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59926A1 -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59926A1
WO2018159926A1 PCT/KR2017/013215 KR2017013215W WO2018159926A1 WO 2018159926 A1 WO2018159926 A1 WO 2018159926A1 KR 2017013215 W KR2017013215 W KR 2017013215W WO 2018159926 A1 WO2018159926 A1 WO 20181599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antenna
touch sensor
electro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2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민
박동필
최병진
Original Assignee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87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366718B/zh
Priority to US16/490,087 priority patent/US10990234B2/en
Publication of WO20181599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599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4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using a particular conducting material, e.g. super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provided with an antenna.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provided with an antenna to minimize nois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touch sensor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even when the antenna is mounted in the display area where the touch sensor is installed.
  • the touch sensor i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by selecting instructions displayed on a screen such as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human hand or an object.
  •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detects a contact position directly contacting a human hand or an objec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ly, the instruction content selected at the contact position is received as an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can replace a separate input device connect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its use range is gradually expanding.
  • the touch sensor may be combined with an image display device employed in a mobile phone or a navigation device and used as an input device thereof.
  •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navig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short-range and / or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general, such an antenna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touch sensor.
  •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s complicate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can be increased.
  •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antenna is reduced so that the antenna needs to be mounted in the display area where the touch sensor is installed.
  • the antenna is mounted in the display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touch sensor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 Patent Document 1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0822 (published date: August 18, 2014, name: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an antenna pattern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to minimize the noise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touch sensor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even when the antenna is mounted in the display area where the touch sensor is installed. .
  • a touch sensor including an antenna including a touch sensor unit including a sensing electrode unit and an antenna unit formed on the touch sensor unit, wherein the antenna unit is configured to sense the touch senso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electrode in a state insulated from the sensing electrode.
  • the antenna unit may include a signal radiation pattern unit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area defined by the unit electrode pattern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the touch sensor with antenna .
  • the sensing electro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x electrode portion and an Rx electrode portion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an insulated state.
  • the antenna unit is formed on the Tx electrode unit or the Rx electrode unit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Tx electrode unit and the Rx electrode unit.
  • the sensing electrode unit In the touch sensor provided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electrode unit,
  • a bridge patter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to insulate the Rx electrode portion and the Tx electrode portion and the Tx electrode portion separated from the crossing region, wherein the antenna portion is insulated by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It is formed on the said Tx electrode part or the said Rx electrode par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 the antenna unit has a mesh structure or a front metal thin film structure.
  • the antenn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ctive oxide.
  • the bridge pattern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intersection area
  • the Tx electrode part is connected via the first through holes
  • the antenna part is formed on the Tx electrode part or the Rx electrode part via the first insulating part.
  • the antenna unit is bonded to the touch sensor unit.
  • a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formed on the Rx electrode portion and covering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and the bridge pattern portion to cut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and the bridge pattern portion.
  • a signal transmission line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on portion to be softened, the second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on portion, and a second insula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s to connect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 the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part formed to cover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part and the second insulation part.
  • a touch sensor having an antenna is provided to minimize noise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touch sensor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planar shape of a touch sensor applicable to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 planar shape in which an antenna unit is formed on a sensing electrode unit constituting a touch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nar shape of an antenna applicable to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to 8 are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s of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1 is a plan view of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ouch sensor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based on whether visual information is displayed.
  • the display area is an area where an image provided by a device coupled to the touch sensor is displayed and an area for capacitively detecting touch signals input from a user.
  •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ing the inserted Tx electrode unit 130 and the Rx electrode unit 120 is provided.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es a Tx electrode unit 130 and an Rx electrode unit 120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an insulated state.
  • the antenna unit 20 is 1) formed on the Tx electrode unit 130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Tx electrode unit 130 and the Rx electrode unit 120, or 2) the Tx electrode unit 130 and the Rx.
  • the antenna unit 20 may include a signal radiation pattern unit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and in order to minimize noise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touch sensor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unit may include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It may be formed to be located on the area defined by the unit electrode pattern constituting the).
  •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unit 10 and a bonding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re formed.
  • the bonding pad is connecte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that transmits a touch signal sensed in the display area to a driver (not shown).
  •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 the antenna unit 20 is provided on the touch sensor unit 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antenna unit 20 in FIGS. 2 to 4.
