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99350A1 -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9350A1
WO2017099350A1 PCT/KR2016/012025 KR2016012025W WO2017099350A1 WO 2017099350 A1 WO2017099350 A1 WO 2017099350A1 KR 2016012025 W KR2016012025 W KR 2016012025W WO 2017099350 A1 WO2017099350 A1 WO 20170993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fiber woven
resin
separator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0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혜원
김지연
김동응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WO20170993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93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fiber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bon fiber separa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excellent surface flatness and high strength.
  • Redox flow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large secondary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systems (ESS) because they are inexpensive and safe systems compared to other secondary batteries.
  • the redox flow battery consists of a battery cell and two electrolyte tanks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stacked, and each unit cell includes a pair of separator plates, a pair of electrodes, and an ion conductive membrane.
  • Redox flow battery is a battery driven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version between the electrical energy and the chemical energy occurs as the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occurs on the electrode surfac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 the separation plate to efficiently transfer electrons to the electrode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attery, and serves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redox flow battery.
  • the separator is required to have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o require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even in an acidic electrolyte environment.
  • the carbon fiber woven fabric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both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ecause the carbon fibers are connected to the weft yarns in an inclined manner to form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th. An additional portion may be formed, and the problem of frequ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when the redox flow battery is driven by the uneven portion is caused.
  • Korean Patent No. 10-0901362 (2009.06.05), which discloses a separator for a fuel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n the form of a thick plate is inserted between two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s having a thin plate shape in which the carbon fiber woven material is spread widely to minimize thickness variation. Sandwich structure.
  • the carbon fiber separat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electrolyte leakage problem by securing excellent surface flatness through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ving two sheets of thin plates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2 Since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n the form of a thick plate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thin thickness of the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can be compensated for,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surface flatness and high strength at the same time.
  • the carbon fiber separ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widely spread to minimize thickness variation, thereby contacting the electrode of the unit cell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ontact area,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impr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of Figure 1;
  •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of Figure 1;
  • Figure 4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EM photograph of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 Figure 6 is a SEM photograph of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of Figure 1
  • Figure 3 is a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of Figure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 the carbon fiber separator 100 includes a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20 and a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 the first and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s 120 and 14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s 120 and 140 are compressed by a hot press method and are mutually bonded to each other.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20 is install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thin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having a substantially thin thickness, and is thicker than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It is preferable to have. Accordingly,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20 preferably has a first thickness of 200 to 600 ⁇ m. When the first thickness is less than 200 ⁇ m may be difficult to ensure the mechanical properties that can be stably supporting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because the thickness is thin.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thickness exceeds 600 ⁇ m,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act as a factor of increasing only the thickness and volume without further increasing the effect, resulting in a weight reduction and thinning.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20 includes a first carbon fiber woven material 122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are vertically stacked, and a first resin layer 124 impregnated in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material 122.
  • a first carbon fiber woven material 122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are vertically stacked, and a first resin layer 124 impregnated in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material 122.
  • two sheet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122 are vertically stacked, and the first resin layer 124 is impregnated with two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s 122 as an example.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122 may be manufactured by weaving fiber bundles of 1,000 to 70,000 strands into weft and warp yarns,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ber bundl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122 have a circular or oval cross-sectional structure. In addition, the fiber bundl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122 may have an average spacing of 1.0 to 5.0 mm.
  • the first resin layer 124 is used to impregnate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122.
  • the first resin layer 124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thermosetting resin including a phenol resin, an epoxy resin, an amino resin, a urea resin, a melamine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d a polyimide resin. .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is laminat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20, respectively.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includes a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and a second resin layer 144 impregnated in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filler (not show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is preferably used by spread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to minimize the thickness variation, which ensures excellent flatness and expands the contact area of the unit cell contact with the electrode This is to improve conductivity.
  • each of the fiber bundles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has a band-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may be manufactured by weaving fiber bundles in which 1,000 to 70,000 strands are gathered by weft and warp yarns, respectively.
  • the fiber bundles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are arranged with an average separation interval of 5 ⁇ 7mm.
