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24490A2 -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24490A2
WO2018124490A2 PCT/KR2017/013398 KR2017013398W WO2018124490A2 WO 2018124490 A2 WO2018124490 A2 WO 2018124490A2 KR 2017013398 W KR2017013398 W KR 2017013398W WO 2018124490 A2 WO2018124490 A2 WO 201812449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engine
work vehicle
protective
agricultura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3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124490A3 (ko
Inventor
서용민
박영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337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6369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337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63692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888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63653B1/en
Publication of WO201812449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490A2/ko
Publication of WO201812449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49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2Tractors modified to take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283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single arm pivoted directly on the chass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엔진프레임에는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기 장착을 통해 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로더 작업기, 백호 작업기 등과 같은 작업기가 장착될 수 있다. 로더 작업기는 흙을 치우거나 옮기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백호 작업기는 굴삭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로더 작업기가 전방 쪽에 위치하도록 엔진프레임에 장착됨과 아울러 백호 작업기가 상기 엔진프레임의 후방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로 구현되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모두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로 구현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모두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엔진프레임에 상당한 크기의 하중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상기 엔진프레임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엔진프레임이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도록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이 방안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엔진프레임의 강도를 증대시킴에 따라 상기 엔진프레임의 중량도 증가하므로,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중에서 하나의 작업기만 장착하는 경우에도 상당히 무거운 중량으로 이루어진 엔진프레임을 갖춘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엔진프레임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비 저하 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작업기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엔진프레임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기에 대한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엔진프레임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및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로더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이 연결되기 위한 전방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석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부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보호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기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엔진프레임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프레임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엔진프레임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설치된 농업용 작업차량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전방작업기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이 전방작업기 및 엔진프레임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I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전방작업기 및 후방작업기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 및 엔진프레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후방작업기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보호프레임 및 엔진프레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보호프레임, 후방프레임, 및 엔진프레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보호프레임, 후방프레임, 및 엔진프레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후방프레임, 보호프레임, 전방프레임, 및 엔진프레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크게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트랙터, 콤바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엔진(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2),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와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3),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와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2),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이 분담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엔진프레임(2)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내구성(耐久性)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모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전방프레임(3) 및 후방프레임(4)이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만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전방프레임(3)이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전방프레임(3)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거나 중량 증가 없이도,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불필요하게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엔진프레임(2),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차량본체(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엔진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본체(11) 및 상기 차량본체(11)에 설치된 기구물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뼈대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11)에는 바퀴(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이 발생시킨 구동이 상기 바퀴(12)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11)는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차량본체(11)가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진방향, 및 상기 차량본체(11)가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진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11)에는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석(13)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13)에 탑승하여 조향장치, 조작장치 등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엔진 및 상기 바퀴(12)를 연결하는 변속기(Transmission)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후방작업기(2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흙을 치우거나 옮기는데 이용되는 로더 작업기일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일측이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의 타측은 상기 전방프레임(3)의 일측에 비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전방프레임(3)의 타측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의 일측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전방프레임(3)의 일측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전방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지지부재(31)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프레임(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의 연결부재(1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전방작업기(100)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어서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작업기(100)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상기 전방작업기(1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서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는 전방지지공(311,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공(311)은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는 상기 전방지지공(311)에 대응되는 전방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체결수단(미도시)이 상기 전방지지공(311) 및 상기 전방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방체결공은 상기 연결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전방연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과 함께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는 전방연결공(321,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공(321)은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전방연결공(321)에 대응되는 제1고정공(21,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는 제1고정부(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5),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서 상기 전방연결공(3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1고정공(21)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이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전방보강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통해 전달되는 전방작업기(100)의 하중을 상기 전방연결부재(3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프레임(3)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전방프레임(3)이 갖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을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보강부재(33),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소정의 판재에 대해 벤딩(Bending)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강부재(3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들(3, 3')(도 2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전방프레임들(3, 3')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양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을 통해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프레임(4) 및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후방작업기(2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서 굴삭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백호 작업기일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일측이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의 타측은 상기 후방프레임(4)의 일측에 비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후방프레임(4)의 타측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의 일측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전방프레임(4)의 일측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후방지지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41)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어서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작업기(200)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상기 후방작업기(2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서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는 후방지지공(411,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공(411)은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는 