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5898A1 -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5898A1
WO2018105898A1 PCT/KR2017/012461 KR2017012461W WO2018105898A1 WO 2018105898 A1 WO2018105898 A1 WO 2018105898A1 KR 2017012461 W KR2017012461 W KR 2017012461W WO 2018105898 A1 WO2018105898 A1 WO 20181058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parator
size
outside
fib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4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세구
김유종
박경매
한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
Priority to DE112017006198.9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7006198T5/de
Priority to US16/308,096 priority patent/US10741851B2/en
Publication of WO20181058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58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9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electrode assembly for use in a unit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or-electrode assembly us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Redox flow battery is one of the core products closely related to renewable energy, greenhouse gas reduction, secondary battery, smart grid, etc.,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the greatest attention in the world, and fuel cells are fossil-free without environmental pollutant emission. It is a product that is rapidly expanding globally as a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ource to replace fuel. Currently, most of the energy is obtained from fossil fuels, but the use of such fossil fuels has serious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such as air pollution,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and has low energy efficiency.
  •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redox flow batte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tack (1) in which a cell in whic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occurs is stacked (1), a tank (3) for storing an electrolyte, and a pump for supplying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e tank to the stack. It consists of (4).
  • Figure 2 shows a simplified structure of the stack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end plate 11-insulation plate 12-current plate 13-separation plate 14-gasket 15- Flow frame 16-electrode 17-gasket 15-ion exchange membrane 18-gasket 15-electrode 17-flow frame 16-gasket 15-separator plate 14-current
  • the plate 13-insulation plate 12-end plate 11 is shown, forming a unit cell from the separation plate 14 to the separation plate 14, and generally one stack stacks tens to hundreds of unit cells. It is configured by.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fabricate an assembly for integrating the separator 14 and the electrodes 17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4, in this regard US 6656639 B1.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n assembly of a separator plate-electrode,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separator plate-electrode assembly is deformed or weakened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which is a separator material, is thermally compress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and then cooled. It is to manufacture an integrated separator-electrode assembly that can.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by infiltrating the fiber mat in a portion where the str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may be weak during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of the electrode and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 a separator and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redox flow cell stack wherein the separator 140 is a thermoplastic resin, and electrodes 170A and 170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re central to the separator. It is thermally compressed at the site to penetrate into the separator, and the size of the separator is larg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and the fiber mat 150A (150B) is infiltrated by heat and pressure at the edge 141 which is an area larger than the electrode of the separator.
  • a separator-electrode assembly for use in a redox flow cell stack.
  • a portion of the fiber mat (150A; 150B) is placed between the edge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plate and is heated and pressurized to penetrate the separator plate 140.
  • the penetrated fiber mat (150A; 150B) is in the form of a hole in the inside and the size of the outside of the fiber mat (150A, 150B)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outside of the separating plate and the inner hole The size of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utside of the electrodes (170A, 170B).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a fiber mat (150A; 150B) having a hole in each of both sid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of the separator plate 140; Disposing electrode material at each central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sheet; Placing a jig (160A; 160B) on each of the fiber mat (150A; 150B); And heating pressurized and cooled outside of the jig 160A; 160B and the electrode material.
  • the order of disposing the electrode material and disposing the jig may be changed.
  • the jig (160A; 160B) is in the form of a hole in the inside and the size of the outside is the same as the outside of the fiber mat (150A, 150B) and the size of the inside hole is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material It is the same as the size and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 a passage 142 that crosses the electrode 170A, 170B may be formed.
  • thermoplastic resin sheet which is a separator material of the part of the embodied bipolar-electrode assembly,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so that there is little distortion or deformation and the strength is improved.
  • the fiber mat is reinforced to the edge of the electrode to the inside of the edg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reak in the electrode edg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dox flow batte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edox flow battery stack.
  • 3 is a component for fabricating the separator-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or-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other embodiment of a separator-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 FIG. 10 is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8.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method of making a separator-electrode assembly. Electrode flows through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ccurs where a porous conductive material is used. Graphite felt (170, graphite felt) is preferred. One anode electrode 170A and one cathode electrode 170B will enter each unit cell. (However, as shown in FIG. 6, a flow path may be formed i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 Separator plate 140 is a component that divides the unit cells and serves to make the electricity only while completely blocking the electrolyt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hermoplastic resin sheet.
