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4383A1 -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4383A1
WO2017204383A1 PCT/KR2016/005579 KR2016005579W WO2017204383A1 WO 2017204383 A1 WO2017204383 A1 WO 2017204383A1 KR 2016005579 W KR2016005579 W KR 2016005579W WO 2017204383 A1 WO2017204383 A1 WO 20172043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heat germ
extract
composition
inhibiting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5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창훈
Original Assignee
채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창훈 filed Critical 채창훈
Publication of WO20172043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43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female cancer comprising wheat germ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wheat germ extract by a new method.
  • Efficacy food material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found to be effective, are also being commercialized through secondary processing, and are being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receiving new evaluation of applications while revealing new efficacy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of active substance search function.
  • wheat germ material is a natural food with nutritional factors necessary for human beings, but it accounts for less than about 5% of the whole wheat, but this part is known to contain more than about 66% of the wheat nutrients. Wheat germ has been favored as a traditional potency material and has been used as a staple for energy supply and nutrients, but has been gradually removed by texture or taste preferences.
  • female cancers include uterine cancer,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 Representative cases of ovarian cancer show 8 cases per 100,000 women according to the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nd 1,981 cases of ovarian cancer in 2010 in Korea. The number of patients occurred, the number of cancer deaths was 901, and the 5-year survival rate of ovarian cancer was 60.4%. One.
  • Patent Document 001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1999 / 008694 (Patent Document 001)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KR2005-0059066 (Patent Document 002) have been proposed.
  • WO1999 / 008694 and KR2005-0059066 relate to immunostimulatory and transfer inhibitory wheat germ fermentation products, and disclose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rthritis and the like on a composition extracted from fermented wheat germ.
  • WO1999 / 008694 and KR2005-0059066 do not predict the preparation of wheat germ extracts having a beneficial effect with specificity for cancer treatment, and in particular, do not disclose any anti-cancer therapeutic effect with high specificity for female cancer. I'm not doing it.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herapeutic composition having an optimal anti-cancer effect without side effects made of naturally occurring substance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wheat germ extrac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female cancers having a specific inhibitory effect on female cancers using wheat ger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ovarian cancer, which has a specific inhibitory effect on ovarian cancer using the wheat ger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female cancer comprising wheat germ extract comprising menaquinone, piloquinone and benzoquinone as active ingredien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ovarian cancer comprising a wheat germ extract containing as the active ingredient menaquinone, phylloquinone and benzoquinone.
  • menaquinone, piloquinone and benzoquinone are preferably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6.0-6.5: 4.8-5.3: 26.0-26.5, and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6.2: 5.1: 26.2. Most preferred.
  • Wheat ger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tained in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female ca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concentration of 50 ⁇ g / ml or more, and most preferably at 100 ⁇ g / m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female cancer, including ovarian cancer, including wheat ger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female cancer, including ovarian cancer, including menaquinone, piloquinone and benzoquino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inhibition and treatment of female cancer, including ovarian cancer containing wheat ger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treating female cancer, including ovarian cancer, including menaquinone, piloquinone and benzoquinon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cessed forms of all natural materials such as foods, functional foods, nutritional supplements, health foods and food additives.
  • Food compositions of this type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tea, juice, extract pouches and drinks for drinking, or granulated, encapsulated and powdered.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by mixing with known active ingredients known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cancer cells and treating cancer.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food additive, it may be prepared by using a liquid, powder form.
  • a food additive When used as a food additive, 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s.
  • the blend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or health control purposes,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tabili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food.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s, and drinks. ,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of the health food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a carbonation agent used for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 additive is not critical, but is preferably 10% by weight or les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cancer containing wheat ger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s as follow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for example, tablets, pills, hard / soft capsules. Liquid. Suspensions, emulsifiers, syrups. Granules, elixirs, and the like, these formulations may be used one or more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lubricants, binders, surfactants, etc. that are commonly used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s a disintegrant, agar, starch,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calcium monohydrogen phosphate anhydride, etc.
  • lubricant silica, talc, stearic acid or its magnesium salt or calcium salt, polyethylene glycol, etc.
  • a binder magnesium aluminum silicate.
  •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dine, low-substituted hydroxypropylcellulose, and the like can be used.
  •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 Glycine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diluent, and in some cases, generally known boiling mixtures, absorbents, colorants, flavors, sweeteners, and the like may be used togeth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be by injecting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be by injecting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 a composition containing menaquinone, phylloquinone and benzoquinone, which are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extract 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a stabilizer or a buffer in water to prepare a solution or suspension, It may be prepared in unit dosage forms of ampoules or vials.
