㄷ'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가 의자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는 상부바의 중간점을 상부봉체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단부에는 중량원판을 끼우도록 끼움봉이 형성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연결대와 제1,2운동바의 홀더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커넥팅바;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커넥팅바 각각은, 제1,2운동바의 홀더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1파이프와 각도변동수용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2파이프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이 가능하며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길이가 고정되게 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제3 스토퍼가 형성된 경사바와, 상기 경사바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며 제3 스토퍼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각도판으로 구성된 회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토퍼, 제2 스토퍼, 제3 스토퍼 각각은, 솔레노이드와, 원형 파이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공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에 연결된 케이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동되거나 케이블유닛이 당겨지면 핀이 길이조절공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솔레노이드 작동이 멈추거나 케이블유닛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길이조절공에 핀이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작동시킬수 있는 상태가 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동수용부는,
    일측에는 연결대에 형성된 힌지브라켓과 축핀으로 결합되는 볼과, 상기 볼에 끼움결합되는 조인트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넥팅바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와 커넥팅바를 연결하며 제1,2운동바의 상하좌우방향의 각도 변화를 수용하고 제1,2운동바의 전후진 작동을 연결대에 전달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15. 제 9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토퍼를 각도조절공에서 분리시킨 후 제1,2회전판의 자전 각도를 설정하는 전동식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식 각도조절부는
    메인원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치차로 이루어진 치차부;
    상기 치차부에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제1모터;
    제1모터가 장착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부;
    메인원판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된 이동판과, 이동판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봉으로 구성되고, 수직봉의 상부에 제1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판과 받침판에는 각기 조절장공이 형성되고, 조절장공에 결합되어 고정 또는 해제작동하는 이동판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센서부는,
    메인원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치차부에 근접하여 호형상으로 다수의 접점과,
    상기 다수의 접점을 감지하도록 제1모터의 상부에 형성된 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의 각도를 설정하는 상하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각도조절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외주연에 치차가 형성된 부채꼴 기어;
    상기 부채꼴 기어에 치차결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2모터; 및
    상기 부채꼴 기어의 측면에 호형으로 다수 배치되는 접점과, 제2모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접점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각도센싱부;
    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 지지대의 상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시키는 자가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발전부는,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풀리를 회전축에 구비한 발전기; 일단이 상기 중량체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발전기의 풀리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축작동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클립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클립은 메인 스토퍼를 상승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PCT/KR2018/005909 2017-05-25 2018-05-24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WO20182170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05353.2A EP3632511A4 (en) 2017-05-25 2018-05-24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WEIGHT
CN201880034606.3A CN110662584A (zh) 2017-05-25 2018-05-24 调节手柄角度的重量训练器械
US16/614,789 US11161004B2 (en) 2017-05-25 2018-05-24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JP2019564158A JP6883355B2 (ja) 2017-05-25 2018-05-24 グリップ角度が調節されるウェイトトレーニング器具
AU2018271741A AU2018271741B2 (en) 2017-05-25 2018-05-24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85 2017-05-25
KR1020170064585A KR101875512B1 (ko) 2017-05-25 2017-05-25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7037A1 true WO2018217037A1 (ko) 2018-11-29

Family

ID=6292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909 WO2018217037A1 (ko) 2017-05-25 2018-05-24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61004B2 (ko)
EP (1) EP3632511A4 (ko)
JP (1) JP6883355B2 (ko)
KR (1) KR101875512B1 (ko)
CN (1) CN110662584A (ko)
AU (1) AU2018271741B2 (ko)
WO (1) WO2018217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939B1 (ko) * 2020-01-29 2022-10-20 주식회사 리엑스케어 상체 운동기구
EP4063249A1 (en) * 2021-03-23 2022-09-28 TVS Motor Company Limited A motor vehicle with at least two wheels
US11801412B2 (en) * 2021-07-14 2023-10-31 Gee Hoo Fitec Corp. Exercise device with controllable training modes
KR20230017495A (ko) 2021-07-28 2023-02-06 (주)대한솔루션 충격 흡수 기능이 강화된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WO2023154407A1 (en) * 2022-02-10 2023-08-17 Tonal Systems, Inc. Dual motor exercise machine
KR102448381B1 (ko) 2022-04-26 2022-09-27 윤순용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CN114832291A (zh) * 2022-05-18 2022-08-02 厦门泓胜达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联动可调式哑铃凳
KR102641719B1 (ko) * 2023-07-24 2024-02-27 차영진 헬스기구용 가변 그립 핸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615A (ko) * 2002-05-27 2003-12-03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KR20090046865A (ko) 2006-07-26 2009-05-11 산도즈 아게 카스포펀진 제형
US7862484B1 (en) * 2009-11-03 2011-01-04 Coffey Calvin T Folding exercise rowing machine
