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90958A1 -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0958A1
WO2017090958A1 PCT/KR2016/013487 KR2016013487W WO2017090958A1 WO 2017090958 A1 WO2017090958 A1 WO 2017090958A1 KR 2016013487 W KR2016013487 W KR 2016013487W WO 2017090958 A1 WO2017090958 A1 WO 20170909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arylene sulfide
iodine
reaction
measured
diio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4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세호
Sung-Gi Kim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ES16868854T priority Critical patent/ES2900743T3/es
Priority to CN201680078197.8A priority patent/CN108463485B/zh
Priority to JP2018526658A priority patent/JP6901480B2/ja
Priority to US15/777,966 priority patent/US10822457B2/en
Priority to EP16868854.7A priority patent/EP3381968B1/en
Publication of WO20170909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0958A1/ko
Priority to HK18113182.1A priority patent/HK1254112A1/zh
Priority to US17/030,112 priority patent/US11390714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09Polyarylenethioether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5Preparatory processes
    • C08G75/0263Preparatory processes using elemental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31Polyarylenethioethers containing chain-terminating or chain-bran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Polysulf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arylene sulfide (Pdyarylene sulfide) exhibiting improved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ic materials, layered materials and the lik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polyarylene sulfide is a representative engineering plastic, and is used for various products or electronic products used in high temperature and corrosive environments due to high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flame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Demand is growing.
  • PPS polyphenylene sulfide
  • polyarylene sulfide such as PPS
  • melt polymerizing a semi-aungdal product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has been proposed by melt polymerizing a semi-aungdal product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 the polyarylene sulfide thus prepared does not generate by-products in the form of salt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does not require the use of organic solvents, and thus no separate process for removing them is required.
  • the main chain terminal is composed of iodine and most aryl groups (typically, benzene).
  • aryl groups typically, benzen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arylene sulfide (polyarylene sulfide) showing a better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this invention provides the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said polyarylene sulfid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odine and free iodine bound to the polyarylene sulfide backbon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groups of the polyarylene sulfide backbone is a hydroxy group (-OH), and It provides a polyarylene sulfide having a free iodine content of 10 to 10000 ppmw.
  • the "step of this invention is that the polymerization banung banung water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s and sulfur; And while proceed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tep,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arylene sulfide comprising the step of further adding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polyarylene sulfide.
  • a polyarylene sulfid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whereb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group (End Group) of the polyarylene sulfide backbone is a hydroxy group (-OH), iodine bonded to the polyarylene sulfide backbone.
  • free iodine a polyarylene sulfide having an iodine and free iodine content of 10 to 10000 ppmw bonded to the main chain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ors show better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layered material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polyarylene sulfide by melt-polymerizing a reactant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compounding with various materials and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while studying a method for preparing polyarylene sulfide, which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optimized properties for each use.
  • the polyarylene sulfide of the embodiment may be a nylon (Nylon) resin or a polyethylene glycol resin (PEG) having a hydrophilic group in the polymer chain;
  • Polymer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glycol, Pyethyleneoxide, Pyethyleneimine, Polyvinylalcohol, or Ethyleneglycidylmethacrylate Elastomer I; It can exhibit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inorganic materials having hydrophilic groups such as glass fiber or talc. This is expected because the hydrophilic group and the polar group of the polymer material or the inorganic material and the hydroxyl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polyarylene sulfide form a strong polar bond or a hydrogen bond.
  • a polymer material having a strong hydrogen bond or a hydroxy group bonded to the main chain terminal of the polyarylene sulfide with a hydroxyl group in the silanol group of the glass fiber or a polymer material having an epoxy-based functional group such as glycidyl group e.g., an epoxy ring of ethyleneglycidyl methacrylate elastomer, etc., may be opened to bond with a hydroxyl group bonded to the main chain terminal of the polyarylene sulfide, thereby exhibiting a strong binding force.
  •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can be preferably compounded with various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and a molded article exhibiting optimized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various applications.
  • the polyarylene sulfide is obtained by melt-polymerizing a reactant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and includes iodine and free iodine bonded to the main chain, such a main chain-bonded iodine and free iodine content
  • a reactant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includes iodine and free iodine bonded to the main chain, such a main chain-bonded iodine and free iodine content
  • About 10 to 10000 ppmw, black may be about 10 to 3000 ppmw, or about 50 to 2000 ppmw.
  • Such content can be measured by heat-treating a polyarylene sulfide sample at a high temperature as in the following example, and then quantitatively using ion chromatography.
  • the free iodine refers to iodine molecules, iodine ions or iodine radicals generated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of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the elemental sulfur and remain together in a chemically separated state from the finally formed polyarylene sulfide.
  • polyarylene sulfide solves the problem of polyarylene sulfide prepared by the previous MacColumn process, and obtained by melt polymerization
  • Advantages of polyarylene sulfide for example, by-products are not generated, post-processing is easy,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exhibit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peculiar to polyarylene sulfide.
  • the polyarylene sulfide of the embodiment may exhibit a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 of the main chain terminal in the FNR spectrum.
  • the intensity of the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1 may be large based on the content of the hydroxyl group bonded to the main chain terminal group.
  • the relative height strength may be about 0.0001 to 10%, or about 0.005 to 7%, or about 0.001 to 4%, or about 0.01 to 3%.
  • the ring stretch peak appearing in the 1400 to 1600cm- 1 may be derived from an arylene group such as phenylene contained in the main chain of polyarylene sulfide.
  • a peak of 3300 to 3600 crrf 1 derived from the hydroxy group is about 0.0001 to 10%, or about 0.005 to 7%, or about 0.001 to 4 with respect to th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 derived from the arylene group (eg, phenylene group).
  • arylene group eg, phenylene group
  • polyarylene sulfide in one embodiment exhibits better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ic materials or fillers, such as polymeric materials or layered materials having hydrophilic groups, and the like.
  •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peculiar to polyarylene sulfide can be maintained.
  • polyarylene sulfide is "a melting point of about 265 to 290 ° C, or from about 270 to 285 ° C, the black can be from about 275 to 283 ° C. With such a melting point range,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in which a hydroxyl group is introduced and obtained by melt polymerization, can exhibit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flame resistance.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 to 50,000, or about 8,000 to 40,000, and black to about 10,000 to 30,000. have.
  •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dispersion degree defined 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relative to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2.0 to 4.5, or about 2.0 to 4.0, and black about 2.0 to 3.5.
  •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has a dispersion degree and molecular weight in the above-described range, it may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processability, and the like, and may be processed into various molded articles that can be used for more various applications.
  • the polyarylene sulfid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have a melt viscosity of about 10 to 50,000 poise, or about 100 to 20,000, and black about 300 to 10,000, measured at 300 ° C. using a rotating disc viscometer.
  •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exhibiting such melt viscosity may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together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 polyarylene sulfide in one embodiment has a tensile strength value of about 100 to 900 kgf / cm 2 , or about 200 to 800 kgf / cm 2 , or about 300 to 700 kgf / cm,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638. It may be 2 , and the elongatio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638 may be about 1 to 10%, or about 1 to 8%, or about 1 to 6%. Further, the polyarylene sulfide may have a flexural strength valu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790 of about 100 to 2000 kgf / cm 2 , black of about 500 to 2000 kgf / cm 2 , or about 1000 to 2000 kgf / cm 2 .
  • the layer strength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256 may be about 1 to 100 J / m, black to about 5 to 50 J / m, and black to about 10 to 20 J / m.