  • the composition may be sterile or contain preservatives, stabilizers, hydrating or emulsifiers, salts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buffers and other auxiliaries,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materials, which are conventional methods for mixing, granulating or coating methods. It can be formulated accordingly.
  • the wheat ger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 unit dose of about 1ml to 10ml. Dosage depends on the doctor's prescription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weight, age and the specific natur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However, the dosage required for treatment usually ranges from 1 to 2,000 mg per day,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administration. For intramuscular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to adults, a single dose separate from the usual dosage of usually about 500 to 3,000 mg per day would suffice, but for some patients a higher daily dose may be desirable.
  • composition containing the wheat ger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n excellent effect on the suppression and treatment of female cancer, especially ovarian cancer.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wheat ger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ly effective for anticancer treatment because it has high specificity for cancer cells and does not attack normal cells.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anticancer efficacy by mixing all of the menaquinone, phylloquinone and benzoquinone,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ticancer effect on menaquinone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ticancer effect on phylloquinon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ticancer effect on benzoquinone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control of the ovarian cancer cells OVCAR-3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control of the ovarian cancer cells SKOV-3 an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for normal immune cells NK-92,
  •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concentration change during the treatment of the extract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tumor necrosis factor TNF- ⁇ .
  • the wheat embryos were washed three times in 37 degree hot water, and then the washed wheat embryos were dried in a 42 degree dryer for 24 hours.
  • the wheat embryos were washed three times in 37 degree hot water, and then the washed wheat embryos were dried in a 42 degree dryer for 24 hours.
  • menaquinone was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6.2 ppm and phylloquinone in 5.1 ppm benzoquinone in 26.2 ppm.
  • the cell viability test was tested using the MTT cell viability assay method.
  • the cells were ovarian cancer cell line SVOV3 cell line was distributed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Microbial Resource Center and carried out a cell experiment.
  • the cells were cultured in 2 ⁇ 10 6 and treated with MTT solution to measure absorbance at 280Ab.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nd are shown in FIGS.
  • the anti-cancer efficacy was excellent when all of the mixture of menaquinone, phylloquinone and benzoquinone were contained in the 50 ⁇ g / ml or more.
  • the absorbance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100 ⁇ g / ml of menaquinone is 2.22
  • the absorbance of Comparative Example 2 containing 100 ⁇ g / ml of piloquinone is 1.95 and the comparative example containing 100 ⁇ g / ml of benzoquinone.
  • the absorbance of 3 was found to be excellent as 1.54,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bsorbance of Example 2, containing 100 ⁇ g / ml, by mixing all the menaquinones, phylloquinones, and benzoquinones, was the best as 1.18.
  • the ovarian cancer cell OVCAR-3 cell line was treated without treatment (control), wheat germ water extract (DW extract) according to Example 1, and wheat germ ethanol extract (EtOH extract) according to Example 2, respectively.
  • Cell viabilit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Cell viability results were examined 24 and 48 hours after treatment with each composi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the cancer cell death progressed when the wheat germ water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treatment, in particular, significant cell death was observed in the ethanol extract treatment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ancer cell death is increased significantly by 24 hours and 48 hours.
  • cancer cell killing was performed when wheat germ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were treat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particular, significant cell death was observed in the ethanol extract treatment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ancer cell death is increased significantly by 24 hours and 48 hours.
  • wheat germ extract according to Example 1 and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cause apoptosis for normal immune cells.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wheat ger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xample 1 and Example 2 has specific inhibitory and therapeutic effects on ovarian cancer cells.
  • TNF-a tumor necrosis factor
  • tumor necrosis factor (TNF-a)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wheat germ extract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treated.
