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5308A1 -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5308A1
WO2013085308A1 PCT/KR2012/010550 KR2012010550W WO2013085308A1 WO 2013085308 A1 WO2013085308 A1 WO 2013085308A1 KR 2012010550 W KR2012010550 W KR 2012010550W WO 2013085308 A1 WO2013085308 A1 WO 20130853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mushroom
alcohol
cholest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5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류성호
이형지
이태훈
김재윤
은종봉
김강하
심상갑
천우재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상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상북도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30853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53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t of a flower shield mush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cohol extract of a flower shield mushroom and its use, and a method of obtaining the same, which is effective for treating,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 Hyperlipidemi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fat is high in the blood. In general, it is called hyperlipidemia when the total cholesterol exceeds 240 mg / dl or triglycerides more than 200 mg / dl. Hyperlipidemia is known to be a major cause of cholesterol, blockage of blood vessels and blood circulation, causing hypertension,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Korea, hyperlipidemia patients are steadily increasing, and hyperlipidemia patients are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Many reports on the treatment, prevention and prescription of hyperlipidemia have been presented.
  • hyperlipidemia is metabolic disorders due to genetic factors, but hyperlipidemia also occurs in other causes, such as obesity due to excessive calorie meals and lack of exercise,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cholesterol in the blood (Bray GA, Popkin BM. Dietary fat intake dose affect obesity.Am. J. Clin.Nutr 68: 1157-1173 (1998)). In particular, increased dietary intake of high-fat diets due to westernized diet is considered the main reason for hyperlipidemia.
  • Triglycerides also promote the reduction of HDL and facilitate the infiltration of LDL into the blood vessel walls, increasing the risk of heart disease stroke atherosclerosis.
  • Drugs for treating hyperlipidemia are widely used in statins.
  • Drugs of this class are Hmg-CoA reductase inhibitors that inhibit cholesterol synthesis and lower blood LDL-cholesterol.
  • ezetimibe, niacin, and fibrate preparations are mainly used, but there are concerns that side effects such as muscle pain, constipation, digestive disorders, and liver dysfunction may occur rarely when the drug is administer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while researching a natural substance having almost no side effects in vivo and inhibiting cholesterol absorption in the body and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hyperlipidemi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ittle or no side effects in vivo, and inhibits the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in the body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hyperlipidemia, and a pharmaceutical and a health food contain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apeutic or prophylactic composition for hyperlipidemia comprising an alcohol extract of 1 to 10 carbon atoms of the flowering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ug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comprising an alcohol extract of 1 to 10 carbon atoms of the flowering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or preventing hyperlipidemia,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lcoholic extract having 1 to 10 carbon atoms of a flower patch mushroom to an anim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food for the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comprising an alcohol extract of 1 to 10 carbon atoms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apeutic or prophylactic composition for hyperlipidemia comprising an alcoholic extract having 1 to 10 carbon atoms of the flowering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 Albatrellus dispansus belongs to the fungi family and is a wood brown fungus that grows on the stumps of hardwoods from spring to autumn, and its surface is white or light yellow. There is no stalk, the hole is yellow and the hole is round or irregular. The flesh is white, fleshy and easily broken when dri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atural substances that can substitute for drugs such as statins, and during the study of inhibitors for inhibiting resorption of cholesterol in the small intestine or reducing blood cholesterol, extracts of flowering mushroom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lcohol extracts of the flowering mushrooms effectively inhibit the absorption of cholesterol in the blood. In addition,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the absorption of triglycerides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ract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and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obesity.
  •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s described above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ventional plant extract.
  • the residue is removed, and then 0.1 to 20 g of the ground powder is added per 100 ml of alcohol, more preferably 1 to 5 g of the ground powder per 100 ml of the extraction solvent. , Can be extracted. If the conten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is too small compared to the extraction solven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effe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is not sufficient, and if it is too large compared to the amount of the extraction solven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is not large, but the production cost This increase is undesirable in terms of productivity.
