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0241A1 - 양파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양파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0241A1
WO2017200241A1 PCT/KR2017/004971 KR2017004971W WO2017200241A1 WO 2017200241 A1 WO2017200241 A1 WO 2017200241A1 KR 2017004971 W KR2017004971 W KR 2017004971W WO 2017200241 A1 WO2017200241 A1 WO 20172002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nion
onions
dormant
bulbs
s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9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도혜
Original Assignee
김도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혜 filed Critical 김도혜
Priority to US16/302,59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99981B2/en
Publication of WO20172002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02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4/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nting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와, (e)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파의 재배방법
본 발명은 양파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여 재배함으로써, 종자 파종에 비해 재배기간이 짧고, 수확량이 많으며, 잎채소로서의 활용도 용이한 양파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파는 재배 역사가 오래된 조미 채소로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많은 면적이 재배되고 있고 마늘, 파, 고추 등과 더불어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채소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양파는 내한성 식물로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 생육할 수 있어 거의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향신료와 함께 식용한 기록이 있다.
상기 양파는 자극적인 냄새와 매운맛에 의해 육류나 생선의 냄새를 없앤다. 이 자극적인 냄새는 이황화프리필랄릴과 황화알릴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수십 종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물질들로 인해 항균효과, 중금속의 해독작용, 혈청콜레스테롤의 감소, 항동맥경화효과, 항고혈압효과, 항당뇨병 효과, 발암성물질의 활성감소, 암세포의 효소작용저해, 항암물질의 활성증대 및 변이암세포의 생육저해작용 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양파는 매운맛이 약한 감미종과 매운맛이 강한 신미종으로 크게 나뉘고, 다시 비늘줄기의 색깔에 따라 황색, 적색, 백색계로 나뉜다. 감미종은 생식하는 데 많이 이용되고, 신미종은 조리에 주로 이용된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대부분의 품종은 신미종의 황색계로서, 수프를 비롯하여 육류나 채소에 섞어 끓이는 요리에 사용되고, 카레라이스의 재료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양파는 동의보감에서 이르길 "오장의 기에 모두 이롭게 한다" 라고 기록하고 있고, 오래전부터 전통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서 인체에 유익한 화학 성분인 퀘르세틴 함량이 생양파의 경우에는 16~42 mg/100g 정도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퀘르세틴 성분은 혈액 속의 불필요한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용해함으로써 동맥경화와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혈압을 내리고,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이러한 양파는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 종자를 파종하고, 이를 10월 중 순 밭에 정식하며, 이듬해 5월~6월경 수확하였는데, 종자당 구군, 즉 양파가 한 개씩 재배되므로 그 수확량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재배기간이 길고, 재배시기도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양파의 종자는 대부분 수입하고 있으며, 그 종자 가격도 비싼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양파의 줄기와 잎은 그 맛이 달고, 풍미가 좋아 잎채소로서 3월경 한시적으로 수확하여 섭취하였는데, 그 수확량 및 재배시기가 한정적이어서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양파의 재배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3384호의 양파김치용 양파 재배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2360호의 고칼슘 양파 및 그 재배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특허들은 재배되는 양파의 기능성을 좋게 하거나, 상품성을 높인 것으로, 양파의 수확량을 늘리거나 재배기간을 단축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여 재배함으로써, 재배기간을 단축하는 것은 물론, 정식한 양파가 다수 개로 분구되어 양파의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씨앗을 파종하지 않기 때문에 파종기에 관계없이 양파의 재배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양파 줄기와 잎의 수확시기가 다양해지며 그 수확량 역시 획기적으로 늘어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파의 재배방법은, (a)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와, (e)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의 