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4029A1 -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4029A1
WO2018004029A1 PCT/KR2016/006939 KR2016006939W WO2018004029A1 WO 2018004029 A1 WO2018004029 A1 WO 2018004029A1 KR 2016006939 W KR2016006939 W KR 2016006939W WO 2018004029 A1 WO2018004029 A1 WO 20180040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tal cement
cement composition
acid
dimethacrylate
poly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69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주
오명환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 베리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베리콤 filed Critical (주) 베리콤
Priority to PCT/KR2016/0069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04029A1/ko
Publication of WO20180040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40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acrylic acid copoly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acrylic acid copolymer comprising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controlled. It is about.
  • Glass-ionomercement also known as glass polyalkenoate
  • GIC Glass-ionomercement
  • Glass ionomer cements are cured products by reaction of ion-elutable calcium fluoro-alumino-silicate systems with a poly (acrylic acid) aqueous solution.
  • an acrylic acid solution is eluted while melting the surface of the powder ions of the cement (e.g., Ca 2 + and Al 3 +) and the solution, and it through glass Ionomer cement is known to undergo a self-hardening process.
  • Dental glass ionomer cements have high resistance to dissolution in complex oral environments, strong bonds by mechanical bonding or adhesion, high tensile, shear and compressive strength, as well as excellent fracture toughness to resist stress between the prosthetic and tooth interfaces. It is a high-performance multifunctional dental material that must satisfy various physical properties.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US Patent No. 7,456,232 describes the use of unbranched polyacrylic acid as a dental material.
  • polyacrylic acid in concentrated aqueous solutions tends to irreversibly gel.
  • Gelled polyacrylic acid solution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a dental material due to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aste-type dental cemen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fter curing by including a polyacrylic acid- itaconic acid copolymer with a controlled molecular weight.
  • a polyacrylic acid copolymer prepared by copolymerizing an itaconic acid monomer and an acrylic acid monomer; And an inorganic filler is provided.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may be 1,000 to 120,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may be 25,000 to 38,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may be 26,000 to 36,500.
  • the inorganic filler is amorphous synthetic silica, crystalline natural silica, carolin, talc, quartz, barium glass, barium glass / silica mixture, quartz / barium mixture glass, zirconia / silica mixture, strontium aluminosilicate, acid reactive filler, nano zirconia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fillers, fluoroaluminum silicates, lithium aluminosilicates and barium aluminosilicates.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include 100 to 500 parts by weight of the inorganic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radical monomer.
  • the radical monomer is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meth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EGDMA),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1,6-hexanediol dimethacrylate, 1-methyl-1,3-propanedi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philomeric dimethacrylate (PMDM), 2,2-bis- (4- (2-3-methacryloyloxypropoxy) phenyl) propane (bis-GMA), ethoxylate bisphenol A dimethacrylate (Bis-EMA), urethane dimethacryl Rate (UDMA), dipenaryryltritol penta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hydroethyl methacrylate (HEMA), biphenyl dimethacrylate , BPDM) and glycerol phosphat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catalyst.
  • the catalyst is tartaric acid, sodium p-toluenesulfinate, tin fluoride, aluminum oxalate, tin phosphate, iron oxalate, tin oxide, aluminum chloride, calcium chloride, sodium benzenesulfinate, sodium titanium fluoride, triethylamine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ferric chloride.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be a combination of a first paste containing an inorganic filler that does not chemically react with an acid; and a second paste containing an inorganic filler that chemically reacts with an acid.
  • the second paste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rphous synthetic silica and bioactive barium glass.
  • the inorganic filler capable of chemical reaction with the acid is an inorganic filler containing trivalent metla, oxygen, fluorine, alkaline earth metal, and silicon, and preferably may be aluminum fluoride silicate glass.
  • the inorganic filler that does not chemically react with the aci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rphous synthetic silica, crystalline natural silica, barium aluminum silicate, and strontium aluminum silicate.
  • the second past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onomer.
  • the adhesion monomers are 2-hydroxyethyl methacrylate, 4-methacryloxyethyl trimerylate anhydride (4-Meta,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and methacryloxydecyldihydrogen phosphate (10-MDP )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 a dental cement form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 Dental cem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fter curing by including a polyacrylic acid- 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is controlled.