  •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ntenna unit 20 is formed on the Tx electrode unit 130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Tx electrode unit 130 and the Rx electrode unit 120.
  • 4 shows an example formed on the Rx electrode unit 120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electrode unit 130 and the Rx electrode unit 120.
  • FIG. 4 shows that the antenna unit 20 includes the Tx electrode unit 130 and the Rx electrode unit ( An example overlapping with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120 is show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nar shape of an antenna applicable to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A illustrates an element of the antenna unit 20.
  • An example in which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etal mesh is shown.
  • the antenna unit 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general metal thin film as shown in FIG.
  • the antenna unit 20 may include a conductive oxide, and specifically, a known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including ITO, IZO,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antenna unit 20.
  • 6 to 8 are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s of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is formed on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ing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and the touch sensor unit 10.
  • the antenna unit 20 is included, and the antenna unit 20 is insulated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on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es a Tx electrode unit 130 and an Rx electrode unit 120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an insulated state, and include an antenna unit ( 20 is 1) formed on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in a state insulated from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and the Rx electrode portion 120, or 2)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and the Rx electrode portion 120 ) May be formed on the Rx electrode part 120.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may be separated from a region where the Rx electrode unit 120 and the Rx electrode unit 120 extend in one direction on the substrate 100.
  •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140 Connecting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formed to have a shape,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140 to insulate the Rx electrode portion 120 and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and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separated from the crossing area.
  • the bridge pattern part 150 is included, and the antenna part 20 includes the Rx electrode part 120, the Tx electrode part 130, and the bridge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part 10 by the first insulating part 140. It may be formed on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or the Rx electrode portion 120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pattern portion 150.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es an Rx electrode unit 120 and an Rx electrode unit (not shown)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the substrate 100.
  • the Rx electrode part 13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are formed to cover the Tx electrode part 130,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formed to have a shape separated in an intersection area with the 120.
  • the antenna may include a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210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Tx electrode portion 130 or the Rx electrode portion 120 via the first insulation portion 14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part and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art 210 constituting the antenna may be formed on the same plan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econd through holes 244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20 as in the example disclosed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number of stack ups is reduced.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es an Rx electrode unit 120 and an Rx electrode unit (not shown)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the substrate 100.
  • the Rx electrode part 13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are formed to cover the Tx electrode part 130,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formed to have a shape separated in an intersection area with the 120.
  • the antenna unit 20 may include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unit 210 and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formed on the Tx electrode unit 130 or the Rx electrode unit 120 via the first insulation unit 140. It is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20 formed to cover the portion 210 and the bridge pattern portion 150 to insulate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ortion 210 and the bridge pattern portion 150.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part 230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220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s 244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244 to connect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part 210. Can be.
  • the protection unit 30 is formed to cover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230 and the second insulation unit 220 to protect the antenna unit 20.
  •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230 and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unit 210 constituting the antenna unit 2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instea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230 ) May be formed regardless of the bridge pattern unit 150,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230.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unit 10 includes an Rx electrode unit 120 and an Rx electrode unit (not shown)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 the substrate 100.
  • the Rx electrode part 13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are formed to cover the Tx electrode part 130,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formed to have a shape separated in an intersection area with the 120.
  • the antenna may include the Tx electrode part 130 via the third insulating part 225, the first insulating part 140, and the third insulating part 225 formed on the sensing electrode part 110.
  • the signal radiation pattern unit 21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unit (not shown) formed on the Rx electrode unit 120 may be included.
  • the third insulation portion on the touch sensor portion 10, which is not coplanar with the bridge pattern portion 150 of the touch sensor portion 10, is described.
  • An antenna is formed on 225.
  •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portion constituting the antenna is increased.
  • the antenna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be bonded to the touch sensor unit 10 via a bonding agent.
  • the antenna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mesh structure.
  • the touch sensor unit 10 may include a substrate 100 and a sensing electrode unit 110.
  • the substrate 100 may structurally support a touch sensor with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known materials having a hard material or a soft material.
  •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detects a touch signal from a user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n Rx electrode unit 120, a Tx electrode unit 130, a first insulation unit 140, and a bridge pattern unit 150. .
  • the Rx electrode parts 120 ar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that is, in an extended state, and the Tx electrode parts 130 are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an electrically separated state from each other.
  •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is the X direction
  •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Y direction.