  • the extraction conditions are not limited in configuration, but preferably after mixing the mushrooms with ethanol as the extraction solvent, for 12 to 36 hours at a temperature of 20 to 60 °C, more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30 to 40 °C It can be extracted for 20 to 24 hours.
  •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extracted by the above method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cloth, etc., the filtrate is centrifuged to remove the precipitate,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or concentrated, and then freeze-dried.
  • the content of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ing mushrooms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composition for hyperlipidemia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not limited, but may preferably be 0.001 to 50%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water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effect of inhibiting cholesterol absorption in the body is insignificant; .
  • the content of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ing mushroom in the composition may be 0.01 to 30% by weight, most preferably 0.1 to 30% by weigh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comprising an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Medicines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may further comprise a suitable carrier,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thereof.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a medicament compris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ing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 Medicines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in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oral formulation is meant to include a solid preparation and a liqu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 the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such solid preparation is the extract
  •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may be prepared by mixing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can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may include, for example,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have.
  • Preferred dosages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ing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body weight,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rug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ing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0.0001 to 100 mg / kg per day based on the amount of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ing mushroom, in order to be more effective 0.01 to 10 mg / It is recommended to administer in 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a functional food for the improvement or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comprising an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a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a state in which i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processing proces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to which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examples includ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 the foo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pecial nutritional products (e.g., prepared oils, infants, baby food, etc.), processed meat products, fish products, tofu, jelly, noodles (e.g. ramen, noodles, etc.), health supplements, seasoned foods ( For example, soy sauce, miso, red pepper paste, mixed soy sauce), sauces, confectionery (e.g. snacks), dairy products (e.g.
  • fermented milk, cheese, etc. other processed foods
  • kimchi, pickles various kimchi, pickles, etc.
  • beverages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ruits, vegetable drinks, soy milk, fermented beverages, and the like, and natural seasonings (eg, ramen soup).
  • the food, beverage or food additiv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 the functional food is a biological defense rhythm control, disease prevention and the like having a food group or food composition that has added value to the food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biotechnological techniques, etc. to function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for a specific purpose. It means a food that is designed and processed to fully express the gymnastics function on recovery.
  • the functional food may include food acceptable food additives, and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foods.
  • the beverage is a generic term for drinking to quench thirst or to enjoy a taste and is intended to include a functional beverage.
  • the beverage contains, as an essential ingredient, an alcoholic extract of the flower packet mushroom as an essential ingredien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re are no special limitations on the other ingredients, and it contains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can do.
  •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other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drink, vegetable drink It may further contain pulp for prepar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and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water,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ratio of such additives is not so important, but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unctional beverage refers to a biological defense rhythm control, disease prevention, and the like having a beverage group or a beverage composition which has added value to the beverage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or biotechnological techniques to act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to a specific purpose.
  • the functional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ratio indicated,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other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xylitol Sugar alcohols such as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natural carbohydrates is generally about 1-20 g, preferably 5-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the extract may include 0.01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 the beverage composition is 0.02 to 5 g based on 100 ml, preferably Preferably in a ratio of 0.3 to 1 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Method for producing a water extract of a flower shield mushroom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flower shield mushroom, mixing the flower shield mushroom with alcohol, the mixture at a temperature of 20 to 60 °C, Extracting for 12 to 36 hours.
  • the specific extraction time, extraction temperature and mixing ratio of the flower mushroom and the extraction solvent are replaced with the above.
  • composition containing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usefully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by inhibiting the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in the body.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TGL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flowers and mushroom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holesterol absorption from the digestive tract of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fat inhibitor orlistat from the digestive tract to the blood.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amount of triglyceride absorption into the bloo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the alcoh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or Oratat, a conventional fat inhib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ancreatic cholesterol esterase is responsible for separating acyl chain by non-specific recognition of substrates with acyl chain.
  • posin pancreatic cholesterol esterase prepared from Sigma Chemical was used as an enzyme.
