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1284A1 -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 Google Patents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1284A1
WO2017131284A1 PCT/KR2016/002715 KR2016002715W WO2017131284A1 WO 2017131284 A1 WO2017131284 A1 WO 2017131284A1 KR 2016002715 W KR2016002715 W KR 2016002715W WO 2017131284 A1 WO2017131284 A1 WO 20171312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ng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type unmanned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7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바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바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바드론
Publication of WO20171312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12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6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disc- or ring-shaped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8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10All-w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5/00Stabilis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64D35/02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easily landing even in a narrow space by improving the aerodynamic efficiency by providing the delta typ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coupled in a join wing shape.
  • Unmaned Aerial Vehicle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military and civilian purposes around the world, and are increasingly complementary to reconnaissance or exploration satellites and replacing manned aircraft.
  • Join wing reduces the total drag by about 15-20% by eliminating induced drag caused by Vortex that occurs at the other end of the wing compared to the general wing, thereby increasing the aerodynamic efficiency of the aircraft It is known to give.
  • the aircraft including the join wing can be connected to the w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compared to the general aircraft, resulting in a lighter weight of the aircraft, and a large wing area for high altitude long-haul aircraft that need to install solar cells It is known to be advantageous.
  • Patent No. 10-1423680 discloses a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es a pair of trusses 11, a front wing 12 connecting the truss, a lower wing 13, and an upper wing 14, and a rudder 160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Will be.
  • a conventional join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es a pair of trusses 11, a front wing 12 connecting the truss, a lower wing 13, and an upper wing 14. And the rear end of the truss 11 includes a rudder 16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plification and lightening of the fuselage is possible, and short-distance landing and landing.
  • the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lifting force generated because the fuselage is in the form of a truss (11),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direction at low speed because the rudder is covered by the upper blade (14).
  •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flight stability is lowered because it is made lightweight and assembled.
  • Patent Document 10-2015-0100026 disclos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n inflatable fuselage and a joining wing.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the inflatable body and the join wing is such that the body is filled with inert gas with a filler, thereby having excellent flotation.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 conventional inflatable body and a joining wing includes a body 21 including a cylindrical air sac 21a having an inert gas as a filler, and a tip portion of the body 21.
  • a movable canard 22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nose cone 21b and a vertical wing 23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uselage 21 and including a rudder 23a are included in the fuselage 21. Flotation is enhanced by the inert gas being filled, and low-speed flight is possible, so that high resolution imag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 the main wing 24 is made of the same length as the joining wing 2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ight stability is poor because it is made lightweight and assembled.
  • Patent Registration No. 10-1423680 (2014.07.21.)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delta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in the form of a joining wing is improved aerodynamic efficiency to easily land in a narrow space To provide a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be.
  • 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low-speed flight is formed so that the rudder is not covered by the fuselage, th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 the propeller is provided on the upper w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eller from being damaged by hitting the ground, by the float is provided,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facilitate water takeoff and landing To provide.
  • the fuselage A main wing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uselage and having both end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oward the stern of the fuselag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wing to form a join wing with the main wing; Vertical wing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main wing and the lower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wing; And a rudder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wing to adjust the direction.
  • At least one of the fuselage, the main wing, the upper wing and the ru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material.
  • the fuselage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opeller, a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d sensor means for maintaining balance and avoiding obstacles.
  •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 the upper wing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formed in a triangular form facing the bow direction of the fuselage.
  • the stern of the upper w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rudder for adjusting the lifting is further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form of a triangle on the stern end of the upper wing.
  • the main w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wing.
  • the rudder when viewed from the top,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fuselage so as not to be covered by the fuselage, th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height of the rudder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wing It is characterized by.
  • the vertical wing when viewed from the to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vered by the upper wing.
  • the propelle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wing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pulsion force.
  • At least one float is provided below the fuselage.
  •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between the area center of the main wing and the area center of the upper wing.
  •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improves aerodynamic efficiency while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 of generating induced drag while maintaining the inherent advantages of the delta wing, so that the aerodynamic efficiency can be easily landed even in a narrow space.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flight efficiency and takeoff and landing performance.