  • the thermoplastic resin itself is not conductive but becomes conductive as the electrode penetrates into the resin during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with the electrode.
  • FIG. 3 illustrates components for fabricating the electrode 170 and separator plate assembly of FIG. 7,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the fiber mat 150 is preferably a thin sheet of fibrous material (carbon fiber, glass fiber, etc.) or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felt, which is very thin. It is not.
  • an acid-resistant material should be used, and the outside size is the same as the outside size of the material thermoplastic resin sheet of the separator plate 140 and the inside.
  • the hole should be smaller than the outer size of the electrode 170.
  • the assembly jig 160 compresses the fiber mat and the separator plate 170, which is a thermoplastic resin sheet, in a hot press process, so that the fibers penetrate into the separator plate and the thickness of the assembly jig 160 is an electrode. Thinner than (170).
  • the outer size of the assembly jig is the same as the outer size of the separator plate 140 and the inner hole is the same as the outer size of the electrode 170.
  •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listed in FIG. 3 are stacked between the hot plates 200A and 200B.
  • Fiber mats 150A and 150B are placed at both edges of the separating plate 140.
  • the outer size of the fiber mat 150 is the same as the outer size of the thermoplastic sheet,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separator plate 140, so that they can be aligned side by side.
  • the electrodes 170A and 170B are then plac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late 140. Since the outer size of the electrodes 170A and 170B is larger than the inner holes of the fiber mats 150A and 150B, as shown in circle A The overlapping part occurs.
  • jigs 160A and 160B are placed on the fiber mats 150A and 150B. Since the outer size is the same as the outer size of the separator plate 140 and the inner hole is the same as the outer size of the electrodes 170A and 170B, the jig 160A and 160B can only be placed on the fiber mats 150A and 150B. will be. After the heating plate 200A, 200B in the state placed on both sides will be pressed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 the order of placing the electrodes 170A and 170B and the jig 160A and 160B may be changed.
  • the separator-electrode assembly is formed.
  • the edge 141 of the separator plate 140 is permeated only by the fiber mats 150A and 150B, and the portion of the separator plate is permeated by the electrodes 170A and 170B.
  • the inner part of the electrode rim is infiltrated with the fiber mat and the electrode at the same time.
  • the fiber mat 150 is applied to the edge 141 of the separation plate 140 without the electrode 170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the electrode 170 and the fiber mat 150 partially overlap the electrode ( 170 or to prevent the edge is weak in the fiber mat (150).
  • the fiber mat 150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separating plate 140 which is a resin sheet, thereby obtaining a smooth surface at the edge 141 and the smooth surface 141 to the neighboring flow frame 16. Will be able to bond.
  • FIG. 8 illustrates a flow path 142 penetrating the electrode 170 on the separator plate 14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reduce the pressure drop of the electrolyte by allowing the electrolyte to pass between the two or more rectangular felt electrodes, thereby improving the system efficiency.
  • the electrode-separator plate assembly of FIG. 8 may form a flow path using a processing tool or a engraving knif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170 in the electrode-separator plate assembly manufactured in FIG. 6 as shown in FIG. 9.
  • the excavated portion 14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is penetrated by the separator plate will have a sufficiently high strength.
  • the electrode- separator plate assembly as shown in FIG. 8 has a fiber mat 150 'having two or more inner holes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plate 140 as shown in FIG. 10, and then two or more electrodes 170'. ) And then the jig 160 'having two or more inner holes may be placed and thermally pressurized.
  • the order of placing the electrodes 170 'and the jig 160' may be changed.
  • Graphite felt, carbon felt, carbon paper, carbon cloth,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thermoplastic resin sheet which is a material of the separator 140 i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G),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sheet and the like can be used.