  • Pancreatic cholesterol esterase was used to decompose the chromo-genic substrate (p-nirophenylbutyrate) to determine the activity of the enzyme through the color reaction.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nzyme was measured by the change of absorbance of 40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and expressed in% based on the 405 nm absorbance of the untreated extract group.
  • Pancreatic lipase is responsible for separating acyl chain by non-specific recognition of substrates with acyl chain.
  • posin pancreatic lipase Type II, Sigma chemical
  • Sigma Chemical posin pancreatic lipase
  • Pancreatic lipase was used to decompose the chromo-genic substrate (p-nirophenylbutyrate).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nzyme was measured by the change of absorbance of 40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and expressed in% based on the 405 nm absorbance of the extract untreated group.
  • Cholesterol uptake in the digestive tract was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ethanol extract of the flower patch of the example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n cholesterol esterase activity was also effective at the individual level.
  • mice (Balb / c male, 8 weeks old, weight ⁇ 25 g) to 400 ⁇ g (20 mg / kg) of Orlistat of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y effect
  • experimental mice (Balb / c male, 8 weeks old, weight) ⁇ 25 g) was concentrated with 20 ml of the ethanol extract (10 mg / ml) of the example of Rheum ulgaris, and 0.1 ml was orally administered.
  • the control group was a group that received nothing as a cholesterol inhibitor.
  • the dose of the control group was set to 1, and the cholesterol absorption amount was determined as a relative value when the dose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by the dose of the control group.
  • Ethanol extracts of the mushro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significant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y effect like the olistat used as a control.
  •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control in Figure 3 is the blood sampling results of the mice not administered anything as a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
  • the fat uptake in the digestive tract was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ethanol extract of Rhizoma cultivated in the pancreatic lipase activity was shown to be effective at the individual level.
  • Triolein (Amersham, 100 ⁇ Ci / mL) labeled with isotope ( 14 C) was added to 1% (w / v)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CMC-Na), 1% (v / v) Tween 80 (Ml) was mixed with (Tween 80) and the mice were forced to administer 0.1 ml via oral maximal administration to enter 1 ⁇ Ci per subject.
  • mice (Balb / c male, 8 weeks old, weight ⁇ 25 g)
  • experimental mice (Balb / c male, 8 weeks old, weight) ⁇ 25 g) was concentrated to 0.5 ml of the ethanol extract (50 mg / ml) of the flower mushroom of the example, and 0.1 ml was orally administered.
  • the control group is the group that did not receive anything.
  • the dose of the control group was set to 1, and the fat absorption amount was determined as a relative value when the dose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by the dose of the control group.
  • Ethanol extract of the flower shield mus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significant fat absorption inhibitory effect, but not as much as the olistat used as a control.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bove ingredients were mixed and filled into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each component is added to the purified water to dissolve it, and then the lemon flavor is appropriately added,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purified water is added, the whole is adjusted to 100 ml by adding purified water, and then filled into a brown bottle.
  • the solution was prepared by sterilization.
  •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s is a composition suitable for a relatively healthy food in a preferred embodiment, but may be arbitrarily modified in combination, an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food manufacturing method.
  • the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used for preparing a health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본 발명은 꽃방패버섯의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고지혈증 치료, 예방 등에 유효한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 및 이의 용도, 이를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지혈증은 혈액 속에 지방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이 240 ㎎/dl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 ㎎/dl 이상일 때 고지혈증이라 한다.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 덩어리가 혈관을 막고 혈액순환을 저해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증 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지혈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세계적으로 고지혈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법, 처방법에 대한 많은 보고들이 제시되고 있다.
고지혈증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한 대사장애도 있지만 과도한 열량의 식사와 운동부족으로 오는 비만과 같은 다른 원인에서도 고지혈증이 생긴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콜레스테롤이 축적되어 발생한다 (Bray GA, Popkin BM.: Dietary fat intake dose affect obesity. Am. J. Clin. Nutr 68: 1157-1173 (1998)). 특히 서구화된 식단으로 인한 고지방식이의 섭취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주된 이유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제 효능물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항고지혈증 효능평가모델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중성지방 역시 HDL의 감소를 촉진시키고 LDL의 혈관벽 침투를 용이하게 만들어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만든다.