상기 후방지지공(411)에 대응되는 후방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체결수단(미도시)이 상기 후방지지공(411) 및 상기 후방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후방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과 함께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는 후방연결공(421,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421)은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후방연결공(421)에 대응되는 후방고정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후방고정공에는 후방고정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부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후방고정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부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후방고정공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고정부,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서 상기 후방연결공(4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후방고정공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부분은, 3중으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비해 더 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횟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더 크다는 것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횟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작업 환경에 따라 굴삭작업이 요구되는 곳이 많지 않으면, 백호 작업기는 굴삭작업이 요구되는 곳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가 백호 작업기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3)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3)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비해 더 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연결부재(32)가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비해 더 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비해 더 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제1고정부(5)에 의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5),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서 상기 전방연결공(321)이 형성된 내면,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서 상기 후방연결공(4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1고정공(21)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후방보강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통해 전달되는 후방작업기(200)의 하중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프레임(4)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4)이 갖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이용하여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을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보강부재(43),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소정의 판재에 대해 벤딩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후방보강부재(4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장착부재(4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장착부재(44)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작업기(200)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44)는 장착홈(44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441)은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장착홈(4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4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장착홈(441)에 의해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Hook)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들(4, 4')(도 7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후방프레임들(4, 4')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양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을 통해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된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프레임(3)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로더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로더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전방연결공(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4)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전방연결공(321)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백호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백호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3)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보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3, 도 2에 도시됨)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추가로, 상기 운전석(13)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300, 도 1에 도시됨)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부(300)와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보호프레임(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2), 상기 보호프레임(6)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이 분담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엔진프레임(2)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내구성(耐久性)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모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보호프레임(6) 및 후방프레임(4)이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보호부(300)만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보호프레임(6)이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보호프레임(6)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거나 중량 증가 없이도, 상기 보호프레임(6)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보호부(3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불필요하게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엔진프레임(2), 상기 보호프레임(6),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11 및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보호프레임(6)과 함께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운전석(13)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도(顚倒) 시에 운전자를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운전석(13)에 탑승한 운전자에 비해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도 시에 지면에 지탱됨으로써, 상기 운전석(13)에 탑승한 운전자가 지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상기 보호부(300)를 이용하여 ROPS(Roll Over Protect Structure) 구현을 통해 운전자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출 수 있다.
도 1, 도 11 내지 도 13를 참고하면,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보호부(3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프레임(6) 및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보호부(300)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보호프레임(6)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호프레임(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보호부(3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보호지지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상기 보호부(3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상기 보호부(3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지지부재(61)가 상기 엔진프레임(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호지지부재(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부(300)에 연결되어서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보호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보호연결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과 함께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어서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이 상기 보호지지부재(6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에 대해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에는 보호연결공(621, 도 1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공(621)은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보호연결공(621)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22, 도 1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공(621) 및 상기 제2고정공(22)에는 제2고정부(7)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보호연결공(621) 및 상기 제2고정공(22)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보호연결공(621) 및 상기 제2고정공(22)에 삽입되어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7), 상기 보호연결부재(62)에서 상기 보호연결공(6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2고정공(22)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보호보강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를 통해 전달되는 보호부(300)의 하중을 상기 보호연결부재(6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보호프레임(6)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보호프레임(6)이 갖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프레임(6)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상기 보호보강부재(63)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보호보강부재(63) 및 상기 보호지지부재(6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장방형의 봉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 상기 보호지지부재(61),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프레임(6)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보강부재(6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프레임(6)을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프레임(6)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보강부재(6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프레임(6)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연결부재(62) 및 상기 보호보강부재(63)를 각각 복수개씩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들(62, 62')(도 12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보호연결부재들(62, 6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연결부재들(62, 62')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양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들(63, 63')(도 12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보호보강부재들(63, 6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보강부재들(63, 6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양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상기 보호보강부재들(63, 6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지지부재(61)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연결부재들(62, 62') 및 상기 보호보강부재들(63, 63')을 통해 상기 보호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내구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도 11 내지 도 15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의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보호프레임(6)의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부분은, 3중으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보호연결부재(6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연결부재(6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보호부(300)에 비해 더 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횟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더 크다는 것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횟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작업 