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422B1 - 다기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422B1
KR101066422B1 KR1020100135330A KR20100135330A KR101066422B1 KR 101066422 B1 KR101066422 B1 KR 101066422B1 KR 1020100135330 A KR1020100135330 A KR 1020100135330A KR 20100135330 A KR20100135330 A KR 20100135330A KR 101066422 B1 KR101066422 B1 KR 10106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ball screw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명자
Original Assignee
엄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명자 filed Critical 엄명자
Priority to KR102010013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추 또는 와이어와 연동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운동부가 결합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평행 프레임과 상기 평행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평행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볼 스크류; 일단이 각각 연결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축과 지지축 및 연결축을 포함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축의 타단은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 스크류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 상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축의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과 운동 방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운동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 기구{Multifunction 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웨이트 기구 등을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과 운동 방법에 따라서 운동점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웨이트 운동 기구 등은 운동 기구의 운동점(즉, 사용자에게 힘이 작용하는 위치점 등. 이하 같다)이 고정되어 있거나 매우 작은 범위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운동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운동 기구의 높낮이 등의 위치 조정이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서서 또는 앉아서 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 내지 집중 운동 부위 등에 따라서 운동점을 조정할 수 없는 등 다양한 운동 방법을 선택 또는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볼 스크류를 포함한 조절부에 의해 상부 프레임의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과 운동 방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운동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가 구비된 결합판을 회전하며 체결판의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뿐만 아니라 운동 방법 내지 단련시키려는 근육에 따라서 운동점이 되는 손잡이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게 추 또는 와이어와 연동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운동부가 결합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평행 프레임과 상기 평행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평행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볼 스크류; 일단이 각각 연결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축과 지지축 및 연결축을 포함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축의 타단은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 스크류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 상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축의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행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원 형태로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결합핀이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하는 핀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가 부착된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평행 프레임의 타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또는 와이어와 결합하는 추 결합축을 형성한 연결판이 구비되되, 상기 체결판과 연결판은 상기 평행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는 결합축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 스크류에는,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과 운동 방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운동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뿐만 아니라 운동 방법 내지 단련시키려는 근육에 따라서 운동점이 되는 손잡이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운동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볼 스크류 부분에 대한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4는 손잡이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운동부인 결합판과 체결판 및 연결판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기능 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운동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볼 스크류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 및 4는 손잡이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손잡이 부분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는 무게 추 또는 와이어와 연동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운동부(1)와 결합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평행 프레임(21)과 상기 평행 프레임(21)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2)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20)과, 상기 평행 프레임(21)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35)과, 상기 수평 프레임(35)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한 수직 프레임(30)과, 상기 수직 프레임(30)의 타단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10)과,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볼 스크류(50) 및 일단이 각각 연결체(44)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축(43)과 지지축(42) 및 연결축(41)을 포함한 조절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축(43)의 타단은 상기 볼 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 스크류(5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50) 상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42)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축(41)의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2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7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20), 수직 프레임(30), 볼 스크류(5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은 지면 상에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모든 구성들은 상기 하부 프레임(10) 상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0)은,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서, 양 팔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평행 프레임(21)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평행 프레임(21)은 연결 프레임(22)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평행 프레임(21) 사이에는 수평 프레임(35)이 더 연결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평행 프레임(21) 사이에서 무게추(100) 또는 와이어 등에 연동하는 손잡이(71)를 잡고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은 