  • the Rx electrode unit 120 and the Tx electrode unit 130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may be a polygonal pattern of three, four, five, six, or seven or more polygon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part 110 may include a regular pattern.
  • a regular pattern means that the pattern form has regularity.
  • the sensing patterns may includ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mesh shape such as a rectangle or a square, or a pattern shape such as a hexagon.
  •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part 110 may include an irregular pattern.
  • Irregular pattern means that the shape of the pattern does not have regularity.
  •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part 110 ar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nanowires, carbon-based materials, or polymer materials
  • the Rx electrode The unit 120 and the Tx electrode unit 130 may have a network structure.
  • signals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adjacent patter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realizing a pattern having high sensitivity.
  •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constituting the sensing electrode part 110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 the material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140 that insulates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an insulating material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for example, a metal oxide such as silicon oxide. Or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or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resin can be used.
  • the first insulating unit 140 may be formed using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and in this case, the first insulating unit 140 may be formed by deposition, sputtering, or the like.
  • the bridge pattern part 150 electrically connects the Tx electrode part 130 which is separated at an intersection area where the Rx electrode part 120 and the Tx electrode part 130 intersect.
  • Table 1 below shows experimental data of mutual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antenna unit 20.
  • the reference example is a case where the antenna unit 20 is not mounted on the touch sensor unit 10, and in Embodiment 1, the sensing electrode unit (in which the antenna unit 20 constitutes the touch sensor unit 10 (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ntenna unit 20 forms the touch sensor unit 10 on the Tx electrode unit 130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110.
  • the third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antenna unit 20 is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antenna unit 20 overlaps the Rx electrode unit 120 and the Tx electrode unit 130. That is, the third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antenna unit 20 spans the Rx electrode unit 120 and the Tx electrode unit 130.
  • the antenna unit 20 is not mounted on the touch sensor unit 10, nois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signal of the touch sensor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does not occur. Therefore, the smaller the difference from the delta mutual capacitance ratio according to the reference example, the less the noise caused by the antenna can be said to be an excellent touch sensor. In other words, as the delta mutual capacitance ratio increases, the touch sensor becomes more sensitive to nois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ouch sensor of the embodiment changes sensitive to noise as the delta mutual capacitance ratio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example.
  •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case where the antenna unit 20 is mounted on the Tx electrode unit 130 shows the best performance.
  •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when the antenna unit 20 is mounted on the Rx electrode unit 120 may be said to have a relatively strong noise compared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relatively superior to the thir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are shown.
  • a touch sensor having an antenna to minimize noise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touch sensor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There is an effect prov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지 전극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센서부 상에 형성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 상에 상기 감지 전극부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하는 경우에도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본 발명은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테나를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하는 경우에도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터치 센서는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센서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터치 센서는 핸드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에 채용되는 영상표시장치에 결합되어 이들의 입력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핸드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단말기는 근거리 및/또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안테나는 영상표시장치나 터치 센서와는 별도로 구성된다. 이는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며, 단말기의 두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를 터치 센서에 근접시켜 설치하는 경우 상호 간에 신호 간섭을 유발하여 안테나 성능 및 터치 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 핸드폰 등과 같은 전자장치의 화면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베젤(bezzle) 영역이 축소됨에 따라,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어 안테나가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안테나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되는 경우에는,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이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0822호(공개일자: 2014년 08월 18일, 명칭: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안테나를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하는 경우에도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는 감지 전극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센서부 상에 형성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 상에 상기 감지 전극부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신호 방사 패턴부와 신호 전송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를 구성하는 단위 전극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상호 절연된 상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Tx 