KR101066422B1 (ko) * 2010-12-27 2011-09-21 엄명자 다기능 운동 기구
KR101361368B1 (ko) * 2012-12-18 2014-02-11 강구종 복합 운동기구
KR20160085079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마이크로오토메이션 액추에이터 및 그를 이용한 운동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5416U (zh) * 1992-06-09 1992-12-23 常州市人民防空工程公司 多功能健身椅
EP0611585B1 (en) * 1993-02-15 2000-05-03 Young Baeg Hur Exercise device
US5769757A (en) * 1996-06-21 1998-06-23 Fulks; K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e with forced pronation or supination
US20020119871A1 (en) * 2001-02-23 2002-08-29 Kent Fulks Apparatus for mechanical emulation of dumbbells
US20030017918A1 (en) * 2001-06-20 2003-01-23 Webb Gregory M. Multi-functional weight training machine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f rotation
US20030092540A1 (en) * 2001-11-13 2003-05-15 Cybex International, Inc. Range limiting device for exercise machine
CN2520897Y (zh) * 2001-11-16 2002-11-20 郭正次 健身器
KR100563001B1 (ko) * 2003-05-15 2006-03-24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CN2671622Y (zh) * 2003-11-07 2005-01-19 张烝诚 实现多角度调节运动方向的健身器械
US20050227824A1 (en) * 2004-04-06 2005-10-13 Peter Wu Adjustable handle support of an exercise apparatus
CN2695043Y (zh) * 2004-04-30 2005-04-27 李三平 可变换不同部位运动的健身器
US7922629B1 (en) * 2005-10-20 2011-04-12 Roger Batca Multi-station exercise gym
KR100814471B1 (ko) * 2006-03-02 2008-03-17 최윤석 자동저항조절장치가 구비된 3차원 상체 운동기구
US20080085820A1 (en) * 2006-09-22 2008-04-10 Majkrzak Lawrence A Most muscular replicator/multiflexer
KR100774919B1 (ko) * 2007-02-13 2007-11-09 정연옥 다용도 운동기구
US7955234B1 (en) * 2007-02-28 2011-06-07 Pursley Michael G Exercise device and method
CN101732829B (zh) * 2008-11-26 2011-07-27 力山工业股份有限公司 健身机的调整手握把组件
KR101065892B1 (ko) * 2009-01-23 2011-09-19 허영백 재활운동장치
US7678022B1 (en) * 2009-04-16 2010-03-16 Chi Hua Fitness Co., Ltd. Loading device of leg extension machine
US7867152B1 (en) * 2009-05-26 2011-01-11 Harris Jr Jesse Y Multi-axis, multi-planar multi-exercise collapsible exercise device
KR101144976B1 (ko) 2009-05-28 2012-05-15 박천문 복합 헬스 운동기구
US8562496B2 (en) * 2010-03-05 2013-10-22 Hoist Fitness Systems, Inc. Thigh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US9017238B2 (en) * 2011-06-23 2015-04-28 Hoist Fitness Systems, Inc. Assisted chin/dip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chin-up/pull-up handles
CN103845853A (zh) * 2012-11-29 2014-06-11 西安博康中瑞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运动速度与视频联动的新型划船健身器
CN204319620U (zh) * 2014-11-24 2015-05-13 涵永实业有限公司 多运动轨迹的健身器材
KR20150085773A (ko) * 2014-11-24 2015-07-24 정연옥 다기능 운동기구
US9415293B1 (en) * 2015-02-16 2016-08-16 Leao Wang Pull-up fitness exercise machine
CN104800050B (zh) * 2015-05-21 2017-03-08 王妍 一种上肢锻炼器械
CN205516172U (zh) * 2016-01-19 2016-08-31 武汉百利恒运动用品有限公司 胸肌训练器
CN206081495U (zh) * 2016-08-25 2017-04-12 山西澳瑞特健康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气阻式夹扩胸康复训练器
CN206081493U (zh) * 2016-08-25 2017-04-12 山西澳瑞特健康产业股份有限公司 气阻分动式主被动上肢推拉康复训练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615A (ko) * 2002-05-27 2003-12-03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KR20090046865A (ko) 2006-07-26 2009-05-11 산도즈 아게 카스포펀진 제형
US7862484B1 (en) * 2009-11-03 2011-01-04 Coffey Calvin T Folding exercise rowing machine
KR101066422B1 (ko) * 2010-12-27 2011-09-21 엄명자 다기능 운동 기구
KR101361368B1 (ko) * 2012-12-18 2014-02-11 강구종 복합 운동기구
KR20160085079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마이크로오토메이션 액추에이터 및 그를 이용한 운동 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32511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2511A4 (en) 2021-03-17
AU2018271741A1 (en) 2020-01-02
JP6883355B2 (ja) 2021-06-09
AU2018271741B2 (en) 2020-09-03
CN110662584A (zh) 2020-01-07
KR101875512B1 (ko) 2018-07-06
US20200197741A1 (en) 2020-06-25
JP2020524531A (ja) 2020-08-20
US11161004B2 (en) 2021-11-02
EP3632511A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7037A1 (ko)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WO2021096131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6128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6132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6130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6129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2092493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12011763A2 (ko) 요동각 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이크의 안장구조 및 이를 구비한 헬스 자전거
WO2021095972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5971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5973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5970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70994A1 (ko) 재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운동방법
WO2013055057A2 (ko)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WO2010151023A2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WO2013055021A1 (ko) 교합기
WO2022260428A1 (ko) 회동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WO2018009022A1 (ko) 목 근력운동장치
WO2021230545A1 (ko) 스윙 운동 능력 강화 기구
WO2014175707A1 (ko) 가변좌석유닛, 보행보조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휠체어
WO2016024715A1 (ko)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WO2015093833A1 (ko) 하지 근력 측정 시스템
WO2019160207A1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WO2012074297A2 (ko) 고령친화형 샤워캐리어
WO2020230932A1 (ko)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53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6415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271741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80524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053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