  •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may exhibit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and may exhibit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 polyvinyl alcohol resin such as polyvinyl alcohol resin, polyeth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glycol resin or polyethylene oxide resin, polyalkyleneimine resin such as polyethyleneimine resin, chloride
  •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amide resin such as vinyl resin, nylon resin, polyolefin resin or polyester resin; Poly (meth) acrylate elastomers, such as polyvinyl chloride elastomer and ethylene glycidyl methacrylate elastomer, polyolefin elastomer, polyurethane elastomer, polyester
  • thermoplastic elastomers such as elastomers, polyamide-based elastomers or polybutadiene-based elastomers; Or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various reinforcement / fillers such as glass fibers, carbon fibers, boron fibers, glass beads, glass flakes, talc or calcium carbonate.
  • the polyarylene sulfide of the above embodiment is an ethylene glycine having reactivity with a nylon resin having a hydrophilic group in the polymer chain, * liethylene glycol resin, polyethylene oxide resin, polyethyleneimine resin, polyvinyl alcohol resin or hydroxy group.
  • Polymer materials such as dimethyl methacrylate elastomer; It can exhibit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inorganic materials having hydrophilic groups such as glass fiber or talc. As mentioned above, this may be because the hydrophilic group or the polar group of the polymer material or the inorganic material and the hydroxyl group of the polyarylene sulfide terminal form a strong polar bond or a hydrogen bond.
  • the polyarylene sulfide of the above embodiment may be compounded with various other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to exhibit excellent synergistic effects, and the implementation of optimized physical properties for various applications is possible.
  • the terminal groups of the main chain of about 90 increased 0 / of one embodiment polyarylene sulfide with a hydroxyl group is introduced.
  • Com about 10 weight 0 /.
  • elastomer compounding elongation is about 1.5%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improvement to about 18.0%, about 60% by weight of the polyarylene sulfide of the above embodiment, and about 40 % by weight of the glass fiber. /.,
  •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exhibit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various other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and thus shows an excellent synergistic effect from the improvement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compounding.
  • polar aryl the sulfide-compounding, polyarylene sulfide to maintain the uniqu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bout 10 to 99 weight 0/0 of the polyarylene sulfide , black is about 50 to 90 parts by weight 0 /., and the thermoplastic resin, thermoplastic elastomer, and about 1 to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ller 90 parts by weight 0/0, or common summing from about 10 to 50 parts by weight 0/0 It is preferable.
  • the mixture can be molded by a method such as biaxial extrusion to produce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arylene sulfide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arylene sulfide described above.
  • a method of preparing a reaction product compris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an elemental sulfur is polymerized;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further adding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 group whil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tep.
  • the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has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about 90% or more whe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reaction is measured as a ratio of the current viscosity to a target viscosity.
  • Black may be added (eg, at the end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hen it has advanced to greater than about 90% and less than 100%.
  • the progress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set to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rylene sulfide to be obtained and the target viscosity of the polymerization product according to the progress, and measuring the current viscosit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ratio of the current viscosity to the target ' viscosity It can be measured as.
  •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urrent viscosity can be determined by a method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semi-ungunggi scale.
  • a sample in which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in progress can be taken and measured with a viscometer.
  • the present viscosity can be automatically measured in real time continuously and in a viscometer installed in the reactor.
  •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 group is added to the reaction mixture to react with the end group of the polyarylene sulfide main chain (End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in which a hydroxy group is introduced into at least some of Group) can be prepared.
  • End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in which a hydroxy group is introduced into at least some of Group can be prepared.
  •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 group at the end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 appropriate amount of hydroxy group is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and show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layered materials,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produced effectively.
  • the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 group a compound in the form of any monomer (mono molecule) having a hydroxy group can be used. More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 group include 2-iodophenol, 3-iodophenol, 4-iodophenol, 2,2'-diti Odiphenol (2,2'-Dithiodiphenol), 3,3'- Dithiodiphenol (3,3'-Dithiodiphen), or 4,4'- dithiodiphenol (4,4'- Dithiodiphenol),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aromatic compounds having various hydroxyl groups can be used.
  • the aromatic compound having a hydroxy group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about 0.0001 to 10 parts by weight, about 0.001 to 7 parts by weight, or about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 polyarylene sulfide is prepared by a method of polymerizing reaction of a semi-atom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and thus mechanical properties superio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MacColumm process
  • Polyarylene sulfides with the like can be prepared.
  • Such polyarylene sulfides include iodine and free iodine bonded to the main chain as already described above, and the content of iodine and free iodine bonded to the main chain may be about 10 to 10000 ppmw.
  • Such main chain-bonded iodine and free iodine content can be measured by a method of quantitatively using ion chromatography after heat-treating a polyarylene sulfide sample at high temperature as in the following Examples.
  • the free iodine as described above, iodine molecules, iodine ions or iodine which are generated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of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and remain together in a chemically separated state from the polyarylene sulfide formed finally May be defined generically.
  •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usabl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diiobenzene (DIB), diiodonaphthalene (diodonaphthalene), diiobibiphenyl (diiodobiphenyl), diiodobisphenol (diiodobisphenol)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iodobenzophenone (diiodobenzophenone), but is not limited to these, alkyl group or sulfone group (sulfone group), etc. are bonded to these compounds by a substituent Or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 which an aromatic group contains atoms such as oxygen or nitrogen.
  •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cludes isomers of various diiodine compounds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iodine atom is attached, and among these, para-diiodinebenzene (pDIB), 2,6-diiodonaphthalene, or ⁇ , Compounds in which the iodine is bonded in the para position, such as ⁇ '-diiodobiphenyl, may be used more suitably.
  • pDIB para-diiodinebenzene
  • ⁇ '-diiodobiphenyl Compounds in which the iodine is bonded in the para position, such as ⁇ '-diiodobiphenyl, may be used more suitably.
  • elemental sulfur which reacts with the said diiodine aromatic compound.
  • elemental sulfur exists in the form of a ring (cydooctasulfur; S8) having 8 atoms connected at room temperature, and if it is not in this form, any commercially available solid or liquid sulfur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 the reaction product may further include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stabilizer, or a mixture thereof.
  • a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include 1,3-diiodine-4-nitrobenzene, mercaptobenzothiazole, 2,2'-dithiobis-benzothiazole, cycloalkyl haeksil benzothiazole sulfenamide, and butyl benzothiazole, but it can be use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lfenamide,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described above.
  • the structure will not be limited.
  •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which can be used at this time will not be limited if it is a compound which can remove superposition
  • diphenyl sulfide diphenyl sulfide (diphenyl suldife, diphenyl ether, diphenyl, benzophenone dibenzothiazole disulfide, monoiodoaryl compound, benzothiaze,
  •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thiaz esulfenamides, thiurams, dith carbamates, and diphenyl disulfides.
  • the polymerization terminating agent is iodobiphenyl (iodobiphenyl), iodophenol (iodophen), iodoaniline (iodoaniline), iodobenzophenone (iodobenzophenone), 2- mercaptobenzothiazole (2- mercaptobenzothiazole), 2,2'-dithiobisbenzothiazole, N-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2-morpholinothio Benzothiazole (2-morpholinothiobenzothiazole), ⁇ , ⁇ -dicyclonucleosilbenzothiazole-2-sulfenamide ( ⁇ , ⁇ -di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tetramethyl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 the timing of administration of the polymerization terminato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rylene sulfide to be finally polymerized.
  •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included in the initial reactant may be administered at about 70 to 100 increments of 0 /.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under any condition as long as the polymerization of the reaction product including the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can be initiated.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under elevated pressure and reduced reaction conditions, in which case, the final reaction conditions are performed by performing a temperature rise and a pressure drop at an initial reaction condition of a temperature of about 180 to 25 C C and a pressure of about 50 to 450 torr. At a temperature of about 270 to 350 ° C and a pressure of about 0.001 to 20 torr Vary, and may proceed for about 1 to 30 hours.