환경에 따라 굴삭작업이 요구되는 곳이 많지 않으면, 백호 작업기는 굴삭작업이 요구되는 곳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가 백호 작업기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보호연결부재(6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보호프레임(6)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프레임(6)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보호부(300)에 비해 더 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부(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제2고정부(7)에 의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상기 보호연결공(621), 및 상기 제2고정공(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호연결부재(6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연결부재(6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상기 보호연결공(621), 및 상기 제2고정공(22)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보호연결부재(6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7),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서 상기 후방연결공(421)이 형성된 내면, 상기 보호연결부재(62)에서 상기 보호연결공(6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2고정공(22)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연결부재(62)는 상기 제2고정부(7) 및 보호고정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고정부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보호연결부재(6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2고정부(7)를 제거한 동안,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고정부에 의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의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보호프레임(6)의 상기 보호보강부재(63)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보강부재(6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보강부재(43) 및 상기 보호보강부재(63)를 통해 상기 후방프레임(4) 및 상기 보호프레임(6) 각각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회피홈(431,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피홈(431)은 상기 보호보강부재(63)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때 상기 회피홈(431)을 통해 상기 보호보강부재(63)를 회피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회피홈(431)을 통해 상기 보호보강부재(63)를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보강부재(63)는 상기 회피홈(43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피홈(431)을 통해,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보강부재(6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431)은 상기 후방보강부재(43)에 대해 벤딩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가 상기 후방프레임(4)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보호프레임(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보호프레임(6)에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으면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들(421, 421')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들(421, 421') 중에서 상대적으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후방연결공(421)에는, 상기 제2고정부(7)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상기 보호연결공(621), 및 상기 제2고정공(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4) 및 상기 보호프레임(6)을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들(421, 421') 중에서 상대적으로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후방연결공(421')에는, 상기 제1고정부(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4)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백호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백호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하는 보호프레임(6)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보호프레임(6)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부(3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호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연결공(6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4)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호프레임(6)은 상기 보호연결공(621)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연결부재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는 상기 전방프레임이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는 상기 후방프레임이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후방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상기 전방연결부재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5.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및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로더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이 연결되기 위한 전방연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6.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석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부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보호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연결부재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는 상기 후방프레임이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후방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은 상기 보호연결부재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연결부재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상기 보호연결부재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은 상기 보호부가 연결되는 보호지지부재, 및 상기 보호지지부재와 상기 보호연결부재 각각에 결합된 보호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작업기에 연결되는 후방지지부재,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와 상기 후방연결부재 각각에 결합된 후방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보강부재는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될 때 상기 보호보강부재를 회피하여 연결되도록 상기 보호보강부재가 위치하기 위한 회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는 상기 전방프레임이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연결부재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연결부재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전방연결부재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상기 전방연결부재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작업기를 지지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후방작업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PCT/KR2017/013398 2016-12-27 2017-11-23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WO2018124490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88059.7A EP3563653B1 (en) 2016-12-27 2017-11-23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51 2016-12-27
KR20160179651 2016-12-27
KR20160179655 2016-12-27
KR10-2016-0179655 2016-12-27
KR1020170133740A KR102363695B1 (ko) 2016-12-27 2017-10-16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KR1020170133736A KR102363692B1 (ko) 2016-12-27 2017-10-16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KR10-2017-0133736 2017-10-16
KR10-2017-0133740 201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490A2 true WO2018124490A2 (ko) 2018-07-05
WO2018124490A3 WO2018124490A3 (ko) 2018-08-23

Family

ID=6262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398 WO2018124490A2 (ko) 2016-12-27 2017-11-23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1302B1 (ko)
WO (1) WO20181244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2836A1 (en) * 2019-07-29 2021-02-04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 Control system for compact utility load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4345A (en) * 1950-06-30 1952-10-21 Andy R Lay Scraper attachment for tractors
US4554978A (en) * 1984-03-27 1985-11-26 Great Bend Manufacturing Co., Inc. Quick attach tractor mounting assembly for agricultural dozer and loader implement
US4968213A (en) * 1989-04-10 1990-11-06 Westendorf Mfg. Co., Inc. Universal tractor loader mount
JP3771301B2 (ja) * 1995-07-07 2006-04-26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補強枠組構造
JP3782004B2 (ja) 2001-11-29 2006-06-07 株式会社クボタ フロントローダとバックホーを装着できるトラクタ
JP4583116B2 (ja) 2004-09-09 2010-11-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4935779B2 (ja) * 2008-08-27 2012-05-23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1102516B1 (ko) * 2011-10-05 2012-01-05 (주)송현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JP5192605B1 (ja) * 2012-09-28 2013-05-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KR101482546B1 (ko) * 2013-08-12 2015-01-19 대호 (주)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60038574A (ko) * 2014-09-30 2016-04-07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용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8846A1 (en) 2018-06-28
WO2018124490A3 (ko) 2018-08-23
US10011302B1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08151A2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및 그 장착장치가 설치된 로더
WO2018124490A2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US8820467B2 (en) Engine frame for an electric engine of a motor vehicle
SE510244C2 (sv) Arrangemang för montering av en hyttkonstruktion vid en fordonsram
WO2012060542A1 (en) A camer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40772B1 (ko) 전기적 커플링 작동을 위한 디바이스 캐리어 및 제어 요소
WO2015020269A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JP2014004957A (ja) コンプレッサ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WO2014003258A1 (ko) 차량용 와이퍼의 멀티 어댑터
EP3418453B1 (en) Cover for work vehicle, work vehicle cab, and work vehicle
KR20180076280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JP2001012246A (ja) 作業用機械におけるラジエータ防塵ネットの着脱構造
WO202015351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85839A1 (en)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21149961A1 (ko)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WO2017039060A1 (ko)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WO2023243913A1 (ko) 농작업용 로더 및 이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KR20180076279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WO2023080612A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장치
WO2022124602A1 (ko)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JP3636966B2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取付構造および防振支持機構の交換方法
RU2719076C2 (ru) Крепеж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панели прибор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WO2023080669A1 (ko) 배터리케이스의 크로스멤버 및 배터리케이스
WO2023113313A1 (ko) 시트백
EP3563653A2 (en)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80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80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