양파는, 양파의 씨앗을 묘상에 파종하는 단계와, 상기 파종된 씨앗를 발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아된 양파 모종을 정식하는 단계와,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는 단계를 통해 재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의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는, 양파를 0~5℃에서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의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는,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25~35℃에서 5~20일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의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는, 그 생육기간은 30~60일이고, 줄기와 구근은 5~15개로 분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양파 재배방법에 비해 재배시기가 한정되지 않고, 재배기간이 짧은 것은 물론, 양파의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음으로써, 농가의 수익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파 줄기와 잎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여, 양파를 통한 다양한 수익창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휴면이 타파된 양파를 본 밭에 정식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밭에 정식한 양파로부터 싹이 올라온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라 수확시기에 따른 양파의 줄기와 구근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a)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와, (e)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의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양파의 재배과정은 크게 양파를 파종하여 발아시키는 단계와, 이 발아된 모종을 밭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양파의 파종은 그 시기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으로 한정되고, 모종을 다시 밭에 정식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은 물론, 모종 당 1구의 양파만을 생산할 수 있어 그 재배량에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양파의 줄기와 잎은 당도, 맛, 식감이 우수하여 잎채소로서 활용성이 높으나, 그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워 시장성이 없는 상품으로 취급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양파의 재배방법상의 단점을 해소하여, 양파 및 양파 줄기(잎 포함)의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은 물론, 재배시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연중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a)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와, (e)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a)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
먼저, 양파를 휴면시킨다.
상기 휴면이란, 식물이 발육 또는 생장을 정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양파의 생장은 5~21℃에서 비대를 시작하여 21~27℃에서 촉진되기 때문에, 양파를 0~5℃의 온도에서 저장할 경우 발육 또는 생장을 정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양파의 휴면은 양파를 빛이 없는 암흑상태에서 0~5℃의 온도로 저장하는 것인바, 상기 저장 온도가 0℃ 밑으로 내려가 양파가 어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또한, 작형의 시기에 따라 별도의 저온저장이 아닌, 비가림이 가능한 시설에서 상온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휴면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휴면시킬 양파는 양파의 씨앗을 묘상에 파종하고, 상기 파종된 씨앗를 발아시킨 후, 상기 발아된 양파 모종을 정식하여 재배 및 수확한, 즉 종래 방법에 따라 재배된 양파이면 족하다. 아울러, 본 발명을 통해 재배한 양파일 수도 있는 바, 그 양파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b)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
다음으로, 양파의 휴면을 타파한다. 상기 휴면타파는 양파의 생육을 다시 촉진시키는 것으로, 양파의 생육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25~35℃에서 5~20일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온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빠르게 촉진되므로 그 저장기간을 짧게하고, 온도가 낮은 경우 그 저장기간을 늘려 휴면이 충분히 타파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휴면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빛이 요구되므로, 햇빛이 잘 들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휴면된 양파를 40℃ 이상의 고온스팀을 가하여 휴면타파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저장이나 처리를 통해 휴면타파하는 것이 아닌 이를 그대로 저온 저장고에서 꺼내는 것만으로도 휴면을 타파할 수도 있는바, 저장고에서 꺼낸 양파를 그대로 정식하여 밭에서 휴면이 타파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단순히 비가림이 가능한 시설에서 상온 저장한 경우, 이를 그대로 밭에 정식하는 방법으로 휴면이 타파되도록 한다.