  • the wheat ger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the increase rate of tumor necrosis factor and the death rate of cancer cells, the wheat germ extract acts on the immune system and tumor necrosis which is one of cytokines It can be seen that the beneficial effect of selective killing of ovarian cancer cells is obtained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메나퀴논(Menaquinone), 필로퀴논(Phylloquinone) 및 벤조퀴논(benz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방법으로 밀배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소재와 관련된 활용측면에서 다양한 분야의 소재들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전통적 효능이 밝혀져 있었던 효능 식품 소재 등도 2차 가공을 통해 제품화되고 있기도 하고, 또 활성 물질 탐색 기능의 기술발달을 통한 새로운 효능을 밝히면서 적용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받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수 시대에 걸려 섭취해온 천연 유래물질들이 대부분 이미 천연식품으로 일부 안전성이 검증되었기에 식중독이나 독성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고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물질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밀배아 소재는 인간에 필요한 영양요소를 고루 갖춘 천연식품으로써, 밀 전체의 약 5% 미만을 차지하지만, 이 부분에 밀의 약 66% 이상의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밀 배아는 전통적인 효능 소재로서 애용되어 왔고, 에너지 공급 및 영양소를 위한 주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점차 식감이나 미각 선호도에 의해 제거되어진 부분이 있다.
최근 건강과 관련된 측면에서 밀 배아와 같은 소재 등이 건강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인식이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고, 현대 최신 과학의 발전으로 밀 배아 효능을 연구하면서 더욱 신뢰를 받고 있으면서 신소재 및 활성물질의 천연 저장고로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와 같은 밀 배아의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암을 억제하기 위해 밀 배아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암은 자궁암, 유방암, 난소암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난소암의 경우 국가암정보센터 자료에 의하면 여성 10만 명당 8명의 발생빈도를 보이고, 국내의 경우 2010년에 1,981명의 난소암 환자가 발생하였고, 암 사망자수는 901이며, 난소암의 5년 생존율은 60.4%로, 1993년부터 현재까지 지난 20년간 의료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증가되지 않고 있는 매우 심각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난소암 등의 여성암의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면역기능을 높여줄 물질의 개발이 여전히 요청되어 왔다.
한편, 밀배아 추출물과 관련하여 국제공개특허 제WO1999/008694호(특허문헌 00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KR2005-0059066호(특허문헌 002)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WO1999/008694 및 KR2005-0059066는 면역자극과 전이억제 밀배아 발효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발효된 밀배아로부터 추출된 조성물에 대해 관절염 등에 항염증 효능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WO1999/008694 및 KR2005-0059066는 암 치료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유리한 효과를 갖는 밀배아 추출물의 제조에 대해 예측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암에 대한 높은 특이성을 가진 항암 치료적 효과에 대해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천연유래 물질로 이루어진 부작용 없이 최적의 항암 효과를 가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데, 구체적으로 ,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암에 특이적으로 억제 효과를 갖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난소암에 특이적으로 억제 효과를 갖는 난소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소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난소암세포에 대한 높은 특이성을 갖고 타게팅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발함이 확인되었다(도5 내지 도7의 대비).
본 발명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서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은 6.0-6.5:4.8-5.3:26.0-26.5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2:5.1:26.2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서 밀배아 추출물은 본 발명의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에 50㎍/ml 이상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ml으로 함유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을 비롯한 여성암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포함하는 난소암을 비롯한 여성암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암을 비롯한 여성암의 억제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포함하는 난소암을 비롯한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제, 건강식품 및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천연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 주스, 엑기스 파우치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그래뉼 granule),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암세포 억제 및 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상, 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첨가물로 사용시에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100중량부당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한천,전분,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무수인산일수소 칼슘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는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락토즈,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글리신 등을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등 혼합물,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감미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제, 정맥주사제, 근육 내 주사제 또는 흉부 내 주사제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거나 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방법에 다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밀배아 추출물은 약 1ml 내지 10ml의 단위 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그러나,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1 내지 2,000 ㎎ 범위가 보통이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회 투여량으로는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500 내지 3,000㎎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여성암 특히 난소암에 대한 억제 및 치료효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이 높고 정상세포를 공격하지 않으므로 항암치료에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모두 혼합하여 항암효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메나퀴논에 대한 항암효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필로퀴논에 대한 항암효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벤조퀴논에 대한 항암효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난소암 세포인 OVCAR-3에 대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난소암 세포인 SKOV-3에 대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7은 정상면역세포인 NK-92에 대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종양괴사인자인 TNF-α에 대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시 농도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여성암 억제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밀배아 물 추출물(DW extract)의 제조
밀 배아를 37도 온수에서 3번 세척한 후, 세척된 밀 배아를 42도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건조된 밀 배아 10중량%에 37도 미온수 90중량%를 잘 혼합하여 37도 진탕기에서 72시간동안 진탕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진탕기에서 진탕이 끝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7,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한 다음, 원심분리가 끝난 후 상층액과 펠렛층을 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실시예2: 밀배아 에탄올 추출물(EtOH extract)의 제조
밀 배아를 37도 온수에서 3번 세척한 후, 세척된 밀 배아를 42도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건조된 밀 배아 10중량%에 37도 온수 80중량%와 에탄올 10중량%를 넣고 잘 혼합하여 37도 진탕기에서 72시간동안 진탕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진탕기에서 진탕이 끝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7,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한 다음, 원심분리가 끝난 후 상층액과 펠렛층을 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추출된 상층액에 대한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에 대한 함량을 Agilent사의 LC/MS로 분석을 하였다. 각각의 퀴논계 화합물들은 표준 정량 값과의 결과값을 활용하여 각각 퀴논화합물들의 정량을 구할 수 있었다.