  • Figure 1 shows the results by performing the 1 H-NMR elemental analysis of the polyacrylic acid- 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5.
  • Figure 2 show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9 to 16.
  • Figure 3 show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9 to 16.
  • Dental cem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acrylic acid copolymer prepared by copolymerizing itaconic acid monomer and acrylic acid monomer; And an inorganic filler.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weight ratio of the itaconic acid monomer and the acrylic acid monomer, and thu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be improved after curing.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may be 1,000 to 120,000, preferably 25,000 to 38,000, more preferably 26,000 to 36,500.
  • the inorganic fillers include amorphous synthetic silica, crystalline natural silica, carolin, talc, quartz, barium glass, barium glass / silica mixture, quartz / barium mixture glass, zirconia / silica mixture, strontium aluminosilicate, acid reactive filler, nano zirconia Fillers, fluoroaluminum silicates, lithium aluminosilicates, barium aluminosilicates and the like are possible,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in some cases, may be used in the form of mixtures thereof.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include 100 to 500 parts by weight of the inorganic filler, preferably 100 to 40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20 to 3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acrylic acid copolymer. can do.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radical monomer as a diluent, wherein the radical monomer is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meth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EGDMA), 1,4-butanedi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ketacrylate, 1-methyl-1,3-propanedi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acrylate (PEGDMA), philomeric dimethacrylate (PMDM), 2,2-bis- (4- (2-3-methacryloyloxypropoxy) phenyl) propane (bis-GMA), Coxylate bisphenol A dimethacrylate (Bis-EMA), urethane dimethacrylate (UDMA),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hydroethyl methacrylate (2-hydroe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catalyst, wherein the catalyst is tartaric acid, sodium p-toluenesulfinate, tin fluoride, aluminum oxalate, tin phosphate, iron oxalate, tin oxide, aluminum chloride, calcium chloride , Sodiumbenzenesulfinate, sodium titanium fluoride, triethylamine, ferric chloride and the like.
  • a catalyst is tartaric acid, sodium p-toluenesulfinate, tin fluoride, aluminum oxalate, tin phosphate, iron oxalate, tin oxide, aluminum chloride, calcium chloride , Sodiumbenzenesulfinate, sodium titanium fluoride, triethylamine, ferric chloride and the like.
  • the catalyst may be either a chemical polymerization catalyst or a photopolymerization catalyst.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a first paste including an inorganic filler that does not chemically react with an acid; and a second paste containing an inorganic filler that chemically reacts with an acid.
  • the second past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rphous synthetic silica and bioactive barium glass.
  • An inorganic filler containing trivalent metla, oxygen, fluorine, alkaline earth metal, and silicon may be used as the inorganic filler that is chemically reacted with the acid, and preferably, aluminum fluoride silicate glass may be used.
  • amorphous synthetic silica crystalline natural silica, barium aluminum silicate or strontium aluminum silicate may be used.
  • the second paste may further comprise an adhesive monomer, wherein the adhesive monomer is 2-hydroxyethyl methacrylate, 4-methacryloxyethyl trimerylate anhydride (4-Meta,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 Methacryloxydecyldihydrogen phosphate (10-MDP), and the like.
  • the adhesive monomer is 2-hydroxyethyl methacrylate, 4-methacryloxyethyl trimerylate anhydride (4-Meta,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 Methacryloxydecyldihydrogen phosphate (10-MDP), and the like.
  • M 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24,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27.87: 21.03 instead of 7.34: 41.56.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26,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31.80: 17.10 instead of 7.34: 41.56.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28,5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40.1: 8.80 instead of 7.34: 41.56.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29,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34.23: 14.67 instead of 7.34: 41.56.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36,5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33.25: 15.65 instead of 7.34: 41.56.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39,5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39.12: 9.78 instead of 7.34: 41.56.
  • a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46,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ratio of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was 44.01: 4.89 instead of 7.34: 41.56.
  • Table 1 shows the material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polymers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s 1 to 9, the amounts thereof used, and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copolymers.