(c)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휴면이 타파된 양파가 준비되면, 이를 본 밭에 정식한다. 즉, 상기 양파를 그대로 밭에 심는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휴면이 타파된 양파를 본 밭에 정식한 사진으로서, 도 1과 같이 정식된 양파가 흙에 모두 덮여있는 것이 아닌, 양파 높이의 1/10~1/2 정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정식함으로써, 양파로부터 빠르게 싹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 밭은 사질토, 점질토 등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정식 전 밭에 부숙된 퇴비나 원예용 복비를 뿌린 후 밭을 잘 뒤집어 비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갈아 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양파는 뿌리채소이므로 인산과 칼륨 성분이 있는 쌀겨와 재로 만든 퇴비도 넣어 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외 양파를 정식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의 모종을 정식하는 방법에 따르는바, 예를 들면 상기 퇴비를 넣고 일구어둔 밭에 폭 0.8~1m, 높이 5~10cm 정도의 두둑을 만들고, 두둑에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심을 수 있는 정도의 골을 판 후, 가로 15~30cm, 세로 15~30cm 간격으로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하나씩 놓고 흙으로 측면을 덮어주는 것이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유공비닐 등을 피복하고, 관수시설을 설치하여 강우 시 유실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d)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싹이 올라오도록 한다. 첨부된 도 2는 생육한 양파로부터 싹이 올라온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상기 양파의 생육은 종래 양파의 재배방법과 동일하게 양파가 생육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충분한 거름과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싹이 올라온 양파를 계속해서 생육하면 분구가 일어나는데,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 통상 5~15개 정도로 분구된다. 그리고 이를 계속적으로 생육하면 줄기와 구근이 점점 커지게 되고, 30~60일 정도 경과하면 수확할 수 있을 정도로 줄기와 구근이 자라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줄기와 구근이 분구된 사진으로서, 구근은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줄기의 아래쪽으로 구근 역시 분구된 상태이다. 도 4는 상기 도 3 중 하나를 확대한 사진이다.
(e)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구되어 충분히 생육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한다.
상기 수확시기는 정식 후 30~60일 정도 경과시점임이 바람직한데, 온도가 높아 생육이 빠르게 일어나는 여름철에는 30~40일 정도, 온도가 낮아 생육속도가 느린 겨울철에는 50~60일 정도, 봄, 가을에는 40~50일 정도면 충분한 생육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빠르게, 즉 초기에 수확하면 도 5와 같이, 쪽파와 같은 형태를 띠며, 중기에 수확하면 도 6, 7과 같이 대파의 형태를 띠며, 후기에 수확하면 도 8, 9와 같이 줄기가 달린 양파의 형태를 띠게 된다. 그리고 그 수확시기를 더 늦추면 줄기의 수확 없이 통상 재배되는 양파로서 구근만을 수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재배된 양파의 줄기와 구근은, 그 수확시기에 따라 쪽파 형태, 대파 형태, 양파 형태 및 양파로서 수확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양파의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은 물론, 종래 쪽파, 대파를 대체할 수 있는 잎채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며, 그 공급 역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높은 시장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양파 1구당 약 3~5kg의 양파 줄기와 구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재배속도가 빠르고 재배가 간편하여, 농가 소득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년 중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양파 재배방법은 시설재배는 물론 노지재배도 가능한 것으로, 그 방법에 제한이 없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양파의 씨앗을 파종하여 재배한 양파를 0℃의 저장고에 1개월간 저장하여 휴면시켰다. 그리고 이를 25℃에서 15일간 저장하여 휴면타파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휴면타파한 양파를 본 밭에 정식하여 생육하였다. 상기 양파는 시설재배하였으며, 재배시 온도는 일평균 20℃였다.
생육시 거름 및 수분은 종래 양파 재배법에 따라 충분히 공급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양파를 5℃의 저장고에 1개월간 저장하여 휴면시켰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35℃에서 5일간 저장하여 휴면타파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0℃의 저장고에 1개월간 저장하여 휴면시킨 후 이를 그대로 밭에 정식함으로써, 밭에서 휴면이 타파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1)
양파 씨앗을 파종하여서 된 양파 모종을 밭에 정식하였다. 그리고 이를 생육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4를 30~50일간 재배한 후, 수확시기에 따라 정식한 양파 1구당 수확량, 줄기의 평균길이 및 구근의 평균직경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의 결과
구분 수확량(g) 줄기의 평균길이(cm) 구근의 평균직경(cm)
실시예 1 30일 2541 71 3.1
40일 3241 87 5.3
50일 4126 98 7.2
실시예 2 30일 2351 69 3.3
40일 3025 82 5.5
50일 3891 93 7.9
실시예 3 30일 2534 72 3.5
40일 3532 80 5.2
50일 4052 91 7.3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재배기간이 길수록 수확량, 줄기의 길이 및 구근의 직경이 커짐을 확인하였으며, 30일경 수확한 양파는, 구근이 거의 없어 중파와 대파의 중간 크기 정도였으며, 45일경 수확한 양파는 구근이 조금 커진 형태, 60일경 수확한 양파는 구근이 커져 종래 작은 양파 정도의 크기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비교예 1의 경우 50일간의 재배만으로는 줄기와 구근을 모두 수확할 수 없는 정도였다.