  • the fiber bundles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are spaced at considerably wider intervals than the fiber bundl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eave 122.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140 preferably has a second thickness of 40 ⁇ 150 ⁇ m. If the second thickness is less than 40 ⁇ m has a too thin thickness to reduce the cutting,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thickness exceeds 150 ⁇ 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urface planarization effect may not be properly exhibited due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 the second resin layer 144 is used to impregnate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142.
  • the second resin layer 144 includes a phenol resin, an epoxy resin, an amino resin, a urea resin, a melamine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d a polyimide resin. It is formed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thermosetting resin.
  •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added to and dispersed in the second resin layer 144 in order to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 As the conductive filler at least one selected from carbon nanotube, graphite powder, chopped carbon fiber, carbon black and carbon powder may be used. Can be.
  • the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ck plate-shaped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between the two carbon fiber woven structures having a thin plate shape to spread the carbon fiber woven wide to minimize the thickness variation It has a sandwich structure inserted.
  • the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electrolyte leakage problem by securing excellent surface flatness through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ving two sheets having a thin plate shape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Since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n the form of a plate inserted in the middle can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thin thickness of the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the structural advantage of ensuring excellent surface flatness and high strength simultaneously have.
  • the carbon fiber separat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s the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unit cell because the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widely spread to minimize the thickness vari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re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 FIG. 4 is a process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rbon fib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forming step (S210),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forming step (S220), the laminating step ( S230) and the hot press step (S240).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is impregnated with a first thermosetting resin to form a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 the first thermosetting resin may us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thermosetting resin including a phenol resin, an epoxy resin, an amino resin, a urea resin, a melamine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d a polyimide resin. have.
  • thermosetting resin In order to uniformly impregnate the first thermosetting resin, the first liquid phase using any one or more of knife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and bar coating methods The thermosetting resin is applied. After this application, the first thermosetting resin is cured.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are vertically stacked, and a first resin layer impregnated in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At this time.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may use one sheet or two or more sheets stacked vertically.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may be used by weaving fiber bundles of 1,000 to 70,000 strands weft and warp respectively.
  • the fiber bundles of this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have a circular or oval cross-sectional structure.
  • the fiber bundl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may have an average spacing of 1.0 ⁇ 5.0mm.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forming step (S220)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is impregnated with a second thermosetting resin to form a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 the second thermosetting resin is a thermosetting resin including a phenol resin, an epoxy resin, an amino resin, a urea resin, a melamine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d a polyimide resin. Any material selected can be used.
  • thermosetting resin In order to uniformly impregnate the second thermosetting resin, the second liquid phase using at least one of knife coating, spray coating, dip coating, and bar coating method The thermosetting resin is applied. After this application, the second thermosetting resin is cured.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ncludes a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and a second resin layer impregnated in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by spread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to minimize the thickness variation, which ensures excellent flatness and expands the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unit cell to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To do so.
  • each of the fiber bundles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has a band-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Further, the fiber bundles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s are arranged with an average spacing of 5-7 mm. Thus, the fiber bundles of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are spaced at considerably wider intervals than the fiber bundl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s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Accordingly,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fabric structure is inserted between the two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structures to have a sandwich structure.
  • the first and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s are pressed and cured by a hot press to obtain a carbon fiber separator.
  • the hot press is preferably carried out for 30 to 60 minutes under the conditions of 120 ⁇ 180 °C and 20 ⁇ 30ton.
  • the hot press temperature is less than 120 ° C. or the hot press time is less than 30 minut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ufficient curing will not occur.
  • the hot press temperature exceeds 180 ° C. or the hot press time exceeds 60 minutes,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may act as a factor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any further effect increase.
  • the hot press pressure when the hot press pressure is less than 20ton,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s insufficient, and peeling may occur. On the contrary, when the hot press pressure exceeds 30 tons, there is a concern that damage such as cracks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arbon fiber woven fabric structures due to excessive pressure.
  •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s a first thickness
  •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s a second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hickness has 200 to 600 ⁇ m and the second thickness has 40 to 150 ⁇ m.