현재 고지혈증 치료약물은 스타틴(statin) 계열의 약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계열의 약은 H㎎-CoA 환원효소 억제제로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및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에제티미브(ezetimibe), 니아신(niacin) 그리고 피브레이트(fibrate) 제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약물 투여 시 드물게 근육통, 변비 내지는 소화장애 및 간기능장애가 발생하는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버섯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만 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식용 및 약용가치가 높아 미생물 유용자원으로의 확보를 위해,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버섯류가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은 부작용이 적어 독성면에서 안전하고 인체 내 면역계의 기능 조절, 항암효과, 신진대사 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체 내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저해하여 고지혈증 개선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질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던 중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체 내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체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흡수를 저해하여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구현예에 따라,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을 제공한다.
꽃방패버섯(Albatrellus dispansus)은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며, 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위에 발생하는 목재갈색부후균버섯으로 표면은 백색 또는 담황색이다. 대는 없고 관공은 황색이며 구멍은 원형 또는 부정형이다. 살은 백색이고 육질이며 마르면 쉽게 부서진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스타틴(statin)과 같은 약물을 대체할 만한 천연물질로,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억제하거나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저해제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던 중, 꽃방패버섯의 추출물, 특히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은 중성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데도 유효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고지혈증의 치료, 예방에 효과적이고, 비만의 치료, 예방, 개선에도 유효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꽃방패버섯을 건조 분쇄한 후에 잔사를 제거한 다음, 알코올 100 ㎖당 상기 분쇄물 0.1 내지 20 g을 첨가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 100 ㎖당 분쇄물 1 내지 5 g을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꽃방패버섯 분쇄물의 함량이 추출 용매 대비하여 지나치게 적은 경우, 꽃방패버섯의 효과 발휘가 충분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추출 용매의 양 대비 지나치게 많은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대는 크지 않은 반면 생산비용이 증가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추출 조건은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꽃방패버섯을 추출 용매인 에탄올과 혼합한 후, 2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의 온도에서 20 내지 24 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지나치게 낮은 온도조건에서 추출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을 위해서 긴 시간이 요구되며, 지나치게 높은 온도조건에서 추출하는 경우, 활성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추출 시간이 지나치게 짧게 하는 경우, 추출되는 유효성분의 농도가 낮고,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경우, 추출 시간의 증가에 따른 추 유효 성분의 농도 증가가 미미하여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액은 여과포 등으로 여과한 후, 여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킨 다음, 감압 농축 또는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현예의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의 함량은 한정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유효성분인 꽃방패버섯의 물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저해 활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에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의 함량은 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구현예에 따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와 액상제제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은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00 ㎎/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내지 10 ㎎/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과 투여횟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 기능성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과일주스, 과일주스음료, 야채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물,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 100 중량부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이다.
또한, 고지혈증의 개선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와 같은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꽃방패버섯의 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꽃방패버섯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꽃방패버섯을 알코올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추출 시간, 추출 온도 및 꽃방패버섯과 추출 용매의 혼합 비율 등은 상술한 것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체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흡수를 저해하여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꽃방패버섯의 추출물의 CEL 활성저해효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꽃방패버섯의 추출물의 TGL 활성저해효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과 종래의 지방저해제인 orlistat의 소화관으로부터 혈액으로의 콜레스테롤 흡수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과 종래의 지방저해제인 orlistat의 소화관으로부터 혈액으로의 중성지방 흡수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 준비
건조된 꽃방패버섯(Albatrellus dispansus) 분말 5 g당, 추출 용매로 에탄올(99.9 %(v/v)) 100 ㎖를 혼합한 후, 37 ℃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배양기에 두어 추출하였다. 진탕배양기의 상등액을 2500 rpm으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수집하여,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꽃방패버섯의 물 추출물 준비
추출 용매로 에탄올 대신에 물 100 ㎖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꽃방패버섯의 물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꽃방패버섯 추출물에 의한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 활성 측정
췌장 콜레세테롤 에스터레이즈는 acyl chain을 가지는 기질들을 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acyl chain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꽃방패버섯 추출물에 의한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효소로 시그마 케미칼에서 제조된 포오신 판크리틱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를 사용하였다.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가 chromo-genic substrate (p-nirophenylbutyrate)을 분해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발색반응을 통해 효소의 활성변화를 확인하였다. 효소의 활성저해효과는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의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추출물 비처리 그룹의 405 nm 흡광도를 베이스로 하여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의해 효소의 활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하였고, 그 결과 실시예의 에탄올 추출물이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의 활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의 물 추출물에서는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를 도 1에 간단히 나타내었다.