(시험예 2)
실시예 1의 50일경 수확한 양파의 구근을 약 2cm×2cm×2cm의 크기를 갖도록 절단하고 그 줄기를 1cm×2cm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그리고 대조구로서는 시장에서 구입한 통상의 재배법에 따른 양파와 대파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성인 남녀 각 20명씩 패널로 선정하여 맛, 식감, 외관,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식감 외관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구근 5.2 5.1 4.5 5.0 5.6
줄기 6.2 5.9 4.2 5.1 5.7
대조구 양파 5.2 5.0 4.3 5.0 5.6
대파 4.1 4.2 4.0 4.1 4.1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구근은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의 맛, 식감, 외관, 향 및 전체 기호도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1의 줄기는 대조구인 대파보다 맛, 식감, 외관,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오히려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파의 재배방법은 그 수확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남에도 그 맛이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잎채소로서는 오히려 통상의 대파에 비해 높은 관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여 재배함으로써, 종자 파종에 비해 재배기간이 짧고, 수확량이 많으며, 잎채소로서의 활용도 용이한 양파 재배방법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a)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면타파한 양파를 밭에 정식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와,
    (e) 상기 분구된 줄기와 구근을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의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양파는,
    양파의 씨앗을 묘상에 파종하는 단계와,
    상기 파종된 씨앗를 발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아된 양파 모종을 정식하는 단계와,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는 단계를 통해 재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의 재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양파를 휴면시키는 단계는,
    양파를 0~5℃에서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의 재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휴면타파하는 단계는,
    상기 휴면시킨 양파를 25~35℃에서 5~20일간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의 재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정식한 양파를 생육하여 줄기와 구근이 다수 개로 분구되도록 하는 단계는,
    그 생육기간은 30~60일이고, 줄기와 구근은 5~15개로 분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의 재배방법.
PCT/KR2017/004971 2016-05-16 2017-05-12 양파의 재배방법 WO20172002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02,598 US10999981B2 (en) 2016-05-16 2017-05-12 Onion grow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03A KR101709774B1 (ko) 2016-05-16 2016-05-16 양파의 재배방법
KR10-2016-0059403 2016-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0241A1 true WO2017200241A1 (ko) 2017-11-23

Family

ID=5831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971 WO2017200241A1 (ko) 2016-05-16 2017-05-12 양파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99981B2 (ko)
KR (1) KR101709774B1 (ko)
WO (1) WO20172002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8368A (zh) * 2018-11-26 2019-01-25 石家庄市农林科学研究院 一种高产大葱的种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774B1 (ko) * 2016-05-16 2017-02-23 김도혜 양파의 재배방법
KR20190115885A (ko) 2018-04-04 2019-10-14 김도혜 양파대 재배포장방법
KR102524927B1 (ko) * 2021-03-10 2023-04-24 김명환 기능성 양파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14175975A (zh) * 2021-12-08 2022-03-15 赤峰学院 一种改变金莲花冬季休眠特性的金莲花种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164A (ja) * 2001-12-19 2003-07-02 Kazuo Nomura 葉付き玉葱の栽培法