  • Carbon fiber separation plate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is the first carbon fiber in the form of a thick plate between the two carbon fiber woven structures having a thin plate shape to spread the carbon fiber woven material to minimize the thickness variation It has a sandwich structure in which the woven structure is inserted, and the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can solve the electrolyte leakage problem by securing excellent surface flatness through the two secon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ving the sheet shape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Since the first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in the form of a thick plate inserted in the middle can be compensated for the decrease in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thin thickness of the film, thereby ensuring excellent surface flatness and high strength at the same time.
  • the carbon fiber separator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widely spread to minimize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unit cell.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thick plate-like carbon fiber woven fabric was used in which 3,000 strands gather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fiber bundles each having an average separation distance of 1.4 mm were woven with weft and warp yarns, respectively.
  • a thin carbon fiber 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n epoxy resin to prepare a thin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140 ⁇ m.
  • the thin carbon fiber woven fabric 10,000 strands were gathered to have a band cross section, and fiber bundles having an average separation distance of 6 mm were used as weft and warp yarns, respectively.
  • the laminated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was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ck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respectively, and then pressed and cured by hot press for 4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150 ° C. and 25 ton to prepare a carbon fiber separator.
  • a carbon fiber separator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ressing and curing were performed by hot pressing at 140 ° C. and 27 ton for 30 minutes.
  • a carbon fiber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ture was pressed and cured by a hot press for 50 minutes at 130 ° C. and 22 tons.
  • the thick plate-like carbon fiber woven fabric was used in which 3,000 strands gather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fiber bundles each having an average separation distance of 1.4 mm were woven with weft and warp yarns, respectively.
  • the thick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was pressed and cured by hot press for 4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150 ° C. and 25 tons to prepare a carbon fiber separator.
  • a carbon fiber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ture was pressed and cured by hot press for 40 minutes at 120 ° C. and 27 ton.
  • FIG. 5 is an SEM photograph of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 FIG. 6 is an SEM photograph of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confirmed that the thin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thick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had excellent surface flatness. Can be.
  •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has an uneven curved surface due to consisting of a thick plate-like carbon fiber woven structure.
  • Table 1 shows the conductivity evaluation results for the carbon fiber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 Measuring method After lamin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표면 평탄도가 우수하면서 고 강도를 갖는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및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평탄도가 우수하면서 고 강도를 갖는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흐름전지는 다른 이차전지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안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 ESS)을 위한 대형 이차전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레독스 흐름전지는 복수의 단위전지가 적층된 전지셀 및 2개의 전해질 탱크로 어루어지며, 각 단위전지는 한 쌍의 분리판과 한 쌍의 전극, 그리고 이온전도성 멤브레인으로 구성된다.
레독스 흐름전지는 충방전시 전극 표면에서 전해질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기에너지와 화학에너지 간의 변환이 일어나는 원리로 구동되는 전지이다. 이때, 분리판은 전극으로 전자를 효율적으로 전달시켜 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해질이 레독스 흐름전지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분리판은 우수한 전기전도성이 요구되며, 산성의 전해질 환경에서도 내화학성이 우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전도성 및 내화학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탄소섬유 직조물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탄소섬유 분리판을 제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 직조물은 탄소섬유가 위사와 경사로 연결되어 전기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므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전기전도도가 모두 우수한 특징이 있으나, 탄소섬유 직조물의 경우 그 표면이 평탄하지 못한 관계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부에 의해 레독스 흐름전지의 구동시 전해질이 누수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1362호(2009.06.05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표면 평탄도와 고 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및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방법은 (a) 제1 탄소섬유 직조물에 제1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제2 탄소섬유 직조물에 제2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각각 적층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하여 탄소섬유 분리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은 탄소섬유 직조물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박판 형태를 갖는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들 사이에 후판 형태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삽입시킨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최외곽에 배치되는 박판 형태를 갖는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통한 우수한 표면 평탄도의 확보로 전해질의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얇은 두께로 인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중간에 삽입 배치되는 후판 형태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가 보완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표면 평탄도와 고 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은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경우,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상태이므로 단위 전지의 전극과 맞닿는 접촉면적이 확장되는데 기인하여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을 촬영한 SEM 사진.