  • the final reaction conditions can be carried out polymerization reaction at a temperature of about 280 to 300 ° C and a pressure of about 0.1 to 0.5 torr.
  • the method of weeding polyarylene sulf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melting and mixing a semi-ungmul containing a diiodine aromatic compound and elemental sulfur befor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 Such melt mixing is not limited in the configuration as long as the above-mentioned semi-composites are all melt-mixed,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130 ° C to 200 ° C, or about 160 ° C to 190 ° C. You can proceed.
  • melt mixing step is carried out befor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 that the subsequent polymerization reaction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 nitrobenzene-based catalyst.
  • the catalyst may be added in the melt mixing step.
  • the nitrobenzene-based catalyst include 1,3-diiodine-4-nitrobenzene, 1-iodine-4-nitrobenzen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polyarylene sulfide of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 Such molded articles may be made of polyarylene sulfide alone, or may include other polymer materials and / or reinforcements / fillers.
  • the polyarylene sulfide exhibit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se other polymer materials and / or reinforcing materials / fillers and the like, and is compatible with them (for example, compounded)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or molded article exhibit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 the polymer material and / or reinforcing material / filler that can be compounded with the polyarylene sulfide is as described above.
  • such a molded article is about 1 to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out 10 to 99 weight 0/0, or from about 50 to 90 weight 0/0 of the polyarylene sulfide, the thermoplastic resin, thermoplastic elastomer and a filler 90 weight percent, or about 10 to 50 weight 0 /.
  • the layered resin composition may be molded by a method such as biaxial extrusion to obtain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 the molded article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 sheet, or fiber.
  • the molded article may be an injection molded article, an extrusion molded article, or a blow molded article.
  • the mold temperature may be about 50 ° C. or more, about 60 ° C. or more, or about 80 ° C. or more in terms of crystallization, and about 190 ° C. or less, in view of deformation of the test piece,
  • the black may be about 170 ° C or less, or about 160 ° C or less.
  • the fibers may be various fibers such as undrawn yarn, drawn yarn, or super drawn yarn, and may be used as woven fabrics, knitted fabrics, nonwoven fabrics (spunbond, melt blown, staples), ropes, or nets.
  • Such molded articles can be used as coatings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such as computer accessories, building parts, automobile parts, mechanical parts, daily necessities, or parts in contact with chemicals, industrial chemical resistant fibers,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lten polymerized polyarylene sulfide exhibiting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reinforcing materials / layer dusting materials by including a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 Such polyarylene sulfide may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ptimized for each application through compounding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layered materials, and may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peculiar to polyarylene sulfide.
  • Example 1 m of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hydroxy group at main chain terminal
  •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5130 g of paradiiodinebenzene (P-I B) and 450 g of sulfur was heated to 18 C C in a 5 L semi-unggi equipped with a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and a vacuum line for nitrogen filling and vacuum. After complete melting and mixing, starting at the initial reaction conditions of 22 C C and 350 Torr, the step reaction temperature is gradually increased and pressure lowered to 300 ° C and the pressure is 1 Torr or less, and a small amount of sulfur is adde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Example 1 was analyzed by FNR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 1 on the spectrum.
  • the height intensity of the ring stretch peak appearing at about 1400 to 1600cm- 1 was 100% on the FT-IR spectrum,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 of the about 3300 to 3600cm 1 was about 0.4%.
  • Example 2 of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hydroxy group at main chain end A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and a 5 L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vacuum line capable of conducting the nitrogen layer and vacuum, the reaction product containing 5130 g of paradiiobenzene (p-DIB) and 450 g of sulfur at 180 ° C.
  • p-DIB paradiiobenzene
  •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reaction is carried out in steps of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drop to 300 ° C, the pressure is 1 Torr or less, and the sulfur in small amounts
  • the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while additionally charged.
  •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Example 2 was analyzed by FT-IR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 1 on the spectrum.
  • a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 1 on the spectrum.
  • the height intensity of the ring stretch peak appearing at about 1400 to 1600cm- 1 was 100%,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 of the about 3300 to 3600cm- 1 was about 0.24%.
  • the iodine and free iodine content bound to the polyarylene sulfide backbone we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content was found to be about 2000 ppmw.
  • Example 3 Synthesis of Polyarylene Sulfide Having Hydroxy Group at Main Chain Terminal
  • This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Example 3 was analyzed by FNR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 1 on the spectrum.
  • the height intensity of the ring stretch peak appearing at about 1400 to 1600cm "1 is 100% on the FT-IR spectrum,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 of the about 3300 to 3600cm- 1 is about 0.62%.
  • the content of iodine and free iodine bound to the polyarylene sulfide main chain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content was found to be about 500 ppmw.
  • Example 4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a hydroxy group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M
  •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and a 5 L reactor equipped with a vacuum line for nitrogen filling and vacuuming
  • the reaction product containing 5130 g of paradiiobenzene (P-I B) and 450 g of sulfur is 180 ° C.
  • the final reaction temperature is 300 ° C
  • the pressure is carried out in steps up to 1 Torr or less,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drop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adding a small amount of sulfur.
  •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Example 4 was analyzed by FNR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1 on the spectrum. Also,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about 1400 to 1600 cm “ 1 appeared on the FT-IR spectrum. When the height intensity of the ring stretch peak was 100%,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s of about 3300-3600cm- 1 was about 0.33%. In addition, the content of iodine and free iodine bound to the polyarylene sulfide backbone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content was confirmed to be about 1200 ppmw.
  • Example 5 Synthesis of Polyarylene Sulfides Having Hydroxy Group at the Main Chain Terminal
  • thermocouple containing a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and a vacuum line capable of conducting a vacuum and a nitrogen layer were heated to 18C C, containing 5130 g of paradiiobenzene (p-DIB) and 450 g of sulfur.
  • p-DIB paradiiobenzene
  • the final reaction temperature is 300 ° C
  • the pressure is up to 1 Torr or less stepwise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drop, and small amount of sulfur
  • the addition reaction proceeded with the addition.
  •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this Example 5 was analyzed by FNR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hydroxy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rrr 1 on the spectrum.
  • the height intensity of the ring stretch peak appearing at about 1400 to 1600cm "1 is 100% on the FT-IR spectrum,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 of the about 3300 to 3600cm- 1 is about 0.27%.
  • Example 6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a hydroxy group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A thermocouple containing a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and a 130 L of para-iodine benzene (p-DIB) and 450 g of sulfur at 180 ° C in a 5 L reactor equipped with a vacuum line capable of conducting a nitrogen layer and vacuum.
  • p-DIB para-iodine benzene
  • Example 6 it was confirmed the presence of about 3300 to a hydroxy group peak of 3600cm "1 a polyarylene sulfide resin on the spectral analyzes to FNR in addition, Ring stretch peak appearing at the on FNR spectrum, from about 1400 to 1600 ⁇ 1
  •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s of about 3300 to 3600 crrr 1 was about 0.58%, and iodine and glass iodine bonded to the polyarylene sulfide main chain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 the content was measured and found to be about 600 ppmw
  • Example 7 M of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hydroxy group at the backbone end
  • the final reaction temperature is 300 ° C
  • the pressure is carried out step by step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drop up to 1 TOIT, sulfur by small amounts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further adding.
  •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 of about 3300 to 3600cm " 1 was about 0.29%.
  • the content of iodine and free iodine bound to the polyarylene sulfide main chain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content was found to be about 800 ppmw.