  • the direction can be easily adjusted even at low speed flight, the landing and landing stability is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repair cost and the replacement cost due to breakage.
  • the propeller is provided on the upper wing, there is no fear that the propeller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takeoff and landing,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at can be easily taken off and land in the water.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joined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 FIG. 2 is a view of a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n inflatable fuselage and a join wing.
  • FIG. 3 is a view showing a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lift of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of the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of the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udder of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float of the joined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can be easily landed even in a narrow space by improving the aerodynamic efficiency by being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the delta typ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 FIG 3 is a view showing a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lage 110, a main wing 120, an upper wing 140, a propeller 150, and a rudder 160. Is done.
  • the fuselage 110 is a bod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have a streamlined structure to disperse air resistance generated during flight.
  • a housing 111 is formed in the body 110, and at least one of a battery 171, a communication unit 172, a camera 173, and a sensor unit 174 is formed in the housing 111.
  • the included control unit 17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ontrol unit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main wing 120 has both end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facing the stern direction of the fuselage 110.
  • the triangular shape of the main wing 12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etreat wing or delta wing,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elta wing for a fast flight, retreat wing for precise flight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 main wing 120 may be formed in a form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other end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body 110 in order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generated during the flight.
  • main wing 12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wing 14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a form for improving the flight stability and the lift ratio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upper wing 140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main wing 120 and the connecting rod 130, disposed on the main wing 120 to form a join wing with the main wing 120.
  • the connecting rod 13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wing 140 to connect the upper wing 140 to the main w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ng rod 130 is the It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wing 140 to connect the upper wing 140 to the main wing 120.
  • the connecting rod 130 may not only connect the upper wing 140 to the main wing 120, but also serve as a kind of vertical w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upper wing 140 may be formed to gradually narrow toward the en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wing 140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generated during the flight.
  • the lift for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an be improved to easily land even in a narrow space.
  • the propelle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wing 14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the propeller 150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lower or rear of the upper wing 140.
  • the rudder 160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wing 112 to adjust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vertical wing 112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wing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ing 140, or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uselage 11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t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balance.
  • At least one of the fuselage 110, the main wing 120, the upper wing 140 and the rudder 160 may be made of a foamed material, more preferably, the fuselage 110, At least one of the main wing 120, the upper wing 140, and the rudder 160 may be made of one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and expanded polystyrene (EPS).
  • EPP expanded polypropylene
  • EPS expanded polystyrene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71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opeller 150, a communication means 172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At least one of the camera unit 173 for image capture and the sensor means 174 for maintaining the balance and obstacle avoidan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control unit 170 may be mounted on an accommodating part 111 formed in the body 110, and the accommodating part 11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eparate hinge means.
  • the communication means 172 receives a signal for oper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battery 171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172.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operated by a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propeller 150.
  • the communication means 172 may transmit the obstac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means 174 to the outside to check the obstacle inform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obstacl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be obtained not only through the sensor means 174 but also through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173.
  • the sensor means 174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obstacl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a gyro sensor for maintaining a balan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tmospheric component measurement sensor for detecting the air pollution state of the location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air pollution state obtained through the sensor means 174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172, so that the user has a flight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Check the flight environment.
  • FIG. 6 is a view showing a lift hit of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n of the upper wing 140 is rotatably provided in a triangular form at the stern end of the upper wing 140 to adjust the lif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141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elevator 14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upper wing 140 and rotated up and down, can b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170, the unmanned together with the gyro sensor of the sensor means 174.
  • the balance of the aircraft 100 may be maintained, or the direction of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be adjusted together with the rudder 160.
  •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rrugated grooves 161 and 141a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rudder 160 and the elevating rudder 141,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corrugated grooves 161 and 141a are configured to be more affected by the airflow when the rudder 160 and the elevating wheel 141 adjust the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r adjust the lifting.