2. 꽃방패 버섯 추출물에 의한 췌장 리파아제 활성 측정
췌장 리파아제는 acyl chain을 가지는 기질들을 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acyl chain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꽃방패버섯 추출물에 의한 췌장 리파아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효소로 시그마 케미칼에서 제조된 포오신 판크리틱 췌장 리파아제 타입 2(porcine pancreatic lipase; Type Ⅱ, Sigma chemical)를 사용하였다.
췌장 리파아제가 chromo-genic substrate (p-nirophenylbutyrate)을 분해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발색반응을 통해 효소의 활성변화를 확인하였다. 효소의 활성 저해 효과는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의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추출물 비처리 그룹의 405 nm 흡광도를 베이스로 하여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에 의해 효소의 활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하였고, 그 결과 실시예의 에탄올 추출물이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의 열수 추출물에서는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를 도 2에 간단히 나타내었다.
3.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콜레스테롤 흡수 측정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보인 실시예의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이 개체 수준에서도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화관에서의 콜레스테롤 흡수를 측정하였다.
동위원소(3H)로 표지된 콜레스테롤 올리에이트(cholesterol oleate, Amersham, 100 μCi/㎖)을 1 %(w/v)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Na), 1 %(v/v) 트윈80(Tween 80), 비표지된 콜레스테롤 올리에이트와 섞어 개체당 1 μCi가 들어가도록 생쥐(mouse)에 경구용 존대를 통해 0.1 ㎖를 강제 투여했다.
이때 대조군 생쥐(Balb/c 수컷, 8 주령, 몸무게 ~25 g)에는 콜레스테롤 흡수저해효능의 올리스탯(Orlistat) 400 μg (20 ㎎/kg)을, 실험군 생쥐(Balb/c 수컷, 8 주령, 몸무게 ~25 g)에는 실시예의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10 ㎎/㎖) 20 ㎖을 농축하여 0.1 ㎖을 경구 투여하였다.
6 시간 후 생쥐의 혈액을 채취하여 4 ℃에서 혈장을 14000 rpm으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액체 신틸레이터(Beta counter, Beckman LS1801)를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다. control 그룹은 콜레스테롤 흡수저해제로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그룹이다. control 그룹의 선량을 1로 정하고 각 실험 그룹의 선량을 control 그룹의 선량으로 나누었을 때의 상대값으로 콜레스테롤 흡수량을 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올리스탯과 마찬가지로 현저한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 효과를 보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도 3에서 control은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제로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생쥐의 혈액 채취 결과이다.
4.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 흡수 측정
췌장 리파아제 활성저해효과를 보인 실시예의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이 개체 수준에서도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화관에서의 지방 흡수를 측정하였다.
동위원소(14C)로 표지된 트리올레인(triolein, Amersham, 100 μCi/㎖)을 1 %(w/v)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Na), 1 %(v/v) 트윈80(Tween 80)과 섞어 개체당 1 μCi가 들어가도록 mouse에 경구용 존대를 통해 0.1 ㎖를 강제 투여했다.
이때 대조군 생쥐(Balb/c 수컷, 8 주령, 몸무게 ~25 g)에는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올리스탯(Orlistat) 400 μg (20 ㎎/kg)을, 실험군 생쥐(Balb/c 수컷, 8 주령, 몸무게 ~25 g)에는 실시예의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50 ㎎/㎖) 0.5 ㎖을 농축하여 0.1 ㎖을 경구 투여하였다.