  • Example 8 A paradiodebenzene (p) attached to a 5 L semi-atomizer equipped with a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and a vacuum line capable of charging and vacuuming nitrogen -DIB) 5130 g, 450 g of sulfur, the reaction mixture is heated to 180 ° C completely melted and mixed, starting at the initial reaction conditions of 220 ° C and 350 Torr, the final reaction temperature is 300 ° C, pressure is below ITorr Temperature rise and pressure drop were carried out step by step, and 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while adding a small amount of sulfur.
  • a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lyarylene sulfid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 a vacuum line capable of charging and vacuuming nitrogen -DIB 5130 g, 450 g of sulfur
  • This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Example 8 was analyzed by FT-IR to confirm the presence of a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1 on the spectrum. Also, on the FT-IR spectrum, at about 1400-1600 cm & quot ; When the height intensity of the appearing ring stretch peak was 100%,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height intensity of the peaks of about 3300-3600cm- 1 was about 0.26%. In addition, the content of iodine and free iodine bound to the polyarylene sulfide main chain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the content was found to be about 700 ppmw. Comparative Example 1
  • thermocouple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and a 5 L reactor equipped with a vacuum line for nitrogen filling and vacuuming, the reaction product containing 5130 g of para-diodebenzene (p-DIB) and 450 g of sulfur at 180 ° C.
  • p-DIB para-diodebenzene
  • sulfur sulfur
  •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analyzed by FN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hydroxyl group peak of about 3300 to 3600 cm ⁇ 1 on the spectrum.
  •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alyzer for use to from 30 ° C to 320 ° C in the back 30 ° C to 30 ° C after nyaenggak then raised at a rate of 10 ° C / min up to 320 ° C 10 ° C Melting
  • a sample prepared by stirring and dissolving a sample dissolved at 25C C for 25 minutes at a concentration of 0.4wt% in 1-chbronaphthalene was dissolved in a polypropylene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s by pouring 1-chloronaphthalene at a flow rate of 1 mL / min in a high temperatur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system (210 ° C). While arylene sulfide is sequentially separated in the column, an Rl detector is used to measure the intensities of the separated polyarylene sulfides by molecular weight, and a calibration curve is prepared from a polystyrene having a molecular weight in advance. The relativ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of the measurement samples were calculated.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PDI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melt viscosity (“MV”) was measured at 300 ° C. with a rotating disk viscometer. In the frequency sweep method, the angular frequency was measured from 0.6 to 500 rad / s, and the viscosity at 1.84 rad / s was defined as melt viscosity (MV).
  • Main chain-bound iodine and free iodine content can be prepared by ion chromatography using ion chromatography (AQF), in which samples are burned using a furnace at high temperature, and then ionized and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by ion chromatography (Ion Chromatography). The content of iodine in the sample was measured using the analyzed calibration curve. Physical properties measured by the above method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 Test Example 2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arylene sulfide
  • 3 kg of polyarylene sulfide was prepared according to ASTM D638 using an injection machine (Emgel ES75P, mold clamping force 80 tons, diameter 25 mm).
  • the barrel temperature was such that the 27O ° C / 300 ° C / 30 (rC sequentially from the inlet, the nozzl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300 ° C, the mold is a is 150 ° C.
  • Each of the polymerized resins was dried, and a small twin screw extruder was used to press ⁇ of the resin 60 under the conditions of extrusion die temperature 330 ° C and Screw rpm 200. Compounding was carried out with the addition of 40 parts by weight of glass fibers (910 Owens).
  • Comparative Example 2 660 15.7 940-76 According to Tables 2 and 3, the impact strength is about 18 J / m at about 18 J / m, as the polyarylene sulfide of Example 1 having a hydroxyl group introduced into the main chain is compounded with glass fiber.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greatly improved to 92 J / m. In addition, as the polyarylene sulfide of Example 1 having a hydroxyl group introduced at the terminal of the main chain was compounded with the elastomer, the tensile elongation was about 1.5% to about 18.0%, and the impact strength was about 55 J at 18 J / m. It has been found to be greatly improved to / m. The improvement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such compounding was also confirmed in other examples.
  • polyarylene sulfide of the example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various other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and can exhibit an excellent synergistic effec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compounding.
  • polyarylene sulfid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confirmed that the synergistic effect due to compounding is not so great because of poor 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or fi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고분자 소재나 충진재 등과의 보다 향상된 상용성을 나타내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polyarylene sulfide)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의 말단기 (End Group) 중 적어도 일부가 히드록시기 (-OH)이고,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이 10 내지 10000 ppmw인 것이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른 고분자 소재나 층진재 등과의 보다 향상된 상용성을 나타내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pdyarylene sulfide)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현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Engineering Plastic)으로, 높은 내열성과 내화학성, 내화염성 (flame resistance), 전기 절연성 등으로 인해 고온과 부식성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품이나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용도로 수요가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중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은 현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olyphenylene sulfide; 이하 'PPS')가 유일하다. 현재까지 주로 적용되는 PPS의 상업적 생산 공정은, 파라-디클로로벤젠 (P- dichlorobenzene; 이하 'pDCB')과 황화나트륨 (sodium sulfide)을 원료로 하여 N-메틸파이를리돈 (N-methyl pyrrolidone) 등의 극성 유기 용매에서 용액중합반웅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맥컬럼 공정 (Macallum process)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맥컬럼 공정으로 제조한 폴리아릴렌설파이드의 경우, 황화나트륨 등을 사용한 용액중합 공정으로 인해 염 형태의 부산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염 형태의 부산물 또는 잔류 유기 용매의 제거를 위해 세척 또는 건조 공정 등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이러한 맥컬럼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아릴렌설파이드가 분말 형태를 가짐에 따라, 후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용융중합하는 방법으로 상기 PPS 등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제조 과정 중에 염 형태의 부산물 등이 발생하지 않고 유기 용매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들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 최종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펠렛 (pellet) 형태를 가짐에 따라, 후가공이 보다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용융중합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경우, 그 주쇄 말단이 요오드와 대부분의 아릴기 (대표적으로, 벤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경우, 주쇄 구조의 특성상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유리 섬유 등 각종 강화재나 충진재와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용융중합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경우,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최적화된 물성을 나타내게 하기 위해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층진재 등과 컴파운딩하기가 힘들었으며, 컴파운딩하더라도 원하는 최적화된 물성을 나타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은 다른 고분자 소재나 충진재 등과의 보다 향상된 상용성을 나타내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polyarylene sulfide)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의 말단기 (End Group) 중 적어도 일부가 히드록시기 (-OH)이고,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이 10 내지 10000 ppmw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중합반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반웅 단계를 진행하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이의 제조 방법 ,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 "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의 말단기 (End Group) 증 적어도 일부가 히드록시기 (-OH)이고,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이 10 내지 10000 ppmw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용융중합하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른 고분자 소재나 층진재 등과의 보다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소재와의 컴파운딩 및 이를 통한 각 용도에 맞는 최적화돤 물성의 구현을 가능케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이전에 용융중합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경우, 그 주쇄 말단이 요오드와 대부분의 아릴기 (대표적으로, 벤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쇄 말단에 반웅성기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유리 섬유 등 각종 강화재나 층진재와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나타내게 됨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경우, 주쇄' 말단의 적어도 일부에 히드록시기 (-OH)와 같은 반웅성기가 