도 6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을 촬영한 SEM 사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100)은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20)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20, 140)는 핫 프레스(hot press) 방식에 의해 압착되어 상호 간이 접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20)는 상당히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박판형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에 비하여 두꺼운 후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20)는 200 ~ 600㎛의 제1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두께가 200㎛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얇아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1 두께가 60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두께 및 부피만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경량화 및 박형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직적으로 적층된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과,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에 함침된 제1 수지층(124)을 포함한다. 이때, 도 1에서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 2장이 수직적으로 적층되고, 2장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에 제1 수지층(124)이 함침된 구조를 일 예로 나타낸 것이다.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은 1,000 ~ 70,000 가닥이 모인 섬유다발들을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의 섬유다발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의 섬유다발들은 평균 이격 간격이 1.0 ~ 5.0mm일 수 있다.
제1 수지층(124)은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을 함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1 수지층(124)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20)의 상면 및 하면 상에 각각 적층된다. 이러한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과,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에 함침된 제2 수지층(144)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는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도성 필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은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우수한 평탄도를 확보함과 더불어 단위 전지의 전극과 맞닿는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압착하여 넓게 펼치는데 기인하여,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의 섬유다발들 각각은 띠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은 1,000 ~ 70,000 가닥이 모인 섬유다발들을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의 섬유다발들은 평균 이격 간격이 5 ~ 7mm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의 섬유다발들은 제1 탄소섬유 직조물(122)의 섬유다발들에 비하여 상당히 넓은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140)는 40 ~ 150㎛의 제2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두께가 40㎛ 미만일 경우에는 너무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커팅성을 저하시키며, 핸들링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2 두께가 150㎛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 증가로 인해 표면 평탄화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크다.
제2 수지층(144)은 제2 탄소섬유 직조물(142)을 함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2수지층(144)은, 제1 수지층(124)과 마찬가지로,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전도성 필러는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수지층(144)에 첨가되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필러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흑연분말(graphite powder), 탄소 단섬유(chopped carbon fiber), 카본블랙(carbon black) 및 카본분말(carbon powder)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은 탄소섬유 직조물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박판 형태를 갖는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들 사이에 후판 형태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삽입시킨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은 최외곽에 배치되는 박판 형태를 갖는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통한 우수한 표면 평탄도의 확보로 전해질의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얇은 두께로 인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중간에 삽입 배치되는 후판 형태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가 보완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표면 평탄도와 고 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은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경우,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상태이므로 단위 전지의 전극과 맞닿는 접촉면적이 확장되는데 기인하여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분리판의 제조 방법은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형성 단계(S210),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형성 단계(S220), 적층 단계(S230) 및 핫 프레스 단계(S240)를 포함한다.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형성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형성 단계(S210)에서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에 제1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형성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열경화성 수지는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열경화성 수지를 균일하게 함침시키기 위해,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및 바 코팅(bar coating)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액상의 제1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다. 이러한 도포를 실시한 이후에는 제1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직적으로 적층된 제1 탄소섬유 직조물과, 제1 탄소섬유 직조물에 함침된 제1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은 1장을 이용하거나, 또는 2장 이상의 여러장을 수직적으로 적층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은 1,000 ~ 70,000 가닥이 모인 섬유다발들을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은 평균 이격 간격이 1.0 ~ 5.0mm일 수 있다.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형성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형성 단계(S220)에서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에 제2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형성한다.
본 단계에서, 제2 열경화성 수지는, 제1 열경화성 수지와 마찬가지로,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열경화성 수지를 균일하게 함침시키기 위해,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및 바 코팅(bar coating)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액상의 제2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다. 이러한 도포를 실시한 이후에는 제2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과, 제2 탄소섬유 직조물에 함침된 제2 수지층을 포함한다. 이때,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은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우수한 평탄도를 확보함과 더불어 단위 전지의 전극과 맞닿는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압착하여 넓게 펼치는데 기인하여,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 각각은 띠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은 평균 이격 간격이 5 ~ 7mm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은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에 비하여 상당히 넓은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적층
적층 단계(S230)에서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에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각각 적층한다. 이에 따라,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들의 사이에 1장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가 삽입 배치되어 샌드위치 구조를 갖게 된다.