  • a first wrinkle groove 161 in a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and a second wrinkle groove 141a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elevator 141.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wing and the upper wing of the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wing and upper wing of the joint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9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mplementation state of the rudder of the joining-typ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 the upper wing 14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with both ends toward the bow direction of the body 110. That is, the upper wing 14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ain wing 120, the overall shape may be formed in the forward wing shape.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have an empty space A formed in the shape of the main wing 120 and the upper wing 140 to improve take-off and landing stabil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empty space A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wing 120 face the stern direction of the fuselage 110, and both ends of the upper wing 140 are formed of the fuselage 110. A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facing the bow direction, it is formed between the main wing 120 and the upper wing 140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airflow flowing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lows to the outs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o the empty space A, so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airflow flowing outside of the 100 catches the outs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 the airflow flowing into the empty space A catches the ins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ereby taking off and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tability is further improved.
  • the rudder 160 is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fuselage 110 so as not to be covered by the fuselage 110, the main wing 120 and the upper wing 140 when viewed from the top, when viewed from the side
  • the height of the rudder 16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wing 140
  • the vertical wing 112 is formed to be covered by the upper wing 140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rudder 16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uselage 110 by the vertical wing 112,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not covered by the main wing 120 and the upper wing 140. It may be a distance.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When viewed from the top, when the rudder 160 is provided to protrude so as not to be covered by the fuselage 110, the main wing 120, and the upper wing 14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ilts during takeoff and landing. Even in an advanced state,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an be easily adjusted.
  • the rudder 160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the height of the rudder 16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wing 140, the rudder 160 is moved fluid in a state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inclined during takeoff and landing Since the effective area of the) is further increased, the flight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an be easily adjusted.
  • the airflow flowing during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divid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uselage 110, between the fuselage 110 and the upper wing 1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wing 140. 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110 is formed between the main wing 120 and the upper wing 140, the balance of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an be easily adjusted.
  • FIG. 10 is a view showing a float of the joined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one float 113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uselag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at 113 is shown as being formed in a pair of two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selage 110,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as a sing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selage 11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 the float 113 is configured to allow a water sl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float 113 is provided under the fuselage 110,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fl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without having a runway for it.
  • the joining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while improving the aerodynamic efficiency while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s of induced drag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inherent delta wing in the form of joining wing, it can be easily landed even in a narrow spa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flight efficiency and takeoff and landing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동체; 상기 동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동체의 선미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윙; 양 끝단은 상기 메인윙과 연결대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윙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윙과 함께 조인드윙 형태를 이루는 상부윙; 상기 상부윙에 구비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상기 메인윙의 상면 중앙부 및 상기 상부윙의 하면 중앙부와 결합되는 수직날개; 및 상기 수직날개의 후미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윙 및 상부윙의 형상에 의해 양력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고, 비행 효율 및 이착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본 발명은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델타형 메인윙 및 상부윙이 조인드윙 형태로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공력 효율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무인항공기(UAV : Unmaned Aerial Vehicle)는 세계적으로 군수용 목적과 민수용 목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정찰 또는 탐사 위성과 상호 보완적인 장비인 동시에 유인기를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조인드윙은 일반적인 날개에 비해 비행 중 날개 타단에서 발생하는 익단와류(Vortex)에 의한 유도항력을 제거하여 전체 항력을 약 15 ~ 20% 정도 감소시켜줌으로써 양항비율 등 항공기의 공기역학적인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인드윙을 포함하는 항공기는 날개구조가 연결되어 일반적인 항공기에 비해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기체 