도입됨에 따라, 다른 고분자 소재나, 층진재 등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친수성기를 고분자 쇄에 가지고 있는 나일론 (Nylon)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PEG; Poly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 (P yethyleneoxide),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P이 yethyleneimine),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Polyvinylalcohol), 또는 히드록시기와 반웅성을 갖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glycidylmethacrylate) 엘라스토머 등의 고분자 소재나; 유리섬유 또는 탈크 등 친수성기를 가진 무기물 등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고분자 소재나 무기물이 가지고 있는 친수성기나 극성기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말단의 히드록시기가 강한 극성결합내지 수소결합을 이루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유리섬유의 실라놀 (silan )기에 있는 히드록시기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주쇄 말단에 결합된 히드록시기가 만나 강한 수소결합을 이루거나, 글리시딜기 등 에폭시계 작용기를 갖는 고분자 소재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등)의 에폭시 링이 열리면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주쇄 말단에 결합된 히드록시기와 결합되어 강한 결합력을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여러 가지 고분자 소재 또는 충진재 등과 바람직하게 컴파운딩될 수 있고,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최적화된 물성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용융중합하여 얻어짐에 따라, 그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주쇄 결합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이 약 10 내지 10000 ppmw, 흑은 약 10 내지 3000 ppmw, 혹은 약 50 내지 2000ppmw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은 이하의 실시예와 같이,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시료를 고온에서 열처리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아용해 정량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 요오드라 함은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의 중합 과정에서 발생하여, 최종 형성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화학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함께 잔류하는 요오드 분자, 요오드 이온 또는 요오드 라디칼 등을 총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이전의 맥컬럼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용융증합으로 얻어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장점, 예를 들어,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고, 후가공이 용이하며,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게 되는 등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특유의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및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FNR 분광법으로 분석하였을 때, FNR 스펙트럼에서 상기 주쇄 말단의 히드록시기에서 유래한 약 3300 내지 3600 cm 의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 cm"1의 피크의 강도는 주쇄 말단기에 결합된 히드록시기의 함량에 대웅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FN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약 3300 내지 3600 cnV1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가 약 0.0001 내지 10%, 혹은 약 0.005 내지 7%, 혹은 약 0.001 내지 4%, 혹은 약 0.01 내지 3%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주쇄 중에 포함된 페닐렌 등의 아릴렌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에서 유래한 3300 내지 3600 crrf1의 피크가 아릴렌기 (예를 들어, 페닐렌기)에서 유래한 피크의 높이 강도에 대해 약 0.0001 내지 10%, 혹은 약 0.005 내지 7%, 혹은 약 0.001 내지 4%, 혹은 약 0.01 내지 3%의 높이 강도를 나타냄에 따라,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충진재, 예를 들어, 친수성기를 가지는 고분자 소재 또는 층진재 등과의 보다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면서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특유의 우수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융점이 약 265 내지 290 °C , 혹은 약 270 내지 285 °C , 흑은 약 275 내지 283 °C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융점 범위를 가짐에 따라, 히드록시기가 도입되며 용융중합 방식으로 얻어진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우수한 내열성 및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수 평균 분자량이 약 5,000 내지 50,000, 혹은 약 8,000 내지 40,000, 흑은 약 10,000 내지 30,000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수평균 분자량에 대한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정의되는 분산도가 약 2.0 내지 4.5, 혹은 약 2.0 내지 4.0, 흑은 약 2.0 내지 3.5로 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상술한 범위의 분산도 및 분자량을 가짐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을 나타낼 수 있고,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여러 가지 성형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회전 원판 점도계로 300 °C에서 측정한 용융 점도가 약 10 내지 50,000 poise, 혹은 약 100 내지 20,000, 흑은 약 300 내지 10,000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용융 점도를 나타내는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뛰어난 기계적 물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 값이 약 100 내지 900 kgf/cm2, 혹은 약 200 내지 800 kgf/cm2, 혹은 약 300 내지 700 kgf/cm2일 수 있으며,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신율이 약 1 내지 10%, 혹은 약 1 내지 8%, 혹은 약 1 내지 6%로 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ASTM D 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강도 값이 약 100 내지 2000 kgf/cm2, 흑은 약 500 내지 2000 kgf/cm2, 혹은 약 1000 내지 2000 kgf/cm2으로 될 수 있고, ASTM D 256에 따라 측정한 층격강도가 약 1 내지 100J/m, 흑은 약 5 내지 50 J/m, 흑은 약 10 내지 20 J/m 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충진재 등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 제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폴리비닐 알코을 수지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와 같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이민 수지와 같은 폴리알킬렌이민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을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엘라스토머 ,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등의 다양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비드, 유리 플레이크, 탈크 또는 탄산칼슘 등의 다양한 강화재 /충진재와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친수성기를 고분자 쇄 중에 갖는 나일론 수지, *리에틸렌글리콜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또는 히드록시기와 반응성을 갖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등의 고분자 소재나; 유리섬유 또는 탈크 등 친수성기를 가진 무기물 등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고분자소재나 무기물이 가지고 있는 친수성기나 극성기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말단의 히드록시기가 강한 극성결합내지 수소결합을 이루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이들 다양한 다른 고분자 소재나 충진재 등과 컴파운딩되어 뛰어난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다양한 용도에 맞는 최적화된 물성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일 예에서, 상기 주쇄의 말단기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된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약 90증량0 /。와, 엘라스토머의 약 10 중량0 /。를 컴파운딩함에 따라, 신율이 약 1.5%에서 약 18.0%로 크게 향상됨이 확인되었고,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약 60중량%와, 유리섬유의 약 40중량。 /。를 컴파운딩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약 18J/m에서 약
92J/m로 크게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컴파운딩에 따른 물성의 향상으로부터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다양한 다른 고분자 소재나 충진재 등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른 뛰어난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된다.
다만, 이러한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층진재 등과 일 구현예의 폴라아릴렌 설파이드를 컴파운딩함에 있어,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특유의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약 10 내지 99 중량0 /0, 흑은 약 50 내지 90 중량 0/。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충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 1 내지 90 중량0 /0, 혹은 약 10 내지 50 중량0 /0를 흔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흔합물을 이축 압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다양한 용도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한 뛰어난물성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중합반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반웅 단계를 진행하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은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비율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를 측정하였을 때,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 간의 중합반웅이 약 90% 이상, 흑은 약 90% 이상 100% 미만으로 진행되었을 때 (예를 들어, 중합반웅 후기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얻고자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분자량 및 이에 따른 중합 산물의 목표 점도를 설정하고, 중합 반응의 진행 정도에 따른 현재 점도를 측정하여 상기 목표 '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비율로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반웅기 스케일에 따라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소형 증합 반웅기에서 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반웅기에서 중합 반웅이 진행 중인 샘플을 취하여 점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형의 연속 중합 반웅기에서 증합을 진행하는 경우, 반웅기 자체에 설치된 점도계로 연속적, 실시간으로 현재 점도가 자동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중합반웅시키는 과정에서, 중합반웅 후기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웅시킴에 따라,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의 말단기 (End Group) 중 적어도 일부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된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합반웅 후기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주쇄 말단기에 적절한 함량의 히드록시기가 도입되어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층진재 등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면서도, 플리아릴렌 설파이드 특유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임의의 모노머 (단분자) 형태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2-요오도페놀 (2-lodophenol), 3-요오도페놀 (3-lodophenol), 4-요오도페놀 (Hoc phen ), 2,2'-디티오디페놀 (2,2'-Dithiodiphenol), 3,3'- 디티오디페놀 (3,3'-Dithiodiphen ) 또는 4,4'-디티오디페놀 (4,4'- Dithiodiphenol) 등을 들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의 약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0001 내지 10 중량부, 흑은 약 0.001 내지 7 중량부, 혹은 약 0.01 내지 2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여, 주쇄 말단기에 적절한 함량의 히드록시기를 도입할 수—있고, 그 결과,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충진재 등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면서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특유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중합반웅시키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조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맥컬럼 공정에 비해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을 갖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이 약 10 내지 10000 ppmw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쇄 결합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은 이하의 실시예와 같이,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시료를 고온에서 열처리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량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 요오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의 중합 과정에서 발생하여, 최종 형성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화학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함께 잔류하는 요오드 분자, 요오드 이온 또는 요오드 라디칼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중합반웅에 사용 가능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로는 디요오드화벤젠 (diiodobenzene; DIB), 디요오드화나프탈렌 (diiodonaphthalene), 디요오드화비페닐 (diiodobiphenyl), 디요오드화비스페놀 (diiodobisphenol), 및 디요오드화벤조페논 (diiodobenzophe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화합물들에 알킬 원자단 (alkyl group)이나 술폰 원자단 (sulfone group) 등이 치환기로 결합되어 있거나, 방향족기에 산소나 질소 등의 원자가 함유된 형태의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에는 요오드 원자가 붙은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디요오드 화합물의 이성질체 (isomer)가 있는데, 이 중에서도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2,6- 디요오도나프탈렌, 또는 ρ,ρ'-디요오도비페닐처럼 파라 위치에 요오드가 결합된 화합물이 보다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반웅하는 황 원소의 형태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다. 