수직 프레임(3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30)은 일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35)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30)의 일단은 상기 수평 프레임(35)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20)은 상기 수직 프레임(30)에 연결된 수평 프레임(35)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이 아래 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30)에 결합하는 결합 구성은 일반적인 그네 또는 시소 등에서 사용되는 결합 구성이나 기타의 결합 구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구성은 기존에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볼 스크류(50)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볼 스크류(50)의 일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 블라켓(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에 역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볼 스크류(50)의 타측에는 상기 볼 스크류(50)를 용이하게 회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53)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53)에는 손잡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스크류(50)의 회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53)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회전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볼 스크류(50)의 타측 또는 일측을 회전 모터(미도시)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회전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이 포함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0)는 연결축(41), 지지축(42), 이동축(43) 및 연결체(4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축(41)과 지지축(42) 및 이동축(43)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44)에 각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41)의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22)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42)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에 결합되되 상기 볼 스크류(50)가 결합되는 블라켓(51)이 설치된 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43)은 상기 볼 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 스크류(5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축(43)의 타단은 상기 볼 스크류(50)의 나사선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구(45)에 의해 상기 볼 스크류(50)와 결합되고 상기 볼 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볼 스크류(5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즉, 상기 볼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축(43)과 상기 지지축(42)의 사이가 좁아지게 되면, 즉 상기 체결구(45)가 블라켓(51)에 가까워지면 상기 연결체(44)의 결합 관계에 의해 상기 지지축(42)이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서 연결축(41) 또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22)이 지면에 대해 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71)가 구비된 평행 프레임(21) 측은 지면과 가까운 하 방향으로 내려가 운동점이 아래에 형성되도록 하는 운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볼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축(43)과 상기 지지축(42)의 사이가 넓어지게 되면, 즉 상기 체결구(45)가 블라켓(51)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연결체(44)의 결합 관계에 의해 상기 지지축(42)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서 연결축(41) 또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22)이 지면에 대해 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70)가 구비된 평행 프레임(21) 측은 지면과 먼 상 방향으로 올라가 운동점이 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운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해 진다.
상기 하부 프레임(10)에는 상기 평행 프레임(21) 사이에 사용자가 앉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평행 프레임(21)에 결합하는 운동부(1)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운동부(1)는 상기 평행 프레임(21) 사이에 위치한 사용자가 무게추(100) 또는 와이어 등과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 손잡이(71)를 양 손으로 잡고 운동을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운동부(1)는 상기 평행 프레임(21)을 기준으로 상기 평행 프레임(2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체결판(80)과 결합판(7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동부(1)는 상기 평행 프레임(21)을 기준으로 상기 평행 프레임(2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연결판(9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판(70)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71)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판(90)의 일측에는 무게추(100) 등이 끼워지는 결합축(91)이 결합된다.
상기 평행 프레임(2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판(80)과 결합판(70)이 차례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판(70)의 타측과 상기 체결판의 중심부와 상기 연결판(90)의 타측에는 샤프트 형태의 결합축(76)이 삽입되는 홀(75,85,9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평행 프레임(21)에도 상기 평행 프레임(2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상기 결합축(76)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70)은 상기 결합축(7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체결판(80) 및 연결판(90)은 상기 결합축(76)과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 결합된다.
상기 체결판(80) 및 연결판(90)이 상기 결합축(76)에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결합 방법은 용접은 물론 상기 체결판(80)과 연결판(90)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축(76)의 형태 및 상기 홀(85,95)의 형태에 의해서도 가능하다(즉, 원이 아닌 다각형 등의 형태에 의한 암수 끼움 결합 등).
이때, 상기 체결판(85)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홀(81)이 원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된다(도 5 참조).
즉, 상기 홀(85)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복수 개의 결합홀(81)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판(70)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축(76)에 의해 결합판(70)과 체결판(80)이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결합판(70)이 상기 체결판(80)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결합홀(81)들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하는 핀 삽입구(7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핀 삽입구(74)는 상기 결합판(7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결합판(7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핀 삽입구(74)는 상기 결합홀(81)들과 차례로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핀 삽입구(74)에 결합핀(72)을 끼워 상기 결합홀(81)들 중 어느 한 결합홀(81)에 함께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판(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체결판(90)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연결판(90)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핀(74)이 끼워지는 상기 결합홀(81)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결합판(70)의 회전 각도가 조정되고 따라서 상기 손잡이(71)의 위치와 높낮이가 조정되게 된다.