  • PE polyethylene
  • PP polypropylene
  • PS polystyrene
  • PVC polyvinyl chloride
  • PC polycarbonat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40)은 열가소성 수지이며, 상기 분리판의 양쪽에 배치되는 전극(170A, 170B)은 상기 분리판의 중앙 부위에서 열압착되어 상기 분리판으로 침투되고, 상기 분리판의 크기는 전극보다 크며, 상기 분리판의 전극보다 큰 영역인 가장자리(141)에서는 화이버 매트(150A; 150B)가 가열 가압되어 침투되어 있는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 전지용 단위셀에 사용되는 분리판-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흐름전지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2차 전지, 스마트그리드 등과 긴밀하게 연관된 핵심 제품 중 하나이고, 연료전지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없이 화석 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시장의 확대가 진행중인 제품이다. 현재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 연료로부터 얻고 있으나, 이러한 화석 연료의 사용은 대기오염, 산성비 및 지구 온난화 같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신재생에너지 및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졌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 및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재생에너지의 특성상 시간 및 날씨 등의 환경 영향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이 크게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안정화를 위해 발생된 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보급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며, 이러한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레독스 흐름전지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독스 흐름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과 같이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셀을 적층한 스택(1), 전해질을 보관하는 탱크(3) 및 전해질 탱크에서 스택으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펌프(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1)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좌측에서부터 엔드플레이트(11)-절연판(12)-전류 플레이트(13)-분리판(14)-가스켓(15)-플로우 프레임(16)-전극(17)-가스켓(15)-이온교환막(18)-가스켓(15)-전극(17)-플로우 프레임(16)-가스켓(15)-분리판(14)-전류판(13)-절연판(12)-엔드 플레이트(11)를 도시하고 있고, 분리판(14)~분리판(14)까지 단위 셀을 이루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택은 수십~수백 개의 단위셀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분리판(14)과 상기 분리판(14)의 양쪽에 배치되는 전극(17)을 일체화시키는 조립체를 제작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US 6656639 B1가 있다.
그러나, US 6656639 B1에는 지그에 전극과 수지 시트(분리판 재료)를 넣어 열압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전극과 맞닿지 않는 부분의 수지 시트까지 가열되어 냉각 과정에서 전극과 닿는 부분과 닿지 않는 부분의 경계에서 잔류응력이 형성되어 지그를 분리했을 때 분리판이 변형 되거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분리판-전극의 조립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전극과 전극 사이에 분리판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열압착 후 냉각 시에 분리판-전극조립체가 변형되거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일체화된 분리판-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극과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열압착 과정에서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는 부위에 화이버 매트를 침투시킴으로서 강도를 보강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40)은 열가소성 수지이며, 상기 분리판의 양쪽에 배치되는 전극(170A, 170B)은 상기 분리판의 중앙 부위에서 열압착되어 상기 분리판으로 침투되고, 상기 분리판의 크기는 전극보다 크며, 상기 분리판의 전극보다 큰 영역인 가장자리(141) 에서는 화이버 매트(150A; 150B)가 가열 가압되어 침투되어 있는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분리판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이버 매트(150A; 150B)의 일부가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와 분리판 사이에 놓여지며 가열 가압되어 분리판(140)으로 침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투된 화이버 매트(150A; 150B)는 안쪽에 구멍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화이버 매트의(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는 상기 분리판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전극(170A, 170B)의 바깥쪽의 크기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리판(140)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양쪽 각각에 안쪽에 구멍이 있는 화이버 매트(150A; 150B)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양쪽 각각의 중앙 부분에 전극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화이버 매트(150A; 150B) 각각에 지그(160A; 160B)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160A; 160B)와 상기 전극 재료의 바깥쪽에서 가열 가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판-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극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와 지그를 배치하는 단계의 순서는 서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그(160A; 160B)는 안쪽에 구멍이 있는 형태이며 바깥쪽의 크기는 화이버 매트(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전극재료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며 두께는 전극의 두께보다 얇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170A, 170B)에는 가로지르는 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다.