무게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날개 면적이 넓어 태양전지를 설치해야하는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본 출원인의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 10-1423680 호에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는, 한 쌍의 트러스(11), 상기 트러스를 연결하는 전방날개(12), 하부날개(13), 상부날개(14)로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는 방향타(160)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설명하자면, 한 쌍의 트러스(11), 상기 트러스를 연결하는 전방날개(12), 하부날개(13) 및 상부날개(14)가 포함되며 상기 트러스(11)의 후방 단부에는 방향타(160)가 포함되어, 동체의 단순화 및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단거리 이착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동체가 트러스(11)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생되는 양력에 한계가 있고, 방향타가 상부날개(14)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저속에서 방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경량화되어 조립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행 안정성이 떨어지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본 출원인의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 10-2015-0100026 호에는 팽창형 동체와 조인드윙을 갖는 무인항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팽창형 동체와 조인드윙을 갖는 무인항공기는 동체가 비활성 기체를 충전제로 충진됨으로써, 우수한 부양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팽창형 동체와 조인드윙을 갖는 무인항공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팽창형 동체와 조인드윙을 갖는 무인항공기를 설명하자면, 비활성 기체를 충전제로 하는 원통형 기낭(21a)을 포함하는 동체(21), 상기 동체(21)의 선단부를 이루는 노즈콘(21b)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동형카나드(22) 및 상기 동체(21)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방향타(23a)를 포함하는 수직날개(23)가 포함되어, 상기 동체(21)에 충진되는 비활성 기체에 의해 부양력이 향상되고, 저속 비행이 가능하여 해상도 높은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동체(21)의 형태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행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을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저속 비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메인윙(24)이 조인드윙(25)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경량화되어 조립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 10-1423680 호(2014.07.21.)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00026 호(2015.09.02.)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95167 호(2013.08.27.)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44952 호(2014.04.1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델타형 메인윙 및 상부윙이 조인드윙 형태로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공력 효율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방향타가 동체, 메인윙 및 상부윙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어 저속 비행에서도 용이하게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프로펠러가 상부윙에 구비됨으로써, 지면과 부딪혀 프로펠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로트가 구비됨으로써, 수상 이착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는, 동체; 상기 동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동체의 선미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윙; 양 끝단은 상기 메인윙과 연결대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윙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윙과 함께 조인드윙 형태를 이루는 상부윙; 상기 메인윙의 상면 중앙부 및 상기 상부윙의 하면 중앙부와 결합되는 수직날개; 및 상기 수직날개의 후미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체, 메인윙, 상부윙 및 방향타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체에는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프로펠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와 통신되는 통신수단,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균형 유지와 장애물 회피를 위한 센서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윙은 양 끝단이 상기 동체의 선수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윙의 선미에는 상기 상부윙의 선미 끝단에 삼각형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을 조절하는 승강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윙과 상부윙의 형상에 의한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윙은 상기 상부윙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타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동체, 메인윙 및 상부윙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동체의 후미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향타의 높이는 상기 상부윙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날개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부윙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윙(140)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체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체에는 상기 메인윙의 면적 중심과 상부윙의 면적 중심의 사이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의하면, 델타윙 고유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유도항력이 발생되는 단점을 조인드윙 형태로 보완하면서 공력 효율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고, 비행 효율 및 이착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속 비행에서도 용이하게 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착륙 안정성이 향상되어 파손에 의한 수리 비용 및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펠러가 상부윙에 구비됨으로써 이착륙시에 프로펠러가 지면과 접촉될 우려가 없고, 플로트가 구비됨으로써 용이하게 수상에서 이착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팽창형 동체와 조인드윙을 갖는 무인항공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수납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승강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메인윙과 상부윙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메인윙과 상부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방향타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플로트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델타형 메인윙 및 상부윙이 조인드윙 형태로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공력 효율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수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100)는, 동체(110), 메인윙(120), 상부윙(140), 프로펠러(150) 및 방향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항공기(100)의 몸체이며, 비행 중에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분산시키기 위해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체(110)에는 수납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1)에는, 배터리(171), 통신수단(172), 카메라(173) 및 센서수단(174)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제어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후술되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윙(120)은 양 끝단이 상기 동체(110)의 선미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윙(120)이 갖는 삼각형 형태는 예를 들어, 후퇴익 또는 델타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빠른 비행을 위해서는 델타익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정밀한 비행을 위해서는 후퇴익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윙(120)은 비행 중에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동체(110)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윙(120)은 후술되는 상부윙(1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안정성과 양항비를 향상시켜주기 위한 형태이다.