상기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운동점을 조정할 수 있게되고, 사용자마다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점을 선택하여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운동부 10: 하부 프레임
20: 상부 프레임 21: 평행 프레임
22: 연결 프레임 30: 수직 프레임
35: 수평 프레임 40: 조절부
41: 연결축 42: 지지축
43: 이동축 44: 연결체
45: 체결구 50: 볼 스크류
51: 블라켓 53: 회전부
60: 안착부 70: 결합판
71: 손잡이 72: 결합핀
74: 핀 삽입구 75,85,95: 홀
76: 결합축 80: 체결판
81: 결합홀 90: 연결판
91: 추 결합축 100: 무게추

Claims (4)

  1. 무게 추 또는 와이어와 연동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운동부가 결합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평행 프레임과 상기 평행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평행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볼 스크류;
    일단이 각각 연결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축과 지지축 및 연결축을 포함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축의 타단은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 스크류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볼 스크류 상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축의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원 형태로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결합핀이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하는 핀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가 부착된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평행 프레임의 타측면에는,
    상기 무게추 또는 와이어와 결합하는 추 결합축을 형성한 연결판이 구비되되,
    상기 체결판과 연결판은 상기 평행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는 결합축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에는,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
KR1020100135330A 2010-12-27 2010-12-27 다기능 운동 기구 KR10106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330A KR101066422B1 (ko) 2010-12-27 2010-12-27 다기능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330A KR101066422B1 (ko) 2010-12-27 2010-12-27 다기능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422B1 true KR101066422B1 (ko) 2011-09-21

Family

ID=4495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330A KR101066422B1 (ko) 2010-12-27 2010-12-27 다기능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68B1 (ko) 2012-12-18 2014-02-11 강구종 복합 운동기구
KR101875512B1 (ko) * 2017-05-25 2018-07-06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39Y1 (ko) * 1996-07-09 1999-04-01 박종성 미용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287109Y1 (ko) 2002-06-11 2002-08-27 동 석 조 의자 승강용 구동장치
US20040058785A1 (en) 2002-09-20 2004-03-25 Chieh-Ming Wu Treadmill with an automatically foldable treadbase
US20040157711A1 (en) 2001-06-18 2004-08-12 Yuval Regev Multi-function exerci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39Y1 (ko) * 1996-07-09 1999-04-01 박종성 미용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US20040157711A1 (en) 2001-06-18 2004-08-12 Yuval Regev Multi-function exercising apparatus
KR200287109Y1 (ko) 2002-06-11 2002-08-27 동 석 조 의자 승강용 구동장치
US20040058785A1 (en) 2002-09-20 2004-03-25 Chieh-Ming Wu Treadmill with an automatically foldable treadba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68B1 (ko) 2012-12-18 2014-02-11 강구종 복합 운동기구
KR101875512B1 (ko) * 2017-05-25 2018-07-06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WO2018217037A1 (ko) * 2017-05-25 2018-11-29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US11161004B2 (en) 2017-05-25 2021-11-02 Byung Don Lee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365B1 (ko) 다양한 운동 형태를 갖는 복합형 운동기
US20140274574A1 (en)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adjustable foot pads and related methods
US7922632B2 (en)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device
TWI533905B (zh) 可調整行程跨距的運動裝置
JP3183730U (ja) フィットネス器具
JP3130693U (ja) ローイングマシン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RU2566309C2 (ru) Механ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для брюшного пресса
CN104436525A (zh) 运动设备
KR101066422B1 (ko) 다기능 운동 기구
CN104800048A (zh) 可调阻力四肢联动康复训练器
US20060009334A1 (en) Rowing device with a lifting device
KR101187335B1 (ko) 골프 퍼팅 각도 변환장치
US10729961B2 (en) Soccer ball kicking training device
US20090082704A1 (en) Oscillating feet supporting apparatus
US20110177918A1 (en) Treadmill with lateral shift effect
JP4896574B2 (ja) ステップ運動器
KR200450904Y1 (ko) 상,하체 복합 운동형 스텝퍼 운동기구
TWI549720B (zh) Can change the movement mode of fitness equipment
JP3196677U (ja) エリプティカルトレーナー
JP2008529716A (ja) 軌道抵抗調整可能な球鍛練装置
JP5847357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CN208573280U (zh) 坐垫大小调节机构及座椅
KR20100110240A (ko) 운동기구용 기둥부를 가진 파고라
KR100858363B1 (ko) 체중 체감형 벤치 프레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