전극부와 Rx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상기 Tx 전극부 및 상기 Rx 전극부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메쉬(mesh) 구조 또는 전면 메탈 박막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 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쓰루홀들 사이의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쓰루홀들 사이의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된 신호 방사 패턴부,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와 상기 브릿지 패턴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와 상기 브릿지 패턴부를 절연시키는 제2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에 형성된 제2 쓰루홀들 및 상기 제2 쓰루홀들 사이의 제2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를 연결하는 신호 전송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는, 상기 신호 전송 라인부와 상기 제2 절연부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 상에 형성된 제3 절연부, 상기 제3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하는 경우에도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적용 가능한 터치 센서의 개념적인 평면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안테나부가 터치 센서부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적용 가능한 안테나의 평면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의 예시적인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터치 센서에 결합된 장치가 제공하는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정전용량방식으로 감지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이 표시 영역에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 패턴들인 Tx 전극부(130)와 Rx 전극부(120)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이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예를 들어,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는 상호 절연된 상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Tx 전극부(130)와 Rx 전극부(120)를 포함하고, 안테나부(20)는, 1)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Tx 전극부(130) 상에 형성되거나, 2)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되거나, 3)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중첩(overlap)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20)는 신호 방사 패턴부 및 신호 전송 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호 방사 패턴부는 감지 전극부(110)를 구성하는 단위 전극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에는 터치 센서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라인, 이 연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본딩 패드(bonding pad)가 형성되어 있다. 본딩 패드에는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로 전달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치 센서부(10) 상에는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 안테나부(20)가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 상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 형상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안테나부(20)가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Tx 전극부(130) 상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안테나부(20)가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안테나부(20)가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 상에 중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에 적용 가능한 안테나의 평면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도 5의 (a)는 안테나부(20)의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신호 방사 패턴을 메탈 메쉬(metal mesh) 형태로 제작한 예를 나타낸다. 안테나부(20)를 도 5의 (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메탈 박막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20)는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ITO, IZO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이 안테나부(2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의 예시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는 감지 전극부(110)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10) 및 터치 센서부(10) 상에 형성된 안테나부(20)를 포함하고, 안테나부(20)는,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 상에 감지 전극부(110)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안테나부(20)가 터치 센서부(10)에 실장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예로,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는, 상호 절연된 상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Tx 전극부(130)와 Rx 전극부(120)를 포함하고, 안테나부(20)는, 1)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Tx 전극부(130) 상에 형성되거나, 2) Tx 전극부(130) 및 Rx 전극부(120)와 절연된 상태로,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는, 기판(100)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120), Rx 전극부(120)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130),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140) 및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130)를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150)를 포함하고, 안테나부(20)는, 제1 절연부(140)에 의해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Rx 전극부(120), Tx 전극부(130), 브릿지 패턴부(150)와 절연된 상태로 Tx 전극부(130) 또는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는, 기판(100)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120), Rx 전극부(120)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130),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덮도록 형성되어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140), 제1 절연부(140)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 144)과 제1 쓰루홀들(144) 사이의 제1 절연부(140) 상에 형성되어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130)를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안테나는, 제1 절연부(140)를 매개로 Tx 전극부(130) 또는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된 신호 방사 패턴부(210)와 신호 전송 라인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개시된 예에 따르면, 안테나를 구성하는 신호 전송 라인부와 신호 방사 패턴부(210)를 동일한 평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도 7에 개시된 예와 같이 제2 절연부(220)에 제2 쓰루홀들(244)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스택 업(stack up)의 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는, 기판(100)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120), Rx 전극부(120)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130),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덮도록 형성되어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140), 제1 절연부(140)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 144)과 제1 쓰루홀들(144) 사이의 제1 절연부(140) 상에 형성되어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130)를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안테나부(20)는, 제1 절연부(140)를 매개로 Tx 전극부(130) 또는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된 신호 방사 패턴부(210), 신호 방사 패턴부(210)와 브릿지 패턴부(150)를 덮도록 형성되어 신호 방사 패턴부(210)와 브릿지 패턴부(150)를 절연시키는 제2 절연부(220) 및 제2 절연부(220)에 형성된 제2 쓰루홀들(244) 및 제2 쓰루홀들(244) 사이의 제2 절연부(220) 상에 형성되어 신호 방사 패턴부(210)를 연결하는 신호 전송 라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30)는 신호 전송 라인부(230)와 제2 절연부(220)를 덮도록 형성되어 안테나부(20)를 보호한다.