메나퀴논은 6.2ppm, 필로퀴논은 5.1ppm 벤조퀴논은 26.2ppm의 중량비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1 : 난소암 세포 생존률
실시예2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메나퀴논 단독으로 함유된 비교예1, 필로퀴논 단독으로 함유된 비교예 2 및 벤조퀴논 단독으로 함유된 비교예 3에 대하여 투입 농도별 항암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난소암 세포 생존률 검사를 진행하였다.
상기 세포 생존률 검사는 MTT 세포 생존률 분석(MTT cell viability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세포는 난소암 세포주인 SVOV3 세포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소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률 분석을 실행하기 위해서 세포를 2X106 배양한 후 MTT 용액을 처리하여 280Ab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었고, 도 1 내지 도 4로 도시하였다.
함유량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0㎍/ml 2.812 3.084 2.812 3.084
5㎍/ml 2.419 2.760 2.901 2.538
10㎍/ml 1.907 2.357 2.355 2.376
50㎍/ml 1.334 2.201 2.037 1.703
100㎍/ml 1.188 2.223 1.951 1.544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듯이,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모두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 즉, 실시예 2의 항암 효능이 상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항암 효능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모두 혼합하여 50㎍/ml 이상 함유되었을 때 항암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메나퀴논이 100㎍/ml 함유된 상기 비교예 1의 흡광도는 2.22, 필로퀴논이 100㎍/ml 함유된 상기 비교예 2의 흡광도는 1.95, 벤조퀴논이 100㎍/ml 함유된 상기 비교예 3의 흡광도는 1.54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을 모두 혼합하여 100㎍/ml 함유된 상기 실시예 2의 흡광도가 1.18로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2 : 난소암세포( OVCAR -3 세포주)에 대한 특이적 억제 활성 실험
난소암세포 OVCAR-3 세포주에 무처리(대조군), 실시예 1에 따른 밀배아 물 추출물(DW extract), 실시예 2에 따른 밀배아 에탄올 추출물(EtOH extract)를 각각 100㎍/ml 처리한 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생존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율 결과를 각 조성물 처리시, 처리 후 24시간 및 48시간에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5에 도시하였다.
도5에서 확인되듯이, 대조군에 대비할 때 밀배아 물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시 암세포 사멸이 진행되었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에서 현저한 세포 사멸이 관찰되었다. 또한, 24시간 및 48시간 경과까지 점증적으로 현저하게 암세포 사멸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실험예3 : 난소암세포( SKOV -3 세포주)에 대한 특이적 억제 활성 실험
난소암세포 OKOV-3 세포주에 무처리(대조군), 실시예 1에 따른 밀배아 물 추출물(DW extract), 실시예 2에 따른 밀배아 에탄올 추출물(EtOH extract)를 각각 100㎍/ml 처리한 후 실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생존율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에서 확인되듯이, 대조군에 대비할 때 밀배아 물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시 암세포 사멸이 진행되었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에서 현저한 세포 사멸이 관찰되었다. 또한, 24시간 및 48시간 경과까지 점증적으로 현저하게 암세포 사멸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실험예4 : 정상면역세포( NK -92 세포주)에 대한 특이적 억제 활성 실험
정상면역세포 NK-92 세포주에 무처리(대조군), 실시예 1에 따른 밀배아 물 추출물(DW extract), 실시예 2에 따른 밀배아 에탄올 추출물(EtOH extract)를 각각 100㎍/ml 처리한 후 실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생존율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7에 도시하였다.