JP2012010652A (ja) * 2010-06-30 2012-01-19 Saga Prefecture タマネギの栽培方法及びタマネギ
CN103766098A (zh) * 2012-10-18 2014-05-07 吴燕 一种大葱的种植方法
CN104221693A (zh) * 2014-09-30 2014-12-24 张家港市杨舍镇善港农民专业合作社 一种洋葱高产的种植方法
KR101709774B1 (ko) * 2016-05-16 2017-02-23 김도혜 양파의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465A (en) * 1989-08-30 1993-08-0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for accelerating and synchronizing seed germination
JP3080580B2 (ja) * 1996-04-10 2000-08-28 湧永製薬株式会社 ニンニクの栽培法
KR100893384B1 (ko) 2006-05-18 2009-04-17 양파세상영농조합법인 양파김치용 양파 재배방법
KR100842360B1 (ko) 2006-09-22 2008-07-01 양옥열 고칼슘 양파 및 그 재배방법
US20150230462A1 (en) * 2014-01-15 2015-08-20 New Biology, Inc. Methods for improving germination and stress tolerance characteristics with jasmonates
KR20200100499A (ko) * 2019-02-18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164A (ja) * 2001-12-19 2003-07-02 Kazuo Nomura 葉付き玉葱の栽培法
JP2012010652A (ja) * 2010-06-30 2012-01-19 Saga Prefecture タマネギの栽培方法及びタマネギ
CN103766098A (zh) * 2012-10-18 2014-05-07 吴燕 一种大葱的种植方法
CN104221693A (zh) * 2014-09-30 2014-12-24 张家港市杨舍镇善港农民专业合作社 一种洋葱高产的种植方法
KR101709774B1 (ko) * 2016-05-16 2017-02-23 김도혜 양파의 재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H, EUN-JOO ET AL.: "Optimum Size and Storage Method of Onion Sets for Spring Sowing Onion Production in Highland",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ol. 22, no. 4, 2004, pages 416 - 42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8368A (zh) * 2018-11-26 2019-01-25 石家庄市农林科学研究院 一种高产大葱的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89800A1 (en) 2019-09-26
KR101709774B1 (ko) 2017-02-23
US10999981B2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00241A1 (ko) 양파의 재배방법
CN104380994B (zh) 一种白芨的规模化高产栽培方法
CN104584841A (zh) 一种辣椒的高产种植方法
Yang et al. African nightshades and African eggplants: Taxonomy, crop management, utilization, and phytonutrients
CN111480528A (zh) 一种富硒小番茄高效高产种植方法
Maboko et al. Effect of plant spacing and harvesting frequency on the yield of Swiss chard cultivars (Beta vulgaris L.)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Deswina et al. Development of arrowroot (Maranta arundinacea L.) as functional food based of local resource
CN109997644A (zh) 一种北方春大豆在东北高寒地区一年四代繁育技术
SANTOSA et al. Growth and corm production of Amorphophallus at different shading levels in Indonesia
CN111226534A (zh) 北方寒冷地区大棚内的茄子无公害育苗及栽培方法
CN109997594A (zh) 一种高原芒果晚熟栽培方法
CN106973784B (zh) 一种草莓新品种的培育方法
CN105519316A (zh) 一种莴笋栽培方法
K’opondo et al. A review on the seed production and handling of indigenous vegetables (Spider plant, Jute mallow, and African nightshade complex)
CN106613223A (zh) 一种提高辣椒中类胡萝卜素的种植方法
CN106561398A (zh) 一种木奶果的播种育苗方法
CN102599039A (zh) 一种齿瓣石斛人工繁育方法
CN105075619A (zh) 一种百合栽培选育方法
JP6530584B2 (ja) カンゾウ属植物の苗の生産方法
KR20140057917A (ko) 백합 구근의 재배방법
CN109511396B (zh) 一种花椒良种培育方法
CN108064622A (zh) 一种辣木优良种植技术
KR910006203B1 (ko) 다년생 도라지 재배방법
CN106561281A (zh) 一种辣椒嫁接台湾per-s64野生辣椒方法
CN111357581A (zh) 一种黄秋葵的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995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995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