체화된 바이폴라-전극의 접합체에서 전극과 맞닿지 않는 부분의 분리판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에 화이버 매트가 침투되어 뒤틀림이나 변형이 적고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고품질의 바이폴라-전극 접합체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전극의 테두리 부분을 테두리 안쪽까지 화이버 매트가보강하여 전극 테두리에서의 깨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택 프레임과 접합시 견고하게 밀착되어 이 부분에서의 전해질 누수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지 시트가 열화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서 부식이나 깨짐에 대한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이 적용되는 레독스 흐름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레독스 흐름전지스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분리판-전극 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발명의 분리판-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전극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제작 방법이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의 또 다른 제작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뿐, 이에 의해 본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분리판-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전극은 전해질이 관통하여 흐르며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다공성의 전도성 물질이 사용되며 흑연 펠트(170, graphite felt)가 바람직하다. 단위셀에는 양극 전극(170A)과 음극 전극(170B)이 각각 하나씩 들어가게 될 것이다. (다만, 도 6과 같이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에 유로가 형성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분리판(140)은 단위셀들을 나누는 구성요소로 전해질을 완전히 차단시키면서 전기만 통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사용한다. 열가소성 수지 자체는 전도성이 없지만 전극과의 열압착 과정에서 전극이 수지 내부로 스며들면서 전도성을 띄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7의 전극(170) 및 분리판 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화이버 매트(150)는 섬유소재(탄소섬유, 유리섬유 등)로 된 얇은 시트(부직포와 비슷한 재질)이거나 또는 두께가 매우 얇은 카본 펠트 (carbon felt)와 같이 전기 전도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화이버 매트(150)가 레독스 흐름전지(Redox Flow Battery)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내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하며 바깥쪽 크기는 분리판(140)의 재료인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바깥쪽 크기와 동일하며 안쪽 구멍은 전극(170)의 바깥쪽 크기보다는 작아야 한다.
*조립지그(160)은 핫프레스 공정에서 화이버 매트(Fiber mat)와 열가소성 수지 시트인 분리판(170)을 압착하여 화이버(fiber)가 분리판에 스며들도록 하며 조립 지그(160)의 두께는 전극(170)보다 얇게 한다. 조립지그의 바깥쪽 크기는 분리판(140)의 바깥쪽 크기와 동일하며 안쪽 구멍은 전극(170)의 바깥쪽 크기와 동일하다.
도 4는 도 3에 나열된 구성요소들을 열판(200A, 200B)사이에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다. 분리판(140)의 양쪽의 가장자리에는 화이버 매트(150A, 150B)가 놓여진다. 화이버 매트(150)의 바깥쪽 크기는 분리판(140)의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바깥쪽 크기와 동일하므로 나란하게 정렬을 맞출 수 있다.
그 후 전극(170A, 170B)를 분리판(140) 양쪽의 중앙 부위에 배치하는데, 전극(170A, 170B) 의 바깥쪽 크기가 화이버 매트(150A, 150B)의 안쪽 구멍보다 크므로 동그라미 A와 같이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한다.
그 후, 지그(160A, 160B)가 화이버 매트(150A, 150B)위에 놓여진다. 바깥쪽 크기는 분리판(140)의 바깥쪽 크기와 동일하며 안쪽 구멍은 전극(170A, 170B)의 바깥쪽 크기와 동일하므로, 지그(160A, 160B)는 화이버 매트(150A, 150B)위에만 놓일 것이다. 이후 가열판(200A, 200B)를 양쪽에 놓은 상태에서 가열 가압을 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눌려지는 상태가 될 것이다.
또한, 전극(170A, 170B)과 지그(160A, 160B)을 놓는 순서는 바뀌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가열 가압을 하게 되면 분리판(140)의 양쪽에 배치된 화이버 매트(150A, 150B)와 전극(170A, 170B)이 분리판으로 스며들어가 일체형을 이루게 되어 도 6 및 도 7과 같은 형태의 분리판-전극 조립체가 형성된다.