핫 프레스
핫 프레스 단계(S240)에서는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하여 탄소섬유 분리판을 수득한다.
이때, 핫 프레스는 120 ~ 180℃ 및 20 ~ 30ton의 조건으로 30 ~ 6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 프레스 온도가 120℃ 미만이거나, 핫 프레스 시간이 30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크다. 반대로, 핫 프레스 온도가 180℃를 초과하거나, 핫 프레스 시간이 6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핫 프레스 압력이 20ton 미만일 경우에는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간의 계면 부착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핫 프레스 압력이 30ton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에 크랙 등의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핫 프레스 단계(S240)를 실시한 후,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제1 두께를 갖고,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두께는 200 ~ 600㎛를 갖고, 제2 두께는 40 ~ 150㎛를 갖는다.
상기의 과정(S210 ~ S240)에 의해 제조되는 탄소섬유 분리판은 탄소섬유 직조물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박판 형태를 갖는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들 사이에 후판 형태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삽입시킨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 바, 최외곽에 배치되는 박판 형태를 갖는 2장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통한 우수한 표면 평판도의 확보로 전해질의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얇은 두께로 인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중간에 삽입 배치되는 후판 형태의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가 보완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표면 평탄도와 고 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탄소섬유 분리판은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경우, 복수의 섬유다발들을 넓게 펼쳐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킨 상태이므로 단위 전지의 전극과 맞닿는 접촉면적이 확장되는데 기인하여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실시예 1
2장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을 수직적으로 적층시킨 후, 2장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을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켜 500㎛ 두께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은 3,000 가닥이 모여 원형 단면을 가지며, 평균 이격 간격이 1.4mm를 갖는 섬유다발들이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된 것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박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을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켜 140㎛ 두께의 박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박판형 탄소섬유 직조물로는 10,000 가닥이 모여 띠 단면을 가지며, 평균 이격 간격이 6mm를 갖는 섬유다발들이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된 것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에 박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각각 적층한 후, 150℃ 및 25ton의 조건으로 40분 동안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하여 탄소섬유 분리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40℃ 및 27ton의 조건으로 30분 동안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탄소섬유 분리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30℃ 및 22ton의 조건으로 50분 동안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탄소섬유 분리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장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을 수직적으로 적층시킨 후, 2장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을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켜 500㎛ 두께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은 3,000 가닥이 모여 원형 단면을 가지며, 평균 이격 간격이 1.4mm를 갖는 섬유다발들이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된 것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150℃ 및 25ton의 조건으로 40분 동안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하여 탄소섬유 분리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20℃ 및 27ton의 조건으로 40분 동안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탄소섬유 분리판을 제조하였다.
2. 미세조직 관찰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을 촬영한 SEM 사진이고, 도 6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은 중간의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된 박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가 우수한 표면 평탄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은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만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인하여 표면이 울퉁불퉁한 굴곡면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전도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에 대한 전도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접촉저항 측정
측정 방법 : 구리 전극 / GDL / 분리판 / GDL / 구리 전극의 순서대로 적층한 후, 양쪽의 구리 전극에 5A의 전류를 인가하면서, 구리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나온 전압에 가해준 전류 값을 나누어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에 사용된 분리판의 면적을 곱해주었다. 이때, 분리판은 가로 5cm, 세로 5cm 이었다.