  •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distilled water as a solvent,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as a monomer, barium filler as a filler (particle size 3 ⁇ m), tartaric acid, catalyst
  • the first paste was prepared by mixing sodium p -toluenesulfinate, catalyst fluoride, retardant methoxyphenol (MEHQ) and antioxidant butylate hydroxytoluene (BHT). Prepared.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 TGEDMA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2,2 as a monomer -Bis- (4- (3-methacryloxy-2-hydroxypropoxy) phenylpropane (Bis-GMA), monomeric urethane dimethacrylate (UDMA), catalyst aluminum oxalate
  • TS530 phosphorus amorphous synthetic silica
  • MEHQ retardant methoxyphenol
  • BHT antioxidant butylatehydroxytoluene
  • colorant red pigment iron oxide
  • iron oxide yellow pigment
  • the glass powder composition means calcium fluoroaluminosilicate glass and the composition ratio (weight ratio) is SiO 2 30-40%, Al 2 O 3 20-30%, AlF 3 1-3%, CaF 2 15-20%, NaF 3-10% and AlPO 4 3-12%.
  • the first paste and the second paste were mixed at a content ratio of 1: 1.6 to prepare a dental cement composition.
  • Table 2 below shows the material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aste according to Example 1 and the amounts thereof used
  • Table 3 shows the material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paste according to Example 1 and the amounts thereof used.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4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5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6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7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8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2.
  •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3.
  •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4.
  •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5.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6 was cured to prepare a dental cement.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7 was cured to prepare a dental cement.
  •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by cur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8.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acrylic-male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9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lyacrylic acid (Mw 5,000 g / mol, Sigma Aldrich) was used instead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 polyacrylic acid Mw 5,000 g / mol, Sigma Aldrich
  • a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was cured to prepare a dental cement.
  •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was cured to prepare a dental cement.
  • Figure 1 shows the results by performing the 1 H-NMR elemental analysis of the polyacrylic acid- itaconic acid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5.
  • Test Example 2 Characterization of Dental Cement Composition and Dental Cement
  • Figure 2 show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9 to 16
  • Figure 3 show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9 to 16
  • Table 4 is Example 1 To 8, the curing time of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9 to 16,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by measuring the results It is shown.
  •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 accordance with ISO 9917-1, after immersing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9 to 16,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in physiological saline at 37 °C for 24 hours, Instron tester (Shimadzu Japan, Autograph AGS-X) was applied at a rate of 1 mm per minute to measure the load when the specimen is broken, and the average value measured five times is shown in Table 4 below.
  • Adhesive strength is obtained by cutting the dental specimen to a constant thickness in parallel with the occlusal surface according to ISO 11405, mixing the dental cement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8,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then curing After immersing in physiological saline at 37 ° C. for 24 hours, the result was measured by applying a load at a speed of 0.75 mm / min in an Instron tester (Shimadzu Japan, Autograph AGS-X), and the average value measured five times is shown in Table 4 below It was.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Example 7 Example 8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Curing time 8'20 " 5'20 “ 4'50 " 5'15 “ 5'00 “ 4'45 “ 7'15 “ 5'40 " 6'30 “ 7'00 " division Example 9
  • Example 10 Example 11
  • Example 12 Example 13
  • Example 14 Example 15
  • Example 16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Compressive strength [MPa] 51.3 57.9 117.5 116.4 120.6 106.2 72.3 45.6 37.9 56.2 Adhesive Strength [MPa] 0.56 1.78 3.29 3.45 3.51 2.64 0.79 0.46 0.55 0.46
  • the dental 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itical significance because the adhesive strength is about two times higher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26,000 to 36,500.
  • Compressive strength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1-14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6,000 to 36,500 exhibited a compressive strength of at least two times higher than about 100 MPa.
  • the ratio of the acrylic acid content and the itaconic acid content of the polyacrylic acid-itaconic acid copolymer contained in the dental cemen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dental cement.
  •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1 to 14 was found to be at least five times higher than the dental cement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 Dental cem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fter curing by including a polyacrylic acid- itaconic acid copoly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is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타콘산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분자량이 조절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경화 후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량이 조절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 폴리알케노에이트(Glass polyalkenoate)라고도 알려져 있는,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Glass-ionomercement, GIC)는 치아수복재나 합착재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이온용출성의 칼슘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시스템과 폴리(아크릴산) 수용액의 반응에 의한 경화산물이다. 상기 시멘트의 경화 반응이란, 아크릴산 용액이 분말의 표면을 녹이면서 용출된 이온들(예를 들어, Ca2 + 및 Al3 +)과 용액의 음이온과 가교결합을 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자가-경화 과정(self-hardening process)을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치과용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는 복잡한 구강 환경에서 용해에 높은 저항성, 기계적 결합이나 부착에 의한 강한 결합, 높은 인장, 전단 및 압축강도와 더불어 보철물과 치아 계면 사이에서의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우수한 파괴인성 등 다양한 물성을 만족해야 하는 고성능 다기능성의 치과 재료이다.