도7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은 모두 정상면역세포에 대해서는 세포사멸을 유발하지 않았다. 즉,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밀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모두 난소암 세포에 대한 특이적으로 억제 및 치료 효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실험예5 : 면역세포(NK-3 세포주)내 종양괴사인자(TNF-a) 의 농도 변화에 대 한 실험
정상면역세포 NK-3 세포주에 무처리(대조군), 실시예 1에 따른 밀배아 물 추출물(DW extract), 실시예 2에 따른 밀배아 에탄올 추출물(EtOH extract)를 각각 100㎍/ml 처리한 후 종양괴사인자(TNF-a)의 농도 변화를 ELISA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8에 도시하였다.
도8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이 처리된 경우 종양괴사인자(TNF-a)의 농도가 현저하게 상승하였다.
즉, 상기 실험예의 결과, 본 발명의 밀 배아 추출물은 종양괴사인자의 증가율과 암 세포의 사멸율의 결과가 서로 대응되고 있는바, 밀배아 추출물은 면역체계에 작용하여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인 종양괴사인자의 활성을 현저하게 높여 난소암 세포의 선택적 사멸이라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암 특히 난소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통해 천연물질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을 통해 여성암 특히 난소암에 대한 타케팅 높은 억제 및 치료용 식품 및 약물의 개발이 가능해져 정상 면역 세포를 공격하는 부작용 없는 암 치료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된다.

Claims (7)

  1. 메나퀴논(Menaquinone), 필로퀴논(Phylloquinone) 및 벤조퀴논(benz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메나퀴논(Menaquinone), 필로퀴논(Phylloquinone) 및 벤조퀴논(benzoquinone)은 밀배아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진탕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은 조성물에 50㎍/ml 이상 100㎍/ml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메나퀴논, 필로퀴논 및 벤조퀴논은 6.2:5.1:26.2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5. 밀배아 재료를 채취하여 30도 이상의 미온수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하는 단계; 세척한 밀 배아를 40도 내지 45도의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밀배아를 추출용매와 혼합하여 진탕 혼합하는 단계; 및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밀배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35℃ 내지 40℃의 물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에탄올이고 추출용매 농도는 10-2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PCT/KR2016/005579 2016-01-29 2016-05-26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0438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1765 2016-01-29
KR1020160063530A KR101791830B1 (ko) 2016-01-29 2016-05-24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0063530 2016-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383A1 true WO2017204383A1 (ko) 2017-11-30

Family

ID=5965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579 WO2017204383A1 (ko) 2016-01-29 2016-05-26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830B1 (ko)
WO (1) WO2017204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633B1 (ko) * 2017-11-09 2019-01-31 사조동아원 주식회사 효소첨가된 밀 배아로 부터 2,6-디메톡시-ρ-벤조퀴논 증가 추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389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신원에프아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식물 배아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3526A (ko) * 2010-07-30 2012-03-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밀배아 추출물 조성물 및 밀배아로부터 항균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389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신원에프아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식물 배아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3526A (ko) * 2010-07-30 2012-03-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밀배아 추출물 조성물 및 밀배아로부터 항균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 , SUNG HOON ET AL.: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elected Barley and Wheat Inhabited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2, no. 7, 2013, pages 1003 - 1007, XP053032002, DOI: doi:10.3746/jkfn.2013.42.7.1003 *
KIM, M. -H.: "Antimicrobial Activities of 1 ,4-benzoquinones and Wheat Germ Extract",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 20, no. 8, 6 July 2010 (2010-07-06), pages 1204 - 1209, XP055448247,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 doi:10.4014/jmb.1004.04037> *
XU, G. ET AL.: "Inhibi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BCap-37 by Flavonoid Extract of Wheat Germ in vitro", JOURNAL OF HYGIENE RESEARCH, vol. 28, no. 3, 1999, pages 151 - 1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972A (ko) 2017-08-08
KR101791830B1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50516A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4182044A1 (ko)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3118948A1 (ko) 혈당조절 등 생리활성 작용을 하는 서목태(쥐눈이콩)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WO2011162523A2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060128117A (ko) 발효녹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06737B1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KR101088069B1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22197170A1 (ko) 복합 이온미네랄 용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또는 항염증 조성물
WO2013085337A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10131910A2 (ko) 발효차를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및 건강 식품 조성물
WO2017204383A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34161A (ko)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6743B1 (ko) 실리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위궤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3089429A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8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25845A1 (ko) 살리드로사이드 또는 베툴린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101484760B1 (ko)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13085328A1 (ko) 젖색손등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3085308A1 (ko)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8038313A1 (ko) 신규한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32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