보통 황 원소는 상온에서 원자 8개가 연결된 고리 형태 (cydooctasulfur; S8)로 존재하는데, 이러한 형태가 아니더라도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황이라면 별다른 한정 없이 모두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웅물에는 중합개시제, 안정제, 또는 이들의 흔합물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중합개시제로는 1 ,3- 디요오드 -4-니트로벤젠, 머캅토벤조티아졸,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 사이클로핵실벤조티아졸 술펜아미드, 및 부틸벤조티아졸 술펜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그리고, 상기 안정제로는 통상 수지의 중합반웅에 사용되는 안정제이면 그 구성의 한정은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증합반웅 도중, 중합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시점에 중합중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중합 중지제는 중합되는 고분자에 포함되는 요오드 그룹을 제거하여 중합을 중지 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면, 그 구성의 한정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디페닐 설파이드 (diphenyl suldife), 디페닐 에테르 (diphenyl ether), 디페닐 (diphenyl), 벤조페논 (benzophenone 디벤조티아졸 디설파이드 (dibenzothiazole disulfide), 모노요오도아릴화합물 (monoiodoaryl compound), 벤조티아졸류 (benzothiaz e)류,
벤조티아졸술펜아미드 (benzothiaz esulfenamide)류, 티우람 (thiuram)류, 디티오카바메이트 (dith carbamate)류 및 디페닐디설파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 상기 중합중지제는 요오도비페닐 (iodobiphenyl), 요오도페놀 (iodophen이), 요오도아닐린 (iodoaniline), 요오도벤조페논 (iodobenzophenone),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2- mercaptobenzothiazole),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 (2,2'- dithiobisbenzothiazole), N-시클로핵실벤조티아졸 -2-술펜아미드 (N- 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2-모르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 (2- morpholinothiobenzothiazole), Ν,Ν-디시클로핵실벤조티아졸 -2-술펜아미드 (Ν,Ν- di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술파이드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술파이드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아연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Zinc dimethyldithiocarbamate),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Zinc diethyldithiocarbamate) 및 디페닐디설파이드 (diphenyl disulf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중합중지제의 투여 시점은 최종 중합시키고자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분자량을 고려하여 그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반응물 내에 포함된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이 약 70 내지 100 증량0 /。이 반웅되어 소진된 시점에서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중합반웅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의 중합이 개시될 수 있는 조건이면 어떠한 조건에서든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반웅은 승온 감압 반웅 조건에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도 약 180 내지 25C C 및 압력 약 50 내지 450 torr의 초기 반웅조건에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여 최종 반웅조건인 온도 약 270 내지 350 °C 및 압력 약 0.001 내지 20 torr로 변화시키며, 약 1 내지 30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최종 반웅조건을 온도 약 280 내지 300 °C 및 압력 약 0.1내지 0.5 torr로 하여 중합반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초 방법은 상기 중합반웅 전에,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용융 흔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융 흔합은 상술한 반웅물들이 모두 용융 흔합될 수 있는 조건이면 그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예를 들어, 약 130 °C 내지 200 °C , 혹은 약 160 °C 내지 190 °C의 온도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합반웅 전에 용융 흔합 단계를 진행하여, 추후 행해지는 중합반응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합반웅은 니트로벤젠계 촉매의 존재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합반웅 전에 용융흔합 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촉매는 용융흔합 단계에서 추가될 수 있다. 니트로벤젠계 촉매의 종류로는 1 ,3-디요오드 -4-니트로벤젠, 또는 1-요오드 -4-니트로벤젠 등을 들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일 구현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이러한 성형품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고분자 소재 및 /또는 강화재 /충진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이들 다른 고분자 소재 및 /또는 강화재 /충진재 등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과 흔합 (예를 들어, 컴파운딩)되어 뛰어난 물성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 또는 성형품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이때,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컴파운딩될 수 있는 고분자 소재 및 /또는 강화재 /충진재 등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또, 이러한 성형품은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약 10 내지 99 중량0 /0, 혹은 약 50 내지 90 중량0 /0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충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 1 내지 90 중량 %, 혹은 약 10 내지 50 중량 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량 범위를 층족하는수지 조성물을 이축 압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다양한 용도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한 뛰어난 물성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또 다른 구현예의 성형품은 필름, 시트, 또는 섬유 등의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또, 상기 성형품은 사출 성형품, 압출 성형품, 또는 블로우 성형품일 수 있다. 사출 성형하는 경우의 금형 온도는, 결정화의 관점에서, 약 50 °C 이상, 약 60 °C 이상, 혹은 약 80 °C 이상으로 될 수 있고, 시험편의 변형의 관점에서, 약 190 °C 이하, 흑은 약 170 °C 이하, 혹은 약 160 °C 이하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품이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되는 경우, 미연신, 1축 연신, 2축 연신 등의 각종 필름 또는 시트로 제조할 수 있다. 섬유로서는, 미연신사, 연신사, 또는 초연신사 등 각종 섬유로 하고, 직물, 편물, 부직포 (스편본드, 멜트블로우, 스테이플), 로프, 또는 네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품은 컴퓨터 부속품 등의 전기 ·전자 부품, 건축 부재,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일용품 또는 화학물질이 접촉하는 부분의 코팅, 산업용 내화학성 섬유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의 사항은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함으로써,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강화재 /층진재 등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용융 중합형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다른 고분자 소재 또는 층진재 등과의 컴파운딩을 통해, 각 용도에 최적화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고,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특유의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컴파운딩용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어 우수한 물성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히드톡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m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이 B) 5130g, 황 450g포함한 반응물을 18C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C C 및 350Torr의 초기 반응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1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은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 투입하면서 중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라한 중합반응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을 50g 첨가하고 1시간 반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상기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요오도페놀 (4- lodophenol) 51 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rr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 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4 %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15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층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0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응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1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증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을 50g 첨가하고 1시간 반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요오도페놀 (4- lodophenol) 25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을 진행한 후, 0.5Torr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2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T-I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24 %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20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합성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0°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응온도는 300°C , 압력은 1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중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응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ᅳ), 중합중지제로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을 50g 첨가하고 1시간 반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4'-디티오디페놀 (4,4'- Oithiodiphenol) 51 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rr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3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62 %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5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M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이 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0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응온도는 300 °C , 압력은 1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중합반웅올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을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을 50g 첨가하고 1시간 반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4'-디티오디페놀 (4,4'- Dithiodiphenol) 25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IT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4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33 %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12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합성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층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丄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C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IT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1 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증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증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응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디꽤닐디설파이드를 30g 첨가하고 1시간 반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요오도페놀 (4-lodophend) 25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rr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5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rrr1의 하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27 %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18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층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응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0°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1 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증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Ί 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중합중지제로 디페닐디설파이드를 30g 첨가하고 1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4'-디티오디페놀 (4,4'- Dithiodiphenol) 51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IT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6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N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ατΓ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rrr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58%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6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M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C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1 TOIT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중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디페닐디설파이드를 35g 첨가하고 1시간 반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요오도페놀 (4-lodophen ) 25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rr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뻣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7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nr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29 %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800ppmw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0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I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중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디페닐디설파이드를 35g 첨가하고 1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웅이 90% 진행되었을 때 4,4'-디티오디페놀 (4,4'- Dithiodiphenol) 13g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ΤΟΓΓ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 점도에 도달한 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웅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8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T-I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 1의 히드록시기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FT-IR 스펙트럼 상에서, 약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약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약 0.26%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700ppmw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1
반웅기의 내온 측정이 가능한 써모커플, 그리고 질소 충전 및 진공을 걸 수 있는 진공라인이 부착된 5 L 반웅기에 파라디요오드벤젠 (p-DIB) 5130g, 황 450g을 포함한 반웅물을 180 °C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융 및 흔합한 후, 220 °C 및 350Torr의 초기 반웅 조건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웅온도는 300 °C , 압력은 1 Torr 이하까지 단계적으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고, 황을 소량씩 추가투입하면서 중합반웅을 진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웅이 80% 진행되었을 때 (이러한 증합반웅의 진행 정도는 "(현재점도 /목표점도 )*100%"의 식으로,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상대 비율로서 측정하였으며, 현재점도는 중합 진행 중의 샘플을 채취해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 중합중지제로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을 50g 첨가하고 1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웅을 진행한 후, 0.5Torr 이하로 서서히 진공을 가하여 목표점도에 도달 한 후 반웅을 종료하여, 히드록시기를 주쇄 말단에 포함하지 않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수지를 소형 스트랜드 커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비교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FNR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약 3300 내지 3600cm-1의 히드록시기 피크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와 유리 요오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함량은 약 2500ppmw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2
맥컬럼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엘라스토머가 컴파운딩된 DIC사 Z200 제품을 입수하여 비교예 3으로 하였다. 시험예 1 :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기본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반 물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융점 (Tm)
시차주사 열량분석기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30 °C에서 320 °C까지 10 °C/min의 속도로 승온 후 30 °C까지 넁각 후에 다시 30 °C에서 320 °C까지 10 °C/min 의 속도로 승온하면서 융점을 측정하였다.
수평균 분자량 (Mn) 및 분자량 분포 (P이)
1-chbronaphthalene에 0.4wt%의 농도로 25C C에서 25분간 교반 용해한 샘플을 고온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시스템 (210°C )에서 1-chloronaphthalene을 1 mL/min의 유속으로 홀려주면서 분자량이 다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순차적으로 컬럼 내에서 분리하면서, Rl detector를 이용하여 분리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분자량별 강도 (Intensity)를 측정하며, 미리 분자량을 알고 있는 표준시료 (Polystyrene)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측정 샘플의 상대적인 수평균 분자량 (Mn) 및 분자량 분포 (PDI)를 계산하였다.
용융점도 (Poise)
용융점도 (melt viscosity, 이하 'MV')는 회전 원판 점도계 (rotating disk viscometer)로 300 °C에서 측정하였다. Frequency sweep 방법으로 측정함에 있어, angular frequency를 0.6부터 500 rad/s까지 측정하였고, 1 .84rad/s에서의 점도를 용융점도 (M.V.)로 정의하였다.
주쇄 결합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 (ppmw)
주쇄 결합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 (ppmw)은 시료를 고온에서 furnace를 아용하여 태운 후 요오드를 이온화하여 증류수에 용해시키는 자동 전처리장치 (AQF)를 통해 준비된 샘플을 이온크로마토그래피 (Ion Chromatography)를 통해 미리 분석된 검량커브를 이용하여 시료 중 요오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 물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imgf000024_0001
시험예 2: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기계적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기계적 물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각 물성의 측정시 시편은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 얻었다:
시편 제조 조건
폴리아릴렌설파이드 3kg을 사출기 (엠겔 ES75P, 형체력 80톤, 직경 25mm)를 이용하여 ASTM D638에 따라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 때, 배럴온도는 투입구부터 차례로 27O°C/300°C/30(rC가 되도록 하였고, 노즐온도는 300 °C , 금형은도는 150 °C 되도록 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 638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시편의 안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굴곡강도 및 굴곡강도 유지율
ASTM D 790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시편의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편을 280 °C 오븐에서 100 시간 동안 aging 한후 굴곡강도를 다시 측정하였고, 굴곡강도 유지율 (%) = [(aging 후의 굴곡강도) /(aging 전의 굴곡강도)] Ί 00의 식에 따라 굴곡강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충격강도 (Izod)
ASTM D 256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시편의 층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 기계적 물성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imgf000025_0001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다른 성분과 컴파운딩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유리섬유의 컴파운딩
중합한 수지를 각각 건조하고, 소형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Die 온도 330 °C , Screw rpm 200 조건 하에서 상기 수지 60 중 ^부에 유리섬유 (오웬스사 910) 40 중량부 첨가하며 컴파운딩을 실시하였다.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와 엘라스토머의 컴파운딩 ―
압출 Die 온도 300 °C , Screw rpm 200 조건 하에서 상기 수지 90 중량부에 엘라스토머인 AX8840 (Arkema 사제)을 10 중량부 첨가하며 흔합 압출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컴파운딩한 시편과, 비교예 2의 컴파운딩 시편의 기계적 물성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시편에 대해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imgf000026_0001
엘라스토머
10%
실시예 5+
엘라스토머 575 17.5 1 ,030 - 48
10%
실시예 6+
엘라스토머 580 17.2 1 ,010 - 52
10%
실시예 7+
엘라스토머 586 17.8 1 ,035 - 48
10%
실시예 8+
엘라스토머 577 16.5 1 ,020 - 49
10%
비교예 1 +
엘라스토머 556 2.5 950 - 17
10%
비교예 2 660 15.7 940 - 76 상기 표 2 및 3에 따르면, 주쇄 말단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된 실시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유리섬유와 컴파운딩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약 18 J/m에서 약 92 J/m로 크게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또, 주쇄의 말단기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된 실시예 1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엘라스토머와 컴파운딩함에 따라, 인장신율이 약 1.5%에서 약 18.0%로, 충격강도가 18 J/m에서 약 55 J/m로 크게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컴파운딩에 따른 물성 향상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등하게 확인되었다.