특히, 치질에 대한 생체 적합성과 상아질과 법랑질 모두와 이온 교환 접착을 통해 세균에 대한 미세누출을 막을 수 있을 것을 요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었으나 요구되는 강도와 경화 시간 등을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치의학에서 이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으며, 나아가 정형외과 분야에서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뼈 시멘트의 대체물질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는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낮은 발열경화반응과 뼈와의 접착성이 있는 물질이란 특성 때문이다.
미국등록특허 제7,456,232호에는 치과용 재료로 가지가 달리지 않은 폴릭아크릴산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농축된 수용액에서 폴릭아크릴산은 비가역적으로 겔화되는 경향이 있다. 겔화된 폴릭아크릴산 용액은 강도 등의 물성저하로 치과용 재료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아크릴산을 이용한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는 겔화로 인한 낮은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치과용 재료로 사용하는 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자량이 조절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경화 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페이스트형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타콘산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 내지 120,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내지 38,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26,000 내지 36,500일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가 비정질 합성 실리카, 결정성 천연 실리카, 카롤린, 탈크, 석영, 바륨 글라스, 바륨 글라스/실리카 혼합물, 석영/바륨 혼합물 글라스, 지르코니아/실리카 혼합물, 스트론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산 반응성 충진제, 나노 지르코니아 충진제, 플루오로알루미늄실리케이트,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바륨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필러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라디칼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단량체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EGDMA),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케타크릴레이트, 1-메틸-1,3-프로판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 필로메리틱 디메타크릴레이트(PMDM), 2,2-비스-(4-(2-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bis-GMA), 에콕실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Bis-E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페스페이트(dipentaerylthritol penta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하이드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ethyl methacrylate, HEMA), 비페닐 디메타크릴레이트(biphenyl dimethacrylate, BPDM) 및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phosphate dimethacrylate, GPDM)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촉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가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핀산나트륨, 틴플루오라이드, 알루미늄옥살레이트, 틴포스페이트, 아이론옥살레이트, 틴옥사이드,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칼슘클로라이드, 소듐벤젠설피네이트, 소듐타이타늄플로오라이드, 트리에틸아민 및 페릭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산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제1 페이스트;와 산과 화학반응을 하는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제2 페이스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페이스트가 비정질 합성 실리카 및 생체활성 바륨 글라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할 수 있는 무기필러가 trivalent metla, oxygen, fluorine, alkaline earth metal, 및 silicon을 함유하는 무기필러이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알루미늄실리케이트 글라스일 수 있다.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무기필러가 비정질 합성 실리카, 결정성 천연실리카, 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스트론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페이스트가 접착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단량체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메타크릴옥시에틸 트리메릴테이트 안히드라이드(4-Meta,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및 메타크릴옥시데실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10-MD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한 치과용 시멘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분자량이 조절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경화 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조예 5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의 1H-NMR 원소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9 내지 16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의 접착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9 내지 16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의 압축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이타콘산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타콘산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중량비율을 조절하여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경화 후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다.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내지 12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00 내지 38,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36,500일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비정질 합성 실리카, 결정성 천연 실리카, 카롤린, 탈크, 석영, 바륨 글라스, 바륨 글라스/실리카 혼합물, 석영/바륨 혼합물 글라스, 지르코니아/실리카 혼합물, 스트론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산 반응성 충진제, 나노 지르코니아 충진제, 플루오로알루미늄실리케이트,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바륨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등이 가능하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필러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희석제로서 라디칼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라디칼 단량체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EGDMA),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케타크릴레이트, 