분리판(140)의 가장자리(141)는 화이버 매트(150A, 150B)만이 스며들어간 것이고, 분리판 가운데 부분은 전극(170A, 170B)이 스며들어간 것이다. 전극테두리의 안쪽 부분은 화이버 매트와 전극이 동시에 스며들어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170)이 없는 분리판(140)의 가장자리(141)에 화이버 매트(150)을 적용하여 강도를 보강한 것이며 전극(170)과 화이버 매트(150)이 부분적으로 겹치게 하여 전극(170) 또는 화이버 매트(150)에서 에지가 취약해지는 점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압착 과정을 통하여 화이버 매트(150)은 수지 시트인 분리판(140) 내부로 모두 침투하게 되어 가장자리(141)에서 매끈한 면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매끈한 면(141)을 이웃하는 플로우 프레임(16)에 접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판(140)위의 전극(170)을 관통하는 유로(142)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2이상의 직사각형 소재의 펠트 전극 사이로 전해질이 통과하도록 하여 전해질의 압력 강하를 감소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시스템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8의 전극-분리판 조립체는 도 9와 같이 도 6에서 제작된 전극-분리판 조립체에서 전극(170)의 중앙 부위를 가공툴이나 조각칼 등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파낸 부분(142)은 전극과 연결돼 분리판 펠트가 침투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높은 강도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과 같은 전극-분리판 형태의 조립체는 도 10에서처럼 분리판(140)의 양쪽에 2개 이상의 안쪽 구멍을 구비하는 화이버 매트(150')를 놓고 그 후 2개 이상의 전극(170')를 놓은 후 2개 이상의 안쪽 구멍을 구비하는 지그(160')를 놓고 열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극(170')과 지그(160')을 놓는 순서는 바뀌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극의 재료로는 그래파이트 펠트(graphite felt),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페이퍼(carbon paper), 카본 천(carbon cloth)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분리판(140)의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40)은 열가소성 수지이며,
    상기 분리판의 양쪽에 배치되는 전극(170A, 170B)은 상기 분리판의 중앙 부위에서 열압착되어 상기 분리판으로 침투되고,
    상기 분리판의 크기는 전극보다 크며,
    상기 분리판의 전극보다 큰 영역인 가장자리(141)에서는 화이버 매트(150A; 150B)가 가열 가압되어 침투되어 있는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매트(150A; 150B)의 일부가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와 분리판 사이에 놓여지며 가열 가압되어 분리판(140)으로 침투되어 있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된 화이버 매트(150A; 150B)는 안쪽에 구멍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화이버 매트의(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는 상기 분리판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전극(170A, 170B)의 바깥쪽의 크기보다 작은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된 화이버 매트(150A; 150B)는 안쪽에 구멍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화이버 매트의(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는 상기 분리판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전극(170A, 170B)의 바깥쪽의 크기보다 작은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70A, 170B)에는 가로지르는 유로(142)가 형성된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70A, 170B)에는 가로지르는 유로(142)가 형성된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7. 분리판(140)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양쪽 각각에 안쪽에 구멍이 있는 화이버 매트(150A; 150B)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양쪽 각각의 중앙 부분에 전극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화이버 매트(150A; 150B) 각각에 지그(160A; 160B)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160A; 160B)와 상기 전극 재료의 바깥쪽에서 가열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와 지그를 배치하는 단계의 순서는 서로 변경이 가능한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매트의(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는 상기 분리판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전극(170A, 170B)의 바깥쪽의 크기보다 작은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매트의(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는 상기 분리판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전극(170A, 170B)의 바깥쪽의 크기보다 작은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160A; 160B)는 안쪽에 구멍이 있는 형태이며 바깥쪽의 크기는 화이버 매트(150A, 150B)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하고 안쪽 구멍의 크기는 전극재료의 바깥쪽의 크기와 동일한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압 단계 이후에 전극 재료에 가공 툴 또는 조각칼로 유로(142)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압 단계 이후에 전극 재료에 가공툴 또는 조각칼로 유로(142)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압 단계 이후에 전극 재료에 가공툴 또는 조각칼로 유로(142)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압 단계 이후에 전극 재료에 가공툴 또는 조각칼로 유로(142)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매트는 2개 이상의 안쪽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되는 전극 재료는 2개 이상이며, 상기 지그는 2개 이상의 안쪽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서 전극 재료를 가로지르는 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 매트는 2개 이상의 안쪽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되는 전극 재료는 2개 이상이며, 상기 지그는 2개 이상의 안쪽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서 전극 재료를 가로지르는 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는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