상기 상부윙(140)은, 양 끝단이 상기 메인윙(120)과 연결대(130)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윙(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윙(120)과 함께 조인드윙 형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연결대(130)는 상기 상부윙(14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윙(140)을 상기 메인윙(120)에 연결시킬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연결대(130)는 상기 상부윙(140)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윙(140)을 상기 메인윙(12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130)는 상기 상부윙(140)을 메인윙(120)에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실시 예에 따라 일종의 수직날개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윙(140)은 상기 메인윙(120)과 마찬가지로 비행 중에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상부윙(140)의 중앙에서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의 형상이 각각 후퇴익 및 전진익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양력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150)는 상기 상부윙(140)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150)는 상기 상부윙(140)의 전방, 하부 또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타(160)는 상기 수직날개(112)의 후미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방향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수직날개(112)는, 상기 메인윙(120)의 상면 중앙부 및 상기 상부윙(140)의 하면 중앙부 와 결합되거나, 상기 동체(110)의 후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110), 메인윙(120), 상부윙(140) 및 방향타(160)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형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체(110), 메인윙(120), 상부윙(140) 및 방향타(160)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 및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ed polystyrene)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어부(170)는, 프로펠러(15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1),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수단(172),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173) 및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균형 유지와 장애물 회피를 위한 센서수단(1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동체(110)에 형성되는 수납부(111)에 탑재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111)는 별도의 힌지수단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172)은 외부에서 상기 무인항공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수단(172)을 통해 수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17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프로펠러(150)로 인가하여 상기 무인항공기(1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수단(172)은 상기 센서수단(174)에서 획득되는 장애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무인항공기(100)를 조작함에 있어서 장애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항공기(100)를 조작함에 있어서 획득되는 장애물 정보는 상기 센서수단(174)을 통해 획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173)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통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센서수단(174)에는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조작에 필요한 장애물 정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균형을 유지하는 자이로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인항공기(100)가 비행하는 위치의 대기 오염 상태를 감지하는 대기 구성물 측정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센서수단(174)을 통해 획득되는 장애물 정보 및 대기 오염 상태 등을 상기 통신수단(172)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상태 및 비행 환경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승강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윙(140)의 선미에는 상기 상부윙(140)의 선미 끝단에 삼각형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승강을 조절하는 승강타(1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타(141)는 상기 상부윙(140)의 후미에 결합되어 상하부로 회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70)와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센서수단(174)의 자이로센서와 함께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상기 방향타(160)와 함께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향타(160) 및 승강타(141)의 양면에는 각각 복수의 제1, 2 주름홈(161, 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주름홈(161, 141a)은 상기 방향타(160) 및 승강타(141)가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승강을 조절할 시에 더욱 기류의 영향을 잘 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방향타(160)에는 수직 방향의 제1주름홈(16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승강타(141)에는 수평 방향의 제2주름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메인윙과 상부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메인윙과 상부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방향타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윙(140)은 양 끝단이 상기 동체(110)의 선수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윙(140)은 상기 메인윙(12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전진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윙(140)의 전진익 형태는, 상기 상부윙(140)의 표면을 흐르는 기류가 상기 상부윙(140)의 끝단에서 중앙 방향으로 수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켜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에는 상기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의 형상에 의한 빈 공간(A)이 형성되어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이착륙 안정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상기 빈 공간(A)은, 상기 메인윙(120)의 양 끝단이 상기 동체(110)의 