1-메틸-1,3-프로판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 필로메리틱 디메타크릴레이트(PMDM), 2,2-비스-(4-(2-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bis-GMA), 에콕실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Bis-E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페스페이트(dipentaerylthritol penta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하이드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ethyl methacrylate, HEMA), 비페닐 디메타크릴레이트(biphenyl dimethacrylate, BPDM),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phosphate dimethacrylate, GPDM) 등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촉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촉매는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핀산나트륨, 틴플루오라이드, 알루미늄옥살레이트, 틴포스페이트, 아이론옥살레이트, 틴옥사이드,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칼슘클로라이드, 소듐벤젠설피네이트, 소듐타이타늄플로오라이드, 트리에틸아민, 페릭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화학중합 촉매 또는 광중합 촉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산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제1 페이스트;와 산과 화학반응을 하는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제2 페이스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페이스트는 비정질 합성 실리카 및 생체활성 바륨 글라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하는 무기필러로서 trivalent metla, oxygen, fluorine, alkaline earth metal, 및 silicon을 함유하는 무기필러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알루미늄실리케이트 글라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무기필러로서 비정질 합성 실리카, 결정성 천연실리카, 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또는 스트론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페이스트는 접착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착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메타크릴옥시에틸 트리메릴테이트 안히드라이드(4-Meta,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메타크릴옥시데실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10-MDP) 등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7.34 wt%, Sigma Aldrich), 이타콘산(41.56 wt%, Sigma Aldrich), AIBN(3 wt%, azobisisobutyronitrile, Sigma Aldrich), THF(36.5 wt%, tetara hydrofuran, 대정화금) 및 2-프로판올(11.6 wt%, 대정화금)을 이중자켓 반응기에 넣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60℃까지 온도를 서서히 올려 중합시켰다. 다음으로,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대정화금)로 침전시킨 후 세척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40℃의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2,0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27.87:21.03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4,0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31.80:17.1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6,0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40.1:8.8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8,5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34.23:14.6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9,0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33.25:15.6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36,5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39.12:9.7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39,5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폴리아크릴산 - 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산과 이타콘산의 함량비를 7.34:41.56 대신에 44.01:4.89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46,000인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9: 폴리아크릴산 -말레이산 공중합체의 제조
이타콘산 대신에 말레이산을 사용하고, 아크릴산과 말레이산의 함량비를 14.6:34.3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8,000인 폴리아크릴산-말레이산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제조예 1 내지 9에 따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된 물질과 그의 사용량 및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역할 함량(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아크릴산 모노머 7.34 27.87 31.80 40.1 34.23 33.25 39.12 44.01 14.6
이타콘산 모노머 41.56 21.03 17.10 8.8 14.67 15.65 9.78 4.89 34.3
말레이산 모노머 0 0 0 0 0 0 0 0 34.3
2-프로판올 용매 11.6 11.6 11.6 11.6 11.6 11.6 11.6 11.6 11.6
THF 용매 36.5 36.5 36.5 36.5 36.5 36.5 36.5 36.5 36.5
AIBN 개시제 3 3 3 3 3 3 3 3 3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평균분자량 12,000 24,000 26,000 28,500 29,000 36,500 39,500 46,000 18,000
분자량 분포 1.42 1.66 1.54 1.52 1.48 1.87 1.94 2.10 1.68
실시예 1: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용매인 증류수, 모노머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 충전제인 바륨필러(입자 크기 3㎛),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촉매인 p-톨루엔술핀산나트륨(sodium p-toluenesulfinate), 촉매인 틴플루오라이드(tin fluoride), 지연제인 메톡시페놀(MEHQ) 및 산화방지제인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HT)을 혼합하여 제1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충전제인 글라스분말조성물(Specialty Glass Inc.), 접착단량체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희석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릴레이트(TGEDMA), 모노머인 2,2-비스-(4-(3-메타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Bis-GMA), 모노머인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촉매인 알루미늄옥살레이트(aluminum oxalate), 충전제인 비정질 합성 실리카(TS530), 지연제인 메톡시페놀(MEHQ), 산화방지제인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및 조색제인 빨간 색소(산화철)와 노란 색소(산화철)를 혼합하여 제2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글라스분말조성물은 칼슘 플루오르알루미노실리케이트 글라스를 의미하며 조성비(무게비)는 SiO2 30~40%, Al2O3 20~30%, AlF3 1~3%, CaF2 15~20%, NaF 3~10% 및 AlPO4 3~12%이다.