이러한 컴파운딩에 따른 물성의 향상으로부터 실시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가 다양한 다른 고분자 소재나 충진재 등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른 뛰어난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다른 고분자 소재나 충진재와의 상용성이 열악하여 컴파운딩에 따른 상승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의 말단기 (End Group) 중 적어도 일부가 히드록시기 (-OH)이고,
상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맟 유리 요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주쇄에 결합된 요오드 및 유리 요오드 함량이 10 내지 10000 ppmw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2】
거 I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 결합 요오드
내지 3000 ppmw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3】
게 1 항에 있어서, FT-IR 스펙트럼 상에서,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를 나타내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4】
게 3 항에 있어서, FT-IR 스펙트럼 상에서, 1400 내지 1600cm-1에서 나타나는 Ring stretch 피크의 높이 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 상기 3300 내지 3600cm-1 의 피크의 상대적 높이 강도는 0.01 내지 3%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융점이 265 내지 290 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ᅳ 【청구항 7]
거 1 1 항에 있어서, 회전 원판 점도계로 300 °C에서 측정한 용융 점도가 10 내지 50,000 poise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한 인장강도 값이 100 내지 900 kgf/cm2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 638에 따라측정한 신율이 1 내지 10 %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 790에 따라 측정한 굴곡강도 값이 100 내지 2000 kgf/cm2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청구항 "】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 256에 따라 측정한 충격강도 값이 1 내지 100J/m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Γ청구항 12】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과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중합반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반웅 단계를 진행하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 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청구항 13】
제 12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은 2-요오도페놀 (2-lodophenol), 3-요오도페놀 (3-lodophenol), 4-요오도페놀 (4-lodophenol), 2,2'-디티오디페놀 (2,2'-Dithiodiphen ), 3,3'-디티오디페놀 (3,3'-Dithiodiphen ) 또는 4,4'-디티오디페놀 (4,4'-Dithiodiphen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청구항 14】
제 12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은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의 100 중량부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청구항 15】
제 12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목표 점도에 대한 현재 점도의 비율로 증합반웅의 진행 정도를 측정하였을 때, 중합반웅의 진행 정도가 90% 이상 진행되었을 때 첨가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은 디요오드화 벤젠, 디요오드화 나프탈렌, 디요오드화바이페닐, 디요오드화비스페놀, 및 디요오드화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청구항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단계는 온도 180 내지 250 °C 및 압력 50 내지 450 torr의 초기 반응조건에서 온도 상승 및 압력 강하를 수행하여 최종 반웅조건인 온도 270 내지 350°C 및 압력 0.001 내지 20 torr로 변화시키며, 1 내지 30시간 동안 진행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청구항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반웅 단계 전에, 디요오드 방향족 화합물 및 황 원소를 포함하는 반웅물을 용융 흔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플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청구항 19】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성형품.
【청구항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필름, 시트, 또는 섬유 형태인 성형품.
PCT/KR2016/013487 2015-11-23 2016-11-22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70909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6868854T ES2900743T3 (es) 2015-11-23 2016-11-22 Resina de poli(sulfuro de arileno) y método para preparar la misma
CN201680078197.8A CN108463485B (zh) 2015-11-23 2016-11-22 聚亚芳基硫醚树脂及其制备方法
JP2018526658A JP6901480B2 (ja) 2015-11-23 2016-11-22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および成形品
US15/777,966 US10822457B2 (en) 2015-11-23 2016-11-22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16868854.7A EP3381968B1 (en) 2015-11-23 2016-11-22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HK18113182.1A HK1254112A1 (zh) 2015-11-23 2018-10-15 聚亞芳基硫醚樹脂及其製備方法
US17/030,112 US11390714B2 (en) 2015-11-23 2020-09-23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4287 2015-11-23
KR10-2015-0164287 2015-11-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777,966 A-371-Of-International US10822457B2 (en) 2015-11-23 2016-11-22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7/030,112 Division US11390714B2 (en) 2015-11-23 2020-09-23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958A1 true WO2017090958A1 (ko) 2017-06-01

Family

ID=5876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487 WO2017090958A1 (ko) 2015-11-23 2016-11-22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822457B2 (ko)
EP (1) EP3381968B1 (ko)
JP (1) JP6901480B2 (ko)
KR (1) KR20170059897A (ko)
CN (1) CN108463485B (ko)
ES (1) ES2900743T3 (ko)
HK (1) HK1254112A1 (ko)
TW (1) TWI723082B (ko)
WO (1) WO2017090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0858B (zh) * 2015-11-23 2021-10-01 南韓商Sk化學公司 聚芳硫醚樹脂組合物及成形物件
KR20170059897A (ko) 2015-11-23 2017-05-3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8275A (en) * 1987-08-19 1989-09-19 Tosoh Corporation Preparation of poly (arylene sulfide) from dihalo aromatic hydroxyl compound
US20130273799A1 (en) * 2012-04-13 2013-10-17 Ticona Llc Polyarylene Sulfide Fibers and Composites Including the Fibers
KR20130138538A (ko) * 2012-06-11 2013-12-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3163A (ko) * 2012-04-27 2015-01-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KR20150093641A (ko) * 2015-07-31 2015-08-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유리 요오드 저감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713A (en) 1987-11-06 1988-11-22 Eastman Kodak Company Copoly(arylene sulfidex-disulfide)
JPH06100692A (ja) 1992-09-21 1994-04-1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ヒドロキシアルキル基含有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JPH09228145A (ja) * 1996-02-19 1997-09-02 Toyobo Co Ltd 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
US6001934A (en) 1997-09-03 1999-12-14 Tonen Chemical 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polyarylene sulfide resin
JP4307908B2 (ja) 2003-06-05 2009-08-05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および塗装成形品
KR101549205B1 (ko) 2008-12-23 2015-09-02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KR101554010B1 (ko) 2008-12-31 2015-09-18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유리 요오드 저감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KR101780404B1 (ko) 2010-02-01 2017-09-21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요오드 저감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US9249263B2 (en) 2010-03-09 2016-02-02 Sk Chemicals Co., Ltd. Recyclable polyarylene sulf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394430B2 (en) 2012-04-13 2016-07-19 Ticona Llc Continuous fiber reinforced polyarylene sulfide
CN108178926B (zh) 2012-08-07 2020-12-25 Sk化学株式会社 聚亚芳基硫醚树脂及其制备方法
JP6397412B2 (ja) 2012-09-19 2018-09-26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EP2980121B1 (en) 2013-03-25 2022-04-13 DIC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CN104283422A (zh) 2013-07-12 2015-01-1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升压转换电路及其驱动控制模块
WO2015020142A1 (ja) * 2013-08-09 2015-02-12 Dic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6237773B2 (ja) 2013-08-30 2017-11-29 Dic株式会社 水回り部品用樹脂組成物及び流体用配管
CN105517797B (zh) 2013-08-30 2018-04-03 Dic株式会社 多层成形体和使用了其的燃料用部件
WO2015033855A1 (ja) * 2013-09-05 2015-03-12 Dic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6718232B2 (ja) 2013-09-26 2020-07-08 Dic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表面実装電子部品
WO2015049941A1 (ja) * 2013-10-01 2015-04-09 Dic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電気自動車部品
US10280304B2 (en) 2014-02-05 2019-05-07 Teijin Limited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KR20170059897A (ko) 2015-11-23 2017-05-3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TWI740858B (zh) 2015-11-23 2021-10-01 南韓商Sk化學公司 聚芳硫醚樹脂組合物及成形物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8275A (en) * 1987-08-19 1989-09-19 Tosoh Corporation Preparation of poly (arylene sulfide) from dihalo aromatic hydroxyl compound
US20130273799A1 (en) * 2012-04-13 2013-10-17 Ticona Llc Polyarylene Sulfide Fibers and Composites Including the Fibers
KR20150003163A (ko) * 2012-04-27 2015-01-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KR20130138538A (ko) * 2012-06-11 2013-12-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93641A (ko) * 2015-07-31 2015-08-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유리 요오드 저감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81968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22457B2 (en) 2020-11-03
JP6901480B2 (ja) 2021-07-14
US20180334542A1 (en) 2018-11-22
CN108463485A (zh) 2018-08-28
TWI723082B (zh) 2021-04-01
ES2900743T3 (es) 2022-03-18
EP3381968A1 (en) 2018-10-03
HK1254112A1 (zh) 2019-07-12
TW201728626A (zh) 2017-08-16
JP2018534408A (ja) 2018-11-22
EP3381968A4 (en) 2019-07-24
US11390714B2 (en) 2022-07-19
EP3381968B1 (en) 2021-10-27
KR20170059897A (ko) 2017-05-31
CN108463485B (zh) 2021-07-20
US20210002428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479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10480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944898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390714B2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I740858B (zh) 聚芳硫醚樹脂組合物及成形物件
KR20220007274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88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77966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1852665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68854

Country of ref document: EP