선미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윙(140)의 양 끝단이 상기 동체(110)의 선수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윙(120)과 상부윙(14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인항공기(100)가 이착륙 시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무인항공기(100)에 흐르는 기류가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외측 및 상기 빈 공간(A)으로 흐름에 따라,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외측에 흐르는 기류는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외측을 잡아주고, 상기 빈 공간(A)으로 흐르는 기류는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내측을 잡아주어,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이착륙 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타(16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동체(110),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동체(110)의 후미에 돌출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향타(160)의 높이는 상기 상부윙(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직날개(112)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부윙(140)에 의해 가려지도록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방향타(160)는 상기 수직날개(112)에 의해 상기 동체(11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에 가려지지 않는 거리일 수 있다.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향타(160)가 상기 동체(110),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돌출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00)가 이착륙 시에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향타(160)의 높이가 상기 상부윙(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00)가 이착륙 시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유체가 이동되는 상기 방향타(160)의 유효 면적이 더욱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중에 흐르는 기류는 상기 동체(110)의 하부, 상기 동체(110)와 상부윙(140)의 사이 및 상기 상부윙(140)의 상부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동체(110)의 무게중심은 상기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 중 균형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의 플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체(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로트(11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트(113)가 상기 동체(110)의 하부에 두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동체(110)의 하부에 단 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로트(113)는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의 수상 활주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동체(110)의 하부에 상기 플로트(113)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비행을 위한 활주로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무인항공기(100)를 비행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에 의하면, 델타윙 고유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유도항력이 발생되는 단점을 조인드윙 형태로 보완하면서 공력 효율이 향상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고, 비행 효율 및 이착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동체(110);
    상기 동체(110)의 양측에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동체(110)의 선미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윙(120);
    양 끝단은 상기 메인윙(120)과 연결대(130)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윙(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윙(120)과 함께 조인드윙 형태를 이루는 상부윙(140);
    상기 메인윙(120)의 상면 중앙부 및 상기 상부윙(140)의 하면 중앙부와 결합되는 수직날개(112); 및
    상기 수직날개(112)의 후미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체(110), 메인윙(120), 상부윙(140) 및 방향타(160)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체(110)에는,
    수납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1)에는,
    상기 프로펠러(15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1), 외부와 통신되는 통신수단(172), 촬영을 위한 카메라(173) 및 균형 유지와 장애물 회피를 위한 센서수단(174)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제어부(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윙(140)은,
    양 끝단이 상기 동체(110)의 선수 방향을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윙(140)의 선미에는,
    상기 상부윙(140)의 선미 끝단에 삼각형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을 조절하는 승강타(1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윙(120)과 상부윙(140)의 형상에 의한 빈 공간(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윙(120)은,
    상기 상부윙(14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타(16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동체(110), 메인윙(120) 및 상부윙(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동체(110)의 후미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향타(160)의 높이는 상기 상부윙(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개(112)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부윙(14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윙(140)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체(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로트(1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체(110)에는,
    상기 메인윙(120)의 면적 중심과 상부윙(140)의 면적 중심의 사이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PCT/KR2016/002715 2016-01-25 2016-03-17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WO20171312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56 2016-01-25
KR1020160008556A KR101646736B1 (ko) 2016-01-25 2016-01-25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284A1 true WO2017131284A1 (ko) 2017-08-03