상기 제1 페이스트 및 제2 페이스트를 1:1.6의 함량 비율로 혼합하여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1에 따른 제1 페이스트의 제조에 사용된 물질 및 그의 사용량을, 표 3에 실시예 1에 따른 제2 페이스트의 제조에 사용된 물질 및 그의 사용량을 나타내었다.
성분(제1 페이스트) 함량(중량%)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제조예 1) 35
증류수 35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 4
바륨필러 18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5
p-톨루엔술핀산나트륨 2.02
틴플루오라이드 0.97
메톡시페놀 0.004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0.006
총 계 100
성분(제2 페이스트) 함량(중량%)
글라스분말조성물 69.1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3.3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릴레이트 5.56
2,2-비스-(4-(3-메타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Bis-GMA) 2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8.51
알루미늄옥살레이트 0.3
비정질 합성 실리카(TS530) 1.2
메톡시페놀(MEHQ) 0.004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0.006
조색제 0.02
총 계 100
실시예 2: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4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5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6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8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9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말레이산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대신에 폴리아크릴산(Mw 5,000g/mol, Sigma Aldrich)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치과용 시멘트의 제조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치과용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 확인
도 1은 제조예 5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의 1H-NMR 원소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H NMR 데이터를 분석하여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가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하나의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제조예 5에 따라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가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및 치과용 시멘트의 특성 분석
도 2는 실시예 9 내지 16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의 접착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시예 9 내지 16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의 압축강도를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의 경화 시간, 실시예 9 내지 16,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의 압축 강도 및 접착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압축강도는 ISO 9917-1에 따라, 실시예 9 내지 16,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를 37℃의 생리식염수에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인스트론 시험기(Shimadzu 일본, Autograph AGS-X)에서 분당 1mm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시편이 파괴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5번 측정한 평균값을 아래 표 4에 기재하였다.
접착강도는 ISO 11405에 따라, 치아 시편을 교합면에 평행하게 일정한 두께로 자른 후,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혼합한 후, 경화시켜 얻어진 시편을 온도 37℃의 생리식염수에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인스트론 시험기(Shimadzu 일본, Autograph AGS-X)에서 분당 0.75mm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하고, 5번 측정한 평균값을 아래 표 4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1 비교예 2
경화 시간 8'20" 5'20" 4'50" 5'15" 5'00" 4'45" 7'15" 5'40" 6'30" 7'00"
구분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비교예 3 비교예 4
압축 강도[MPa] 51.3 57.9 117.5 116.4 120.6 106.2 72.3 45.6 37.9 56.2
접착 강도[MPa] 0.56 1.78 3.29 3.45 3.51 2.64 0.79 0.46 0.55 0.46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과용 시멘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6,000 내지 36,500일 때 약 2배 이상 접착강도가 높아 임계적 의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압축강도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26,000 내지 36,500인 실시예 11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가 약 100MPa 이상의 2배 이상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하여, 치과용 시멘트에 포함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의 아크릴산 함량과 이타콘산 함량의 비율은 치과용 시멘트의 접착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1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는 비교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에 비해 접착강도는 5배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량평균분자량이 26,000 내지 36,500인 실시예 11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치과용 시멘트가 물성이 다른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치과용 시멘트 보다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은 분자량이 조절된 폴리아크릴산-이타콘산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경화 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이타콘산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 내지 12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내지 38,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26,000 내지 36,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가 비정질 합성 실리카, 결정성 천연 실리카, 카롤린, 탈크, 석영, 바륨 글라스, 바륨 글라스/실리카 혼합물, 석영/바륨 혼합물 글라스, 지르코니아/실리카 혼합물, 스트론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산 반응성 충진제, 나노 지르코니아 충진제, 플루오로알루미늄실리케이트,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바륨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상기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필러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라디칼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단량체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EGDMA),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케타크릴레이트, 1-메틸-1,3-프로판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 필로메리틱 디메타크릴레이트(PMDM), 2,2-비스-(4-(2-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bis-GMA), 에콕실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Bis-E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페스페이트(dipentaerylthritol penta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하이드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ethyl methacrylate, HEMA), 비페닐 디메타크릴레이트(biphenyl dimethacrylate, BPDM) 및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phosphate dimethacrylate, GPDM)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촉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핀산나트륨, 틴플루오라이드, 알루미늄옥살레이트, 틴포스페이트, 아이론옥살레이트, 틴옥사이드,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칼슘클로라이드, 소듐벤젠설피네이트, 소듐타이타늄플로오라이드, 트리에틸아민 및 페릭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이,
    산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제1 페이스트;와 산과 화학반응을 하는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제2 페이스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이스트가 비정질 합성 실리카 및 생체활성 바륨 글라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하는 무기필러가 trivalent metla, oxygen, fluorine, alkaline earth metal, 및 silico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무기필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하는 무기필러가 플루오르알루미늄실리케이트 글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무기필러가 비정질 합성 실리카, 결정성 천연실리카, 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스트론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이스트가 접착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량체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메타크릴옥시에틸 트리메릴테이트 안히드라이드(4-Meta,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및 메타크릴옥시데실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10-MD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18. 제1항에 따른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한 치과용 시멘트.