도 7에 개시된 예에 따르면, 안테나부(20)를 구성하는 신호 전송 라인부(230)와 신호 방사 패턴부(210)가 동일한 물질이 아니라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호 전송 라인부(230)를 브릿지 패턴부(150)에 구애받지 않으며 형성할 수 있어서, 신호 전송 라인부(230)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 다른 예로,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는, 기판(100)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120), Rx 전극부(120)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130),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덮도록 형성되어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140), 제1 절연부(140)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 144)과 제1 쓰루홀들(144) 사이의 제1 절연부(140) 상에 형성되어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130)를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 안테나는, 감지 전극부(110) 상에 형성된 제3 절연부(225), 제1 절연부(140)와 제3 절연부(225)를 매개로 Tx 전극부(130) 또는 Rx 전극부(120) 상에 형성된 신호 방사 패턴부(210)와 신호 전송 라인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개시된 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개시된 예와는 달리, 터치 센서부(10)의 브릿지 패턴부(150)와 동일 평면 상이 아닌, 터치 센서부(10) 상의 제3 절연부(225) 상에 안테나를 형성한다. 도 8에 개시된 예에 따르면, 도 7에 개시된 예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구성하는 신호 전송 라인부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20)는 접합제를 매개로 터치 센서부(10)에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안테나부(20)는 메쉬(mesh)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부(10)와 안테나부(2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 센서부(10)는 기판(100) 및 감지 전극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며, 경성 재질 또는 연성 재질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 전극부(110)는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터치 신호를 감지하며, Rx 전극부(120), Tx 전극부(130), 제1 절연부(140), 브릿지 패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x 전극부(1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즉, 연장된 상태로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Tx 전극부(13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이 X 방향인 경우, 제2 방향은 Y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전극부(110)를 구성하는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는 서로 독립적으로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또는 7각형 이상의 다각형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지 전극부(110)를 구성하는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는 규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규칙 패턴이란, 패턴의 형태가 규칙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들 들어, 감지 패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메쉬 형태나, 육각형과 같은 형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지 전극부(110)를 구성하는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는 불규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불규칙 패턴이란 패턴의 형태가 규칙성을 갖지 아니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어, 감지 전극부(110)를 구성하는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가 금속 나노와이어, 탄소계 물질류, 고분자 물질류 등의 재료로 형성된 경우,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는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가 망상 구조를 갖는 경우, 서로 접촉하여 인접하는 패턴들에 순차적으로 신호가 전달되므로, 높은 감도를 갖는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전극부(110)를 구성하는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는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140)의 소재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절연 소재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혹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 절연부(140)는 실리콘산화물(SiOx)등의 무기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패턴부(150)는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가 교차하는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아래 표 1은 안테나부(20)의 실장 위치에 따른 터치 센서의 상호 정전용량의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기준예는 안테나부(20)가 터치 센서부(10)에 실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고, 실시예 1은 안테나부(20)가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의 Rx 전극부(120) 상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이고, 실시예 2는 안테나부(20)가 터치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110)의 Tx 전극부(130) 상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이고, 실시예 3은 안테나부(20)가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에 중첩된 상태로 실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실시예 3은 안테나부(20)가 Rx 전극부(120)와 Tx 전극부(130) 상에 걸쳐있는 경우이다.
구분 베이스 상호 정전용량(Base Cm) 델타 상호 정전용량(Delta Cm) 델타 상호 정전용량비(Delta Cm ratio, %)
기준예 0.56418 0.30430 53.94
실시예1 0.55143 0.27816 50.44
실시예2 0.55347 0.30361 54.86
실시예3 0.53737 0.34515 64.23
기준예는 안테나부(20)가 터치 센서부(10)에 실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터치 센서의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예에 따른 델타 상호 정전용량비와의 차이가 작을수록 안테나에 의한 잡음이 작은 우수한 터치 센서라고 할 수 있다. 부언하면, 델타 상호 정전용량비가 증가할수록 터치 센서가 잡음에 민감해진다. 다시 말해, 실시예가 기준예 대비 델타 상호 정전용량비가 증가할수록 실시예의 터치 센서는 잡음에 민감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에 개시된 실험 데이터에 따르면, 실시예 2 즉, 안테나부(20)가 Tx 전극부(130) 상에 실장된 경우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즉, 안테나부(20)가 Rx 전극부(120) 상에 실장된 경우도 실시예 2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잡음이 강하다고 할 수 있으나, 실시예 3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장하는 경우에도 터치 센서 신호와 안테나 송수신 신호 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부호의 설명]
10: 터치 센서부
20: 안테나부
30: 보호부
100: 기판
110: 감지 전극부
120: Rx 전극부
130: Tx 전극부
140: 제1 절연부
150: 브릿지 패턴부
144: 제1 쓰루홀
210: 신호 방사 패턴부
220: 제2 절연부
225: 제3 절연부
230: 신호 전송 라인부
244: 제2 쓰루홀

Claims (14)

  1.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로서,