Family

ID=5671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715 WO2017131284A1 (ko) 2016-01-25 2016-03-17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6736B1 (ko)
WO (1) WO20171312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9632A (zh) * 2017-09-04 2018-02-23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北京民用飞机技术研究中心 一种具有组合式联结翼结构的飞行器
FR3078683A1 (fr) * 2018-03-07 2019-09-13 Francois Geli Option a bas cout d’une deuxieme aile pour rendre ultra-sobre un avion de lig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1378B2 (en) 2016-08-08 2021-05-11 Jetoptera, Inc. Configuration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ystem for aerial vehicles
CN108137149B (zh) 2015-09-02 2021-07-06 杰托普特拉股份有限公司 喷射器和翼型构型
US10464668B2 (en) 2015-09-02 2019-11-05 Jetoptera, Inc. Configuration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ystem for aerial vehicles
JP7155174B2 (ja) 2017-06-27 2022-10-18 ジェトプテ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航空機の垂直離着陸システムの構成
CN108408043B (zh) * 2018-03-02 2019-11-2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盒式倾转翼飞行器
CN108545181A (zh) * 2018-05-25 2018-09-18 西安航空学院 固定翼旋翼复合式无人机
RU2695897C1 (ru) * 2018-10-26 2019-07-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Лёт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М.М. Громова"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дольным движением при разбеге по взлётно-посадочной полосе и наборе высоты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со специально 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передними и задними крыльями
CN110127047A (zh) * 2019-05-31 2019-08-16 深圳创壹通航科技有限公司 四矢量控制的垂直起降固定翼飞行器及其控制方法
CN112937834B (zh) * 2021-04-14 2022-06-2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采用联翼式气动布局的小型无人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773A (en) * 1979-04-11 1982-12-28 Julian Wolkovitch Joined wing aircraft
US6848649B2 (en) * 2000-10-03 2005-02-01 Charles Gilpin Churchman V/STOL biplane aircraft
KR20090101413A (ko) * 2009-08-21 2009-09-28 곽상호 수직이착륙기
US8186617B2 (en) * 2009-04-07 2012-05-29 Airbus Operations S.L. Aircraft having a lambda-box wing configuration
KR20140044952A (ko) * 2012-07-12 2014-04-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89581T3 (es) 2012-02-17 2016-11-15 The Boeing Company Vehículo aéreo no tripulado que recupera energía de corrientes ascendentes de aire
KR101423680B1 (ko) 2013-03-20 2014-08-01 한국전기비행 (주)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KR20150100026A (ko) 2014-02-24 2015-09-02 한국전기비행 (주) 팽창형 동체와 조인드윙을 갖는 무인항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773A (en) * 1979-04-11 1982-12-28 Julian Wolkovitch Joined wing aircraft
US6848649B2 (en) * 2000-10-03 2005-02-01 Charles Gilpin Churchman V/STOL biplane aircraft
US8186617B2 (en) * 2009-04-07 2012-05-29 Airbus Operations S.L. Aircraft having a lambda-box wing configuration
KR20090101413A (ko) * 2009-08-21 2009-09-28 곽상호 수직이착륙기
KR20140044952A (ko) * 2012-07-12 2014-04-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HUI U: "2015 Defense Industry Fair Pamphlet", ROK ANNY TRAINING & DOCTRINE COMMAND, 1 December 2015 (2015-12-0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9632A (zh) * 2017-09-04 2018-02-23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北京民用飞机技术研究中心 一种具有组合式联结翼结构的飞行器
CN107719632B (zh) * 2017-09-04 2020-05-01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北京民用飞机技术研究中心 一种具有组合式联结翼结构的飞行器
FR3078683A1 (fr) * 2018-03-07 2019-09-13 Francois Geli Option a bas cout d’une deuxieme aile pour rendre ultra-sobre un avion de lig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736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1284A1 (ko) 조인드윙형 무인항공기
EP3621877B1 (en) Modular aircraft wit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capability
CN107176286B (zh) 基于双涵道风扇动力系统的可折叠式固定翼垂直起降无人飞行器
CN105620735B (zh) 高速多旋翼垂直起降飞行器
WO2014081082A1 (ko) 다단 틸트 멀티 로터 플라잉 카
WO2014129761A1 (ko) 착륙이 용이한 무인비행체
WO2010047507A2 (ko) 지상주행이 가능한 비행체 시스템
US7967238B2 (en) Composite air vehicle having a heavier-than-air vehicle tethered to a lighter-than-air vehicle
CN204750564U (zh) 一种y型三旋翼垂直起降无人机
WO2016184358A1 (zh) 基于双飞控系统的固定结构式垂直起降飞机及其控制方法
WO2018081734A1 (en) Modular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djustable center of gravity
CN101353084A (zh) 垂直起落轻型飞行器
CN103043214A (zh) 折叠式无人机
WO2019225859A1 (ko) 비행체 및 비행체 자세 제어 시스템
WO2018056484A1 (ko) 다목적 비행체
CN104276281A (zh) 一种单人飞行器
CN103192984A (zh) 一种适用于跨海空两栖无人机的v型尾翼装置
US4296896A (en) VTOL Airplane
RU2582743C1 (ru) Ави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CN107512394A (zh) 一种尾坐式垂直起降无人机及飞行控制方法
CN106915463A (zh) 一种飞机的起飞方式及装置
CN206841718U (zh) 一种廿式布局无人机
WO2021025289A1 (ko) 압축 공기로 제어되는 비행체
CN207826544U (zh) 一种双涵道载人无人互换飞行器
CN206031776U (zh) 一种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82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882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