6 시간 후 생쥐의 혈액을 채취하여 4 ℃에서 혈장을 14000 rpm으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액체 신틸레이터(Beta counter, Beckman LS1801)를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다. control 그룹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그룹이다. control 그룹의 선량을 1로 정하고 각 실험 그룹의 선량을 control 그룹의 선량으로 나누었을 때의 상대값으로 지방 흡수량을 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올리스탯 만큼은 아니지만 control에 비해 상당한 지방흡수 저해 효과를 보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에는 본 발명의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제형의 예를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제가 하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제제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 분말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액제의 제조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 분말 2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꽃방패버섯 에탄올 추출물 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90 내지 99.9 %(v/v)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꽃방패버섯을 90 내지 99.9 %(v/v)의 에탄올로 2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100 ㎖당 꽃방패버섯을 0.1 내지 20 g 혼합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콜레스테롤 및/또는 중성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의 활성 및/또는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꽃방패버섯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 기능성 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식품,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인 건강 기능성 식품.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콜레스테롤 및/또는 중성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
  13. 혈중 콜레스테롤 및/또는 중성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방패버섯의 알코올 추출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췌장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의 활성 및/또는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5.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꽃방패버섯을 90 내지 99.9 %(v/v)의 에탄올로 2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PCT/KR2012/010550 2011-12-09 2012-12-06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30853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1795A KR101490781B1 (ko) 2011-12-09 2011-12-09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11-0131795 2011-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308A1 true WO2013085308A1 (ko) 2013-06-13

Family

ID=4857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550 WO2013085308A1 (ko) 2011-12-09 2012-12-06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0781B1 (ko)
WO (1) WO2013085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68B1 (ko) * 2013-11-01 2016-03-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좀나무싸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34200B1 (ko) * 2014-05-22 2016-07-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133A (ja) * 1994-11-09 1996-05-28 Nippon Chrome Kogyo Kk マイタケエキスを含有した健康飲料の製造方法
JP2005068112A (ja) * 2003-08-27 2005-03-17 Shirata Masaki マイタケ由来の抽出物およびグリコプロテイン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580576B1 (ko) * 2003-08-19 2006-05-16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고콜레스테롤증 조성물
JP2009084166A (ja) * 2007-09-28 2009-04-23 Tsujido Kagaku Kk 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466B2 (ja) * 1991-11-30 1998-10-22 カゴメ株式会社 コレステロール降下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133A (ja) * 1994-11-09 1996-05-28 Nippon Chrome Kogyo Kk マイタケエキスを含有した健康飲料の製造方法
KR100580576B1 (ko) * 2003-08-19 2006-05-16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고콜레스테롤증 조성물
JP2005068112A (ja) * 2003-08-27 2005-03-17 Shirata Masaki マイタケ由来の抽出物およびグリコプロテイン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9084166A (ja) * 2007-09-28 2009-04-23 Tsujido Kagaku Kk 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781B1 (ko) 2015-02-09
KR20130065086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337A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89429A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85308A1 (ko)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3085328A1 (ko) 젖색손등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3085326A1 (ko) 꽃흰목이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3085330A1 (ko) 붉은덕다리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48698A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85322A1 (ko) 노란반달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83085B1 (ko) 루설라 에센트리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94649B1 (ko) 직립싸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06516B1 (ko) 락타리우스 볼레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06431B1 (ko) 락타리우스 볼레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25280B1 (ko) 알바트렐러스 플레티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73221B1 (ko) 흰무당버섯아재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26191B1 (ko) 황소비단그물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69254B1 (ko) 넓은솔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126749A (ko) 꽃송이 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
KR101634200B1 (ko) 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135644A (ko) 흰손등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116597A (ko) 흰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039635A (ko) 흰느타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104590A (ko) 흰무당버섯아재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75902A (ko) 포미톱시스 에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56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56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