    감지 전극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센서부 상에 형성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를 구성하는 감지 전극부 상에 상기 감지 전극부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신호 방사 패턴부와 신호 전송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를 구성하는 단위 전극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상호 절연된 상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Tx 전극부와 Rx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상기 Tx 전극부 및 상기 Rx 전극부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메쉬(mesh) 구조 또는 전면 메탈 박막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 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쓰루홀들 사이의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쓰루홀들 사이의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된 신호 방사 패턴부;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와 상기 브릿지 패턴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와 상기 브릿지 패턴부를 절연시키는 제2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에 형성된 제2 쓰루홀들 및 상기 제2 쓰루홀들 사이의 제2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 방사 패턴부를 연결하는 신호 전송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라인부와 상기 제2 절연부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부는,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R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의 교차 영역에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Tx 전극부,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Rx 전극부와 상기 Tx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에 형성된 제1 쓰루홀들(through holes)과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영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Tx 전극부를 상기 제1 쓰루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감지 전극부 상에 형성된 제3 절연부, 상기 제3 절연부를 매개로 상기 Tx 전극부 또는 상기 Rx 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PCT/KR2017/013215 2017-03-03 2017-11-21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WO20181599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87757.0A CN110366718B (zh) 2017-03-03 2017-11-21 包括天线的触摸传感器
US16/490,087 US10990234B2 (en) 2017-03-03 2017-11-21 Touch sensor including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10 2017-03-03
KR1020170027810A KR102009382B1 (ko) 2017-03-03 2017-03-03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9926A1 true WO2018159926A1 (ko) 2018-09-07

Family

ID=6337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215 WO2018159926A1 (ko) 2017-03-03 2017-11-21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90234B2 (ko)
KR (1) KR102009382B1 (ko)
CN (1) CN110366718B (ko)
WO (1) WO20181599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7136A1 (en) * 2019-10-31 2021-05-0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O2021162380A1 (ko) * 2020-02-14 2021-08-1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삽입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20220197425A1 (en) * 2019-10-31 2022-06-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757B1 (ko) * 2018-10-04 2020-12-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0667B1 (ko) * 2018-10-05 2020-12-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8827B1 (ko) * 2018-12-11 2023-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9458B1 (ko) * 2019-02-21 2020-03-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31203B1 (ko) 2019-03-20 2019-10-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262747B1 (ko) * 2019-04-04 2021-06-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9830B1 (ko) * 2019-06-17 2020-04-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결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3676B1 (ko) * 2019-07-17 2021-03-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2773B1 (ko) * 2019-07-17 2023-05-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7154B1 (ko) * 2019-09-11 2020-10-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2202A (ko) * 2019-10-0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41964B1 (ko) * 2019-12-05 2021-04-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142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7554B1 (ko) * 2020-02-25 2021-1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삽입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1168740A1 (zh) * 2020-02-27 2021-09-02 安徽精卓光显技术有限责任公司 触控传感器和具有其的电子设备
KR102150998B1 (ko) * 2020-04-06 2020-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결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8037B1 (ko) * 2020-04-06 2022-09-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결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27831A (ko) * 2020-04-14 2021-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30332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10151611A (ko) * 2020-06-05 202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09207A (ko) 2020-07-15 2022-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주파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1857430B (zh) * 2020-07-22 2024-0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243541B1 (ko) * 2020-10-12 2021-04-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64583A (zh) * 2021-01-27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显示屏及电子设备
KR20220156703A (ko) * 2021-05-18 2022-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78874A (ko) 2021-11-26 2023-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센싱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84389A (ko) 2021-12-03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553993A (zh) * 2021-12-27 2022-05-2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30157551A (ko) 2022-05-09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91U (ko) *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 안테나를 내장한 터치 패널
US20110273382A1 (en) *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 Ltd. Touch screen having antenna pattern
KR20120036658A (ko) * 2010-10-08 201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150086947A (ko) * 2014-01-21 2015-07-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20160050467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444B2 (ja) * 2003-01-30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それ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25054B1 (ko) 2005-04-01 2011-03-25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디스플레이용투광성 부재 및 안테나 부착 하우징용 부품