구리 전극과 GDL 사이의 접촉 저항을 빼주기 위해, 구리 전극 / GDL / 구리 전극의 순서대로 적층한 후 저항을 측정하였고, 위의 값에서 빼주어 분리판의 접촉 저항을 계산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6012025-appb-I0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의 접촉저항 값이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의 접촉 저항 값에 비하여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예 1 ~ 3이 비교예 1 ~ 2에 비하여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에 박판형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적층할 경우, 우수한 표면 평탄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전극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로 전기전도성이 좋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제1 두께를 갖는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및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
    를 포함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상호 간이 핫 프레스에 의해 압착되어 접합된 탄소섬유 분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200 ~ 600㎛이고,
    상기 제2 두께는 40 ~ 150㎛인 탄소섬유 분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직적으로 적층된 제1 탄소섬유 직조물과,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에 함침된 제1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제2 탄소섬유 직조물과,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에 함침된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은 각각
    1,000 ~ 70,000 가닥이 모인 섬유다발들을 위사 및 경사로 각각 직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탄소섬유 분리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 각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탄소섬유 분리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은
    평균 이격 간격이 1.0 ~ 5.0mm인 탄소섬유 분리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 각각은
    띠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탄소섬유 분리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의 섬유다발들은
    평균 이격 간격이 5 ~ 7mm인 탄소섬유 분리판.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은 각각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탄소섬유 분리판.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흑연분말(graphite powder), 탄소 단섬유(chopped carbon fiber), 카본블랙(carbon black) 및 카본분말(carbon powder)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13. (a) 제1 탄소섬유 직조물에 제1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제2 탄소섬유 직조물에 제2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각각 적층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를 핫 프레스로 압착 및 경화하여 탄소섬유 분리판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직적으로 적층된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지층은 각각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핫 프레스는
    120 ~ 180℃ 및 20 ~ 30ton의 조건으로 30 ~ 60분 동안 실시하는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제1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탄소섬유 직조물 구조체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탄소섬유 분리판 제조 방법.
PCT/KR2016/012025 2015-12-09 2016-10-25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993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170A KR101905248B1 (ko) 2015-12-09 2015-12-09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5-0175170 2015-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350A1 true WO2017099350A1 (ko) 2017-06-15

Family

ID=5901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025 WO2017099350A1 (ko) 2015-12-09 2016-10-25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5248B1 (ko)
WO (1) WO201709935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420A (ko) * 2007-08-01 2009-02-05 한국과학기술원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2709A (ko) * 2007-12-28 2009-07-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재료 분리판 제조방법
KR20130128493A (ko) * 2012-05-16 2013-11-27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용 탄소섬유 직물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4072B1 (ko) * 2013-03-08 2014-02-20 (주) 디에이치홀딩스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6772A (ko) * 2012-10-11 2014-04-21 한국과학기술원 레독스 흐름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분리판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420A (ko) * 2007-08-01 2009-02-05 한국과학기술원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2709A (ko) * 2007-12-28 2009-07-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재료 분리판 제조방법
KR20130128493A (ko) * 2012-05-16 2013-11-27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용 탄소섬유 직물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6772A (ko) * 2012-10-11 2014-04-21 한국과학기술원 레독스 흐름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분리판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전지
KR101364072B1 (ko) * 2013-03-08 2014-02-20 (주) 디에이치홀딩스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248B1 (ko) 2018-10-08
KR20170068685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2568A1 (ko)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막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전해질막
WO2014123363A1 (ko) 스텝 유닛셀을 포함하는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WO2011043587A2 (ko)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123268A1 (ko) 역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난워븐 세퍼레이터
WO2016175560A1 (ko)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WO2014126427A1 (ko)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5046893A1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JP2015173115A (ja) ナノ多孔性セパレータ層を利用するリチウム電池
US2001003657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WO2013172629A1 (ko) 연료전지용 탄소섬유 직물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3034519A1 (ja) 燃料電池用の炭素繊維織物、電極体、燃料電池、移動体、および、燃料電池用の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102478772B1 (ko)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제조방법
WO2015076573A1 (ko) 이차 전지
WO2015060698A1 (ko) 분리막에 점착성 바인더를 도포하는 방법
WO2013002496A2 (ko) 절연부재가 장착된 이차전지
WO2017099403A1 (ko) 복합재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8212466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WO2017099350A1 (ko) 탄소섬유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59969A1 (ko)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WO2022092616A1 (ko) 이차전지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
WO2016052912A1 (ko)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분리판용 열가소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WO2018207999A1 (ko) 이차전지, 그의 제조장치 및 방법
WO2018105898A1 (ko)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7183792A1 (ko) 복합재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8030810A1 (ko) 전극과 분리막이 부분 결착된 전극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32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732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