PCT/KR2017/012461 2016-12-09 2017-11-06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81058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7006198.9T DE112017006198T5 (de) 2016-12-09 2017-11-06 Bipolare Platten-Elektroden-Anordnung unter Verwendung von thermoplastischem Harz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6/308,096 US10741851B2 (en) 2016-12-09 2017-11-06 Bipolar plate-electrode assembly using thermoplastic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88 2016-12-09
KR1020160167688A KR101808606B1 (ko) 2016-12-09 2016-12-09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898A1 true WO2018105898A1 (ko) 2018-06-14

Family

ID=6094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461 WO2018105898A1 (ko) 2016-12-09 2017-11-06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41851B2 (ko)
KR (1) KR101808606B1 (ko)
DE (1) DE112017006198T5 (ko)
WO (1) WO2018105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81B1 (ko) 2021-09-14 2024-02-21 주식회사 에이치투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용 분리판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립체
KR20230111723A (ko)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에이치투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하이브리드 전극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192A (en) * 1984-01-10 1986-11-11 Phillips Petroleum Company Stampable sheets of glass/carbon fiber mat reinforced polymers of olefin and method of preparation
KR20010106464A (ko) * 1999-07-01 2001-11-29 추후제출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용 쌍극 전극판
JP2002540570A (ja) * 1999-03-23 2002-11-26 ユニサーチ・リミテッド 電 極
JP2015198090A (ja) * 2015-04-10 2015-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支持体付き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
WO2016017989A1 (ko) * 2014-07-29 2016-02-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융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606B1 (fr) * 1998-07-21 2000-10-13 Sorapec Nouveau collecteur bipolaire pour pile a combustible
JP2002367658A (ja) * 2001-06-12 2002-12-2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セルフレーム及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192A (en) * 1984-01-10 1986-11-11 Phillips Petroleum Company Stampable sheets of glass/carbon fiber mat reinforced polymers of olefin and method of preparation
JP2002540570A (ja) * 1999-03-23 2002-11-26 ユニサーチ・リミテッド 電 極
KR20010106464A (ko) * 1999-07-01 2001-11-29 추후제출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용 쌍극 전극판
WO2016017989A1 (ko) * 2014-07-29 2016-02-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융착 장치
JP2015198090A (ja) * 2015-04-10 2015-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支持体付き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6198T5 (de) 2019-08-29
US10741851B2 (en) 2020-08-11
KR101808606B1 (ko) 2017-12-13
US20190173101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9559B1 (en) Roll-good fuel cell fabrication processes, equipment, and articles produced from same
US1047609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101309262B1 (ko) 일체형 복합전극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US11380903B2 (en) Integrated bipolar electrode,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EP0823743A3 (en) Fuel cell stack with dual cooling system
CA2192871A1 (en) Molten carbonate fuel cell a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83282B1 (ko) 전지용 흑연 코팅 복합재료 분리판의 제조 방법
WO2018105898A1 (ko)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분리판-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3077488A1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것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CN102456905A (zh) 液流电池单元、电堆及其制作方法
JP2007172953A (ja) 燃料電池
DE102010003866B4 (de) Direkt-Methanol-Brennstoffzelle
KR101471886B1 (ko) 전해질용 관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스택
KR101743924B1 (ko) 탄소섬유 펠트 일체형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1719A (ko) 일체형 복합전극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20180136639A (ko) 스프레드 토우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지용 복합재료 분리판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지용 복합재료 분리판
CN115101770A (zh) 一种液流电池复合双极板及其加工工艺
EP1160903A3 (en) Protective membrane-equipped composite electroly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fuel cell provided with the same
US10403920B2 (en) Fuel battery cell
US7833680B2 (en) Fuel cell separator plate reinforcement via bonding assembly
CN113889638B (zh) 全钒液流电池用一体化电池结构及制备和应用
CN113823806B (zh) 一种全钒液流电池用一体化电极框结构和制备方法和应用
CN219123280U (zh) 氢燃料电池电堆装置
CN212392275U (zh) 一种用于电池堆的液流电池结构
CN216145650U (zh) 一种组合式锂原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89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89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