US7928965B2 (en) * 2007-12-27 2011-04-19 Apple Inc. Touch screen RFID tag reader
US9342176B2 (en) * 2008-07-21 2016-05-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5378243B2 (ja) * 2010-01-13 2013-12-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付き入力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US9184502B2 (en) * 2010-12-22 2015-11-10 Intel Corporation Antenna integrated into a touch sensor of a touchscreen display
US20120329524A1 (en) * 2011-06-22 2012-12-27 Kent Joel C Touch sensor and antenna integration along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US20140028619A1 (en) * 2012-07-30 2014-01-30 Lenovo (Beijing) Co., Ltd. Touch Sensitive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KR102046564B1 (ko) 2013-02-07 2019-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2174679B1 (ko) * 2013-12-31 2020-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JP2015130064A (ja) * 2014-01-07 2015-07-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付きタッチパッド
JP2016095502A (ja) * 2014-11-11 2016-05-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
US9933872B2 (en) * 2014-12-01 2018-04-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US20160188092A1 (en) * 2014-12-22 2016-06-30 Paneratech, Inc. Touchscreen antenna system and design method thereof
US10551949B2 (en) * 2015-05-08 2020-02-04 Intel Corporation Display integrated antenna
KR102263283B1 (ko) * 2015-07-03 2021-06-10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안테나 병설 터치패널
TW201712495A (zh) * 2015-09-23 2017-04-01 介面光電股份有限公司 具天線之觸控面板
US20180314369A1 (en) * 2015-10-21 2018-11-01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 for touch panel
US20170139520A1 (en) * 2015-11-17 2017-05-18 Jtouch Corporation Metal mesh touch module with transparent antenna and touch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JP2019053343A (ja) * 2016-01-29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ンテナ内蔵タッチパネル
KR102499120B1 (ko) * 2016-02-17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8036896A (ja) *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及び表示装置
CN109871156B (zh) * 2017-12-01 2024-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触控设备和制造触控面板的方法
JP7054345B2 (ja) * 2018-01-12 2022-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190757B1 (ko) * 2018-10-04 2020-12-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0667B1 (ko) * 2018-10-05 2020-12-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91U (ko) *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 안테나를 내장한 터치 패널
US20110273382A1 (en) *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 Ltd. Touch screen having antenna pattern
KR20120036658A (ko) * 2010-10-08 201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150086947A (ko) * 2014-01-21 2015-07-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20160050467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7136A1 (en) * 2019-10-31 2021-05-0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20210135340A1 (en) * 2019-10-31 2021-05-06 Samsung Display Co., Ltd. Radio frequenc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20197425A1 (en) * 2019-10-31 2022-06-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25116B2 (en) * 2019-10-31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67754B2 (en) 2019-10-31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Radio frequenc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1162380A1 (ko) * 2020-02-14 2021-08-1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삽입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1955689B2 (en) 2020-02-14 2024-04-09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inserted electrode structur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90234B2 (en) 2021-04-27
CN110366718A (zh) 2019-10-22
KR102009382B1 (ko) 2019-08-09
KR20180101064A (ko) 2018-09-12
US20200067176A1 (en) 2020-02-27
CN110366718B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59926A1 (ko) 안테나가 구비된 터치 센서
WO2016018126A1 (ko) 스마트폰
WO2016129827A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전극 시트
WO2016064237A2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6043544A2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3185534A1 (zh) 触控装置及其静电屏蔽方法
WO2017146315A1 (ko) 노트북 컴퓨터
WO2009096712A2 (ko) 기생 캐패시턴스 방지 구조를 구비한 접촉 감지 장치
WO2019039877A1 (ko)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08759A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90554A1 (ko)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3137561A1 (ko)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WO2014173217A1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WO2011126214A2 (en) Touch sensing panel and device for detecting multi-touch signal
WO2016159501A1 (ko) 터치 센서
WO2018086201A1 (zh) 柔性触摸屏及柔性触摸显示屏
WO2021010769A1 (ko) 안테나와 결합된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59509A1 (ko) 터치 센서
WO2013162241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08811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touch panel,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panel
WO2013155911A1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WO2015010507A1 (zh) 触控电极结构及其应用之触控面板
WO2012008725A2 (ko)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터치센서 칩에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WO2017146407A1 (ko) 터치 센서와 안테나 내장형 전자 장치
WO2020145648A1 (en)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85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85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