PCT/KR2016/006939 2016-06-29 2016-06-29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WO20180040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6939 WO2018004029A1 (ko) 2016-06-29 2016-06-29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6939 WO2018004029A1 (ko) 2016-06-29 2016-06-29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029A1 true WO2018004029A1 (ko) 2018-01-04

Family

ID=6078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6939 WO2018004029A1 (ko) 2016-06-29 2016-06-29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040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5694A1 (en) * 2007-02-07 2008-08-14 Dentsply Detrey Gmbh Self-adhesive dental restorative composition
US20110071233A1 (en) * 2007-12-14 2011-03-24 Gordon Blackwell Hardening composition
US20130225699A1 (en) * 2010-09-28 2013-08-29 Kettenbach Gmbh & Co. Kg Polymerizable Dental Material Comprising Reactive Paste Formers, Hardened Dental Material and Use Thereof
US20140228474A1 (en) * 2013-02-11 2014-08-14 Kerr Corporation Dental resin modified glass-ionomer composition
KR20160063808A (ko) * 2014-11-27 2016-06-07 (주)스피덴트 치과용 글라스 아이오노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5694A1 (en) * 2007-02-07 2008-08-14 Dentsply Detrey Gmbh Self-adhesive dental restorative composition
US20110071233A1 (en) * 2007-12-14 2011-03-24 Gordon Blackwell Hardening composition
US20130225699A1 (en) * 2010-09-28 2013-08-29 Kettenbach Gmbh & Co. Kg Polymerizable Dental Material Comprising Reactive Paste Formers, Hardened Dental Material and Use Thereof
US20140228474A1 (en) * 2013-02-11 2014-08-14 Kerr Corporation Dental resin modified glass-ionomer composition
KR20160063808A (ko) * 2014-11-27 2016-06-07 (주)스피덴트 치과용 글라스 아이오노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2325B2 (ja) 自己接着性歯科材料
US5710194A (en) Dental compounds, compositions, products and methods
EP0499180B1 (en) Dental/medical composition for restorative/prosthetic purposes and its use
US5367002A (en) Dental composition and method
US6872244B2 (en) Paste type dental glass ionomer cement composition
WO2019146908A1 (ko) 치과용 또는 기공용 지르코니아 에칭 및 중화 방법
JPH06305929A (ja) 歯科用組成物及びその用法
JP2012051856A (ja) 重合性組成物
WO2016085108A1 (ko) 치과용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65939B2 (ja) 硬化組成物
WO2019132595A1 (ko)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132472A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WO2019132473A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WO2017090921A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WO2018004029A1 (ko)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WO1997036943A1 (en) Elastomeric state glass ionomer cement
WO2021132861A1 (ko)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의 제조방법
WO2020262814A1 (ko)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171303A1 (ko) 우수한 스캐닝 성능 및 기계적 물성을 갖는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인상재
WO2020050505A1 (ko) 근관 충전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8873B1 (ko) 폴리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JP4342035B2 (ja) 歯科接着性組成物
US20100204421A1 (en) Initiators in two components, and polymerizable composition using the same
WO2017002985A1 (ko) 생체활성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용 글라스 분말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조성물
US20040054027A1 (en) Dental adhesive compositions with desensitizing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73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73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